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128B1 -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4128B1
KR101674128B1 KR1020140192924A KR20140192924A KR101674128B1 KR 101674128 B1 KR101674128 B1 KR 101674128B1 KR 1020140192924 A KR1020140192924 A KR 1020140192924A KR 20140192924 A KR20140192924 A KR 20140192924A KR 101674128 B1 KR101674128 B1 KR 101674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rea
information
user
scree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0561A (ko
Inventor
김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Priority to KR1020140192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4128B1/ko
Publication of KR20160080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4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4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의 조작 시 이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취급하는 사용자 조작 제어부, 상기 단말기의 화면내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 영역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화면 전환에 대한 조작을 인식한 경우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얻어와 상기 제1 정보 영역을 적어도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정보 영역이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단말기의 화면내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 영역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화면 전환에 대한 조작을 인식한 경우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얻어와 상기 제2 정보 영역을 적어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2 정보 영역이 상기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사용자들은 다양한 아이템들에 대한 정보를 텍스트 또는 그래픽 형태로 취득할 수 있다. 예를들면 사용자들은 단말기의 화면을 통하여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는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근래에는 사용자들은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통하여 종전보다 증가된 많은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고 있다.
한편, 전자 상거래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온라인 쇼핑몰, 온라인 경매, 오픈 마켓 또는 소셜 커머스 기타 다양한 형태의 구매 사이트가 온라인상에서 구현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전자 상거래를 이용한 온라인 상에서의 구매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하여 통상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는 복수의 상품과 같은 아이템들이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원하는 아이템에 대하여 구매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하고자 하는 아이템들이 많아질 경우, 이러한 아이템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해야 할 다양한 옵션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의 조작 시 이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취급하는 사용자 조작 제어부, 상기 단말기의 화면내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 영역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화면 전환에 대한 조작을 인식한 경우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얻어와 상기 제1 정보 영역을 적어도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정보 영역이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단말기의 화면내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 영역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화면 전환에 대한 조작을 인식한 경우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얻어와 상기 제2 정보 영역을 적어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2 정보 영역이 상기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각각 제1 정보 영역 및 제2 정보 영역이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정보 영역과 가까워지도록 하고, 상기 제1 정보 영역이 상기 제2 정보 영역에 의하여 가려져서 사라지는 형태가 되도록 제1 정보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2 정보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후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의 일 영역에서 더 이상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머무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2 정보 영역의 복수의 정보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화면내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정보 영역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화면 전환에 대한 조작을 인식한 경우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얻어와 상기 제3 정보 영역을 적어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3 정보 영역이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각각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화면내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정보 영역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화면 전환에 대한 조작을 인식한 경우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얻어와 상기 제4 정보 영역을 적어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4 정보 영역이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제4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제4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3 정보 영역과 상기 제4 정보 영역의 이동 속도가 다르도록 하여, 상기 제3 정보 영역과 상기 제4 정보 영역이 상기 화면에서 사라지는 시점이 상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제4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4 정보 영역 및 상기 제3 정보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4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4 정보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3 정보 영역과 가까워지도록 하고, 상기 제4 정보 영역이 상기 제3 정보 영역에 의하여 가려져서 사라지는 형태가 되도록 제4 정보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화면내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고정 영역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1 방향으로의 조작이 있는 경우, 상기 고정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제어하는 고정 영역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 영역 및 상기 제2 정보 영역이 상기 고정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의 조작 시 이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취급하는 사용자 조작 감지 단계, 상기 단말기의 화면내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 영역 및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 감지 단계에서 사용자의 제1 방향으로의 조작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정보 영역 및 제2 정보 영역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 내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1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 및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에 이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 감지 단계에서 사용자의 제1 방향으로의 조작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정보 영역은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하고 상기 제2 정보 영역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고 상기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각각 상기 제1 정보 영역 및 제2 정보 영역이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정보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정보 영역과 가까워지고, 상기 제1 정보 영역이 상기 제2 정보 영역에 의하여 가려져서 사라지는 형태가 되어 상기 제1 정보 영역이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서 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후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의 일 영역에서 더 이상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머무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영역의 복수의 정보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화면내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 감지 단계에서 사용자의 제1 방향으로 조작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3 정보 영역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제3 정보 영역이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화면내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 감지 단계에서 사용자의 제1 방향으로 조작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4 정보 영역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제4 정보 영역이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정보 영역과 상기 제4 정보 영역의 이동 속도가 다르도록 하여, 상기 제3 정보 영역과 상기 제4 정보 영역이 상기 화면에서 사라지는 시점이 상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정보 영역 및 상기 제3 정보 영역을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치하고, 상기 제4 정보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3 정보 영역과 가까워지도록 하고, 상기 제4 정보 영역이 상기 제3 정보 영역에 의하여 가려져서 사라지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화면내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고정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 감지 단계에서 사용자의 제1 방향으로 조작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고정 영역을 이동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영역 및 상기 제2 정보 영역이 상기 고정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고정 영역 디스플레이부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사용자 조작 제어부(105),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10) 및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의 화면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조작 제어부(105)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을 조작할 경우 사용자의 화면 조작을 감지하고, 이러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10) 및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20)와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조작 제어부(105)는 예를 들면,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의 화면에 대한 터치(touch), 스크롤(scroll) 또는 플릭킹(flicking)을 감지하고 이를 판단한다. 이는 사용자의 조작의 하나의 예로서 사용자 조작 제어부(105)는 사용자의 다양한 조작에 대한 정보를 취급하고 이를 판단하고, 필요한 경우 정보화하여 이를 저장하고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조작 제어부(105)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의 일 영역에 대한 일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의도, 예를 들면 플릭킹 또는 스크롤을 할 경우 이를 인식하고, 이러한 정보를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10) 및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20)와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조작 제어부(105)는 사용자의 조작의 방향 또는 조작의 속도를 판단하고 이를 정보화하여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10) 및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20)와 공유할 수 있다.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내의 제1 정보 영역을 제어하고,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내의 제2 정보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1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10)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1 정보 영역은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내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제1 정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정보 영역은 딜(deal)의 대표 정보, 예를 들면 딜(deal)의 대표 이미지 또는 딜(deal)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정보 영역은 복수의 딜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10)는 제1 정보 영역을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 내에 디스플레이 하고, 제1 정보 영역의 움직임 또는 사라짐을 제어한다.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10)는, 사용자 조작 제어부(105)에 의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한 경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방향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플릭킹한 경우, 제1 정보 영역을 상기 플릭킹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조작의 정도에 따라 제1 정보 영역을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일 방향으로 플릭킹을 한 경우 제1 정보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사용자가 계속적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플릭킹을 더 할 경우에 제1 정보 영역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움직여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는 형태로 화면 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정보 영역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제1 정보 영역의 각각은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하나의 제1 정보 영역이 사라질 경우, 이와 인접하도록 배치된 다른 제1 정보 영역이 이동하여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10)는 복수 개의 제1 정보 영역이 순차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게 할 수 있다.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2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20)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2 정보 영역은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내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제2 정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이미지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정보 영역은 메뉴바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인 예로서 제2 방향, 예를 들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메뉴가 변경되는 메뉴바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정보 영역은 제1 정보 영역과 나란하게 배치되는데, 예를 들면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정보 영역 및 제2 정보 영역이 순차적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정보 영역과 제2 정보 영역의 순서가 바뀔 수 있다.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20)는 제2 정보 영역을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 내에 디스플레이 하고, 제1 정보 영역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20)는, 사용자 조작 제어부(105)에 의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한 경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방향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플릭킹한 경우, 제2 정보 영역을 상기 플릭킹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1 방향으로 화면의 플릭킹을 계속하더라도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지 않고 화면의 소정의 영역에 머무르도록 할 수 있다.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의 정도에 따라 제2 정보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의 일 영역에 머무르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일 방향으로 플릭킹을 한 경우 제2 정보 영역이 상기 일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단말기의 화면의 가장자리에 가까운 일 영역에 도착할 경우, 사용자가 계속적으로 제1 방향으로 더 플릭킹을 하더라도 제2 정보 영역은 상기 일 방향으로 더 움직이지 않아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방향으로 사용자가 플릭킹을 계속 할 경우 소정의 시점 또는 소정의 플릭킹 정도를 벗어날 경우, 제1 정보 영역은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10)에 의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 화면에서 사라지고, 제2 정보 영역은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20)에 의하여 제1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소정의 영역에서 제1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고 단말기의 화면에 머무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10)는, 제1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제2 정보 영역과 점점 가까워지고, 제2 정보 영역에 의하여 점점 가려져서 사라지는 형태로 제1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제1 정보 영역 및 제2 정보 영역을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 예를 들면 제1 방향으로 스크롤이 있을 경우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10) 및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20)는 제1 정보 영역 및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화면의 조작이 계속되거나 조작의 크기가 클 경우, 즉 제1 방향으로 스크롤이 계속될 경우, 제1 정보 영역은 사라지도록 하고 제2 정보 영역은 소정의 영역에 머무르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순한 화면 조작에 의하여 단말기의 화면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상이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제1 정보 영역이 순차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사라지는 동안, 제2 정보 영역이 소정의 영역에서 더 이상 사라지지 않고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정보 인식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120')는 전환 디스플레이부(125')를 포함한다. 전환 디스플레이부(125')는 제2 정보 영역이 복수의 정보를 포함할 경우 제2 방향으로 복수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정보 영역은 복수의 메뉴가 순차적으로 표시된 메뉴바 형태로 정보를 표시하고, 메뉴바는 제2 방향으로 복수의 메뉴가 순차적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후술할 모든 실시예의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200)은 사용자 조작 제어부(205),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210),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220) 및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20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의 화면에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조작 제어부(205)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을 조작할 경우 사용자의 화면 조작을 감지하고, 이러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210),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220) 및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230)와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 제어부(205)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용자 조작 제어부(105)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내의 제1 정보 영역을 제어하고,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22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내의 제2 정보 영역을 제어하고,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내의 제3 정보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210) 및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22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23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230)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3 정보 영역은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내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제3 정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정보 영역은 사용자의 방문 정보 또는 구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정보 영역은 장바구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정보 영역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주체의 이름, 대표 페이지의 이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230)는 제3 정보 영역을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 내에 디스플레이 하고, 제3 정보 영역의 움직임 또는 사라짐을 제어한다.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230)는, 사용자 조작 제어부(205)에 의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한 경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방향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플릭킹한 경우, 제3 정보 영역을 상기 플릭킹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230)는, 사용자의 조작의 정도에 따라 제3 정보 영역을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일 방향으로 플릭킹을 한 경우 제3 정보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사용자가 계속적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플릭킹을 더 할 경우에 제3 정보 영역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움직여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는 형태로 화면 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230)는 제3 정보 영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정보는 상기 제3 정보 영역이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기 전에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의 일 영역, 예를 들면 단말기의 화면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서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면서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정보 영역은 제2 정보 영역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이 순차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1 정보 영역과 제3 정보 영역의 사이에 제2 정보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제1 방향으로의 화면 조작 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서 제2 정보 영역은 제1 방향으로 더 이동하지 않고 머무르면서 제2 정보 영역을 기준으로 양쪽, 예를 들면 아래와 위에 배치된 제1 정보 영역과 제3 정보 영역이 화면으로부터 사라져서 제2 정보 영역을 강조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정보 영역과 제1 정보 영역의 이동 속도는 다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정보 영역과 제3 정보 영역의 이동 시 제3 정보 영역의 이동 시점과 제1 정보 영역의 이동 시점은 다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3 정보 영역은 제1 정보 영역보다 더 오랫동안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머무르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을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 예를 들면 제1 방향으로 스크롤이 있을 경우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210),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220) 및 제3 정보 영역은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화면의 조작이 계속되거나 조작의 크기가 클 경우, 즉 제1 방향으로 스크롤이 계속될 경우, 제1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은 사라지도록 하고 제2 정보 영역은 소정의 영역에 머무르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순한 화면 조작에 의하여 단말기의 화면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상이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제1 정보 영역이 순차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사라지는 동안, 제2 정보 영역이 소정의 영역에서 더 이상 사라지지 않고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정보 인식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정보 영역은 제1 정보 영역과 다른 속도 또는 다른 시점에 이동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1 정보 영역보다 늦은 시점 또는 느린 속도로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3 정보 영역은 제1 정보 영역보다 오랫동안 단말기의 화면에 남아있도록 하여 정보의 상이한 전달을 할 수 있고, 제3 정보 영역을 통하여 정보의 강조를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300)은 사용자 조작 제어부(305),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310),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320),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330) 및 고정 영역 디스플레이부(34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도 3의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200)에 고정 영역 디스플레이부(340)가 추가된 것과 같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의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에 본 실시예의 고정 영역 디스플레이부(340)를 추가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30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의 화면에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조작 제어부(305)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을 조작할 경우 사용자의 화면 조작을 감지하고, 이러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310),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320) 및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330)와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 제어부(305)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용자 조작 제어부(105)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31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내의 제1 정보 영역을 제어하고,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32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내의 제2 정보 영역을 제어하고,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33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내의 제3 정보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고정 영역 디스플레이부(34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내의 일 영역에 사용자의 조작, 예를 들면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화면 조작 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정보 영역을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310),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320) 및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33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고정 영역 디스플레이부(34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 영역 디스플레이부(340)가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내에 디스플레이 하는 고정 영역은, 사용자의 조작,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방향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플릭킹한 경우에도 이동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이 각각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310),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320) 및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330)에 의하여 이동하더라도 고정 영역은 고정 영역 디스플레이부(340)에 의하여 단말기의 화면 내에서 이동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머무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고정 영역은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제3 정보 영역 및 고정 영역은 일 방향, 예를 들면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고정 영역을 넘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정보 영역은 제2 정보 영역을 넘어가지 않고 제2 정보 영역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가려지면서 사라질 수 있다.
제3 정보 영역은 고정 영역에 의하여 가려질 수 있고, 다른 예로서 고정 영역에 제3 정보 영역의 정보가 중첩되도록 표시된 후에 점진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날 수도 있다.
고정 영역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날짜, 시간 또는 배터리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을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 예를 들면 제1 방향으로 스크롤이 있을 경우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310),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320) 및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330)은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화면의 조작이 계속되거나 조작의 크기가 클 경우, 즉 제1 방향으로 스크롤이 계속될 경우, 제1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은 사라지도록 하고 제2 정보 영역은 소정의 영역에 머무르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순한 화면 조작에 의하여 단말기의 화면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상이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제1 정보 영역이 순차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사라지는 동안, 제2 정보 영역이 소정의 영역에서 더 이상 사라지지 않고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정보 인식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정보 영역은 제1 정보 영역과 다른 속도 또는 다른 시점에 이동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1 정보 영역보다 늦은 시점 또는 느린 속도로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3 정보 영역은 제1 정보 영역보다 오랫동안 단말기의 화면에 남아있도록 하여 정보의 상이한 전달을 할 수 있고, 제3 정보 영역을 통하여 정보의 강조를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으로 이동 시 계속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존재하는 고정 영역을 고정 영역 디스플레이부에 의하여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의 정보 인식 관련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고정 영역 디스플레이부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 영역 디스플레이부(340')는 제1 고정 영역 디스플레이부(341') 및 제2 고정 영역 디스플레이부(342')를 구비한다. 제1 고정 영역 디스플레이부(341')은 제1 고정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제2 고정 영역 디스플레이부(342')는 제2 고정 영역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1 고정 영역 및 제2 고정 영역은 각각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의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방향으로 제2 고정 영역,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제3 정보 영역 및 제1 고정 영역이 순서대로 배열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단말기의 화면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의 화면내의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들이 이동할 경우 고정 영역의 제1 고정 영역 및 제2 고정 영역을 넘어가지는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400)은 사용자 조작 제어부(405),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10),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20),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30), 고정 영역 디스플레이부(440) 및 제4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도 4의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300)에 제4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50)가 추가된 것과 같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의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100) 또는 도 3의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300)에 본 실시예의 제4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50)를 추가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40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의 화면에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조작 제어부(405)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을 조작할 경우 사용자의 화면 조작을 감지하고, 이러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취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10),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20),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30) 및 제4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50)와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 제어부(405)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용자 조작 제어부(105)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1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내의 제1 정보 영역을 제어하고,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2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내의 제2 정보 영역을 제어하고,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3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내의 제3 정보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고정 영역 디스플레이부(44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내의 일 영역에 사용자의 조작, 예를 들면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화면 조작 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정보 영역을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10),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20),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30) 및 고정 영역 디스플레이부(44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제4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50)는 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4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50)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4 정보 영역은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내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제4 정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4 정보 영역은 검색창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검색창에 사용자의 입력을 통하여 검색어 입력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제4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50)는 제4 정보 영역을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 내에 디스플레이 하고, 제4 정보 영역의 움직임 또는 사라짐을 제어한다.
제4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50)는, 사용자 조작 제어부(405)에 의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감지한 경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방향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플릭킹한 경우, 제4 정보 영역을, 예를 들면 검색창 영역을 상기 플릭킹한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4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50)는, 사용자의 조작의 정도에 따라 제4 정보 영역을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일 방향으로 플릭킹을 한 경우 제4 정보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사용자가 계속적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플릭킹을 더 할 경우에 제4 정보 영역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움직여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는 형태로 화면 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4 정보 영역은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예로서 제4 정보 영역은 제2 정보 영역과 제3 정보 영역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제4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이 순차적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제1 방향으로의 화면 조작 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서 제2 정보 영역은 제1 방향으로 더 이동하지 않고 머무르면서 제2 정보 영역을 기준으로 양쪽, 예를 들면 아래와 위에 배치된 제1 정보 영역과 제3 정보 영역이 화면으로부터 사라져서 제2 정보 영역을 강조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정보 영역과 제1 정보 영역의 이동 속도는 다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정보 영역과 제3 정보 영역의 이동 시 제3 정보 영역의 이동 시점과 제1 정보 영역의 이동 시점은 다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3 정보 영역은 제1 정보 영역보다 더 오랫동안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머무르게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4 정보 영역과 제3 정보 영역의 이동 속도는 다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제4 정보 영역과 제3 정보 영역의 이동 시 제4 정보 영역의 이동 시점과 제3 정보 영역의 이동 시점은 다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4 정보 영역은 제3 정보 영역보다 먼저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서 사라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4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50)는 제4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3 정보 영역과 인접하게 하고, 계속적으로 제4 정보 영역이 제3 정보 영역에 의하여 가려져서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고정 영역은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제4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의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제4 정보 영역, 제3 정보 영역 및 고정 영역은 일 방향, 예를 들면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제4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고정 영역을 넘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고정 영역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날짜, 시간 또는 배터리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서로 다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제4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을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 예를 들면 제1 방향으로 스크롤이 있을 경우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10),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20), 제4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50) 및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430)은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제4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사용자의 화면의 조작이 계속되거나 조작의 크기가 클 경우, 즉 제1 방향으로 스크롤이 계속될 경우, 제1 정보 영역, 제4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은 사라지도록 하고 제2 정보 영역은 소정의 영역에 머무르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순한 화면 조작에 의하여 단말기의 화면에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를 상이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제1 정보 영역이 순차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되고 사라지는 동안, 제2 정보 영역이 소정의 영역에서 더 이상 사라지지 않고 계속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정보 인식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정보 영역은 제1 정보 영역과 다른 속도 또는 다른 시점에 이동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1 정보 영역보다 늦은 시점 또는 느린 속도로 이동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3 정보 영역은 제1 정보 영역보다 오랫동안 단말기의 화면에 남아있도록 하여 정보의 상이한 전달을 할 수 있고, 제3 정보 영역을 통하여 정보의 강조를 할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으로 이동 시 계속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존재하는 고정 영역을 고정 영역 디스플레이부에 의하여 단말기의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의 정보 인식 관련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4 정보 영역은 제2 정보 영역과 제3 정보 영역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3 정보 영역과 다른 속도로 이동 또는 다른 시점에 이동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3 정보 영역보다 먼저 화면에서 사라질 수 있다. 특히 제3 정보 영역에 의하여 가려지면서 점진적으로 화면에서 사라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3 정보 영역의 강조를 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5의 변형예를 도 6에 적용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의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들(100 내지 400)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다양한 형태로 네트워크와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의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들(100 내지 400)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네트워크(미도시)에 의하여 복수의 사용자의 각각의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의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들(100 내지 400)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사용자의 단말기내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들 각각이 단말기내에 전술한 실시예의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들(100 내지 400)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설치 및 저장되도록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의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들(100 내지 400)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사용자의 단말기에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전술한 실시예의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들(100 내지 400)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부는 사용자의 단말기내에 포함되고, 다른 일부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와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에는 사용자 조작 감지 단계(S10), 제1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0) 및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0)를 포함한다.
사용자 조작 감지 단계(S10)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조작할 경우 사용자의 화면 조작을 감지하고, 이러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취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조작 감지 단계(S1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의 화면에 대한 터치(touch), 스크롤(scroll) 또는 플릭킹(flicking)을 감지하고 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조작 감지 단계(S1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의 일 영역에 대한 일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의도, 예를 들면 플릭킹 또는 스크롤을 할 경우 이를 인식하고, 이러한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 영역 및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정보 영역과 제2 정보 영역은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0)는 사용자의 조작이 있을 경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방향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플릭킹할 경우 제1 정보 영역 및 제2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0)는 제2 정보 영역에 복수의 메뉴를 표시하고, 복수의 메뉴가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0)는 상기 단계(S20)에 이어서 계속적으로 조작이 있을 경우, 제1 정보 영역이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도록 하고, 제2 정보 영역은 더 이상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머무르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정보 영역이 제2 정보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제2 정보 영역에 의하여 가려지면서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에는 사용자 조작 감지 단계(S110), 제1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120) 및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130)를 포함한다.
사용자 조작 감지 단계(S110)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조작할 경우 사용자의 화면 조작을 감지하고, 이러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취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조작 감지 단계(S11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의 화면에 대한 터치(touch), 스크롤(scroll) 또는 플릭킹(flicking)을 감지하고 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조작 감지 단계(S11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의 일 영역에 대한 일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의도, 예를 들면 플릭킹 또는 스크롤을 할 경우 이를 인식하고, 이러한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12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 영역,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 영역 및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은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120)는 사용자의 조작이 있을 경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방향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플릭킹할 경우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130)는 상기 단계(S120)에 이어서 계속적으로 조작이 있을 경우, 제1 정보 영역이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도록 하고, 제2 정보 영역은 더 이상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머무르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정보 영역이 제2 정보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제2 정보 영역에 의하여 가려지면서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130)는 상기 단계(S120)에 이어서 계속적으로 조작이 있을 경우, 제3 정보 영역이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예를 들면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130)는 제3 정보 영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정보가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기 전에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의 일 영역, 예를 들면 단말기의 화면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서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면서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정보 영역은 제2 정보 영역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이 순차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1 정보 영역과 제3 정보 영역의 사이에 제2 정보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정보 영역과 제1 정보 영역의 이동 속도는 다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정보 영역과 제3 정보 영역의 이동 시 제3 정보 영역의 이동 시점과 제1 정보 영역의 이동 시점은 다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130)에서 제3 정보 영역은 제1 정보 영역보다 더 오랫동안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머무르게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에는 사용자 조작 감지 단계(S210), 제1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20) 및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30)를 포함한다.
사용자 조작 감지 단계(S210)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조작할 경우 사용자의 화면 조작을 감지하고, 이러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취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조작 감지 단계(S21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의 화면에 대한 터치(touch), 스크롤(scroll) 또는 플릭킹(flicking)을 감지하고 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조작 감지 단계(S21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의 일 영역에 대한 일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의도, 예를 들면 플릭킹 또는 스크롤을 할 경우 이를 인식하고, 이러한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2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 영역,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 영역,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정보 영역 및 고정 영역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제3 정보 영역 및 고정 영역은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20)는 사용자의 조작이 있을 경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방향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플릭킹할 경우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고정 영역은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머무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30)는 상기 단계(S220)에 이어서 계속적으로 조작이 있을 경우, 제1 정보 영역이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도록 하고, 제2 정보 영역은 더 이상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머무르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정보 영역이 제2 정보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제2 정보 영역에 의하여 가려지면서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30)는 상기 단계(S220)에 이어서 계속적으로 조작이 있을 경우, 제3 정보 영역이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예를 들면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30)는 제3 정보 영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정보가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기 전에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의 일 영역, 예를 들면 단말기의 화면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서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면서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정보 영역은 제2 정보 영역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이 순차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1 정보 영역과 제3 정보 영역의 사이에 제2 정보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정보 영역과 제1 정보 영역의 이동 속도는 다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정보 영역과 제3 정보 영역의 이동 시 제3 정보 영역의 이동 시점과 제1 정보 영역의 이동 시점은 다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30)에서 제3 정보 영역은 제1 정보 영역보다 더 오랫동안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머무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20, 230)에서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고정 영역을 넘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30)에서 제1 정보 영역은 제2 정보 영역을 넘어가지 않고 제2 정보 영역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가려지면서 사라질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230)에서 제3 정보 영역은 고정 영역에 의하여 가려질 수 있고, 다른 예로서 고정 영역에 제3 정보 영역의 정보가 중첩되도록 표시된 후에 점진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날 수도 있다.
고정 영역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날짜, 시간 또는 배터리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에는 사용자 조작 감지 단계(S310), 제1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20) 및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30)를 포함한다.
사용자 조작 감지 단계(S310)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조작할 경우 사용자의 화면 조작을 감지하고, 이러한 사용자 조작 정보를 취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조작 감지 단계(S31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의 화면에 대한 터치(touch), 스크롤(scroll) 또는 플릭킹(flicking)을 감지하고 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사용자 조작 감지 단계(S31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의 일 영역에 대한 일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의도, 예를 들면 플릭킹 또는 스크롤을 할 경우 이를 인식하고, 이러한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20)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 영역,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 영역,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정보 영역, 제4 정보 영역 및 고정 영역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제4 정보 영역, 제3 정보 영역 및 고정 영역은 제1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고정 영역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제1 정보 영역의 외측에도 하나의 고정 영역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20)는 사용자의 조작이 있을 경우,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방향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플릭킹할 경우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제4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고정 영역은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머무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30)는 상기 단계(S320)에 이어서 계속적으로 조작이 있을 경우, 제1 정보 영역이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도록 하고, 제2 정보 영역은 더 이상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머무르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정보 영역이 제2 정보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제2 정보 영역에 의하여 가려지면서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30)는 상기 단계(S320)에 이어서 계속적으로 조작이 있을 경우, 제3 정보 영역이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예를 들면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30)는 제3 정보 영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정보가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기 전에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의 일 영역, 예를 들면 단말기의 화면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서 점진적으로 어두워지면서 사라지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정보 영역은 제2 정보 영역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이 순차적으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제1 정보 영역과 제3 정보 영역의 사이에 제2 정보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정보 영역과 제1 정보 영역의 이동 속도는 다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제1 정보 영역과 제3 정보 영역의 이동 시 제3 정보 영역의 이동 시점과 제1 정보 영역의 이동 시점은 다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30)에서 제3 정보 영역은 제1 정보 영역보다 더 오랫동안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머무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20, 230)에서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고정 영역을 넘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30)에서 제1 정보 영역은 제2 정보 영역을 넘어가지 않고 제2 정보 영역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가려지면서 사라질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30)에서 제3 정보 영역은 고정 영역에 의하여 가려질 수 있고, 다른 예로서 고정 영역에 제3 정보 영역의 정보가 중첩되도록 표시된 후에 점진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날 수도 있다.
또한,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30)에서 제4 정보 영역은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일 방향으로 플릭킹을 한 경우 제4 정보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사용자가 계속적으로 상기 제1 방향으로 플릭킹을 더 할 경우에 제4 정보 영역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움직여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는 형태로 화면 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20, 330)에서 제4 정보 영역과 제3 정보 영역의 이동 속도는 다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제4 정보 영역과 제3 정보 영역의 이동 시 제4 정보 영역의 이동 시점과 제3 정보 영역의 이동 시점은 다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30)에서 제4 정보 영역은 제3 정보 영역보다 먼저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에 서 사라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S330)에서 제4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3 정보 영역과 인접하게 하고, 계속적으로 제4 정보 영역이 제3 정보 영역에 의하여 가려져서 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제4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고정 영역을 넘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단말기의 화면에는 제1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어 있는 제1 정보 영역(IR10), 제2 정보 영역(IR20)이 배치된다. 제1 정보 영역(IR10)은 딜의 대표 이미지 및 대표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제1 정보 영역(IR10)은 복수의 딜을 순차적으로 제2 방향, 즉 도 11의 X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정보 영역(IR20)은 메뉴바 형태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메뉴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하도록 방향키(DB)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고정 영역(IR41)이 화면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 고정 영역(IR42)이 화면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 영역(IR41)에는 시계, 배터리 등이 표시될 수 있고, 제2 고정 영역(IR42)에는 다양한 선택 버튼이 표시될 수 있고, 이는 하나의 예시적 표현이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고정 영역(IR42)과 제1 정보 영역(IR10)의 사이에는 카테고리 영역(CA)이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정보 영역(IR10)과 제2 정보 영역(IR20)의 사이에 선택 버튼(CB)이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쿠폰 선택 버튼일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정보 영역(IR20)과 제1 고정 영역(IR41)의 사이에는 제4 정보 영역(IR50) 및 제3 정보 영역(IR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4 정보 영역(IR50)은 예를 들면 검색창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정보 영역(IR30)에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대표 문자 정보(IR30A) 및 장바구니 정보(IR30B)를 포함할 수 있다.
화살표(FL)는 사용자의 화면의 조작의 방향이다. 즉, 사용자는 제1 방향(도 11을 기준으로 Y축 증가 방향)으로 화면의 조작을 의도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2를 참조하면 이러한 제1 방향의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제1 정보 영역(IR10) 및 제2 정보 영역(IR20)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다.
이 때, 카테고리 영역(CA), 선택 버튼(CB), 제4 정보 영역(IR50) 및 제3 정보 영역(R30)도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의 이동 속도 및 이동 시점은 다를 수 있다. 즉, 도 1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선택 버튼(CB)은 이와 인접한 제2 정보 영역(IR20)보다 빨리 이동하여 제2 정보 영역(IR20)에 의하여 일부가 가려지고, 제4 정보 영역(IR50)은 이와 인접한 제3 정보 영역(IR30)보다 빨리 이동하여 제3 정보 영역(IR30)에 의하여 일부가 가려질 수 있다. 또한, 제3 정보 영역(IR30)은 아직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거나 아주 적게 이동할 수 있다.
카테고리 영역(CA)과 인접한 제5 정보 영역(IR60)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일부가 보이기 시작한다.
제1 고정 영역(IR41) 및 제2 고정 영역(IR42)은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방향의 사용자의 계속적 조작에 의하여 제1 정보 영역(IR10) 및 제2 정보 영역(IR20)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다.
이 때, 카테고리 영역(CA), 선택 버튼(CB), 제4 정보 영역(IR50) 및 제3 정보 영역(R30)도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들 각각의 이동 속도 및 이동 시점은 다를 수 있다. 즉,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선택 버튼(CB)은 이와 인접한 제2 정보 영역(IR20)보다 빨리 이동하여 제2 정보 영역(IR20)에 의하여 거의 모두 가려지고, 제4 정보 영역(IR50)은 이와 인접한 제3 정보 영역(IR30)보다 빨리 이동하여 제3 정보 영역(IR30)에 의하여 모두 가려져 사라지게 될 수 있다. 또한, 제3 정보 영역(IR30)은 아직 제1 방향으로 아주 적게 이동할 수 있다.
선택 버튼(CB)과 인접한 제5 정보 영역(IR60)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12보다 많이 화면에 보이기 시작한다.
제1 고정 영역(IR41) 및 제2 고정 영역(IR42)은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방향의 사용자의 계속적 조작에 의하여 제1 정보 영역(IR10) 및 제2 정보 영역(IR20)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다.
이 때, 카테고리 영역(CA), 선택 버튼(CB)도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선택 버튼(CB)은 제2 정보 영역(IR20)에 의하여 모두 가려지게 될 수 있다.
제3 정보 영역(IR30)은 아직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3 정보 영역(IR30)의 정보들, 즉 대표 문자 정보(IR30A) 및 장바구니 정보(IR30B)가 제1 고정 영역(IR41)에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대표 문자 정보(IR30A) 및 장바구니 정보(IR30B)가 제1 고정 영역(IR41)에 중첩되도록 디스플레이될 때, 중첩되기 전보다 더 흐려지거나 더 어두워져서 선명도가 낮아진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이러한 효과가 점진적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카테고리 영역(CA)과 인접한 제5 정보 영역(IR60)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13보다 많이 화면에 보이기 시작한다.
제1 고정 영역(IR41) 및 제2 고정 영역(IR42)은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5를 참조하면, 제1 방향의 사용자의 계속적 조작에 의하여 제1 정보 영역(IR10) 및 제2 정보 영역(IR20)이 제1 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다. 제1 정보 영역(IR10)은 제2 정보 영역(IR20)과 인접한 영역이 제2 정보 영역(IR20)에 의하여 가려져 있다.
또한, 제1 정보 영역(IR10)은 제1 고정 영역(IR41)을 벗어나지 않고, 또한 넘어서지 않도록 제1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카테고리 영역(CA), 제5 정보 영역(IR60)도 제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3 정보 영역(IR30)의 대표 문자 정보(IR30A) 및 장바구니 정보(IR30B)는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서 보이지 않는다.
제1 고정 영역(IR41) 및 제2 고정 영역(IR42)은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실시예들에서 제1 방향은 하나의 정해진 방향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방향의 역방향에 대하여도 적용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제1 방향 및 제1 방향의 역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화면 조작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방향의 역방향으로의 화면의 조작을 도시한다. 즉, 화살표(FL)는 사용자의 화면의 조작의 방향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3 정보 영역(IR30)이 다시 화면에 표시된다. 아직, 제4 정보 영역(IR50)은 표시되어 있지 않다. 즉, 제3 정보 영역(IR30) 및 제4 정보 영역(IR50)은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으로부터 사라진 후에, 다시 화면에 표시되는 경우 제3 정보 영역(IR30)이 제4 정보 영역(IR50)보다 먼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계속적으로 제1 방향의 역방향으로 화면을 조작하여, 도 11과 같이 다시 모두 화면에 표시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사용자의 제1 방향 또는 이의 역방향의 조작에 의하여 정보를 포함하는 복수의 정보 영역이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소정의 시점부터 적어도 일 정보 영역은 화면에서 사라지고, 다른 일 정보 영역은 더 이상 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머물러서 사용자의 정보 인식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화면에서 사라지는 정보 영역들간에도 사라지는 시기 및 속도 등을 다르게 하여 정보의 중요도에 따라 다양하게 사라지는 형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7은 전술한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로서, 도 11 내지 도 17에만 본원의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시스템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200, 300, 400: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105, 205, 305, 405: 사용자 조작 제어부
110, 210, 310, 410: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
120, 220, 320, 420: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

Claims (21)

  1.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의 조작 시 이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취급하는 사용자 조작 제어부;
    상기 단말기의 화면내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 영역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화면 전환에 대한 조작을 인식한 경우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얻어와 상기 제1 정보 영역을 적어도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정보 영역이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단말기의 화면내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 영역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화면 전환에 대한 조작을 인식한 경우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얻어와 상기 제2 정보 영역을 적어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2 정보 영역이 상기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각각 제1 정보 영역 및 제2 정보 영역이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정보 영역과 가까워지도록 하고, 상기 제1 정보 영역이 상기 제2 정보 영역에 의하여 가려져서 사라지는 형태가 되도록 제1 정보 영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2 정보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후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의 일 영역에서 더 이상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머무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2 정보 영역의 복수의 정보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화면내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정보 영역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화면 전환에 대한 조작을 인식한 경우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얻어와 상기 제3 정보 영역을 적어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3 정보 영역이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 상기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각각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이 배치되도록 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화면내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정보 영역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조작 제어부가 상기 사용자의 화면 전환에 대한 조작을 인식한 경우 사용자의 조작 정보를 얻어와 상기 제4 정보 영역을 적어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의 정도에 따라 상기 제4 정보 영역이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제4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제4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3 정보 영역과 상기 제4 정보 영역의 이동 속도가 다르도록 하여, 상기 제3 정보 영역과 상기 제4 정보 영역이 상기 화면에서 사라지는 시점이 상이하도록 제어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제4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4 정보 영역 및 상기 제3 정보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4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4 정보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3 정보 영역과 가까워지도록 하고, 상기 제4 정보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상기 제3 정보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보다 빨라서 상기 제4 정보 영역이 상기 제4 정보 영역이 상기 제3 정보 영역에 의하여 가려져서 사라지는 형태가 되도록 제4 정보 영역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화면내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고정 영역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의 제1 방향으로의 조작이 있는 경우, 상기 고정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제어하는 고정 영역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는 상기 제1 정보 영역 및 상기 제2 정보 영역이 상기 고정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사용자 조작 제어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단말기의 화면의 조작 시 이를 판단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취급하는 사용자 조작 감지 단계;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화면내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 영역 및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 조작 감지 단계에서 사용자의 제1 방향으로의 조작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정보 영역 및 제2 정보 영역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 내에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제1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 및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에 이어서, 상기 사용자 조작 감지 단계에서 사용자의 제1 방향으로의 조작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정보 영역은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하고 상기 제2 정보 영역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않고 상기 단말기의 화면을 벗어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각각 상기 제1 정보 영역 및 제2 정보 영역이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1 정보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 정보 영역과 가까워지고, 상기 제1 정보 영역이 상기 제2 정보 영역에 의하여 가려져서 사라지는 형태가 되어 상기 제1 정보 영역이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서 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제2 정보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 후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화면의 일 영역에서 더 이상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머무르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제2 정보 영역의 복수의 정보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화면내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3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 감지 단계에서 사용자의 제1 방향으로 조작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3 정보 영역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제3 정보 영역이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영역, 제2 정보 영역 및 제3 정보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제4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화면내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4 정보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 감지 단계에서 사용자의 제1 방향으로 조작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4 정보 영역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상기 제4 정보 영역이 상기 단말기의 화면에서 사라지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 및 상기 제4 정보 영역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제3 정보 영역과 상기 제4 정보 영역의 이동 속도가 다르도록 하여, 상기 제3 정보 영역과 상기 제4 정보 영역이 상기 화면에서 사라지는 시점이 상이하도록 제어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정보 영역 및 상기 제3 정보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4 정보 영역이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3 정보 영역과 가까워지도록 하고, 상기 제4 정보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가 상기 제3 정보 영역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이동 속도보다 빨라서 상기 제4 정보 영역이 상기 제3 정보 영역에 의하여 가려져서 사라지는 형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19.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 또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제어 단계는 고정 영역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화면내에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고정 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사용자의 조작 감지 단계에서 사용자의 제1 방향으로 조작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고정 영역을 이동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영역 및 상기 제2 정보 영역이 상기 고정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제어되는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21. 제11 항 내지 제20 항 중에서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192924A 2014-12-30 2014-12-30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1674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924A KR101674128B1 (ko) 2014-12-30 2014-12-30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924A KR101674128B1 (ko) 2014-12-30 2014-12-30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561A KR20160080561A (ko) 2016-07-08
KR101674128B1 true KR101674128B1 (ko) 2016-11-08

Family

ID=56502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924A KR101674128B1 (ko) 2014-12-30 2014-12-30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412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894B1 (ko) * 2008-10-30 2011-06-09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바탕화면 표시방법 및 장치
KR20140094407A (ko) * 2013-04-10 2014-07-30 (주)브라이니클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쇼핑정보 제공방법 및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쇼핑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561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72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cking screen saver
KR101768690B1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N103389869B (zh) 一种用于对触摸输入界面进行调整的方法、装置和设备
US10146420B2 (en) Electronic device, graph display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presenting and manipulating two dimensional graph objects using touch gestures
CN105843531B (zh) 一种屏幕模式的切换方法和装置
KR20120138659A (ko) 리스트 표시장치
KR20130005300A (ko) 정보처리 시스템, 조작입력장치, 정보처리장치, 정보처리방법, 프로그램 및 정보기억매체
CN106681616B (zh) 一种浏览器功能栏显示方法、装置及设备
CN105824491A (zh) 一种在移动设备中的分屏处理方法和装置
KR20130045548A (ko) 컴퓨팅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645222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scroll processing method, and scroll processing program
KR101610882B1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20130194178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CN103403660A (zh) 信息处理装置、用于控制信息处理装置的方法和程序
KR101674128B1 (ko)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JP6175375B2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034418B (zh) 控制操作栏滚动的方法、装置及移动终端
JP5861359B2 (ja) 携帯機器、ページ切り換え方法及びページ切り換えプログラム
KR101549685B1 (ko) 아이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아이템 디스플레이 방법
JP2017157026A (ja) 表示操作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824590A (zh) 一种在移动设备中的分屏处理方法和装置
KR101610880B1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US20170255380A1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1625187B1 (ko) 대형화면을 갖는 휴대단말기에서의 터치제어방법
KR101680822B1 (ko)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