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046B1 - 소화 및 제연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소방용 방제장치 - Google Patents

소화 및 제연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소방용 방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046B1
KR101711046B1 KR1020160096796A KR20160096796A KR101711046B1 KR 101711046 B1 KR101711046 B1 KR 101711046B1 KR 1020160096796 A KR1020160096796 A KR 1020160096796A KR 20160096796 A KR20160096796 A KR 20160096796A KR 101711046 B1 KR101711046 B1 KR 1017110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ub
tube
main
communi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천
Original Assignee
(주)하일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일기술단 filed Critical (주)하일기술단
Priority to KR1020160096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0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1/00Hoses, i.e. flexible pipes
    • F16L11/04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 F16L11/11Hoses, i.e. flexible pipes made of rubber or flexible plastics with corrugated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함께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 등의 연소가스를 신속하게 제거하고, 살수기의 소화액 분사범위를 넓히면서도 화재진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소화 및 제연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소방용 방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메인 배기관; 흡기를 위한 흡기구를 갖추고 상기 메인 배기관과 연통하는 서브 배기관; 펌핑된 소화액이 유입되는 메인관; 상기 메인관으로부터 2개로 분리돼 각각 연통하는 제1서브관과 제2서브관; 상기 제1서브관과 연통하는 제1관로; 상기 제2서브관과 연통하는 제2관로;로 배관이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배기관과 연통하게 연결되는 환풍기; 상기 메인관과 제1서브관과 제2서브관의 교차로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대와, 상기 회전축대가 제1서브관과 제2서브관 방향으로 편중하게 설치되어서 회전 방향에 따라 제1서브관 또는 제2서브관을 메인관과 선택적으로 차단하며 제1서브관과 제2서브관 간에는 소화액이 교류하도록 연통시키는 도어와, 상기 회전축대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로 된 개폐기; 양단이 상기 제1관로와 제2관로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돼 연통하는 관 형상이되, 내주면에는 소화액의 수압을 받아 회전력을 일으키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이송관; 상기 이송관과 나란히 설치되는 가이드; 상기 이송관의 수나사산과 맞물리는 암나사산을 구비한 이동관과, 상기 이송관의 회전으로 이동관이 이동하도록 이동관에서 돌출하게 형성되어 가이드에 걸리는 후크로 된 브래킷; 상기 제1,2서브관 내 수압을 감지해서 해당 수압이 기준치를 유지하도록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펌프의 동작 제어와 함께 환풍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화 및 제연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소방용 방제장치{FIRE EXTINGUISHING APPARATUS FOR SMOKE REMOVING}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함께 발생하는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 등의 연소가스를 신속하게 제거하고, 살수기의 소화액 분사범위를 넓히면서도 화재진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소화 및 제연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소방용 방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재 발생 중에는 현장에 있는 각종 가연 소재가 연소하면서 일어나게 되는 물질적 피해도 크지만 호흡을 방해하는 각종 연소가스가 발생하면서 미치는 인명 피해는 더욱 크다. 더욱이 화재에서 발생하는 인명 피해는 화염에 접촉하여 입는 직접적 피해보다는, 연소가스에 의한 호흡곤란으로 입는 간접적 피해가 훨씬 크다. 따라서, 화재 발생시 화염을 직접 제거하는 소화도 중요하지만 발생한 연소가스를 빠르게 배출시키는 제연도 중요하다.
하지만, 화재 발생시 제연 수단은 단순히 자연 배출에만 의지하고 있었고, 각종 환풍 시설의 경우에는 화재 발생 중에 파손되거나 전원이 차단되어 대부분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했다.
한편, 공지된 바와 같이, 살수기는 공급되는 소화액을 분산하여 뿌려주도록 한 소화장치로써, 건물의 옥내 등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소화액을 분사하는 것에 의해 소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건물의 각층을 구획하여서 된 각 방(房)들의 천정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으로 살수기 구조물은 파이프를 실내 구조에 맞게 배관하고, 소화액의 분사구인 살수기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해서, 화재감지 및 소화액 분사가 이루어지게 했다.
그러나 종래 살수기 구조물은 실내 구조에 맞춰서 배관구조를 설계해야 하므로, 시공과정에서 파이프를 현장에 맞춰 일일이 절단 및 배관해야 하는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특허공개번호 10-2005-00117358(2005.12.14 공개)가 발명되었다.
종래 발명을 간단히 설명하면, 살수기 설치가 천정의 내부로 용수 공급을 위한 주급수관(5)과 분기급수관체(1)를 설치하며, 분기급수관체(1)에 다수의 분지용 플렉시블 죠인트를 연결 설치하고, 그 단부측으로 연결관(2)을 매개 연결부재로 스프링클러(3)를 설치하여 오고 있다. 이때 플렉시블 죠인트는 시공상의 편리함을 위해 가요성이 우수한 주름관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주름관은 각 살수기와 급수용 분지배관 간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도 이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연결할 수 있는 시공상의 이점이있다.
즉, 도 1의 사용상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의의 방향으로 구부릴 수 있는 주름관 형태로 된 가요성 주름관체(10)의 양단부에 입수측 직관부(11)와 급수측 직관부(12)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그 급수측 직관부(12)의 일측에는 연결관(2) 접속을 위한 슬립너트(2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접속너트(30')가 오링(O-Ring)에 의해 기밀 유지한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이 접속너트(30')에는 분기급수관체(1)에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연결 매체용 니플(4)이 상기 분기급수관체(1)에 일체로 형성된 너트(6)와 나사 체결된다.
그러나 종래 발명은 파이프를 대신해서 주름관을 사용할 뿐, 스프링클러(3)가 일 지점에 고정되어서 해당 지점에만 소화액을 분사하는 제한성이 있었다. 물론, 이러한 제한성은 스프링클러(3) 1개의 소화범위를 제한하는 것이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스프링클러(3)를 증가시켜야 하는 불리함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10-2005-001173585호(2005.12.14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화재 발생시 생성돼 확산하는 연소가스를 신속히 제거하고, 소화액을 분사하는 살수기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소화범위를 넓힐 수 있는 소화 및 제연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소방용 방제장치의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 배기관; 흡기를 위한 흡기구를 갖추고 상기 메인 배기관과 연통하는 서브 배기관; 펌핑된 소화액이 유입되는 메인관; 상기 메인관으로부터 2개로 분리돼 각각 연통하는 제1서브관과 제2서브관; 상기 제1서브관과 연통하는 제1관로; 상기 제2서브관과 연통하는 제2관로;로 배관이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배기관과 연통하게 연결되는 환풍기;
상기 메인관과 제1 서브관과 제2 서브관의 교차로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대와, 상기 회전축대에 설치되어서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서브관 또는 제2 서브관을 메인관과 선택적으로 차단하며 제1 서브관과 제2 서브관 간에는 소화액이 교류하도록 연통시키는 도어와, 상기 회전축대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축대는 도어상에서 상대적으로 제1,2 서브관 방향에 편중하게 설치되는 개폐기;
양단이 상기 제1관로와 제2관로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돼 연통하는 관 형상이되, 내주면에는 소화액의 수압을 받아 회전력을 일으키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이송관;
상기 이송관과 나란히 설치되는 가이드;
상기 이송관의 수나사산과 맞물리는 암나사산을 구비한 이동관과, 상기 이송관의 회전으로 이동관이 이동하도록 이동관에서 돌출하게 형성되어 가이드에 걸리는 후크로 된 브래킷; 및
상기 제1,2서브관 내 수압을 감지해서 해당 수압이 기준치를 유지하도록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펌프의 동작 제어와 함께 환풍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구비한 소화 및 제연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소방용 방제장치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의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생성돼 확산하는 연소가스를 신속히 제거하고, 소화액을 분사하는 살수기의 개수를 줄이면서도 소화범위를 넓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수기 연결장치의 배관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살수기 연결장치의 컨트롤러가 소화액의 이송방향을 전환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살수기 연결장치의 동작모습을 순차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살수기 연결장치의 이송관과 브래킷의 연결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살수기 연결장치의 제1관로와 이송관의 일실시 연결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제1관로와 이송관이 연결된 단면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내용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수기 연결장치의 배관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살수기 연결장치의 컨트롤러가 소화액의 이송방향을 전환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의 관로(210, 230)는 제1관로(210)와 제2관로(230) 사이에 하나 이상의 이송관(220)이 병렬 연결되어서, 제1관로(210)로 유입한 소화액은 이송관(220)을 경유하여 제2관로(230)로 이동한다. 여기서 이송관(220)에 연결된 살수기(310, 310')는 이송관(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지정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참고로, 이송관(220)의 암나사산(222)이 오른나사인지 왼나사인지에 따라서 소화액의 동일한 흐름에도 회전방향이 달라지는데,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서 다시 한다.
한편, 제1관로(210)와 제2관로(230)는 제1서브관(242)과 제2서브관(243)으로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제1서브관(242)을 통과하는 소화액은 제1관로(210)로 유입되고, 제2서브관(243)을 통과하는 소화액은 제2관로(230)로 유입된다.
참고로, 제1,2서브관(242, 243)은 서로 세트를 이루는 다수의 제1관로(210, 210')와 제2관로(230, 230')가 병렬해 연결될 수 있다.
계속해서, 제1,2서브관(242, 243)은 1개의 메인관(241)이 2개로 분리해 이루어지며, 펌프(270)의 펌핑으로 소화액 탱크(260)의 소화액이 메인관(241)을 통해서 제1,2서브관(242, 243)으로 각각 분리해 유입된다. 이때, 메인관(241)의 소화액은 균일한 양이 제1,2서브관(242, 243)으로 동시에 공급되지 않으며, 개폐기(290)에 의해 택일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에서 보인 메인관(241)은 2개의 제1,2서브관(242, 243)으로 분리해 연결되며, 메인관(241)과 제1,2서브관(242, 243) 사이의 교차로에는 개폐기(290)의 도어(291)가 회전축대(29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회전축대(292)는 개폐기(290)의 일구성인 구동모터(미도시)에 동력을 받아 회전하고, 상기 구동모터는 컨트롤러(280)에 의해 작동한다. 여기서 도어(291)는 메인관(241)으로부터 가해지는 소화액의 수압에도 지정 각 이상으로는 회전하지 않도록, 메인관(241)의 내면에 도어(291)를 걸어 회전을 저지하는 걸림턱(242a, 243a)이 돌출해 형성되며, 이를 통해서 소화액의 수압에도 안정한 개구 또는 폐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참고로, 회전축대(292)는 도어(291)에서 서브관 방향으로 편중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메인관(241)으로부터 제1서브관(242) 또는 제2서브관(243)으로 유입되는 소화액의 수압은 걸림턱(242a, 243a)과 회전축대(292) 사이의 도어(291)의 일단 부분에 집중하고, 이를 통해서 도어(291)는 소화액의 흐름에도 걸림턱(242a, 243a)에 접합상태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291)의 타단 부분은 제1서브관(242) 또는 제2서브관(243)을 순환한 소화액이 메인관(241)으로의 역류 없이 다른 서브관으로 유입되게 한다. 결국, 도 2의 (a)도면과 같이 도어(291)의 일단이 메인관(241)과 제2서브관(243)을 차단한 상태에서는 메인관(241)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액은 도어(291)에 가이드되어 제1서브관(242)으로 유입되고, 제2서브관(243)으로부터 공급되는 순환된 소화액은 도어(291)의 타단에 의해 제1서브관(242)으로 가이드되어 제1서브관(242)으로 유입된다. 물론 도 2의 (a)도면과 같이 도어(291)가 회전하여 메인관(241)과 제2서브관(243)을 차단하면, 메인관(241)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액은 제1서브관(242)으로 유입되고, 제2서브관(243)의 소화액은 제1서브관(242)으로 유입된다.
한편, 메인관(241)과 제1서브관(242)과 제2서브관(243)에 각각 마주하게 되는 도어(291)의 양측면은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되어서, 메인관(241)으로부터 유입하는 소화액이 제1서브관(242) 또는 제2서브관(243)으로 최대한 와류 없이 흐르도록 함은 물론, 제1서브관(242)과 제2서브관(243) 간에 흐르는 소화액 또한 최대한 와류 없이 흐르도록 한다.
전술한 도어(291)의 설치 구조를 도면을 참고해서 순차적으로 다시 설명한다.
도어(291)는 회전축대(292)의 회전을 따라 회전하면서 제1서브관(242) 또는 제2서브관(243)을 폐구하되, 제1,2서브관(242, 243)은 항상 연통하게 한다. 따라서, 도 2의 (a)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도어(291)가 메인관(241)과 제2서브관(243)을 폐구하면, 메인관(241)의 소화액은 제1서브관(242)으로 유입되어서 제1서브관(242)과 연통하는 제1관로(210)로 소화액이 흐르고, 이송관(220)을 경유해서 제2관로(230)로 유입한 소화액은 제2서브관(243)으로 흘러서 상기 교차로를 통해 제1서브관(242)으로 순환한다.
이후, 컨트롤러(280)는 지정된 시간 또는 기타 설정 등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해서 회전축대(292)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도어(291)가 도 2의 (b)도면 및 (c)도면으로 순으로 회전해서 메인관(241)과 제1서브관(242)을 폐구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관(241)의 소화액은 제2서브관(243)과 제2관로(230)와 이송관(220)과 제1관로(210)와 제1서브관(242)을 통해서 제2서브관(243)으로 순환한다.
컨트롤러(280)는 개폐기(290)의 구동을 설정시간 간격으로 제어해서, 도어(291)가 회전하며 메인관(241)과 제1서브관(242) 또는 메인관(241)과 제2서브관(243) 간에 이루어지는 차단이 상기 설정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의 방제장치는 제연을 위한 배관을 구성한다. 상기 배관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부 환풍기(430)와 연통하게 연결되는 메인 배기관(410, 410')과, 배기관(410, 410')에 각각 병렬로 연통하도록 연결되고 이송관(220)을 따라 배치되는 서브 배기관(420, 420')으로 구성된다. 서브 배기관(420, 420')는 연소가스의 흡기를 위한 흡기구가 다수 형성되어서, 발생한 연소가스를 고압의 흡기력으로 서브 배기관(420, 420')에 빠르게 흡기해서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실시는 1개의 환풍기(430)에 여러 개의 메인 배기관(410, 410')이 연결된 것으로 했으나, 각 배기관(410, 410')별로 환풍기(430)가 개별 설치될 수도 있다.
서브 배기관(420, 420')은 소화액 전용 배관과 나란히 해서 배관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이송관(220)의 살수기(310, 310')가 위치한 지점에 인접하게 배치해서 연소가스는 물론 소화 중에 다량으로 발생하는 각종 유해가스 등을 서브 배기관(420, 420')이 효율적으로 흡기하게 한다.
한편, 환풍기(430)의 작동은 펌프(2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80)에 의해 이루어진다. 컨트롤러(280)는 제1,2서브관(242, 243) 내 수압을 실시간으로 감지해서 해당 수압이 기준치를 유지하도록 펌프(27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유사시 살수기(310, 310')에서 소화액 발수가 이루어지면, 이송관(220)과 제1,2관로(210, 230)와 제1,2서브관(242, 243)의 수압은 기준치 이하로 급격히 낮아진다. 따라서, 컨트롤러(280)는 펌프(270)의 동작을 제어해서 소화액 탱크(260)의 소화액 펌핑이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컨트롤러(280)는 환풍기(430)의 동작을 제어해서 서브 배기관(420, 420')의 흡기구를 통한 빠른 흡기가 이루어지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살수기 연결장치의 동작모습을 순차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살수기 연결장치의 이송관과 브래킷의 연결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살수기 연결장치의 제1관로와 이송관의 일실시 연결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제1관로와 이송관이 연결된 단면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는 주로 실내 천장(W)에 설치되는 살수기(310, 310')가 유사시 주기적인 왕복 이동을 통해 최소한의 살수기(310, 310')로도 광의의 화재 현장을 소화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의 살수기 연결장치는 살수기(310, 310')의 왕복 이송을 위한 별도의 이송수단 없이도 소화액의 공급만으로 자동 이송하게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의 살수기 연결장치는 가이드(100)와, 가이드(10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이송관(220)과, 살수기(310, 310') 설치를 위한 연결관(340)과, 연결관(340)을 이송관(220) 및 가이드(100)와 연결하는 브래킷(350)과, 이송관(220)의 양단과 연통하도록 배관되는 제1,2관로(210, 230)를 포함한다.
이송관(220)은 수나사산(221)과 암나사산(222)이 외주면과 내주면에 각각 형성된 관 형상이며, 이송관(220)을 따라 이동하는 소화액의 수압에 의해 자체 회전한다. 즉, 소화액이 이송관(220)을 고속으로 통과하면서 가하는 높은 수압이 암나사산(222)에 가해져 회전력을 일으키고, 상기 회전력이 이송관(220)을 회전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이송관(220)은 양단이 각각 제1,2관로(210, 2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회전하는 이송관(220)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221)이 형성되고, 살수기(310, 310')를 고정한 브래킷(350)은 내주면에 암나사산(351a)이 형성된 이동관(351)을 구성한다. 또한, 이송관(220)의 수나사산(221)과 브래킷(350)의 암나사산(351a)은 서로 상응하는 피치를 이루어서, 이송관(2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관(351)이 이동하면서 브래킷(350) 전체를 이동시킨다. 결국 이송관(220)에 연결된 브래킷(350)은 이송관(22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이동한다.
계속해서, 브래킷(350)은 이동관(351)에 돌출한 후크(352)를 구성한다. 후크(352)는 이송관(220)과 나란하게 배치된 가이드(100)에 이동 가능하게 걸려서, 브래킷(350)이 이송관(220)의 회전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한다.
결국, 브래킷(350)에 고정된 살수기(310, 310')는 이송관(220)의 회전과 함께, 도 3의 (a)도면 내지 (c)도면에서 보인 바와 같이, 안정한 자세로 직선 이동하면서 소화액을 고르게 배출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이동을 위해 별도의 동력원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장비 추가와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의 살수기 연결장치는 제1,2관로(210, 230)와 살수기(310, 310')를 각각 연통하는 플렉시블 튜브(320, 330)를 더 포함한다. 제1,2관로(210, 230)로부터 유입되는 소화액은 이송관(220)의 회전을 위해서 이송관(220)으로 일부 유입되어야 하나, 필수적으로는 화재현장의 소화를 위해서 살수기(310, 310')로도 유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2관로(210, 230)와 이송관(220)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분리관(212, 232)에 플렉시블 튜브(320, 330)의 일단을 연결하고, 플렉시블 튜브(320, 330)의 타단을 살수기(310, 310')에 연결한다. 따라서, 제1,2관로(210, 230)로 유입되는 소화액은 분리관(212, 232)을 기점으로 이송관(220)과 플렉시블 튜브(320, 330)에 각각 유입된다.
본 실시의 플렉시블 튜브(320, 330)는 살수기(310, 310')의 위치에 맞춰 유동하면서도 관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하며, 더 나아가 살수기(310, 310')와 분리관(212, 232)이 서로 근접할 경우 길이를 자체적으로 줄이는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의 플렉시블 튜브(320, 330)는 탄력 재질의 주름관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5 및 도 6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제1관로(210)는 주관(211)과 분리관(212)으로 구성되고, 플렉시블 튜브(320)가 끼워지는 종관(213)을 구성할 수 있다.
분리관(212)은 내면에 걸림홈(212a)이 형성되어서, 이송관(220)의 단부를 마감하며 돌출 형성된 걸림대(223)가 분리관(212) 안으로 삽입되어 걸림홈(212a)에 회전 가능하게 걸리도록 한다. 결국, 분리관(212)으로 삽입된 이송관(220)은 제1관로(210)에 회전 가능하면서도 연통하게 맞물린다.
참고로, 걸림홈(212a)의 내면과 걸림대(223) 간의 접촉면에는 베어링(B1, B2)이 보강되어서, 수압을 받는 이송관(220)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수를 위해서 분리관(212)과 이송관(220)의 접합부에는 실링(S)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의 살수기(310, 310')는 2개가 한 세트를 이루고, 2개의 살수기(310, 310')는 연결관(340)을 매개로 서로 연통한다. 또한 연결관(340)은 2개의 살수기(310, 310')를 물리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강도를 갖는 재질이므로, 이송관(220)의 회전에 따라 2개의 살수기(310, 310')는 함께 이동한다. 물론, 각각의 살수기(310, 310')로 유입된 소화액은 연결관(340)을 통해서 교류한다. 본 실시는 2개의 살수기(310, 310')를 예시했으나, 이외에도 3개 이상이 한 세트를 이룰 수도 있고, 오직 1개의 살수기(310, 310')만이 독립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해 설명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가이드 210; 제1관로
211; 주관 212; 분리관 213; 종관
220; 이송관 221; 수나사산 222; 암나사산
223; 걸림대 230; 제2관로 241; 메인관
242; 제1서브관 243; 제2서브관 242a, 243a; 걸림턱
260; 소화액 탱크
270; 펌프 280; 컨트롤러
290; 개폐기 291; 도어 292; 회전축대
310, 310'; 살수기 320, 330; 플렉시블 튜브
340; 연결관 350; 브래킷
351; 이동관 351a; 암나사산 352; 후크
410, 410'; 메인 배기관 420, 420'; 서브 배기관
430; 환풍기

Claims (1)

  1. 메인 배기관; 흡기를 위한 흡기구를 갖추고 상기 메인 배기관과 연통하는 서브 배기관; 펌핑된 소화액이 유입되는 메인관; 상기 메인관으로부터 2개로 분리돼 각각 연통하는 제1서브관과 제2서브관; 상기 제1서브관과 연통하는 제1관로; 상기 제2서브관과 연통하는 제2관로;로 배관이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 배기관과 연통하게 연결되는 환풍기;
    상기 메인관과 제1 서브관과 제2 서브관의 교차로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대와, 상기 회전축대에 설치되어서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서브관 또는 제2 서브관을 메인관과 선택적으로 차단하며 제1 서브관과 제2 서브관 간에는 소화액이 교류하도록 연통시키는 도어와, 상기 회전축대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축대는 도어상에서 상대적으로 제1,2 서브관 방향에 편중하게 설치되는 개폐기;
    양단이 상기 제1관로와 제2관로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돼 연통하는 관 형상이되, 내주면에는 소화액의 수압을 받아 회전력을 일으키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된 이송관;
    상기 이송관과 나란히 설치되는 가이드;
    상기 이송관의 수나사산과 맞물리는 암나사산을 구비한 이동관과, 상기 이송관의 회전으로 이동관이 이동하도록 이동관에서 돌출하게 형성되어 가이드에 걸리는 후크로 된 브래킷; 및
    상기 제1,2서브관 내 수압을 감지해서 해당 수압이 기준치를 유지하도록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펌프의 동작 제어와 함께 환풍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및 제연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소방용 방제장치.
KR1020160096796A 2016-07-29 2016-07-29 소화 및 제연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소방용 방제장치 KR101711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796A KR101711046B1 (ko) 2016-07-29 2016-07-29 소화 및 제연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소방용 방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796A KR101711046B1 (ko) 2016-07-29 2016-07-29 소화 및 제연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소방용 방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1046B1 true KR101711046B1 (ko) 2017-02-28

Family

ID=58543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796A KR101711046B1 (ko) 2016-07-29 2016-07-29 소화 및 제연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소방용 방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10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392B1 (ko) 2017-05-09 2017-11-06 유한회사 광진이엔지 제연기를 구비한 건물 소방방재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건물 소방방재 방법
KR20210116014A (ko) * 2020-03-17 2021-09-2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사 범위 조절이 용이한 소화기
KR20210121518A (ko) * 2020-03-30 2021-10-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방용 관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9845B2 (ja) * 1991-02-20 2000-11-20 ホーチキ株式会社 消火設備の給水圧力制御システム
KR100736461B1 (ko) * 2005-03-25 2007-07-11 강덕구 습식 스프링클러 장치
KR20110078600A (ko) * 2009-12-31 2011-07-07 오석균 배관을 이용한 통풍/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44426B1 (ko) * 2012-12-03 2013-03-18 (유)성문 화재예방 및 억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9845B2 (ja) * 1991-02-20 2000-11-20 ホーチキ株式会社 消火設備の給水圧力制御システム
KR100736461B1 (ko) * 2005-03-25 2007-07-11 강덕구 습식 스프링클러 장치
KR20110078600A (ko) * 2009-12-31 2011-07-07 오석균 배관을 이용한 통풍/소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44426B1 (ko) * 2012-12-03 2013-03-18 (유)성문 화재예방 및 억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5392B1 (ko) 2017-05-09 2017-11-06 유한회사 광진이엔지 제연기를 구비한 건물 소방방재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건물 소방방재 방법
KR20210116014A (ko) * 2020-03-17 2021-09-2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사 범위 조절이 용이한 소화기
KR102406197B1 (ko) * 2020-03-17 2022-06-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사 범위 조절이 용이한 소화기
KR20210121518A (ko) * 2020-03-30 2021-10-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방용 관창
KR102406198B1 (ko) * 2020-03-30 2022-06-08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방용 관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046B1 (ko) 소화 및 제연 기능을 갖춘 공동주택의 소방용 방제장치
KR101681676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JP5025900B2 (ja) コネクタ
US201701657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ment and evacuation
RU2008113065A (ru) Спринклерная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и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или модификации спринклерной системы
KR101711039B1 (ko)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이 용이한 소방장치
KR101188094B1 (ko) 분진제거가 용이한 공기흡입형 화재감지장치의 공기 샘플링 파이프
RU2413553C1 (ru) Спринклерный ороситель
RU2432210C1 (ru) Дренчерная головка
CA2635506C (en) Block valve for vacuum line or network with emergency input
KR101353834B1 (ko) 분기배관 연결장치
KR102453954B1 (ko) 다수의 지중송전선 접속이 가능한 지중송전라인 연결장치
ATE500389T1 (de) Feuerhydrant mit anschlüssvorrichtung
KR101711044B1 (ko) 신속한 화재 차단이 가능한 공동주택의 소방용 화재차단장치
RU2432515C2 (ru) Сборный трубопровод, имеющий множество модульных трубчатых каналов
CN113117272A (zh) 一种集成式挡烟垂壁
KR101909716B1 (ko) 스프링클러용 신축배관의 연결구조
CN220471012U (zh) 一种密封性好的远程供气装置
RU167941U1 (ru) Выходной эдемент трубопровода в установке пожаротушения
CN214388617U (zh) 一种高楼消防用自动喷淋系统
CN214466719U (zh) 一种具有防火功能的管道
KR101460563B1 (ko) 층고를 낮추기 위한 개폐식 급배기 덕트
CN216092019U (zh) 一种干式消防喷水灭火系统的气源配套装置
KR200264357Y1 (ko) 분기관의 개폐구조를 갖는 이음관
KR102324854B1 (ko) 화재진압을 위한 소방스프링클러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