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606B1 -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 - Google Patents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5606B1 KR102145606B1 KR1020180136674A KR20180136674A KR102145606B1 KR 102145606 B1 KR102145606 B1 KR 102145606B1 KR 1020180136674 A KR1020180136674 A KR 1020180136674A KR 20180136674 A KR20180136674 A KR 20180136674A KR 102145606 B1 KR102145606 B1 KR 1021456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tank
- water tank
- pneumatic
- breakwater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title description 1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5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381 potential energy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2 surfa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63 water suppression through gradient tailored exc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7—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of monolithic form, e.g. block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방향 및 측방향 파랑에 대해 충분한 내구 강도를 가지며, 수문 개폐가 자유로워 해수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방파제를 블록형태로 구성하여 높이와 길이 및 수조의 단면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부력을 이용한 무동력으로 양식장의 수문을 개폐 동작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초 지반의 상측에 안착되도록 고정되는 베이스블록과; 베이스블록의 상측에 안착되며, 외해의 전방에서 내해측으로 전달되는 파랑이 상쇄되면서 해수가 내측의 수조측으로 유입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베이스블록의 상측에 고정되는 복수의 제1블록으로 구성된 전면블록과; 전면블록의 좌,우 양측으로 기초 지반에 적층되도록 배치되며 기초 지반에 고정되는 복수의 제2블록으로 구성된 측면블록과; 측면블록의 단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블록으로 구성된 후면블록과; 전면블록과 측면블록 및 후면블록의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부력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수문을 갖는 수조와; 전면블록과 측면블록 및 후면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1,2,3블록들을 각각 결속하는 결속수단; 및 전면블록과 측면블록 및 후면블록을 구성하는 제1,2,3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 지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기초 지반의 상측에 안착되도록 고정되는 베이스블록과; 베이스블록의 상측에 안착되며, 외해의 전방에서 내해측으로 전달되는 파랑이 상쇄되면서 해수가 내측의 수조측으로 유입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베이스블록의 상측에 고정되는 복수의 제1블록으로 구성된 전면블록과; 전면블록의 좌,우 양측으로 기초 지반에 적층되도록 배치되며 기초 지반에 고정되는 복수의 제2블록으로 구성된 측면블록과; 측면블록의 단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블록으로 구성된 후면블록과; 전면블록과 측면블록 및 후면블록의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부력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수문을 갖는 수조와; 전면블록과 측면블록 및 후면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1,2,3블록들을 각각 결속하는 결속수단; 및 전면블록과 측면블록 및 후면블록을 구성하는 제1,2,3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기초 지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해안가에 구비되어 방파제 블록을 구성하여 밀물과 썰물을 이용하여 해수를 자연 취수함과 아울러, 파랑에 대비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양식장은 해상가두리, 육상식, 축제식으로 구분된다.
해상가두리 방식은 자연적인 바다의 환경을 이용하는 시설로서, 형틀로 구성된 그물부(사육장)를 부이장치와 결합시켜 해상에 띄어서 어류를 양식하는 장치로서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다.
양식장의 설치 수심은 5~30m 로서 최근 외해의 가두리 시설이 연구되어 수심 40m 이상까지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해상 가두리 양식시설은 수면에 띄우는 표층식 가두리, 수면 2~3m 아래에 설치하는 반잠수식 가두리, 해역 중간 수층에 설치하는 수중가두리, 저층 바닥까지 침하시키는 침설식 가두리 등 여러 형태의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기존 해상 가두리는 파랑이 거셀 경우 유실의 우려가 있으므로 안정적이지 못하고,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들며, 일정 주기마다 시설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8249호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등록일자 : 2012.06.13)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해저에 설치되는 지지판;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 내에 다수의 구형형상 및 다면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수용체로 채워지며, 각각의 구형상체 또는 다면체들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는 단위구조체; 복수의 단위구조체를 지지판 위에 복수의 층으로 적층하여 방파제벽을 형성한 후, 최상단 층의 단위구조체의 상면을 덮어 설치되는 덮개판; 방파제벽의 내해 측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지지판에 의해 고정되는 복수의 양식프레임; 및 복수의 양식프레임을 연결하여 테두리를 형성하며, 형성된 테두리의 안쪽에 적어도 하나의 양식공간을 형성하는 그물망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전방측의 외해에서 후방측의 내해측으로 전달되는 파도의 파랑 방향에 대해 최소한의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나, 전방측에서의 파랑이 아닌 측면에서 측파랑이 전달될 경우에는 공극이 형성된 단위구조체가 수용체로부터 쉽게 이탈되거나 수용체가 파손되어 제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우려가 있으며, 별도의 수문이 구비되지 않아 해수 관리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기존 양식장과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4612호 "갯벌 양식장용 물막이 펜스"(등록일자 : 2013.01.15)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갯벌의 물막이 영역을 둘러싸 그 내부에 간조시에 해수가 머무르게 하기 위한 갯벌 양식장용 물막이 펜스에 있어서, 상기 물막이 영역의 둘레를 따라 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세워지되, 각각 기둥부의 사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삽입홈이 형성되고 기둥부의 하단에 원추형으로 뾰족하게 삽입부가 형성되어 원추부 및 기둥부의 하부가 갯벌에 삽입되어 기둥부의 상부가 갯벌 위로 노출되게 세워진 복수개의 지주와, 이웃하는 지주 사이에서 폭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 각각이 상기 지주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그 지주에 결합되고, 하부는 갯벌에 삽입되어 상부가 갯벌 위로 노출되게 세워진 물막이판이 구비된 것이다.
이 경우에는 기둥부의 하부가 갯벌에 삽입되는 복수의 지주를 이용한 방식으로서 각각의 물막이판에 수문이 각각 힌지타입으로 일방향 개폐방식으로 설치되고, 각 물막이판에 파랑의 충격을 감쇄시키는 감쇄망태가 부설되어 있다.
그런데, 기존 물막이 펜스의 경우에는 지주의 높이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의 양식장을 선택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지주의 기둥부 하단이 갯벌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기립 설치되므로 지지력이 약하게 되어 센 파랑이 전달될 경우 물막이판이 기립되지 못하고 눕혀지거나 갯벌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후방향 및 측방향 파랑에 대해 충분한 내구 강도를 가지며, 수문 개폐가 자유로워 해수 관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방파제를 블록형태로 구성하여 높이와 길이 및 수조의 단면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력을 이용한 무동력으로 양식장의 수문을 개폐 동작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초 지반의 상측에 안착되고 외해의 전방에서 내해측으로 전달되는 방향에 설치되며 기초 지반에 고정되는 베이스블록과; 상기 베이스블록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외해의 전방에서 내해측으로 전달되는 파랑이 상쇄되면서 해수가 내측의 수조측으로 유입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블록의 상측에 고정되는 복수의 제1블록으로 구성된 전면블록과; 상기 전면블록의 좌,우 양측으로 상기 기초 지반에 적층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기초 지반에 고정되는 복수의 제2블록으로 구성된 측면블록과; 상기 측면블록의 단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블록으로 구성된 후면블록과; 상기 전면블록과 측면블록 및 후면블록의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부력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수문을 갖는 수조와; 상기 전면블록과 측면블록 및 후면블록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1,2,3블록들을 각각 결속하는 결속수단; 및 상기 전면블록과 측면블록 및 후면블록을 구성하는 제1,2,3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상기 기초 지반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전면블록과 측면블록 및 후면블록을 구성하는 제1,2,3블록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공과, 상기 각각의 연결공에 하부가 각각 끼워지며 상부가 연결된 결속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2,3블록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공과, 상기 각각의 고정공에 관통되어 상기 기초 지반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블록은 후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쇄기홈부와, 상기 전면블록을 구성하는 제1하부블록의 전면에 상기 쇄기홈부에 대응하도록 전면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여서, 측방향 파랑에 대항하도록 상기 베이스블록과 전면블록이 요철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전면블록은 전면이 상기 베이스블록과 요철결합되고 상부에 제1결합돌기가 형성된 제1하부블록과, 상기 제1하부블록의 상측에 안착되도록 결합되며 하부에 상기 제1결합돌기에 대응하는 제1결합홈부가 형성된 제1상부블록으로 구성된다.
상기 측면블록은 기초 지반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2하부블록과, 상기 제2하부블록의 상측에 안착되도록 결합되는 제2상부블록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하부블록의 상부에 돌출되는 제2결합돌기와, 상기 제2상부블록의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제2결합홈부로 구성된다.
상기 후면블록은 기초 지반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3하부블록과, 상기 제3하부블록의 상측에 안착되도록 결합되는 제3상부블록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3하부블록의 상부에 돌출되는 제3결합돌기와, 상기 제3상부블록의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3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제3결합홈부로 구성된다.
상기 부력수단은 상기 수조의 수문을 개폐하기 위해 와이어부재로 승강되며 중앙에 메쉬망이 형성된 개폐판과, 일단이 상기 개폐판의 상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부재와, 상기 수조의 상부에 마련되어 승강력을 상기 와이어부재를 통해 상기 개폐판에 전달하도록 복수의 도르래와 동력기어를 갖는 동력전달부, 및 상부가 연결와이어의 일단에 연결되고 수조의 외측에 마련되며 파랑의 부력에 의해 승강동작되어 승강력을 상기 동력전달부측에 전달하는 부력체를 구비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부력체와 연결된 연결와이어의 타단에 연결되는 동력도르래와, 상기 동력도르래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제1연동축과, 상기 제1연동축에 결합되어 연동 회전되는 제1동력기어와, 상기 제1동력기어와 치합되어 연동 회전되도록 제2연동축에 결합된 제2동력기어와, 상기 제2동력기어와 치합되어 연동 회전되도록 제3연동축에 결합된 제3동력기어와, 상기 제3연동축에 연동되도록 축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부재의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도르래와, 상기 제3연동축에 연동되도록 축 결합되며 내부에 복수의 활차지지대와 상기 활차지지대 사이의 개구공이 형성된 활차풀리, 및 상기 활차풀리의 개구공 내에 진입 및 이탈 가능하게 전,후진동작되고 상기 개구공 내에 진입시 제3연동축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톱바를 구비한다.
상기 수조 내에 지하수를 공급하는 지하수 공급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지하수 공급수단은 육상의 지반 내에 매립되게 설치되어 집수배관으로부터 지하수가 집수되는 메인집수조와, 상기 메인집수조의 상부 외측에 복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된 집수배관과, 상기 메인집수조측과 집수배관으로 각각의 상측이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메인집수조의 하부와 배관 연결되는 복수의 보조집수조와, 상기 메인집수조측에 수직으로 배관연결되는 급수펌프와, 상기 급수펌프로부터 상기 수조의 저면으로 연결되는 연결배관과, 상기 수조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배관을 통해 공급된 지하수를 수조 내부로 공급하는 급수구를 구비한다.
상기 수조 내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수조의 상측에 마련되고 풍압에 의해 공압을 발생시키는 공압발생부와, 상기 공압발생부로부터 발생된 공압이 충진되는 공압탱크와, 상기 공압탱크로부터 공압관로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수조의 저면에 배치되는 공기공급구와, 상기 공기공급구와 공압관로 사이에 마련되어 해수가 공압관로의 내부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체크밸브, 및 상기 공압발생부와 공압탱크 사이에 마련되어 공압탱크 내의 공기가 공압발생부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체크밸브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기초 지반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베이스블록, 전면블록, 측면블록 및 후면블록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조를 형성하고, 수조 내에 해수 및 양식 어류의 유입을 위한 수문이 형성되며, 밀물과 썰물의 수위 변화에 따라 높이가 가변되는 부력체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수문을 개폐시키도록 함으로써, 무동력으로 가두리 양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블록과 측면블록 및 후면블록을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들을 결속수단으로 서로 결속시킴과 아울러,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기초 지반위에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파랑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상,하부블록, 제2상,하부블록, 제3상,하부블록들이 각각 상호간에 결합돌기와 결합홈부를 매개로 요철결합되어 파랑에 대해 견고하게 결합되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수조 내에 지하수를 공급하는 지하수 공급수단을 구비하여 여름철 수조 내의 해수온을 낮춰서 양식어류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 내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수단을 더 구비함에 따라 수조 내의 양식어류의 서식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결속수단이 적용된 베이스블록과 전면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베이스블록과 제1하부블록의 요철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베이스블록과 제1상,하부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고정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측면블록과 후면블록의 제2,3상,하부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제1하부블록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수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9a,9b,9c는 본 발명 부력수단중 개폐판의 승강동작을 해수의 수위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개폐판과 가이드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부력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 동력전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 동력전달부의 활차풀리와 스톱바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동력전달부에 수동동력부가 더 구비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 지하수 공급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 지하수 공급수단중 메인집수조와 보조집수조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 공기 공급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결속수단이 적용된 베이스블록과 전면블록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베이스블록과 제1하부블록의 요철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베이스블록과 제1상,하부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고정수단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측면블록과 후면블록의 제2,3상,하부블록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제1하부블록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수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9a,9b,9c는 본 발명 부력수단중 개폐판의 승강동작을 해수의 수위변화에 따라 가변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개폐판과 가이드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 부력수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 동력전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 동력전달부의 활차풀리와 스톱바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동력전달부에 수동동력부가 더 구비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 지하수 공급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16은 본 발명 지하수 공급수단중 메인집수조와 보조집수조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 공기 공급수단을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은 방파제 블록으로 구성된 수조 양식장을 통해 해수가 유입되고 양식어류의 유출입이 이루어지는 수문을 개폐판으로 부력을 이용한 무동력방식으로 개폐시킴과 아울러, 수조의 부피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은,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기초 지반(10)의 상측에 안착되고 외해의 전방에서 내해측으로 전달되는 방향에 설치되며 기초 지반(10)에 고정되는 베이스블록(100)과; 상기 베이스블록(100)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외해의 전방에서 내해측으로 전달되는 파랑이 상쇄되면서 해수가 내측의 수조(500)측으로 유입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블록(100)의 상측에 고정되는 복수의 제1블록으로 구성된 전면블록(200)과; 상기 전면블록(200)의 좌,우 양측으로 상기 기초 지반(10)에 적층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기초 지반(10)에 고정되는 복수의 제2블록으로 구성된 측면블록(300)과; 상기 측면블록(300)의 단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블록으로 구성된 후면블록(400)과; 상기 전면블록(200)과 측면블록(300) 및 후면블록(400)의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부력수단(800)에 의해 개폐되는 수문을 갖는 수조(500)와; 상기 전면블록(200)과 측면블록(300) 및 후면블록(400)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1,2,3블록들을 각각 결속하는 결속수단; 및 상기 전면블록(200)과 측면블록(300) 및 후면블록(400)을 구성하는 제1,2,3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상기 기초 지반(1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블록(100)은 전방측의 외해에서 내해측으로 전달되는 파랑의 전달방향으로 길게 기초 지반(10)의 상측에 안착되고, 전면블록(200)의 제1하부블록(220)에 요철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기초 지반(10)은 육상과 근접된 해안가 주변에 설치된다.
상기 전면블록(200)과 측면블록(300) 및 후면블록(400)은 상부가 개구된 사각형 공간부를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사각형 공간부 내에 측면블록(300)과 후면블록(400)을 연결하여 공간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수조(500)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전면블록(200)과 측면블록(300) 및 후면블록(400)은 수조(5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복수개가 상,하로 적층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상,하 2개가 적층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며 상부블록과 하부블록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전면블록(200)은 제1상부블록(210)과 제1하부블록(220)으로 구성된 제1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측면블록(300)은 제2상부블록(310)과 제2하부블록(320)으로 구성된 제2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후면블록(400)은 제3상부블록(410)과 제3하부블록(420)으로 구성된 제3블록을 구비한다.
상기 수조(500)는 내, 외측이 연통되는 수문(5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면블록(300)은 측방향 파랑이 전달되는 방향에 대해 내구성을 갖도록 전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도 2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2,3블록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공(610)과, 상기 각각의 고정공(610)에 관통되어 상기 기초 지반(1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고정부재(6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620)는 하부가 상기 기초 지반(1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쇄기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상기 고정공(610)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는 헤드부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수단(600)은 상기 각각의 고정공(610)에 결합된 고정부재(620)를 결속하기 위한 연결판(63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연결판(630)은 상기 고정부재(620)가 관통되도록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플레이트구조를 갖는다.
상기 결속수단(700)은 상기 전면블록(200)과 측면블록(300) 및 후면블록(400)을 구성하는 제1,2,3블록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공(710)과, 상기 각각의 연결공(710)에 하부가 각각 끼워지며 상부가 연결된 결속부재(720)를 구비한다.
상기 결속부재(720)는 하부가 상기 연결공(710)에 각각 끼워지는 바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가 각각의 하부를 연결하도록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결속수단(700)은 상기 베이스블록(100)에도 적용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연결공(710)이 각각의 베이스블록(100) 좌,우 측면에 서로 대칭되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블록(100)과 전면블록(200)의 제1하부블록(220)과의 결합은 상기 베이스블록(100)의 후단부에 오목한 "v"자 형태의 쇄기홈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하부블록(220)의 전면에는 상기 쇄기홈부(110)와 대응되는 형태로 돌출된 돌출부(222)가 형성되어서 상호 요철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상기 베이스블록(100)은 전방에서 파랑이 전달되더라도 기초 지반(10)에 고정된 제1하부블록(220)에 의해 지지되어 후방측 밀림이 방지됨과 아울러, 쇄기홈부(110)와 돌출부(222)의 요철 결합으로 인해 측방향 파랑에 대해서도 측방향 밀림이 방지되므로 안정감있게 기초 지반(10)의 상측에 고정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전면블록(200)의 제1하부블록(220)은 전면이 상기 베이스블록(100)과 요철결합되고 상부에 제1결합돌기(225)가 형성되며, 상기 제1상부블록(210)은 상기 제1하부블록(220)의 상측에 안착되도록 결합되며 하부에 상기 제1결합돌기(225)에 대응하는 제1결합홈부(215)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상부블록(210)은 상기 제1하부블록(220)의 상측에 안착된 상태에서 전면방향의 외해에서 내해측으로 전달되는 파랑에 대해 견고한 지지력을 갖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측면블록(300)은 기초 지반(10)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2하부블록(320)과, 상기 제2하부블록(320)의 상측에 안착되도록 결합되는 제2상부블록(31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하부블록(320)의 상부에 제2결합돌기(325)가 돌출되고, 상기 제2상부블록(310)의 하부에 상기 제2결합돌기(325)와 대응되는 제2결합홈부(315)가 오목하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후면블록(400)은 기초 지반(10)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3하부블록(420)과, 상기 제3하부블록(420)의 상측에 안착되도록 결합되는 제3상부블록(41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3하부블록(420)의 상부에 제3결합돌기(425)가 돌출되고, 상기 제3상부블록(410)의 하부에 상기 제3결합돌기(425)와 대응되는 제3결합홈부(415)가 오목하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하부블록(220)은 운반 이송이 용이하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복수의 요입홈(226)과, 내부에 일체로 내장되는 내장재(227)와, 상기 내장재(227)의 단부를 연결하며 인양용 와이어와의 결속을 위해 상기 요입홈(226) 내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운반대(228)가 더 구비된다.
상기한 제1하부블록(220)의 내부구조는 제2,3하부블록(320,42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수조(500)는 상기 사각형 공간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중간에 측벽(520)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블록(200)을 통과하여 사각형 공간부 내로 유입된 해수가 수문(510)을 통해 복수의 공간 내에 해수가 유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9a,9b,9c를 참조하면, 상기 부력수단(800)은 상기 수조(500)의 수문(510)을 개폐하기 위해 와이어부재(830)로 승강되는 개폐판(810)과, 일단이 상기 개폐판(810)의 상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부재(830)와, 상기 수조(500)의 상부에 마련되어 승강력을 상기 와이어부재(830)를 통해 상기 개폐판(810)에 전달하도록 복수의 도르래와 동력기어를 갖는 동력전달부(820), 및 상부가 연결와이어(850)의 일단에 연결되고 수조(500)의 외측에 마련되며 파랑의 부력에 의해 승강동작되어 승강력을 상기 동력전달부(820)측에 전달하는 부력체(840)를 구비한다.
상기 부력수단(800)은 사각형 공간부 내에 유입되는 해수의 수위에 따라 부력체(840)가 부력에 의해 승강동작되며, 부력체(840)의 승강동작시 발생되는 위치에너지가 연결와이어(850)와 와이어부재(830)를 통해 개폐판(810)에 승강력으로 전달되어 개폐판(810)이 수문(510)을 개폐하도록 승강동작된다.
이때, 해수의 수위가 만수위일 경우에는 도 9a에서와 같이, 부력체(840)가 상승동작되어 개폐판(810)이 수문(510)을 폐쇄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도 9b와 도 9c에서와 같이 해수의 수위가 중수위와 저수위일 경우에는 부력체(840)가 만수위보다 하강동작되면서 개폐판(810)을 상승시켜 수문(510)을 개방하는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부력체(840)는 복수의 부력부재(842)가 상측의 고정상판(843)과 하측의 고정하판(844) 사이에 연결대(845)를 매개로 조립되며, 수조(500)의 깊이와 염분의 농도에 따라 달라지는 부력의 힘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부력부재(842)가 조합되거나 분리되는 착탈구조를 갖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개폐판(810)은 수문(510)의 폐쇄 위치에 있더라도 수조(500) 내에 해수의 유입이 가능한 반면에 수조(500) 내에 담겨진 양식어류가 외부로 도망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중앙에 메쉬망(815)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부력수단(800)은 상기 수조(500)의 일측면 좌,우측에 마련되어 상기 개폐판(810)의 상,하 승강동작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870)이 더 구비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전달부(820)는 상기 부력체(840)와 연결된 연결와이어(850)의 타단에 연결되는 동력도르래(821)와, 상기 동력도르래(821)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제1연동축(822a)과, 상기 제1연동축(822a)에 결합되어 연동 회전되는 제1동력기어(823)와, 상기 제1동력기어(823)와 치합되어 연동 회전되도록 제2연동축(822b)에 결합된 제2동력기어(824)와, 상기 제2동력기어(824)와 치합되어 연동 회전되도록 제3연동축(822c)에 결합된 제3동력기어(825)와, 상기 제3연동축(822c)에 연동되도록 축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부재(830)의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도르래(826)와, 상기 제3연동축(822c)에 연동되도록 축 결합되며 내부에 복수의 활차지지대(827a)와 상기 활차지지대(827a) 사이의 개구공(827b)이 형성된 활차풀리(827), 및 상기 활차풀리(827)의 개구공(827b) 내에 진입 및 이탈 가능하게 전,후진동작되고 상기 개구공(827b) 내에 진입시 제3연동축(822c)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톱바(828)를 구비한다.
상기한 부력체(840)로부터 발생된 위치에너지를 상기 개폐판(810)에 승강력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820)의 동작순서는 부력체(840)의 위치에너지가 연결와이어(850)→동력도르래(821), 제1연동축(822a), 제1동력기어(823)→제2동력기어(824),제2연동축(822b)→제3동력기어(825),제3연동축(822c),연결도르래(826)→와이어부재(830)→개폐판(810)의 순서대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부력체(840)의 승강동작시 발생되는 위치에너지가 연결와이어(850)와 동력전달부(820)를 통해 와이어부재(830)에 매달린 개폐판(810)에 전달되므로, 부력에 의해 개폐판(810)이 자동으로 승강동작되어 무동력으로 수문(510)을 개폐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한 부력을 이용한 수문(510) 개폐동작으로 인해 밀물시에는 수문(510)을 개방시켜 양식어류가 수문(510)을 통해 수조(500) 내부로 진입되도록 한 후에, 썰물시에는 수문(510)을 개폐판(810)으로 닫아서 양식어류가 수조(500)내에 잔류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스톱바(828)는 전진동작시 상기 개구공(827b) 내에 진입되어 활차지지대(827a)와의 간섭으로 활차풀리(827) 및 제3연동축(822c)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되어 상기 제3동력기어(825)와 연동되게 치합된 제1,2동력기어를 정지시켜 제1,2연동축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부력체(840)와 개폐판(810)의 위치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스톱바(828)의 후진동작시에는 활차지지대(827a)와의 간섭상태가 해제되어 활차풀리(827) 및 제3연동축(822c)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해 동력전달부(820)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동력전달부(820)는 평상시 해수의 수위에 따른 부력체(840)의 승강력으로 개폐판(810)을 승강시켜 수문(510)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수문(510)을 개방 또는 폐쇄된 위치에 정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스톱바(828)를 전진동작시킴으로써, 동력전달부(820)의 동작을 정지시켜 개폐판(8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동력전달부(820)는 앞서 설명한 구성요소외에 부력체(840)의 위치에너지가 아닌 수동으로도 상기 개폐판(810)에 승강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동동력부(86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수동동력부(860)는 상기 제3동력기어(825)에 치합되는 수동기어(861)와, 상기 수동기어(861)에 축 결합되는 수동축(862)과, 상기 수동축(862)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수동축(862)을 회전시키는 회전핸들(863)로 구성된다.
이는 여름철 수조(500) 내의 해수 온도가 상승하게 될 경우 양식어류의 생존을 위해 해수온을 낮춰줘야 할 필요가 있으며, 해안가 지하의 10m 이하에서는 표층수보다 지하수의 수온이 낮으므로 수조(500) 내에 지하수를 공급하여 수조(500) 내의 해수온을 낮출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조(500) 내에 지하수를 공급하는 지하수 공급수단(9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지하수 공급수단(900)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상의 지반 내에 매립되게 설치되어 집수배관(915)으로부터 지하수가 집수되는 메인집수조(910)와, 상기 메인집수조(910)의 상부 외측에 복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된 집수배관(915)과, 상기 메인집수조(910)측과 집수배관(915)으로 각각의 상측이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메인집수조(910)의 하부와 배관 연결되는 복수의 보조집수조(920)와, 상기 메인집수조(910)측에 수직으로 수직배관(930)으로 연결되는 급수펌프(940)와, 상기 급수펌프(940)로부터 상기 수조(500)의 저면으로 연결되는 연결배관(960)과, 상기 수조(500)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배관(960)을 통해 공급된 지하수를 수조(500) 내부로 공급하는 급수구(950)를 구비한다.
상기 집수배관(915)은 메인집수조(910)의 상부 외측에 복수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집수배관(915)의 하측에 보조집수조(920)가 배치된다.
상기 보조집수조(920)는 집수된 지하수가 메인집수조(910)측으로 유입되도록 하부가 상기 메인집수조(910)의 하측과 연통되도록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집수배관(915)에는 지층의 지하수가 유입되도록 외부와 연통되는 집수공(915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집수조(910)는 집수배관(915)을 통해 지하수가 집수됨과 아울러, 복수의 보조집수조(920)로부터 집수된 지하수가 복수의 방향으로부터 집수되어
본 발명은 상기 수조(500) 내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수단을 더 구비하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수조(500)의 상측에 마련되고 풍압에 의해 공압을 발생시키는 공압발생부(1100)와, 상기 공압발생부(1100)로부터 발생된 공압이 충진되는 공압탱크(1200)와, 상기 공압탱크(1200)로부터 공압관로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수조(500)의 저면에 배치되는 공기공급구(1300)와, 상기 공기공급구(1300)와 공압관로 사이에 마련되어 해수가 공압관로의 내부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체크밸브(1400), 및 상기 공압발생부(1100)와 공압탱크(1200) 사이에 마련되어 공압탱크(1200) 내의 공기가 공압발생부(1100)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체크밸브(1500)를 구비한다.
상기 공압발생부(1100)는 풍압에 의해 회전되는 프로펠러가 구비되어 프로펠러의 회전력을 공압으로 전환시키게 된다.
상기 공압탱크(1200) 내에 충진된 공압이 공압관로를 통해 수조(500) 내에 배치된 공기공급구(1300)측으로 공급됨에 따라 수조(500) 내에 기포를 발생시켜 용존산소량을 증대시켜 양식어류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초 지반(1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베이스블록(100), 전면블록(200), 측면블록(300) 및 후면블록(400)을 이용하여 내부에 수조(500)를 형성하고, 수조(500) 내에 해수 및 양식 어류의 유입을 위한 수문(510)이 형성되며, 밀물과 썰물의 수위 변화에 따라 높이가 가변되는 부력체(840)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하여 수문(510)을 개폐시키도록 함으로써, 무동력으로 가두리 양식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블록(200)과 측면블록(300) 및 후면블록(400)을 구성하는 각각의 블록들을 결속수단(700)으로 서로 결속시킴과 아울러, 고정수단(600)을 이용하여 기초 지반(10)위에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써, 파랑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상,하부블록, 제2상,하부블록, 제3상,하부블록들이 각각 상호간에 결합돌기와 결합홈부를 매개로 요철결합되어 파랑에 대해 견고하게 결합되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수조(500) 내에 지하수를 공급하는 지하수 공급수단(900)을 구비하여 여름철 수조(500) 내의 해수온을 낮춰서 양식어류의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500) 내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수단을 더 구비함에 따라 수조(500) 내의 양식어류의 서식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기초 지반 100 : 베이스블록
110 : 쇄기홈부 200 : 전면블록
210 : 제1상부블록 215 : 제1결합홈부
220 : 제1하부블록 222 : 돌출부
225 : 제1결합돌기 300 : 측면블록
310 : 제2상부블록 315 : 제2결합홈부
320 : 제2하부블록 325 : 제2결합돌기
400 : 후면블록 410 : 제3상부블록
415 : 제3결합홈부 420 : 제3하부블록
425 : 제3결합돌기 500 : 수조
510 : 수문 520 : 측벽
600 : 고정수단 610 : 고정공
620 : 고정부재 630 : 연결판
700 : 결속수단 710 : 연결공
720 : 결속부재 800 : 부력수단
810 : 개폐판 820 : 동력전달부
821 : 동력도르래 822a,822b,822c : 제1,2,3연동축
823 : 제1동력기어 824 : 제2동력기어
825 : 제3동력기어 826 : 연결도르래
827 : 활차풀리 827a : 활차지지대
827b : 개구공 828 : 스톱바
830 : 와이어부재 840 : 부력체
842 : 부력부재 843 : 고정상판
844 : 고정하판 845 : 연결대
850 : 연결와이어 860 : 수동동력부
861 : 수동기어 862 : 수동축
863 : 회전핸들 870 : 가이드레일
900 : 지하수 공급수단 910 : 메인집수조
915 : 집수배관 915a : 집수공
820 : 보조집수조 930 : 수직배관
940 : 급수펌프 950 : 급수구
960 : 연결배관 1100 : 공압발생부
1200 : 공압탱크 1300 : 공기공급구
1400 : 제1체크밸브 1500 : 제2체크밸브
110 : 쇄기홈부 200 : 전면블록
210 : 제1상부블록 215 : 제1결합홈부
220 : 제1하부블록 222 : 돌출부
225 : 제1결합돌기 300 : 측면블록
310 : 제2상부블록 315 : 제2결합홈부
320 : 제2하부블록 325 : 제2결합돌기
400 : 후면블록 410 : 제3상부블록
415 : 제3결합홈부 420 : 제3하부블록
425 : 제3결합돌기 500 : 수조
510 : 수문 520 : 측벽
600 : 고정수단 610 : 고정공
620 : 고정부재 630 : 연결판
700 : 결속수단 710 : 연결공
720 : 결속부재 800 : 부력수단
810 : 개폐판 820 : 동력전달부
821 : 동력도르래 822a,822b,822c : 제1,2,3연동축
823 : 제1동력기어 824 : 제2동력기어
825 : 제3동력기어 826 : 연결도르래
827 : 활차풀리 827a : 활차지지대
827b : 개구공 828 : 스톱바
830 : 와이어부재 840 : 부력체
842 : 부력부재 843 : 고정상판
844 : 고정하판 845 : 연결대
850 : 연결와이어 860 : 수동동력부
861 : 수동기어 862 : 수동축
863 : 회전핸들 870 : 가이드레일
900 : 지하수 공급수단 910 : 메인집수조
915 : 집수배관 915a : 집수공
820 : 보조집수조 930 : 수직배관
940 : 급수펌프 950 : 급수구
960 : 연결배관 1100 : 공압발생부
1200 : 공압탱크 1300 : 공기공급구
1400 : 제1체크밸브 1500 : 제2체크밸브
Claims (11)
- 기초 지반(10)의 상측에 안착되고 외해의 전방에서 내해측으로 전달되는 방향에 설치되며 기초 지반(10)에 고정되는 베이스블록(100)과;
상기 베이스블록(100)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외해의 전방에서 내해측으로 전달되는 파랑이 상쇄되면서 해수가 내측의 수조(500)측으로 유입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블록(100)의 상측에 고정되는 복수의 제1블록으로 구성된 전면블록(200)과;
상기 전면블록(200)의 좌,우 양측으로 상기 기초 지반(10)에 적층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기초 지반(10)에 고정되는 복수의 제2블록으로 구성된 측면블록(300)과;
상기 측면블록(300)의 단부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3블록으로 구성된 후면블록(400)과;
상기 전면블록(200)과 측면블록(300) 및 후면블록(400)의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부력수단(800)에 의해 개폐되는 수문(510)을 갖는 수조(500)와;
상기 전면블록(200)과 측면블록(300) 및 후면블록(400)을 구성하는 복수의 제1,2,3블록들을 각각 결속하는 결속수단(700); 및
상기 전면블록(200)과 측면블록(300) 및 후면블록(400)을 구성하는 제1,2,3블록들 중 적어도 하나이상을 상기 기초 지반(1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600);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블록(100)은 후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쇄기홈부(110)와, 상기 전면블록(200)을 구성하는 제1하부블록(220)의 전면에 상기 쇄기홈부(110)에 대응하도록 전면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222)를 구비하여서, 측방향 파랑에 대항하도록 상기 베이스블록(100)과 전면블록(200)이 요철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700)은 상기 전면블록(200)과 측면블록(300) 및 후면블록(400)을 구성하는 제1,2,3블록에 각각 형성되는 연결공(710)과,
상기 각각의 연결공(710)에 하부가 각각 끼워지며 상부가 연결된 결속부재(7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600)은 상기 제1,2,3블록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공(610)과,
상기 각각의 고정공(610)에 관통되어 상기 기초 지반(1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고정부재(6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블록(200)은 전면이 상기 베이스블록(100)과 요철결합되고 상부에 제1결합돌기(225)가 형성된 제1하부블록(220)과,
상기 제1하부블록(220)의 상측에 안착되도록 결합되며 하부에 상기 제1결합돌기(225)에 대응하는 제1결합홈부(215)가 형성된 제1상부블록(21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블록(300)은 기초 지반(10)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2하부블록(320)과,
상기 제2하부블록(320)의 상측에 안착되도록 결합되는 제2상부블록(310)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2하부블록(320)의 상부에 돌출되는 제2결합돌기(325)와,
상기 제2상부블록(310)의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돌기(325)와 대응되는 제2결합홈부(3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면블록(400)은 기초 지반(10)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3하부블록(420)과,
상기 제3하부블록(420)의 상측에 안착되도록 결합되는 제3상부블록(410)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3하부블록(420)의 상부에 돌출되는 제3결합돌기(425)와,
상기 제3상부블록(410)의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3결합돌기(425)와 대응되는 제3결합홈부(41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력수단(800)은 상기 수조(500)의 수문(510)을 개폐하기 위해 와이어부재(830)로 승강되며 중앙에 메쉬망(815)이 형성된 개폐판(810)과,
일단이 상기 개폐판(810)의 상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부재(830)와,
상기 수조(500)의 상부에 마련되어 승강력을 상기 와이어부재(830)를 통해 상기 개폐판(810)에 전달하도록 복수의 도르래와 동력기어를 갖는 동력전달부(820), 및
상부가 연결와이어(850)의 일단에 연결되고 수조(500)의 외측에 마련되며 파랑의 부력에 의해 승강동작되어 승강력을 상기 동력전달부(820)측에 전달하는 부력체(84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820)는 상기 부력체(840)와 연결된 연결와이어(850)의 타단에 연결되는 동력도르래(821)와,
상기 동력도르래(821)에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제1연동축(822a)과,
상기 제1연동축(822a)에 결합되어 연동 회전되는 제1동력기어(823)와,
상기 제1동력기어(823)와 치합되어 연동 회전되도록 제2연동축(822b)에 결합된 제2동력기어(824)와,
상기 제2동력기어(824)와 치합되어 연동 회전되도록 제3연동축(822c)에 결합된 제3동력기어(825)와,
상기 제3연동축(822c)에 연동되도록 축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부재(830)의 타단이 연결되는 연결도르래(826)와,
상기 제3연동축(822c)에 연동되도록 축 결합되며 내부에 복수의 활차지지대(827a)와 상기 활차지지대(827a) 사이의 개구공(827b)이 형성된 활차풀리(827), 및
상기 활차풀리(827)의 개구공(827b) 내에 진입 및 이탈 가능하게 전,후진동작되고 상기 개구공(827b) 내에 진입시 제3연동축(822c)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스톱바(82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조(500) 내에 지하수를 공급하는 지하수 공급수단(9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지하수 공급수단(900)은 육상의 지반 내에 매립되게 설치되어 집수배관(915)으로부터 지하수가 집수되는 메인집수조(910)와,
상기 메인집수조(910)의 상부 외측에 복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연결된 집수배관(915)과,
상기 메인집수조(910)측과 집수배관(915)으로 각각의 상측이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메인집수조(910)의 하부와 배관 연결되는 복수의 보조집수조(920)와,
상기 메인집수조(910)측에 수직으로 배관연결되는 급수펌프(940)와,
상기 급수펌프(940)로부터 상기 수조(500)의 저면으로 연결되는 연결배관(960), 및
상기 수조(500)의 저면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배관(960)을 통해 공급된 지하수를 수조(500) 내부로 공급하는 급수구(95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조(500) 내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 공급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수조(500)의 상측에 마련되고 풍압에 의해 공압을 발생시키는 공압발생부(1100)와,
상기 공압발생부(1100)로부터 발생된 공압이 충진되는 공압탱크(1200)와,
상기 공압탱크(1200)로부터 공압관로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수조(500)의 저면에 배치되는 공기공급구(1300)와,
상기 공기공급구(1300)와 공압관로 사이에 마련되어 해수가 공압관로의 내부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체크밸브(1400), 및
상기 공압발생부(1100)와 공압탱크(1200) 사이에 마련되어 공압탱크(1200) 내의 공기가 공압발생부(1100)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체크밸브(15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6674A KR102145606B1 (ko) | 2018-11-08 | 2018-11-08 |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6674A KR102145606B1 (ko) | 2018-11-08 | 2018-11-08 |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3260A KR20200053260A (ko) | 2020-05-18 |
KR102145606B1 true KR102145606B1 (ko) | 2020-08-18 |
Family
ID=70912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6674A KR102145606B1 (ko) | 2018-11-08 | 2018-11-08 |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5606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99012Y1 (ko) * | 2005-08-01 | 2005-10-18 | 주식회사 오남환경산업 | 가두리 양식장 적조방지 장치 |
KR100539410B1 (ko) | 2004-03-02 | 2005-12-28 | 정정호 | 전천후 가두리 양식장 |
KR101454648B1 (ko) * | 2013-07-23 | 2014-10-27 | 김석문 | 방파제 구조물 |
KR101674342B1 (ko) * | 2016-02-18 | 2016-11-08 | 김석문 |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어류 양식방법 |
KR101710463B1 (ko) * | 2016-05-16 | 2017-02-27 | 권상근 | 부력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10914B1 (ko) * | 1999-10-06 | 2001-10-18 | 김수현 | 양식장의 수온조절 시스템 |
KR101224612B1 (ko) | 2010-03-29 | 2013-01-22 | 전라남도 | 갯벌 양식장용 물막이 펜스 |
KR101158249B1 (ko) | 2012-01-25 | 2012-07-03 | 김석문 |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
-
2018
- 2018-11-08 KR KR1020180136674A patent/KR1021456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39410B1 (ko) | 2004-03-02 | 2005-12-28 | 정정호 | 전천후 가두리 양식장 |
KR200399012Y1 (ko) * | 2005-08-01 | 2005-10-18 | 주식회사 오남환경산업 | 가두리 양식장 적조방지 장치 |
KR101454648B1 (ko) * | 2013-07-23 | 2014-10-27 | 김석문 | 방파제 구조물 |
KR101674342B1 (ko) * | 2016-02-18 | 2016-11-08 | 김석문 | 양식장 겸용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어류 양식방법 |
KR101710463B1 (ko) * | 2016-05-16 | 2017-02-27 | 권상근 | 부력을 이용한 수문 개폐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3260A (ko) | 2020-05-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067960B (zh) | 可在水上实地组装的外海海域和礁盘内抗风浪养殖网箱系统 | |
KR101044753B1 (ko) | 내부격실을 이용한 해상 풍력 발전 시설물 기울기 보정장치 | |
CN106035143A (zh) | 集波浪能和太阳能发电于一体的半潜式深海养殖网箱 | |
CN111084139B (zh) | 深海养殖沉浮平台 | |
KR20160022077A (ko) | 부침식 양식장치 | |
JPH027B2 (ko) | ||
KR102200748B1 (ko) | 먹이 급이가 용이한 외해 중층 가두리 양식장 | |
KR101639477B1 (ko) | 부침식(浮沈式) 가두리 양식장 | |
KR101367005B1 (ko) | 다기능 생태 하천 | |
CN208175773U (zh) | 一种适用于底层水体养殖的坐底网箱 | |
KR102145606B1 (ko) | 방파제 블록타입 양식장 | |
CN111480605B (zh) | 一种蜂巢式带营养基巢的多功能鱼礁 | |
RU2410873C1 (ru) | Плавучая ферма для разведения гидробионтов | |
JP4678992B2 (ja) | 海水汲み上げ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海洋肥沃化装置 | |
CN202551906U (zh) | 一种可潜式抗风浪钢筋混凝土养殖网箱结构 | |
CN216701336U (zh) | 可移动坐底式海洋站台网箱结构 | |
KR101657290B1 (ko) | 양식장 오염 방지장치 | |
CN105309359A (zh) | 自动调节蛙梯鱼巢 | |
TWI820324B (zh) | 養殖浮體總成與養殖浮體系統 | |
CN103434618B (zh) | 海市浮楼 | |
TWI282397B (en) | Deep ocean water drawing device | |
CN205161572U (zh) | 自动调节蛙梯鱼巢 | |
CN209950137U (zh) | 一种用于提高过鱼效率的集运鱼系统 | |
CN218508480U (zh) | 一种兼具蓄水功能的挡土墙 | |
KR101469955B1 (ko) | 파력 에너지를 이용한 양식장의 물 순환 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