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065B1 - 디스크와 연계하여 블레이드를 체결하는 축방향 보유장치를 구비한 터빈 휠 - Google Patents

디스크와 연계하여 블레이드를 체결하는 축방향 보유장치를 구비한 터빈 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065B1
KR101672065B1 KR1020117015318A KR20117015318A KR101672065B1 KR 101672065 B1 KR101672065 B1 KR 101672065B1 KR 1020117015318 A KR1020117015318 A KR 1020117015318A KR 20117015318 A KR20117015318 A KR 20117015318A KR 101672065 B1 KR101672065 B1 KR 101672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axial
disk
retention device
turbin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5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8935A (ko
Inventor
데니스 샹트루
Original Assignee
사프란 헬리콥터 엔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프란 헬리콥터 엔진스 filed Critical 사프란 헬리콥터 엔진스
Publication of KR20110098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30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30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 F01D5/32Locking, e.g. by final locking blades or keys
    • F01D5/326Locking of axial insertion type blades by other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01D5/14Form o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30Fixing blades to rotors; Blade roots ; Blade spacers
    • F01D5/32Locking, e.g. by final locking blades or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포일(144)과 플랫폼(142) 및 장착부재(140)로 이루어진 다수의 블레이드(14)와, 이의 원주면에 블레이드(14)를 장착하되, 각 블레이드의 장착부재는 디스크의 마주보는 2개의 면(128,130)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뻗어 있고 디스크의 원주면 내에서 전개된 하우징(120)과 맞물리고, 하우징은 치상돌기 형상부(121)로 분리되어 있는 디스크(12), 및 블레이드를 지지보유하는 축방향 보유장치(16)로 이루어진 터빈 휠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는 제1멈춤부재(126)를 구비하고, 상기 블레이드의 플랫폼은 디스크의 면 중 하나의 면을 지나 축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150)를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150)는 제2멈춤부재(146)를 구비한다. 축방향 돌출부, 제2멈춤부재, 및 디스크의 면은 디스크의 축(A)을 향해 홈을 형성하며, 상기 홈은 축방향 보유장치를 수용하도록 돕는다.

Description

디스크와 연계하여 블레이드를 체결하는 축방향 보유장치를 구비한 터빈 휠 {Turbine wheel provided with an axial retention device that locks blades in relation to a disk}
본 발명은 일반적인 가스 터빈의 블레이드 휠에 관한 것으로, 더욱 특별하기로 휠의 축에 대해서 상기 블레이드를 지지보유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적용 분야는, 특히, 산업용 가스 터빈과 가스 터빈 항공엔진 분야이다.
전형적인 터빈 휠은 다수의 블레이드와 디스크 및 이 블레이드를 축방향으로 보유하는 장치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각각의 블레이드는 에어포일(airfoil)과 플랫폼(platform) 및 장착부재를 구비한다. 블레이드는 디스크의 원주면에 장착되되, 각 블레이드의 장착부재는 디스크의 원주면으로 개방되어 있는 하우징과 맞물리고 디스크의 마주보는 2개의 면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하우징은 치상돌기 형상부로 분리되어져 있다. 블레이드의 축방향 보유장치는 디스크의 회전 축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블레이드를 체결한다.
공지된 터빈 휠에서, 작동 중에, 블레이드는 때때로 진동 또는 진동운동에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진동은 휠을 파손시키거나 휠의 다양한 부재들 사이의 접촉영역에 조기마모(早期磨耗)도 야기할 수 있어 휠의 동적 불안정 상태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휠이 작동하는 동안에 실제로 블레이드가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는 터빈 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전술된 특정 유형의 휠로 달성되되,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는 제1축방향으로 디스크에 대해서 상기 블레이드를 차단할 수 있게 디스크의 제1멈춤부재와 맞닿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플랫폼은 디스크의 하나의 면을 지나 축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제2멈춤부재를 구비하고; 축 돌출부와 제2멈춤부재 및 디스크의 상기 면은 디스크의 축을 향하여 홈을 형성하며, 상기 홈은 조립위치에서 축방향 보유장치가 제2멈춤부재와, 제1축방향과 반대인 제2축방향으로 디스크의 상기 면에 대해서 제1멈춤부재와 맞닿게 되는 방식으로 축방향 보유장치를 수용할 수 있게 돕는바, 상기 블레이드는 제2축방향으로 디스크에 대해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축방향 보유장치는 디스크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각각의 블레이드를 체결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블레이드는 우선적으로 디스크의 제1멈춤부재로 두번째로는 축방향 보유장치로서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제1멈춤부재는 제1축방향에서 축방향으로 블레이드를 차단하는 반면에, 축방향 보유장치는 제2축방향에서 축방향으로 블레이드를 차단한다. "축방향"이라는 용어는 휠 또는 디스크의 축을 따라 뻗어 있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질적으로, 방사상 방향에서, 블레이드는 공지된 방식으로 블레이드의 형상부와 디스크의 2개 치상돌기부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하우징에 지지보유된다.
예컨대 그리고 바람직하기로, 제1축방향은 블레이드가 디스크 내의 하우징으로 삽입되는 방향이며, 제2축방향은 블레이드가 디스크에서 분리되는 방향이다.
블레이드 플랫폼은 제2멈춤부재를 구비한 축 돌출부를 구비한다. 축 돌출부는 블레이드가 디스크에 장착되는 경우에 디스크 중 하나의 면을 지나 축방향으로 뻗어 있게 설계된다. 제2멈춤부재는 플랫폼 아래에 위치되고 디스크의 축을 향해 방사상으로 돌출한다.
블레이드가 디스크에 장착되는 경우에, 디스크의 면과 축 돌출부 및 제2멈춤부재는 디스크의 축과 마주보는 면에 홈을 형성한다. 따라서, 블레이드 에어포일을 운송하는 면과 마주보는, 플랫폼의 바닥면은 홈의 바닥을 형성하는 반면에, 디스크의 면과 제2멈춤부재는 홈의 측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한된 홈은 축방향 보유장치를 수용한다.
축방향 보유장치는 제1멈춤부재에 의해 제1축방향으로 그리고 디스크의 상기 면에 의해 제2축방향으로 홈에 고정된다. 또한, 축방향 보유장치는 홈의 바닥에 의해 원심방향에서 방사상으로 고정된다.
블레이드가 제2축방향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하려 할 때, 제2멈춤부재는 축방향 보유장치에 대해 맞닿는 인접부로 위치되는 바, 장치는 디스크의 상기 면에 대해서 인접부에 교대로 삽입된다. 따라서, 블레이드는 제2축방향에서 축방향으로 고정된다.
덧붙여서, 휠의 회전하는 동안에, 축방향 보유장치에 가해지는 원심력은 소정의 접촉압력으로 홈의 바닥에 대해서 축방향 보유장치를 가압하여 휠의 회전속도를 높인다. 이는 2개의 장점을 제공한다. 우선, 이러한 방식에서 압력은 홈의 바닥에 대해 축방향 보유장치를 고정한다. 이는 홈의 측면 사이에서 적당하게 수용된 축방향 보유장치를 잔류할 수 있게 보장한다. 결과적으로, 축방향 보유장치가 홈에서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추가로, 이 장점은 블레이드와 축방향 보유장치 사이에 기계적 연결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블레이드의 강성과 디스크의 강성에 비해서 축방향 보유장치의 유연성은 진동의 방위각 컴포넌트를 완화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블레이드 진동을 완화하여, 블레이드 이동이 진폭이 줄어들고, 특히 블레이드의 공진 주파수로 진동할 때에 블레이드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수단으로 하여, 우선 블레이드는 디스크에 축방향으로 적당하게 고정될 수 있고, 두번째로 블레이드 진동이 완화된다.
본 발명의 바람작한 양상에서, 하나 이상의 돌기부는 블레이드와 축방향 보유장치 사이에 기계적 접촉을 확립시킬 수 있게 축방향 보유장치와 블레이드 상에 구비된다.
블레이드와 축방향 보유장치 사이에서 돌기부의 존재가 블레이드와 축방향 보유장치 사이에 기계적 접촉을 향상하며, 상기 기계적 접촉이 블레이드 진동을 완화한다. 추가로, 돌기부는 방위방향으로 축방향 보유장치의 임의의 이동에 제동을 가할 수 있어, 블레이드가 축방향으로 지지보유되는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변형예에서, 돌기부와 상보적인 오목부가 돌기부와 맞보는 부재에 형성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돌기부가 오목부에 수용된다.
따라서, 만약 돌기부가 축방향 보유장치 상에 형성되면, 돌기부에 향해 있는 부재는 플랫폼이므로 오목부는 플랫폼 아래에 형성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반대로, 만약 돌기부가 플랫폼 아래에 형성된다면, 돌기부에 향해 있는 부재는 축방향 보유장치이므로 오목부는 축방향 보유장치에 형성된다. 돌기부와 상보적인 형상의 오목부는 추가로 단순히 돌기부의 존재로 인한 장점과 이 돌기부를 구비하지 않은 마주보는 면의 존재로 인한 장점을 조합하여 돌기부와 축방향 보유장치 사이에 기계적 접촉을 향상한다. 돌기부는 영구적으로 접촉할 수 있으며, 마주보는 면들이 돌기부와 상보적인 형상의 오목부 때문에 매우 근접하게 위치되는바, 상기 원심력의 결과에 따라 휠의 회전하는 동안에 추가적인 접촉을 제공하게 된다. 덧붙여서, 돌기부가 오목부 내로 수용된다는 사실은 축방향 보유장치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돌기부 및/또는 오목부는 블레이드 에어포일을 방사상으로 지지하지 않는 플랫폼의 일부에 만들어진다.
블레이드 에어포일에 대해서 돌기부의 이러한 배열을 수단으로 하여, 돌기부가 플랫폼 아래에 혹은 축방향 보유장치 상에 위치됨에도 불구하고, 돌기부는 블레이드 에이포일을 방사상 지지할 수 있는 영역과 인접하게 위치되지 않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와 축방향 보유장치 사이에서의 상호작용에 의한 기계적 응력은 플랫폼이 기계적 응력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영역에 가해지게 된다. 블레이드 에어포일에 인접한 플랫폼의 영역은 전형적으로 에어포일에 의해 상당한 응력을 받는다.
바람직하기로, 디스크는 디스크에 대해서 방위방향으로 축방향 보유장치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반회전 고정자를 구비한다.
반회전 고정자는 휠의 회전하는 동안에 축방향 보유장치가 자체적으로 작동되지 않도록 한다. 덧붙여서, 반회전 고정자 때문에, 축방향 보유장치는 정확하게 위치선정된다. 반회전 고정자는 바람직하기로 휠이 균형잡을 수 있게 보장한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반회전 고정자는 휠 주변에서 일정하게 분배될 필요없는 축방향 보유장치의 질량을 균형잡는다. 따라서, 축방향 보유장치와 반회전 고정자로 만들어진 조립체는 휠 둘레에서 일정한 질량 분배를 가져오고, 회전할 경우에 휠에 불균형되지 않게 한다.
바람직하기로, 디스크는 또한 축방향 보유장치의 구심이동(centripetal movement)을 적당하게 방지하는 하나 이상의 안정 고정자를 구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배열된 안정 고정자는 축방향 보유장치를 홈에서 방사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는 추가로 축방향 체결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휠은 디스크 둘레에서 120°의 각도로 일정하게 분포된 3개의 안정 고정자를 갖춘다.
바람직하기로, 축방향 보유장치는 분할 링으로 되어 있다.
링은 바람직하기로 디스크 상에 모든 블레이드를 지지보유하도록 단일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덧붙여서, 링은 방사상 변형에 대해서 소정의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게 분할되어 있고, 이러한 견지에서 블레이드의 방위진동을 완화하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링은 바람직하기로 탄력성을 갖아, 블레이드의 진동 완화와 휠 상에 링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덧붙여서, 링 형태로 된 축방향 보유장치는 링과 다수의 블레이드 사이에 기계적 결합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실질적인 양상에 덧붙여서, 링은 또한 각 블레이드의 진동을 만족스럽게 완화하여 블레이드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다른 변형예에서, 링은 프리스트레스(prestress) 처리되어 플랫폼에 대해 압력 접촉되게 하여, 기계가 정지할 때 휠에 대해서 링의 위치선정을 보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제1멈춤부재는 펜촉형상부(nib)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기로 펜촉형상부는 블레이드의 플랫폼의 축 돌출부의 방위 길이의 적어도 일부 위로 뻗어 있는 링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2멈춤부재를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각 블레이드 플랫폼 상에 축방향 보유력을 분배하여 임의의 국부적인 기계적 피크응력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터빈 휠을 구비한 터보기계(turbomachine)를 구비한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휠이 작동하는 동안에 실제로 블레이드가 진동의 영향을 받지 않는 터빈 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과의 이의 장점들은 비한정된 실례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의 설명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설명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터빈 휠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터빈 휠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2b는 조립된 터빈 휠의 동일한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b의 평면 Ⅲ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b의 평면 Ⅳ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의 평면 Ⅴ의 단면에서 축방향 보유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터빈 휠을 장착한 터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터빈 휠(10)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휠(10)은 축(A)을 갖춘 디스크(12)와, 다수의 블레이드(14), 및 축방향 보유장치(16)로 구성된다. 이 실례에서, 축방향 보유장치(16)는 분할 링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아래 설명에서, "링" 또는 "분할 링"이라는 용어는 "축방향 보유장치"를 설계하는 데에 사용된다.
각각의 블레이드(14)는 전나무형상의 기저부 형태로 된 장착부재(140)와, 플랫폼(142), 및 블레이드 에어포일(144)을 구비한다. 장착부재(140)는 디스크(12)의 하우징(120)과 맞물린다. 하우징(120)은 디스크의 마주보는 2개의 면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뻗고, 디스크(12)의 외주면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치상돌기 형상부(121)로 분리되어 있다. 각각의 블레이드(14)는 장착부재와 인접해 있는 2개의 치상돌기 형상부(121)에 의해 장착부재를 매개로 하여 방사상으로 고정된다.
디스크(12)는 디스크 상에서 서로 120°의 각도로 배치된 2개의 안정 고정자(122)를 설치한다. 이 안정 고정자(122)는 디스크(12)와 블레이드(14)에 대해 방사상 위치에서 링(16)을 고정한다. 디스크(12)는 또한 반회전 고정자(124)를 설치하여 디스크(12)와 블레이드(14)에 대해서 방위위치에서 링(16)을 고정한다. 반회전 고정자(124)는 링(16)에 분할부 속으로 삽입된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휠(10)의 각 일부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2a에서, 제1멈춤부재(126)와 제2멈춤부재(146)가 도시될 수 있다. 블레이드가 제1축방향(X)으로 디스크(12) 상에 장착될 때, 제1멈춤부재(126)는 블레이드(14)에 공동부(148) 속으로 수용된다.
제2멈춤부재(146)는 디스크(12)의 면(128)에서 돌출해 있는 플랫폼(150)에서 축방향으로 돌출한 플랫폼(142)의 바닥면 상에 위치된다. 각각의 제2멈춤부재(146)는 펜촉형상부(nib)로 형성되어, 디스크(12)의 면(130)에서 디스크(12) 위에 블레이드(14)를 조립하는 동안에, 블레이드 장착부재(140)는 제1멈춤부재(126)가 공동부(148) 속으로 수용될 때까지 하우징(120)에서 활주할 수 있다. 이 실례에서, 각각의 펜촉형상부는 방위 가장자리 상에 추가적인 기계가공으로 조립하는 동안에 치상돌기 형상부(121)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래에서, "펜촉형상부"라는 용어는 "제2멈춤부재"로 사용된다.
이 실례에서, 각각의 펜촉형상부(146)는 링의 일부를 형성하는바, 블레이드(14)가 디스크(12) 상에 조립될 때, 펜촉형상부(146)는 불연속 링을 형성한다.
도 2b는 일단 조립된 도 2a를 참조로 기술된 휠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축방향 돌출부(150)의 바닥면과, 디스크의 면(128), 및 디스크(12)의 면(128)과 맞닿는(혹은 블레이드 장착부재(140)와 맞닿는) 펜촉형상부(146)의 면은 디스크의 축(A)을 향해 있는 홈을 형성한다. 링(16)은 이 홈에 수용된다.
축방향 보유장치의 조립체는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아래에 기술된다. 도 3은 평면 Ⅲ으로 도 2에 도시된 실례의 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의 블레이드(14)는 플랫폼(142)의 접촉면(152) 중 하나가 디스크(12)의 제1멈춤부재(126)에 대해 인접할 때까지 제1축방향(X)으로 하우징(120)에서 맞물린다. 그런 다음에, 블레이드는 제1축방향(X)으로 차단된다.
그 후에, 도 4(도 2b의 평면 Ⅳ에 따른 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16)은 디스크(12)의 면(128)에서 뻗은 블레이드 장착부재(140)의 면(154)과 이 면(154)에 맞닿는 펜촉형상부(146)의 면(156) 사이에서 돌출부(150) 아래에 위치된다. 따라서, 블레이드는 제1멈춤부재(126)와 디스크(12)의 면(128)에 대해 자체 지탱하는 링(16)에 인접한 펜촉형상부(146)로서 제1축방향(X)과 반대인 제2축방향(Y)의 축방향으로 고정된다(도 3 참조). 그러므로, 블레이드는 우선 제1멈춤부재(126)와 두번째로 제2멈춤부재(146)로 축방향 보유장치(16) 사이에서의 상호작용으로 반대 축방향(X,Y)으로 고정된다.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상에서, 플랫폼(142)은 하나 이상의 돌기부(170)를 구비한다. 돌기부(170)는 플랫폼(142)의 바닥면 상에, 그리고 더욱 특별하기로 축방향 돌출부(150)의 바닥면 상에 위치된다. 더욱 정확하게, 링(16)을 수용하는 홈을 참조로 하여, 돌기부(170)는 상기 홈의 바닥에 형성된다.
덧붙여서, 방사상 방향에서, 돌기부(170)는 블레이드 에어포일(144)의 장착 위치에 놓이지 않는바, 다시 말하자면, 블레이드 에어포일(144)과 돌기부(170)는 축방향으로 빗겨서 배치된다. 블레이드 에어포일(144)은 블레이드 장착부재(140)로 지지될 플랫폼의 일부로 방사상으로 지지되고, 축방향 돌출부(150)를 침범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자면, 돌기부(170)는 블레이드 에어포일(144)을 방사상으로 지지하는 플랫폼(142)의 일부에 위치되지 않는다.
도 5a 내지 도 5e는 도 4의 평면 Ⅴ와 접하는 다수의 여러 링/플랫홈을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동일한 방식으로, 단일 돌기부(170)가 도 5a에 도시된다. 링/플랫폼 접촉은 돌기부(170)와 링(16) 사이의 접촉으로 제공된다. 홈(158)의 바닥과 맞닿는 링(16)의 표면(160)은 실제로 매끄럽다.
도 5b는 전술된 실시예와 달리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링(16)은 링의 원주 상에 위치선정된 다수의 돌기부(162)(하나의 돌기부만을 도시하고 있음)를 구비하는 반면에 홈(158)의 바닥은 매끄럽게 되어 있다.
도 5c 및 도 5d는 도 5a와 도 5b와 각각 유사하게 되어 있는데, 상기 돌기부를 장착하는 상보적인 형상의 오목부에 각각 위치된 돌기부(170,162)를 도시하고 있다. 도 5c의 구조에서, 돌기부(170)는 플랫폼(142) 아래에 위치되고 링(16)은 상보적인 형상의 오목부를 구비한다. 도 5d의 구조에서, 돌기부(162)는 링(16)의 원주면에 형성되고 오목부는 블레이드 플랫폼(142)에 형성된다. 양 방식에서, 링(16)은 돌기부와 상보적인 형상의 오목부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방위방향으로 바람직하게 고정된다.
도 5e는 링(16)과 돌출부(150) 상에 오목부와 돌기부를 동시에 조합하여 구비한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터빈 휠을 장착한 터보기계(200)를 도시한다. 이 실례에서, 가스 발생장치(210)의 터비 휠과 자유 터비 휠(220)은 본 발명에 따라 이루어진다.

Claims (12)

  1. - 에어포일(144)과 플랫폼(142) 및 장착부재(140)로 이루어진 다수의 블레이드(14)와;
    - 디스크(12)의 원주면에 상기 블레이드(14)가 장착되고, 각 블레이드(14)의 장착부재(140)가, 디스크(12)의 원주면으로 개방되어 있고 디스크(12)의 2개의 마주보는 면(128,130)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뻗은 하우징(120)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120)은 치상돌기 형상부(121)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는, 디스크(12);
    - 상기 디스크(12)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블레이드(14)를 체결하도록 상기 블레이드(14)를 지지보유하는 축방향 보유장치(16);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14)가 제1축 방향(X)으로 디스크(12)에 대해 상기 블레이드(14)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상기 디스크(12)의 제1멈춤부재(126)와 맞닿도록 구성된, 터빈 휠(10)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4)의 플랫폼(142)은 상기 디스크(12)의 면 중 하나의 면을 지나 축방향으로 뻗은 축방향의 돌출부(150)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부(150)는 제2 멈춤부재(146)를 구비하고,
    상기 축방향 돌출부(150)와 제2 멈춤부재(146) 및 디스크의 면(128)은 디스크의 축(A)을 향해 있는 홈을 형성하며, 조립위치에서 축방향 보유장치(16)가 제2멈춤부재(146)에 대해서 그리고 제1축방향(X)와 반대인 제2축방향(Y)으로 디스크의 상기 면(128)에 대해서 제1축방향(X)으로 맞닿게 되는 방식으로 상기 홈이 상기 축방향 보유장치(16)를 수용하여, 상기 블레이드(14)가 제2축방향(Y)으로 디스크(12)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4)와 축방향 보유장치(16) 사이에 기계적 접촉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돌기부(162,170)가 축방향 보유장치(16)와 상기 블레이드(14) 사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기부(162)는 축방향 보유장치(16)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휠.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기부(170)는 상기 홈의 바닥에서 축방향 돌출부(150) 아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휠.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62,170)와 상보적인 형상의 오목부가 상기 돌기부(162,170)와 맞보는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162,170)가 오목부에 수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휠.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162,170) 및/또는 오목부는 상기 블레이드 에어포일(144)을 방사상으로 지지하지 않는 플랫폼(142)의 일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휠.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12)는, 상기 디스크(12)에 대해 방위방향으로 상기 축방향 보유장치(16)의 이동을 방지하는 반회전 고정자(1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휠.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12)는, 상기 축방향 보유장치(16)의 구심이동을 방지하도록 하나 이상의 안정 고정자(1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휠.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보유장치(16)는 분할 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휠.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멈춤부재(146)는 펜촉형상부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멈춤부재의 상기 펜촉형상부는 상기 블레이드(14)의 플랫폼(142)의 축방향 돌출부의 방위 길이부 일부에 걸쳐 뻗어 있는 링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휠.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나 이상의 터빈 휠(210,220)을 구비한 터보기계(200).
KR1020117015318A 2008-12-11 2009-12-10 디스크와 연계하여 블레이드를 체결하는 축방향 보유장치를 구비한 터빈 휠 KR101672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858461A FR2939832B1 (fr) 2008-12-11 2008-12-11 Roue de turbine equipee d'un dispositif de retenue axiale verrouillant des pales par rapport a un disque.
FR0858461 2008-12-11
PCT/FR2009/052469 WO2010067024A2 (fr) 2008-12-11 2009-12-10 Roue de turbine equipee d'un dispositif de retenue axiale verrouillant des pales par rapport a un dis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935A KR20110098935A (ko) 2011-09-02
KR101672065B1 true KR101672065B1 (ko) 2016-11-02

Family

ID=41056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5318A KR101672065B1 (ko) 2008-12-11 2009-12-10 디스크와 연계하여 블레이드를 체결하는 축방향 보유장치를 구비한 터빈 휠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8956119B2 (ko)
EP (1) EP2373872B1 (ko)
JP (1) JP5726747B2 (ko)
KR (1) KR101672065B1 (ko)
CN (1) CN102245859B (ko)
CA (1) CA2746431C (ko)
ES (1) ES2399851T3 (ko)
FR (1) FR2939832B1 (ko)
PL (1) PL2373872T3 (ko)
RU (1) RU2507400C2 (ko)
WO (1) WO201006702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5717B2 (en) 2010-10-06 2014-12-09 General Electric Company Turbine bucket lockwire rotation prevention
FR2988128A1 (fr) 2012-03-19 2013-09-20 Alstom Technology Ltd Rotor de turbine pour une centrale thermoelectrique
US9476310B2 (en) * 2012-10-18 2016-10-25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to axially retain blades
EP2803821A1 (en) * 2013-05-13 2014-11-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Blade device, blade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of manufacturing a blade system
US9664056B2 (en) 2013-08-23 2017-05-30 General Electric Company Turbine system and adapter
FR3026429B1 (fr) * 2014-09-30 2016-12-09 Snecma Aube mobile de turbomachine, comprenant un ergot engageant une entaille de blocage d'un disque de rotor
KR101628613B1 (ko) * 2015-04-01 2016-06-0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버켓의 축방향 고정장치
KR101689085B1 (ko) * 2015-08-03 2017-01-02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터빈용 마지막 버켓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지막 버켓의 조립 방법
DE102016107315A1 (de) 2016-04-20 2017-10-26 Rolls-Royce Deutschland Ltd & Co Kg Rotor mit Überhang an Laufschaufeln für ein Sicherungselement
CN109716077B (zh) * 2016-06-27 2021-04-27 比勒陀利亚大学 使用叶尖定时(btt)监测涡轮机转子叶片的方法和系统
US10724384B2 (en) * 2016-09-01 2020-07-28 Raytheon Technologies Corporation Intermittent tab configuration for retaining ring retention
KR101953462B1 (ko) * 2017-05-24 2019-02-28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베인 어셈블리를갖는 가스터빈
CN108757569A (zh) * 2018-06-07 2018-11-06 哈尔滨电气股份有限公司 新型压气机叶片和轮盘连接结构
FR3091719B1 (fr) * 2019-01-15 2021-02-12 Safran Aircraft Engines secteur de flasque d’etancheite de disque de rotor
JP7213835B2 (ja) * 2020-02-10 2023-01-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ービンホイ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99582A (en) * 1950-11-14 1953-11-11 Rolls Royc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gas-turbine engines
US3047268A (en) * 1960-03-14 1962-07-31 Stanley L Leavitt Blade retention device
SU443192A1 (ru) * 1972-11-14 1974-09-15 Моторостроите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лотнени рабочих лопаток турбины
US3888601A (en) * 1974-05-23 1975-06-10 Gen Electric Turbomachine with balancing means
FR2345605A1 (fr) * 1976-03-25 1977-10-21 Snecma Dispositif de retenue pour aubes de soufflantes
US4221542A (en) * 1977-12-27 1980-09-09 General Electric Company Segmented blade retainer
SU903572A1 (ru) * 1980-05-16 1982-02-07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В-2504 Рабочее колесо турбомашины
JPS63500879A (ja) * 1985-09-12 1988-03-31 ソウラ− タ−ビンズ インコ−ポレ−テツド 羽根付きロ−タ−組立体のためのシ−ルリング装置
FR2603333B1 (fr) * 1986-09-03 1990-07-20 Snecma Rotor de turbomachine comportant un moyen de verrouillage axial et d'etancheite d'aubes montees dans des brochages axiaux du disque et procede de montage
FR2639063A1 (fr) * 1988-11-17 1990-05-18 Snecma Segment d'arret et d'etancheite d'un ensemble d'aubes monte sur un disque de rotor de turbomachine
US5256035A (en) * 1992-06-01 1993-10-26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Rotor blade retention and sealing construction
FR2694046B1 (fr) * 1992-07-22 1994-09-23 Snecma Dispositif d'étanchéité et de rétention pour un rotor entaillé de brochages recevant des pieds d'aubes.
US5302086A (en) * 1992-08-18 1994-04-12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retaining rotor blades
DE19960896A1 (de) * 1999-12-17 2001-06-28 Rolls Royce Deutschland Rückhaltevorrichtung für Rotorschaufeln einer Axialturbomaschine
CZ20002685A3 (cs) * 1999-12-20 2001-08-15 General Electric Company Zařízení pro uchycení lopatek otáčivého stroje a způsob jejich uchycení
FR2888897B1 (fr) * 2005-07-21 2007-10-19 Snecma Dispositif d'amortissement des vibrations d'un anneau de retention axiale des aubes de soufflante d'une turbomachine
CN101258305B (zh) * 2005-09-07 2011-06-15 西门子公司 用于对转子中的动叶片进行轴向固定的装置、用于一种这样的装置的密封件以及一种这样的装置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46431C (fr) 2016-06-07
PL2373872T3 (pl) 2013-05-31
EP2373872A2 (fr) 2011-10-12
CA2746431A1 (fr) 2010-06-17
CN102245859A (zh) 2011-11-16
EP2373872B1 (fr) 2012-12-05
ES2399851T3 (es) 2013-04-03
FR2939832A1 (fr) 2010-06-18
RU2507400C2 (ru) 2014-02-20
FR2939832B1 (fr) 2011-01-07
WO2010067024A3 (fr) 2010-08-05
KR20110098935A (ko) 2011-09-02
JP2012511663A (ja) 2012-05-24
US20110311366A1 (en) 2011-12-22
RU2011128021A (ru) 2013-01-20
CN102245859B (zh) 2014-04-30
US8956119B2 (en) 2015-02-17
JP5726747B2 (ja) 2015-06-03
WO2010067024A2 (fr)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2065B1 (ko) 디스크와 연계하여 블레이드를 체결하는 축방향 보유장치를 구비한 터빈 휠
US7534090B2 (en) Enhanced bucket vibration system
JP5547292B2 (ja) ブレードをディスクに係止する軸方向保持リングが取り付けられたタービンホイール
EP1867837B1 (en) Bucket vibration damper system
EP1741878B1 (en) Fluid flow machine
RU2417323C2 (ru) Система лопаток
RU236109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алансировки вращающейся детали, в частности ротора турбореактивного двигателя
JP5005975B2 (ja) ターボ機械のファンブレードを軸方向に保持するリングの振動を減衰する装置
US3752599A (en) Bucket vibration damping device
US20040228731A1 (en) Vibration damper assembly for the buckets of a turbine
JPS59134301A (ja) ピン固定根元部分を有する羽根組体
US8118540B2 (en) Split ring for a rotary part of a turbomachine
JPH08232602A (ja) 軸流タービンエンジン用ロータ組立体
US20080003108A1 (en) Turbomachine rotor and turbomachine comprising such a rotor
JP2012511663A5 (ko)
JPS58124007A (ja) タ−ビン及び圧縮機の羽根を軸方向に鎖錠する装置
JP2007278292A (ja) ターボ機械のロータディスクフランジを軸方向に保持するための保持装置
JP2006125372A (ja) 回転機械翼の防振構造および回転機械
US10450865B2 (en) Friction damper
JP6985197B2 (ja) 回転機械
JPH11324605A (ja) 動翼の取付構造
JP2004285931A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振動抑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