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914B1 - 자외선 차단능을 갖는 섬유 가공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 가공제 - Google Patents

자외선 차단능을 갖는 섬유 가공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 가공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914B1
KR101671914B1 KR1020150001218A KR20150001218A KR101671914B1 KR 101671914 B1 KR101671914 B1 KR 101671914B1 KR 1020150001218 A KR1020150001218 A KR 1020150001218A KR 20150001218 A KR20150001218 A KR 20150001218A KR 101671914 B1 KR101671914 B1 KR 101671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mol
ultraviolet
processing agent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913A (ko
Inventor
조항성
이범수
우장창
박순영
김종윤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01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914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9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6Radiation shielding agents, e.g. absorbing, reflect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2Physical properties protective against sunlight or UV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의 탄성 및 자외선 차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섬유 가공제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 가공제 및 이 섬유 가공제로 처리된 섬유성 기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polytetramethylene glycol, PTMG) 20 내지 40 mol%,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5 내지 20 mol% 및 니트로소디에탄올아민(N-nitrosodiethanolamine, NDEA) 40 내지 60 mol%로 포함하는 폴리올 혼합물을 70 내지 120℃로 가열하는 1 단계; 상기 1단계의 폴리올 혼합물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IPDI)를 1:1 내지 1.2의 몰비로 혼합하고 촉매를 첨가하고 온도를 40℃로 낮추어 경화시키는 2 단계; 40℃에서 중화제를 첨가하여 중화시키는 3 단계; 및 수분산시키는 4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우레탄계 에멀젼 조성물에, 벤조페논형 비닐 단량체(vinyl monomer)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를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능을 갖는 섬유 가공제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 가공제 및 그 섬유 가공제로 처리된 섬유성 기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외선 차단능을 갖는 섬유 가공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 가공제{MANUFACTURING METHOD OF UV-LIGHT BLOCKING FABRIC TREATMENT AGENT AND FABRIC TREATMENT AGENT MADE BY THE SAME}
본 발명은 섬유의 탄성 및 자외선 차단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섬유 가공제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 가공제 및 이 섬유 가공제로 처리된 섬유성 기재에 관한 것이다.
편성물의 탄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통상 탄성가공제로 탄성실리콘오일유화제품, 수용성 우레탄제품을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 탄성실리콘오일유화제품은 촉감(soft touch)이 우수하지만 탄성력과 방오성이 미흡한 단점이 있고, 상기 수용성 우레탄제품은 탄성력, 흡한 및 속건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촉감이 미흡한 단점이 있다. 상기 탄성실리콘오일유화제품 및 수용성 우레탄제품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탄성실리콘오일유화제품에 수용성 우레탄이 포함되도록 가공하거나, 수용성 우레탄 합성제품에 탄성실리콘오일유화제품이 포함되도록 가공한 제품들이 있으나, 이러한 제품들 역시 저장 안정성이 나오지 않으며 촉감이 미흡한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상기 섬유 가공제들의 경우 입자 사이즈가 500nm 이상이어서, 안정성이 부족하여 끈적임(gumming)이 발생하는 이유로 가공공정에서 높은 불량률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나열한 문제점을 저감시킨 섬유 가공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최근 환경오염 등에 의한 오존층 파괴현상으로 태양광의 자외선이 상기 오존층에 제대로 흡수되지 않고 다량의 자외선이 지상으로 투과되어 피부 손상 등의 질환을 유발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 자외선은 290 내지 400nm 파장영역의 빛으로, 인체가 자외선에 장기간 노출되면 피부의 색소침착, 기미, 화상, 피부암 등 각종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인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의 피해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한 각종 제품 및 가공법이 개발되고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유기 화합물로 대부분 벤젠핵을 갖고 있는 방향족 물질이다. 이 물질들은 유기화합물이 공명구조를 이루며 흡수한 자외선 에너지를 열이나 저에너지 장파장 빛으로 변환방출하여 본래 구조로 되돌아간다. 현재 이용되는 자외선 흡수제로는 살리실산계, 벤조페논계 등의 화합물이 이용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1989-0005317 (1989.05.13) 한국공개특허 제10-1997-0043389 (1997.07.26)
본 발명은 섬유에 처리되어 섬유의 수축률을 저감시키고, 섬유의 탄성을 향상시키며, 섬유에 자외선 차단성을 부여하는 섬유 가공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섬유 가공제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섬유 가공제로 가공처리된 섬유성 기재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polytetramethylene glycol, PTMG) 20 내지 40 mol%,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5 내지 20 mol% 및 니트로소디에탄올아민(N-nitrosodiethanolamine, NDEA) 40 내지 60 mol%로 포함하는 폴리올 혼합물을 70 내지 120℃로 가열하는 1 단계; 상기 1단계의 폴리올 혼합물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IPDI)를 1:1 내지 1.2의 몰비로 혼합하고 촉매를 첨가하고 온도를 40℃로 낮추어 경화시키는 2 단계; 40℃에서 중화제를 첨가하여 중화시키는 3 단계; 및 수분산시키는 4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우레탄계 에멀젼 조성물에, 벤조페논형 비닐 단량체(vinyl monomer)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를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능을 가지는 섬유 가공제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촉매는 폴리올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단계에서 온도를 40℃로 낮춘 후 아세톤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화제는 폴리올 혼합물과의 몰비가 1:0.3 내지 1이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제조되는 섬유 가공제 총 100부피%에 대하여 0.1 내지 10 부피%가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능을 가지는 섬유 가공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섬유 가공제에 포함되는 폴리우레탄계 에멀젼 입자 크기는 120 내지 150n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섬유 가공제로 가공처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능을 가지는 섬유성 기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섬유 가공제는 섬유에 처리되는 경우 섬유의 흡수성, 수축률, 탄성, 촉감 및 자외선차단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섬유 가공제는 실리콘 오일의 깨짐 현상이 저감되어 우수한 안정성을 가지므로, 섬유의 가공처리 공정에 적용되는 경우 가공공정시 발생하는 불량률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외선 차단능을 가지는 폴리우레탄계 섬유 가공제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 가공제 및 이를 가공처리하여 제조된 섬유성 기재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가공제의 제조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가공제의 제조방법은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polytetramethylene glycol, PTMG),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및 니트로소디에탄올아민(N-nitrosodiethanolamine, NDEA)을 포함하는 폴리올 혼합물을 70 내지 120℃로 가열하는 1 단계를 포함한다.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20 내지 40 mol%, 폴리디메틸실록산 5 내지 20 mol% 및 니트로소디에탄올아민 40 내지 60 mol%로 반응기에 넣고 반응기 내부 온도를 70 내지 120℃로 상승시켜 교반하면서 혼합하여 폴리올 혼합물을 제조한다.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니트로소디에탄올아민이 상기 혼합비로 혼합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섬유 가공제가 섬유에 처리되어 섬유의 탄성 및 촉감을 우수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반응기 내부 온도는 7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가공제의 제조방법은 상기 1단계에서 제조된 폴리올 혼합물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IPDI)를 1:1 내지 1.2의 몰비로 혼합하고 촉매를 첨가하고 온도를 40℃로 낮추어 경화시키는 2 단계를 포함한다. 폴리올 혼합물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의 혼합비는 동량의 몰비로 혼합될 수 있으며, 반응에 참여하는 이소시아네이트기(-NCO)가 많은 것이 바람직한 측면에서,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가 폴리올 혼합물보다 과량으로 혼합되는 것이 좋다. 상기 촉매로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디부틸틴디라울레이트(DBTDL), 테트라에틸렌디아민(TEDA), 테트라메틸렌디아민(TMDA) 및 주석(T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촉매로는 디부틸틴라울레이트가 선택되는 것이 좋다. 상기 촉매는 폴리올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폴리올 혼합물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가 촉매 존재하에 반응하여 경화가 시작되면 글리콜 성분의 반응으로 용액의 점도가 빠르게 증가하게 되는데, 폴리우레탄 합성시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계 물질이 반응하는 용액의 점도가 높으면 제조되는 폴리우레탄의 가교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용액의 점도를 저감시키기 위해 반응시키는 온도를 40℃로 낮추고, 필요에 따라, 용액의 점도를 보다 더 저감시키기 위하여 용매를 더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예를 들면, 아세톤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40℃에서 2 내지 5시간 반응시켜 폴리우레탄을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가공제의 제조방법은 40℃ 온도를 유지하며 폴리우레탄 반응 용액에 중화제를 첨가하여 중화시키는 3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중화제는 수용성인 유기산, 무기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질산 또는 염산을 용액에 투입하여 중화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가되는 중화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올 혼합물 기준 1:0.3 내지 1의 몰비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가공제의 제조방법은 합성된 폴리우레탄계 수지를 수분산시켜 에멀젼 형태로 제조하는 4단계를 포함한다. 수지에 물을 첨가하거나 또는 물에 수지를 첨가하여 수분산시킬 수 있으며, 수지의 손실을 피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시키는 측면에서 수지에 물을 첨가하여 수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된 에멀젼의 입자 크기는 120 내지 150nm일 수 있다. 제조된 에멀젼의 입자 크기가 상기 범위내에 속할 때, 섬유성 기재에 대한 고착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섬유성 기재의 가공공정시 발생하는 불량률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섬유 가공제의 제조방법은 상기 1 내지 4단계를 통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계 에멀젼 조성물에 벤조페논형 비닐 단량체(vinyl monomer)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를 포함하는 아크릴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벤조페논형 비닐 단량체는, 예를 들면, 4-페닐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및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에 있어서, 벤조페논형 비닐 단량체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자외선 흡수제 총 100wt%에 대하여 상기 벤조페논형 비닐 단량체 0.1 내지 50wt%, 상기 부틸 아크릴레이트 0.1 내지 50wt%으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상기 벤조페논형 비닐 단량체 및 상기 부틸 아크릴레이트 외에 용매로 물 또는 알코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자외선 흡수제 총 100wt%에 대하여 10 내지 50wt%로 첨가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계면활성제, 방향제, 스크리닝제, 보존제, 단백질, 본 발명의 것들 이외의 중합체, 식물유, 광물유 또는 합성 오일 및 섬유 가공제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타 첨가제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섬유 가공제는 폴리우레탄계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섬유에 처리되는 경우 섬유의 흡수성, 수축률, 탄성 및 촉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섬유 가공제는 아크릴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함으로써, 섬유에 처리되는 경우 섬유에 자외선 차단능을 부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섬유 가공제의 제조>
[제조예] 폴리우레탄계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
반응기에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24g(0.024 mol), 폴리디메틸실록산 16g(0.008 mol) 및 니트로소디에탄올아민 4.77g(0.04 mol)로 넣고 반응기 내부 온도를 75℃로 승온시키고 200rpm으로 교반하면서 30분동안 반응시켰다. 다음,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를 19.2g(0.0864 mol) 첨가하고, 촉매로는 디부틸틴디라울레이트를 0.02g 첨가하였다. 점도 측정기로 점도를 확인하면서 점도가 증가하면 반응기 내부 온도를 40℃로 내리고 아세톤을 투입하여 점도를 낮춘 후에 교반하면서 3시간동안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35%(v/v) 염산 수용액을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폴리디메틸실록산 및 니트로소디에탄올아민의 총합 몰수 대비 1:0.55 몰비가 되도록 11.9ml로 첨가하고 40℃ 온도에서 3시간동안 중화반응시켰다. 다음으로, 제조된 폴리우레탄계 수지 조성물을 400rpm으로 교반하면서 증류수를 3시간 동안 천천히 투입하여 수분산시켜 폴리우레탄계 에멀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물에 상기 제조예의 에멀젼 조성물 및 자외선 흡수제를 혼합하여 섬유 가공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페논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로 합성한 것을 이용하였다. 부틸 아크릴레이트 2wt%, 벤조페논-4 1wt%, 에탄올 20wt% 및 물 77wt%로 포함하는 조성으로 이용하였다. 섬유가공제 총 100wt%에 대하여, 상기 제조예의 폴리우레탄계 에멀젼 조성물 16wt%, 및 자외선 흡수제 1wt%로 첨가하고, 용매로는 물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10]
섬유가공제 총 100wt%에 대하여, 자외선 흡수제를 하기 표 1의 함량으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제조예의 폴리우레탄계 에멀젼 조성물 및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지 않은 용매를 준비하였다.
[비교예 2]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제조예의 폴리우레탄계 에멀젼 조성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자외선 흡수제로 살리실산계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폴리우레탄계 에멀젼 조성물(wt%) 자외선 흡수제(wt%)
실시예1 16 1
실시예2 16 2
실시예3 16 3
실시예4 16 4
실시예5 16 5
실시예6 16 6
실시예7 16 7
실시예8 16 8
실시예9 16 9
실시예10 16 10
비교예1 - -
비교예2 16 -
비교예3 - 1
비교예4 16 1
<섬유 가공제의 섬유처리>
10×10cm 40수 면니트를 준비하고,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섬유 가공제에 상기 면니트를 침지시켰다. 1bar 조건하에 패딩하고, 120℃ 에서 2분간 건조시킨 후 170℃에서 2분간 열처리하여 가공처리된 섬유를 제조하였다. 가공된 섬유의 특성은 하기 시험예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 내지 3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탄성 회복률 측정
가공된 섬유의 탄성 회복률은 섬유에 외력을 가하여 늘어난 길이를 재고, 외력을 제거한 후 다시 길이를 잰 후 하기 계산식 1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계산식 1]
섬유의 탄성 회복률(%)=(외력을 제거했을 때 감소한 길이)/(외력을 가했을 때 신장된 길이)
2. 수축률 측정
가공된 섬유의 수축률은 건조상태의 섬유의 경사 및 위사의 길이를 재고, 섬유를 세탁하고 건조한한 후 다시 경사 및 위사의 길이를 재어 경사 및 위사의 길이 변화를 계산하여 측정하였다.
3. 색 변화 측정
가공된 섬유의 색 변화 정도는 CCM을 활용하여 L*a*b*표시값, 백도(Whiteness) 및 황변(Yellowing) 값을 구해 측정하였다. 상기 백도 및 황도의 측정은 ASTM E 313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4. 자외선 차단율 측정
가공된 섬유의 자외선 차단율은 자외선-가시광선 스펙트럼 측정기를 이용하여 파장범위 200 내지 400㎛, 파장간격 10㎛으로 측정하였다.

회복길이
(cm)
탄성회복률(%) 건조 후(cm) 수축률(%)
경사 위사 경사 위사
실시예1 10.7 90.00 10.3 9.3 3.0 -7.0
실시예2 10.8 88.57 10 9.4 0 -6.0
실시예3 10.7 90.00 10.1 9.5 1.0 -5.0
실시예4 10.6 91.43 10 9.5 0 -5.0
실시예5 10.89 88.57 10 9.5 0 -5.0
실시예6 11 85.71 10.2 9.4 2.0 -6.0
실시예7 10.8 88.57 10.3 9.4 3.0 -6.0
실시예8 11 85.71 10.2 9.5 2.0 -5.0
실시예9 11 85.71 9.9 9.4 -1.0 -6.0
실시예10 10.9 87.14 10.1 9.3 1.0 -7.0
비교예1 13 57.14 9.9 8.5 -1.0 -15.0
비교예2 10.4 94.29 10 9.5 0 -5.0
비교예3 11.8 74.29 10 9.3 0 -7.0

D65-10 백도 황도 자외선
차단율
L* a* b* △E
실시예1 90.25 -0.77 4.82 3.71 52.65 7.93 91.1
실시예2 90.21 -0.77 5.34 4.22 50.05 8.76 94.2
실시예3 89.98 -0.81 5.61 4.58 48.36 9.21 96.0
실시예4 90.06 -0.99 6.12 5.04 46.76 9.77 97.4
실시예5 90.00 -0.93 6.20 5.12 46.08 9.97 97.9
실시예6 90.42 -0.82 5.69 4.51 48.88 9.24 98.2
실시예7 90.13 -0.86 5.75 4.62 48.32 9.29 98.9
실시예8 90.05 -0.91 6.19 5.09 46.30 9.92 99.2
실시예9 89.75 -1.54 7.54 6.55 41.22 11.49 99.1
실시예10 90.15 -1.06 6.24 5.14 46.62 9.86 99.2
비교예1 91.33 -0.37 1.29 - 71.80 2.36 31.2
비교예2 89.70 -0.62 5.11 4.16 50.17 8.49 33.0
비교예3 91.25 -0.57 2.05 0.79 67.94 3.53 89.7
비교예4의 경우, 폴리우레탄계 에멀젼 조성물과 아크릴계 자외선 흡수제를 혼합하는 경우 뭉침현상이 발생하여 섬유에 가공처리하지 못하여, 비교예 4로 가공처리된 섬유의 특성은 측정하지 못하였다.
표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섬유 가공제를 이용한 실시예 1 내지 10의 경우 우수한 수축률을 유지하면서 탄성회복률 및 자외선 차단능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8)

  1. 폴리테트라메틸렌 글리콜(polytetramethylene glycol, PTMG) 20 내지 40 mol%,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5 내지 20 mol% 및 니트로소디에탄올아민(N-nitrosodiethanolamine, NDEA) 40 내지 60 mol%로 포함하는 폴리올 혼합물을 70 내지 120℃로 가열하는 1 단계;
    상기 1단계의 폴리올 혼합물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IPDI)를 1:1 내지 1.2의 몰비로 혼합하고 촉매를 첨가하고 온도를 40℃로 낮추어 경화시키는 2 단계;
    40℃에서 중화제를 첨가하여 중화시키는 3 단계; 및
    상기 제 3단계에서 제조된 수지에 물을 첨가하여 수분산시키는 4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입자 크기가 120 내지 150nm인 폴리우레탄계 에멀젼 조성물에,
    벤조페논형 비닐 단량체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를 포함하는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자외선 차단능을 갖는 섬유 가공제에 있어서,
    제조되는 섬유 가공제로 처리된 섬유의 D65-10 광원하 △E색차가 3.71 내지 6.55이고 자외선 차단율이 91.1 내지 99.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능을 갖는 섬유 가공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는 1bar 조건하에 패딩하고 120℃ 에서 2분간 건조시킨 후 170℃에서 2분간 열처리하는 조건으로 상기 섬유 가공제에 의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능을 갖는 섬유 가공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에서 상기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IPDI)의 함량이 상기 폴리올 혼합물의 함량보다 과량으로 포함되어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능을 갖는 섬유 가공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벤조페논형 비닐 단량체는 4-페닐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n-옥틸옥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및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능을 갖는 섬유 가공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섬유 가공제로 가공처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능을 갖는 섬유성 기재.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001218A 2015-01-06 2015-01-06 자외선 차단능을 갖는 섬유 가공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 가공제 KR101671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218A KR101671914B1 (ko) 2015-01-06 2015-01-06 자외선 차단능을 갖는 섬유 가공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 가공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218A KR101671914B1 (ko) 2015-01-06 2015-01-06 자외선 차단능을 갖는 섬유 가공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 가공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913A KR20160084913A (ko) 2016-07-15
KR101671914B1 true KR101671914B1 (ko) 2016-11-04

Family

ID=5650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218A KR101671914B1 (ko) 2015-01-06 2015-01-06 자외선 차단능을 갖는 섬유 가공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 가공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9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828B1 (ko) * 2017-11-29 2019-08-06 현대하이켐(주) 수지형 안티에이징 가공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수지형 안티에이징 가공제
CN115701843B (zh) * 2022-11-21 2023-12-15 上海丰泽源科技有限公司 一种aty纤维抗紫外线专用环保纺丝油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06643A1 (en) * 1998-07-31 2000-02-10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Polymer latex for uv absorption on different substrates
JP2013019091A (ja) 2011-06-14 2013-01-31 Ohara Palladium Kagaku Kk 繊維仕上げ用エマルジョ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5317A (ko) 1987-09-14 1989-05-13 신인준 자연섬유(면사)사를 이중으로 피복한 롤리우레탄수지제 스판사
KR970043389A (ko) 1995-12-18 1997-07-26 이명환 자외선 차단성 폴리에스터 섬유의 제조방법
KR101542179B1 (ko) * 2012-10-15 2015-08-0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다 기능성 섬유 가공제 및 이 가공제로 처리된 면섬유 편성물
KR101526931B1 (ko) * 2012-10-15 2015-06-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탄성회복률이 향상된 섬유 가공제 및 이 가공제로 처리된 면섬유 편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06643A1 (en) * 1998-07-31 2000-02-10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Polymer latex for uv absorption on different substrates
JP2013019091A (ja) 2011-06-14 2013-01-31 Ohara Palladium Kagaku Kk 繊維仕上げ用エマルジョン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913A (ko) 2016-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toon et al. A review on the produc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non-isocyanate polyurethane: A greener perspective
DE102013106905A1 (de) Siloxan-Polymere mit zentralem Polysiloxan-Polymerblock mit organofunktionellen Resten mit jeweils mindestens zwei bivalenten Gruppen ausgewählt aus Harnstoff- und/oder Carbamat-Gruppen und mindestens einem UV/Vis-Chromophor als Rest
DE102008008391A1 (de) Geschäumte, lichtechte Polyurethanformteile
KR101434918B1 (ko) 합성피혁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합성피혁
KR101671914B1 (ko) 자외선 차단능을 갖는 섬유 가공제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섬유 가공제
CN106592244B (zh) 一种织物防紫外线整理剂的制备方法及应用
JP6073151B2 (ja) 機能性繊維製品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繊維用紫外線吸収剤
EP3064532B1 (de) Herstellung poröser Polyurethanschichten
TW200839046A (en) Polyurethane elastic yar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12635B1 (ko) 수분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수지
DE2550180A1 (de) Lichtstabiles polyurethanelastomer, hergestellt aus aliphatischem isocyanat unter verwendung einer organischen thiozinnverbindung, in der schwefel an zinn gebunden ist, als waermeaktivierbarer katalysator
KR101086816B1 (ko) 기모 유연성 화합물, 섬유 가공용 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5386B1 (ko) 발수 발유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의류의 발수 발유 처리방법
DE102013022173B4 (de) Polyurethan-Elastomere auf der Basis von Polyetheralkoholgemischen und trimerisierten Diisocyanaten
Chen et al.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self-healing polyurethane without external stimulation
Zhou et al. A phosphorus-and nitrogen-containing aromatic Schiff base derivative in waterborne polyurethane backbone for excellent flame retardant, UV-shielding and mechanical properties
KR102115849B1 (ko) 셀룰로오스계 섬유용 친수성 유연제 조성물 제조방법
KR101183517B1 (ko)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이를 포함하는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섬유 가공 처리방법
EP3263761A1 (en) Polyurethane-based uv absorber
CN114541147A (zh) 一种高反应性柔软型无氟防水剂及其制备方法
KR101068270B1 (ko) Uv 경화형 투습방수용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섬유의 가공 처리방법
CN114032690A (zh) 一种聚氨酯环保纺织整理剂及其制备方法
KR20170000879A (ko) 섬유 유연 가공제의 제조방법
KR102659609B1 (ko) 탄소섬유 피복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되는 탄소섬유 직조원단
Ryabov et al. Preparation of polymer composites on the base of polyurethanes and natural polysacchari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