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0283A - 자기 부력을 이용한 직립 배열기능을 갖는 고형의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기 부력을 이용한 직립 배열기능을 갖는 고형의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0283A
KR20180040283A KR1020160131960A KR20160131960A KR20180040283A KR 20180040283 A KR20180040283 A KR 20180040283A KR 1020160131960 A KR1020160131960 A KR 1020160131960A KR 20160131960 A KR20160131960 A KR 20160131960A KR 20180040283 A KR20180040283 A KR 20180040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water
blade piece
rop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훈
Original Assignee
김용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훈 filed Critical 김용훈
Priority to KR1020160131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0283A/ko
Publication of KR20180040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2Chain or like hand-operated tackles with or without power transmission gearing between operating member and lifting rope, chain or c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두리 양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형의 가두리 함체를 수중에 입수시켜 파도나 수온, 및 적조 등에 의한 생육의 장애 요인 없이 치어의 안정된 양식을 도모하고, 수중에서 치어들의 양식이 완료되면 가두리 함체를 수면으로 부상시켜서 수상 작업을 통해 가두리 함체 내에서 양식된 성어를 간편하게 포집하도록 하는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기 부력을 이용한 직립 배열기능을 갖는 고형의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Undersea cage aquaculture system}
본 발명은 자기 부력을 이용한 직립 배열기능을 갖는 고형의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형화된 형태를 유지하는 고형의 가두리 함체를 수중에 입수시켜 파도나 수온, 및 적조 등에 의한 생육의 장애 요인 없이 치어의 안정된 양식을 도모하고, 수중에서 치어들의 양식이 완료되면 가두리 함체를 수면으로 부상시켜서 수상작업을 통해 가두리 함체 내에서 양식된 성어를 간편하게 인출시켜 포집하도록 하는 자기 부력을 이용한 직립 배열기능을 갖는 고형의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두리 양식은, 어류를 그물로 만들어진 일정한 공간 내에 가두고 사료를 공급하면서 치어(稚魚) 단계의 어류를 성어(成魚)단계의 어류로 키우는 어류 생산방식이다.
이러한 가두리 양식은 좁은 공간에 다수의 어류를 양식함으로써, 사료의 공급, 성장상태의 관찰이 용이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가두리 양식 장치의 개괄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부구(浮具가 체결된 프레임의 하부에 양식어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그물을 통해 형성한 후, 이를 항상 수면에 위치하도록 프레임과 해저면을 로프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두리 장치는 항상 수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즉, 수면은 수심이 깊은 곳에 비하여 수면 부근에서는 파도, 조류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태풍이 내습하거나 바람이 센 기후에서는 심한 파도, 조류로 인하여 가두리 장치가 쉽게 파손된다.
따라서, 가두리 장치를 심한 파도나 조류에 견딜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파도와 조류를 막아줄 수 있도록 만(灣)이나, 섬으로 둘러싸인 부분과 같이 지형적으로 폐쇄된 지역에서만 가두리 양식이 제한적으로 가능하였다.
그리고, 가두리 양식을 행할 수 있는 지역이 제한되므로, 양식으로 생산할 수 있는 양식어류의 생산량을 증가시키기가 쉽지 않았다.
그리고, 수면에 인접한 가까운 부분은 태양에 의해서 쉽게 가열되므로 하절기에 수온이 상승하여 조류가 이상번식하는 적조(赤潮)로 인하여 가두리 장치내에서 양식중인 어류가 폐사하는 현상을 피할 수 없었다.
종래의 가두리 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성상 육지에 인접한 부분에 설치되는데, 수온이 높고 육지로부터 영양염류가 다량 유입되는 하절기에는 해수에서 조류가 이상적으로 번식하는 적조현상이 수일간 지속되면, 수중내의 산소부족 등으로 양식어류가 대량 폐사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한다.
또한, 냉수성 어류는 수면에 인접한 가두리 장치에서는 생육조건이 맞지 않아서, 본질적으로 양식이 불가능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정형화된 형태를 갖는 고형의 가두리 함체를 수중에 입수시켜 파도나 수온, 및 적조 등에 의한 생육의 장애 요인 없이 치어의 안정된 양식을 도모하고, 수중에서 치어들의 양식이 완료되면 가두리 함체를 수면으로 부상시켜서 수상 작업을 통해 가두리 함체 내에서 양식된 성어를 간편하게 인출하여 포집하도록 하는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은,
내부에 어류의 양식공간이 형성된 가두리 함체와; 상기 수면에 부상되어, 수중에 입수된 가두리 함체를 견인로프를 통해 견인시켜 부상시키는 견인기가 마련되고, 수상 작업공간이 형성된 부상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두리 함체는, 복수의 측면 타공패널들로 이루어진 측벽 패널부와, 상기 측벽 패널부의 하부를 폐쇄하는 하부 타공패널, 및 상기 측벽 패널부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 타공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고형 수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기 가두리 함체에 형성된 상부 가장자리부의 둘 이상의 지점에는 안내공이 형성된 상부 날개편이 형성되며, 하부 가장자리부의 둘 이상의 지점에는 상기 상부 날개편과 수직으로 연통하는 안내공이 형성된 하부 날개편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 마주하는 가이드편의 안내공에는 상단을 견인로프에 연결시킨 승강로프가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승강로프의 하단에는 닻부재가 배치되는 한편, 상기 상하 이격된 날개편 사이에 형성된 승강로프의 일지점에는 견착 스토퍼가 배치되어서,
상기 견인로프가 언와인딩되면 승강로프는 닻부재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견착 스토퍼를 통해 하부 날개편을 견착하여 가두리 함체를 수중으로 침강시키고, 견인기에 의해 견인로프가 와인딩되어 상부로 당겨지면 승강로프는 견착 스토퍼를 통해 상부 날개편을 견착시켜서 가두리 함체를 부상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두리 함체들은 상하 이격된 상부 날개편과 하부 날개편에 승강로프를 관통하고, 상부 날개편과 하부 날개편 사이에 형성된 승강로프 구간에 견착 스토퍼를 배치하여서,
상기 견인기에 의한 견인로프의 언와인딩 및 와인딩에 의해 상하 이격되게 배치된 가두리 함체들은 일괄하여 수중에 침강하거나 수중에서 부상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은, 고형의 가두리 함체를 수중에 입수시켜 치어를 양식하므로, 파도나 수온, 및 적조 등에 의한 생육의 장애 요인 없이 치어의 안정된 양식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두리 함체는 물보다 비중이 낮고, 또 안정된 내구성을 갖는 자기 강화 PP시트(SRPP)와, 우수한 충격강도와 강성을 갖는 카본 성형시트(CFRP)로 이루어진 관계로, 수중에서 안정된 내구성을 겸비하고, 부양시 자체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양되므로 소용량의 견인기를 통해서도 안정된 부상이 가능하고, 또 복수의 가두리 함체를 소용량의 견인기를 통해 부양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로프에 복수의 가두리 함체를 수직으로 직렬로 배치하여, 소규모의 부양체를 통해서도 안정된 수상 작업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중간 성간단계에서 사료를 공급하지 않고 해저에서 자연 방류시켜 양식 어류를 자연화시키는 양식에 적극 활용이 가능하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가두리 양식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가두리 양식시스템에 있어, 가두리 함체의 조립상태와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가두리 양식시스템에 있어, 수중에 침강된 가두리 함체의 부상, 및 침강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가두리 양식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가두리 양식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가두리 양식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가두리 양식시스템에 있어, 가두리 함체의 조립상태와 세부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가두리 양식시스템에 있어, 수중에 침강된 가두리 함체의 부상, 및 침강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가두리 양식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가두리 양식시스템(1)은,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어류의 양식공간이 형성된 가두리 함체(10)와; 상기 수면에 부상되어, 수중에 입수된 가두리 함체(10)를 견인로프(22)를 통해 견인시켜 부상시키는 견인기(21)가 마련되고, 수상 작업공간이 형성된 부상체(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부상체(20)는 가두리 함체(10)의 부상공간(20a)이 형성되고 부상공간(20a)의 외측에는 수상 작업공간(20b)이 형성된 부상선체로 이루어지며, 자가 구동을 통해 운항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또 외부 견인에 의해 운항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부상체(20)에 탑재된 견인기(21)는 견인로프(22)를 권취드럼(21a)에 와인딩 및 언와인딩하여서, 견인로프(22)에 매달려진 가두리 함체(10)의 위상을 조절하여 가두리 함체(10)의 수중 침강과 부상을 도모한다.
그리고, 상기 가두리 함체(10)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측면 타공패널(11a)들로 이루어진 측벽 패널부(11)와, 상기 개방된 측벽 패널부(11)의 하부를 폐쇄하는 하부 타공패널(13), 및 상기 개방된 측벽 패널부(11)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 타공패널(12)들이 조립하여 형성된 사각의 고형 수납체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각 측면 타공패널(11a)과 하부 타공패널(13)과 상부 타공패널(12)에는 물이 순환하는 순환공들이 형성되어서, 수중에 입수된 상태에서 치어들이 양식되는 양식공간 내로 물이 자유롭게 유입 및 순환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중에 입수되는 가두리 함체에 하나 이상의 수중 카메라(41)를 배치하여서, 부상체에 위치한 관리자는 각 수중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수중 영상을 통해 해당 가두리 함체에서 양식되고 있는 어류의 양식상태를 확인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각의 고형 수납체로 이루어진 가두리 함체(10)를 제작함에 있어, 상호 교접하는 측벽 패널부(11)의 상부 가장자리와 상부 타공패널(12)의 가장자리, 그리고 상호 교접하는 측벽 패널부(11)의 하부 가장자리와 하부 타공패널(13)의 가장자리에 보강 프레임에 'ㄱ'자형의 단면을 갖는 상부 보강 프레임(14)과 하부 보강 프레임(15)을 적층되게 고정하여서, 가두리 함체(10)를 구성하는 측벽 패널부(11)의 상부 가장자리와 상부 타공패널(12)의 가장자리, 그리고 측벽 패널부(11)의 하부 가장자리와 하부 타공패널(13)들의 가장자리는 보강 프레임(14, 15)에 의해 지지되어서 강성이 보완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벽 패널부(11)를 구성하는 각 측면 타공패널(11a)의 측단부에는 각각 결박공들이 형성되어, 교접된 측면 타공패널(11a)들은 측단부에 형성된 결박공들을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결박로프(16)에 의해 결박되어서, 상하 개방된 관상의 측벽 패널부(11)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호 교접하는 보강 프레임(14, 15)들과, 측벽 패널부(11)의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 및 상부 타공패널(12)과 하부 타공패널(13)의 가장자리에는 결박공들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이들 교접된 보강 프레임(14, 15)과 측벽 패널부(11)과, 상부 타공패널(12), 및 하부 타공패널(13)들은 결박공을 순차적을 관통하는 결박로프(16)에 의해 결박하여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측벽 패널부(11)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 타공패널(12)을 단일 패널로 구성하지 아니하고, 상대적으로 너비가 작은 복수의 분할 타공패널(12')들의 가장자리를 상호 결박시켜 형성된 형태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추후 양식을 마치고 부상시킨 가두리 함체(10) 내에서 성어를 방출할 경우, 상부 타공패널(12) 전체를 가두리 함체(10)에서 제거하지 아니하고, 상부 타공패널(12)을 구성하는 분할 타공패널(12')들 중 어느 하나의 분할 타공패널(12')을 해체시켜서 가두리 함체(10)의 상부를 국부적으로 개방시켜서 성어를 방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두리 함체(10)를 구성하는 측면 타공패널(11a)과 하부 타공패널(13) 및 상부 타공패널(13), 및 상부 보강 프레임(14)과 하부 보강 프레임(15)은 물보다 비중이 낮으면서, 안정된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가두리 함체(10)는 물과의 비중차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하려는 성향을 갖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두리 함체(10)를 물 보다 낮은 비중을 갖고 우수한 충격강도를 갖는 자기 강화 PP 시트(SRPP)와, 물 보다 낮은 비중을 갖고 우수한 인장강도를 갖는 카본 성형시트(CFRP)를 혼용하여 구성함으로써, 수중에서 고형의 형태성을 유지하여 안정된 양식공간을 확보한다.
즉, 상기 측면 타공패널(11a)과 상부 타공패널(12) 및 하부 타공패널(13)은 물 보다 낮은 비중을 갖고 우수한 충격강도를 갖는 자기 강화 PP 시트(SRPP)로 구성하고, 보강 프레임은 우수한 인장강도와 강성을 갖는 카본 성형시트(CFRP)로 구성하여서, 상기 가두리 함체(10)는 수중에서 조류나 수압에 의해 형상의 변형없이 안정된 정형화된 형태성을 유지하고, 또 수면으로의 부상시 물과의 비중차에 의한 자체 부력에 의해 수면으로 부상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소용량의 견인기를 통해서도 가두리 함체를 수면으로 신속히 부상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가두리 함체(10)는 물보다 낮은 비중에 의해 자체적으로 부면으로 부상하려는 특징을 갖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자기 강화 PP 시트(SRPP)는 T 다이스에서 압출 성형된 PP 필름지를 설정간격으로 세절하여 PP 필름사를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PP 필름사를 백화현상이 발생될 때까지 연신시켜 자기 강화 필름사들을 제조한 다음, 상기 제조된 강화 PP필름사들을 교차되게 직조하여 제조된 자기 강화 PP직물지들을 적층하고, 이들 적층된 자기 강화 PP직물지를 열간 압축을 통해 융착시켜 성형되어, 우수한 충격강도를 겸비하여 쉽게 파열되거나 찢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물리적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카본 성형시트(CFRP)는 열가소성 수지가 함침된 CF원사를 여러층으로 적층하여 열간 프레스한 카본 파이브 강화 플라스틱 판재로 이루어져, 우수한 강성과 인장강도를 겸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두리 함체는 물 보다 낮은 비중을 가지면서 수중에서 고형의 형태성을 유지하여 수중에서 정형화된 치어의 양식공간을 확보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각의 육면체로 이루어진 가두리 함체(10)의 상부 가장자리(10a)와, 하부 가장자리(10b)에 안내공(17a)이 형성된 날개편(17, 18)을 형성하고, 상기 날개편(17, 18) 사이에 안내공(17a)을 관통하며 상단을 결박로프(16)에 결속시킨 승강로프(30)를 관통되게 배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로프(30)에 복수의 가두리 함체(10)를 상하 이격되게 배치하여, 각 가두리 함체들은 자체 부력에 의해 수중에서 아파트와 같이 수직으로 배열되도록 한다.
그리고, 견인로프(16)의 견인작용에 의해 수중에 수직으로 입수된 가두리 함체(10)들이 일괄하여 수면으로 부상되도록 하고, 또 각 가두리 함체(10)들의 날개편(17, 18)들을 관통한 승강로프(30)의 하단에는 고하중의 닻부재(32)가 배치되어서, 물보다 비중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진 가두리 함체(10)의 침강을 위한 중량을 제공하고, 또 수중 바닥면에 승강로프(30)의 하단을 고정시켜 조류에 의해 가두리 함체(10)들이 유실되거나 이동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때, 도 6과 같이 상기 승강로프(30)에는 닻부재를 하향 탄지하는 지지 스프링(33)이 배치되어서, 수중 바닥으로 침강되는 과정에 승강로프(30)의 꺽임을 방지하고, 또 수중 바닥에 고정된 닻부재(32)와 가두리 함체(10)의 하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적어도, 상기 가두리 함체(10)의 상부 가장자리(10a)와 하부 가장자리(10b)에는 각각 2개 이상의 날개편(17, 18)들이 형성되어, 승강로프(30)는 가두리 함체(10)에 대칭되게 관통하여서, 가두리 함체(10)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가두리 함체(10)들은 상하 이격된 상부 날개편(17)과 하부 날개편(18)에 승강로프(30)를 관통시켜 승강로프(30) 상에 수직으로 정렬되고, 상부 날개편(17)과 하부 날개편(18) 사이에 형성된 승강로프 구간에 각각 견착 스토퍼(31)를 배치하여서, 승강로프(30)를 관통한 가두리 함체(10)들은 승강로프에 형성된 상부 날개편(17)과 하부 날개편(18) 및 이들 사이에 간섭되어 위치 구속되는 견착 스토퍼(31)에 의해 수중에 입수된 상태로 상하 이격된 상태로 수직하여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부상체(2)에 탑재된 견인기(21)에 의한 견인로프(22)의 언와인딩 및 와인딩에 의해 상하 이격되게 배치된 가두리 함체(10)들은 일괄하여 수중에 침강하거나 수중에서 부상된다.
즉, 상기 도 6b와 같이 견인로프(22)가 언와인딩되면 승강로프(30)는 닻부재(32)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견착 스토퍼(31)를 통해 하부 날개편(18)을 견착하여 가두리 함체(10)를 수중으로 침강시킨다.
이와 반대로, 도 6a와 같이 견인기(31)에 의해 견인로프(32)가 와인딩되어 상부로 당겨지면 승강로프(30)는 견착 스토퍼(31)를 통해 상부 날개편(17)을 견착시켜서 가두리 함체(10)를 부상하게 된다.
이때, 도 5d와 같이 상기 각 가두리 함체(10)에 형성된 상부 날개편(17)과 하부 날개편(18)에는 안내공(17a, 18a)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개구부를 갖는 개구단(17b, 18b)이 형성되어, 승강로프(30)는 개방된 개구단(17a, 18a)을 통해 날개편(17, 18)의 안내공(17a)에 측방향으로 진입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각 날개편(17, 18)의 개구단(17b, 18b)에는 고정볼트(17d, 18d)를 체결하는 체결편(17c, 18c)들이 형성되어, 상기 개구단(17b, 18b)을 통해 승강로프(30)를 진출입하도록 구성되고, 또 개구단(17b, 18b)을 통해 날개편(17, 18)의 안내공(17a, 18a) 내에 승강로프(30)가 진입하면 체결편(17c, 18c) 사이에 고정볼트(17d, 18d)를 체결시켜 개구단(17b, 18b)을 폐쇄함으로써, 승강로프(30)가 날개편(17, 18)에서 임의로 이탈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부상체(20)의 수상 작업공간에서 가두리 함체(10)를 승강로프(30)에 고정시켜 가두리 함체(10)를 승강로프(30)에 고정하거나, 성어들의 양식이 완료되어 수상으로 부양된 가두리 함체(10)를 승강로프(30)에서 탈착하는 과정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1)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양체(20)에 형성된 수상 작업공간에서 작업자가 하부에 닻부재(32)가 고정된 승강로프(20)에 가두리 함체(10)를 순차적으로 다음 견인기(21)를 통해 견인로프(22)를 언와인딩하여 가두리 함체(10)를 수중에 침강시키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서, 수중에 복수의 가두리 함체(10)가 수직으로 정렬하여, 양식공간 내에 생육하는 치어들의 양식을 도모한다.
그리고, 수중에서 치어들의 양식이 완료되면 수상 작업공간에서 작업자는 견인기(21)를 통해 견인로프(22)를 권취하여서, 수중에 침강된 가두리 함체(10)를 수면으로 견인하여 거상하게 된다.
이때, 각 가두리 함체(10)들은 자체 부력을 갖는 관계로, 견인로프(22) 및 이를 와인딩하는 견인기(31)의 과부하를 초래하지 아니하면서, 부양공간의 수면으로 부양되고,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은 적은 견인력으로도 수중에 침강된 가두리 함체(10)들을 일괄하여 부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1.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
10. 가두리 함체 10a. 상부 가장자리
10b. 하부 가장자리 11. 측면 패널부
11a. 측면 타공패널 12. 상부 타공패널
12'. 분할 타공패널 부재
13. 하부 타공패널 14. 상부 보강 프레임
15. 하부 보강 프레임 16. 결박로프
17. 상부 날개편
17a. 안내공 17b. 개구단
17c. 체결편 17d. 고정볼트
18. 하부 날개편 18a. 안내공
18b. 개구단 18c. 체결편
18d. 고정볼트
20. 부상체 21. 견인기
22. 견인로프 30. 승강로프
31. 견착 스토퍼 32. 닻부재
33. 지지 스프링 41. 수중 카메라

Claims (6)

  1. 내부에 어류의 양식공간이 형성된 가두리 함체와; 상기 수면에 부상되어, 수중에 입수된 가두리 함체를 견인로프를 통해 견인시켜 부상시키는 견인기가 마련되고, 수상 작업공간이 형성된 부상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두리 함체는, 복수의 측면 타공패널들로 이루어진 측벽 패널부와, 상기 측벽 패널부의 하부를 폐쇄하는 하부 타공패널, 및 상기 측벽 패널부의 상부를 폐쇄하는 상부 타공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고형 수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부력을 이용한 직립 배열기능을 갖는 고형의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가두리 함체에 형성된 상부 가장자리부의 둘 이상의 지점에는 안내공이 형성된 상부 날개편이 형성되며, 하부 가장자리부의 둘 이상의 지점에는 상기 상부 날개편과 수직으로 연통하는 안내공이 형성된 하부 날개편이 형성되고,
    상기 상하 마주하는 가이드편의 안내공에는 상단을 견인로프에 연결시킨 승강로프가 관통하여 배치되고, 상기 승강로프의 하단에는 닻부재가 배치되는 한편, 상기 상하 이격된 날개편 사이에 형성된 승강로프의 일지점에는 견착 스토퍼가 배치되어서,
    상기 견인로프가 언와인딩되면 승강로프는 닻부재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면서 견착 스토퍼를 통해 하부 날개편을 견착하여 가두리 함체를 수중으로 침강시키고, 견인기에 의해 견인로프가 와인딩되어 상부로 당겨지면 승강로프는 견착 스토퍼를 통해 상부 날개편을 견착시켜서 가두리 함체를 부상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부력을 이용한 직립 배열기능을 갖는 고형의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두리 함체들은 상하 이격된 상부 날개편과 하부 날개편에 승강로프를 관통하고, 상부 날개편과 하부 날개편 사이에 형성된 승강로프 구간에 견착 스토퍼를 배치하여서,
    상기 견인기에 의한 견인로프의 언와인딩 및 와인딩에 의해 상하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가두리 함체들은 일괄하여 수중에 침강하거나 수중에서 부상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부력을 이용한 직립 배열기능을 갖는 고형의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교접하는 측벽 패널부의 상부 가장자리와 상부 타공 패널의 가장자리에는 상부 보강 프레임이 적층하여 고정되고, 상호 교접하는 관상 측벽 패널부의 하부 가장자리와 하부패널의 가장자리에는 하부 보강 프레임이 적층되게 고정되어서,
    상기 가두리 함체를 구성하는 관상 측벽 패널부와 상부 타공 패널 및 하부 타공 패널들은, 상부 보강 프레임과 하부 보강 프레임에 의해 강성이 보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부력을 이용한 직립 배열기능을 갖는 고형의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패널부와 하부 타공 패널과 상부 타공 패널들은 물 보다 낮은 비중을 갖고 우수한 충격강도를 갖는 자기 강화 PP 시트(SRPP)로 이루어져, 상기 자기 강화 PP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가두리 함체는 수중에서 자기 부상력을 갖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부력을 이용한 직립 배열기능을 갖는 고형의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강 프레임과 하부 보강 프레임은 우수한 충격강도와 강성을 갖는 카본 성형시트(CFRP)로 이루어져, 수중에서 고형의 형태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부력을 이용한 직립 배열기능을 갖는 고형의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
KR1020160131960A 2016-10-12 2016-10-12 자기 부력을 이용한 직립 배열기능을 갖는 고형의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 KR20180040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960A KR20180040283A (ko) 2016-10-12 2016-10-12 자기 부력을 이용한 직립 배열기능을 갖는 고형의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960A KR20180040283A (ko) 2016-10-12 2016-10-12 자기 부력을 이용한 직립 배열기능을 갖는 고형의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283A true KR20180040283A (ko) 2018-04-20

Family

ID=6208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960A KR20180040283A (ko) 2016-10-12 2016-10-12 자기 부력을 이용한 직립 배열기능을 갖는 고형의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028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9532A (zh) * 2018-05-03 2018-11-06 集美大学 一种在红树林底下采用铁笼养殖中华乌塘鳢的方法
CN109287467A (zh) * 2018-10-31 2019-02-01 山东省淡水渔业研究院(山东省淡水渔业监测中心) 敞水区鳜鱼养殖生态系统及相应水质治理、鳜鱼生态养殖的方法
CN110810295A (zh) * 2019-12-11 2020-02-21 浙江海洋大学 一种海水养殖网笼
CN113892453A (zh) * 2021-10-11 2022-01-07 刘宗元 一种海上养殖用网箱
CN116114666A (zh) * 2023-03-15 2023-05-16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深远海网箱养殖大黄鱼保活捕捞网具及捕捞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9532A (zh) * 2018-05-03 2018-11-06 集美大学 一种在红树林底下采用铁笼养殖中华乌塘鳢的方法
CN109287467A (zh) * 2018-10-31 2019-02-01 山东省淡水渔业研究院(山东省淡水渔业监测中心) 敞水区鳜鱼养殖生态系统及相应水质治理、鳜鱼生态养殖的方法
CN109287467B (zh) * 2018-10-31 2024-02-09 山东省淡水渔业研究院(山东省淡水渔业监测中心) 敞水区鳜鱼养殖生态系统及相应水质治理、鳜鱼生态养殖的方法
CN110810295A (zh) * 2019-12-11 2020-02-21 浙江海洋大学 一种海水养殖网笼
CN110810295B (zh) * 2019-12-11 2024-05-17 浙江海洋大学 一种海水养殖网笼
CN113892453A (zh) * 2021-10-11 2022-01-07 刘宗元 一种海上养殖用网箱
CN113892453B (zh) * 2021-10-11 2022-12-30 徐州硕天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海上养殖用网箱
CN116114666A (zh) * 2023-03-15 2023-05-16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深远海网箱养殖大黄鱼保活捕捞网具及捕捞方法
CN116114666B (zh) * 2023-03-15 2024-05-14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深远海网箱养殖大黄鱼保活捕捞网具及捕捞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0283A (ko) 자기 부력을 이용한 직립 배열기능을 갖는 고형의 해저 가두리 양식 시스템
US6044798A (en) Floating aquaculture apparatus
KR101948670B1 (ko) 중앙 스파 피쉬 펜
KR100796119B1 (ko) 저서어종 양식이 가능한 가두리 장치
KR101772341B1 (ko) 가두리 양식장치
KR101438992B1 (ko) 연승 수하식 중층 전복 가두리 시설의 관리장치 및 인양방법
KR101174864B1 (ko) 어촌관광형 다영양입체양식장치
US5596947A (en) Aquaculture apparatus for use adjacent an offshore fixed platform
CN109329152B (zh) 一种大面积水域围网养殖潜网诱捕起捕平台
CN211657205U (zh) 一种海洋牧场鱼类捕捞的自动化渔网
US20110139083A1 (en) Device for colonizing and harvesting marine hardground animals
KR101315042B1 (ko) 가두리 양식장치
KR101642778B1 (ko) 해상 가두리 양성용 입체형 전복쉘터
CN113615621B (zh) 一种养殖鱼类分级起捕方法
KR20160094669A (ko) 홍해삼 해중 양식틀
KR101642777B1 (ko) 해상 가두리 중간 육성용 입체형 전복쉘터
KR200484611Y1 (ko) 전복양식용 가두리
CN217364272U (zh) 一种下约束围网养殖装置
CN110447579A (zh) 一种适于亲螺培育及采卵孵化的装置和方法
CN102499152A (zh) 抗风浪珍珠贝养殖装置及用其进行升降式生态养殖的方法
CN109717119B (zh) 网箱养殖自动投喂装置
CN204540385U (zh) 一种自逸式网箱型鲆鲽类鱼苗分级筛
CN210492180U (zh) 一种升降式水产品养殖网箱
KR101947320B1 (ko) 다중 부력 파이프관을 갖는 부침식 가두리 양식장치를 이용한 양식방법
CN107018963B (zh) 一种深水网箱水产动物的快捷收捕方法和快捷收捕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