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350B1 -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 - Google Patents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350B1
KR101670350B1 KR1020140121835A KR20140121835A KR101670350B1 KR 101670350 B1 KR101670350 B1 KR 101670350B1 KR 1020140121835 A KR1020140121835 A KR 1020140121835A KR 20140121835 A KR20140121835 A KR 20140121835A KR 101670350 B1 KR101670350 B1 KR 101670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harging
ultraviolet
voltage
tumb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1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1754A (ko
Inventor
오재영
Original Assignee
오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영 filed Critical 오재영
Priority to KR1020140121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350B1/ko
Publication of KR20160031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1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3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light, e.g. las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자외선이 투과되는 투과판에 의해 음료를 수용하는 제 1 공간과 자외선살균모듈을 수용하는 제 2 공간으로 구획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마개와, 상기 용기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용기의 폐쇄시 신호를 인가하는 센서부와, 상기 용기의 제 2 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용기의 내부를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모듈을 포함하는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를 제공한다.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텀블러 내부의 하단에 자외선살균모듈을 구비하여 자외선살균모듈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의 항균력으로 텀블러의 내부를 살균함으로써 텀블러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선충전 방식에 의해 충전된 전원을 사용하여 자외선살균모듈을 구동시킴으로써, 텀블러의 세척이 용이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텀블러의 마개를 닫아 용기가 폐쇄되었을 때만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살균력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자외선살균모듈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Tumbler With Sterilization Func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음료를 장시간에 걸쳐 마실 수 있도록 뚜껑을 구비하는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자외선의 항균력으로 텀블러의 내부를 살균시켜 텀블러를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텀블러는 굽과 손잡이가 없고 바닥이 납작한 큰 잔을 일컫는 것으로 다량의 음료를 장시간에 걸쳐 마실 수 있도록 비교적 큰 용량을 지녀 보온병과 함께 등산이나 야영 등 각종 스포츠 및 여가활동에 널리 이용되어왔다.
최근에는 회사 또는 단체에서 일회용 종이컵 사용을 제한하고 개인용 머그컵을 이용하자는 규칙을 세우는 등의 환경운동이 심화되고 있어 텀블러의 소비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텀블러는 보온병이나 머그컵과 달리 중량이 가볍고 용량이 크기 때문에 휴대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이중 또는 진공의 단열구조로 보온성이 우수한 것은 물론, 개폐 가능한 뚜껑으로 보관성을 겸비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텀블러는 많은 양의 음료를 담아 장시간에 걸쳐 여러 번 마시기 때문에 사람의 입이 직접 접촉하는 부분은 물론 용기 내에 세균이 발생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 번 사용한 후 하루에 한번 정도만 세척을 하는 등 세척시간이 길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청결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뚜껑이 결합되는 부분의 홈이나 틈새 또는 패킹부분으로 음료가 새어 들어가 세균이나 곰팡이가 쉽게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여름철과 같은 더운 계절에서는 위생적으로 매우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20 - 2014 - 0000950 (공개일 2014. 02. 11)
한국등록특허: 10 - 1329296 (공고일 2013. 11. 18)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텀블러 내부의 하단에 자외선살균모듈을 구비하고, 자외선살균모듈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의 항균력으로 텀블러의 내부를 살균하여 텀블러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충전 방식에 의해 충전된 전원을 사용하여 자외선살균모듈을 구동시키고, 텀블러의 마개를 닫아 용기가 폐쇄되었을 때 자외선이 조사되게 하여 살균력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며, 자외선살균모듈의 수명을 연장시킬 뿐만 아니라 세척이 용이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자외선이 투과되는 투과판에 의해 음료를 수용하는 제 1 공간과 자외선살균모듈을 수용하는 제 2 공간으로 구획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마개; 상기 용기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용기의 폐쇄시 신호를 인가하는 센서부; 및 상기 용기의 제 2 공간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용기의 내부를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모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살균 모듈은 외부로부터 유도전압을 수신하는 충전수신기와, 상기 충전수신기에 수신된 유도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상기 자외선램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텀블러는 충전수신기에 유도전압을 발신하도록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는 충전발신기를 내장하는 충전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발신기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유도전압을 발생하는 1차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수신기는 상기 유도전압을 수신하는 2차 코일과, 상기 2차 코일에서 유도되는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뷰와,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충전전압으로 변환시켜 배터리에 저장하는 DC-DC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전받침대에는 충전수신기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무선 충전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시키는 알림램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받침대에는 용기의 저면이 안착될 수 있는 소정 깊이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충전발신기는 상기 충전수신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안착홈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용기의 제 1 공간 내벽에는 자외선의 반사율을 높이는 반사판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텀블러 내부의 하단에 자외선살균모듈을 구비하여 자외선살균모듈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의 항균력으로 텀블러의 내부를 살균함으로써 텀블러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선충전 방식에 의해 충전된 전원을 사용하여 자외선살균모듈을 구동시킴으로써, 텀블러의 세척이 용이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상품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텀블러의 마개를 닫아 용기가 폐쇄되었을 때만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살균력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자외선살균모듈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를 도시한 사시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에서 무선 충전발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에서 무선 충전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에서 충전받침대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안착홈 내에 충전발신기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위해서,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동일한 구성 부분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를 도시한 사시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에서 무선 충전발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에서 무선 충전수신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에서 충전받침대에 안착홈이 형성되고, 안착홈 내에 충전발신기가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살균기능을 포함한 텀블러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자외선이 투과되는 투과판(110)에 의해 음료를 수용하는 제 1 공간(120)과 자외선살균모듈을 수용하는 제 2 공간(130)으로 구획되는 용기(100), 용기(100)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마개(200), 용기(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용기(10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고 용기(100)의 폐쇄시 신호를 인가하는 센서부(300), 용기(100)의 제 2 공간(130)에 장착되고 센서부(300)로부터 신호를 받아 자외선을 조사하여 용기(100)의 내부를 살균하는 자외선살균모듈(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용기(100)는 다양한 음료를 담으면서 사용자가 쉽게 파지할 수 있는 컵 형으로, 보온성을 위해 이중구조 또는 진공공간을 지니도록 형성되고, 다양한 음료를 수용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용기(100)의 내부는 자외선이 투과되는 투과판(110)에 의해 음료를 수용하는 제 1 공간(120)과, 자외선살균모듈을 수용하는 제 2 공간(130)으로 구획된다. 이때, 음료를 수용하는 제 1 공간(120)은 음료를 수용하고 배출하도록 개방된 상면을 포함하고, 자외선살균모듈(400)을 수용하는 제 2 공간(130)은 제 1 공간(120)의 하부에 위치되어 제 1 공간(120)을 살균할 수 있게 배치된다.
그리고, 용기(100)의 제 1 공간(120) 내벽에는 제 2 공간의 자외선살균모듈(40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의 반사율을 높여 살균효과를 높이는 반사판(121)이 코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자외선이 투과되는 투과판(110)이 제 1 공간(120)과 제 2 공간(130)으로 구획하기 이전에 제 2 공간(130)에 자외선살균모듈(400)이 먼저 내장된다. 즉, 용기(100)의 내부 하단부에 자외선살균모듈(400)을 안착시키고, 그 상부에 자외선이 투과되는 투과판(110)으로 용기(100) 내부를 구획하여 용기(100)의 제 1 공간(120)에 수용되는 음료가 제 2 공간(130)에 위치되는 자외선살균모듈(400)과 접촉하지 않게 한다.
마개(200)는 상단에 별도의 마개로 개폐되는 배출구를 지닌 구조를 도시하고 있지만, 단순 밀폐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러한 마개(200)는 용기(100)의 상면을 개방하여 음료를 유출시키고, 또한 음료가 유출되지 않도록 용기(100)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시킨다.
센서부(300)는 용기(100)의 상단에 구비되어 마개(200)에 의해 용기의 상면이 개방되었는지 폐쇄되었는지를 감지한다. 여기서, 센서부(300)는 빛의 밝기로 용기(100)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광센서이거나, 마개(200)의 닫힘 여부로 용기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는 접촉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센서부(300)는 용기(100)의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용기(100)의 폐쇄로 판단되면 자외선살균모듈(400)에 신호를 전송한다.
용기(100)의 제 2 공간(130)에 수용된 자외선살균모듈(400)은 외부로부터 유도전압을 수신하는 충전수신기(410)와, 충전수신기(410)에 수신된 유도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배터리(420)와, 배터리(4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430)와, 센서부(300)로부터 신호를 받아 자외선램프(4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제어부(440)가 센서부(300)로부터 신호를 받아 자외선램프(430)에 구동신호를 인가하고, 자외선램프(430)는 배터리(4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외선을 조사한다.
여기서, 자외선램프(430)는 저압의 수은램프에서 인공적으로 만든 것으로, 살균에 사용하는 자외선은 UV-C(단파장) 중에서 살균력이 가장 강력한 257.3nm의 살균선을 사용한다. 자외선램프는 유리관에 자외선을 효율적으로 투과시키는 특수한 재질을 사용하여 램프의 양끝에 텅스텐 필라멘트가 있고 외부에 산화발륨, 산화칼슘, 산화 스트론티움(에미터) 등의 열전자를 방사하기 쉬운 물질이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유리관은 진공으로 유지하고, 수은에 알곤가스나 불활성가스와 혼합되어 밀봉되어 있다. 여기에 2개의 전극에 전류를 흘려 예열하고 필라멘트에서 열전자를 방출시키면 알곤가스를 매개로하여 방전(점등)이 일어난다. 방전에 의해 관내에 흐르는 전자는 포화상태의 수은열기와 급격히 충돌하여 수은 공명선인(257.3nm)을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된 살균선을 이용하여 물, 공기, 기타 물질의 표면 등을 살균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440)는 3분, 5분, 10분 등 자외선 램프를 구동시키는 시간이 기 설정된다. 예를 들어, 마개(200)가 닫혀서 용기(100)가 계속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용기(100)가 개방될 때까지 자외선램프(430)가 점등되어 자외선을 조사하게 되면, 배터리(420)의 소모는 물론 자외선램프(430)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440)는 센서부(300)로부터 용기(100)의 폐쇄 신호를 받으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자외선램프(430)를 구동시켜 용기를 살균시킨 뒤 살균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오프(OFF)되도록 자외선 램프의 구동을 제어한다. 만약, 용기(100)의 살균을 더 하고 싶은 경우에는 마개(200)를 열고 다시 닫으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재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배터리(420)는 무선충전 방식에 의해 충전된 전원을 사용한다.
텀블러는 다양한 음료를 담아 마시는 용기이기 때문에 수시로 물로 세척을 해줘야 한다. 또한, 텀블러는 전원을 이용한 자외선살균모듈을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회로를 보호하고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용기의 밀폐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밀폐된 용기 내부에 자외선살균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내장하고, 배터리의 무선충전을 통해 지속적인 사용이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자외선살균모듈(400)은 외부로부터 유도전압을 수신하는 충전수신기(410)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텀블러는 충전수신기(410)에 유도전압을 발신하도록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는 충전발신기(510)를 내장하는 충전받침대(500)를 더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받침대(500)의 충전발신기(510)는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는 1차 코일(512)을 포함하고 외부로부터 DC전원을 공급받는다. 즉, 충전받침대(500)는 DC입력을 가지는 다양한 포트를 가짐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외부 전원 (예를 들어, AC어댑터의 출력, 컴퓨터의 USB포트 또는 자동차의 시거잭)과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1차 코일(511)은 DC전원을 공급받은 스위칭부(512)의 스위칭 신호의 응답에 기초하여 유도전압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수신기(410)는 충전발신기(510)에서 출력되는 유도전압을 수신하는 2차 코일(411)과, 2차 코일에서 유도되는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412)와,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충전전압으로 변환시켜 배터리에 저장하는 DC-DC변환부(4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2차 코일(411)은 교류전압이 유도되고, 정류부(412)는 2차 코일의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전파정류하며, DC-DC변환부(413)는 정류부(412)에서 공급되는 신호를 충전 정격 전압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충전수신기(410)를 통해 획득한 전기 에너지는 배터리(420)에 저장된다. 이때, 용기의 일면에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표시부(421)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표시부(421)는 배터리 충전완료 확인부터 남은 배터리의 잔량 표시까지 충전상태를 LED로 표시한다.
이에 더하여 충전받침대(500)는 충전수신기(410)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센싱부(520)와, 센싱부(520)로부터 신호를 받아 무선 충전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리는 알림램프(530)가 구비된다. 즉, 센싱부(520)와 알림램프(530)를 통해 충전수신기(410)와 충전 발신기(510)가 서로 근접하여 충전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충전가능한 상태로 판단하면 알림램프(530)에 전원을 인가하여 충전이 진행되고 있음을 육안으로 확인시켜준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받침대(500)는 충전수신기(410)가 내장된 용기(100)의 저면이 안착될 수 있는 소정 깊이의 안착홈(540)이 형성되고, 충전수신기(410)의 위치에 대응하는 안착홈(540) 내에 충전발신기(510)가 위치되게 구비할 수 있다. 즉, 용기(100)의 저면이 충전받침대의 안착홈(540)에 안착되게 하여 충전수신기(410)와 충전발신기(420)의 대응위치를 정확히 함으로서 충전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살균기능을 포함한 텀블러는 마개(200)를 열고, 용기(100)의 개방된 제 1 공간(120)에 음료를 담아 마신 다음 세척을 한 후 또는 음료가 남은 상태에서 용기(100)의 개방된 상면을 마개(200)로 닫게 되면, 용기(100)의 상단부에 구비된 센서부(300)가 마개(200)의 닫힘 여부 또는 빛의 밝기로 용기(100)의 폐쇄 여부를 감지하고 용기(100)의 폐쇄로 판단되면 자외선살균모듈(400)에 신호를 전송한다.
이어, 자외선 살균모듈(400)의 제어부(440)는 센서부(300)로부터 신호를 받아 자외선램프(430)에 전원신호를 인가하고, 자외선램프(430)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외선을 조사한다. 그리고, 조사된 자외선은 투과판(110)을 투과하여 음료가 담긴 제 1 공간(120)을 포함한 용기(100)의 내부 및 마개(200)를 살균한다. 이때, 자외선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조사되어 용기(100) 내부를 살균시킨다. 또한, 살균이 이루어지는 도중에 용기(100)가 개방되면 자외선램프(430)가 소등되어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배터리(420)의 충전이 요구될 때는 충전받침대(500)의 전원코드를 외부 전원에 연결시켜 DC전원을 공급받게 한 다음, 충전받침대(500) 위에 용기(100)를 올려놓으면, 충전받침대(500) 내에 내장된 충전발신기(510)가 유도전압을 발생시켜 출력하고, 용기(100)에 내장된 충전수신기(410)가 유도전압을 수신하여 직류전압으로 변환한 다음 배터리(420)에 저장시킴으로써 배터리(420)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텀블러 내부의 하단에 자외선살균모듈을 구비하여 자외선살균모듈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의 항균력으로 텀블러의 내부를 살균함으로써 텀블러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선충전 방식에 의해 충전된 전원을 사용하여 자외선살균모듈을 구동시킴으로써, 텀블러의 세척이 용이하고,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텀블러의 마개를 닫아 용기가 폐쇄되었을 때만 자외선이 조사됨으로써 살균력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자외선살균모듈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용기 110: 투과판
120: 제 1 공간 121: 반사판
130: 제 2 공간 200: 마개
300: 센서부 400: 자외선살균모듈
410: 충전수신기 411: 2차 코일
412: 정류부 413: DC-DC 변환부
420: 배터리 421: 표시부
430: 자외선램프 440: 제어부
500: 충전받침대 510: 충전발신기
511: 스위칭부 512: 1차 코일
520: 센싱부 530: 알림램프
540: 안착홈

Claims (7)

  1.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자외선이 투과되는 투과판에 의해 음료를 수용하는 제 1 공간과 자외선살균모듈을 수용하는 제 2 공간으로 구획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는 마개; 상기 용기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용기의 폐쇄시 신호를 인가하는 센서부; 상기 용기의 제 2 공간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유도전압을 수신하는 충전수신기와, 상기 충전수신기에 수신된 유도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자외선램프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어 상기 용기의 폐쇄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자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용기의 내부를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모듈; 상기 충전수신기에 유도전압을 발신하도록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유도전압을 발생시키는 충전발신기를 내장하는 충전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발신기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유도전압을 발생하는 1차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수신기는 상기 유도전압을 수신하는 2차 코일과, 상기 2차 코일에서 유도되는 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충전전압으로 변환시켜 배터리에 저장하는 DC-DC변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받침대에는 충전수신기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무선 충전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시키는 알림램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받침대에는 용기의 저면이 안착될 수 있는 소정 깊이의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충전발신기는 상기 충전수신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안착홈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제 1 공간 내벽에는 자외선의 반사율을 높이는 반사판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
KR1020140121835A 2014-09-15 2014-09-15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 KR101670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835A KR101670350B1 (ko) 2014-09-15 2014-09-15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1835A KR101670350B1 (ko) 2014-09-15 2014-09-15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754A KR20160031754A (ko) 2016-03-23
KR101670350B1 true KR101670350B1 (ko) 2016-12-12

Family

ID=55645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835A KR101670350B1 (ko) 2014-09-15 2014-09-15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35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8823A (zh) * 2018-11-27 2019-03-22 英业达科技有限公司 智能杯的无线充电杀菌装置
WO2019066329A1 (ko) * 2017-09-26 2019-04-04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휴대용 물통
KR20200099946A (ko) 2019-03-11 2020-08-25 조용호 코골이 방지부재용 살균기
KR20200099939A (ko) 2019-03-11 2020-08-25 (주)엠테이크전자 코골이 방지부재용 살균기
KR20210106081A (ko) * 2020-02-20 2021-08-30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편의성을 강조한 다목적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텀블러
KR20220112143A (ko) 2021-02-03 2022-08-10 김석진 살균기능을 구비한 텀블러
KR102664352B1 (ko) 2023-05-25 2024-05-08 전효주 친환경 텀블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044B1 (ko) * 2016-10-17 2018-09-06 주식회사 타무 스탠드 기능이 구비된 텀블러
KR101904236B1 (ko) * 2016-12-09 2018-10-04 (주)인투케어 휴대용 살균볼
KR101968811B1 (ko) 2017-01-13 2019-04-1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정밀 래칫 기어 어셈블리
KR102388038B1 (ko) * 2019-02-12 2022-04-19 아이알트로닉스 인코퍼레이티드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살균 용기
CN110127807A (zh) * 2019-05-21 2019-08-16 深圳讯伊兴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容器及控制方法
KR102432791B1 (ko) * 2021-08-02 2022-08-12 권기태 음식물 수용함 용 살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7592A (ko) * 2009-12-14 2011-06-22 주식회사 거화 휴대 가능한 의치용 세척 살균장치
KR20130092008A (ko) * 2012-02-09 2013-08-20 김양현 엘이디 가열 및 살균기능이 구비된 음료용기 커버
KR101375762B1 (ko) * 2012-02-20 2014-03-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충전식 전자 뜸 치료기 및 이를 갖는 뜸 치료기 세트
KR20140000950U (ko) 2012-08-01 2014-02-11 박종진 밀폐형 텀블러
KR20130024946A (ko) * 2012-12-05 2013-03-08 김용진 자외선 살균장치 및 물병
KR101329296B1 (ko) 2013-04-05 2013-11-18 김건우 보온과 손난로 기능을 겸비하는 휴대용 텀블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329A1 (ko) * 2017-09-26 2019-04-04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휴대용 물통
US11396459B2 (en) 2017-09-26 2022-07-26 Seoul Viosys Co., Ltd. Portable water bottle having a UV light sterilization module
US11753315B2 (en) 2017-09-26 2023-09-12 Seoul Viosys Co., Ltd. Portable water bottle having a UV light sterilization module
CN109498823A (zh) * 2018-11-27 2019-03-22 英业达科技有限公司 智能杯的无线充电杀菌装置
KR20200099946A (ko) 2019-03-11 2020-08-25 조용호 코골이 방지부재용 살균기
KR20200099939A (ko) 2019-03-11 2020-08-25 (주)엠테이크전자 코골이 방지부재용 살균기
KR20210106081A (ko) * 2020-02-20 2021-08-30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편의성을 강조한 다목적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텀블러
KR102318513B1 (ko) * 2020-02-20 2021-10-27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편의성을 강조한 다목적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텀블러
KR20220112143A (ko) 2021-02-03 2022-08-10 김석진 살균기능을 구비한 텀블러
KR102664352B1 (ko) 2023-05-25 2024-05-08 전효주 친환경 텀블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1754A (ko)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350B1 (ko)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
US9045358B2 (en) UV disinfecting device
US8872130B1 (en) UVC water purifier system and method
US20060165571A1 (en) Nipple overcap having sterilizer
KR101780211B1 (ko) 표지 기능과 살균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화장품 케이스
WO2016189800A1 (ja) 給水器
KR102085113B1 (ko) 살균 수저통
KR20130045884A (ko) 자외선 살균장치 및 물병
KR20170092005A (ko) 자가발전식 자외선 살균 텀블러
JP2013075257A (ja) 殺菌容器
JP2017169945A (ja) 殺菌容器
CN203986649U (zh) 消毒杯
JP5507890B2 (ja) 排水口用蓋体
KR102204586B1 (ko) Uv led가 결합된 전기포트
KR100822082B1 (ko) 유도기전력 전원 공급 방식의 살균탈취기가 부착된 변기커버
CN212940644U (zh) 一种家用消毒器
KR20130092008A (ko) 엘이디 가열 및 살균기능이 구비된 음료용기 커버
CN213785920U (zh) 具有杀菌功能的容器盖体
CN212591480U (zh) 一种带有温度显示以及杀菌功能的保温杯
KR102577933B1 (ko) 살균기능을 구비한 텀블러
KR20200065556A (ko) 살균 장치
CN212117770U (zh) 一种杀菌杯盖
KR102572622B1 (ko) 자외선 살균장치
CN213771417U (zh) 底座式杀菌装置及瓶体套装
WO2021008408A1 (zh) 闪光杀菌水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