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931B1 -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 - Google Patents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931B1
KR101670931B1 KR1020150051022A KR20150051022A KR101670931B1 KR 101670931 B1 KR101670931 B1 KR 101670931B1 KR 1020150051022 A KR1020150051022 A KR 1020150051022A KR 20150051022 A KR20150051022 A KR 20150051022A KR 101670931 B1 KR101670931 B1 KR 101670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crew
plate
connector
boar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1255A (ko
Inventor
신기정
변민수
Original Assignee
(주)디알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알젬 filed Critical (주)디알젬
Priority to KR1020150051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931B1/ko
Publication of KR20160121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025X-ray tubes with structurally associated circui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5/00X-ray tubes
    • H01J35/02Details
    • H01J35/16Vessels; Containers; Shields associated therewith
    • H01J35/165Vessels; Containers; Shields associated therewith joining connectors to the tub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GX-RAY TECHNIQUE
    • H05G1/00X-ray apparatus involving X-ray tubes; Circuits therefor
    • H05G1/08Electrical details
    • H05G1/10Power supply arrangements for feeding the X-ray tub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5/00X-ray tubes
    • H01J2235/02Electrical arrangements
    • H01J2235/023Connecting of signals or tensions to or through the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35/00X-ray tubes
    • H01J2235/02Electrical arrangements
    • H01J2235/023Connecting of signals or tensions to or through the vessel
    • H01J2235/0233High tension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고전압 출력을 서로 다른 X-선 튜브로 선택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에 관한 것으로, 플레이트와,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모터와, 회전모터의 일측에 설치되며 회전모터에 의해 축회전하는 볼스크류와, 볼스크류와 나란히 설치되며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가이드보드와, 볼스크류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어 볼스크류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전원을 공급받는 제1 커넥터와 접속단자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커넥터가 구비되는 이동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Tube selection module for X-ray apparatus}
본 발명은 X-선 튜브 선택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에 따라 다른 X-선 튜브를 선택하여 작동시킬 수 있는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X-선(X-ray)은 산업, 과학,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비파괴 검사, 재료의 구조 및 물성 검사, 영상 진단, 보안 검색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X-선 발생장치에는 고전압을 발생시키는 고전압 트랜스포머와, 교류 고전압을 직류 고전압으로 변환 및 승압시키는 고전압 정류회로를 포함하는 고전압 발생부가 내장되는 고전압 탱크와, 고전압 발생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X-선을 방출시키는 X-선 튜브를 포함하는 X-선 발생부가 구비된다.
이때, 고전압 발생부에서 X-선 튜브의 필라멘트로 전류를 흘리면 필라멘트가 가열되며, 가열된 필라멘트에서 전자 방출이 유도되어, 필라멘트 주변으로 방출된 전자들에 의한 전자구름이 형성된다.
필라멘트의 가열에 의해 충분한 양의 전자구름이 형성되면, X-선 튜브의 캐소드(cathode; 음극) 및 애노드(anode; 양극)에 고전압 출력치가 인가되고, 이에 따라 필라멘트에서 형성된 전자구름은 고전압 차이로 인한 강한 전계에 의해 애노드를 향해 이동하여 타겟과 충돌하며, 이 충돌로 인해 X-선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X-선 발생장치에 의해 사진 촬영과 동영상 촬영 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X-선 튜브를 선택하는 경우, 종래에는 X-선 발생장치의 경우 외부에 별도의 절체부 박스가 구비되어, 선택에 따라 전압 소스가 서로 다른 X-선 튜브에 공급되게끔 조작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부품 증가에 따른 비용 증가의 문제점과 함께, 절체부 박스 내 전원 회로에서 작동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고전압 탱크 내부에 회로 절체부를 구성하고 있는데, 종래의 절체부는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한 점접촉이나 선접촉에 의해 절체 작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고전압 절체 작동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X-선 발생장치의 촬영 모드 선택에 따른 서로 다른 X-선 튜브의 선택시 고전압 출력부 회로의 절체 작동을 수행하는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체 작동시 접속부가 서로 면접촉함으로써 작동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모터; 상기 회전모터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모터에 의해 축회전하는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와 나란히 설치되며,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가이드보드; 및 상기 볼스크류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전원을 공급받는 제1 커넥터와 상기 접속단자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커넥터가 구비되는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가이드보드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서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가이드보드의 양단은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단자관의 단부에 상기 한 쌍의 접속단자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동블록은 상기 볼스크류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며 상측에 요홈이 형성되는 블록 몸체와, 상기 요홈의 상측에 결합되는 이동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보드가 상기 요홈을 관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2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이동보드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향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보드에 탄성 지지되는 판스프링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동보드의 일측에 복수 개의 톱니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넥터의 일단이 상기 톱니홈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플레이트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블록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브래킷과,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와, 일측이 상기 이동블록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일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미트 스위치와 접촉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단자관의 단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중공이 형성되는 지지 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볼스크류는 상기 지지 브래킷의 중공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에 의하면, 하나의 X-선 발생장치를 사용하여 사진 촬영과 동영상 촬영으로 할당된 X-선 튜브를 각각 선택하여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에 의하면, X-선 촬영 모드 선택에 따른 X-선 튜브 선택을 위한 고전압 회로의 절체 작동시 접속부가 서로 면접촉하게 되므로, 절체 작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탱크의 일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 정면도.
도 5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보드의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전압 탱크의 일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이하, '튜브 선택모듈')(100)은 X-선 발생장치(미도시)의 고전압 탱크(미도시) 내부에 설치되며, 고전압 탱크는 플레이트(200)와, 플레이트(200)에 결합되는 함체형의 하우징(미도시)을 포함한다.
이때, 고전압 탱크의 내부에는 고전압 발생 트랜스포머(T)와 고전압 배선 및 정류회로 등의 부품이 장착되며, 절연유가 내부에 충진된다.
한편, 플레이트(200)의 일측과 타측에는 캐소드(음극) 단자(210)와 애노드(양극) 단자(220)가 각각 한 쌍씩 구비되는데, X-선 발생장치의 촬영모드 선택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선택모듈(100)에 의해 이들 한 쌍의 단자 중 어느 하나에 전압이 선택적으로 인가된다. 예컨대, 사진 촬영시에는 제1 캐소드 단자(211)와 제1 애노드 단자(221)에 전압이 인가되며, 동영상 촬영시에는 제2 캐소드 단자(212)와 제2 애노드 단자(222)에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선택모듈(100)은 캐소드 단자(210)와 애노드 단자(220)에 각각 전압을 인가할 수 있도록, 플레이트(200)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일 예로서, 도면상 좌측의 튜브 선택모듈(100)은 한 쌍의 애노드 단자(22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며, 도면상 우측의 튜브 선택모듈(100)은 한 쌍의 캐소드 단자(21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각각의 단자(210,220)는 플레이트(200)를 관통하여 반대편(도 3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돌출되는 단자관(230)을 포함하며, 각각의 단자관(230)의 단부에는 접속단자(51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선택모듈(100)은 상기 접속단자(510)에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X-선의 촬영모드에 따른 X-선 튜브의 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 소스가 X-선 튜브에 제공되게끔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선택모듈(100)은 플레이트(200)와, 플레이트(200)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모터(300)와, 회전모터(300)에 의해 축회전하는 볼스크류(400)와, 볼스크류(400)와 나란히 설치되며 접속단자(510)가 구비되는 가이드보드(500)와, 볼스크류(40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블록(600)을 포함한다.
접속단자(510)는 X-선 발생장치의 캐소드 단자(210) 또는 애노드 단자(22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동블록(600)에는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된 제1 커넥터(630)와 제2 커넥터(640)가 구비된다.
제1 커넥터(630)에는 전원 케이블(미도시)이 접속되어 전원이 인가되며, 제2 커넥터(640)는 이동블록(600)의 이동시 가이드보드(500)의 접속단자(510)와 접속 또는 접속 해제된다. 따라서,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제1 커넥터(630)로 공급된 전원은 제2 커넥터(640)와 접속단자(510)를 거쳐 캐소드 단자(210) 또는 애노드 단자(220)로 인가된다.
이때, 이동블록(600)의 이동에 따라 제2 커넥터(640)가 한 쌍의 캐소드 단자(210) 중의 어느 하나, 또는 한 쌍의 애노드 단자(220) 중의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접속하게 되며, X-선 발생장치는 사진 촬영 모드와 동영상 촬영 모드 중의 어느 하나를 수행하게 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플레이트(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애노드 단자(22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압이 인가되게끔 하는 튜브 선택모듈(100)의 구성과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대향하도록 플레이트(200)의 타측에 설치되는 튜브 선택모듈(100)은 한 쌍의 캐소드 단자(21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압이 인가되게끔 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동일 기능의 동일 구성을 가지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플레이트(200)는 고전압 탱크의 덮개 역할을 하며, 플레이트(200)의 일측에 회전모터(300)가 구비된다. 이때, 플레이트(200)의 일측에 장착홈(311)이 형성된 모터 브래킷(310)이 수직하게 결합되며, 이 장착홈(311)에 회전모터(300)가 장착된다. 회전모터(300)는 스텝모터(step moto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모터(300)의 일측에는 회전모터(300)의 작동과 연동하여 축회전하는 볼스크류(400)가 구비된다. 이때, 볼스크류(400)의 일단에 볼스크류(400)와 일체로 회전하는 종동기어(410)가 구비되고, 회전모터(300)의 단부에는 종동기어(410)와 치합하는 구동기어(320)가 구비된다. 따라서, 회전모터(300)의 정/역회전시 구동기어(320)로부터 종동기어(410)로 회전력이 전달되고, 종동기어(410)의 회전과 함께 볼스크류(400)가 정/역회전하게 된다.
볼스크류(400)의 일측에 이격하여, 볼스크류(400)와 나란히 가이드보드(500)가 설치된다. 이 가이드보드(500)는 폭보다 길이가 긴 플레이트 형상이며, 가이드보드(500)의 길이방향 양측에 서로 이격하여 소정 길이의 접속단자(510)가 대칭으로 구비된다. 이때, 복수 개의 접속단자(510)가 가이드보드(500)의 길이 방향 양측에 각각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속단자(510)의 폭과 길이 등의 규격과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볼트 등의 체결구가 접속단자(510)의 일단을 각각 관통하여 단자관(230)의 단부에 체결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보드(500)의 양단이 애노드 단자(220)가 접속되는 단자관(230)의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가이드보드(500)의 접속단자(510)와 애노드 단자(220)가 전기적으로 접속하게 된다.
볼스크류(400)의 외주면 일측에 이동블록(600)이 나사 결합된다. 이동블록(600)은 전체적으로 폭보다 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태로서, 길이방향 일측이 볼스크류(400)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고 타측은 가이드보드(500)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이동블록(600)은 일측이 볼스크류(400)의 외주면 일측에 나사 결합되는 블록 몸체(610)와, 블록 몸체(6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요홈(611)과, 요홈(611)의 상측에 결합되는 이동보드(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요홈(611)은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가이드보드(500)는 이 요홈(611)을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동보드(620)는 플레이트 형태로서 이동 방향 일측에 사각형의 톱니홈(621)이 복수 개 형성되고, 톱니홈(621)의 반대편 상측면에는 전원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1 커넥터(630)가 구비된다. 그리고, 각각의 톱니홈(621)에는 판스프링 형태의 제2 커넥터(640)가 각각 결합된다.
이때, 제1 커넥터(630)와 각각의 제2 커넥터(640)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예컨대,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제1 커넥터(630)에 공급된 전원은 제1 커넥터(630)와 제2 커넥터(640) 사이에 형성되는 도전회로(미도시)를 통해 제2 커넥터(640)에 인가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보드(620)가 도전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이동보드(620)를 통해 제1 커넥터(630)로부터 제2 커넥터(640)로 전원이 인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커넥터(6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보다 길이가 긴 띠 형태의 도전 금속이 지그재그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데, 제2 커넥터(640)의 일측 단부는 톱니홈(621)에 끼워져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가이드보드(500)의 상측면에 탄성 지지되도록 절곡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2 커넥터(640)는 톱니홈(621)으로 삽입되어 톱니홈(621)의 내측에 끼워지는 'ㄷ'자 형태의 끼움부(641)와, 도면상 끼움부(641)의 상측 끝단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 경사부(642)와, 제1 경사부(642)의 끝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643)와, 도면상 끼움부(641)의 하측 끝단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연장부(644)와, 제2 연장부(644)의 끝단에서 하향 절곡되는 절곡부(645)와, 절곡부(645)의 끝단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646)와, 제3 연장부(646)에서 상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는 제2 경사부(647)를 포함한다.
제2 커넥터(640)는 도면상 하단 일측 즉, 제3 연장부(646)와 제2 경사부(647)가 가이드보드(500)의 상측면에 탄성 지지되며, 이동블록(600)의 이동에 따라 가이드보드(500)의 접속단자(510)와 접속 또는 접속 해제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블록(600)의 상측면은 이동방향 일측으로 낮게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 커넥터(640)의 하단부가 가이드보드(500)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경사져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접속단자(510)와 확실하게 면접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제3 연장부(646)와 제2 경사부(647)가 가이드보드(500)의 상측면에 대하여 이동방향 양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배치됨에 따라, 제2 커넥터(640)의 이동시 접속단자(510)와의 마찰에 의한 스파크 발생 또는 스크래치 등 손상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이동블록(600)의 일측에 이동블록(600)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700)가 구비된다. 이 스토퍼(700)는 이동 방향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리미트 스위치(800)를 ON/OFF 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토퍼(700)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가진 플레이트 형태이며, 도면상 상단부가 이동블록(600)의 일측 하단부에 결합되고, 하단부의 양측에는 돌출부(710)가 돌출 형성되어 리미트 스위치(800)와 접촉하게 된다.
리미트 스위치(800)는 볼스크류(400)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가이드 브래킷(810)의 폭 방향 양측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구비된다. 가이드 브래킷(810)은 일단(도면상 하단)이 플레이트(200)에 결합되며, 타단이 이동블록(600)의 하부와 소정 간격 이격하도록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다.
이동블록(600)의 이동시 스토퍼(700)는 가이드 브래킷(810)의 바깥쪽 면을 따라 이동하며, 일 예로서 스토퍼(700)의 돌출부(710)가 리미트 스위치(800)를 누르게 되면 회전모터(300)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이동블록(600)이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고 그 자리에 멈추게끔 할 수 있다.
한편, 볼스크류(400)의 회전시 비틀림이나 유동 방지를 위해, 볼스크류(400)의 양단은 한 쌍의 지지 브래킷(9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단자관(230)의 단부에 각각 지지 브래킷(900)의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볼스크류(400)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지지 브래킷(900)의 일측은 플레이트 형태로서 단자관(230)의 단부와 가이드보드(500) 사이에 개재되도록 결합되며, 지지 브래킷(900)의 타측은 중공을 가진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볼스크류(400)의 양단이 지지 브래킷(900)의 중공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선택모듈(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회전모터(300)의 작동에 의해 구동기어(320)가 회전하면, 구동기어(320)와 치합한 종동기어(410)와 함께 볼스크류(400)가 회전한다.
이때, 볼스크류(400)에 나사 결합된 이동블록(600)이 이동하게 되며, 이동블록(600)의 이동 거리는 회전모터(30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동블록(600)의 이동시 스토퍼(700)의 돌출부(710)가 리미트 스위치(800)를 누르게 되면 이동블록(600)의 이동이 멈추게 된다.
이동블록(600)의 이동시 이동보드(620)는 가이드보드(500)를 따라 이동하며, 이동보드(620)의 제2 커넥터(640)가 가이드보드(500)의 길이 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접속단자(5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제1 커넥터(630)와 제2 커넥터(640) 및 접속단자(510)를 거쳐 제1 애노드 단자(221)로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플레이트(200)의 반대쪽에 배치된 튜브 선택모듈(100)에 의해서는 제1 캐소드 단자(211)에 전압이 인가되며, 이에 따라 X-선 튜브에 의해 예컨대 사진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이동블록(600)이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여 이동보드(620)의 제2 커넥터(640)가 가이드보드(500)의 길이 방향 타측에 구비되는 접속단자(5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 제2 애노드 단자(222)로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플레이트(200)의 반대쪽에 배치된 튜브 선택모듈(100)에 의해서는 제2 캐소드 단자(212)에 전압이 인가되며, 이에 따라 X-선 튜브에 의해 예컨대 동영상 촬영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튜브 선택모듈 200 : 플레이트
210 : 캐소드 단자 220 : 애노드 단자
230 : 단자관 300 : 회전모터
320 : 구동기어 400 : 볼스크류
410 : 종동기어 500 : 가이드보드
510 : 접속단자 600 : 이동블록
620 : 이동보드 630 : 제1 커넥터
640 : 제2 커넥터 700 : 스토퍼
800 : 리미트 스위치 900 : 지지 브래킷

Claims (8)

  1.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회전모터;
    상기 회전모터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모터에 의해 축회전하는 볼스크류;
    상기 볼스크류와 나란히 설치되며,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단자가 구비되는 가이드보드; 및
    상기 볼스크류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전원을 공급받는 제1 커넥터와 상기 접속단자와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커넥터가 구비되는 이동블록을 포함하는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가이드보드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서로 대향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보드의 양단은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단자관의 단부에 상기 한 쌍의 접속단자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은 상기 볼스크류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며 상측에 요홈이 형성되는 블록 몸체와, 상기 요홈의 상측에 결합되는 이동보드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보드가 상기 요홈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일단이 상기 이동보드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하향 절곡되어 상기 가이드보드에 탄성 지지되는 판스프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동보드의 일측에 복수 개의 톱니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넥터의 일단이 상기 톱니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블록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가이드 브래킷과,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리미트 스위치와, 일측이 상기 이동블록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일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리미트 스위치와 접촉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자관의 단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에 중공이 형성되는 지지 브래킷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볼스크류는 상기 지지 브래킷의 중공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
KR1020150051022A 2015-04-10 2015-04-10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 KR101670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022A KR101670931B1 (ko) 2015-04-10 2015-04-10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022A KR101670931B1 (ko) 2015-04-10 2015-04-10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255A KR20160121255A (ko) 2016-10-19
KR101670931B1 true KR101670931B1 (ko) 2016-10-31

Family

ID=57251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022A KR101670931B1 (ko) 2015-04-10 2015-04-10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9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915B1 (ko) 2008-03-24 2010-12-17 이상우 슬라이드 스위치
KR101471295B1 (ko) 2013-07-19 2014-12-09 현대다이모스(주) 슬라이드 리미트 스위치
KR101478480B1 (ko) * 2014-01-17 2014-12-3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다관절 매니퓰레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915B1 (ko) 2008-03-24 2010-12-17 이상우 슬라이드 스위치
KR101471295B1 (ko) 2013-07-19 2014-12-09 현대다이모스(주) 슬라이드 리미트 스위치
KR101478480B1 (ko) * 2014-01-17 2014-12-3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다관절 매니퓰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255A (ko)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3832B2 (ja) 放射線発生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放射線撮影装置
CN103733734B (zh) 放射线发生装置和放射线成像装置
EP2869327B1 (en) X-ray tube
EP0578454A1 (en) Mammography method and mammography X-ray tube
EP3836182A1 (en) A three-position disconnector switch
KR101670931B1 (ko) X-선 발생장치의 튜브 선택모듈
KR102252811B1 (ko) X선 발생 장치 및 x선 촬영 시스템
GB2440230A (en) A high-voltage automatic changeover switch
CN104347334A (zh) 单极x射线发射器
JP5733320B2 (ja) 高圧インバータ装置の放電機構
CN101689474A (zh) 包括起动器触角的高压放电灯
CN115346858A (zh) 光照射装置
JP7008598B2 (ja) 電子銃および電子線装置
US5197604A (en) High-voltage change-over switch with linear movement
JP2008226783A (ja) X線発生器及びx線装置
KR102065655B1 (ko) X선 발생장치
US334823A (en) Commutator for dynamo-electric machines
KR101361795B1 (ko) 광 이오나이저
US1907508A (en) Thermionic apparatus
JP5395320B2 (ja) X線管装置
JP2010080348A (ja) X線管装置
JP6268021B2 (ja) X線管装置およびct装置
US5224592A (en) High voltage switch device and high-voltage change-over switch
JP2014067665A (ja) X線管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x線診断装置
EP4053876A1 (en) Radiation tube and radiation 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