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3915B1 - 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조절노브 - Google Patents

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조절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915B1
KR101673915B1 KR1020140092865A KR20140092865A KR101673915B1 KR 101673915 B1 KR101673915 B1 KR 101673915B1 KR 1020140092865 A KR1020140092865 A KR 1020140092865A KR 20140092865 A KR20140092865 A KR 20140092865A KR 101673915 B1 KR101673915 B1 KR 101673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gnetic
magnetic member
sliding
rest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820A (ko
Inventor
이경찬
전홍진
박준규
Original Assignee
(주)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텍 filed Critical (주)코텍
Priority to KR1020140092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915B1/ko
Publication of KR20160011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Landscapes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조절노브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복원유닛은 자력을 갖는 제1자성부재와, 제1자성부재에 삽입 이동 가능하도록 제1자성부재에서 이격 배치되고 자력을 갖는 제2자성부재와, 제2자성부재에 삽입 고정되는 제1허브부재 및 제1허브부재에 끼움 결합되어 제1허브부재의 왕복 경로와 회전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제2허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조절노브{RESTORATION UNIT AND CONTROL KNOB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조절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력을 가지는 자성부재 간의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동작 후에 원위치로 복원시키거나 동심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조절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원장치는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동작 후에 원위치로 복원시키거나 동심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조절노브는 누르는 압력 또는 회전력(회전량)을 전기적 신호로 바꿀 수 있다.
이러한 조절노브는 내비게이션, 비디오/오디오, 전자렌지 등의 전기장치 또는 전자장치에 적용함으로써, 하나의 조절노브로 다양한 방식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48774호(2007. 08. 06. 등록, 발명의 명칭 : 자동차의 높이 조절형 노브)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력을 가지는 자성부재 간의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동작 후에 원위치로 복원시키거나 동심도를 유지시킬 수 있는 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조절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원유닛은 자력을 갖는 제1자성부재; 상기 제1자성부재에 삽입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자성부재에서 이격 배치되고, 자력을 갖는 제2자성부재; 상기 제2자성부재에 삽입 고정되는 제1허브부재; 및 상기 제1허브부재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허브부재의 왕복 경로와 회전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제2허브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허브부재의 왕복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자성부재와 상기 제2자성부재는 서로 다른 극성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허브부재의 왕복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자성부재와 상기 제2자성부재는 서로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자성부재와 상기 제2자성부재는,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1허브부재의 왕복 방향을 따라 극성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자성부재는, 상기 제1허브부재의 왕복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자성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자성체; 및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도록 상기 제1자성체에 적층되는 제2자성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자성부재는,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 사이에 삽입 적층되어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를 이격 고정시키는 스페이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허브부재의 왕복과 회전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감응부재와, 상기 제2자성부재와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도록 상기 제2허브부재에 고정되는 제3자성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감응부재는, 자력에 의해 자화되는 감응볼부; 상기 감응볼부가 삽탈 가능하도록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2허브부재의 둘레를 따라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는 제1볼안착부; 및 상기 제1허브부재의 왕복과 회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감응볼부의 삽입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허브부재의 둘레를 따라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는 제2볼안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감응부재는, 상기 제2자성부재 또는 상기 제1허브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감응볼부와 상기 제2자성부재 사이를 이격시키는 감응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허브부재에는, 상기 제3자성부재가 고정되는 고정돌부; 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절노브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바디유닛; 상기 바디유닛에서 이격 배치되는 조작유닛; 및 상기 바디유닛과 상기 조작유닛을 연결하고, 상기 조작유닛의 왕복과 회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자력에 의해 상기 조작유닛을 원위치로 복원시키거나 상기 조작유닛의 동심도를 유지시키는 복원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유닛은, 상기 복원유닛에 결합되는 제1조작부재; 및 조작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조작부재에 결합되는 제2조작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유닛은, 광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1조작부재 또는 상기 제2조작부재에 결합되는 제3조작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유닛의 왕복과 회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를 제어하는 복원제어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원제어유닛은, 상기 조작유닛의 왕복 상태를 감지하는 왕복감지부와, 상기 조작유닛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회전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왕복감지부와 상기 회전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복원기판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원제어유닛은, 상기 복원기판부를 상기 복원유닛에 고정시키는 복원하우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유닛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복원유닛의 왕복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복원유닛을 지지하는 슬라이딩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유닛은, 상기 복원유닛에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부재; 상기 바디유닛에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부재;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복원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경로부는, 상기 복원유닛이 제1방향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경로부; 및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경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유닛을 통한 상기 복원유닛의 이동 상태를 제어하는 슬라이딩제어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제어유닛은, 상기 슬라이딩유닛을 통한 상기 복원유닛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는 슬라이딩감지부; 및 상기 바디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슬라이딩기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제어유닛은, 상기 복원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복원유닛의 위치를 나타내는 슬라이딩하우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원유닛은, 상기 제1자성부재와, 상기 제2자성부재와, 상기 제1허브부재와, 상기 제2허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원유닛은, 상기 제1허브부재의 왕복과 회전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감응부재와, 상기 제1자성부재와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도록 상기 제2허브부재에 고정되는 제3자성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원유닛은, 상기 제1자성부재를 상기 바디유닛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자성부재의 둘레를 지지하는 둘레지지부; 및 상기 둘레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자성부재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자성부재가 안착되도록 상기 둘레지지부에서 연장되는 바닥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조절노브는 자력을 가지는 자성부재 간의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동작 후에 원위치로 복원시키거나 동심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반복되는 제1허브부재의 왕복 또는 회전 동작에 따라 한계 동작 횟수를 증가시키고, 기설정된 스트로크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자성부재와 제2자성부재 간의 극성 변환을 극대화시키고, 제1자성부재와 제2자성부재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집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자성부재와 제2자성부재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 또는 척력을 강화시키고, 제1허브부재의 복원력과 동심도 유지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는 두 자성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두 자성체에 의해 강화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안정되게 유지시키며, 제1자성부재의 복원력과 동심도 유지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허브부재의 왕복과 회전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여부를 간편하게 인식하고, 안정된 조작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허브부재의 왕복과 회전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여부에 따라 등간격으로 "딸깍" 하는 느낌을 강화시키고, 왕복과 회전 동작에 따른 조작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딸깍" 하는 느낌에 따라 감응볼부와의 접촉을 향상시키고, 감응볼부의 이동에 따라 제2자성부재에 가해지는 충격을 억제 또는 방지하며, 제2자성부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자성부재와의 척력을 강화시키고 제2자성부재의 복원력과 동심도 유지를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3자성부재의 고정 위치를 한정하고, 제1자성부재 또는 제2자성부재에 의해 제3자성부재가 유동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유닛의 그립감을 향상시키고, 조작유닛의 왕복과 회전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복원력과 동심도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원제어유닛을 안정되게 보호하고, 조작유닛의 동작이 복원제어유닛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원제어유닛에 포함되는 반사부를 안정되게 고정시키고, 조작유닛의 왕복 또는 회전 동작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유닛의 왕복 또는 회전 동작 상태를 이용하여 주변기기를 안정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유닛의 동작 상태에 따라 왕복 또는 회전 상태를 안정화시키고, 조작유닛의 동작 신호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유닛 내부에 복원제어유닛을 안정되게 실장시켜 보호할 수 있고, 조작유닛의 동작에서 복원제어유닛이 간섭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유닛의 동작 범위를 확장시키고, 하나의 조작유닛을 통해 수직 왕복과 수평 왕복은 물론 회전 동작을 일원화할 수 있고, 조절노브를 컴팩트화 또는 모듈화하여 조절노브의 설치 면적을 축소시키며, 조작유닛의 동작을 다양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복원유닛의 슬라이드 이동을 부드럽게 하고, 슬라이딩부재 간의 마찰력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재 간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조작유닛의 왕복 이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유닛의 슬라이드 동작 상태를 이용하여 주변기기를 안정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유닛의 슬라이드 동작 상태를 안정화시키고, 조작유닛의 동작 신호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디유닛 내부에 슬라이딩제어유닛을 안정되게 실장시켜 보호할 수 있고, 조작유닛의 동작에서 슬라이딩제어유닛이 간섭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자성부재의 왕복 동작에 따라 제1자성부재와 제2자성부재 사이에서 극성이 변환될 때의 하중 변화를 통해 제2자성부재의 왕복 상태를 간편하게 인식하여 안정되게 조작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로 이루어진 제1자성부재를 안정되게 바디유닛에 고정시키고, 제1자성부재에 의해 발생되는 척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제1자성부재가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복수 개의 제1자성부재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자성부재와 고정부재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제1자성부재와 고정부재 사이의 조립 과정에서 고정부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유닛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유닛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유닛의 왕복 동작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유닛의 회전 동작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의 왕복 동작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유닛의 왕복 동작에서 왕복감지부의 감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의 회전 동작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의 회전 동작에서 회전감지부의 감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의 슬라이딩 동작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조절노브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유닛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유닛을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유닛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유닛(30)은 자력을 갖는 제1자성부재(31)와, 제1자성부재(31)에 삽입 이동 가능하도록 제1자성부재(31)에서 이격 배치되고 자력을 갖는 제2자성부재(32)와, 제2자성부재(32)에 삽입 고정되는 제1허브부재(34)와, 제1허브부재(34)에 끼움 결합되어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경로와 회전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제2허브부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자성부재(31)와 제2자성부재(32)의 배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방향을 기준으로 제1자성부재(31)와 제2자성부재(32)는 서로 다른 극성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둘째,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방향을 기준으로 제1자성부재(31)와 제2자성부재(32)는 서로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일예로, 제2자성부재(32)가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방향을 기준으로 n극 s극으로 배열되면, 제1자성부재(31)의 제1자성체(311)는 s극 n극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자성부재(32)가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방향을 기준으로 s극 n극으로 배열되면, 제1자성부재(31)의 제1자성체(311)는 n극 s극으로 배열될 수 있다. 셋째, 제1자성부재(31)와 제2자성부재(32)는 초기 위치에서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방향을 따라 극성이 배열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제1자성부재(31)와 제2자성부재(32)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링 형상은 가상의 원 또는 가상의 원에 내접 또는 외접하는 다각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자성부재(31)와 제2자성부재(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1허브부재(34) 또는 제2허브부재(35)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에 대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자성부재(31)와 제2자성부재(32)는 각각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일예로, 제1자성부재(31)는 다수의 단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다수의 단위자성체는 제1허브부재(34) 또는 제2허브부재(35)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에 대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자성부재(31)는 다수의 단위자성체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다수의 단위자성체는 제1허브부재(34) 또는 제2허브부재(35)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에 대하여 원주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자성부재(31)와 제2자성부재(32)의 형상을 통해 제1자성부재(31)와 제2자성부재(32) 사이의 자기장 분포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제1자성부재(31)와 제2자성부재(32) 사이의 동심도를 간편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상술한 제1자성부재(31)와 제2자성부재(32)의 배치 구조에 따르면, 자력을 가지는 자성부재 간의 인력 또는 척력을 이용하여 동작 후에 원위치로 복원시키거나 동심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반복되는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또는 회전 동작에 따라 한계 동작 횟수를 증가시키고, 기설정된 스트로크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자성부재(31)와 제2자성부재(32) 간의 극성 변환을 극대화시키고, 제1자성부재(31)와 제2자성부재(32)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집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자성부재(31)는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방향을 기준으로 제1자성부재(31)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자성체(311)와,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도록 제1자성체(311)에 적층되는 제2자성체(3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자성부재(31)는 제1자성체(311)와 제2자성체(312) 사이에 삽입 적층되어 제1자성체(311)와 제2자성체(312)를 이격 고정시키는 스페이서(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자성부재(31)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제1자성부재(31)와 제2자성부재(32)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 또는 척력을 강화시키고, 제1허브부재(34)의 복원력과 동심도 유지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는 두 자성체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두 자성체에 의해 강화되는 인력 또는 척력을 안정되게 유지시키며, 제1자성부재(31)의 복원력과 동심도 유지를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유닛(30)은 제1허브부재(34)의 왕복과 회전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감응부재(36)와, 제2자성부재(32)와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도록 제2허브부재(35)에 고정되는 제3자성부재(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감응부재(36)는 자력에 의해 자화되는 감응볼부(363)와, 감응볼부(363)가 삽탈 가능하도록 상호 이격되어 제2허브부재(35)의 둘레를 따라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는 제1볼안착부(361)와, 제1허브부재(34)의 왕복과 회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여부에 따라 감응볼부(363)의 삽입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1허브부재(34)의 둘레를 따라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는 제2볼안착부(36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응부재(36)는 제2자성부재(32) 또는 제1허브부재(34)에 구비되어 감응볼부(363)와 제2자성부재(32) 사이를 이격시키는 감응설정부(3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제1볼안착부(361)는 감응볼부(363)의 직경에 대응하여 감응볼부(363)가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도록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볼안착부(361)에서 감응볼부(363)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고,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이동에서 발생되는 유격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볼안착부(362)는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거리에 대응하여 감응볼부(363)가 제2볼안착부(362)에서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응부재(36)가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또는 회전에 간섭되지 않고, 감응볼부(363)의 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감응부재(36)는 제1허브부재(34)와 감응설정부(3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감응턱부(3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응턱부(365)는 제2볼안착부(362)의 일부를 충진시킬 수 있다. 감응턱부(365)는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이동에 따라 제2볼안착부(362)에서 감응볼부(363)의 삽입 깊이를 변경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볼안착부(362)가 제1볼안착부(361)에 마찬가지로 형성되는 경우, 감응턱부(365)는 제2볼안착부(362)에서 이격되어 감응볼부(363)가 삽입되도록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감응턱부(365)를 대신하여 제2볼안착부(362)를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방향을 따라 2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2볼안착부(362)는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방향을 따라 감응턱부(365)가 형성되는 부분과 감응턱부(365)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으로 구획된다.
상술한 감응부재(36)와 감응부재(36)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제1허브부재(34)의 왕복과 회전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여부를 간편하게 인식하고, 안정된 조작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제1허브부재(34)의 왕복과 회전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여부에 따라 등간격으로 "딸깍" 하는 느낌을 강화시키고, 왕복과 회전 동작에 따른 조작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딸깍" 하는 느낌에 따라 감응볼부(363)와의 접촉을 향상시키고, 감응볼부(363)의 이동에 따라 제2자성부재(32)에 가해지는 충격을 억제 또는 방지하며, 제2자성부재(3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자성부재(33)는 제1자성부재(31)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때, 제2허브부재(35)에는 제3자성부재(33)가 고정되는 고정돌부(351)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고정돌부(351)는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이동에 간섭되지 않는 것이 유리하고,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이동 거리를 제한할 수 있다.
상술한 제3자성부재(33)에 따르면, 제2자성부재(32)와의 척력을 강화시키고 제2자성부재(32)의 복원력과 동심도 유지를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3자성부재(33)의 고정 위치를 한정하고, 제1자성부재(31) 또는 제2자성부재(32)에 의해 제3자성부재(33)가 유동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유닛의 왕복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유닛의 왕복 동작을 도시한 종단면도로써,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유닛의 왕복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허브부재(34) 또는 제2허브부재(3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자성부재(31)가 적층 고정되고, 제1자성부재(31)의 일측으로 제2자성부재(32)가 이격된 상태로 적층된다.
제1자성부재(3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제1허브부재(34)를 가압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자성부재(32)는 제1자성부재(31)에서 이격된 상태로 제1자성부재(31)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제1자성부재(31)와 제2자성부재(32) 사이의 극성 변화를 통해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동작 여부를 느낄 수 있다. 또한, 감응볼부(363)가 자력에 의해 제1볼안착부(361)와 제2볼안착부(362) 사이에서 이동되는 동작을 통해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동작 여부를 느낄 수 있다.
제1허브부재(34)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해제되면, 제1자성부재(31)와 제3자성부재(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척력이 제2자성부재(32)에 작용함에 따라 자력에 의해 제2자성부재(32)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특히,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동작에서 유동이 발생하여도, 제1자성부재(31)와 제2자성부재(32) 사이의 자력 또는 제1자성부재(31)와 제3자성부재(33) 사이의 자력으로 인해 제2자성부재(32)와 제3자성부재(33)는 제1자성부재(31)의 중심에 위치되어 제1허브부재(34)와 제2허브부재(35)의 동심도를 항상 유지시킬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유닛의 회전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유닛의 회전 동작을 도시한 평단면도로써,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유닛의 회전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허브부재(34) 또는 제2허브부재(3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자성부재(31)가 적층 고정되고, 제1자성부재(31)의 일측으로 제2자성부재(32)가 이격된 상태로 적층된다.
여기서, 감응볼부(363)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볼안착부(361)와 제2볼안착부(362)에 모두 삽입된 상태를 이루거나 제1볼안착부(361)에만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볼안착부(362)는 10개가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또한, 제1볼안착부(361)는 8개가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이때, 제1볼안착부(361)는 2개씩 짝을 이루고 있다.
먼저, 원주 방향에서 첫번째짝과 세번째짝인 제1볼안착부(361)는 제2볼안착부(362)와 연통되고, 제1볼안착부(361)와 제2볼안착부(362) 사이에서 감응볼부(363)가 왕복 이동 가능하다. 다음으로, 원주 방향에서 두번째짝과 네번째짝인 제1볼안착부(361)는 제1허브부재(34)의 측벽과 마주한다.
제2허브부재(35)를 중심으로 제1허브부재(34)를 회전시키면, 제1허브부재(34)는 제2볼안착부(362)에 삽입된 감응볼부(363)를 가압하여 제1볼안착부(361)로 이동시킨다. 제1볼안착부(361)에 삽입된 감응볼부(363)는 제2자성부재(32)의 자력에 의해 지지되다가 후속하는 제2볼안착부(362)와 제1볼안착부(361)가 일치되는 경우,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속하는 제2볼안착부(36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감응볼부(363)가 제1허브부재(34)의 회전에 따라 제2볼안착부(362)에 삽입 또는 이탈을 반복하면서 안정된 회전을 유지시킨다. 이때, 감응볼부(363)가 제2볼안착부(362)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동작을 통해 제1허브부재(34)의 회전 동작 여부를 느낄 수 있다.
특히, 제1허브부재(34)의 회전 동작에서 유동이 발생하여도, 제1자성부재(31)와 제2자성부재(32) 사이의 자력 또는 제1자성부재(31)와 제3자성부재(33) 사이의 자력으로 인해 제2자성부재(32)와 제3자성부재(33)는 제1자성부재(31)의 중심에 위치되어 제1허브부재(34)와 제2허브부재(35)의 동심도를 항상 유지시킬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를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는 수납공간(11)이 형성되는 바디유닛(10)과, 바디유닛(10)에서 이격 배치되는 조작유닛(20)과, 바디유닛(10)과 조작유닛(20)을 연결하고 조작유닛(20)의 왕복과 회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자력에 의해 조작유닛(20)을 원위치로 복원시키거나 조작유닛(20)의 동심도를 유지시키는 복원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노브를 통해 조작유닛(20)의 그립감을 향상시키고, 조작유닛(20)의 왕복과 회전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복원력과 동심도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바디유닛(10)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딩제어유닛(60)이 고정되는 기판고정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기판고정부(13)는 슬라이딩제어유닛(60)의
슬라이딩기판부(62)를 바디유닛(10)에 고정시킴으로써, 조작유닛(20)이 복원유닛(30)의 왕복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슬라이딩기판부(62)의 유동을 억제 또는 방지하고, 조작유닛(20)의 이동 상태를 안정되게 감지할 수 있다.
수납공간(11)에는 후술하는 복원유닛(30)과 슬라이딩유닛(50)과 슬라이딩제어유닛(60)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조작유닛(20)은 복원유닛(30)에 결합되는 제1조작부재(21)와, 조작공간(24)을 형성하도록 제1조작부재(21)에 결합되는 제2조작부재(22)를 포함하고, 광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부가 고정되도록 제1조작부재(21) 또는 제2조작부재(22)에 결합되는 제3조작부재(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조작부재(21)는 복원유닛(30)의 제1허브부재(34)에 결합 고정된다. 제1조작부재(21)에는 조작공간(24)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복원제어유닛(40)이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조작공간(24)을 통해 조작유닛(20)의 동작은 복원제어유닛(40)에 간섭되지 않는다.
상술한 반사부는 조작유닛(20)의 왕복 동작에 따른 광신호를 반사시키는 왕복반사부(412)와, 조작유닛(20)의 회전 동작에 따른 광신호를 반사시키는 회전반사부(4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조작부재(22)에는 왕복반사부(412)와 회전반사부(4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안착되는 반사안착부(2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3조작부재(23)는 제2조작부재(22)의 둘레에 구비되는 회전반사부(42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조작유닛(20)과 조작유닛(20)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복원제어유닛(40)을 안정되게 보호하고, 조작유닛(20)의 동작이 복원제어유닛(4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복원제어유닛(40)에 포함되는 반사부를 안정되게 고정시키고, 조작유닛(20)의 왕복 또는 회전 동작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에서복원유닛(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유닛(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원유닛(30)은 제1자성부재(31)를 바디유닛(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37)는 제1자성부재(31)의 둘레를 지지하는 둘레지지부(371)와, 둘레지지부(371)에 구비되어 제1자성부재(31)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고정부(37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둘레지지부(371)의 양측에는 각각 걸림고정부(373)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재(37)는 제1자성부재(31)가 안착되도록 둘레지지부(371)에서 연장되는 바닥지지부(3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둘레지지부(371)의 일측에는 걸림고정부(373)가 구비되고, 둘레지지부(371)의 타측에는 바닥지지부(37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37)에는 제1자성부재(31)를 감싸는 둘레지지부(371)를 구획하는 탄성슬릿부(372)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슬릿부(372)가 구비됨에 따라 제1자성부재(31)가 고정부재(37)에 삽입될 때, 둘레지지부(371)가 탄성 변형되면서 제1자성부재(31)의 삽입 고정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복원유닛(30)과 복원유닛(30)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제2자성부재(32)의 왕복 동작에 따라 제1자성부재(31)와 제2자성부재(32) 사이에서 극성이 변환될 때의 하중 변화를 통해 제2자성부재(32)의 왕복 상태를 간편하게 인식하여 안정되게 조작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복수 개로 이루어진 제1자성부재(31)를 안정되게 바디유닛(10)에 고정시키고, 제1자성부재(31)에 의해 발생되는 척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제1자성부재(31)가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복수 개의 제1자성부재(31)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자성부재(31)와 고정부재(37)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제1자성부재(31)와 고정부재(37) 사이의 조립 과정에서 고정부재(37)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는 조작유닛(20)의 왕복과 회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를 제어하는 복원제어유닛(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원제어유닛(40)은 조작유닛(20)의 왕복 상태를 감지하는 왕복감지부(41)와 조작유닛(2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회전감지부(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왕복감지부(41)와 회전감지부(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복원기판부(43)를 더 포함하며, 복원기판부(43)를 복원유닛(30)에 고정시키는 복원하우징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왕복감지부(41)는 조작유닛(20) 또는 제1허브부재(34)의 왕복에 따라 광신호를 수광 또는 발광하는 왕복신호부(411)와, 왕복신호부(411)의 광신호를 반사시키는 왕복반사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왕복신호부(411)는 복원기판부(43)에 구비되고, 왕복반사부(412)는 조작유닛(20)의 바닥에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복원제어유닛(40)은 조작유닛(20) 또는 제1허브부재(34)의 왕복에 따라 왕복반사부(412)에서 반사되는 광신호의 변화를 왕복신호부(411)가 감지하여 조작유닛(20) 또는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상태를 감지하고, 왕복 상태에 따라 신호를 안정되게 처리할 수 있다.
회전감지부(42)는 조작유닛(20) 또는 제1허브부재(34)의 회전에 따라 광신호를 수광 또는 발광하는 회전신호부(421)와, 회전신호부(421)의 광신호를 반사시키는 회전반사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신호부(421)는 복원기판부(43)에 구비되고, 회전반사부(422)는 조작유닛(20) 또는 제1허브부재(34)의 회전에 따른 가상의 원에 내접 또는 외접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조작유닛(20)의 둘레에 구비된다. 복원제어유닛(40)은 조작유닛(20) 또는 제1허브부재(34)의 회전에 따라 회전반사부(422)에서 반사되는 광신호의 변화를 회전신호부(421)가 감지하여 조작유닛(20) 또는 제1허브부재(34)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고, 회전 상태에 따라 신호를 안정되게 처리할 수 있다.
복원기판부(43)는 복원하우징부(44)에 고정되고, 복원하우징부(44)는 복원유닛(30)의 제2허브부재(35)에 결합 고정된다. 이때, 복원하우징부(44)에는 회전신호부(421)와 왕복신호부(411)를 노출시키는 복원홀부(441)가 개구되어 광신호의 수광과 발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복원제어유닛(40)과 복원제어유닛(40)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조작유닛(20)의 왕복 또는 회전 동작 상태를 이용하여 주변기기를 안정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작유닛(20)의 동작 상태에 따라 왕복 또는 회전 상태를 안정화시키고, 조작유닛(20)의 동작 신호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작유닛(20) 내부에 복원제어유닛(40)을 안정되게 실장시켜 보호할 수 있고, 조작유닛(20)의 동작에서 복원제어유닛(40)이 간섭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는 조작유닛(20)의 조작에 따라 복원유닛(30)의 왕복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복원유닛(30)을 지지하는 슬라이딩유닛(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유닛(50)은 복원유닛(30)의 제2허브부재(35)에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부재(51)와, 바디유닛(10)에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부재(52)와, 제1슬라이딩부재(51)와 제2슬라이딩부재(52)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슬라이딩부재(53)와, 복원유닛(30)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로부(54)는 복원유닛(30)이 제1방향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경로부(541)와,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경로부(5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방향은 복원유닛(30)의 왕복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에 대해서 제1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이다.
제1경로부(541)와 제2경로부(542)는 각각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홈과, 홈을 따라 이동되는 돌기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슬라이딩유닛(50)과 슬라이딩유닛(50)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조작유닛(20)의 동작 범위를 확장시키고, 하나의 조작유닛(20)을 통해 수직 왕복과 수평 왕복은 물론 회전 동작을 일원화할 수 있고, 조절노브를 컴팩트화 또는 모듈화하여 조절노브의 설치 면적을 축소시키며, 조작유닛(20)의 동작을 다양화할 수 있다. 또한, 조작유닛(2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복원유닛(30)의 슬라이드 이동을 부드럽게 하고, 슬라이딩부재 간의 마찰력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재 간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조작유닛(20)의 왕복 이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는 슬라이딩유닛(50)을 통한 복원유닛(30)의 이동 상태를 제어하는 슬라이딩제어유닛(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제어유닛(60)은 슬라이딩유닛(50)을 통한 복원유닛(30)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는 슬라이딩감지부(61)와, 바디유닛(10)에 결합되어 슬라이딩감지부(61)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슬라이딩기판부(62)를 포함하고, 복원유닛(30)에 결합되어 복원유닛(30)의 위치를 나타내는 슬라이딩하우징부(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감지부(61)는 자력을 감지하는 위치감지부(611)와, 자력을 가지고 슬라이딩하우징부(63) 또는 복원유닛(30)의 제2허브부재(35)에 구비되는 위치이동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제어유닛(60)은 위치이동부(612)의 이동에 따라 위치감지부(611)에서 자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조작유닛(20) 또는 제2허브부재(35)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고, 이동 상태에 따라 신호를 안정되게 처리할 수 있다.
슬라이딩하우징부(63) 또는 제2허브부재(35)에는 위치이동부(612)를 고정시키는 부품안착부(633)가 구비될 수 있다. 위치이동부(612)는 부품안착부(633)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부품안착부(633)에는 위치이동부(612)가 삽입 지지되는 지지돌부(634)와, 부품안착부(633)의 둘레에 구비되어 위치이동부(612)를 밀착 지지하는 안착돌부(635)가 포함될 수 있다. 부품안착부(633)에는 위치이동부(612)를 노출시키는 감지홀부(636)가 구비되어 자력의 감지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 지지돌부(634)와 안착돌부(635)를 통해 위치이동부(612)의 고정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하우징부(63)와 복원유닛(30)의 제2허브부재(35)는 돌기와 홈의 끼움 결합을 통해 슬라이딩하우징부(63)를 제2허브부재(35)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하우징부(63)에는 둘레를 따라 걸림슬릿부(631)가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걸림슬릿부(631)는 제2허브부재(35)에 구비될 수 있다. 걸림슬릿부(631)는 슬라이딩하우징부(63) 또는 제2허브부재(35)의 둘레에 관통 형성되어 슬라이딩하우징부(63)와 제2허브부재(35)의 끼움 결합에서 슬라이딩하우징부(63) 또는 제2허브부재(35)가 탄성 변형되면서 끼움 결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하우징부(63)에는 배선홀부(632)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배선홀부(632)에는 복원제어유닛(40)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이 통과함으로써, 배선의 노출을 방지하고, 배선이 조작유닛(20)의 동작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슬라이딩제어유닛(60)과 슬라이딩제어유닛(60)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조작유닛(20)의 슬라이드 동작 상태를 이용하여 주변기기를 안정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작유닛(20)의 슬라이드 동작 상태를 안정화시키고, 조작유닛(20)의 동작 신호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바디유닛(10) 내부에 슬라이딩제어유닛(60)을 안정되게 실장시켜 보호할 수 있고, 조작유닛(20)의 동작에서 슬라이딩제어유닛(60)이 간섭되는 것을 억제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의 왕복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의 왕복 동작을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원유닛의 왕복 동작에서 왕복감지부의 감지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 10과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의 왕복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유닛(10)에서 조작유닛(20)이 이격된 상태를 이루고, 조작유닛(20)의 제1조작부재(21)는 복원유닛(30)의 제1허브부재(34)에 고정된다. 복원유닛(30)의 제1자성부재(31)는 고정부재(37)를 매개로 바디유닛(10)에 고정되며, 복원유닛(30)의 제2허브부재(35)는 슬라이딩유닛(50)을 통해 바디유닛(10)에 지지된다.
조작유닛(20)을 바디유닛(10) 측으로 가압하면, 제1허브부재(34)는 제1자성부재(3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자성부재(32)는 제1자성부재(31)에서 이격된 상태로 제1자성부재(31)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제1자성부재(31)와 제2자성부재(32) 사이의 극성 변화를 통해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동작 여부를 느낄 수 있다. 또한, 감응볼부(363)가 자력에 의해 제1볼안착부(361)와 제2볼안착부(362) 사이에서 이동되는 동작을 통해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동작 여부를 느낄 수 있다.
조작유닛(20)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해제되면, 제1허브부재(34)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해제되고, 제1자성부재(31)와 제3자성부재(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척력이 제2자성부재(32)에 작용함에 따라 자력에 의해 제2자성부재(32)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특히,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동작에서 유동이 발생하여도, 제1자성부재(31)와 제2자성부재(32) 사이의 자력 또는 제1자성부재(31)와 제3자성부재(33) 사이의 자력으로 인해 제2자성부재(32)와 제3자성부재(33)는 제1자성부재(31)의 중심에 위치되어 제1허브부재(34)와 제2허브부재(35)의 동심도를 항상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복원제어유닛(40)은 조작유닛(20) 또는 제1허브부재(34)의 왕복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왕복신호부(411)와 왕복반사부(412) 사이의 거리가 변하고, 왕복반사부(412)에서 반사되는 광신호의 변화를 왕복신호부(411)가 감지하여 조작유닛(20) 또는 제1허브부재(34)의 왕복 상태를 감지하고, 왕복 상태에 따라 신호를 안정되게 처리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의 회전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의 회전 동작을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의 회전 동작에서 회전감지부의 감지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 12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의 회전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유닛(10)에서 조작유닛(20)이 이격된 상태를 이루고, 조작유닛(20)의 제1조작부재(21)는 복원유닛(30)의 제1허브부재(34)에 고정되고, 복원유닛(30)의 제1자성부재(31)는 고정부재(37)를 매개로 바디유닛(10)에 적층 고정되며, 복원유닛(30)의 제2허브부재(35)는 슬라이딩유닛(50)을 통해 바디유닛(10)에 지지된다.
여기서, 감응볼부(363)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볼안착부(361)와 제2볼안착부(362)에 모두 삽입된 상태를 이루거나 제1볼안착부(361)에만 삽입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조작유닛(20)을 회전시키면, 제2허브부재(35)를 중심으로 제1허브부재(34)가 회전되고, 제1허브부재(34)는 제2볼안착부(362)에 삽입된 감응볼부(363)를 가압하여 제1볼안착부(361)로 이동시킨다. 제1볼안착부(361)에 삽입된 감응볼부(363)는 제2자성부재(32)의 자력에 의해 지지되다가 후속하는 제2볼안착부(362)와 제1볼안착부(361)가 일치되는 경우,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속하는 제2볼안착부(362)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감응볼부(363)가 제1허브부재(34)의 회전에 따라 감응볼부(363)가 제2볼안착부(362)에 삽입 또는 이탈을 반복하면서 안정된 회전을 유지시킨다. 이때, 감응볼부(363)가 제2볼안착부(362)에 삽입 또는 이탈되는 동작을 통해 제1허브부재(34)의 회전 동작 여부를 느낄 수 있다.
특히, 제1허브부재(34)의 회전 동작에서 유동이 발생하여도, 제1자성부재(31)와 제2자성부재(32) 사이의 자력 또는 제1자성부재(31)와 제3자성부재(33) 사이의 자력으로 인해 제2자성부재(32)와 제3자성부재(33)는 제1자성부재(31)의 중심에 위치되어 제1허브부재(34)와 제2허브부재(35)의 동심도를 항상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복원제어유닛(40)은 조작유닛(20) 또는 제1허브부재(34)의 회전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신호부(421)와 회전반사부(422) 사이 광반사각이 변하고, 회전반사부(422)에서 반사되는 광신호의 변화를 회전신호부(421)가 감지하여 조작유닛(20) 또는 제1허브부재(34)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고, 회전 상태에 따라 신호를 안정되게 처리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의 슬라이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의 슬라이딩 동작을 도시한 종단면도로써, 도 14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절노브의 슬라이드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유닛(10)에서 조작유닛(20)이 이격된 상태를 이루고, 조작유닛(20)의 제1조작부재(21)는 복원유닛(30)의 제1허브부재(34)에 고정되고, 복원유닛(30)의 제1자성부재(31)는 고정부재(37)를 매개로 바디유닛(10)에 적층 고정되며, 복원유닛(30)의 제2허브부재(35)는 슬라이딩유닛(50)을 통해 바디유닛(10)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복원유닛(30)은 제1자성부재(31)의 중심에 안정되게 지지된다.
조작유닛(20)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복원유닛(30)은 제1방향으로 이동되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유닛(30)의 제2허브부재(35)에 고정된 제1슬라이딩부재(51)는 제1경로부(541)를 통해 제1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제3슬라이딩부재(53)는 제2경로부(542)에 의해 제2슬라이딩부재(52)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조작유닛(20)에 가해지는 이동력을 제거하면, 제1자성부재(31)와 제2자성부재(32)와 제3자성부재(33) 사이의 자력에 의해 제1슬라이딩부재(51)는 제1경로부(541)를 통해 제1방향으로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조작유닛(20)을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복원유닛(30)은 제2방향으로 이동되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유닛(30)의 제2허브부재(35)에 고정된 제1슬라이딩부재(51)는 제1경로부(541)에 의해 제3슬라이딩부재(53)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3슬라이딩부재(53)는 제2경로부(542)를 통해 제2방향으로 이동된다.
조작유닛(20)에 가해지는 이동력을 제거하면, 제1자성부재(31)와 제2자성부재(32)와 제3자성부재(33) 사이의 자력에 의해 제3슬라이딩부재(53)는 제2경로부(542)를 통해 제2방향으로 이동되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때, 슬라이딩제어유닛(60)은 위치이동부(612)의 이동에 따라 위치이동부(612)와 위치감지부(611) 사이의 거리가 변하고, 위치감지부(611)에서 거리 변화에 따른 자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조작유닛(20) 또는 제2허브부재(35)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고, 이동 상태에 따라 신호를 안정되게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바디유닛 11: 수납공간 13: 기판고정부
20: 조작유닛 21: 제1조작부재 22: 제2조작부재
23: 제3조작부재 24: 조작공간 25: 반사안착부
30: 복원유닛 31: 제1자성부재 311: 제1자성체
312: 제2자성체 313: 스페이서 32: 제2자성부재
33: 제3자성부재 34: 제1허브부재 35: 제2허브부재
351: 고정돌부 36: 감응부재 361: 제1볼안착부
362: 제2볼안착부 363: 감응볼부 364: 감응설정부
365: 감응턱부 37: 고정부재 371: 둘레지지부
372: 탄성슬릿부 373: 걸림고정부 375: 바닥지지부
40: 복원제어유닛 41: 왕복감지부 411: 왕복신호부
412: 왕복반사부 42: 회전감지부 421: 회전신호부
422: 회전반사부 43: 복원기판부 44: 복원하우징부
441: 복원홀부 50: 슬라이딩유닛 51: 제1슬라이딩부재
52: 제2슬라이딩부재 53: 제3슬라이딩부재 54: 경로부
541: 제1경로부 542: 제2경로부 60: 슬라이딩제어유닛
61: 슬라이딩감지부 611: 위치감지부 612: 위치이동부
62: 슬라이딩기판부 63: 슬라이딩하우징부 631: 걸림슬릿부
632: 배선홀부 633: 부품안착부 634: 지지돌부
635: 안착돌부 636: 감지홀부

Claims (27)

  1. 자력을 갖는 제1자성부재; 상기 제1자성부재에 삽입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자성부재에서 이격 배치되고, 자력을 갖는 제2자성부재; 상기 제2자성부재에 삽입 고정되는 제1허브부재; 및 상기 제1허브부재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제1허브부재의 왕복 경로와 회전 경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형성하는 제2허브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허브부재가 상기 제2허브부재에서 동작된 후, 상기 제1자성부재와 상기 제2자성부재 사이에 발생하는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허브부재의 왕복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자성부재와 상기 제2자성부재는 서로 다른 극성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허브부재의 왕복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자성부재와 상기 제2자성부재는 서로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부재와 상기 제2자성부재는,
    초기 위치에서 상기 제1허브부재의 왕복 방향을 따라 극성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부재는,
    상기 제1허브부재의 왕복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자성부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1자성체; 및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도록 상기 제1자성체에 적층되는 제2자성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부재는,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 사이에 삽입 적층되어 상기 제1자성체와 상기 제2자성체를 이격 고정시키는 스페이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유닛.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허브부재의 왕복과 회전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감응부재와, 상기 제2자성부재와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도록 상기 제2허브부재에 고정되는 제3자성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감응부재는,
    자력에 의해 자화되는 감응볼부;
    상기 감응볼부가 삽탈 가능하도록 상호 이격되어 상기 제2허브부재의 둘레를 따라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는 제1볼안착부; 및
    상기 제1허브부재의 왕복과 회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감응볼부의 삽입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허브부재의 둘레를 따라 함몰 또는 관통 형성되는 제2볼안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응부재는,
    상기 제2자성부재 또는 상기 제1허브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감응볼부와 상기 제2자성부재 사이를 이격시키는 감응설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유닛.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허브부재에는,
    상기 제3자성부재가 고정되는 고정돌부; 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원유닛.
  11.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바디유닛;
    상기 바디유닛에서 이격 배치되는 조작유닛; 및
    상기 바디유닛과 상기 조작유닛을 연결하고, 상기 조작유닛의 왕복과 회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조작유닛을 원위치로 복원시키거나 상기 조작유닛의 동심도를 유지시키도록 청구항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원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노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은,
    상기 복원유닛에 결합되는 제1조작부재; 및
    조작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조작부재에 결합되는 제2조작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노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은,
    광신호를 반사시키는 반사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제1조작부재 또는 상기 제2조작부재에 결합되는 제3조작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노브.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의 왕복과 회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태를 제어하는 복원제어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노브.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제어유닛은,
    상기 조작유닛의 왕복 상태를 감지하는 왕복감지부와, 상기 조작유닛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회전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왕복감지부와 상기 회전감지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복원기판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노브.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제어유닛은,
    상기 복원기판부를 상기 복원유닛에 고정시키는 복원하우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노브.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유닛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복원유닛의 왕복 방향에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복원유닛을 지지하는 슬라이딩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노브.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유닛은,
    상기 복원유닛에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부재;
    상기 바디유닛에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부재;
    상기 제1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제2슬라이딩부재 사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슬라이딩부재; 및
    상기 복원유닛의 슬라이드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노브.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부는,
    상기 복원유닛이 제1방향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1경로부; 및
    상기 제1방향과 교차되는 제2방향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제2경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노브.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유닛을 통한 상기 복원유닛의 이동 상태를 제어하는 슬라이딩제어유닛;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노브.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제어유닛은,
    상기 슬라이딩유닛을 통한 상기 복원유닛의 이동 상태를 감지하는 슬라이딩감지부; 및
    상기 바디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슬라이딩감지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슬라이딩기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노브.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제어유닛은,
    상기 복원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복원유닛의 위치를 나타내는 슬라이딩하우징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노브.
  23. 삭제
  2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유닛은,
    상기 제1허브부재의 왕복과 회전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감응부재와, 상기 제1자성부재와 동일한 극성이 마주보도록 상기 제2허브부재에 고정되는 제3자성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노브.
  2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유닛은,
    상기 제1자성부재를 상기 바디유닛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노브.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자성부재의 둘레를 지지하는 둘레지지부; 및
    상기 둘레지지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자성부재에 걸림 결합되는 걸림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노브.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제1자성부재가 안착되도록 상기 둘레지지부에서 연장되는 바닥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노브.
KR1020140092865A 2014-07-22 2014-07-22 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조절노브 KR101673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865A KR101673915B1 (ko) 2014-07-22 2014-07-22 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조절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865A KR101673915B1 (ko) 2014-07-22 2014-07-22 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조절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820A KR20160011820A (ko) 2016-02-02
KR101673915B1 true KR101673915B1 (ko) 2016-11-09

Family

ID=55354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865A KR101673915B1 (ko) 2014-07-22 2014-07-22 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조절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9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04751B (zh) * 2021-04-07 2023-04-18 上海商米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旋转预定位的手柄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4558B1 (ko) 1996-12-21 1999-06-15 이명호 캠스위치 자동 구동 장치
JP2007048483A (ja) 2005-08-05 2007-02-22 Niles Co Ltd 多方向入力装置
JP3177137U (ja) 2012-05-10 2012-07-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4456U (ko) * 1998-12-30 2000-07-25 전주범 세탁기용 어댑터와 인렛커넥터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4558B1 (ko) 1996-12-21 1999-06-15 이명호 캠스위치 자동 구동 장치
JP2007048483A (ja) 2005-08-05 2007-02-22 Niles Co Ltd 多方向入力装置
JP3177137U (ja) 2012-05-10 2012-07-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820A (ko) 201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8074B1 (en) Magnetic manual user interface devices
KR101991719B1 (ko) 카메라 모듈
EP1347481B1 (en) Rotary manipulation type input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10296038B2 (en) Remote control
US20140260776A1 (en) Modular knob system
EP2081206B1 (en) Multidirectional switch
KR102391890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9059529B1 (en) Power outlet with a support platform with inclined surfaces with through holes and a shutter with an incline with a hole
KR101096925B1 (ko) 복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스위치 장치
US8390275B2 (en) Component including magnets for input operation
KR101673915B1 (ko) 복원유닛과 이것을 구비한 조절노브
KR20140096691A (ko) 카메라
JP6369983B2 (ja) 操作感触可変式操作装置
US20110279372A1 (en) Input device having magnetic button structure
WO2014148221A1 (ja) スイッチ装置
KR101706426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JP2011129460A (ja) 入力装置
KR20200000085U (ko)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KR101537023B1 (ko) 조그 셔틀
US9362069B1 (en) Multi-command trigger switch
JP7307473B2 (ja) 押圧スイッチ付き回転式電子部品
JP6629925B1 (ja) ジョイスティックコントローラ
US10528141B2 (en) Remote control with retaining ring
JP2023021909A (ja) 多方向入力装置
CN110450719A (zh) 用于车辆特别是机动车辆的电子电路的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