KR20130112265A - 분기배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분기배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12265A
KR20130112265A KR1020120034509A KR20120034509A KR20130112265A KR 20130112265 A KR20130112265 A KR 20130112265A KR 1020120034509 A KR1020120034509 A KR 1020120034509A KR 20120034509 A KR20120034509 A KR 20120034509A KR 20130112265 A KR20130112265 A KR 20130112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ranch
main
main pip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3834B1 (ko
Inventor
하상균
Original Assignee
하상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상균 filed Critical 하상균
Priority to KR1020120034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3834B1/ko
Publication of KR20130112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2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3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3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0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the extremity of the pipe being screwed into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기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주배관에 상향되게 분기배관을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그 배관 분기를 위한 연결장치를 일체로 형성하여 설치공간 및 작업 공수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과 주배관으로부터 유체를 분기시켜 필요로 하는 사용처까지 전달하는 분기배관을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부가 주배관으로 연결되는 주배관 연결관, 주배관 연결관에 수직하게 일체로 연설되되 일측 단부는 주배관 연결관의 외주면에 의해 폐쇄되고 다른측 단부는 개방되어 분기배관으로 연결되는 분기배관 연결관, 주배관 연결관과 분기배관 연결관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일측 단부가 주배관 연결관으로부터 일체로 연설되어 그에 경사지게 분기되고 다른측 단부가 분기배관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분기 연결관을 포함하는 분기배관 연결장치를제공하여, 상향 분기 요건에 따른 배관 연결시 그 연결부품을 최소화하여 분기배관을 간단하고 견고하게 주배관에 연결할 수 있으면서도 설치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고 배관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분기배관 연결장치{Divergence pipe connecting device}
본 발명은 분기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 화공물질, 상수, 또는 소방용수 등의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에 상향되게 분기배관을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연결부품을 최소화하여 분기배관을 간단하고 견고하게 주배관에 연결할 수 있으면서도 설치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도모할 수 있는 분기배관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나 화공물질, 또는 상수나 소방용수 등의 유체는 주배관을 통해 건물 및 주택 등의 각 사용처로 운반되며, 이러한 주배관으로부터 건물 등의 각 사용처에 해당 유체를 분산 공급하기 위해 분기배관이 설치되고, 이러한 주배관과 분기배관은 연결장치에 의해 연결된다.
특히 소화용 살수장치인 스프링클러(sprinkler)는 건물 등의 실내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에 자동으로 물을 분사함으로써 소화 작동을 하는 소방용 장치로서, 이러한 스프링클러는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정 내에 주배관이 설치되며, 주배관에서 다수 개의 분기배관이 분기되며, 각 분기배관에 스프링클러의 헤드가 각각 연결되어 실내 공간으로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소방용 배관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상세도로서, 주배관(1)과 분기배관(2)이 다수 개의 티형 조인트(3,4)와 연결배관(5)에 의해 연결된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소방용 배관 연결구조는 천정에 주배관(1)이 설치되고, 그 주배관(1)의 상측에 분기배관(2)이 설치되며, 이러한 주배관(1)과 분기배관(2)은 다수 개의 관로가 형성되어 있는 주배관 연결용 티형 조인트(3), 분기배관 연결용 티형 조인트(4) 및 연결배관(5)에 의해 연결된다. 주배관 연결용 티형 조인트(3)와 분기배관 연결용 티형 조인트(4)는 각각 T자 형상의 조인트로서 세 방향으로 분기되는 관로가 형성되어 있고, 각 관로의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주배관(1) 또는 분기배관(2) 또는 연결배관(5)의 단부에 나사결합을 통해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는 현행 규율에 따라 이물질 등에 의한 배관의 막힘 등을 방지하기 위해 천정에 배치되는 주배관(1)에 상향되게 분기배관(2)이 설치되어야만 하므로 주배관(1)의 상부로부터 차례로 주배관 연결용 티형 조인트(3), 연결배관(5), 및 분기배관 연결용 티형 조인트(4)가 연결되어야 하고, 그 위에 분기배관(2)이 설치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주배관은 분기배관의 설치를 위해 반드시 천정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어야 하며, 실질적으로 이러한 소방용 배관 구조는 실내의 많은 천정 공간을 필요로 하게 되어 건물의 층고를 높이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상기한 소방용 배관 연결 구조는 다수 개의 조인트 및 연결 배관이 별도로 필요하므로 그 부품 수가 많고 따라서 조립 공정 또한 길어지게 되어 자재비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설치 시간의 소요에 따른 인건비 상승의 문제를 초래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스, 화공물질, 상수, 또는 소방용수 등의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에 상향되게 분기배관을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배관 분기를 위한 연결장치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상향 분기 요건에 따른 배관 연결시 그 연결부품을 최소화하여 분기배관을 간단하고 견고하게 주배관에 연결할 수 있으면서도 설치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기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가스, 화공물질, 상수, 또는 소방용수 등의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에 상향되게 분기배관을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배관 내에 흐르는 유체에 원심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하여 유체 내 이물질 등에 의한 배관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분기배관 연결장치를 제공하고자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과 주배관으로부터 유체를 분기시켜 필요로 하는 사용처까지 전달하는 분기배관을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부가 주배관으로 연결되는 주배관 연결관, 주배관 연결관에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되되 일측 단부는 주배관 연결관의 외주면에 의해 폐쇄되고 다른측 단부는 개방되어 분기배관으로 연결되는 분기배관 연결관, 주배관 연결관과 분기배관 연결관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주배관 연결관과 분기배관 연결관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되, 주배관 연결관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을 분기 및 유도할 수 있도록 주배관 연결관의 측면에서 그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분기되어 분기배관 연결관으로 연결되는 분기 연결관을 포함하는 분기배관 연결장치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는,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과 주배관으로부터 유체를 분기시켜 필요로 하는 사용처까지 전달하는 분기배관을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부가 주배관으로 연결되는 주배관 연결관, 주배관 연결관에 수직하게 일체로 연설되되 일측 단부는 주배관 연결관의 외주면에 의해 폐쇄되고 다른측 단부는 개방되어 분기배관으로 연결되며 분기배관의 상향 분기를 위해 주배관 연결관의 중심축(x1)에서 편심되는 위치에 그 중심축(x2)이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분기배관 연결관, 주배관 연결관과 분기배관 연결관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키면서 내부에 흐르는 유체에 원심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일측 단부가 주배관 연결관으로부터 일체로 연설되어 그에 경사지게 분기되고 다른측 단부가 분기배관 연결관으로 연결되며 분기배관의 상향 분기를 위해 분기배관 연결관의 중심축(x2)과 같은 평면 상에 그 중심축(x3)이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분기 연결관을 포함하는 분기배관 연결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기배관 연결장치는 가스, 화공물질, 상수, 또는 소방용수 등의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에 상향되게 분기배관을 연결하는 장치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배관 연결시 그 연결부품을 최소화하여 설치작업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하며, 아울러 주배관의 중심축으로부터 상향되는 위치에 설치되어야만 하는 분기 배관을 필요 요건에 합당하게 최소 공간에 설치하여 주배관에 연결할 수 있게 되므로, 배관 설치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여 건물 내부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기배관 연결장치는 분기 연결관에 의해 배관 내에 흐르는 유체에 원심력이 작용할 수 있게 되므로, 유체 내 이물질 등이 원심력에 의해 유체로부터 분리되어 분기배관 연결관의 폐쇄 단부 쪽으로 제거될 수 있게 되므로 유체 내 이물질에 의한 배관의 막힘 및 살수 장애, 설비 고장 등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소방용 배관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한 분기배관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은 도 3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분기배관 연결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한 분기배관 연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우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분기배관 연결장치는,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1)에 연결되는 주배관 연결관(10), 주배관으로부터 유체를 분기시켜 필요로 하는 사용처까지 전달하는 분기배관(2)에 연결되는 분기배관 연결관(20), 및 주배관 연결관(10)과 분기배관 연결관(20)을 연결하는 분기 연결관(30)이 하나의 몸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분기배관 연결관(20) 및 분기 연결관(30)은 주배관 연결관(10)의 일측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주배관 연결관(10)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대칭되게 쌍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분기배관 연결관(20) 및 분기 연결관(30)이 주배관 연결관(10)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대칭되게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주배관 연결관(10)은 양단부가 개방되는 중공형 몸체(이 몸체의 중심축을 x1이라 칭함)로 이루어지며 그 양단부가 주배관(1)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주배관 연결관(10)은 용접에 의해 주배관(1)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필요에 따라 양단부의 내주면에 주배관(1)과의 결합을 위한 제1 나사부(11)를 각각 형성하여 제1 나사부(11)를 통해 주배관(1)의 단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는 주배관(1)의 단부 외주면에 상기 제1 나사부(11)에 대응 결합 가능한 또 다른 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분기배관 연결관(2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배관 연결관(10)에 수직하게 일체로 연설되되 일측 단부는 주배관 연결관(10)의 외주면에 의해 폐쇄되고 다른측 단부는 개방되는 중공형 몸체(이 몸체의 중심축을 x2라 칭함)로 이루어져 그 개방된 단부가 분기배관(2)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분기배관 연결관(20)은 분기 배관의 상향 분기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배관 연결관(10)의 중심축(x1)에서 상부로 일정 높이(h1)만큼 편심되는 위치에 분기배관 연결관(20)의 중심축(x2)이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이러한 분기배관 연결관(20)은 주배관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와 그 유체 내에 함유된 이물질 간의 비중차에 의한 분리를 위해, 주배관 연결관(10)을 종방향으로 수평하게 상하로 균등 양분하는 하나의 단면(관의 중심선을 지나는 단면)을 기준으로 그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주배관 연결관(10)과 분기배관 연결관(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배관 연결관(10)의 반경보다 낮은 높이차(h1)를 갖는 상태로 서로 수직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건물의 좁은 천정 공간에서 주배관(1)으로부터 상향 분기되어야만 하는 분기배관(2)의 설치시 그들 두 배관의 높이차도 상기 주배관 연결관(10)과 분기배관 연결관(10)이 갖는 높이차 만큼만 이격시켜 설치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한편, 이러한 분기배관 연결관(20)은 용접에 의해 분기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또는 필요에 따라 개방된 단부의 내주면에 분기배관(2)과의 결합을 위한 제2 나사부(21)를 형성하여 제2 나사부(21)를 통해 분기배관(2)의 단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분기배관(2)의 개방된 단부 외주면에 상기 제2 나사부(21)에 대응 결합 가능한 또 다른 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분기 연결관(30)은 주배관 연결관(10)과 분기배관 연결관(20)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중공형 몸체(이 몸체의 중심축을 x3라 칭함)로 이루어지며, 일측 단부가 주배관 연결관(10)에 연결되고 다른측 단부가 분기배관 연결관(20)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분기 연결관(30)은 특히 주배관 연결관(10)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 방향(p3)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을 분기 및 유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주배관 연결관(10)의 측면에서 그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분기되어 분기배관 연결관(20)으로 연결되며, 아울러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배관 연결관(20)의 중심축(x2)과 같은 평면 상에 분기 연결관(30)의 중심축(x3)이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분기배관 연결장치의 전체적인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분기배관 연결장치는 분기배관 연결관(20)이 분기 배관(2)의 상향 분기를 위해 주배관 연결관(10)의 중심축(x1)에서 상측으로 편심되는 위치에 그 중심축(x2)이 위치하도록 일체로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배관(1) 및 그 주배관(1)에 상향 설치되는 분기배관(2)에 각각 주배관 연결관(10)과 분기배관 연결관(20)이 각각 나사결합공정 또는 용접공정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간단하게 조립이 완료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배관 연결시 그 연결 및 설치작업을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기배관 연결장치의 주배관 연결관(10)과 분기배관 연결관(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차(h1)가 있는 상태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에 연결되는 주배관(1) 및 분기배관(2)의 설치시 그 높이차도 주배관 연결관(10)과 분기배관 연결관(10)이 갖는 높이차 만큼만 이격시켜 설치가 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분기배관 연결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건물의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분기배관 연결장치에서는 분기배관 연결관(20) 및 분기 연결관(30)이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주배관 연결관(10)을 종방향으로 수평하게 상하로 균등 양분하는 하나의 단면(관의 중심선을 지나는 단면)을 기준으로 그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 관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 함유된 이물질 등은 유체와 이물질 간의 비중차에 의해 주배관 연결관(10)의 하측을 따라 흐르게 될 것이므로, 주배관(1)을 타고 흐르는 유체를 그 역방향의 분기배관(2) 쪽으로 분기 및 유도하게 될 때에 분기배관 연결관(20) 쪽으로는 실질적으로 이물질 등은 배제되고 유체만 분기 및 유도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분기배관 연결장치에서는 분기 연결관(30)이 주배관 연결관(10)의 유체 흐름방향(p3)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주배관(1)을 타고 흐르는 유체를 그 역방향의 분기 연결관(30)을 통해 분기배관 연결관(20) 쪽으로 분기 및 유도하게 될 때에 유체에 함유된 이물질 등은 유체와의 비중차에 의해 유체의 흐름에 따른 관성력을 유체보다 더 많이 받게 될 것이고, 아울러 주배관 연결관(10)의 하측에 위치하게 될 것이므로 분기배관 연결관(20) 쪽으로는 실질적으로 이물질 등은 배제되고 유체만 유도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분기배관 연결장치는 분기 연결관(3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배관 연결관(20)의 중심축(x2)과 같은 평면 상에 그 중심축(x3)이 위치하도록 형성될 뿐만 아니라 분기 연결관(30)의 일측 단부가 주배관 연결관(10)으로부터 일체로 연설되어 주배관 연결관(10)의 유체 흐름 방향(p3)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분기되고 다른측 단부가 분기배관 연결관(20)으로 연결되어 주배관 연결관(10)과 분기배관 연결관(20)의 내부 공간을 분기 연결관(30)에 의해 연통시켜 주므로, 주배관(1)을 타고 흐르는 유체는 도 5에 화살표(p1,p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배관 연결관(10), 분기 연결관(30), 분기배관 연결관(1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분기배관(2)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유체에는 주배관 연결관(10), 분기 연결관(30), 분기배관 연결관(1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 반경의 바깥쪽으로 원심력이 작용하게 되며, 주배관 연결관(10)에 수직하게 일체로 연설되는 분기배관 연결관(20)의 일측이 주배관 연결관(10)의 외주면에 의해 폐쇄되고 다른측 단부는 개방되어 분기배관(2)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이러한 원심력에 의해 유체 내에 함유된 이물질 등은 유체와 분리되면서 분기배관 연결관(20)의 폐쇄 단부 쪽으로 밀려 제거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의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은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실내의 천정 공간에서 상향 분기가 요구된 소방용 배관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소방용 배관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스, 화학물질 또는 상하수 등이 흐르는 주배관에 분기배관을 연결하는 경우에도 채택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주배관 2 : 분기배관
10 : 주배관 연결관 11 : 제1 나사부
20 : 분기배관 연결관 21 : 분기배관 연결관
30 : 분기 연결관 x1-x3 : 중심축
h1 : 높이차 p1-p3 : 유체흐름방향

Claims (10)

  1.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1)과 상기 주배관으로부터 유체를 분기시켜 필요로 하는 사용처까지 전달하는 분기배관(2)을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부가 주배관(1)으로 연결되는 주배관 연결관(10);
    상기 주배관 연결관(10)에 수직하게 일체로 형성되되 일측 단부는 상기 주배관 연결관(10)의 외주면에 의해 폐쇄되고 다른측 단부는 개방되어 분기배관(2)으로 연결되는 분기배관 연결관(20);
    상기 주배관 연결관(10)과 분기배관 연결관(20)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주배관 연결관(10)과 분기배관 연결관(20)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되, 상기 주배관 연결관(10)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 방향(p3)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을 분기 및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주배관 연결관(10)의 측면에서 그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분기되어 상기 분기배관 연결관(20)으로 연결되는 분기 연결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배관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배관 연결관(20) 및 분기 연결관(30)은,
    상기 주배관 연결관(10)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대칭되게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배관 연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배관 연결관(10)은,
    양단부의 내주면에 주배관(1)과의 결합을 위한 제1 나사부(11)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배관 연결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배관 연결관(20)은,
    상기 주배관 연결관(10)의 중심축(x1)에서 편심되는 위치에 상기 분기배관 연결관(20)의 중심축(x2)이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배관 연결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배관 연결관(20)은,
    주배관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와 그 유체 내에 함유된 이물질 간의 비중차에 의한 분리를 위해, 상기 주배관 연결관(10)을 종방향으로 수평하게 상하로 균등 양분하는 하나의 단면(관의 중심을 지나는 단면)을 기준으로 그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배관 연결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배관 연결관(20)은,
    상기 개방된 단부의 내주면에 분기배관(2)과의 결합을 위한 제2 나사부(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배관 연결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연결관(30)은,
    상기 분기배관 연결관(20)의 중심축(x2)과 같은 평면 상에 상기 분기 연결관(30)의 중심축(x3)이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배관 연결장치.
  8. 유체가 흐르는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으로부터 유체를 분기시켜 필요로 하는 사용처까지 전달하는 분기배관을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양단부가 개방된 중공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부가 주배관(1)으로 연결되는 주배관 연결관(10);
    상기 주배관 연결관(10)에 수직하게 일체로 연설되되 일측 단부는 상기 주배관 연결관의 외주면에 의해 폐쇄되고 다른측 단부는 개방되어 분기배관(2)으로 연결되며, 분기배관의 상향 분기를 위해 상기 주배관 연결관(10)의 중심축(x1)에서 편심되는 위치에 그 중심축(x2)이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분기배관 연결관(20);
    상기 주배관 연결관(10)과 분기배관 연결관(20)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주배관 연결관(10)과 분기배관 연결관(20)에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되, 주배관 연결관(10)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 방향(p)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유체의 흐름을 분기 및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주배관 연결관(10)의 측면에서 그에 역방향으로 경사지게 분기되어 상기 분기배관 연결관(20)으로 연결되며, 분기배관의 상향 분기를 위해 상기 분기배관 연결관(20)의 중심축(x2)과 같은 평면 상에 그 중심축(x3)이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분기 연결관(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배관 연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배관 연결관(20) 및 분기 연결관(30)은,
    상기 주배관 연결관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대칭되게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배관 연결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배관 연결관(20)은,
    주배관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와 그 유체 내에 함유된 이물질 간의 비중차에 의한 분리를 위해, 상기 주배관 연결관(10)을 종방향으로 수평하게 상하로 균등 양분하는 하나의 단면(관의 중심을 지나는 단면)을 기준으로 그 상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배관 연결장치.
KR1020120034509A 2012-04-03 2012-04-03 분기배관 연결장치 KR101353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509A KR101353834B1 (ko) 2012-04-03 2012-04-03 분기배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509A KR101353834B1 (ko) 2012-04-03 2012-04-03 분기배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2265A true KR20130112265A (ko) 2013-10-14
KR101353834B1 KR101353834B1 (ko) 2014-01-23

Family

ID=49633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509A KR101353834B1 (ko) 2012-04-03 2012-04-03 분기배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38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993A1 (ko) * 2020-10-23 2022-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제조용 중합 반응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628B1 (ko) 2020-07-09 2020-12-07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덕트와 훅업 분기관의 제작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덕트와 훅업 분기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6994A (ja) * 1988-09-09 1990-03-16 Nippon Kensetsu Kogyo Kk 強制循環用継手
JPH09101056A (ja) * 1995-10-02 1997-04-15 Takenaka Komuten Co Ltd 空調ダクト接続用の分岐管装置
JP2003253717A (ja) 2002-02-27 2003-09-10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建屋内配管
JP5892721B2 (ja) 2009-05-13 2016-03-23 日鉄住金パイプライン&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ノーブロー工法用フィッティング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993A1 (ko) * 2020-10-23 2022-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제조용 중합 반응기
CN114981315A (zh) * 2020-10-23 2022-08-30 株式会社Lg化学 生产超吸收性聚合物的聚合反应器
CN114981315B (zh) * 2020-10-23 2024-01-05 株式会社Lg化学 生产超吸收性聚合物的聚合反应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3834B1 (ko)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8832C2 (ru) Спринклер сухого типа с различными схемами соединения
KR101737005B1 (ko) 연기확산 방지 소방용 분사 노즐
RU2578569C1 (ru) Дренчер
KR101353834B1 (ko) 분기배관 연결장치
RU2501587C1 (ru) Спринклерная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RU2512869C1 (ru)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одяной завесой
KR101681676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RU2482924C1 (ru)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одяной завесой
RU150225U1 (ru) Распылительная головка для равномерного распределе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ы
RU2543862C1 (ru) Дренчер кочетова
KR101711046B1 (ko) 소화 및 제연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소방용 방제장치
RU2432210C1 (ru) Дренчерная головка
RU2429917C1 (ru)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водяной завесой
RU2578571C1 (ru)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 дренчерным оросителем
US10864397B2 (en) Fire protection system manifold
KR101711039B1 (ko)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이 용이한 소방장치
KR20120101845A (ko) 삼방 볼 밸브
RU2408436C1 (ru) Дренчер
CN105983193B (zh) 消防炮用联动回转节
RU2644875C1 (ru) Дренчер
KR101322751B1 (ko) 살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시스템
RU2650128C1 (ru) Распылитель для газоводяной системы пожаротушения
CN112682597A (zh) 一种消防水带延时接头
RU2650130C1 (ru) Газоводяная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200498305Y1 (ko) 스프링클러설비용 배관의 멀티 드레인 점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