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977B1 - 다기능성 잠재 권축형 이수축 혼합섬유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섬유 - Google Patents

다기능성 잠재 권축형 이수축 혼합섬유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977B1
KR101672977B1 KR1020140138109A KR20140138109A KR101672977B1 KR 101672977 B1 KR101672977 B1 KR 101672977B1 KR 1020140138109 A KR1020140138109 A KR 1020140138109A KR 20140138109 A KR20140138109 A KR 20140138109A KR 101672977 B1 KR101672977 B1 KR 101672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nylon
weight
shrinkage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8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4083A (ko
Inventor
김병일
호요승
강병호
최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비스
Priority to KR1020140138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97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4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4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84Heating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leaving the spinnerett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amide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8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fibres, filaments, or yarns, having different shrinkag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7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including aramid fibre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4Yarns or threads for use in sports applicatio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8Outdoor fabrics, e.g. tents, tarpaul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한 속건성 및 잠재 권축성과 이수축 혼합섬유 효과를 동시에 발현 하는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 혼합 섬유에 대한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한 혼합 섬유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면 형태가 도면 2에서와 같이 +자 형태이고, 제1성분(110)으로는 나일론 6을 70~95중량%로 하고 여기에 나일론 66의 공중합체의 함량이 5~30중량%인 고수축 폴리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한다. 이때의 폴리아미드 공중합체의 RV값은 2.5~3.5이다. 반대 방향의 제2성분(120)으로는 일반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되 이때의 폴리에스테르 IV값의 범위는 0.45~0.68의 것을 사용한다.
제1성분(110)과 제2성분(120)의 중량 비율은 제1성분(110)이 30~50중량% 범위이고, 제1성분(110) 및 제2성분(120)의 중합체 간의 비수 수축률 차이가 5% 내지 30%인 잠재 권축형 이수축 혼합섬유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기능성 잠재 권축형 이수축 혼합섬유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섬유 {Method for preparing the functional mixture fiber having latent crimping and shrinking characteristics and the mixture fiber prepared thereby}
본 발명은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흡한 속건성, 잠재 권축성 및 이수축 혼합섬유 효과를 동시에 발현하는 다기능성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합성 섬유의 트렌드는 기능성 섬유 개발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일반인들의 생활 수준이 향상되어 스포츠나 레져 활동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각종 레저 및 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급증함에 따른 원인으로 분석된다. 또한, 여성복과 남성복에 있어서 가장 중요시되었던 촉감의 차별화 부분도 여전히 강조되고 있다. 최근의 원단의 용도에 있어 캐주얼과 포멀웨어, 남성복과 여성복 등의 경계가 없어지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한 트렌드이다. 캐주얼과 아웃도어의 시장이 점점 증가 추세가 되어 여기에 기존 포멀웨어 시장에서 강조되던 감성적 부분이 결합되는 소재의 개발이 시급한 현실이다.
기능성 중에서는 가장 강조되는 것이 신축성 기능으로써 이젠 모든 원단의 기본적 요소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신축성 기능 하나로는 기능성 소재라고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복합 기능성이 요구되는 현실이다. 신축성 기능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본적 바탕으로 하고 여기에 포멀웨어에서 강조되는 감성적 촉감 부분이 복합되어야 비로써 신소재라 할 수 있다. 기존 합성 소재들은 기능성에 너무 치우치다 보니 이런 감성적 촉감 부분을 간과하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감성적 촉감 부분에서 가장 강조되는 부분은 역시 볼륨감 있는 소프트 촉감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원사 소재의 볼륨감 소프트 촉감을 만들기 위해서는 이수축 복합섬유사와 같이 수축율 편차를 이용하여 효과사를 원단 표면으로 돌출시키는 기술이 필요하다. 또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능성 부분에 있어 탄성 및 신축 회복성이 우수한 것은 기본이기 때문에 다른 기능성을 추가하기를 시장에선 원하고 있다. 그중 소비자들이 가장 원하는 기능성은 인체 활동시 배출되는 땀을 잘 흡수하고 빨리 건조시킬 수 있는 흡한 속건성 기능을 꼽을 수 있다. 활동성 의복을 위한 섬유 소재의 경우, 팔꿈치 굽힘, 고개숙 임 같은 인체 활동시 나타나는 의복의 크기를 고려하여 우수한 신축성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동시에 격렬한 활동시 인체에서 분비되는 다량의 땀을 신속하게 흡수 및 건조, 배출하기 위해 흡한 속건성 요구는 점점 증가 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감성적 측면 중 시각 효과에 있어 기존의 솔리드 톤을 요구하던 흐름에서 최근 들어 멜란지 또는 샴부레이 효과 발현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고 있다.
우수한 신축성을 가진 섬유 소재로서 잠재 권축사를 들 수 있는바 상기 소재는 일반적으로 비상용성인 2종 이상의 중합체를 복합방사하고, 이를 후속공정에서 열처리하여 제조한다.
이러한 잠재 권축형 복합사의 예로써, 일본특허 JP 평2-53925은 각각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과 폴리우레탄을 조합하여 복합 용융방사한 잠재 권축섬유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중합체들의 조합에 의한 복합 섬유의 경우 염색성의 차이에 의한 불균일 염색의 문제를 피할 수 없고 중합체간의 상용성이 부족하여 권축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종 중합체의 사용에 따른 염색성, 상용성 등의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점도를 달리한 동종 계열 중합체의 조합을 이용하는 것도 개시되어 있으나, 이 경우 방사시 노즐 표면에 곡사 현상이 발생하여 방사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특허 JP 소61-26612 및 JP 소61-28912는 동일계의 단일 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각각 저수축 및 고수축 부분으로 사용한 잠재 권축성 복합 섬유를 개시하고 있는데, 이 경우는 반발 탄성이 양호하며, 신축성 역시 좋은 결과를 나타낸다. 하지만 이 경우, 신축성이란 부분은 만족할 수준이지만, 이수축 효과에 의한 감성적 촉감 발현에서는 부족한 면을 나타낸다. 국내특허 공개번호 10-2004-0049439의 경우 수축율이 다른 나일론 폴리머 2개 성분을 이용하여 노즐 단면 역시도 흡한 속건 기능을 발현하기 위해 개발 제안하였으나, 이 역시도 기능성 부분인 신축성과 흡한 속건 기능에 대한 부분만 강조하고 있는 한계점이 있다.
이수축 효과 발현에 대해서는 기존 수 많은 특허들이 나와 있으며, 가장 대표적으로는 POY(부분연신사)와 일반 SDY(Spin Drawm Yarn), FDY(Full Drawn Yarn) 소재사를 복합하여, POY를 효과사로 해서 원단 표면 돌출함에 따른 촉감 발현이 기본적 개념이다. 이런 특허들은 전부 이수축 효과만을 강조할 뿐 아니라 원사 공정도 전부 2 단계로 제조되기 때문에 제조 원가 및 생산량이 급격히 떨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한편, 섬유에 흡한 속건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가장 공정성 측면에서 우수한 이형 단면을 이용하여 모세관 현상에 의해 발현하는 기술이 현재 가장 널리 보급되고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많은 잠재 권축형 신축성 소재 개발에 대한 특허들이 많이 개발되었으나, 기존 특허들 모두 동일 폴리머를 사용하되 수축율과 점도차를 이용한 경우가 많았으며, 이러한 경우는 감성적 측면 중 시각적 효과인 멜란지 특성 발현 또한 불가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방사 작업성이 안정하고, 신축 특성이 우수한 동시에 흡한 속건성 및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의 계면 분리를 통한 이수축 혼합섬유 효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성분(110)은 전체 중량 중 30~50%이며 나일론6과 나일론 66 공중합체로 구성되고, 제2성분(120)은 전체 중량 중 50~70%이며 일반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고 각각 용융시켜 별개의 토출공을 통하여 방사하되 토출된 개개의 섬유 상 폴리머가 접합되어 사이드-바이-사이드(side by side)형 단면의 복합섬유를 얻는 방사 단계;
2) 상기 1) 단계에 의하여 얻어진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단면의 복합섬유를 연신하는 단계; 및
3) 상기 연신된 복합섬유를 별도의 히터판에 통과시켜 열처리하는 가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잠재 권축형 이수축 혼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복합방사단면은 +형 단면으로 모세관 현상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잠재 권축형 이수축 혼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성분(110) 및 제2성분(120)의 중합체간의 비수 수축률 차이가 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잠재 권축형 이수축 혼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성분(110)은 제1성분(110) 중량의 70~95%인 나일론 6과 제1성분(110) 중량의 5~30%인 나일론 66 공중합체로 구성된 고수축 폴리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잠재 권축형 이수축 혼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아미드 공중합체의 RV값은 2.5~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잠재 권축형 이수축 혼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성분(120)으로는 일반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며 폴리에스테르 IV값의 범위는 0.45~0.68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잠재 권축형 이수축 혼합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기능성 잠재 권축형 이수축 혼합섬유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잠재 권축형 이수축 혼합섬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신축성과 흡한 속건 기능의 다기능성, 이수축 효과 및 멜란지 톤 발현을 하는 잠재 권축성 복합섬유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 점도차 및 비수축률차를 가진 나일론 6와 나일론66 공중합체의 고수축 폴리 아미드와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와의 잠재 권축성과 이수축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잠재권축성 이수축 혼합섬유 제조방법의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에서 사용한 +자형 노즐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자형 노즐을 이용한 방사 후의 원사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잠재권축성 이수축 혼합섬유 제조방법의 공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사노즐의 +형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형 노즐을 이용한 방사 후의 원사 단면의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잠재 권축형 이수축 혼합섬유는 도 1에서와 같이 방사단계, 연신단계 및 가연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방사단계는 제1성분(110)과 제2성분(120)을 각각 준비하여 도 2의 +형태의 노즐을 이용하여 각각의 토출공을 통하여 방사를 한다. 이때 제1성분(110)과 제2성분(120)의 상기 노즐의 위치는 도 2와 같이 +형태의 노즐 중 하나의 축을 세로로 구분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된 각각 두 개의 구획을 각 성분별로 방사할 수 있다.
토출된 개개의 섬유 상 폴리머는 노즐로 토출된 후 폴리머의 물성에 의해 접합되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 단면을 갖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방사단계 이후의 프로세스는 원단에서 발현하고자 하는 특성에 따라 제조 방식조건을 달리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신축성 발현에 초점을 맞춘다면 미연신사로 방사 권취하여 공지된 열 연신방식으로 열연신하면 된다. 열연신에 의해 적합한 온도는 80℃~140℃이다. 사속은 600m/min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신축성보다 이수축 효과와 울과 같은 소모조 촉감을 원하는 경우는 미연신사로 방사 권취하여 공지된 가연방식으로 가연하면 된다. 이때 가연 온도는 190℃~200℃로 하고, 사속은 500m/min 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축성 뿐 아니라 이수축 효과와 흡한 속건성, 멜란지 톤 발현 효과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 가연 프로세스를 선정하여 진행하였다. 가연 프로세스를 거친 원사는 사이징 작업을 하여 경사 제직 준비 작업을 하며 이후 정경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치수 안정 효과 공정을 거친 후 부드러운 촉감을 발현하기 위해 감량공정을 거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염색공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혼합섬유는 +자 형태의 방사 노즐 단면을 사용함으로써 이형단면의 모세관 성능에 의해 흡수성을 가지고 흡수된 수분은 섬유 표면에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물리적인 운동에 의해 쉽게 배출되게 되어 우수한 흡한 속건성을 나타내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조는 방사 안정성 및 수득 된 섬유의 권축 특성의 면에서도 우수하다.
제1성분(110)과 제2성분(120)의 중량 비율은 제1성분(110) 30~50중량%, 제2성분(120)이 50~30중량%이며 제1성분(110) 및 제2성분(120)의 중합체간의 비수(BWS: Boiling Water Shringkage) 수축율 차이가 5%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성분(110)의 함량이 30중량% 미만이면, 이수축 효과가 줄어들어 원단의 볼륨감과 부드러움(softness)이 급격히 감소하게 되며, 50중량%를 초과하면 되면 제조 공정성이 나빠질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도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심사의 역할을 하는 나일론의 섬도가 굵어져 원단의 강성도(stiffness) 증가하게 되어 원단의 촉감을 저해하는 요소가 된다.
제1성분(110)으로는 나일론6 70~95중량%로 하고 여기에 나일론 66의 공중합체의 함량이 5~30중량%인 고수축 폴리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한다. 이때 나일론 66의 함량이 5중량% 보다 적을 경우는 고수축 특성이 너무 작아 이수축 효과가 급격히 감소하며, 반대로 나일론 66의 함량이 30중량%을 초과할 경우에는 수축율 효과는 양호하나 제사 공정성이 급격히 불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제1성분(110)의 구성으로 적합한 폴리아미드 공중합체의 나일론6를 기본으로 하여 첨가되는 나일론 66의 함량은 5~30중량%가 적당하다.
이때 폴리아미드 공중합체의 황산점도법에 의한 상대점도(R.V)값은 2.5~3.5이며, 반대 방향의 제2성분(120)으로는 일반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되 이때의 폴리에스테르 고유점도(IV)값(dl/g)의 범위는 0.45~0.68의 것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대점도(RV, relative viscosity)의 측정은 ASTM-1P-200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는데, 용매는 황산을 사용하였고 모세관 점도계는 Kenon-Fensk 타입을 사용하였다. 35±0.01℃의 항온조에서 모세관 점도계를 통과하는 순수 용매의 시간(t0)과 고분자 용액의 시간(t)을 측정한 후 다음의 식을 사용하여 상대점도(RV)를 구하였다.
RV = t/t0
또한, 고유점도(IV) (Intrinsic Viscosity )는 각 폴리머를 120℃의 오르토-클로로 페놀에 1% 농도로 충분히 용해 시킨 후, 30℃의 항온조에서 우벨로드형 점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해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비교예의 물성 평가
1)권축율
De'권취량 3,000÷De'÷4 계산하여 Wrap Reel에 권치 한다.
시료를 채취한다.
시료를 1/2로 접어서 1g추를 달아 준다.
시료를 Boiling Water에 98℃에서 20분간 열처리 후 추출하여 1g추 제거 후 4시간 방냉한다.
초하중(6g) 및 중하중(600g)을 걸고, 1분 후 길이 측정(L2)
( L2-L1) ÷ L2 X 100
L1 : 초하중(6g)
L2 : 초하중(6g) + 중하중(600g)
2)신축성
원단의 신축성을 측종 방향으로 1m 길이 채취하여 60℃증류수에 침지,
15분간 비등 그 후 15분 끓인후, 60℃, 2g/l의 erkantol BX수용액중 30초 침지,
다시 끄집어 내어 젖은 상태로 0.2g/D 하중 1min후 X1측정, 50~60℃ 1hr건조 후
1hr방냉하여, 0.002g/D 하중을 1분후 측정한다.
X2 측정 L2측정 K%=((X1-X2)/ X1)100
3)흡수성과 속건성
흡한 속건성은 흡수성 및 건조성을 측정하여 평가한다.
흡수성은 최초의 시료 중량 (A)에 대한, 흡수 후(상온에서 30분) 시료 중량의 증가분 A1의 백분율이다. 건조성은 흡습 포화된 시료를 30분간 온도 20℃, 상대습도 65%하에 건조시킨 후, 시료 중량의 감소분의 백분율이다.
4)방사 작업성의 평가
1일 방사 기준으로 투입된 폴리머의 수량과 생산된 원사의 수량을 조사하여, 수율과 5kg을 Large Package 권량으로 설정했을 시의 만량율을 측정하여 작업성을 평가 하였다.
5)이수축 효과 측정
KES-FB 시스템을 이용하여, KOSHI, NUMERI, FUKURAMI 감을 측정하는데 있어
볼륨을 가장 잘 나타내는 FURAMI의 수치를 이용하였다.
값은 0~10까지로 평가하며 가장 우수한 강한 느낌을 10으로 평가한다.
6)멜란지 효과
산성염료와 분산성 염료를 동시 배합하여 염색시 얻을 수 있는 멜란지 효과의 경우는 육안 판정을 통하여 양호, 보통,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1
단면을 +형태로 하고, 제1성분(110)으로는 나일론6를 90중량%로 하고 여기에 나일론 66의 공중합체의 함량이 10중량%인 고수축 폴리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한다. 이때의 폴리아미드 공중합체의 RV값은 3.3이다. 반대 방향의 제 2성분으로는 일반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되 이때의 폴리에스테르 IV값은 0.64의 것을 사용한다.
제1성분(110)과 제2성분(120)의 중량 비율은 제1성분(110)과 제2성분(120) 각각 50:50으로 하여, 잠재 권축형 이수축 혼합섬유사를 제조하였다. 방사온도 290℃, 방사속도 3000m/min에서의 POY PROCESS로 원사를 방사한다. 이렇게 제조된 POY원사를 공지된 가연 방식으로 가연하였고. 이때 가연 온도는 190℃~200℃로 하고, 사속은 500m/min로 하여 제조하였다.
방사, 가연 후 원사의 섬도는 75데니아로 하고 filament수는 24 개로 하여 제사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원사를 사용하여, 사이징 작업을 해서 경사 제직 준비 작업을 한다. 사이징은 일본의 Suzuki 사에서 제조한 소형 기기를 사용하였고, 호제는 PVA 호제를 사용하였다. 사이징 작업 후 역시 같은 회사에서 제조한 1본 정경기를 사용하여 정경 작업을 하였다. 총경사본수는 9,000본으로 하고 성폭은 72"해서 제직 준비를 한다. 제직은 도요다에서 제조한 700 type 에어제트 직기를 사용하였고, 위사의 사종도 경사와 동일한 본 개발품 원사를 사용하였다. 위사 밀도는 96본/inch 조직은 이중직 조직으로 하여 제직을 완료하였다. 이렇게 제직된 직물을 로타리 워셔 정련기에서 120도, 30분 축소 후, 열텐타를 사용하여 190℃에서 1분간 열셋팅하여,치수 안정 효과를 위한 공정을 거친 뒤, 1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100℃에서, 15분간 감량공정을 해서 부드러운 촉감을 발현하게 한다. 감량 공정 후 수세, 건조 후 130℃에서 염색을 한다. 이때 분산염료와 산성염료를 동시에 사용하여 폴리에스테르와 나일론 부분을 동시에 염색한다.
염색후 핀텐터를 이용하여 최종 직물 폭을 고정 한 후, 원단 및 원사의 각종 품질을 측정한다.
실시예 2
단면을 +형태로 하고, 제1성분(110)으로는 나일론6를 90중량%로 하고 여기에 나일론 66의 공중합체의 함량이 10중량%인 고수축 폴리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한다. 이때의 폴리아미드 공중합체의 RV값은 3.3이다. 반대 방향의 제 2성분으로는 일반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되 이때의 폴리에스테르 IV값은 0.64의 것을 사용한다.
1성분과 2성분의 중량 비율은 1성분과 2성분 각각 30:7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비교예 1
제1성분(110)과 제2성분(120)의 중량 비율을 각각 60:4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비교예 2
제1성분(110)과 제2성분(120)의 중량 비율을 각각 20:8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실시예 3
단면을 +형태로 하고, 제1성분(110)으로는 나일론6를 95중량%로 하고 여기에 나일론 66의 공중합체의 함량이 5중량%인 고수축 폴리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
실시예 4
단면을 +형태로 하고, 제1성분(110)으로는 나일론6를 70중량%로 하고 여기에 나일론 66의 공중합체의 함량이 30중량%인 고수축 폴리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
비교예 3
단면을 +형태로 하고, 제1성분(110)으로는 나일론6를 100중량%로 한 일반 폴리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비교예1과 동일하다.
비교예 4
단면을 +형태로 하고, 제1성분(110)으로는 나일론6를 60중량%로 하고 여기에 나일론 66의 공중합체의 함량이 40중량%인 고수축 폴리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비교예1과 동일하다.
실시예 5
단면을 +형태로 하고, 제1성분(110)으로는 나일론6를 90중량%로 하고 여기에 나일론 66의 공중합체의 함량이 10중량%인 고수축 폴리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한다. 이때의 폴리아미드 공중합체의 RV값은 3.3이다. 반대 방향의 제2성분(120)으로는 일반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되 이때의 폴리에스테르 IV를 0.48의 것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
실시예 6
반대 방향의 제2성분(120)으로는 일반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되 이때의 폴리에스테르 IV를 0.68의 것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
비교예 5
반대 방향의 제2성분(120)으로는 일반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되 이때의 폴리에스테르 IV를 0.42의 것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비교예1과 동일하다.
비교예 6
반대 방향의 제2성분(120)으로는 일반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되 이때의 폴리에스테르 IV를 0.70의 것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비교예1과 동일하다.
실시예 7
단면을 +형태로 하고, 제1성분(110)으로는 나일론6를 90중량%로 하고 여기에 나일론 66의 공중합체의 함량이 10중량%인 고수축 폴리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한다. 이때의 폴리아미드 공중합체의 RV값을 2.6으로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
실시예 8
단면을 +형태로 하고, 제1성분(110)으로는 나일론6를 90중량%로 하고 여기에 나일론 66의 공중합체의 함량이 10중량%인 고수축 폴리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한다. 이때의 폴리아미드 공중합체의 RV값을 4.0 으로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1과 동일하다.
비교예 7
단면을 +형태로 하고, 제1성분(110)으로는 나일론6를 90중량%로 하고 여기에 나일론 66의 공중합체의 함량이 10중량%인 고수축 폴리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한다. 이때의 폴리아미드 공중합체의 RV값을 1.8로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비교예1과 동일하다.
비교예 8
단면을 +형태로 하고, 제1성분(110)으로는 나일론 6을 90중량%로 하고 여기에 나일론 66의 공중합체의 함량이 10중량%인 고수축 폴리아미드를 주성분으로 한다. 이때의 폴리아미드 공중합체의 RV값을 4.3으로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비교예1과 동일하다.



항목
폴리머 성분 비율

PET


나일론RV


방사
공정
성(만권율기준)


권축율(%)


신축성
(%)


이수축효과


멜란지효과
NYLON(1성분)
PET(2성분)전체비율(중량%)
NYLON 전체
비율
(중량%)
NYLON6
상대
분율
(중량%)
NYLON66 상대
분율
(중량%)
실시예1 50 90 10 50 0.64 3.3 42 28 10
실시예2 30 90 10 70 0.64 3.3 38 26 10
비교예1 60 90 10 40 0.64 3.3 12 4 9
비교예2 20 90 10 80 0.64 3.3 × 24 12 4 ×
실시예3 50 95 5 50 0.64 3.3 36 24 9
실시예4 50 70 30 50 0.64 3.3 46 32 9
비교예3 60 100 0 40 0.64 3.3 12 6 ×
비교예4 60 60 40 40 0.64 3.3 × 48 34 10
실시예5 50 90 10 50 0.48 3.3 46 32 10
실시예6 50 90 10 50 0.68 3.3 36 26 2
비교예5 60 90 10 40 0.42 3.3 × 48 33 9
비교예6 60 90 10 40 0.70 3.3 × 35 24 5
실시예7 50 90 10 50 0.64 2.6 46 32 10
실시예8 50 90 10 50 0.64 4 46 32 10
비교예7 60 90 10 40 0.64 1.8 × 14 5 3
비교예8 60 90 10 40 0.64 4.2 × 34 24 10
[표 1]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1-8은 비교예를 볼 때 방사 공정성, 권축율, 신축성, 이수축효과, 멜란지효과 등을 볼 때 우수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2에서 나일론의 전체비율을 30중량%로 하여도, 실시예 3, 4에서 나일론 6의 상대분율%를 95%, 70%로 변동이 있어도 청구항의 기재범위 내에서는 만족할 만한 결과를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나일론 전체비율이 실시예의 범위인 30~50중량%을 벗어난 비교예1, 2는 방사공정성에서 문제가 있고 특히 나일론 전체비율이 상당히 낮은 비교예2(20중량%)는 멜린지 효과도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나일론 66의 성분이 없는 비교예3에서는 권축율(12%),신축율(6%)이 실시예보다 상당히 낮고 따라서 이수축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비교예4는 나일론6의 함량비율이 70중량%보다 작은 60중량%의 경우로 방사공정성에서 기준 이하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PET Ⅳ에서 기준범위를 벗어난 비교예 5,6은 방사공정성에서 만족할만한 효과를 얻지 못했으며, 마지막으로 나일론 RV의 기준범위를 벗어난 비교예7, 8은 방사 공정성의 문제와 비교예7은 특히 권축율, 신축성, 이수축 효과에서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자형 노즐 단면 110: 제1성분(110)
120: 제2성분(120)

Claims (7)

1) 제1성분(110)은 전체 중량 중 30~50%이며 나일론6과 나일론 66 공중합체로 구성되고, 제2성분(120)은 전체 중량 중 50~70%이며 일반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되고 각각 용융시켜 별개의 토출공을 통하여 방사하되 토출된 개개의 섬유 상 폴리머가 접합되어 사이드-바이-사이드(side by side)형 단면의 복합섬유를 얻는 방사 단계;
2) 상기 1) 단계에 의하여 얻어진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단면의 복합섬유를 연신하는 단계; 및
3) 상기 연신된 복합섬유를 별도의 히터판에 통과시켜 열처리하는 가연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성분은 70~95중량%인 나일론 6과 5~30중량%인 나일론 66 공중합체로 구성된 고수축 폴리아미드이며,
상기 폴리아미드 공중합체의 상대점도(R.V)값은 2.5~3.5이고,
상기 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IV)값의 범위는 0.45~0.68의 것으로 하되,
방사공정성, 권축율, 신축성, 이수축효과 및 멜란지 효과에서 우수한 다기능성 잠재 권축형 이수축 혼합섬유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복합방사단면은 +형 단면으로 모세관 현상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잠재 권축형 이수축 혼합섬유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110) 및 제2성분(120)의 중합체 간의 비수 수축률 차이가 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성 잠재 권축형 이수축 혼합섬유의 제조방법.
삭제
삭제
삭제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기능성 잠재 권축형 이수축 혼합섬유.

KR1020140138109A 2014-10-14 2014-10-14 다기능성 잠재 권축형 이수축 혼합섬유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섬유 KR101672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109A KR101672977B1 (ko) 2014-10-14 2014-10-14 다기능성 잠재 권축형 이수축 혼합섬유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섬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8109A KR101672977B1 (ko) 2014-10-14 2014-10-14 다기능성 잠재 권축형 이수축 혼합섬유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섬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083A KR20160044083A (ko) 2016-04-25
KR101672977B1 true KR101672977B1 (ko) 2016-11-17

Family

ID=55918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8109A KR101672977B1 (ko) 2014-10-14 2014-10-14 다기능성 잠재 권축형 이수축 혼합섬유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섬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97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044B1 (ko) * 2003-08-06 2005-06-17 주식회사 휴비스 다엽형단면을 갖는 잠재권축성 열가소성 복합방사필라멘트및 그 제조방법
JP2009270207A (ja) 2008-04-30 2009-11-19 Toray Ind Inc 分割型ポリアミド・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それからなる織編物、繊維製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508B1 (ko) * 2001-12-28 2005-06-07 주식회사 효성 나이론 잠재권축사의 제조방법
GB0217909D0 (en) * 2002-08-01 2002-09-11 Du Pont Chintzed stretch fabric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044B1 (ko) * 2003-08-06 2005-06-17 주식회사 휴비스 다엽형단면을 갖는 잠재권축성 열가소성 복합방사필라멘트및 그 제조방법
JP2009270207A (ja) 2008-04-30 2009-11-19 Toray Ind Inc 分割型ポリアミド・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それからなる織編物、繊維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4083A (ko) 2016-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624B1 (ko) 흡방습성 합성섬유, 이것을 이용한 교락혼섬사, 이것을 이용한 직편물, 및 이것을 이용한 부직포
KR101355669B1 (ko) 복합 섬유 함유 사조
WO2017114313A1 (zh) 芯鞘型复合纤维、假捻丝和纤维构造体
JP2007204864A (ja) 布帛およびそれを用いたインナーウエア、ストッキング
WO2003083194A1 (fr) Fil composite etirable du type ame-gaine et tissu-tricot etirable
JP3473890B2 (ja) ポリエステル系複合繊維
KR100481093B1 (ko) 잠재권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복합섬유 및 그제조방법
KR100700796B1 (ko) 자발 고권축 폴리에스테르 복합 단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방적사 및 부직포
KR101618073B1 (ko) 부분연신사를 이용한 신축성과 드레이퍼리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543113B1 (ko)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가공사
KR101672977B1 (ko) 다기능성 잠재 권축형 이수축 혼합섬유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복합섬유
JP2004277911A (ja) 吸湿性に優れた海島型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吸湿性布帛
JP2006249585A (ja) 複合加工糸及びその織編物
KR100481296B1 (ko)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0496044B1 (ko) 다엽형단면을 갖는 잠재권축성 열가소성 복합방사필라멘트및 그 제조방법
KR100467652B1 (ko) 흡습성이 우수한 신축성 직물의 제조방법
WO2024070727A1 (ja) 織編物
KR102402950B1 (ko) 신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계 ity 복합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476469B1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 방법
KR102586539B1 (ko) 천연섬유 질감을 갖는 중공형 잠재권축성 폴리에스터 섬유
JP3833622B2 (ja) 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の製造方法及び同製造方法により得られるポリエステル複合繊維
KR100517739B1 (ko)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성 복합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074188A (ja) 丸編地および繊維製品
JP3055381B2 (ja) 伸縮性を有する紡績糸を用いてなる織物
JP4866110B2 (ja) 混繊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