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342B1 -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어류 양식방법 - Google Patents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어류 양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342B1
KR101674342B1 KR1020160019228A KR20160019228A KR101674342B1 KR 101674342 B1 KR101674342 B1 KR 101674342B1 KR 1020160019228 A KR1020160019228 A KR 1020160019228A KR 20160019228 A KR20160019228 A KR 20160019228A KR 101674342 B1 KR101674342 B1 KR 101674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kwater
fish
wall
side wal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문
Original Assignee
김석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문 filed Critical 김석문
Priority to KR1020160019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342B1/ko
Priority to PCT/KR2017/001750 priority patent/WO201714234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4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 E02B8/045Valves, slides, or the like; Arrangements therefor; Submerged sluice gates automatically mov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8Fish passes or other means providing for migration of fish; Passages for rafts or boa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M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Revetment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어류 양식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해저에 설치되는 지지판; 바닷물의 유통경로가 형성된 단위구조체; 복수의 단위구조체를 지지판 위의 내해 측 또는 외해 측에 복수의 층으로 적층하여 형성되거나, 지지판 위의 내해 측 및 외해 측에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하여 각각 복수의 층으로 적층하여 형성되는 방파제벽; 방파제벽의 최상단 층의 단위구조체의 상면을 덮어 설치되는 덮개판; 지지판 위의 방파제벽의 외측 또는 내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양식프레임; 복수의 양식프레임을 연결하여 테두리를 형성하며, 형성된 테두리의 안쪽에 적어도 하나의 양식공간을 형성하는 그물망부재; 망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방파제벽의 측벽에 설치되고,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측벽문; 및 각각의 측벽문의 상하 또는 좌우 이동을 제어하여 방파제벽을 통해 그물망부재의 양식공간으로 어류를 유입시키거나 그물망부재의 양식공간의 어류가 방파제벽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동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어류 양식방법{Breakwater Structure with Fish Farm and Fish Farming Method}
본 발명은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어류 양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도의 파압이나 파고가 높을 때에는 내해로 유입되는 파도를 막아 해상 가두리양식장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내해와 외해 사이에 바닷물이 원활하게 유통될 수 있도록 하여 양식장 생물들의 질병 감염을 방지하고, 양식장 어류에 대한 먹이공급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어류를 양식장 내부로 유인하여 자연산의 어류를 증식시킬 수 있는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어류 양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수에 의한 양식은 크게 육상 수조양식과 해상 가두리양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육상 수조양식은 육상의 수조에 대상 생물을 옮겨 서식 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양식하는 방식이고, 해상 가두리양식은 바다의 넓은 공간에 그물 등으로 대상 어류를 가두어 기르는 방식이다.
이 중, 해상 가두리양식은 그물을 통하여 가두리 안팎으로 물이 자유롭게 통과하므로, 물의 교환이 용이하고, 산소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양식 중의 대사노폐물을 별도로 제거 또는 분리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파도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항만이나 해안가에는 어느 정도의 파도를 막을 수 있는 방파제가 거의 필수적으로 설치되며, 바닷물은 방파제가 설치되는 구간을 기준으로 내해와 외해로 구분된다.
그런데, 방파제는 내해의 바닷물을 가두어 놓는 형태로 건설되기 때문에, 해상 가두리양식장을 내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바닷물의 유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각종 오물이 쌓이고, 그로 인해 양식장의 어류들이 질병에 감염될 염려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해상 가두리양식장을 외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파도의 파압이나 파고로 인해 손상될 염려가 있으며, 관리자가 먹이를 공급하거나 생물들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배를 띄워 외해로 나가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파도의 파압이나 파고가 높을 때에는 내해로 유입되는 파도를 막아 해상 가두리양식장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내해와 외해 사이에 바닷물이 원활하게 유통될 수 있도록 하여 양식장 생물들의 질병 감염을 방지하고, 양식장 생물들에 대한 먹이공급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어류를 양식장 내부로 유인하여 자연산의 어류를 증식시킬 수 있는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어류 양식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해저에 설치되는 지지판; 바닷물의 유통경로가 형성된 단위구조체; 복수의 단위구조체를 지지판 위의 내해 측 또는 외해 측에 복수의 층으로 적층하여 형성되거나, 지지판 위의 내해 측 및 외해 측에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하여 각각 복수의 층으로 적층하여 형성되는 방파제벽; 방파제벽의 최상단 층의 단위구조체의 상면을 덮어 설치되는 덮개판; 지지판 위의 방파제벽의 외측 또는 내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양식프레임; 복수의 양식프레임을 연결하여 테두리를 형성하며, 형성된 테두리의 안쪽에 적어도 하나의 양식공간을 형성하는 그물망부재; 망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방파제벽의 측벽에 설치되고,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측벽문; 및 각각의 측벽문의 상하 또는 좌우 이동을 제어하여 방파제벽을 통해 그물망부재의 양식공간으로 어류를 유입시키거나 그물망부재의 양식공간의 어류가 방파제벽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이동제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단위구조체는,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된 상판 및 하판;과 상판 및 하판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기둥부재;를 구비하며, 기둥부재들 사이의 공간과 상판 및 하판의 구멍을 통해 바닷물의 유통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위구조체는, 복수의 구체; 및 구체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구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며, 각각의 구체 사이 및 각각의 지지체 사이의 공간을 통해 바닷물의 유통경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방파제벽으로부터 그물망부재의 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며, 측벽문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수평이동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망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수평이동 가이드부재를 따라 측벽문이 수평 이동하는 경우에 수평 이동된 측벽문을 대신하여 방파제벽의 측벽으로 이동하는 보조측벽문;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방파제벽의 내부 공간 또는 방파제벽으로부터 설정된 범위 이내의 어류의 유무를 감지하는 어류감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동제어부재는 어류감지부재에 의해 감지되는 어류의 유무에 기초하여 측벽문 및 보조측벽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전술한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방파제벽의 내부 공간 또는 방파제벽으로부터 설정된 범위 이내로 접근하는 어류를 촬영하는 촬영부재; 및 촬영부재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동제어부재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측벽문 및 보조측벽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한다.
전술한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방파제벽의 내부 공간 또는 방파제벽으로부터 설정된 범위 이내의 어류를 그물망부재의 양식공간으로 유인하는 어류유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단위구조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복수의 팽창/수축부재; 및 어류감지부재에 의해 감지되는 어류에 기초하여 각각의 팽창/수축부재의 팽창 또는 수축을 제어하는 팽창/수축 제어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어류 양식방법은, 지지판 위의 내해 측 또는 외해 측에 방파제벽을 적층하거나, 지지판 위의 내해 측 및 외해 측에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하여 복수의 방파제벽을 적층하고, 방파제벽의 외측 또는 내측, 또는 각각의 방파제벽의 사이에 양식장을 형성한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의 어류 양식방법에 있어서, 방파제벽의 측벽에 설치되며 망상 구조로 이루어진 측벽문을 양식장의 방향으로 수평하게 이동 제어하는 단계; 측벽문의 이동에 대응하여 방파제벽의 측벽으로 망상 구조의 보조측벽문을 이동 제어하는 단계; 및 수평 이동한 측벽문을 상방 또는 측방으로 이동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어류 양식방법은, 방파제벽의 내부 공간 또는 방파제벽으로부터 설정된 범위 이내의 어류의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이동 제어단계는 감지단계에 의해 감지되는 어류의 유무에 기초하여 측벽문을 수평이동 제어한다.
전술한 어류 양식방법은, 방파제벽의 내부 공간 또는 방파제벽으로부터 설정된 범위 이내로 접근하는 어류를 촬영하는 단계; 및 촬영단계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수평이동 제어단계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측벽문을 수평이동 제어한다.
전술한 어류 양식방법은, 방파제벽의 내부 공간 또는 방파제벽으로부터 설정된 범위 이내의 어류를 양식장으로 유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어류 양식방법은, 방파제벽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팽창/수축부재를 각각 팽창 또는 수축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해와 외해의 접경지대에 해상 가두리양식장을 설치하고 신선한 외해의 바닷물이 내해로 원활하게 유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식장 어류들의 질병 감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내해와 외해의 접경지대에 해상 가두리양식장을 설치하면서도 파도의 파압이나 파고가 높을 때에는 내해로 유입되는 파도를 막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식장의 피해를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외해와 내해의 접경지대에 해상 가두리양식장을 설치하면서도 관리자가 배를 타고 해상 가두리양식장을 관리할 필요없이, 방파제 구조물 위에서 직접 양식장의 어류들에게 먹이를 공급하고, 양식장의 어류들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해상 가두리양식장을 방파제 구조물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해상 가두리양식장이 파고나 파압에 흔들리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방파제 구조물의 내부나 외부에 서식하는 어류들을 유인하여 양식장에 가둘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한 방법으로 자연산의 어류를 증식 및 양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의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에 이용되는 단위구조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 또는 도 2의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에 이용되는 단위구조체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단위구조체의 구체의 형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단위구조체를 이용하여 적층한 방파제벽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방파제 구조물 외부에 서식하는 어류를 양식장 내부에 가두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방파제 구조물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서식하는 어류를 유인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단위구조체에 설치된 팽창/수축부재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나타낸 팽창/수축부재를 이용하여 방파제 구조물 내부에 서식하는 어류를 양식장 내부로 모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류 양식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어류 양식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1은 방파제 구조물이 복수의 방파제벽을 구비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며, 도 2은 방파제 구조물이 단일 방파제벽을 구비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지지판(110), 복수의 단위구조체(120), 복수의 방파제벽(130), 덮개판(150), 복수의 양식프레임(160), 그물망부재(170), 복수의 측벽문(180), 이동제어부재(190), 수평이동 가이드부재(200), 보조측벽문(210), 어류감지부재(220), 촬영부재(230) 및 통신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지지판(110), 복수의 단위구조체(120), 단일의 방파제벽(140), 덮개판(150), 복수의 양식프레임(160), 그물망부재(170), 복수의 측벽문(180), 이동제어부재(190), 수평이동 가이드부재(200), 보조측벽문(210), 어류감지부재(220), 촬영부재(230) 및 통신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 나타낸 방파제 구조물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2를 통합하여 설명한다.
지지판(110)은 해저에 설치된다. 이때, 지지판(110)은 기초지반(100) 위에 적층될 수 있다. 이때, 기초지반(100)은 해저 바닥면의 기초공사로 이루어지며, 지형이 불안정한 해저의 바닥면을 평평하게 하고, 지지판(11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상면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초지반(100)은 그 상단에 지지판(110)이 적층된 후, 적층된 지지판(110)을 고정함과 동시에 기초지반(100)을 보호하는 피복석(115)이 덮여질 수도 있다.
여기서, 기초지반(100)은 해저면에 소정 깊이의 홈을 판 후 설치되거나, 기초지반(100)의 저면에 소정 길이의 하방 고정심을 설치하고 해당 고정심을 해저에 삽입하여 기초지반(100)을 해저에 고정시킨 후 기초지반(100)의 상면을 평평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기초지반(100)은 그 상면에 지지판(11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 또는 고정턱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지지판(110)은 기초지반(100) 및 피복석(115)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지지판(110)의 설치방법은 기재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된 방법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지지판(110)은 콘크리트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재질이 활용될 수도 있다.
단위구조체(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판(122) 및 상판(124)을 구비하며, 하판(122) 및 상판(124)은 복수의 기둥부재(128)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하판(122) 및 상판(124)의 각각에는 복수의 구멍(126)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판(122) 및 상판(124)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판(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둥부재(128)는 중간판을 관통하여 하판(122) 및 상판(124)을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중간판에는 하판(122) 및 상판(124)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단위구조체(120)는 기둥부재(128)들 사이의 공간, 및 하판(122) 및 상판(124)의 구멍들을 통해 바닷물의 유통경로가 형성된다.
여기서, 하판(122)의 바닥면 및 상판(124)의 상면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정된 깊이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단위구조체(120)를 서로 적층하는 경우, 상층에 적층된 단위구조체(120)의 하판(122)에 형성된 홈은 하층에 적층된 단위구조체(120)의 상판(124)의 상면에 형성된 홈과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이 맞물려진 홈에는 끼움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끼워지며, 이로써 적층된 각각의 단위구조체(120)가 서로 흐트러지지 않게 된다. 그러나 각각의 단위구조체(120)를 적층하기 위한 구조는 기재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판(122) 및 상판(124)의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가 형성되며, 서로 다른 단위구조체(120)의 관통구를 맞물리고 나사 또는 리벳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복수의 단위구조체(120)를 적층할 수도 있다.
한편, 단위구조체(1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구체(123) 및 각각의 구체(123)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체(125)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지지체(125)는 구체(123)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구체(123)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체(125)의 지름 이상의 원형의 홈(127)이 설정된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구체(123)의 각각의 홈(127)에 지지체(125)의 일단을 삽입하여 고정하며, 해당 지지체(125)의 타단을 다른 구체(123)의 홈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구체(123) 및 지지체(125)의 연결을 확장함으로써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의 방파제벽을 형성할 수도 있다.
복수의 방파제벽(13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구조체(120)를 지지판(110) 위의 내해 측 및 외해 측에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하여 각각 복수의 층으로 적층하여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방파제벽(130)은 설치하고자 하는 양어장의 크기 및 각각의 방파제벽(130)의 두께를 고려하여 지지판(110) 위의 이격 거리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일의 방파제벽(14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구조체(120)를 지지판(110)의 내해 측 또는 외해 측에 복수의 층으로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양식장 내의 어류를 외해 측의 파랑에너지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단일의 방파제벽(140)은 지지판(110) 위의 외해 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판(150)은 복수의 방파제벽(130) 또는 단일의 방파제벽(140)의 복수의 층으로 나열된 단위구조체들에 대해, 최상단 층의 단위구조체들(120)의 상면을 덮어 형성된다. 여기서, 덮개판(150)은 콘크리트로 만들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재질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판(150)은 소정 두께의 투명아크릴 판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방파제 내부의 바닷물의 유통과정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덮개판(150)은 방파제벽의 내부로부터 바닷물이 올라오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인도 또는 차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복수의 양식프레임(160)은 복수의 방파제벽(130)의 각각의 방파제벽(130)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단일의 방파제벽(140)의 외측 또는 내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각각의 일단이 지지판(110)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각각의 양식프레임(160)이 단일의 방파제벽(140)을 갖는 방파제 구조물에 설치되는 경우, 각각의 양식프레임(160)은 단일의 방파제벽(140)의 내해 측에 설치됨으로써 방파제벽(140) 외측의 파랑에너지로부터 양식장 내의 어류를 보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각의 양식프레임(160)은 삼각형, 직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원형 등의 다양한 외곽 형상을 이루도록 세워질 수 있다.
그물망부재(170)는 복수의 양식프레임(160)을 연결하여 테두리를 형성하며, 형성된 테두리의 안쪽에 적어도 하나의 양식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그물망부재(170)의 폭은 양식프레임(160)의 높이 이상으로 구현되며, 양식프레임(160)의 바닥에서부터 상단에 이르기까지 감싸면서 각각의 양식프레임(160)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그물망부재(170)는 복수의 양식프레임(160)에 의해 형성된 외곽 형상을 둘러싸도록 각각의 양식프레임(160)에 연결한다. 또한, 그물망부재(170)는 각각의 양식프레임(160)의 상단과 연결되어 양식장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외곽 형상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양식프레임(160)이 포함될 수도 있다. 그물망부재(170)는 격자형상의 철망, 노끈, 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격자형상의 크기는 대상으로 하는 생물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복수의 양식프레임(160)을 수평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평프레임(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수평프레임은 둘 이상의 양식프레임(160)을 서로 수평으로 연결함으로써, 양식프레임(160)이 파도에 의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복수의 양식프레임(160)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양식프레임(160)은 제1 방파제벽(130) 및 제2 방파제벽(140)의 측면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양식장이 제1 방파제벽(130), 제2 방파제벽(140) 및 지지판(110)에 의해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측벽문(180)은 각각 망상 구조의 판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방파제벽(130) 의 양식장 측의 내측 벽에 설치되거나, 단일의 방파제벽(140)의 양식장 측의 측벽에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측벽문(180)은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즉, 측벽문(180)은 양식장의 상측에서 수직 하방으로 이동하여 양식장 내부의 어류가 방파제벽(130) 또는 방파제벽(140)의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방파제벽(130) 또는 방파제벽(140)의 외측으로부터 양식장으로 어류를 유입시키고자 할 때에는 양식장의 상측 방향으로 수직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는, 측벽문(180)은 양식장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우측 또는 좌측의 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양식장 내부의 어류가 방파제벽(130) 또는 방파제벽(140)의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방파제벽(130) 또는 방파제벽(140)의 외측으로부터 양식장으로 어류를 유입시키고자 할 때에는 양식장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동제어부재(190)는 방파제벽(130) 또는 방파제벽(140)을 통한 어류의 유입에 대응하여 측벽문(180)을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제어한다. 즉, 이동제어부재(190)는 복수의 방파제벽(130) 중 어느 하나의 방파제벽(130)을 통해 어류를 유입시키거나 방파제벽(140)을 통해 어류를 유입시키는 경우, 해당 방파제벽(130 또는 140)의 측벽에 설치된 측벽문(180)을 양식장프레임(160)의 상방, 좌측 또는 우측의 측방으로 이동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방파제벽(130 또는 140)을 통해 유입되는 어류가 양식장 내의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수평이동 가이드부재(200)는 복수의 방파제벽(130)의 각각의 방파제벽(130) 사이, 또는 방파제벽(130 또는 140)으로부터 그물망부재(170)의 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며, 방파제벽(130 또는 140)의 측벽으로부터 측벽문(180)이 그물망부재(170)의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즉, 수평이동 가이드부재(200)는 각각의 방파제벽(130) 사이에서 어느 하나의 방파제벽(130)의 측벽에 설치된 측벽문(180)을 다른 방파제벽(130)의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거나, 방파제벽(140)의 측벽에 설치된 측벽문(180)을 양식장의 방향으로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이때, 수평이동 가이드부재(2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파제벽(130 또는 140)을 통해 어류가 유입하는 경우에 해당 방파제벽(130 또는 140)의 측벽문(180)을 대향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이동시켜 유입되는 어류의 공간을 확보하면서 기존의 양식장 내부의 어류가 도망가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측벽문(180)은 양어장의 폭 및 높이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짐으로써, 양식장 내부에 있던 어류가 측벽문(180)과 양식장 사이의 틈새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측벽문(210)은 측벽문(180)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의 망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보조측벽문(210)은 수평이동 가이드부재(200)를 따라 측벽문(180)이 수평으로 이동하고, 해당 측벽문(180)의 뒤쪽으로 방파제벽(130 또는 140)을 통해 어류가 유입된 경우에, 수평 이동된 측벽문(180)을 대신하여 방파제벽(130 또는 140)의 측벽으로 수직하방 또는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에는 보조측벽문(210)이 수직하방으로 이동하여 방파제벽(130)의 측벽을 막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때, 보조측벽문(210)은 측벽문(180)과 동일하게 수평이동 가이드부재(200)를 따라 수평이동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보조측벽문(210)이 수직하방 또는 측방으로 이동하여 방파제벽(130 또는 140)의 측벽에 위치되면, 이동한 측벽문(180)은 수직상방, 좌측 또는 우측의 측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써, 방파제벽(130 또는 140)을 통해 유입된 어류는 기존의 양식장 내부에 있던 어류와 합쳐지게 된다. 또한, 수직상방, 좌측 또는 우측의 측방으로 이동한 측벽문(180)은 원래의 위치되었던 방파제벽(130 또는 140)의 측벽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방파제벽(130 또는 140)의 측벽으로 이동한 보조측벽문(210)이 측벽문(180)과 같이 수평 이동하는 경우에 보조측벽문(210)의 역할을 하여 방파제벽(130 또는 140)의 측벽으로 수직하방, 좌측 또는 우측의 측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어류감지부재(220)는 방파제벽(130) 및 방파제벽(140)의 각각의 내부 공간, 방파제벽(130) 및 방파제벽(140)으로부터 설정된 범위 이내의 어류의 유무를 감지한다. 이때, 어류감지부재(220)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의 형태로 구현되어 방파제벽(130) 및 방파제벽(140) 내부에 서식하는 어류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도 3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위구조체(120)를 이용하여 방파제 구조물을 구축하는 경우에 수많은 어류들이 수중의 단위구조체(120)의 공간으로 들어와 서식할 수 있는데, 어류감지부재(220)는 이와 같이 방파제벽(130) 또는 방파제벽(140)의 내부로 들어와 서식하는 어류들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어류감지부재(220)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의 형태로 구현되어 방파제벽(130) 및 방파제벽(140)으로부터 설정된 범위 이내로 접근하는 어류의 유무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동제어부재(190)는 어류감지부재(220)에 의해 감지되는 어류의 유무에 기초하여 측벽문(180) 및 보조측벽문(210) 중의 적어도 하나를 이동 제어할 수 있다.
촬영부재(230)는 방파제벽(130) 및 방파제벽(140)의 각각의 내부 공간, 방파제벽(130) 및 방파제벽(140)으로부터 설정된 범위 이내로 접근하는 어류를 촬영한다. 즉, 촬영부재(230)는 방파제벽(130) 및 방파제벽(140)의 내부 공간으로 들어와 서식하는 어류, 또는 방파제벽(130) 및 방파제벽(140)으로부터 설정된 범위 이내로 접근하는 어류를 촬영할 수 있다.
통신부재(240)는 촬영부재(23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관리자단말기(도시하지 않음)에 전송한다. 즉, 통신부재(240)는 촬영부재(23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며, 수신되는 영상을 관리자단말기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재(240)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제어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재(240)는 바닷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방수 케이스로 보호되어 방파제 구조물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동제어부재(190)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측벽문(180) 및 보조측벽문(210)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어류유인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어류유인부재(25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구조체(120)의 각각의 기둥부재(128) 사이로 수평하게 관통하며 일단에 미끼(242)가 걸린 낚시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어류유인부재(250)를 방파제벽(130) 또는 방파제벽(140)을 통해 양어장의 내부 공간의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방파제벽(130) 또는 방파제벽(140)의 내부 공간, 또는 방파제벽(130) 또는 방파제벽(140)의 외측 벽으로 접근하는 어류를 양어장의 내부 공간으로 유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복수의 팽창/수축부재(260) 및 팽창/수축 제어부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팽창/수축부재(26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단위구조체(120)의 기둥부재(128)들 사이의 공간에 설치된다. 이 경우, 팽창/수축 제어부재(270)는 방파제벽(130) 또는 방파제벽(140)의 내측 벽에서 외측 벽의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단위구조체(120)의 각각의 공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팽창/수축부재(260)는 그 부피가 팽창되거나 수축되며, 부피가 팽창되는 경우에는 단위구조체(120) 사이의 공간을 좁힐 수 있다.
팽창/수축 제어부재(270)는 어류감지부재(250)에 의해 감지되는 어류에 기초하여 각각의 팽창/수축부재(260)의 팽창 또는 수축을 제어한다. 즉, 팽창/수축 제어부재(27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파제벽(130) 또는 방파제벽(140)의 외측 벽의 방향으로부터 양어장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팽창/수축부재(260)를 팽창 제어함으로써 방파제벽(130) 또는 방파제벽(140)의 내부에 서식하는 어류를 양어장의 내부 공간의 방향으로 몰 수 있다. 이때, 팽창/수축 제어부재(270)는 통신부재(240)와 함께 방파제 구조물의 상단에 설치되며, 바닷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보호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류 양식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판(110) 위의 내해 측 및 외해 측에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하여 방파제벽(130)을 적층하거나, 지지판(110) 위의 내해 측 또는 외해 측에 방파제벽(140)을 적층하고, 복수의 방파제벽(130)의 각각의 방파제벽(130)의 사이 또는 방파제벽(14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양식공간을 형성한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의 어류 양식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어류감지부재(220)를 이용하여 방파제벽(130) 및 방파제벽(140)의 각각의 내부 공간, 방파제벽(130) 및 방파제벽(140)으로부터 설정된 범위 이내의 어류의 유무를 감지한다(S110).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촬영부재(230)를 이용하여 방파제벽(130) 및 방파제벽(140)의 각각의 내부 공간, 방파제벽(130) 및 방파제벽(140)으로부터 설정된 범위 이내로 접근하는 어류를 촬영할 수도 있다(S120).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통신부재(240)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을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S13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어류감지부재(220)에 의해 감지되는 어류의 유무, 또는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방파제벽(130) 또는 방파제벽(140)의 측벽에 설치된 측벽문(180)을 그물망부재(170)의 방향으로 수평이동 제어한다(S14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측벽문(180)을 수평이동 제어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어류를 양식할 공간을 확보하며 기 양식중인 어류들이 외부로 달아나지 못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어류유인부재(250)를 이용하여 방파제벽(130) 및 방파제벽(140)의 각각의 내부 공간, 방파제벽(130) 및 방파제벽(140)으로부터 설정된 범위 이내의 어류를 유인한다(S150).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각각의 단위구조체(12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팽창/수축부재(260)를 방파제벽(130) 또는 방파제벽(140)의 외측 벽으로부터 양어장의 내부 공간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팽창 제어할 수 있다(S160).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각각의 단위구조체(120)의 내부 공간에 서식하는 어류를 양식장의 방향으로 몰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측벽문(180)의 수평이동에 대응하여 방파제벽(130) 또는 방파제벽(140)의 측벽을 향하여 보조측벽문(210)을 수직 방향, 좌측 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 제어한다(S170). 즉, 측벽문(180)의 수평이동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어류를 양식할 공간이 확보되고, 확보된 공간으로 방파제벽(130) 또는 방파제벽(140)을 통해 어류가 유입되면,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보조측벽문(210)을 수직 방향, 좌측 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 제어하여 방파제벽(130) 또는 방파제벽(140)의 측벽에 위치시킴으로써 유입된 어류가 방파제벽(130) 또는 방파제벽(140)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은 보조측벽문(210)의 수직 방향,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의 이동에 의해 유입된 어류가 방파제벽(130) 또는 방파제벽(140)의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되면, 수평 이동한 측벽문(180)을 상방,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 제어한다(S180). 이를 통해, 기 양식되는 어류와 새로 유입된 어류는 하나의 양식장 내에 통합되어 양식될 수 있다.
또한, 수직상방,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 측벽문(180)은 원래 위치하였던 방파제벽(130) 또는 제2 방파제벽(140)의 측벽의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후에 수직하방,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 보조측벽문(210)이 양식장의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경우에 수직하방, 보조측벽문(210)과 같이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방파제벽(130) 또는 방파제벽(140)의 측벽을 막을 수 있다.

Claims (14)

  1. 해저에 설치되는 지지판;
    바닷물의 유통경로가 형성된 단위구조체;
    복수의 상기 단위구조체를 상기 지지판 위의 내해 측 또는 외해 측에 복수의 층으로 적층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지지판 위의 내해 측 및 외해 측에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하여 각각 복수의 층으로 적층하여 형성되는 방파제벽;
    상기 방파제벽의 최상단 층의 단위구조체의 상면을 덮어 설치되는 덮개판;
    상기 지지판 위의 상기 방파제벽의 외측 또는 내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상기 지지판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양식프레임;
    복수의 상기 양식프레임을 연결하여 테두리를 형성하며, 형성된 상기 테두리의 안쪽에 적어도 하나의 양식공간을 형성하는 그물망부재;
    망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파제벽의 측벽에 설치되고,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측벽문;
    상기 방파제벽으로부터 상기 그물망부재의 방향으로 수평하게 설치되며, 상기 측벽문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하는 수평이동 가이드부재;
    망상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이동 가이드부재를 따라 상기 측벽문이 수평 이동하는 경우에 수평 이동된 상기 측벽문을 대신하여 상기 방파제벽의 측벽으로 이동하는 보조측벽문;
    상기 방파제벽을 통해 어류가 유입하는 경우에 상기 측벽문을 상기 수평이동 가이드부재를 따라 대향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이동시켜 유입되는 어류의 공간을 확보하면서 양식공간 내부의 기존의 어류가 상기 방파제벽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방파제벽을 통해 어류가 유입된 경우에 상기 보조측벽문을 상기 방파제벽의 측벽으로 이동시켜 유입된 어류가 상기 방파제벽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는 이동제어부재;
    상기 방파제벽의 내부 공간 또는 상기 방파제벽으로부터 설정된 범위 이내의 어류의 유무를 감지하는 어류감지부재;
    상기 단위구조체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복수의 팽창/수축부재; 및
    상기 어류감지부재에 의해 감지되는 어류에 기초하여 각각의 상기 팽창/수축부재의 팽창 또는 수축을 제어하는 팽창/수축 제어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제어부재는 상기 어류감지부재에 의해 감지되는 어류의 유무에 기초하여 상기 측벽문 및 상기 보조측벽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구조체는,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된 상판 및 하판; 및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기둥부재;
    를 구비하며,
    상기 기둥부재들 사이의 공간과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의 구멍을 통해 바닷물의 유통경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구조체는,
    복수의 구체; 및
    상기 구체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기 구체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체;
    를 구비하며,
    각각의 상기 구체 사이 및 각각의 상기 지지체 사이의 공간을 통해 바닷물의 유통경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파제벽의 내부 공간 또는 상기 방파제벽으로부터 설정된 범위 이내로 접근하는 어류를 촬영하는 촬영부재; 및
    상기 촬영부재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하는 통신부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제어부재는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측벽문 및 상기 보조측벽문 중의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파제벽의 내부 공간 또는 상기 방파제벽으로부터 설정된 범위 이내의 어류를 상기 그물망부재의 양식공간으로 유인하는 어류유인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9. 삭제
  10. 지지판 위의 내해 측 또는 외해 측에 방파제벽을 적층하거나, 상기 지지판 위의 내해 측 및 외해 측에 설정된 거리 이상 이격하여 복수의 방파제벽을 적층하고, 상기 방파제벽의 외측 또는 내측, 또는 각각의 상기 방파제벽의 사이에 양식장을 형성한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의 어류 양식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파제벽의 내부 공간 또는 상기 방파제벽으로부터 설정된 범위 이내의 어류의 유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방파제벽을 통해 어류가 유입하는 경우, 상기 방파제벽의 측벽에 설치되며 망상 구조로 이루어진 측벽문을 상기 양식장의 방향으로 수평하게 이동 제어하여 유입되는 어류의 공간을 확보하면서 상기 양식장의 기존의 어류가 상기 방파제벽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상기 방파제벽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팽창/수축부재를 각각 팽창 또는 수축 제어하는 단계;
    상기 방파제벽을 통해 어류가 유입된 경우, 상기 측벽문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방파제벽의 측벽으로 망상 구조의 보조측벽문을 이동 제어하여 유입된 어류가 상기 방파제벽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계; 및
    수평 이동한 상기 측벽문을 상방 또는 측방으로 이동 제어하여 기존의 어류와 새로 유입된 어류를 통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이동 제어단계는 상기 감지단계에 의해 감지되는 어류의 유무에 기초하여 상기 측벽문을 수평이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양식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파제벽의 내부 공간 또는 상기 방파제벽으로부터 설정된 범위 이내로 접근하는 어류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단계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관리자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평이동 제어단계는 상기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측벽문을 수평이동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양식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파제벽의 내부 공간 또는 상기 방파제벽으로부터 설정된 범위 이내의 어류를 상기 양식장으로 유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양식방법.
  14. 삭제
KR1020160019228A 2016-02-18 2016-02-18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어류 양식방법 KR101674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228A KR101674342B1 (ko) 2016-02-18 2016-02-18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어류 양식방법
PCT/KR2017/001750 WO2017142340A1 (ko) 2016-02-18 2017-02-17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어류 양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228A KR101674342B1 (ko) 2016-02-18 2016-02-18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어류 양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4342B1 true KR101674342B1 (ko) 2016-11-08

Family

ID=57527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228A KR101674342B1 (ko) 2016-02-18 2016-02-18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어류 양식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74342B1 (ko)
WO (1) WO201714234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064A (ko) * 2018-02-21 2020-03-25 김석문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53260A (ko) * 2018-11-08 2020-05-18 임채경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
RU2723519C1 (ru) * 2019-06-27 2020-06-1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проблем мелиорации" (ФГБНУ "РосНИИПМ") Водозаборное сооружение
KR20220082798A (ko) * 2020-03-13 2022-06-17 김석문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752A (ko) * 2004-03-02 2004-04-01 정정호 전천후 가두리 양식장
KR101158249B1 (ko) * 2012-01-25 2012-07-03 김석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KR101275434B1 (ko) * 2012-09-17 2013-06-17 이병주 어망 조립체 및 어망을 이용한 어류 포획 방법
KR101399812B1 (ko) * 2013-11-19 2014-05-27 김석문 방파제용 소파블록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9194A (ko) * 2012-10-16 2014-04-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양식종의 어망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752A (ko) * 2004-03-02 2004-04-01 정정호 전천후 가두리 양식장
KR101158249B1 (ko) * 2012-01-25 2012-07-03 김석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KR101275434B1 (ko) * 2012-09-17 2013-06-17 이병주 어망 조립체 및 어망을 이용한 어류 포획 방법
KR101399812B1 (ko) * 2013-11-19 2014-05-27 김석문 방파제용 소파블록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2064A (ko) * 2018-02-21 2020-03-25 김석문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08973B1 (ko) * 2018-02-21 2022-06-14 김석문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53260A (ko) * 2018-11-08 2020-05-18 임채경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
KR102145606B1 (ko) * 2018-11-08 2020-08-18 임채경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
RU2723519C1 (ru) * 2019-06-27 2020-06-1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проблем мелиорации" (ФГБНУ "РосНИИПМ") Водозаборное сооружение
KR20220082798A (ko) * 2020-03-13 2022-06-17 김석문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431884B1 (ko) * 2020-03-13 2022-08-11 김석문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2340A1 (ko)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4342B1 (ko)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어류 양식방법
KR100696872B1 (ko) 수중 가두리 장치
CN109963463B (zh) 水处理或海洋动物养殖的浮动装置
JP7105292B2 (ja) 自動ケージネット沈下システム
KR102146159B1 (ko) 이중 부력체와 복수재질의 그물망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KR101749809B1 (ko) 다목적 갯벌 수족관
KR20090079735A (ko) 저층 및 중층에 모두 사용가능한 트롤 및 그 방법
CN107912348A (zh) 一种固定浮球式浮鱼礁
KR101695979B1 (ko) 수면생물 포획용 통발
CN101146441B (zh) 应用于海产养殖的鱼笼
KR101158249B1 (ko)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KR20110011895U (ko) 중층 부구와 수심 조절 로프를 형성하여 양식 로프의 수심 조절이 용이한 수산물 양식장치
JP2004016118A (ja) 水中生物捕獲装置
JP2018113954A (ja) 魚類の捕獲装置、および魚類の捕獲方法
CN103355236A (zh) 一种多层式立体悬浮海参附着基
US20220369606A1 (en) Dynamic buoyancy system for submersible pen
KR20180040283A (ko) 자기 부력을 이용한 직립 배열기능을 갖는 고형의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
CN115997739A (zh) 一种基于图像识别的智能捕鱼系统及方法
KR102218630B1 (ko) 낙지 양식 장치
KR101723422B1 (ko) 연어류의 수중 양식 장치
KR102036060B1 (ko) 문어·해삼 등 기능성 수산물 서식블록
KR101947320B1 (ko) 다중 부력 파이프관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를 이용한 양식방법
KR101412043B1 (ko)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사육수조용 이중 배수장치
NO20161924A1 (no) System og fremgangsmåte for å hindre påslag av lus på fisk i en oppdrettsmerd
JP2019097549A (ja) 水中設置システム及び水中設置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