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432B1 -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 - Google Patents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432B1
KR101672432B1 KR1020150071264A KR20150071264A KR101672432B1 KR 101672432 B1 KR101672432 B1 KR 101672432B1 KR 1020150071264 A KR1020150071264 A KR 1020150071264A KR 20150071264 A KR20150071264 A KR 20150071264A KR 101672432 B1 KR101672432 B1 KR 101672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utter blade
impeller
fluid inlet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성
Original Assignee
김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성 filed Critical 김윤성
Priority to KR1020150071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7/00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D7/02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 F04D7/04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ous
    • F04D7/045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ous with means for comminuting, mixing stirring or otherwise tr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잘라내어 흡입 및 토출할 수 있는 그라인더 펌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는 유체가 흡입되는 유체흡입구와 유체흡입구로 유입된 유체를 토출하는 유체토출구를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되어 유체를 흡입력 및 토출력을 발생시키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임펠러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유체흡입구에 위치되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절단하는 커터날을 포함하는 그라인더 펌프에 있어서, 상기 유체흡입구는 미리 설정된 직경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유체흡입구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톱니가 형성된 톱니날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터날은 상기 유체흡입구의 내주면에 안착되어 상기 톱니날부의 끝단과 상호작용으로 이물질을 잘라내는 복수 개의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흡입구의 크기를 최대한 확보하여 흡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터날이 임펠러를 보조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흡입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진동에 의해 끼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a grinder pump suction performance is improved}
본 발명은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잘라내어 흡입 및 토출할 수 있는 그라인더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조에는 오폐수를 다른 장소로 이송하기 위한 펌프가 설치되는데, 일반적인 펌프는 오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임펠러에 걸려 구동모터 또는 구동축이 파손될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58091호(2013.4.25.공고)의 "수중 그라인더 펌프"가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수중 그라인더 펌프는 모터유닛; 상기 모터유닛으로부터 연장되는 회전축과 결합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모터유닛과 결합되고, 흡입구 및 토출구가 구비되며, 내부에 임펠러가 설치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흡입구에 설치되어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체 중의 고형물을 절단하는 커터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수중 그라인더 펌프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유체가 흡입되기 전 커터기구에 의해 절단하여 흡입함으로써, 이물질이 임펠러 또는 구동축에 걸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수중 그라인더 펌프는 커터기구의 상단 부분과 흡입구의 저면이 상호작용하여 이물질을 절단하기 때문에 유체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복수 개의 관통된 구멍의 형태로 형성하여 많은 량의 유체를 흡입하지 못해 유체의 흡입성능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물질이 커터기구와 흡입구의 사이에 끼어 커터기구가 정지되면, 임펠러도 함께 정지되어 구동축 또는 구동모터의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물질이 끼인 경우, 그라인더 펌프를 인양하여 수리하거나, 오폐수조의 유체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흡입구의 크기를 최대화시켜 유체의 흡입성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커터기구의 정지시에 임펠러도 함께 정지하는 것을 방지하여 구동축 또는 구동모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커터기구와 흡입구의 사이에 끼인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는 유체가 흡입되는 유체흡입구와 유체흡입구로 유입된 유체를 토출하는 유체토출구를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되어 유체를 흡입력 및 토출력을 발생시키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임펠러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유체흡입구에 위치되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절단하는 커터날을 포함하는 그라인더 펌프에 있어서, 상기 유체흡입구는 미리 설정된 직경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유체흡입구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톱니가 형성된 톱니날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터날은 상기 유체흡입구의 내주면에 위치되고, 상기 톱니날부의 내측 끝단과 상기 커터날의 외측 끝단의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회전력에 의해 잘라내는 복수 개의 날개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날개는 회전 시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하부 끝단과 상부 끝단은 비틀어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톱니날부의 톱니는 상기 날개가 비틀어진 반대방향으로 하부 끝단과 상부 끝단이 비틀어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톱니날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흡입구의 내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톱니날부의 나사산과 상기 유체흡입구의 나사산을 서로 나사체결하는 형태로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커터날과 상기 임펠러를 연결하여 상기 커터날과 상기 유체흡입구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었을 경우, 상기 임펠러만 회전하도록 상기 커터날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커터날과 상기 임펠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제1 클러치판과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제2 클러치판을 포함하는 클러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커터날로 공급되는 동력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상호 이탈되거나 끼워져 상기 커터날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1 클러치판과 상기 제2 클러치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진동발생홈과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진동발생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흡입구의 둘레와 커터날의 둘레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물질을 절단하도록 구성하여 유체흡입구의 크기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유체의 흡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터날이 유체를 흡입할 수 있도록 마치 임펠러와 같이 비틀어져 형성되어 유체의 흡입을 보조함으로써, 유체의 흡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터날과 유체흡입구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어 커터날의 회전이 정지된 경우, 클러치부에 의해 임펠러만 회전하여 구동축 또는 구동모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터날과 유체흡입구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인 경우, 임펠러만 회전하면서 커터날에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끼인 이물질을 진동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의 톱니날부와 커터날을 분해한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의 클러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의 이물질이 끼었을 때 진동발생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로서, 진동발생돌기가 진동발생홈에 맞물린 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의 이물질이 끼었을 때 진동발생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로서, 진동발생돌기가 진동발생홈에서 이탈된 상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100)는 임펠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임펠러(120)는 회전력에 의해 유체를 흡입 및 토출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인(vane)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임펠러(120)는 하단 중앙으로 유체를 흡입하여 둘레방향으로 유체를 토출하도록 베인이 형성된 원심 임펠러일 수 있다.
그리고, 임펠러(120)에는 구동모터(130)의 구동축(131)이 중앙을 관통하여 하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돌출된 구동축(131)의 부분에 하기에 설명할 커터날(150)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100)는 구동모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동모터(130)는 구동축(131)이 임펠러(120)에 결합되어 임펠러(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구동모터(130)는 전기에 의해 회전하는 전기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130)는 케이싱(110)에 의해 감싸질 수 있으며, 수중에 위치되거나, 물밖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100)는 케이싱(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케이싱(110)은 유체가 흡입되는 유체흡입구(111)와 흡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유체토출구(1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싱(110)은 임펠러(120)를 감싸 유체흡입구(111)를 통해 유체를 흡입하여 유체토출구(113)로 토출할 수 있도록 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케이싱(110)은 임펠러(120)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130)까지 감싸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케이싱(110)의 형상은 펌프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에 형성되는 유체흡입구(111)는 톱니날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톱니날부(140)는 케이싱(110)의 유체흡입구(111)와 대응되는 크기로 실질적으로 유체흡입구(111)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멍이 형성되며, 이 구멍의 내주면을 따라 톱니(141)가 형성되어 하기에 설명할 커터날(150)과 상호작용에 의해 이물질을 잘라낼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각 톱니(141)는 절삭하는 길이를 증대시켜 절삭력이 향상되도록 하단과 상단이 나선형태로 비틀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톱니(141)가 기울어지는 방향은 하기에 설명될 커터날(150)의 날개(151)이 기울어져 형성되는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톱니날부(140)는 유체흡입구(111)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톱니날부(140)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분에 톱니(141)가 형성된 유체흡입구(111)가 형성되며, 톱니날부(140)의 둘레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싱(110)에 형성된 유체흡입구(111)의 내주면에는 톱니날부(14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서로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케이싱(110)에 형성된 유체흡입구(111)의 둘레에도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100)는 커터날(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커터날(150)은 유체흡입구(111)를 관통 돌출하여 톱니날부(140)와 상호작용에 의해 이물질을 잘라낼 수 있다.
한편, 커터날(150)은 임펠러(120)의 하부에 위치되어 임펠러(120)와 함께 회전하며, 커터날(150)의 끝단이 톱니(141)의 끝단과 마치 가위와 같이 상호작용에 의해 흡입되는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잘라내는 형태로 분쇄할 수 있다.
그리고 커터날(150)은 복수 개의 날개(151)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커터날(150)은 회전 시 각 날개(151)에 의해 흡입력을 발생할 수 있도록 각 날개(151)의 하단과 상단이 나선형태로 비틀어져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커터날(150)은 톱니(141)의 기울어진 방향과 반대방향의 나선형태로 비틀어져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터날(150)이 톱니(141)와 반대방향으로 비틀어져 형성될 경우, 커터날(150)의 회전 시 커터날(150)의 날개(151)의 끝단과 톱니(141)의 내측 끝단의 사이에서 이물질이 절단되는 부분은 최소화한 상태에서 절삭길이를 증대시켜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의 절삭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100)는 클러치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클러치부(160)는 임펠러(120)와 커터날(150)의 사이에 위치되어 임펠러(120)의 동력을 커터날(150)로 전달하거나, 커터날(150)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클러치부(160)는 유체흡입구(111)와 커터날(150)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어 커터날(150)이 회전하지 못하는 경우, 임펠러(120)만은 계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터날(150)의 급작스런 정지에 의한 구동축(13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클러치부(160)는 제1 클러치판(161)과, 제2 클러치판(16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클러치부(160)는 구동모터(130)의 구동축(131)이 커터날(150)의 중앙을 관통하여 구동축(131)의 부분에서 커터날(15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임펠러(120)와 커터날(150)이 서로 마주하는 어느 하나에는 제1 클러치판(161)이 결합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2 클러치판(165)이 결합되어 제1 클러치판(161)과 제2 클러치판(165)의 마찰력에 의해 임펠러(120)와 커터날(150)이 함께 회전하도록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클러치부(160)는 탄성부재(1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탄성부재(153)는 제1 클러치판(161)과 제2 클러치판(165)의 마찰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제1 클러치판(161)과 제2 클러치판(165) 중 어느 하나를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가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커터날(150)에 제2 클러치판(165)을 결합하고, 커터날(150)을 관통한 구동축(131)에서 커터날(150)이 탄성력에 의해 상향되어 가압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커터날(150)의 하부에 탄성부재(153)를 설치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53)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동축(131)에서 탄성부재(153)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형태로 임펠러(120)와 커터날(150)의 사이에 동력을 차단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153)는 커터날(150)을 구동축(131)에 고정하는 너트(155)에 지지되며, 구동축(131)에 결합되는 너트(155)의 결합위치를 조절하는 형태로 탄성부재(153)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부(160)는 진동발생홈(167)과 진동발생돌기(1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진동발생홈(167)과 진동발생돌기(163)는 예컨대, 커터날(150)과 유체흡입구(111)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어 커터날(150)의 회전이 정지하였을 때, 끼인 이물질이 진동에 의해 제거될 수 있도록 커터날(150)에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진동발생홈(167)과 진동발생돌기(163)는 클러치부(160)에서 제1 클러치판(161)과 제2 클러치판(165) 중 어느 하나에 진동발생홈(167)이 형성될 경우, 다른 하나에 진동발생돌기(16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발생돌기(163)가 진동발생홈(167)에 끼워진 상태에서 임펠러(120)와 커터날(150)이 함께 회전하고, 이물질에 의해 커터날(150)이 정지된 경우, 커터날(150)로 전달되는 동력이 클러치부(160)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커터날(150)이 결합된 제2 클러치판(165)에서 상대적으로 제1 클러치판(161)만 회전한다.
이때,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발생돌기(163)와 진동발생홈(167)은 제1 클러치판(161)과 제2 클러치판(165)에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임펠러(120)의 회전시 진동발생홈(167)에서 진동발생돌기(163)가 이탈과 결합을 반복하면서, 커터날(150)에 진동을 발생하고, 이 진동에 의해 커터날(150)과 유체흡입구(111)에 끼인 이물질을 이탈시킬 수 있다.
여기서, 진동발생돌기(163)는 진동발생홈(167)에서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반구형 또는 반구형보다는 작은 크기의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100)는 구동모터(130)에 임펠러(120)가 결합되고, 임펠러(120)는 케이싱(110)에 의해 감싸져 케이싱(110)에 형성된 유체흡입구(111)로 유체를 흡입한 뒤 흡입된 유체를 유체토출구(113)로 토출한다.
한편, 유체흡입구(111)에는 톱니(141)가 형성된 톱니날부(140)가 설치되며, 톱니날부(140)로는 커터날(150)이 날개(151)에 의해 이물질을 절단할 수 있도록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때, 커터날(150)은 회전 시 유체흡입구(111)가 위치된 방향으로 흡입력을 발생하도록 날개(151)의 하단과 상단이 나선형태로 비틀어져 형성되고, 톱니날부(140)의 톱니(141)들은 커터날(150)의 날개(151)가 비틀어진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비틀어져 이물질을 절단하는 부분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절삭길이를 최대화함으로써, 절삭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커터날(150)은 임펠러(120)에서 돌출된 구동모터(130)의 구동축(131)에 결합되며, 커터날(150)과 임펠러(120)의 사이에는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클러치부(160)가 구비된다.
여기서, 클러치부(160)는 임펠러(120)에 결합된 제1 클러치판(161)과 커터날(150)에 결합되는 제2 클러치판(165)이 탄성부재(153)에 의해 서로 가압되도록 결합되며, 제1클러치판과 제2 클러치판(165)의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진동발생돌기(163)와 진동발생홈(167)이 형성되어 진동발생홈(167)에 진동발생돌기(163)가 끼워진 상태로 면접촉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100)는 구동모터(130)가 임펠러(120)를 회전시키고, 임펠러(120)는 케이싱(110)의 유체흡입구(111)를 통해 유체를 흡입하여 유체토출구(113)로 토출한다.
한편, 구동모터(130)가 임펠러(120)를 회전시키면, 임펠러(120)의 하부에 위치되는 커터날(150)도 함께 회전하여 커터날(150)의 끝단과 톱니날부(140)의 톱니(141)의 사이에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이 절단되면서 유체흡입구(111)로 흡입된다.
이때, 커터날(150)과 톱니날부(140)의 사이에서 이물질이 절단되지 않고 끼인 경우, 클러치부(160)에서 커터날(150)로 제공되는 회전력을 차단하여 커터날(150)은 정지한 상태에서 임펠러(120)는 계속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커터날(150)의 정지에 의한 충격이 임펠러(120) 또는 구동축(131) 또는 구동모터(130)으로 전달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커터날(150)이 정지하면, 제1 클러치판(161)에 형성된 진동발생돌기(163)가 진동발생홈(167)에서 이탈되고, 다시 진동발생돌기(163)가 진동발생홈(167)에 끼워지는 형태로 연속적으로 작용하고, 이 작용에 의해 커터날(150)에 진동이 발생하여 커터날(150)과 톱니날부(140)의 사이에 끼인 이물질이 제거된다.
한편, 이물질이 제거되면, 다시 커터날(150)은 클러치부(160)에 의해 다시 회전력이 전달되어 커터날(150)이 임펠러(120)와 함께 회전하며 이물질을 절단하며 유체를 흡입한다.
아울러, 장시간 그라인더 펌프(100)의 기동으로 톱니날부(140)의 톱니(141)가 마모된 경우, 톱니날부(140)는 유체흡입구(111)에 나사체결되기 때문에 유체흡입구(111)에서 톱니날부(140)만 제거한 후 새것으로 다시 교체하고 커터날(150)도 구동축(131)에서 분리하여 새것으로 교체하는 형태로 커터날(150)과 톱니날부(140)를 교체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100)는 커터날(150)이 유체흡입구(111)의 내주면에서 회전하여 이물질을 절단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유체흡입구(111)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한의 많은 량의 유체를 흡입함으로써, 그라인더 펌프(100)의 흡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터날(150)의 날개(151)가 나선형태로 비틀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임펠러(120)와 함께 흡입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임펠러(120)의 흡입력을 보조하여 흡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터날(150)에 이물질이 끼어 커터날(150)의 정지시 클러치부(160)가 커터날(150)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시켜, 정지에 따른 충격이 임펠러(120)와 구동축(131)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그라인더 펌프(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커터날(150)이 이물질이 끼어 정지시 클러치부(160)에 형성된 진동발생돌기(163)가 진동발생홈(167)을 이탈 및 결합되면서 진동을 발생함으로써, 진동에 의한 이물질을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톱니날부(140) 및 커터날(15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톱니날부(140)와 커터날(150)의 마모 또는 파손 시 톱니날부(140) 및 커터날(150)을 교체함으로써, 절삭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그라인더 펌프 110: 케이싱
111: 유체흡입구 113: 유체토출구
120: 임펠러 130: 구동모터
131: 구동축 140: 톱니날부
141: 톱니 150: 커터날
151: 날개 153: 탄성부재
155: 너트 160: 클러치부
161: 제1 클러치판 163: 진동발생돌기
165: 제2 클러치판 167: 진동발생홈

Claims (6)

  1. 유체가 흡입되는 유체흡입구와 유체흡입구로 유입된 유체를 토출하는 유체토출구를 포함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되어 유체를 흡입력 및 토출력을 발생시키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임펠러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유체흡입구에 위치되어 유체에 포함된 이물질을 절단하는 커터날을 포함하는 그라인더 펌프에 있어서,
    상기 유체흡입구는 미리 설정된 직경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유체흡입구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톱니가 형성된 톱니날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터날은 상기 유체흡입구의 내주면에 위치되고, 상기 톱니날부의 내측 끝단과 상기 커터날의 외측 끝단의 사이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회전력에 의해 잘라내는 복수 개의 날개를 포함하고,
    상기 커터날과 상기 임펠러를 마찰력에 의해 연결하여 상기 커터날과 상기 유체흡입구의 사이에 이물질이 끼었을 경우, 상기 임펠러만 회전하도록 상기 커터날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도록 상기 커터날과 상기 임펠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제1 클러치판과 다른 하나에 결합되는 제2 클러치판을 포함하는 클러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커터날로 공급되는 동력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상호 이탈되거나 끼워져 상기 커터날에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1 클러치판과 상기 제2 클러치판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진동발생홈과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진동발생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날개는 회전 시 흡입력이 발생하도록 하부 끝단과 상부 끝단은 비틀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날부의 톱니는 상기 날개가 비틀어진 반대방향으로 하부 끝단과 상부 끝단이 비틀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날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흡입구의 내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톱니날부의 나사산과 상기 유체흡입구의 나사산을 서로 나사체결하는 형태로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
  5. 삭제
  6. 삭제
KR1020150071264A 2015-05-21 2015-05-21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 KR101672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264A KR101672432B1 (ko) 2015-05-21 2015-05-21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264A KR101672432B1 (ko) 2015-05-21 2015-05-21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2432B1 true KR101672432B1 (ko) 2016-11-03

Family

ID=57571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264A KR101672432B1 (ko) 2015-05-21 2015-05-21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4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620B1 (ko) * 2018-04-25 2018-10-18 (주)오비스 오폐수 처리용 수중 스파이럴 펌프
KR20210058441A (ko) * 2019-11-14 2021-05-24 오정훈 그라인더 펌프
IT202100026792A1 (it) * 2021-10-19 2023-04-19 Wamgroup Spa Pompa trituratrice.
US20230258188A1 (en) * 2020-06-22 2023-08-17 Tsurumi Manufacturing Co., Ltd. Non-Clogging Pump
KR102648851B1 (ko) * 2022-11-22 2024-03-20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체를 가속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게이트펌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9490A (ja) * 1990-02-14 1992-08-10 Mcneil Ohio Corp グラインダーポンプのための粉砕インペラ組立体
KR100227659B1 (ko) * 1996-12-30 1999-11-01 정몽규 동력손실저감형 워터펌프 구동장치
KR101314650B1 (ko) * 2012-11-12 2013-10-04 한세구 스크류형 수중펌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9490A (ja) * 1990-02-14 1992-08-10 Mcneil Ohio Corp グラインダーポンプのための粉砕インペラ組立体
KR100227659B1 (ko) * 1996-12-30 1999-11-01 정몽규 동력손실저감형 워터펌프 구동장치
KR101314650B1 (ko) * 2012-11-12 2013-10-04 한세구 스크류형 수중펌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9620B1 (ko) * 2018-04-25 2018-10-18 (주)오비스 오폐수 처리용 수중 스파이럴 펌프
KR20210058441A (ko) * 2019-11-14 2021-05-24 오정훈 그라인더 펌프
KR102310334B1 (ko) * 2019-11-14 2021-10-06 오정훈 그라인더 펌프
US20230258188A1 (en) * 2020-06-22 2023-08-17 Tsurumi Manufacturing Co., Ltd. Non-Clogging Pump
IT202100026792A1 (it) * 2021-10-19 2023-04-19 Wamgroup Spa Pompa trituratrice.
WO2023067484A1 (en) * 2021-10-19 2023-04-27 Wamgroup S.P.A. A chopper pump
KR102648851B1 (ko) * 2022-11-22 2024-03-20 광희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유체를 가속시키는 기능을 구비한 게이트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432B1 (ko)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
KR101562027B1 (ko) 이물질의 절단이 가능한 수중펌프
KR101407869B1 (ko) 슬러지용 로터리 디스크 펌프
JP4555298B2 (ja) 遠心ポンプ
KR100918876B1 (ko) 수중 분쇄 펌프
EP2586531A2 (en) Cutter assembly and high volume submersible shredder pump
KR101620084B1 (ko) 양면 교체 사용이 가능한 이물질 분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펌프
KR101909620B1 (ko) 오폐수 처리용 수중 스파이럴 펌프
JPWO2012150625A1 (ja) フィルター機構
KR101670076B1 (ko) 펌프효율을 향상시킨 펌프
CN110185630A (zh) 一种带有过滤功能的潜水泵装置
CN112228354A (zh) 一种dc轴流水泵
RU2013158608A (ru) Винтовой жидкостный кольцевой насос со встроенным измельчителем
JP2010538214A (ja) 遠心ポンプ用の摩耗板
KR101782058B1 (ko) 논클로그 수중펌프
JP6038501B2 (ja) 水中ポンプ
JP7193424B2 (ja) カッタアセンブリおよび高容量の水中シュレッダポンプ
CN102374187A (zh) 潜污泵用切割装置
CN201526460U (zh) 剪切式污水泵
CN207278526U (zh) 一种旋风刀式切割泵
CN109505775A (zh) 一种多级切割泵
KR20090014928A (ko) 수중펌프
KR20190004004A (ko) 수중 분쇄 펌프
US3120353A (en) Rotary slurry pump
JP4971924B2 (ja) 水中ポ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