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6044B1 - 스탠드 기능이 구비된 텀블러 - Google Patents

스탠드 기능이 구비된 텀블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6044B1
KR101886044B1 KR1020160134044A KR20160134044A KR101886044B1 KR 101886044 B1 KR101886044 B1 KR 101886044B1 KR 1020160134044 A KR1020160134044 A KR 1020160134044A KR 20160134044 A KR20160134044 A KR 20160134044A KR 101886044 B1 KR101886044 B1 KR 101886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ntainer
light
tumbler
illuminance
sma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1835A (ko
Inventor
우충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무
Priority to KR1020160134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604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1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6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6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36Table-ware or table equipment, e.g. dishes, cutlery or tra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7/025
    • H05B37/0272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H05B47/19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the transmission using visible or infrared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스탠드 기능이 구비된 텀블러가 개시된다. 본 텀블러는, 음용가능한 액체가 수용되는 내측용기; 상기 내측용기의 외면에서 상기 내측용기를 감싸는 외측용기; 및 상기 내측용기 및 상기 외측용기 사이에 위치되어 빛이 출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하는 라이트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음용을 위한 휴대성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야외활동시에 별도의 조명을 소지하지 않아도 텀블러 자체가 조명으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거나, 외부 기기와 연동되어 라이트부가 자동으로 발광되어 무드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스탠드 기능이 구비된 텀블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스탠드 기능이 구비된 텀블러{A tumbler having a function of lightning stand}
본 발명은 스탠드 기능이 구비된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탠드, 무드등, 랜턴 등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일회용품 사용에 의한 환경오염에 대한 문제가 대두됨으로써, 자연보호는 물론, 쓰레기 배출량을 저감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일회용품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캠페인들이 실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일회용품 사용량 줄이기의 일환으로 텀블러를 휴대하는 개인이 점점 증대되고 있다.
텀블러는 음용가능한 액체를 휴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단순한 외출 시에 개인이 소지하는 것은 물론, 등산, 낚시, 트래킹, 캠핑 등과 같은 야외활동에 있어서도 필수용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텀블러의 경우에는 단순히 액체의 보관 및 휴대성을 위한 단일의 기능만을 가지게 되어 음용을 위한 목적 이외에는 텀블러가 사용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048069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용을 위한 휴대성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야외활동시에 별도의 조명을 소지하지 않아도 텀블러 자체가 조명으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거나, 외부 기기와 연동되어 라이트부가 자동으로 발광되어 무드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스탠드 기능이 구비된 텀블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 기능이 구비된 텀블러는 음용가능한 액체가 수용되는 내측용기; 상기 내측용기의 외면에서 상기 내측용기를 감싸는 외측용기; 및 상기 내측용기 및 상기 외측용기 사이에 위치되어 빛이 출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하는 라이트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라이트부는, 외부 스마트기기로부터 디밍제어를 위해 기설정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가 상기 기설정된 신호에 대응되는 조도 또는 색상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디밍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신호는, 상기 외부 스마트기기에서 출력되는 음악의 장르, 음량, 리듬, 영상, 진동, 상기 외부 스마트기기가 위치되는 장소의 조도 및 상기 외부 스마트기기가 위치되는 장소의 공기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가 조합되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용기는, 내측에 상기 내측용기가 삽입되면 상기 내측과 상기 내측용기의 외면 간에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내측용기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빛은, 상기 이격된 공간을 통해 발산 및 확산되어 텀블러 외부로 균일하게 투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용기는,외주연 일부가 절곡되어 절곡된 부분을 기준으로 내측용기상부 및 상기 내측용기상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내측용기하부로 나뉘고, 상기 외측용기는, 상단이 상기 절곡된 부분과 결합됨으로써, 내부가 밀폐되어 상기 라이트부가 방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이트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가 상기 이격된 공간 하부에서 상향으로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용기 하단과 상기 외측용기 하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는, 상기 내측용기 하단과 접촉되지 않는 상기 라이트부의 상단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상기 빛이 상기 공간으로 직접 발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충전발신기와 연동되어 유도전압을 수신하는 충전수신기; 및 상기 충전수신기에 수신된 유도전압을 변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및 상기 디밍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용기는, 상기 내측용기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내측용기가 가압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압력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하단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세척 시 상기 홈을 통해 상기 외측용기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측용기 하단에 밀착되어 결합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외측용기의 수밀성을 확보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용기는, 상기 빛이 상기 이격된 공간으로 발산되어 외부로 투과 시 높이에 상관없이 균일한 조도로 투과되도록 하기 위해 반투명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스탠드, 무드등 및 랜턴 중 랜턴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음용을 위한 휴대성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야외활동시에 별도의 조명을 소지하지 않아도 텀블러 자체가 조명으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거나, 외부 기기와 연동되어 라이트부가 자동으로 발광되어 무드등으로 사용될 수 있는 스탠드 기능이 구비된 텀블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트부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트부에서 출사된 빛이 이동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트부(400)가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10)가 충전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10)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분해사시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10)는 사용자가 음용가능한 액체를 보관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음료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본 텀블러(10)는 사용자가 음료의 음용뿐만 아니라 야외에서나 야간에는 빛이 발산되도록 하여, 스탠드, 랜턴 및 무드등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텀블러(10)는 내측용기(200), 외측용기(300), 라이트부(400), 지지부(500) 및 이격된 공간(6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내측용기(200)는 사용자가 음용하기 위한 액체가 보관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며, 내측용기상부(210) 및 내측용기하부(220)를 포함한다.
내측용기상부(210)는 사용자가 음용을 위해 텀블러(10)를 사용할 때 사용자의 입술과 접촉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내측용기상부(21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기 위핸 별도의 커버와 결합도록 마련된다.
또한 내측용기상부(210)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용기하부(2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한편, 내측용기하부(220)는 내측용기상부(210)의 하단에 위치되어 음료가 수용되도록 하고, 외측용기(300)에 의해 환위되어 외부에는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내측용기하부(220)는 외측용기(300)에 의해 외부와 접촉되지 않게 됨으로써 내측용기(200)에 수용된 음료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내측용기하부(220)의 외직경은 외측용기(300)의 내직경보다 작게 마련되어 외측용기(300)의 내주연과는 직접적으로 맞닿지 않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내측용기하부(220)의 직경과 외측용기(300)의 직경 간의 차이에 의해 본 텀블러(10)는 내측용기(200)에 수용된 음료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보온성을 가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용기(200)는, 내측용기상부(210)의 직경이 내측용기하부(220)의 직경보다 크도록 마련됨으로써 절곡된 부분이 형성된다.
내측용기상부(210) 및 내측용기하부(220)의 직경 차이에 의해 형성되는 절곡된 부분은 이격된 공간(60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고 밀폐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이격된 공간(600)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내측용기(200)는 위생 및 세척을 위해 전체가 스테인레스 재질로 마련되거나, 경량화를 위해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는 것은 물론, 내측용기상부(210)는 스테인레스, 내측용기하부(220)는 플라스틱으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외측용기(300)는 내측용기(200)가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여 내측용기(200)에 보관되는 음료가 보온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 라이트부(400)에서 출사된 빛이 외부로 투과되어 확산될 때 균일하게 반사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그리고 외측용기(300)는 내측용기(200)가 내부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내측용기(200)가 외측용기(300) 내부로 삽입되기 위해 내측용기(200)에 압력이 가해지면, 압력부하가 발생되면서 내측용기(200)가 외측용기(300)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외측용기(300)는 내측용기(200)와의 결합 시 발생되는 압력부하를 제거하기 위해 하단에는 홈(310)이 형성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통해 외측용기(300) 내부에 내측용기(200)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외측용기(30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홈(31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게 됨으로써 압력부하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외측용기(300)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내측용기(200)에 보관되는 음료의 보온을 위해 내측용기하부(220)와 결합되며, 내측용기하부(220)와의 결합을 위해 내측용기(200)의 외직경보다 큰 내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외측용기(300)는 빛이 출사되어 외부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높이가 다르더라도 빛이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하기 위해 반투명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된다.
한편, 라이트부(400)는 텀블러(10)가 휴대가능한 컵으로 사용되는 것 이외에 스탠드, 랜턴 및 무드등 중 적어도 하나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 외부 기기와 연동되어 출사되는 빛의 조도 및 색상이 다르게 조절된다.
그리고 라이트부(4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용기하부(220)의 하단과 외측용기(300) 내부 하단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라이트부(400)는 스탠드, 랜턴 및 무드등 중 적어도 하나의 용도로 사용되도록 하기 위해 충전수신기(410), 배터리(420), LED(430) 및 디밍컨트롤러(440)를 포함하는데, 라이트부(400)의 구체적인 구성요소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할 도 4 내지 도 6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지지부(500)는 외측용기(300) 하단에 형성된 홈(310)을 통해 외측용기(300)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텀블러(10)는 음식이 보관되는 목적의 특성상 위생이 중요하며, 위생적인 관리를 위해 세척이 수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텀블러(10)의 세척 시 외측용기(300) 하단에 형성된 홈(310)을 통해 수분이 외측용기(300) 내부로 유입되게 되면, 외측용기(300) 내부에 위치되는 라이트부(400)가 손상 및 파손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500)는 홈(310)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외측용기(300)의 내부가 차폐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라이트부(400)가 보호되도록 한다.
그리고 지지부(500)는 외측용기(300)의 차폐를 위한 수밀이 가능한 것은 물론 텀블러(10)가 세워져있는 상태에서 텀블러(10)에 마찰력이 형성되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이격된 공간(600)은 내측용기(200) 및 외측용기(30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라이트부(400)로부터 출사된 빛이 발산 및 확산되어 텀블러 외부로 투과되는 과정에서 균일한 조도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이격된 공간(600)은 내측용기(200)의 외직경 및 내측용기(200)의 내직경의 크기가 다르게 구현되도록 하여 형성된다.
또한, 이격된 공간(6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텀블러(10)의 높이가 다르더라도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마련된다.
이는 빛이 직선으로 출사되는 특성을 고려한 것으로, 라이트부(400)에서 출사되는 빛이 내측용기상부(210)와 내측용기하부(220)의 경계부분인 절곡된 부분까지 감쇄되지 않고 도달되어 높이에 관계없이 동일한 조도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는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이격된 공간(600)의 간격은, 텀블러(10)가 사용되는 목적 및 장소에 따라 다르게 구현되어 라이트부(400)와 가까운 내측용기(200) 하부는 높은 조도가 형성되고, 내측용기상부(210)에 가까워질 수록 낮은 조도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높이에 다르게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트부(400)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트부(400)에서 출사된 빛이 이동되는 경로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트부(400)가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10)가 충전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도면이다.
라이트부(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텀블러(10)가 단순한 음용을 위한 목적이 아닌 다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라이트부(400)는 텀블러(10)가 스탠드, 랜턴 및 무드등 중 적어도 하나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라이트부(400)는 충전수신기(410), 배터리(420), LED(430) 및 디밍컨트롤러(440)를 포함한다.
충전수신기(410)는, 외부의 충전발신기(C)로부터 유도전압을 수신하기 위해 마련된다.
음료의 보관을 주기능으로 하는 텀블러(10)의 특성상 사용자의 위생을 위해 세척이 요구되고 세척시 외부의 충전 단자가 노출되는 경우 감전의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때문에 전원 공급이 필요한 스탠드 기능이 구비된 텀블러의 경우 사용자 편의성을 위해 충전수신기(410)가 내부에 밀폐되어있는 무선 충전 방식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수신기(410)를 포함하는 텀블러(10)가 충전발신기(C)에 접근하면 무선으로 충전되도록 한다.
물론 충전수신기(410)와 충전발신기(C)를 이용한 무선충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으로, 무선충전이 아닌 유선충전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충전수신기(410) 유선충전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경우에는, 충전을 위한 단자가 외부에 노출되게 되는데, 외부 노출 시 수분에 의해 단자가 손상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밀성을 가지도록 마련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내측용기(200)와 외측용기(300)가 결합된 틈을 통해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부위에는 모두 실리콘을 통해 수밀성을 확보한다.
그리고, 유선충전을 위해 전선이 결합되는 유선충전단자 부분은 니켈과 백금으로 도금 처리하여 충전단자에 수분이 접촉되더라도 수분이 단자 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어 충전단자 부분의 건조가 완료되면 충전단자의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배터리(420)는 충전수신기(410)에 수신된 유도전압을 변형하여 저장하고, LED(430) 및 디밍컨트롤러(4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통해, 텀블러(10)가 충전수신기(410)를 통해 유도전압을 충분히 수신하면, 실시간으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LED(430) 및 디밍컨트롤러(440)가 작동될 수 있으며, 텀블러(10)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빛을 출사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LED(4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고, 텀블러(10)가 스탠드, 랜턴 및 무드등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LED(4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부(400)의 가장자리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LED(4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부(400)의 가장자리 중에서도 라이트부(400)가 이격된 공간(600)과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도 5에서의 화살표는 LED(430)로부터 출사된 빛이 이동되는 경로를 도식화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LED(430)는 이격된 공간(600)과 직접 맞닿는 곳에 위치됨으로써 출사된 빛이 내측용기(200)에 의해 반사되지 않고 높이에 상관없이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이격된 공간(600)을 따라 직선으로 출사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출사된 빛의 조도가 감쇄되지 않고 내측용기상부(210)의 하부에 위치된 절곡된 부분까지 도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거의 동일한 조도를 가지고 이격된 공간(600) 전체에 발산 및 확산된 빛은 외측용기(300)를 투과해 균일하게 반사되어 외부로 투과됨으로써 텀블러(10)가 스탠드, 랜턴 또는 무드등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디밍컨트롤러(440)는 LED(430)를 통해 출사되는 빛이 다양한 색상 및 조도로 출사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디밍(Dimming)이란 광원인 LED(430)의 밝기와 색상을 조절하는 방식을 의미하는 한다.
이를 위해 디밍컨트롤러(440)는 스마트기기(D)로부터 디밍제어를 위한 기설정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따라 LED(430)의 밝기 또는 색상이 조절되도록 한다.
디밍제어를 위한 기설정된 신호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기기(D) 상에서 실행되면, 스마트기기(D)에서 출력되는 음악의 장르, 음량, 리듬, 영상, 진동, 현재시간, 스마트기기(D)가 위치되는 장소의 조도, 스마트기기가 위치되는 장소의 공기청정도 등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디밍제어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신호가 스마트기기(D)에서 디밍컨트롤러(440)로 전송되면, 디밍컨트롤러(440)는 신호에 대응되는 색상 및 조도로 LED(430)가 조절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스마트기기(D)에서 출력되는 음악이 기설정된 비피엠(BPM, beats per minute)을 초과하고 현재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범위 이내에 포함되지 않거나 스마트기기(D)가 위치된 장소의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스마트기기(D)에서 출력되는 디밍제어를 위한 신호는 LED(430)의 색상 변화가 스마트기기(D)에서 출력되는 음악의 BPM에 비례하여 빠르게 수행되되 기설정된 조도와 동일하거나 기설정된 조도 미만의 조도로 빛이 출사되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비트수는 128BPM으로 심장 박동수와 동일한 분당 비트수를 기준으로 하며, 기설정된 시간 범위는 현재 날짜의 일출 및 일몰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시간 범위는 음악이 재생되는 날짜의 일출시간부타 일몰시간까지를 기설정된 시간 범위로 상정하는 것이다.
또한, 스마트기기()가 위치된 장소의 조도는 150lx를 기준으로 하며, 이러한 조도의 수치는 일반적으로 실내공간에서 활동이 수행되는 표준조도를 근거로 한다.
물론 이러한 수치는 텀블러(1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따라 다르게 구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반대로, 스마트기기(D)에서 출력되는 음악이 기설정된 BPM 미만이고, 현재시간이 기설정된 시간 범위 이내에 포함되거나 스마트기기(D)에서 측정된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보다 높을 경우에 스마트기기(D)에서 출력되는 디밍제어를 위한 신호는 LED(430)의 색상 변화가 상기 스마트기기(D)에서 출력되는 BPM에 비례하여 느리게 수행되되 출사되는 빛의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와 동일하거나 기설정된 조도를 초과하는 조도로 빛이 출사되도록 하는 신호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스마트기기(D)가 공기청정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디밍제어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스마트기기(D)가 위치한 장소에 대한 공기청정도는 물론, 스마트기기(D)에서 수집되는 기상정보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와 같은 정보를 조합하여, 공기청정도가 일정 수치 미만인 경우에는 출사되는 빛의 녹색과 같이 안전함을 의미하는 색상으로 출사되도록 하고, 공기청정도가 일정 수치 이상인 경우에는 출사되는 빛이 적색과 같이 경고를 의미하는 색상으로 출사되도록 하여, 텀블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색상만으로도 대기상태를 확인하도록 할 수도 있다.
스마트기기(D)가 공기청정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은 무선통신을 통해 인터넷으로부터 수신하거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청정기와 같은 대기질을 측정할 수 있는 외부기기로부터 수집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스마트기기(D)가 공기청정기와 같은 장치일 수도 있다.
그리고, 디밍컨트롤러(440)는 스마트기기(D)와 연동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텀블러(10)가 무드등으로 사용되도록 하되, 스마트기기(D)와 연동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탠드나 랜턴으로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D)에서 음악이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가 음량의 크기가 최초 설정값보다 커지면 LED(430) 조도 역시 이에 비례하여 높아지게 되고, 최초 설정값보다 상대적으로 음량의 크기가 작아지면 조도 역시 이에 비례하여 낮아지게된다.
그리고, 스마트기기(D)에서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영상의 배경색에 따라 LED(430)의 색상을 조절할 수 있으며, 영상 출력의 경우 뿐 아니라 스마트기기(D) 주위의 조도에 따라 빛의 밝기를 달리하여 사용자가 위치하는 환경의 밝기를 유지하는 기능의 텀블러(1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D)에 전화나 문자 등의 알림이 오는 경우 LED(430)가 빛을 발산하거나 색상이 변화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효과를 갖는 텀블러(10)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외부 스마트기기(D)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한 기설정된 신호로 부터 디밍제어를 할 수 있음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트기기(D)와 연동되지 아니하여도 제3의 외부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악을 디밍컨트롤러(440) 자체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디밍제어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디밍제어를 위한 신호가 스마트기기(D)에서 생성되어 디밍컨트롤러(440)로 전송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디밍컨트롤러(440)가 스마트기기(D)로부터 출력되는 음악 정보, 조도정보, 공기청정도 정보를 수신하여 직접 디밍제어를 위한 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기기(D)와는 연동되지 않고 디밍컨트롤러(440)가 진동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텀블러(10)가 위치된 장소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대응되어 LED(430)가 조절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텀블러 200 :내측용기
210 : 내측용기상부 220 : 내측용기하부
300 : 외측용기 310 : 홈
400 : 라이트부 410 : 충전수신기
420 : 배터리 430 : LED
440 : 디밍컨트롤러 500 : 지지부
600 : 이격된 공간 C : 충전발신기
D : 스마트기기

Claims (11)

  1. 음용가능한 액체가 수용되는 내측용기;
    상기 내측용기의 외면에서 상기 내측용기를 감싸는 외측용기; 및
    상기 내측용기 및 상기 외측용기 사이에 위치되어 빛이 출사되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하는 라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부는,
    외부 스마트기기로부터 디밍제어를 위해 기설정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가 상기 기설정된 신호에 대응되는 조도 또는 색상으로 동작되도록 하는 디밍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기설정된 신호는,
    상기 외부 스마트기기에서 출력되는 음악의 장르, 음량, BPM, 영상, 진동, 상기 외부 스마트기기가 위치되는 장소의 조도 및 상기 외부 스마트기기가 위치되는 장소의 공기청정도 중 적어도 하나가 조합되어 생성되는 신호이고,
    상기 디밍컨트롤러는,
    상기 스마트기기가 위치한 장소에 대한 공기청정도가 일정 수치 미만인 경우, 상기 기설정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LED로부터 녹색 빛이 출사되고, 상기 스마트기기가 위치한 장소에 대한 공기청정도가 일정 수치 이상인 경우, 상기 기설정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LED로부터 적색 빛이 출사되도록 하며,
    상기 디밍컨트롤러는,
    상기 음량의 크기가 최초 설정값보다 커지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LED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조도가 상기 음량에 비례하여 높아지게 되고, 상기 음량의 크기가 최초 설정값보다 작아지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LED로부터 출사되는 빛의 조도가 상기 음량에 비례하여 낮아지도록 하고,
    상기 디밍컨트롤러는,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출력되는 음악이 기설정된 BPM을 초과하고, 상기 스마트기기가 위치된 장소의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보다 낮은 경우, 상기 기설정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LED의 색상 변화가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출력되는 음악의 BPM에 비례하여 빠르게 수행되되, 상기 기설정된 조도와 동일하거나 상기 기설정된 조도 미만의 조도로 빛이 출사되도록 하며,
    상기 디밍컨트롤러는,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출력되는 음악이 기설정된 BPM 미만이고,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측정된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기설정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LED의 색상 변화가 상기 스마트기기에서 출력되는 BPM에 비례하여 느리게 수행되되, 출사되는 빛의 조도는 상기 기설정된 조도와 동일하거나 상기 기설정된 조도를 초과하는 조도로 빛이 출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용기는,
    내측에 상기 내측용기가 삽입되면 상기 내측과 상기 내측용기의 외면 간에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내측용기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빛은,
    상기 이격된 공간을 통해 발산 및 확산되어 텀블러 외부로 균일하게 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용기는,
    외주연 일부가 절곡되어 절곡된 부분을 기준으로 내측용기상부 및 상기 내측용기상부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내측용기하부로 나뉘고,
    상기 외측용기는,
    상단이 상기 절곡된 부분과 결합됨으로써, 내부가 밀폐되어 상기 라이트부가 방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가 상기 이격된 공간 하부에서 상향으로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용기 하단과 상기 외측용기 하단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는,
    상기 내측용기 하단과 접촉되지 않는 상기 라이트부의 상단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상기 빛이 상기 공간으로 직접 발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7. 제6항에 있어서,
    외부의 충전발신기와 연동되어 유도전압을 수신하는 충전수신기; 및
    상기 충전수신기에 수신된 유도전압을 변환하여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LED 및 상기 디밍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용기는,
    상기 내측용기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내측용기가 가압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압력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하단에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9. 제8항에 있어서,
    세척 시 상기 홈을 통해 상기 외측용기 내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외측용기 하단에 밀착되어 결합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외측용기의 수밀성을 확보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용기는,
    상기 빛이 상기 이격된 공간으로 발산되어 외부로 투과 시 높이에 상관없이 균일한 조도로 투과되도록 하기 위해 반투명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스탠드, 무드등 및 랜턴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텀블러.
KR1020160134044A 2016-10-17 2016-10-17 스탠드 기능이 구비된 텀블러 KR101886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044A KR101886044B1 (ko) 2016-10-17 2016-10-17 스탠드 기능이 구비된 텀블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044A KR101886044B1 (ko) 2016-10-17 2016-10-17 스탠드 기능이 구비된 텀블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835A KR20180041835A (ko) 2018-04-25
KR101886044B1 true KR101886044B1 (ko) 2018-09-06

Family

ID=62088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044A KR101886044B1 (ko) 2016-10-17 2016-10-17 스탠드 기능이 구비된 텀블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60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278B1 (ko) 2021-04-08 2021-10-14 유정현 영상 출력 가능한 텀블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9417A (ja) * 2004-03-31 2005-10-20 Yoshinobu Toyomura 二重容器の密閉構造
JP2010188139A (ja) * 2010-03-17 2010-09-02 Kazuki Matsuzawa グラス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691B1 (ko) 1997-12-31 2005-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시스템의복조기와디코더인터페이스장치
KR20140125182A (ko) * 2013-04-18 2014-10-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컵
KR101670350B1 (ko) * 2014-09-15 2016-12-12 오재영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9417A (ja) * 2004-03-31 2005-10-20 Yoshinobu Toyomura 二重容器の密閉構造
JP2010188139A (ja) * 2010-03-17 2010-09-02 Kazuki Matsuzawa グ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835A (ko)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4914B2 (en) Light device
US20180055960A1 (en) Portable Disinfection Device
CN102245062A (zh) 液体照明器及其配件
US10334827B2 (en) Aquarium with night light
US20130094191A1 (en) Solar-powered hanging plant illuminator
US9347633B1 (en) Cordless decorative lamp
KR20190130847A (ko) 살균 수저통
KR101886044B1 (ko) 스탠드 기능이 구비된 텀블러
US11672943B2 (en) Sleep aid device
AU2005200602A1 (en) A light device
CN204246067U (zh) 自走式清洁设备的充电装置
CN110811257A (zh) 智能杯
CN208144866U (zh) 保温杀菌杯
KR200434901Y1 (ko) 엘이디 발광형 받침대
JP3161424U (ja) センサーライト
US20220142872A1 (en) Silicone Protector for a Drinking Vessel
KR20170051330A (ko) Led를 장치한 커버를 장착한 가라오케 마이크
EP3621574B1 (en) Sauna pail
US20170008021A1 (en) Electrically powered water feature
EP3443873A1 (en) Beverage container comprising a lighting elemen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lighting element of the beverage container
CN211308191U (zh) 一种汽车香薰
KR200473884Y1 (ko) 엘이디 랜턴
KR102340375B1 (ko) 원격제어 가능한 조명화분 받침대
CN216628135U (zh) 保温碗的碗体及其应用的保温碗
KR200481655Y1 (ko) 광고용 용기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