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172B1 - 착탈식 메모리 카드 구별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착탈식 메모리 카드 구별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172B1
KR101672172B1 KR1020167015561A KR20167015561A KR101672172B1 KR 101672172 B1 KR101672172 B1 KR 101672172B1 KR 1020167015561 A KR1020167015561 A KR 1020167015561A KR 20167015561 A KR20167015561 A KR 20167015561A KR 101672172 B1 KR101672172 B1 KR 101672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vable memory
memory card
protocol
ufs
compu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5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457A (ko
Inventor
아사프 샤참
아미트 길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84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223User address space allocation, e.g. contiguous or non contiguous base addressing
    • G06F12/023Free address space management
    • G06F12/0238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 G06F12/0246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in block erasable memory, e.g. flash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223User address space allocation, e.g. contiguous or non contiguous base addressing
    • G06F12/023Free address space management
    • G06F12/0238Memory management in non-volatile memory, e.g. resistive RAM or ferroelectric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72Details relating to flash memory management
    • G06F2212/7207Details relating to flash memory management management of metadata or control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Abstract

착탈식 메모리 카드 구별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히,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보안 디지털 (SD) 카드와, SD 폼 팩터에 준수되지만 범용 플래시 스토리지 (UFS)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다른 착탈식 메모리 카드 사이를 구별한다. 즉, 호스트는, SD 카드의 폼 팩터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을 가질 수 있다. 사용시,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리셉터클에 삽입되고, 그리고 SD 준수의 질의 신호를 이용하여 호스트는 삽입된 카드에 공통 영역을 질의한다. 공통 영역은 카드의 기능 디스크립터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SD 준수 카드는 SD 프로토콜 기능에 대한 기능 디스크립터와 같은 정보로 응답하는 한편, UFS 준수 카드는 카드가 UFS 준수한다는 표시로 응답할 것이다. 호스트는 이후 UFS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카드와의 통신을 재시작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착탈식 메모리 카드 구별 시스템 및 방법{REMOVABLE MEMORY CARD DISCRIMINATION SYSTEMS AND METHODS}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2013년 11월 15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REMOVABLE MEMORY CARD DISCRIMINATION SYSTEMS AND METHODS" 인 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 14/080,852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는 본 명세서에 그 전체가 참조로 통합된다.
개시의 분양
본 개시의 기술은 일반적으로 착탈식 메모리 카드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단말기들은 현대 사회에서 유비쿼터스가 되었다. 모바일 폰, 특히 스마트 폰이 관심의 대부분을 얻고 있지만, 카메라, 오디오 플레이어, 비디오 레코더 등과 같은 다수의 다른 모바일 단말기들도 널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의 대부분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착탈식 메모리 매체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에 사진을 저장할 수도 있다. 데스크톱 컴퓨터와 같은 덜 휴대가능한 컴퓨팅 디바이스는 또한 착탈식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는 리셉터클을 가질 수 있다. 카메라의 예를 계속 들면, 사람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을 찍고, 착탈식 메모리 카드에 사진을 저장하고, 카메라로부터 카드를 제거하고, 데스크톱 컴퓨터의 리셉터클에 카드를 삽입하고, 그리고 사진을 데스크톱 컴퓨터의 하드 드라이브에 전송할 수 있다.
다수의 착탈식 메모리 카드는 플래시 메모리의 일부 형태이다. 하지만, 통상의 플래시 메모리 포맷을 이용하는 경우라도, 컴팩트 플래시 (I 및 II), 보안 디지털 (SD) (SD, 미니SD, 마이크로SD, SDHC, 미니SDHC, 마이크로SDHC, SDXC), 메모리 스틱 (표준, 프로, 프로 듀오, 프로-HG 듀오, 마이크로 (M2), xC), MMC (MultiMediaCard) (MMC, RS-MMC, MMC모바일, MMC플러스, MMC마이크로), 카드 포맷 내의 동작의 직렬 주변기기 인터페이스 (SPI) 모드, xD (표준, 타입 M, 타입 H, 타입 M+), XQD, 또는 UHS (Ultra High Speed) (I 및 II) 에 의해 제공된 것들을 포함하는 사유의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다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의 착탈식 버전에 부가하여, 내장형이거나 또는 그렇지 않은 경우 비착탈식인 메모리 유닛을 위해 설계되는 다수의 플래시 메모리 프로토콜이 존재한다. 이러한 내장형 플래시 메모리 유닛은 디바이스의 인쇄 회로판 또는 기판에 납땜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은 경우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프로토콜은 합동 전자 디바이스 엔지니어링 협회 (JEDEC; Joint Electron Device Engineering Council) 에 의해 제안된 범용 플래시 스토리지 (UFS; Universal Flash Storage) 표준이다.
지금까지, UFS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 프로토콜에 적용되지 않았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UFS 준수의 착탈식 메모리 카드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 구별 시스템 및 방법을 포함한다. 특히,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보안 디지털 (SD) 카드와, SD 폼 팩터에 준수되지만 범용 플래시 스토리지 (UFS)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다른 착탈식 메모리 카드 사이를 구별한다. 즉, 플래시 표준에 의해 정의되는 용어로서 호스트는, 플래시 표준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SD 카드의 폼 팩터를 지원하고 디바이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을 가질 수 있다. 사용시, 착탈식 메모리 카드는 리셉터클로 삽입된다. SD 준수의 (secure digital (SD) compliant) 질의 신호를 이용하여, 호스트는 삽입된 카드에 공통 영역을 질의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공통 영역은 카드의 기능 (capability) 디스크립터 메모리 영역이다. 기능 디스크립터 메모리 영역은 카드의 기능 설명 (예를 들어, 시그널링에 필요한 전압 레벨, 데이터 레인 기능, 속도 등급 등) 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SD 준수의 착탈식 메모리 카드는 SD 프로토콜 기능에 대한 기능 디스크립터와 같은 정보로 응답하는 하편, UFS 준수의 착탈식 메모리 카드는 카드가 UFS 준수한다는 표시로 응답할 것이다.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UFS 준수한다면, 호스트는 UFS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카드와의 통신을 재시작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하나의 실시형태에서, 컴퓨팅 디바이스의 호스트로 배치된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호스트 시스템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착탈식 메모리 카드들 사이를 구별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방법은 착탈식 메모리 카드의 공통 영역에 SD 준수의 질의 신호를 호스트가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 방법은 또한, 호스트가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SD 준수인 경우 착탈식 메모리 카드로부터 공통 영역에 저장된 기능 디스크립터를 호스트가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 방법은 또한,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UFS 프로토콜 준수인 경우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UFS 가능하다는 표시를 호스트가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컴퓨팅 디바이스의 호스트로 배치된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호스트 시스템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착탈식 메모리 카드들 사이를 구별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 방법은 착탈식 메모리 카드의 공통 영역에 SD 준수의 질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방법은 또한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SD 준수인지 또는 UFS 프로토콜에 준수되는지를 컴퓨팅 디바이스에 알리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컴퓨팅 디바이스가 개시되어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사용자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소자들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또한 착탈식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착탈식 메모리 카드 리셉터클을 포함한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작동되도록 커플링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제어 시스템은 착탈식 메모리 카드의 공통 영역에 SD 준수의 질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시스템은 또한,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SD 준수인 경우 착탈식 메모리 카드로부터 공통 영역에 저장된 기능 디스크립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시스템은 또한,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UFS 프로토콜 준수인 경우,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UFS 가능하다는 표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1 은 보안 디지털 (SD) 프로토콜에 준수되는 종래의 착탈식 메모리 카드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개시된 핀 레이아웃을 갖는 도 1 의 종래의 착탈식 메모리 카드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SD 폼 팩터에 준수되지만, 범용 플래시 스토리지 (UFS)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상이한 착탈식 메모리 카드를 구별하도록 구성된 모바일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의 선택 컴포넌트의 블록도이다.
도 6 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따라 착탈식 메모리 카드의 유형들을 구별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7 은 하나 이상의 착탈식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고 그 사이를 구별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프로세서 기반의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이하, 도시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여러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설명한다. 단어 "예시적인" 은 본 명세서에서 "예, 사례,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것" 을 의미하는데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으로서 설명된 임의의 실시형태가 반드시 다른 실시형태들에 비해 선호되거나 또는 유리한 것으로서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상세한 설명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 구별 시스템 및 방법을 포함한다. 특히, 예시적인 실시형태는 보안 디지털 (SD) 카드와, SD 폼 팩터에 준수되지만 범용 플래시 스토리지 (UFS)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다른 착탈식 메모리 카드 사이를 구별한다. 즉, 플래시 표준에 의해 정의되는 용어로서 호스트는, 플래시 표준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상기 SD 카드의 폼 팩터를 지원하고 디바이스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리셉터클을 가질 수 있다. 사용시, 착탈식 메모리 카드는 리셉터클로 삽입된다. SD 준수의 질의 신호를 이용하여, 호스트는 삽입된 카드에 공통 영역을 질의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공통 영역은 카드의 기능 디스크립터 메모리 영역이다. 기능 디스크립터 메모리 영역은 카드의 기능 설명 (예를 들어, 시그널링에 필요한 전압 레벨, 데이터 레인 기능, 속도 등급 등) 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SD 준수의 착탈식 메모리 카드는 SD 프로토콜 기능에 대한 기능 디스크립터와 같은 정보로 응답하는 한편, UFS 준수의 착탈식 메모리 카드는 카드가 UFS 준수한다는 표시로 응답할 것이다.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UFS 준수한다면, 호스트는 UFS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카드와의 통신을 재시작할 수도 있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착탈식 및 내장형 플래시 메모리의 두 종류가 있다. SD, 메모리 스틱, 컴팩트 플래시 등을 포함하는 착탈식 플래시 메모리의 몇몇 플레이버 (flavor) 가 있다. 마찬가지로, 내장형 멀티미디어 카드 (eMMC) 가 주요 플레이버인, 내장형 플래시 메모리의 몇몇 플레이버가 있다. eMMC가 내장형 플래시 메모리의 가장 일반적인 플레이버이지만, 조인트 전자 디바이스 엔지니어링 협회 (JEDEC) 는 다음의 주요 표준으로서의 촉진형 UFS 이다. 지금까지, JEDEC는 내장형 플래시 제품으로 UFS 만을 구현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본원에 그 전체가 참조로서 통합되는 2013년 8월 19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번호 제 61/867,343호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에 이용되고 있는 UFS의 개념을 진보시켰다. UFS를 착탈식 메모리 카드에 채택하기 위한 제안이 여전히 대두되고 있기 때문에, 그 구현의 정확한 세부사항은 표준화되어 있지 않다. 하나의 해결책은 기존의 착탈식 메모리 카드의 폼 팩터를 재현하는 것이다. 기존의 폼 팩터를 재사용하는 것은, 기존의 리셉터클을 유지하거나 아니면 새로운 UFS 기술의 통합을 허용하면서 달성된 제품에 대한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착탈식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는 디바이스를 허용하는 이점을 갖는다. 하지만, 일단 UFS 준수 디바이스에 기존의 폼 팩터가 재사용되면, 폼 팩터와 연관된 원래 프로토콜에 준수되는 UFS 준수 디바이스와 착탈식 메모리 카드 사이를 구별하기 위한 방식이 있어야 한다.
폼 팩터를 공유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의 프로토콜 기능들 사이를 구별하는 상세를 어드레싱하기 전에, 이러한 과정으로 이용되는 하드웨어의 간략한 개요가 도 1-5을 참조하여 제공된다. UFS 프로토콜에 준수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와 SD 착탈식 메모리 카드 사이를 구별하기 위한 프로세스의 논의가 도 6을 참조하여 제공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에서는 SD 프로토콜에 준수되는 종래의 착탈식 메모리 카드 (10) 의 사시도가 예시된다. 착탈식 메모리 카드 (10) 는 하우징 (12) 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 (12) 은 화살표 방향 (16) 으로 일반적으로 언급된 이동 단말기에 삽입되는 전방 에지 (14) 를 갖는 통상의 플라스틱 하우징이다. 선택적으로, 로크 (18) 는 하우징 (12) 내의 메모리 소자 상의 소거 또는 기록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될 수도 있다.
하우징 (12) 내의 메모리 소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20) 에 의해 액세스된다. 핀 (20) 은 아래 표 1에 요약되어 있지만, 착탈식 메모리 카드 (10) 내의 메모리 소자로 및 소자로부터의 데이터 전달을 허용한다. 또한,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핀은 전력, 클럭 신호, 또는 유사한 신호들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개시물이 기본 SD 프로토콜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본 개시물의 개념은 또한 미니SD, 마이크로SD, SDHC, 미니SDHC, 마이크로SDHC 및 SDXC와 같은 SD 메모리 카드의 다른 플레이버에 적용가능하다.
SD 핀 목적
명칭 종류 디스크립션
1 CD/DAT3 I/O/PP 카드 검출/커넥터 데이터 라인 3
2 CMD PP 커맨드/응답 라인
3 Vss1 S 공급 전압 (접지)
4 Vdd S 전력 공급
5 CLK I 클럭
6 Vss2 S 공급 전압
7 DAT0 I/O/PP 커넥터 데이터 라인 0
8 DAT1 I/O/PP 커넥터 데이터 라인 1
9 DAT2 I/O/PP 커넥터 데이터 라인 2
표 1: SD 핀 레이아웃
하우징 (12) 에 대한 폼 팩터와 핀 (20) 의 레이아웃은 업계에 잘 정착 및 인지되어 있다. 이처럼, 이러한 하우징으로 하여금 이러한 공급을 확보함에 있어 가격 경쟁을 허용하게 할 수 있는 다수의 공급체가 있다. 따라서, SD 폼 팩터는 UFS 표준에 준수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에 대한 적합한 베이스를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 은 UFS 프로토콜에 준수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 (22) 를 나타낸다. 착탈식 메모리 카드 (22) 는, SD 폼 팩터의 핀 레이아웃에 준수되는 핀 (26) (예를 들어, 핀 (20)) 과 SD 폼 팩터에 준수되는 하우징 (24) (예를 들어, 하우징 (12)) 을 포함한다. 핀 레이아웃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한 하우징 (24) 의 정확한 형상이 다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더 길거나, 더 두껍거나 할 수 있다). 착탈식 메모리 카드 (22) 의 핀 (26) 은 착탈식 메모리 카드 (10) 와 동일한 일반 목적을 가질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전력 핀 (4) 은 여전히 Vdd 전력을 제공함), 핀 (26) 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 상이한 목적을 제공할 수 있다.
착탈식 메모리 카드 (10, 22) 는 컴퓨팅 디바이스에서, 특히 카메라, 폰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4 는 예시적인 모바일 단말기 (30) 를 나타내며, 이 경우에는 카메라이다. 모바일 단말기 (30) 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 (10, 22) 와 같은 착탈식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배터리 및 리셉터클 (34) 에 대한 개구 (32) 를 가질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기 (30) 는 사용자 입력 (예를 들면, 셔터 버튼 (미도시), 디스플레이 스크린 (미도시), 터치 스크린 (미도시) 등) 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자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기가 착탈식 메모리 카드 구별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형태에 의해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고려되지만, 착탈식 메모리 카드를 사용하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들도 본 개시로부터 또한 유익할 수 있다.
착탈식 메모리 카드 구별 프로세스를 어드레싱하기 이전에, 도 5 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 (40) 내의 컴포넌트의 블록도이다. 착탈식 메모리 카드는 SD 프로토콜 (예를 들어, 착탈식 메모리 카드 (10)) 또는 UFS 프로토콜 (예를 들어, 착탈식 메모리 카드 (22)) 에 준수될 수 있다. 착탈식 메모리 카드 (40) 는, 핀 (20, 26) 과 연동하고 메모리 컴포넌트 (44) 와 통신하는 인터페이스 (42) 를 갖는다. 메모리 컴포넌트 (44) 내에 공통 영역 (46) 이 있다. SD 프로토콜에서, 공통 영역은 기능 디스크립터와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기능 디스크립터들은 하나의 데이터 레인 기능, 4개의 데이터 레인 기능, 속도 등급 등을 포함한다. 착탈식 메모리 카드 (22) 와 같은 UFS 카드가 유사한 기능 디스크립터를 가질 수도 있지만, UFS 카드는 또한 그 카드가 UFS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가질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그 카드가 UFS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정보는 2 비트의 필드로 부호화된다.
시스템 소자의 이러한 백드롭에 대해, 상이한 유형의 착탈식 메모리 카드를 구별하는 프로세스 (50) 의 흐름도가 도 6에 도시된다. 프로세스 (50) 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 (40) 가 모바일 단말기 (30) (예를 들어, 리셉터클 (34)) 의 리셉터클에 삽입된다 (블록 52). 모바일 단말기 (30) 의 제어 시스템은 삽입을 검출한다 (블록 54). 삽입 검출은, 착탈식 메모리 카드 (40) 가 리셉터클에 배치될 때의 스위치의 가압과 같이 기계적이거나, 전기적이거나 (예를 들어, 핀이 풀 다운되는 전압), 또는 다른 원하는 메카니즘일 수도 있다. 삽입 검출 이후, 제어 시스템은 질의 신호가 착탈식 메모리 카드 (40) 의 공통 영역 (46) 에 전송될 수 있게 한다 (블록 56). 질의 신호는 SD 프로토콜 또는 다른 낮은 속도의 시리얼 신호에 원하는 바대로 준수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질의 신호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 (40) 의 데이터 핀 (DAT0-DAT3) 을 통해 인터페이스 (42) 를 거쳐 공통 영역 (46) 으로 전송된다. UFS가 착탈식 메모리 카드에 현재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UFS 준수 메모리 카드가 초기 SD 질의 프로토콜과 역 준수된다는 것은, SD 프로토콜 (및 SD 프로토콜을 이미 준수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 이 변경되지 않을 것이고 모든 새로운 UFS 준수의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장래에 관한여 본원에 기재된 제안에 준수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착탈식 메모리 카드 (40) 는 질의 신호를 수신하고,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수신되는 응답을 생성한다 (블럭 58). 착탈식 메모리 카드는 SD 준수인 경우라면, 응답은 공통 영역에 저장된 기능 디스크립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레인 기능 제공되거나, 전압 신호 레벨이 제공되거나 할 수 있다.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UFS 준수인 경우라면, 응답은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UFS 준수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응답에 기초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제어 시스템은,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SD 준수인지 (즉, 카드 (10)) 또는 UFS 준수인지 (즉, 카드 (22)) 인지를 결정한다 (블록 60).
제어 시스템이 삽입되는 카드의 종류를 결정하면, 제어 시스템은 적절한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블록 62). 카드가 SD 준수한다면, 통신은 SD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계속된다. 하지만, 카드가 UFS 준수라면, 제어 시스템은 UFS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재시작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형태에서, 제 1 카드가 제거될 수 있고, 결정이 두번째 수행되는 때 제 2 카드가 삽입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이로써,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는 처음 UFS 준수 카드를 이용할 수 있고, 그 카드가 제거되게 할 수 있고, 그리고 이후 SD 준수 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형태에 따른 착탈식 메모리 카드 구별 시스템 및 방법은 또한 프로세서 기반의 디바이스로도 지칭될 수 있는 임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제공되거나 또는 임의의 컴퓨팅 디바이스에 통합될 수 있다. 예들은, 제한 없이, 셋톱 박스, 엔터테인먼트 유닛, 내비게이션 디바이스, 통신 디바이스, 고정 로케이션 데이터 유닛, 모바일 로케이션 데이터 유닛, 모바일 폰, 셀룰러 폰,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PDA), 모니터, 컴퓨터 모니터, 텔레비전, 튜너, 라디오, 위성 라디오, 뮤직 플레이어, 디지털 뮤직 플레이어, 휴대용 뮤직 플레이어, 디지털 비디오 플레이어, 비디오 플레이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DVD) 플레이어, 및 휴대용 디지털 비디오 플레이어를 포함한다.
이것과 관련하여, 도 7 은 도 4 내지 도 6 에서 예시된 착탈식 메모리 카드 (40) 및/또는 프로세스 (50) 을 채용할 수 있는 프로세서 기반 시스템 (100) 의 예를 예시한다. 이 예에서, 프로세서 기반 시스템 (100) 은 각각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104) 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앙 프로세싱 유닛들 (CPU들) (102) 을 포함한다. CPU(들) (102) 는 일시적으로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고속 액세스를 위해 프로세서(들) (104) 에 커플링된 캐시 메모리 (106) 를 가질 수도 있다. CPU(들) (102) 는 시스템 버스 (108) 에 커플링되고 프로세서 기반 시스템 (100) 에 포함된 마스터 디바이스들 및 슬레이브 디바이스들을 상호커플링할 수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CPU(들) (102) 는 시스템 버스 (108) 를 통해 어드레스, 제어, 및 데이터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이들 다른 디바이스들과 통신한다. 예를 들어, CPU(들) (102) 는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예로서 메모리 시스템 (110) 에 버스 트랜잭션 요청들을 통신할 수 있다.
다른 마스터 및 슬레이브 디바이스들은 시스템 버스 (108) 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들 디바이스들은 예들로서, 메모리 시스템 (110),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들 (112), 하나 이상의 출력 디바이스들 (114),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 (116), 및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제어기들 (118) 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디바이스(들) (112) 는 입력 키들, 스위치들, 음성 프로세서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 임의의 타입의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디바이스(들) (114) 는 오디오, 비디오, 다른 시각적 표시자 (visual indicator) 들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 임의의 타입의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 (116) 는 네트워크 (120) 로의 및 네트워크 (120) 로부터의 데이터의 교환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네트워크 (120) 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사설 또는 공중 네트워크, 로컬 영역 네트워크 (LAN), WLAN (wide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 임의의 타입의 네트워크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들) (116) 는 원하는 임의의 타입의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 시스템 (110) 은 리셉터클 (34) 을 포함할 수 있고 착탈식 메모리 카드들 (40) 과 상호간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CPU(들) (102) 는 또한,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들 (122) 로 전송된 정보를 제어하기 위해 시스템 버스 (108) 를 통해 디스플레이 제어기(들) (118) 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기(들) (118) 는 하나 이상의 비디오 프로세서들 (124) 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정보를 디스플레이(들) (122) 에 전송하고, 그 하나 이상의 비디오 프로세서들 (124) 은 디스플레이(들) (122) 에 적합한 포맷으로 그 디스플레이될 정보를 프로세싱한다. 디스플레이(들) (122) 는 음극선관 (CRT), 액정 디스플레이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 임의의 타입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들이 전자 하드웨어, 메모리에 또는 또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되고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된 명령들, 또는 양자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또한 인식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아비터들, 마스터 디바이스들, 및 슬레이브 디바이스들은 예들로서, 임의의 회로, 하드웨어 컴포넌트, 집적 회로 (IC), 또는 IC 칩에서 채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메모리는 임의의 타입 및 사이즈의 메모리일 수도 있고 원하는 임의의 타입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상호교환가능성을 명확히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은 그들의 기능성의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상기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성이 구현되는 방법은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설계 제약들,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설계 선택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들은, 설명된 기능성을 각각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현 판정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을 야기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주문형 집적 회로 (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그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들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고 그리고 하드웨어에 저장되는 명령들로 구현될 수도 있고,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ROM), 전기적으로 프로그램가능 ROM (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한 프로그램가능 ROM (EEPROM),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그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 은 원격국에 상주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원격국, 기지국, 또는 서버에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들 중 임의의 것에서 설명된 동작 단계들은 예들 및 논의를 제공하기 위해 설명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설명된 동작들은 예시된 시퀀스들과는 다른 다수의 상이한 시퀀스들로 수행될 수도 있다. 더욱이, 단일의 동작 단계에서 설명된 동작들은 실제로 다수의 상이한 단계들로 수행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에서 논의된 하나 이상의 동작 단계들은 조합될 수도 있다. 플로우 차트 다이어그램들에서 예시된 동작 단계들은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바와 같이 다수의 상이한 수정들의 대상일 수도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당업자들은 또한,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사용하여 표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장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학장들 또는 광학 입자들, 또는 그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이전의 설명은 임의의 당업자가 본 개시를 제조하거나 또는 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 개시에 대한 다양한 수정들은 당업자들에게 용이하게 명백할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사상 또는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다른 변형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예들 및 설계들에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고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에 부합되고자 한다.

Claims (20)

  1. 컴퓨팅 디바이스의 호스트에 배치된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라 호스트 시스템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착탈식 메모리 카드들 사이를 구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호스트가 착탈식 메모리 카드의 공통 영역에 보안 디지털 (secure digital (SD)) 프로토콜 준수의 질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SD 프로토콜 준수인 경우, 상기 호스트가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로부터 상기 공통 영역에 저장된 기능 (capability) 디스크립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범용 플래시 스토리지 (UFS; Universal Flash Storage) 프로토콜 준수인 경우,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UFS 가능하다는 표시를 상기 호스트가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UFS 가능하다는 상기 표시를 상기 호스트가 수신하는 경우, 상기 호스트는 UFS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을 재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들 사이를 구별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상의 리셉터클로의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들 사이를 구별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검출하는 단계는 삽입을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들 사이를 구별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검출하는 단계는 삽입을 전기적으로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들 사이를 구별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후속하여 SD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들 사이를 구별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후속하여 상기 UFS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들 사이를 구별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후속하여 상기 UFS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는, SD 프로토콜하에서 동작하여 핀이 이용될 수 있는 것과 상이한 방식으로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 상의 핀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들 사이를 구별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들 사이를 구별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D 프로토콜 준수의 질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낮은 속도 시리얼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들 사이를 구별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낮은 속도 시리얼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클럭 성분 없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들 사이를 구별하는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의 리셉터클에서의 제 2 착탈식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착탈식 메모리 카드와 SD 프로토콜에 따라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들 사이를 구별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D 프로토콜 준수의 질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SD, 미니SD, 마이크로SD, 보안 디지털 하이 커패시티 (SDHC; secure digital high capacity), 미니SDHC, 마이크로SDHC, 및 보안 디지털 확장 커패시티 (SDXC; secure digital extended capacity)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폼 팩터에 부합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 상의 공통 영역에 질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들 사이를 구별하는 방법.
  13. 컴퓨팅 디바이스에 배치된 상이한 통신 프로토콜들에 따라 호스트 시스템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착탈식 메모리 카드들 사이를 구별하는 방법으로서,
    착탈식 메모리 카드의 공통 영역에 보안 디지털 (SD) 프로토콜 준수의 질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SD 프로토콜 준수인지 또는 범용 플래시 스토리지 (UFS) 프로토콜에 준수되는지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알리는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UFS 프로토콜 준수라는 것을 상기 응답이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알리는 경우, 상기 UFS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와 통신을 재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들 사이를 구별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은 2개의 비트를 포함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들 사이를 구별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은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SD 프로토콜 준수라는 것을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알리기 위해 기능 디스크립터를 제공하는, 착탈식 메모리 카드들 사이를 구별하는 방법.
  16.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사용자와 인터페이스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소자들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착탈식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착탈식 메모리 카드 리셉터클;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작동되도록 커플링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 상의 공통 영역에 보안 디지털 (SD) 프로토콜 준수의 질의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SD 프로토콜 준수인 경우,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로부터 상기 공통 영역에 저장된 기능 디스크립터를 수신하고;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범용 플래시 스토리지 (UFS) 프로토콜 준수인 경우,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UFS 가능하다는 표시를 수신하며; 그리고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가 UFS 가능하다는 표시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와 통신을 후속하여 재시작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는 모바일 단말기이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카메라, 폰, 태블릿 컴퓨터, 오디오 플레이어, 비디오 플레이어, 및 랩탑 컴퓨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 리셉터클은 SD, 미니SD, 마이크로SD, 보안 디지털 하이 커패시티 (SDHC), 미니SDHC, 마이크로SDHC, 및 보안 디지털 확장 커패시티 (SDXC) 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프로토콜에 부합하는 폼 팩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또한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 리셉터클에서의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의 삽입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팅 디바이스.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식 메모리 카드 리셉터클은 핀들을 포함하고, 상기 핀들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SD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 1 목적에 따라 동작하고 상기 핀들은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가 UFS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 2 목적에 따라 동작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KR1020167015561A 2013-11-15 2014-11-14 착탈식 메모리 카드 구별 시스템 및 방법 KR1016721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080,852 US9367447B2 (en) 2013-11-15 2013-11-15 Removable memory card discrimination systems and methods
US14/080,852 2013-11-15
PCT/US2014/065601 WO2015073768A1 (en) 2013-11-15 2014-11-14 Removable memory card discrimination systems and metho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457A KR20160084457A (ko) 2016-07-13
KR101672172B1 true KR101672172B1 (ko) 2016-11-02

Family

ID=51987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5561A KR101672172B1 (ko) 2013-11-15 2014-11-14 착탈식 메모리 카드 구별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367447B2 (ko)
EP (2) EP3069259B1 (ko)
JP (1) JP6050556B1 (ko)
KR (1) KR101672172B1 (ko)
CN (1) CN105723352B (ko)
BR (1) BR112016010983B1 (ko)
CA (1) CA2926840C (ko)
ES (1) ES2642380T3 (ko)
HU (1) HUE033406T2 (ko)
WO (1) WO201507376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424A1 (ko) * 2017-12-12 2019-06-20 삼성전자 주식회사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도킹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52318B2 (en) * 2014-06-04 2017-01-24 Qualcomm Incorporated Removable memory card type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KR102168170B1 (ko) * 2014-06-30 2020-10-20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US10235312B2 (en) * 2016-10-07 2019-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system and host device that maintain compatibility with memory devices under previous standards and/or versions of standards
KR20180077727A (ko) 2016-12-29 2018-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집적 회로 카드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US11037042B2 (en) 2016-12-29 2021-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cards and communication systems including the same
KR102444234B1 (ko) 2018-01-03 2022-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카드 및 전자 시스템
KR20190131713A (ko) * 2018-05-17 2019-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범용 플래시 메모리, 다양한 종류의 메모리 장치와 연결 가능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1953364B (zh) * 2019-05-16 2022-04-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存储卡、数据存储模式的确定方法及装置、电子设备
US11137932B2 (en) * 2019-12-02 2021-10-05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Pad indication for device capability
CN111930395B (zh) * 2020-08-20 2023-03-07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智能终端的程序下载方法和智能终端
CN116486893B (zh) * 2023-04-23 2023-12-12 珠海妙存科技有限公司 Ufs验证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3288A (en) 1996-08-20 1999-11-09 Lucent Technologies Inc. Dynamically configurable personal computer card utilizing variable interrogation signal to detect connected extension
US6725291B2 (en) 2002-01-18 2004-04-20 Key Technology Corporation Detection method used in adaptor capable of inserting various kinds of memory cards
US20040064612A1 (en) * 2002-09-26 2004-04-01 Sandisk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 memory card protocol inside a bus protocol
US7069369B2 (en) * 2004-02-12 2006-06-27 Super Talent Electronics, Inc. Extended-Secure-Digital interface using a second protocol for faster transfers
TWI271659B (en) * 2004-05-05 2007-01-21 Prolific Technology Inc Memory card equipped with a multi-interface function and method for choosing a compatible transmission mode
CA2597487A1 (en) * 2005-02-11 2006-08-17 M-Systems Flash Disk Pioneers Ltd. Appliance with communication protocol emulation
CN1940848A (zh) * 2005-09-28 2007-04-04 慧荣科技股份有限公司 记忆卡接口转换架构
US20090114722A1 (en) * 2007-11-06 2009-05-07 Bei-Chuan Chen Card Reader With Capability Of Adjusting Access Interface Display
TW201017552A (en) 2008-10-21 2010-05-01 Singim Internat Corp Method for identifying the card type inserted in micro SD card adapter
US7899967B2 (en) 2008-11-24 2011-03-01 Mediatek Inc. Systems for accessing memory card and methods for accessing memory card by a control unit
US20100205341A1 (en) 2009-02-11 2010-08-12 Singim International Corp. Card recognition method for micro sd adapter
EP2465040A1 (en) * 2009-08-14 2012-06-20 SanDisk IL Ltd. Dual interface card with backward and forward compatibility
US8301822B2 (en) * 2009-09-23 2012-10-30 Sandisk Il Ltd. Multi-protocol storage device bridge
WO2011149725A2 (en) * 2010-05-28 2011-12-01 Verigy (Singapore) Pte. Ltd. Flexible storage interface tester with variable parallelism and firmware upgradeabil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424A1 (ko) * 2017-12-12 2019-06-20 삼성전자 주식회사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도킹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1263160B2 (en) 2017-12-12 202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data transmission with docking device by using USB inte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73768A1 (en) 2015-05-21
EP3279801A1 (en) 2018-02-07
JP6050556B1 (ja) 2016-12-21
EP3069259B1 (en) 2017-08-16
CA2926840A1 (en) 2015-05-21
EP3069259A1 (en) 2016-09-21
KR20160084457A (ko) 2016-07-13
CA2926840C (en) 2017-10-17
ES2642380T3 (es) 2017-11-16
BR112016010983B1 (pt) 2022-02-22
US9367447B2 (en) 2016-06-14
CN105723352B (zh) 2019-07-05
BR112016010983A2 (ko) 2017-08-08
CN105723352A (zh) 2016-06-29
US20150143022A1 (en) 2015-05-21
HUE033406T2 (en) 2017-11-28
JP2017504084A (ja) 2017-02-02
EP3279801B1 (en) 202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172B1 (ko) 착탈식 메모리 카드 구별 시스템 및 방법
EP3152669B1 (en) Removable memory card type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9674310B2 (en) Operating M-PHY based communications over mass storage-based interfaces, and related connectors, systems and methods
US20120079197A1 (en) Card-reading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card-reading device to access memory card
US9514832B2 (en) Access apparatus of memory card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373382A (zh) 高速外围组件互连(PCI)(PCIe)地址转译服务(ATS)中的快速失效
US20030178486A1 (en) Mobile memory card reader and a fixing base thereof
EP307205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w voltage secure digital (sd) interfaces
US118470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hip operation using 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with reduced pin options
EP3477533A1 (en) Xqd transmission interface memory card adapter device
US20060098507A1 (en) Bridging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