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441A - 그라인더 펌프 - Google Patents

그라인더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441A
KR20210058441A KR1020190145901A KR20190145901A KR20210058441A KR 20210058441 A KR20210058441 A KR 20210058441A KR 1020190145901 A KR1020190145901 A KR 1020190145901A KR 20190145901 A KR20190145901 A KR 20190145901A KR 20210058441 A KR20210058441 A KR 20210058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rotation shaft
cutter plate
ca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0334B1 (ko
Inventor
오정훈
정무현
Original Assignee
오정훈
정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훈, 정무현 filed Critical 오정훈
Priority to KR1020190145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0334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0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0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7/00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D7/02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 F04D7/04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ous
    • F04D7/045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ous with means for comminuting, mixing stirring or otherwise tr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2201/063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sew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3Kind or type mixed, e.g. two-phase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 펌프는 구동부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토록 삽입되며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개구된 흡입구 및 상기 축방향에 대하여 원심방향으로 개구된 배출구가 형성된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의 흡입구에서 배출구로 오폐수를 펌핑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 앞쪽에 위치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고정되며 오폐수 및 분쇄물이 통과할 수 있는 커터 홀들이 형성된 커터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된 커터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여 오폐수 내 이물질을 분쇄할 수 있도록 상기 커터 플레이트 정면에 맞닿도록 위치되며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커터와, 상기 커터와 상기 커터 플레이트가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커터와 상기 커터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 펌프를 이용하면, 커터와 커터 플레이트 사이 틈새로 이물질이 끼지 않게 방지될 수 있고, 이물질이 배관 등을 막지 않도록 충분히 작게 분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그라인더 펌프 {Grinder pump}
본 발명은 오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분쇄할 수 있는 그라인더 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및 아파트 등의 오폐수조에는 오폐수를 처리 장소로 이송하기 위해 그라인더 펌프가 사용된다. 그라인더 펌프는 오폐수에 포함된 고형의 이물질을 분쇄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1840호(공개일자;2015년08월12일)에는 ‘이물질의 절단이 가능한 수중 펌프’가 개시되어 있다. 이 선행특허를 살펴보면, 임펠러와, 모터부와, 케이싱과, 중앙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어 케이싱의 흡입구에 설치되는 절단커버를 포함하며, 임펠러에는 절단커버의 유입공에 일부 삽입되어 절단커버와 상호 작용으로 이물질을 절단하는 절단날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그라인더 펌프는 절단 커버와 절단날부 간 마찰력이 크면 모터부의 부하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절단 커버와 절단날부 사이에 얇은 판 같은 것이 개재되는데, 이 때문에 절단 커버와 절단날부 사이 틈새로 머리카락이나 모래, 얇은 천 같은 세밀한 이물질이 끼여 자주 유지 보수를 해야 하고, 틈새에 끼인 이물질 때문에 모터에 과부하가 자주 걸려 고장이 잦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1840호(공개일자;2015년08월12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커터 플레이트와 커터 간 마찰로 인한 모터의 부하 저항을 줄이면서 동시에 커터 플레이트와 커터 사이 틈새를 없앨 수 있는 그라인더 펌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임펠러에 흡입되기 전에 구획된 독립적인 분쇄 공간에서 충분히 작은 크기로 분쇄될 수 있는 그라인더 펌프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 펌프는 구동부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토록 삽입되며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개구된 흡입구 및 상기 축방향에 대하여 원심방향으로 개구된 배출구가 형성된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의 흡입구에서 배출구로 오폐수를 펌핑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 앞쪽에 위치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고정되며 오폐수 및 분쇄물이 통과할 수 있는 커터 홀들이 형성된 커터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된 커터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여 오폐수 내 이물질을 분쇄할 수 있도록 상기 커터 플레이트 정면에 맞닿도록 위치되며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커터와, 상기 커터와 상기 커터 플레이트가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커터와 상기 커터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커터는 상기 회전축보다 큰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회전축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키에 의해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허브와, 상기 커터 플레이트의 정면에 맞닿아 상기 이물질을 분쇄할 수 있도록 상기 허브의 외측에 구비되는 커터 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허브 앞쪽에 삽입되어 상기 허브의 개방된 정면을 덮는 와셔와, 상기 와셔를 상기 회전축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와셔와 상기 키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허브의 중공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커터가 상기 커터 플레이트에 맞닿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터 플레이트의 커터 홀들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열되며, 각각 반경방향으로 길되, 반경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제1커터 홀들일 수 있다. 상기 커터 플레이트의 커터 홀들은 상기 제1커터 홀들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1커터 홀의 바깥쪽 끝단 측에 위치되는 원형의 제2커터 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 펌프는 탄성력에 의해 커터와 커터 플레이트가 맞닿은 상태로 상호 절삭 작용하여 이물질을 분쇄하기 때문에 커터와 커터 플레이트 간 마찰 저항에 의한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커터와 커터 플레이트 사이 틈새를 없앨 수 있어 커터와 커터 플레이트 사이에 머리카락이나 모래, 얇은 천 등의 세밀한 이물질이 끼고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커터와 커터 플레이트 간 상호 작용이 원활하여 이물질이 충분히 작은 크기로 분쇄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유지 보수, 나아가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터 플레이트에 의해 케이싱의 내부 공간이 축방향을 따라 둘로 구획되어 전방에 독립적인 분쇄 공간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커터에 의해 오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충분히 절단된 후 커터 플레이트를 통해 임펠러에 흡입될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에 의한 막힘 현상 및 임펠러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터 플레이트의 커터 홀들에 의해 커터와 커터 플레이트 간 상호 절삭 작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이물질이 배관이 막힘이 방지될 수 있는 충분히 작은 크기로 분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 펌프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그라인더 펌프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그라인더 펌프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그라인더 펌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그라인더 펌프 중 커터 플레이트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커터 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커터 플레이트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그라인더 펌프 중 커터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커터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커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커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도시된 탄성 지지부와 커터와 커터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A’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 펌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그라인더 펌프는, 구동부(2)와, 어댑터(20)와, 케이싱(50)과, 임펠러(60)와, 커터 플레이트(70)와, 커터(80)와, 탄성 지지부(90)를 포함한다.
구동부(2)는 모터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부(2)의 모터는 프레임(10)과, 프레임 커버(12)와, 로터 코어(14)와, 로터(16)와, 회전축(18)을 포함할 수 잇다.
프레임(10)은 회전축(18)의 축방향을 따라 정면 및 배면이 개방된 원통형 내부 공간이 형성된다.
프레임 커버(12)는 프레임(10)의 개방된 배면에 볼트(4) 등에 의해 결합되어 프레임(10)을 덮는다.
로터 코어(14)는 로터(16)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하여 로터(16)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프레임(10)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프레임(10)에 고정되며, 로터(16)가 회전 가능토록 삽입될 수 있도록 축방향을 따라 정면 및 배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갖는 중공(82a)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터(16)는 로터 코어(14)와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되는 것으로, 로터 코어(14)의 내부에 회전 가능토록 삽입되며, 회전 중심에 회전축(18)이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회전축(18)은 프레임(10)의 내부 공간에서부터 케이싱(50)의 내부 공간에까지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회전축(18)에는 축방향을 따라 로터(16) 뒤쪽으로 제1팬 커버(5)와 제1베어링(6)이 순서대로 끼워진다. 제1베어링(6)은 프레임(10)과 회전축(18) 사이에 개재되어 프레임(10)에 대하여 회전축(18)이 상대 회전 가능토록 회전축(18)을 지지한다.
회전축(18)에는 축방향을 따라 로터(16) 앞쪽으로 제2팬 커버(7)와 제2베어링(8)이 순서대로 끼워진다. 제2베어링(8)은 어댑터(20)와 회전축(18) 사이에 개재되어 어댑터(20)에 대하여 회전축(18)이 상대 회전 가능토록 회전축(18)을 지지한다.
어댑터(20)는 축방향을 따라 구동부(2)의 프레임(10)과 케이싱(50)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부(2)의 프레임(10)과 케이싱(50)을 연결한다. 어댑터(20)는 축방향을 따라 정면 및 배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프레임(10)의 내부 공간 및 케이싱(5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어댑터(20)는 프레임(10)의 개방된 정면에 축방향을 따라 일렬로 조립되어 볼트(21) 등에 의해 프레임(10)과 결합된다.
한편 어댑터(20)의 내부 공간에는 축방향을 따라 제2베어링(8)과 임펠러(60) 사이에 위치되며, 회전축(18)에 끼워지는 메카니컬 씰(mechanical seal)(25)이 설치된다.
어댑터(20)와 케이싱(50) 사이에는 오링(O-ring)(27)이 개재될 수 있다.
케이싱(50)은 축방향을 따라 어댑터(20)의 개방된 정면 앞쪽에 일렬로 배열되어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된다. 케이싱(50)은 축방향을 따라 정면 및 배면이 개방된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어댑터(20)의 내부 공간과 연통된다. 케이싱(50)의 개방된 정면은 축방향으로 개구된 것으로 오폐수가 이물질과 함께 흡입되는 흡입구(52)가 된다. 케이싱(50)의 흡입구(52)에는 그 내측면에 오폐수를 안내하는 배관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50)의 일측에는 축방향에 대하여 원심방향으로 개구되어 오폐수가 절단된 이물질과 함께 배출되는 배출구(54)가 형성된다. 케이싱(50)의 배출구(54)는 원심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50)의 배출구에는 그 내측면에 배관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60)는 케이싱(5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구동부(2)의 회전축(18)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케이싱(50)의 흡입구(52)에서 배출구(54)로 오폐수를 펌핑한다. 임펠러(60)는 원심팬으로서, 키(key)(62) 등에 의해 회전축(18)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정면 중앙에 축방향으로 개구되어 오폐수가 흡입되는 흡입구(60a)가 형성되고, 원주면에 원심방향으로 개구되어 오폐수가 배출되는 배출구(60b)가 형성된다.
커터 플레이트(70)는 이물질이 분쇄될 수 있도록 가위처럼 커터(80)와 상호 절삭 작용을 한다. 커터 플레이트(70)는 축방향을 따라 임펠러(60) 앞쪽에 위치되어 케이싱(50)의 내부 공간에 고정된다. 커터 플레이트(70)의 가장자리에는 케이싱(5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홀(72)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커터 플레이트(70)는 임펠러(60)의 앞쪽에 이물질이 분쇄되는 분쇄 공간이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케이싱(50)의 내부 공간을 축방향을 따라 둘로 구획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케이싱(50)의 내부 공간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터 플레이트(70)의 중앙에는 회전축(18)이 상대 회전 가능토록 관통될 수 있는 중앙홀(74)이 형성된다.
또한 커터 플레이트(70)에는 축방향으로 개구된 복수개의 커터 홀(76,78)들이 형성된다. 커터 플레이트(70)의 커터 홀(76,78)들은 커터(80)와 커터 플레이트(70)의 상호 절삭 작용에 있어 칼날이 될 수 있으며, 또한 오폐수 및 분쇄된 이물질이 임펠러(60)를 향해 커터 플레이트(70)를 통과할 수 있는 통로이다.
특히 커터 플레이트(70)의 커터 홀(76,78)들 중 일부는 복수 개가 상호 방사상으로 배열되며, 각각 반경방향으로 길되, 반경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제1커터 홀(76)들을 이룬다. 제1커터 홀(76)들은 반경방향으로 커터 플레이트(70)의 중앙홀(74)과 체결홀(7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커터 홀(76)들은 반경방향으로 안쪽 끝단이 커터 플레이트(70)의 중앙홀(74)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반경방향으로 바깥쪽 끝단 또한 곡면으로 형성된다. 제1커터 홀(76)들은 그 반경방향 양쪽 끝단을 연결하는 양쪽 측면 중 어느 하나가 반경방향으로 수직하거나 반경방향에 대하여 평행하며, 그 나머지 하나가 상대적으로 기울어진다. 따라서 제1커터 홀(76)들이 반경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기 때문에 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해 커터 플레이트(70)의 반경 외측방향으로 밀려 나가면서 제1커터 홀(76)들을 통과할 때 좀 더 작은 크기로 보다 충분히 분쇄될 수 있다.
커터 플레이트(70)의 커터 홀(76,78)들은 제1커터 홀(76)들 사이에 형성되는 원형의 제2커터 홀(78)들을 더 포함한다. 제2커터 홀(78)들은 반경방향으로 제1커터 홀(76)의 바깥쪽 끝단 측에 위치된다. 이처럼 제2커터 홀(78)이 제1커터 홀(76)들 사이의 빈 공간에 추가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이물질이 보다 많이 분쇄될 수 있고 오폐수 및 이물질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제2커터 홀(78)들이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에 위치됨으로써 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해 반경 외측방향으로 밀려 나가면서 보다 작게 절삭될 수 있다.
커터(80)는 커터 플레이트(70)와의 상호 절삭 작용에 의해 이물질을 분쇄한다. 즉 커터(80)는 고정된 커터 플레이트(7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여 오폐수 내 이물질을 분쇄할 수 있도록 커터 플레이트(70) 정면에 맞닿도록 위치되며, 회전축(18)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커터(80)는 허브(82)와, 커터 날(84)을 포함한다.
커터(80)의 허브(82)는 회전축(18)의 외측에 끼워질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개구된 중공(82a)이 형성된다. 허브(82)의 중공(82a)은 허브(82)와 회전축(18) 사이에 후술할 스프링(96)이 개재될 수 있는 공간이 생길 수 있도록 회전축(18)보다는 큰 직경으로 형성된다. 허브(82)는 축방향을 따라 커터(80)에서부터 커터 플레이트(70)를 관통하여 임펠러(60) 내부에까지 연장 형성된다. 허브(82)는 키(key)(81)의 쐐기작용에 의해 회전축(18)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허브(82)에 삽입된 회전축(18)의 일측에 키(81)가 압입되며 회전축(18)에 압입된 키(81)가 허브(82)에 밀착되어 커터(80)의 허브(82)가 회전축(18)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허브(82)의 중공에는 키(81)가 축방향을 따라 압입 가능한 키 홈(82b)이 형성될 수 있다.
커터 날(84)은 커터 플레이트(70)의 정면에 맞닿아 이물질을 분쇄할 수 있도록 허브(82)의 외측에 구비된다. 커터 날(84)은 방사상으로 복수 개 구성될 수 있다. 커터 날(84)은 회전축(18)의 회전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원심력의 영향을 받는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탄성 지지부(90)는 커터(80)와 커터 플레이트(70)가 맞닿을 수 있도록 커터(80)와 커터 플레이트(70) 중 어느 하나를 탄성 지지한다. 즉 탄성 지지부(90)는 탄성력을 조절하여 커터(80)와 커터 플레이트(70) 간 마찰에 의한 구동부(2)의 부하가 걱정 없는 범위에서 커터(80)와 커터 플레이트(70)가 틈새 없이 맞닿게 할 수 있다. 아울러 탄성 지지부(90)에 의해 커터(80)와 커터 플레이트(70) 간 상호 충격력이 흡수될 수 있다.
탄성 지지부(90)는 체결부재에 의해 케이싱(50)에 고정된 커터 플레이트(70)보다는 키(81)에 의해 회전축(18)과 축방향으로 결속된 커터(80)를 탄성 지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즉 탄성 지지부(90)는 와셔(92)와, 체결부재(94)와, 스프링(96)을 포함할 수 있다.
와셔(92)는 축방향을 따라 허브(82)의 중공(82a) 앞쪽에 삽입되어 허브(82)의 개방된 정면을 덮는다. 와셔(92)는 회전축(18)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회전축(18)의 끝단에 밀착되며, 중앙에 체결부재(94)가 관통되는 체결홀(92a)이 형성된다.
체결부재(94)는 와셔(92)를 회전축(18)에 고정시킨다. 체결부재(94)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축(18)의 전방 끝단에는 축방향으로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홀(18a)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18)의 체결홀(18a)에는 볼트 체결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96)은 축방향으로 와셔(92)와 커터(80)의 키(8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허브(82)의 중공(82a)에 삽입되며 회전축(18)의 외측에 끼워진다. 스프링(96)은 커터(80)가 커터 플레이트(70)에 맞닿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코일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체결부재(94)의 체결력에 따라 스프링(96)의 장력이 결정되면 스프링(96)이 회전축(18)의 끝단을 기준으로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며, 스프링(96)의 탄성력에 의해 스프링(96)의 외주면에 밀접된 커터(80)의 허브(82)가 영향을 받아 축방향으로 유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 펌프에 대한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구동부(2)의 구동력에 의해 임펠러(60)가 회전되며, 이에 따라 오폐수가 케이싱(50)의 흡입구(52)를 통해 케이싱(5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된 다음 커터 플레이트(70)의 커터 홀(76,78)들을 통과하여 임펠러(60)의 흡입구(60a)를 통해 임펠러(60)에 흡입되고, 원심력에 의해 임펠러(60)의 배출구(60b)를 통과하여 케이싱(50)의 배출구(54)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아울러 커터(80)가 커터 플레이트(70)에 맞닿으며 회전되기 때문에 커터(80)와 커터 플레이트(70)의 상호 절삭 작용에 의해 케이싱(50)의 내부 공간으로 흡입된 오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커터 플레이트(70)에 의해 구획된 분쇄 공간에서 배관 등을 막지 않도록 충분히 작게 분쇄된 다음 오폐수와 함께 커터 플레이트(70)의 커터 홀(76,78)들을 통과하여 임펠러(60)로 흡입되고, 케이싱(50)의 배출구(54)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탄성 지지부(90)에 의해 커터(80)와 커터 플레이트(70)가 구동부(2)에 부담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틈새 없이 맞닿기 때문에 커터(80)와 커터 플레이트(70) 사이로 머리카락이나 모래, 얇은 천 등의 세밀한 이물질이 낄 염려가 없다.
또한 커터 플레이트(70)의 커터 홀(76,78)들에 의해 원심력의 영향을 받는 이물질이 충분히 작게 분쇄된 후 커터 플레이트(70)를 통과하게 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구동부 20; 어댑터
50; 케이싱 60; 임펠러
70; 커터 플레이트 76; 제1커터 홀
78; 제2커터 홀 80; 커터
82; 허브 84; 커터 날
90; 탄성 지지부 92; 와셔
94; 체결부재 96; 스프링

Claims (4)

  1. 구동부의 회전축이 회전 가능토록 삽입되며,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개구된 흡입구 및 상기 축방향에 대하여 원심방향으로 개구된 배출구가 형성된 내부 공간을 갖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부의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케이싱의 흡입구에서 배출구로 오폐수를 펌핑하는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 앞쪽에 위치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고정되며, 오폐수 및 분쇄물이 통과할 수 있는 커터 홀들이 형성된 커터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된 커터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여 오폐수 내 이물질을 분쇄할 수 있도록 상기 커터 플레이트 정면에 맞닿도록 위치되며, 상기 회전축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커터와;
    상기 커터와 상기 커터 플레이트가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커터와 상기 커터 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
    를 포함하는 그라인더 펌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터는
    상기 회전축보다 큰 중공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회전축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키에 의해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는 허브와,
    상기 커터 플레이트의 정면에 맞닿아 상기 이물질을 분쇄할 수 있도록 상기 허브의 외측에 구비되는 커터 날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허브 앞쪽에 삽입되어 상기 허브의 개방된 정면을 덮는 와셔와,
    상기 와셔를 상기 회전축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와,
    상기 와셔와 상기 키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허브의 중공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끼워지며 상기 커터가 상기 커터 플레이트에 맞닿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그라인더 펌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터 플레이트의 커터 홀들의 적어도 일부는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열되며, 각각 반경방향으로 길되, 반경 외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좁아지는 형상인 제1커터 홀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펌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터 플레이트의 커터 홀들은 상기 제1커터 홀들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반경방향으로 상기 제1커터 홀의 바깥쪽 끝단 측에 위치되는 원형의 제2커터 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펌프.
KR1020190145901A 2019-11-14 2019-11-14 그라인더 펌프 KR102310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901A KR102310334B1 (ko) 2019-11-14 2019-11-14 그라인더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901A KR102310334B1 (ko) 2019-11-14 2019-11-14 그라인더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441A true KR20210058441A (ko) 2021-05-24
KR102310334B1 KR102310334B1 (ko) 2021-10-06

Family

ID=76152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901A KR102310334B1 (ko) 2019-11-14 2019-11-14 그라인더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03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7202A (zh) * 2021-11-15 2022-02-25 安徽迈宁工业泵有限公司 一种自吸式低阻渣浆泵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3292A (ja) * 1996-09-26 1998-04-21 Terada Pump Seisakusho:Kk 水中ポンプ
KR101258091B1 (ko) * 2013-02-14 2013-04-25 주식회사 현대수중펌프 수중 그라인더 펌프
KR20150091840A (ko) 2014-02-04 2015-08-12 주식회사 한진펌프 이물질의 절단이 가능한 수중펌프
KR101620084B1 (ko) * 2015-11-27 2016-05-11 하지공업(주) 양면 교체 사용이 가능한 이물질 분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펌프
KR101672432B1 (ko) * 2015-05-21 2016-11-03 김윤성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3292A (ja) * 1996-09-26 1998-04-21 Terada Pump Seisakusho:Kk 水中ポンプ
KR101258091B1 (ko) * 2013-02-14 2013-04-25 주식회사 현대수중펌프 수중 그라인더 펌프
KR20150091840A (ko) 2014-02-04 2015-08-12 주식회사 한진펌프 이물질의 절단이 가능한 수중펌프
KR101672432B1 (ko) * 2015-05-21 2016-11-03 김윤성 흡입성능이 향상된 그라인더 펌프
KR101620084B1 (ko) * 2015-11-27 2016-05-11 하지공업(주) 양면 교체 사용이 가능한 이물질 분쇄장치 및 이를 구비한 펌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7202A (zh) * 2021-11-15 2022-02-25 安徽迈宁工业泵有限公司 一种自吸式低阻渣浆泵
CN114087202B (zh) * 2021-11-15 2024-03-19 安徽迈宁工业泵有限公司 一种自吸式低阻渣浆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0334B1 (ko) 202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63309B (zh) 切刀轮,切刀盘以及适用于研磨泵的切刀组件
US10267312B2 (en) Liquid pump
US7125221B2 (en) Centrifugal pump improvements
TWI394897B (zh) 具有切割葉輪和預切碎器的泵
JPS6354151B2 (ko)
KR101735725B1 (ko) 분쇄룸을 갖는 그라인더 펌프
EP1859172B1 (en) An impeller for a centrifugal pump
AU2012267258B2 (en) Multistage comminuting pump
KR102597700B1 (ko) 절단구조를 가지는 펌프
KR20240000802U (ko) 절단구조를 가지는 펌프
KR102310334B1 (ko) 그라인더 펌프
EA009906B1 (ru) Крыльчатка
KR101670076B1 (ko) 펌프효율을 향상시킨 펌프
EP0631055B1 (en) A pump impeller
US5692880A (en) Impeller containing a pair of blades wherein the leading edge of one of the blades is thicker than the leading edge of the other
JP2010538214A (ja) 遠心ポンプ用の摩耗板
TWI325030B (en) Pump
KR100950454B1 (ko) 솔리드 자흡식 펌프
US4614478A (en) Pump impeller
US6609890B2 (en) Impeller assembly for centrifugal pump
KR102597699B1 (ko) 절단구조를 가지는 펌프
KR102632105B1 (ko) 펌프용 디스크임펠러
EP2535590A2 (de) Kreiselpumpe mit integriertem Schneidwerk
KR102635071B1 (ko) 절단구조를 가지는 펌프
KR20230106254A (ko) 절단구조를 가지는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