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884Y1 - 엘이디 랜턴 - Google Patents

엘이디 랜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884Y1
KR200473884Y1 KR2020120010271U KR20120010271U KR200473884Y1 KR 200473884 Y1 KR200473884 Y1 KR 200473884Y1 KR 2020120010271 U KR2020120010271 U KR 2020120010271U KR 20120010271 U KR20120010271 U KR 20120010271U KR 200473884 Y1 KR200473884 Y1 KR 200473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tern
cylindrical body
battery
led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02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2968U (ko
Inventor
양승권
Original Assignee
(주)디케이라이텍
이원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케이라이텍, 이원선 filed Critical (주)디케이라이텍
Priority to KR20201200102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884Y1/ko
Publication of KR201400029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9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8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LED 랜턴에 관한 것으로, LED를 광원으로 하는 랜턴에 있어서,
일측에 손잡이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몸체와;
상기 손잡이의 반대측인 원통형 몸체의 전면 하부에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원터치 전원버튼과;
상기 원통형 몸체의 저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식으로 조립되어 있는 하부 덮개에 내부를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된 요홈을 통해 노출되어 있는 고리와;
상 원통형 몸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식으로 조립된 채 상향을 형해 일정높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상부 조명캡;
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엘이디 랜턴{LED Lantern}
본 고안은 엘이디 랜턴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랜턴의 전방을 조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랜턴의 사방주위를 밝게 조명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야간에 길을 밝히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전력공급이 안되는 곳에서는 주위를 밝히는 전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LED 랜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랜턴(Lantern)은 휴대가 간편하고, 배터리 전원으로 램프를 점등하게 되면 상기한 램프에 점등된 불빛이 전방을 향해 밝게 조명하도록 구성된 것이 대부분이다.
종래 기술의 랜턴은 밝은 불빛을 전방 멀리 까지 비출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랜턴이 불빛을 비추는 전방을 제외한 좌,우측 및 후방은 밝게 조명할 수 없다는 하는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야외 캠핑시 야간에 랜턴을 사용하게 될 때에는 밝게 조명하고자 하는 곳을 향해 랜턴의 불빛을 비추어야 하는데, 이때 랜턴의 불빛이 비추어지는 곳은 밝게 조명되는 반면에, 랜턴의 불빛이 비춰지지 아니하는 곳 즉, 랜턴의 좌,우측 및 후방은 어두운 상태가 되기 때문에 행동하는데 많은 제약이 뒤따르게 되며, 또한 캠핑시 야간에 텐트 안에서 책을 읽기 위해 랜턴으로 책을 비추게 되면 책이 밝게 조명되므로 책을 편하게 읽을 수 있게 되지만, 이 경우에도 랜턴의 좌,우측 및 후방은 어두운 상태가 되므로 랜턴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랜턴의 불빛이 전방 및 사방으로 퍼져나가도록 구성하는 수단으로, 야간에는 기존의 랜턴과 같이 손으로 휴대하여 전방을 조명할 수 있도록 하며, 전등이 없는 장소에서는 랜턴을 백열등과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여러 사람이 하나의 랜턴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LED를 광원으로 하는 랜턴에 있어서,
일측에 손잡이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몸체와;
상기 손잡이의 반대측인 원통형 몸체의 전면 하부에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원터치 전원버튼과;
상기 원통형 몸체의 저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식으로 조립되어 있는 하부 덮개에 내부를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된 요홈을 통해 노출되어 있는 고리와;
상 원통형 몸체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식으로 조립된 채 상향을 형해 일정높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상부 조명캡;
을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통형 본체의 전면에는 원터치 전원버튼 상부에는 사용시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며, 배터리 충전시에는 충전상태임을 표시하는 복수의 LED 표시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의 하단에는 고무마개에 의해 개폐되는 코드접속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코드접속부에는 베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공급용 잭이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전원충전 접속구와 핸드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 콘넥터가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콘넥터 접속구가 함께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야간에는 전방을 조명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장소에서는 백열등과 같은 전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랜턴을 바닥에 세워놓고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거꾸로 매달아놓는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할 수 있고, 충전시에는 배터리를 충전하고 있는 상태임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며, 본 고안은 랜턴의 배터리 전원을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의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랜턴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랜턴 저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 단면한 측면도
도 4 및 도 5 는 본 고안의 랜턴 사용상태도
본 고안에 의한 LED 랜턴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랜턴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랜턴(1)은 원통형 몸체(2)와, 상기 원통형 몸체(2)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상부 조명캡(3)과, 상기 원통형 몸체(2)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하부 덮개(4)와, 상기 원통형 몸체(2)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5) 및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원통형 몸체(2)이 내부에는 교체가 가능하도록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원통형 몸체(2)의 내부에는 배터리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된 인쇄회로기판(6)이 내장되어 있으며(도 1 참조), 상기 인쇄회로기판(6)에는 복수의 LED(61)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상부 조명캡(3)은 복수의 LED(61)에 발광하는 점광원의 불빛이 조명캡 전체로 고르게 확산되어 사람들이 상부 조명캡(3)을 쳐다 보게 되더라도 눈부심 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마치 자연광과 같은 불빛으로 출사되어 주위를 조명하도록 구성된 것이 사용된다.
상기 하부 덮개(4)에는 내부를 향해 돌출하는 요홈(41)에 하부 덮개(4)의 내부에서 분리가 가능하도록 고정 부착된 채 상기한 요홈(41)을 통해 외부로 노출하도록 돌출되어 연결끈 등을 묶어줄 수 있도록 하는 고리(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몸체(2)의 전면 하부에는 원터치 전원버튼(7)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터치 전원버튼(7)의 상측에는 배터리의 잔량 및 배터리의 충전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LED 표시등(8a∼8d)이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5)의 하단에는 코드접속부(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코드접속부(9)는 고무마개(91)에 의해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코드접속부(9) 내부에는 배터리를 재충전하고자 할 때 외부로부터 인출된 전원공급용 잭(미도시)을 착탈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충전 접속구(92)와 핸드폰이나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 콘넥터(미도시)를 착탈가능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콘넥터 접속구(9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원통형 몸체(2)의 내부에는 원터치 전원버튼(7) 및 복수의 LED 표시등(8a∼8d)을 작동시키기 위한 회로장치가 실장된 회로기판과 상기 전원충전 접속구(92) 및 콘넥터 접속구(93)가 연결되는 회로장치가 실장된 회로기판이 각각 내설되어 있다.
상기 원터치 전원버튼(7)은 한번 터치하면 전원을 온(on) 작동시켜서 상부 조명캡(3)이 밝게 조명되는 것이며, 두번 및 세번 터치하게 되면 상부 조명캡(3)의 밝기가 점차로 약해지게 되며, 네번 터치하게 되면 전원을 오프(off)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LED(8a∼8d) 각각은 원터치 전원버트(7)과 연계되어 배터리의 잔량표시와 배터리의 재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즉, 원터치 전원버튼(7)을 3초 이상 길게 눌러주게 되면 배터리의 전원충전량에 따라 복수의 LED 표시등(8a∼8d)들 중 선택되는 LED만 점등된다. 예를 들면, 배터리에 전원 충전상태가 100%인 경우에는 복수의 LED 표시등(8a∼8d) 모두가 점등되고, 전원 충전상태가 70%인 경우에는 복수의 LED 표시등 중 세개의 LED 표시등(8a,8b,8c)만 점등되고, 전원 충전상태가 50%인 경우에는 복수의 LED 표시등 중 두개의 LED(8a,8b)만 점등되며, 전원 충전상태가 25%인 경우에는 복수의 LED 표시등 중 하나의 LED 표시등(8a)만 점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LED 표시등(8a∼8d)은 배터리를 재충전하기 위하여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용 잭(미도시)을 전원충전 접속구(92)에 접속시켰을 때 전원이 재충전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데, 이 경우 복수의 LED 표시등(8a∼8d)은 차례대로 점등 및 소등되는 작동이 반복 되풀이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복수의 LED 표시등들 중 도면상 좌측에 있는 첫번째 LED 표시등(8a)부터 점등되었다가 소등되고, 상기 좌측의 LED 표시등(8a)이 소등됨과 동시 두번째 LED 표시등(8b)이 점등되었다가 소등되며, 상기 두번째의 LED 표시등(8b)이 소등됨과 동시 세번째 LED 표시등(8c)이 점등되고, 상기 세번째 LED 표시등(8c)이 소등됨과 동시 네번째 LED 표시등(8d)이 점등되는 것이며, 상기 네번째 LED 표시등(8d)이 소등될 때에는 세번째 LED 표시등(8c)이 점등되는 역순으로 소등 및 점등되는 작동이 반복 되풀이되는 것이며, 배터리 재충전하는 도중에 전원충전 접속구(92)에는 전원공급용 잭을 뽑아주게 되면 재충전 작동이 정지됨과 동시 그때의 배터리 충전량에 따라 복수의 LED 표시등(8a∼8d)들 중 선택된 LED 표시등만 설정된 시간(예들 들면, 1∼2초) 동안 점등되었다가 소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랜턴(1)을 사용하는데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랜턴(1)은 기존의 랜턴과 같이 사용자가 손으로 들고 휴대할 수 있으며, 손에 휴대하고 사용할 때 상부 조명캡(3)이 전방을 향하도록 하면 원통형 몸체(2)의 내부에 장착된 복수의 LED(61) 각각에서 발광하는 불빛은 상부 조명캡(3)을 통해 외부로 출사되는데, 이때 상기 상부 조명캡(3)은 원통형 몸체(2)의 상단에서 일정 높이(길이) 돌출된 상태이므로 상기 복수의 LED(61) 각각에서 발광하는 불빛은 상부 조명캡(3)의 전방으로 출사됨과 동시 사방으로도 출사되는 상태이므로 결국 상기 복수의 LED(61)에서 발광하는 불빛은 상부 조명캡(3)의 전방 및 사방을 통해 출사되므로 사용자의 전방을 밝게 조명함과 동시에 좌,우측 및 상,하부를 조명할 수 있게 되므로 야간에 어두운 길이나 산길 등을 보행할 때 주변의 물체를 확인하면서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랜턴(1)은 야외에서 캠핑할 때, 강이나 저수지 등에서 낚시할 때, 전기가 들어오지 않는 오지 및 산골 등에서 전등과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랜턴(1)은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도 4의 도시는 랜턴(1)을ㄹ 바닥에 세워놓고 사용하는 것으로, 이때에는 상기 랜턴(1)의 하부 덮개(4)를 수평한 바닥에 세워놓게 되면 원통형 몸체(2)는 안정된 상태로 기립 설치되는 것이며, 이 경우 상기 원통형 몸체(2)의 상단 위로 일정 높이 돌출되어 있는 상부 조명캡(3)를 통해 출사되는 불빛이 상부와 사방 주위를 조명하게 되는데, 상기 상부 조명캡(3)의 상부 및 원둘레 방향으로 출사되는 불빛이 랜턴(1)의 상부와 사방 주위를 밝게 조명하게 되므로 하나의 랜턴(1)으로 전등과 같이 랜턴(1)의 주위를 밝게 조명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의 도시는 랜턴(1)을 거꾸로 매달아 놓고 사용하는 것으로, 이때에는 상기 랜턴(1)의 하부 덮개(4)에 형성되어 있는 요홈(41)에 노출되어 있는 고리(42)에 연결끈이나 연결구 등을 연결하여 상부 조명캡(3)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고 하부 덮개(4)는 위를 향하도록 거꾸로 매달아 놓게 되면 점등된 복수의 LED(61)에서 발광하는 불빛이 상부 조명캡(3)의 하측과 사방 주위를 향해 출사되므로 상기 랜턴(1)의 하측과 그 주위 전체를 밝게 조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랜턴(1)은 사용자가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 충전량을 확인하고 할 때에는 원터치 전원버튼(7)을 3초 이상 길게 눌러주게 되면 배터리 충전잔량에 따라 복수의 LED 표시등(8a∼8d) 중 충전잔량에 해당하는 선택된 LED 표시등이 점등되므로 사용자는 점등된 LED 표시등의 갯수를 보고 배터리는 충전잔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다 사용한 후 재충전하고 할 때에는 손잡이(5)의 하단에 형성된 코드접속부(9)를 폐쇄하고 있는 고무마개(91)을 열고 상기 코드접속부(9)의 내부에 있는 전원충전 접속부(92)에 외부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전원공급용 잭을 접속하게 되면 배터리를 재충전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랜턴(1)은 배터리를 재충전할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랜턴(1)은 충전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핸드폰이나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이때에는 손잡이(5) 하단에 형성된 코드접속부(9)를 폐쇄하고 있는 고무마개(91)를 열고(도 2 참조), 상기 코드접속부(9)에 형성되어 있는 콘넥터 접속구(93)에 모바일기기의 충전용 콘넥터를 접속시켜주면 랜턴(1)의 배터리에 충전되어 있는 전기를 모바일기기의 배터리에 충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1 : 랜턴 2 : 원통형 몸체
3 : 상부 조명캡 4 : 하부 덮개
41 : 요홈 42 : 고리
5 : 손잡이 6 : 인쇄회로기판
61 : LED 7 : 원터치 전원버튼
8a∼8d : LED 표시등 9 : 코드접속부
91 : 고무마개 92 : 전원충전 접속구
93 : 콘넥터 접속구

Claims (3)

  1. 일측에 손잡이(5)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몸체(2)와;
    상기 손잡이(5)의 반대측인 원통형 몸체(2)의 전면 하부에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원터치 전원버튼(7)과;
    상기 원통형 몸체(7)의 저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식으로 조립되어 있는 하부 덮개(4)에 내부를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된 요홈(41)을 통해 노출되어 있는 고리(42)와;
    상 원통형 몸체(2)의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식으로 조립된 채 상향을 형해 일정높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상부 조명캡(3)을 포함하고 있으며, LED(61)를 광원으로 하도록 구성되는 랜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3)의 하단에는 고무마개(91)에 의해 개폐되는 코드접속부(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코드접속부(9)에는 베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공급용 잭이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전원충전 접속구(92)와 핸드폰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용 콘넥터가 착탈가능하게 접속되는 콘넥터 접속구(93)가 함께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랜턴.
  2. 삭제
  3. 삭제
KR2020120010271U 2012-11-12 2012-11-12 엘이디 랜턴 KR200473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271U KR200473884Y1 (ko) 2012-11-12 2012-11-12 엘이디 랜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0271U KR200473884Y1 (ko) 2012-11-12 2012-11-12 엘이디 랜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968U KR20140002968U (ko) 2014-05-21
KR200473884Y1 true KR200473884Y1 (ko) 2014-08-14

Family

ID=51986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0271U KR200473884Y1 (ko) 2012-11-12 2012-11-12 엘이디 랜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8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055Y1 (ko) 2022-05-19 2022-10-21 변종혁 걸이용 후크가 내장된 랜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457Y1 (ko) 2002-05-03 2002-08-03 주식회사 에이텍 걸이등 겸용 손전등
KR200353145Y1 (ko) * 2004-03-23 2004-06-14 김재석 태양전지를 이용한 랜턴
JP2010160979A (ja) * 2009-01-08 2010-07-22 Sanyo Electric Co Ltd ランタン
KR101197870B1 (ko) * 2012-08-27 2012-11-05 주식회사 지비솔루션즈 스마트 랜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457Y1 (ko) 2002-05-03 2002-08-03 주식회사 에이텍 걸이등 겸용 손전등
KR200353145Y1 (ko) * 2004-03-23 2004-06-14 김재석 태양전지를 이용한 랜턴
JP2010160979A (ja) * 2009-01-08 2010-07-22 Sanyo Electric Co Ltd ランタン
KR101197870B1 (ko) * 2012-08-27 2012-11-05 주식회사 지비솔루션즈 스마트 랜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055Y1 (ko) 2022-05-19 2022-10-21 변종혁 걸이용 후크가 내장된 랜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968U (ko) 2014-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403B1 (ko) 다용도 랜턴
CA2717059C (en) Lantern with removable lights
US9322520B1 (en) Portable multi-functional light emitting device
US20080198585A1 (en) Purse illumination assembly
KR101280236B1 (ko) 발광장치와 발광장치수납홈을 구비한 비치볼
US20180067384A1 (en) Led project light has multiple functions
KR20080083247A (ko) 다용도발광체구조
KR200473884Y1 (ko) 엘이디 랜턴
CN210424565U (zh) 灯具装置
CN108202662A (zh) 用于机动车的发光杆
KR101408811B1 (ko) 착탈식 충전형 랜턴이 세트화된 비상구 유도등
KR200479563Y1 (ko) 엘이디 등기구
CN104161341B (zh) 发光鞋
TWI612845B (zh) 照明器具
CN210601132U (zh) 一种可更换电池的手提灯
CN208170043U (zh) 一种集手电台灯一体装置
KR102132894B1 (ko) 휴대폰 무선 충전 기능이 구비된 인조대리석 제품
CN206130626U (zh) 一种移动电源夜灯
CN205504578U (zh) 多功能照明装置
CN205299171U (zh) 多功能照明器
CN205299174U (zh) 便携式太阳能多功能照明装置
CN211853863U (zh) 野营灯
GB2558225A (en) A cycle safety bottle device
KR20080002844U (ko) 다기능 후레쉬
CN206257493U (zh) 一种具有电量显示的手电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