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365B1 -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365B1
KR101674365B1 KR1020160099140A KR20160099140A KR101674365B1 KR 101674365 B1 KR101674365 B1 KR 101674365B1 KR 1020160099140 A KR1020160099140 A KR 1020160099140A KR 20160099140 A KR20160099140 A KR 20160099140A KR 101674365 B1 KR101674365 B1 KR 101674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uxiliary
fabric
auxiliary fabric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9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원
이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엘
Priority to KR1020160099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3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05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comprising a successive blank-stamping, insert-moulding and sever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40Cutting-out; Stamping-out using a press, e.g. of the ram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 타발기를 이용하여 FPCB의 메인원단에 보조원단을 부착상태로 제조과정에서 이중으로 각각 공급되고 타발되는 메인원단과 보조원단의 피딩속도를 조절하여 버려지는 로스(LOSS)를 감소시킴으로 원가를 절감하는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정면에서 전체적으로 한글의 비읍자 형상을 하고 금속상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디부, 바디부의 중간부분 상측면 중앙부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부, 고정프레임부의 양측면에 고정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승하강 구동하는 승하강구동프레임부, 고정프레임부의 상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분리되는 하부금형부, 승하강구동프레임부의 하측면에 고정설치되고 분리되는 상부금형부, 바디부의 일측단에 설치되고 승하강구동프레임부의 구동이 제어되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각 기능부를 감시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주제어부, 바디부의 일측단에 설치되고 승하강구동프레임부의 구동이 제어되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각 기능부를 감시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부제어부, 바디부의 타측단에 설치되고 주제어부 또는 부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연성회로기판용 메인원단을 제 1 속도로 하부금형부의 상면 방향 일측단으로부터 공급하는 동력을 출력하는 제 1 공급동력부, 바디부의 상측단 일측에 설치되고 주제어부 또는 부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연성회로기판용 제 1 보조원단을 제 2 속도로 하부금형부의 하면 좌측방향 일측단으로 공급하는 동력을 출력하는 제 2 공급동력부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A dual feeding system with high speed punching}
본 발명은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 타발기를 이용하여 휴대폰 부품(가령,연성회로기판(FPCB))에 부착되는 차폐/방열 등 기능성의 원단을 형상가공하는 과정에서 로스(LOSS)를 감소시킴으로써 원가를 절감하는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펀칭(punching)과 타발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되 문맥에 적합하게 선택적으로 사용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용 휴대폰(휴대단말기)에는 전자부품이 전기적으로 부착되어 통신기능을 하는 메인 회로기판(PCB), 전화를 걸기 위한 다이얼기능과, 휴대폰에 새로운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입력된 데이터의 검색과 같은 부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스위치 장치로서 사용되는 키패드가 필연적으로 갖추어져 구성된다.
휴대폰에 사용되는 인쇄회로기판에는 휘어지지 않고 견고하거나 단단한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인쇄회로기판(PCB)과 자유롭게 휘어지면서 전자부품을 실장하거나 신호와 전기가 흐르게 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이 있다.
휴대폰의 표시부가 휘어지는 특성을 가지면서 모든 인쇄회로기판이 점차 연성인쇄회로기판으로 대체되는 추세에 있으며 현시점에서는 키패드 등에 주로 사용된다. 키패드에 사용되는 연성회로기판은 소정 두께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며 주변부에 플랜지부를 형성하고 휴대폰의 프론트 하우징에 형성된 복수개 홀과 대응되게 복수개 키, 키의 저면에 부착되어 인쇄회로기판에 제공된 접점을 눌러주기 위한 돌기를 갖는 베이스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연성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지는 키패드의 일반적인 제작과정을 살펴보면, 평판형상을 하는 제 1 연성 플라스틱 부재의 일측면에 키패드의 전기회로를 인쇄한 후 프레스 등으로 키패드 주변의 불필요한 부분(리브)을 제거하는 타발 또는 펀치(punching) 작업을 행한다.
제 1 연성 플라스틱 부재의 키패드가 인쇄되어 배열된 외곽 형태와 동일 유사하게 제작된 지그(jig)에 제 1 연성 플라스틱 부재를 배치하고, 배치된 연성회로기판의 일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제 1 연성 플라스틱 부재의 공급속도와 일치하는 속도로 공급되는 평판형상의 제 2 연성 플라스틱 부재를 접착하고 필요한 키패드 부분만을 타발하는 방식으로 제작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또는 제 2 연성 플라스틱 부재는 전자파를 차단하면서 절연 기능을 구비하므로 비교적 가격이 비싼 재질일 수 있다.
이러한 연성회로기판을 타발하는 기술은 제 1 연성 플라스틱 부재와 제 2 연성 플라스틱 부재가 동일한 피딩 간격으로 공급되고 타발되어 제거되는 부분의 면적이 커지므로 재료 손실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13569호(2011.01.31.)에 의한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용 키패드의 원단 펀칭기’가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것으로 고속타발기의 피딩장치 기능 설명 구성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부금형(20)과 상부금형(30)은 피딩장치(100)를 지지하는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하부금형(20)은 프레임(110)의 상측에 고정 형성되고 공급되어 펀치 작업 대기 상태인 키패드용 원단의 하측을 안착시켜 지지한다.
상부금형(30)은 구동부(40)의 구동에 의해 하부금형(20) 방향으로 하강하거나 그 반대방향으로 상승하므로 키패드용 원단의 필요 또는 불필요한 부분을 선택적으로 펀칭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하나의 키패드용 원단을 펀칭하기 적합하지만, 2 가지 종류의 서로 다른 키패드용 원단을 공급하는 경우 각 키패드용 원단의 피딩 간격 즉, 피치를 각각 다르게 제어하지 못하므로 고가의 키패드용 원단이 낭비되어 원가를 높이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2 가지 종류의 서로 다른 키패드용 원단을 공급하는 경우 각 키패드용 원단의 피치를 서로 다르게 조절하여 고가의 키패드용 원단이 불필요하게 타발(펀칭)되어 낭비되지 않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13569호(2011.01.31.)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용 키패드의 원단 펀칭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복수의 키패드용 원단의 피딩 속도 및 간격을 선택적으로 다르게 제어하므로 연성회로기판과 같은 휴대폰 부품에 부착되는 원단의 로스(loss)를 감소시킴으로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재료비를 낮추는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과 필요성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2가지 이상의 소재를 동시 타발도 가능하므로 타발 생산 비용을 줄이고, 다른 기능의 소재를 동시에 부착하므로써, 조립 생산성 또한 향상됨에 따라 조립 비용 감소를 통해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보급을 촉진시키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는 정면에서 보아 전체적으로 비읍(ㅂ)자 형상을 하고 금속상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중간부분 상측면 중앙부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부; 상기 고정프레임부의 양측면에 고정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승하강 구동하는 승하강구동프레임부; 상기 고정프레임부의 상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분리되는 하부금형부; 상기 승하강구동프레임부의 하측면에 고정설치되고 분리되는 상부금형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단에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구동프레임부의 구동이 제어되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각 기능부를 감시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주제어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단에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구동프레임부의 구동이 제어되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각 기능부를 감시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부제어부; 상기 바디부의 타측단에 설치되고 상기 주제어부 또는 부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연성회로기판용 메인원단을 제 1 속도로 상기 하부금형부의 상면 방향 일측단으로부터 공급하는 동력을 출력하는 제 1 공급동력부; 상기 바디부의 상측단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주제어부 또는 부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연성회로기판용 제 1 보조원단을 제 2 속도로 상기 하부금형부의 하면 좌측방향 일측단으로 공급하는 동력을 출력하는 제 2 공급동력부; 상기 바디부의 상측단이면서 상기 제 2 공급동력부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주제어부 또는 부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연성회로기판용 제 2 보조원단을 제 3 속도로 상기 하부금형부의 하면 좌측방향 타측단으로 공급하는 동력을 출력하는 제 3 공급동력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이면서 상기 제 3 공급동력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제어부 또는 부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 1 보조원단과 제 2 보조원단을 제 4 속도로 상기 하부금형부의 하면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인출하는 동력을 출력하는 보조원단인출동력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측단 타측이면서 상기 제 3 공급동력부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주제어부 또는 부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하부금형부의 하면 우측방향으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제 1 보조원단과 제 2 보조원단을 제 5 속도로 권취하는 동력을 출력하는 스크랩권취동력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보조원단과 상기 제 2 보조원단이 상기 상부금형부의 좌측단에 공급되는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텐션조절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텐션조절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보조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회전상태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 2 공급동력부로부터 인출되는 제 1 보조원단과 상기 제 3 공급동력부로부터 인출되는 제 2 보조원단을 입력하고 공급방향을 180도 회전상태로 인출시키는 제 1 롤러부; 상기 보조프레임의 중간 일측과 타측에 연결된 텐션스프링부의 타측 방향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회전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제 1 롤러부로부터 인출되는 제 1 보조원단과 제 2 보조원단을 입력하고 공급방향을 180도 회전상태로 인출시키는 제 2 롤러부; 상기 제 2 롤러부의 수직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노출센서부; 상기 보조프레임의 하단 일부분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노출센서부를 검출하여 상기 주제어부와 부제어부에 통보하는 센서검출부; 및 상기 보조프레임의 하부 일측에 회전상태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 2 롤러부로부터 인출되는 제 1 보조원단과 제 2 보조원단을 입력하고 상기 상부금형부의 좌측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인출시키는 제 3 롤러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복수의 키패드용 원단의 피딩 속도 및 간격을 선택적으로 다르게 제어하므로써, 연성회로기판(FPCB)과 같은 휴대폰 부품에 부착되는 원단의 로스(LOSS)를 감소시킴으로써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재료비를 낮추는 장점이 있다.
또한, 2가지 이상의 소재를 동시 타발도 가능하므로 타발 생산 비용을 줄이고, 다른 기능의 소재를 동시에 부착하므로써, 조립 생산성 또한 향상됨에 따라 조립 비용 감소를 통해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보급을 촉진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고속타발기의 피딩장치 기능 설명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를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텐션조절부를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
그리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보조원단 인출동력부를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를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텐션조절부를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 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보조원단 인출동력부를 설명하는 기능 구성도 이다.
연성회로기판(FPCB)의 부착용 메인원단에 보조(sub) 원단을 부착상태로 제조하는 과정에서 이중으로 각각 공급되고 타발되는 메인원단과 보조원단의 피딩간격을 조절하여 버려지는 원단의 로스(LOSS)를 감소시킴으로써 원가를 절감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기술적 사상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전자회로에서는 발열이 되거나 전자기파를 발생하므로 발열을 차단하거나 발생된 전자기파의 유출을 차단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전자기파의 유입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전자기파 또는 발열의 유입과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재료는 비교적 고가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고, 메인원단 또는 보조원단의 어느 한쪽은 이러한 기능을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모든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1000)는 바디부(1100), 고정프레임부(1200), 승하강구동프레임부(1300), 하부금형부(1400), 상부금형부(1500), 주제어부(1600), 부제어부(1700), 메인원단(1800), 제 1 공급동력부(1900), 제 1 보조원단(2000), 제 2 공급동력부(2100), 제 2 보조원단(2200), 제 3 공급동력부(2300), 보조원단인출동력부(2400), 스크랩권취동력부(2500), 텐션조절부(260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바디부(1100)는 도면의 정면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한글의 비읍(ㅂ)자 형상을 하고 부분적으로 개방된 금속상자 형상을 하는 것으로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1000)의 골격을 구성한다.
고정프레임부(1200)는 바디부(1100)의 중간부분 상측면 중앙부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며 금속체 덩어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즉, 바디부(1100)는 금속체 덩어리로 이루어지는 고정프레임부(1200)를 고정시키고 지탱 유지하는 구성이어야 한다.
승하강구동프레임부(1300)는 고정프레임부(1200)의 양측면에 고정설치되고 주제어부(1600) 또는 부제어부(1700)로부터 인가되는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승강 또는 하강 구동한다.
하부금형부(1400)는 고정프레임부(1200)의 상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고정된 상태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구성이다.
상부금형부(1500)는 승하강구동프레임부(1300)의 하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고정된 상태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구성이다.
하부금형부(1400)와 상부금형부(1500)는 한 쌍을 구성하고, 이러한 한 쌍의 금형에 대하여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되, 타발 또는 펀칭을 위한 금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주제어부(1600)는 바디부(1100)의 일측단에 설치되고 승하강구동프레임부(1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출력되며,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1000)를 구성하는 각 기능부에 접속하여 감시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부제어부(1700)는 주제어부(1600)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바디부(1100)의 일측단이면서 주제어부(160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승하강구동프레임부(1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해당 제어신호가 출력되며,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1000)를 구성하는 각 기능부에 접속하여 감시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한다.
제 1 공급동력부(1900)는 바디부(1100)의 타측단에 설치되고 주제어부(1600) 또는 부제어부(17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연성회로기판(FPCB) 부착용 메인원단(1800)을 제 1 속도로 하부금형부(1400)의 상면 방향 일측단(좌측단)으로부터 공급하는 동력을 출력한다.
제 2 공급동력부(2100)는 바디부(1100)의 상측단 일측에 설치되고 주제어부(1600) 또는 부제어부(17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연성회로기판 부착용 제 1 보조원단(2000)을 제 2 속도로 상부금형부(1500)의 하면 좌측방향으로 공급하는 동력을 출력한다.
제 3 공급동력부(2300)는 바디부(1100)의 상측단이면서 제 2 공급동력부(210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주제어부(1600) 또는 부제어부(17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연성회로기판 부착용 제 2 보조원단(2200)을 제 3 속도로 상부금형부(1500)의 하면 좌측방향으로 공급하는 동력을 출력한다.
보조원단인출동력부(2400)는 바디부(1100)의 상부이면서 제 3 공급동력부(2300)의 하부에 설치되고 주제어부(1600) 또는 부제어부(17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제 1 보조원단(2000)과 제 2 보조원단(2200)을 제 4 속도로 상부금형부(1500)의 하면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인출하는 동력을 출력한다.
스크랩권취동력부(2500)는 바디부(1100)의 상측단 타측이면서 제 3 공급동력부(230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주제어부(1600) 또는 부제어부(17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보조원단인출동력부(2400)로부터 인출되는 제 1 보조원단(2000)과 제 2 보조원단(2200)을 제 5 속도로 권취하는 동력을 출력한다.
텐션조절부(2600)는 제 1 보조원단과 제 2 보조원단이 상부금형부의 좌측단에 공급되는 텐션(tension) 또는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보조프레임(2610), 제 1 롤러부(2620), 텐션스프링부(2630), 제 2 롤러부(2640), 노출센서부(2650), 센서검출부(2660), 제 3 롤러부(2670)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제 1 롤러부(2620)는 바디부(110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보조프레임(2610)의 상부 일측에 회전상태로 고정 설치되며 제 2 공급동력부(2100)로부터 인출되는 제 1 보조원단(2000)과 제 3 공급동력부(2300)로부터 인출되는 제 2 보조원단(2200)을 입력하고 공급방향을 180도 회전상태로 인출시키는 구성이다.
제 2 롤러부(2640)는 보조프레임(2610)의 중간 일측과 타측에 연결된 텐션스프링부(2630)의 타측 방향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회전상태로 설치되고 제 1 롤러부(2620)로부터 인출되는 제 1 보조원단(2000)과 제 2 보조원단(2200)을 각각 입력하고 공급방향을 180도 회전상태로 각각 인출시킨다.
노출센서부(2650)는 제 2 롤러부(2640)의 수직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노출센서부(2650)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검출부(2660)는 보조프레임(2610)의 하단 일부분에 고정 설치되고 노출센서부(2650)를 검출하여 주제어부(1600)와 부제어부(1700)에 각각 통보한다.
여기서 주제어부(1600)와 부제어부(1700)는 센서검출부(2660)로부터 해당 신호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2 공급동력부(2100)의 회전속도와 제 3 공급동력부(230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제 1 보조원단(2000)과 제 2 보조원단(2200)이 풀려 공급되는 속도를 느리게 조정하므로 텐션(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주제어부(1600)와 부제어부(1700)는 반대의 경우에도 센서검출부(26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음은 매우 당연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주제어부(1600)가 우선적으로 동작하고 주제어부(1600)에 부하가 많이 걸리거나 장애가 발생한 경우 부제어부(1700)가 주제어부(1600)의 역할을 대체하여 동작할 수 있다.
제 3 롤러부(2670)는 보조프레임(2610)의 하부 일 측에 회전상태로 고정 설치되며 제 2 롤러부(2640)로부터 인출되는 제 1 보조원단(2000)과 제 2 보조원단(2200)을 입력하거나 인가받고 상부금형부(1500)의 좌측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인출시키는 구성이다.
제 2 공급동력부(2100)와 제 3 공급동력부(2300)로부터 출력되는 회전동력의 회전속도(RPM)은 동일할 수 있으나 각각 다를 수도 있다. 또한, 제 2 공급동력부(2100)와 제 3 공급동력부(2300)의 동력에 의하여 공급되는 제 1 보조원단(2000)과 제 2 보조원단(2200)의 피딩 간격(공급 속도)은 제 1 공급동력부(1900)의 동력에 의하여 공급되는 메인원단(1800)의 피딩 간격(공급 속도)보다 작도록(낮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일 실시 예에 의한 것으로, 주제어부(1600)와 부제어부(1700)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메인원단이 공급되는 피딩 간격이 초 단위 당 100 밀리미터(mm)인 경우, 제 1 보조원단(2000)과 제 2 보조원단(2200)이 공급되는 피딩 간격은 초 단위 당 15 mm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공급동력부(1900)와 제 2 공급동력부(2100)와 제 3 공급동력부(2300)와 보조원단인출동력부(2400)의 회전속도는 주제어부(1600)와 부제어부(1700)에서 각각 감시하고 제어되며, 각 회전속도를 감시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알 수 있는 모든 방법이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 1 공급동력부(1900)와 제 2 공급동력부(2100)와 제 3 공급동력부(2300)와 보조원단인출동력부(2400)가 각각의 해당 원단을 공급하는 방식은 마찰에 의하여 공급하는 방식과 가이드핀을 이용하여 공급하는 방식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두가지 방식을 혼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연성회로기판용 메인원단(1800)의 피딩 간격과 제 1 보조원단(2000) 및 제 2 보조원단(2200)의 피딩 간격을 선택적으로 각각 다르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고가의 연성회로기판 부착용 원단이 불필요하게 타발되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며 재료비를 낮추는 장점이 있다.
또한, 2가지 이상의 소재를 동시 타발도 가능하므로 타발 생산 비용을 줄이고, 다른 기능의 소재를 동시에 부착하므로써, 조립 생산성 또한 향상됨에 따라 조립 비용 감소를 통해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보급을 촉진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메인원단과 각 보조원단의 피딩 간격을 각각 제어하는 기술에 의해 해당 원재료를 약 30 내지 60 % 범위로 절감시키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고기능, 고성능, 고가의 다수 원단재료를 한번의 작업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생산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과 조립공정을 단순화하면서 생산시간을 혁신적으로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0 :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
1100 : 바디부 1200 : 고정프레임부
1300 : 승하강구동프레임부 1400 : 하부금형부
1500 : 상부금형부 1600 : 주제어부
1700 : 부제어부 1800 : 메인원단
1900 : 제 1 공급동력부 2000 : 제 1 보조원단
2100 : 제 2 공급동력부 2200 : 제 2 보조원단
2300 : 제 3 공급동력부 2400 : 보조원단인출동력부
2500 : 스크랩권취동력부 2600 : 텐션조절부
2610 : 보조프레임 2620 : 제 1 롤러부
2630 : 텐션스프링부 2640 : 제 2 롤러부
2650 : 노출센서부 2660 : 센서검출부
2670 : 제 3 롤러부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정면에서 보아 전체적으로 비읍(ㅂ)자 형상을 하고 금속상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중간부분 상측면 중앙부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부;
    상기 고정프레임부의 양측면에 고정설치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승하강 구동하는 승하강구동프레임부;
    상기 고정프레임부의 상측면에 고정 설치되고 분리되는 하부금형부;
    상기 승하강구동프레임부의 하측면에 고정설치되고 분리되는 상부금형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단에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구동프레임부의 구동이 제어되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각 기능부를 감시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주제어부;
    상기 바디부의 일측단에 설치되고 상기 승하강구동프레임부의 구동이 제어되는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각 기능부를 감시하고 해당 제어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부제어부;
    상기 바디부의 타측단에 설치되고 상기 주제어부 또는 부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연성회로기판용 메인원단을 제 1 속도로 상기 하부금형부의 상면 방향 일측단으로부터 공급하는 동력을 출력하는 제 1 공급동력부;
    상기 바디부의 상측단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주제어부 또는 부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연성회로기판용 제 1 보조원단을 제 2 속도로 상기 상부금형부의 하면 좌측방향으로 공급하는 동력을 출력하는 제 2 공급동력부;
    상기 바디부의 상측단이면서 상기 제 2 공급동력부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주제어부 또는 부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연성회로기판용 제 2 보조원단을 제 3 속도로 상기 상부금형부의 하면 좌측방향으로 공급하는 동력을 출력하는 제 3 공급동력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이면서 상기 제 3 공급동력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주제어부 또는 부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 1 보조원단과 제 2 보조원단을 제 4 속도로 상기 상부금형부의 하면으로부터 우측방향으로 인출하는 동력을 출력하는 보조원단인출동력부; 및
    상기 바디부의 상측단 타측이면서 상기 제 3 공급동력부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주제어부 또는 부제어부의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보조원단인출동력부로부터 인출되는 상기 제 1 보조원단과 제 2 보조원단을 제 5 속도로 권취하는 동력을 출력하는 스크랩권취동력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보조원단과 상기 제 2 보조원단이 상기 상부금형부의 좌측단에 공급되는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텐션조절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텐션조절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보조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회전상태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 2 공급동력부로부터 인출되는 제 1 보조원단과 상기 제 3 공급동력부로부터 인출되는 제 2 보조원단을 입력하고 공급방향을 180도 회전상태로 인출시키는 제 1 롤러부;
    상기 보조프레임의 중간 일측과 타측에 연결된 텐션스프링부의 타측 방향으로 치우쳐진 위치에 회전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제 1 롤러부로부터 인출되는 제 1 보조원단과 제 2 보조원단을 입력하고 공급방향을 180도 회전상태로 인출시키는 제 2 롤러부;
    상기 제 2 롤러부의 수직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노출센서부;
    상기 보조프레임의 하단 일부분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노출센서부를 검출하여 상기 주제어부와 부제어부에 통보하는 센서검출부; 및
    상기 보조프레임의 하부 일측에 회전상태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 2 롤러부로부터 인출되는 제 1 보조원단과 제 2 보조원단을 입력하고 상기 상부금형부의 좌측방향으로 공급되도록 인출시키는 제 3 롤러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
KR1020160099140A 2016-08-03 2016-08-03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 KR101674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140A KR101674365B1 (ko) 2016-08-03 2016-08-03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9140A KR101674365B1 (ko) 2016-08-03 2016-08-03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365B1 true KR101674365B1 (ko) 2016-11-10

Family

ID=57484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9140A KR101674365B1 (ko) 2016-08-03 2016-08-03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3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6519A (zh) * 2018-02-12 2019-08-20 志圣工业股份有限公司 电路板检测方法及电路板曝光方法
KR102127989B1 (ko) 2019-05-07 2020-07-09 이석원 트윈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338Y1 (ko) * 2000-04-28 2000-10-02 김종운 롤타잎 모형재단기
KR20100078216A (ko) * 2008-12-30 2010-07-08 창익기계공업(주)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용 키패드의 원단 펀칭기
KR20100078215A (ko) * 2008-12-30 2010-07-08 창익기계공업(주) 멀티형 펀칭기
KR101640073B1 (ko) * 2016-02-01 2016-07-15 박상규 직물의 무늬 형성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직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9338Y1 (ko) * 2000-04-28 2000-10-02 김종운 롤타잎 모형재단기
KR20100078216A (ko) * 2008-12-30 2010-07-08 창익기계공업(주)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용 키패드의 원단 펀칭기
KR20100078215A (ko) * 2008-12-30 2010-07-08 창익기계공업(주) 멀티형 펀칭기
KR101013569B1 (ko) 2008-12-30 2011-02-14 창익기계공업(주) 피딩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용 키패드의 원단 펀칭기
KR101640073B1 (ko) * 2016-02-01 2016-07-15 박상규 직물의 무늬 형성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직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6519A (zh) * 2018-02-12 2019-08-20 志圣工业股份有限公司 电路板检测方法及电路板曝光方法
KR102127989B1 (ko) 2019-05-07 2020-07-09 이석원 트윈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365B1 (ko)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
KR10159675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엘씨디 모듈
JP2009137007A (ja) 基板打抜き装置
CN108724919B (zh) 一种电路板印刷机
CN205430791U (zh) 一种全自动钢片补强贴合机
CN208034835U (zh) 一种pcb板生产用冲孔装置
KR102063832B1 (ko) 스크린 마스크
KR102127989B1 (ko) 트윈 이중 피딩 고속타발 장치
JP2017226182A (ja) スクリーン印刷機およびスクリーン印刷方法
CN102554966A (zh) 模切机的模板固定机构
CN214171218U (zh) 一种可提高保压效率和质量的手机触摸屏保压设备
CN202622900U (zh) 模切机的模板固定机构
CN214014653U (zh) 一种便于平稳移动的pcb层压机用平行勾料装置
KR200391780Y1 (ko) 루프와셔 쿠션링 자동부착장치
CN210312647U (zh) 真空皮带传输机构及锂电池极片冲切机
CN217254150U (zh) 一种连续式笔记本喇叭用压合机
CN209930231U (zh) 终端
CN104985634A (zh) 模切机的防塞高速式进料模切装置
CN104797089B (zh) 一种贴片机的贴片头
CN213026475U (zh) 一种便于5g手机天线布局的结构
CN215090170U (zh) 一种车载防反射高透光薄膜加工用五金冲压成型模具
CN213890194U (zh) 一种具有定位功能的异步模切机
CN204974934U (zh) 一种冲孔机床
CN214321404U (zh) 一种弯曲设备
CN216266458U (zh) 一种pcb板自动冲孔机的冲孔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