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934A -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934A
KR20160136934A KR1020150071194A KR20150071194A KR20160136934A KR 20160136934 A KR20160136934 A KR 20160136934A KR 1020150071194 A KR1020150071194 A KR 1020150071194A KR 20150071194 A KR20150071194 A KR 20150071194A KR 20160136934 A KR20160136934 A KR 20160136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lid
generating unit
beve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동현
Original Assignee
황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동현 filed Critical 황동현
Priority to KR1020150071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6934A/ko
Publication of KR20160136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8Applications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 몸체; 상기 용기 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단속하는 뚜껑; 상기 뚜껑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 몸체 내부를 살균처리 하는 자외선 발생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에 대하여 뚜껑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을 동작시키는 전원이 선택적으로 온/오프 제어되는 개폐용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상기 축전지가 방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의 온/오프 상태를 매번 체크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프되지 않은 자외선 램프가 사용자 또는 다른 사람에게 비추는 등의 눈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beverage vessel having steriliz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용기 내부를 살균 처리를 하는 살균 장치의 온/오프 동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균 작용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일정량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용기를 말하는 것으로, 음료의 수용 용량에 따라 그 크기도 다양하다.
최근에 레저 활동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야외 활동에 사용되는 음료용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야외 활동에 사용되는 음료용기의 경우 사용자가 오랜 시간에 거쳐 반복적으로 음료를 섭취하기 때문에 세균이 쉽게 증식할 뿐만 아니라, 기타 오염물질이 발생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가 개발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는 내부에 음료를 담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용기 몸체(10)와, 상기 용기 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단속하는 뚜껑(20)과, 상기 뚜껑(20)에 장착되어 상기 용기 몸체(10) 내부를 살균처리 하는 자외선 발생유닛(30)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의 경우,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30)의 온/오프 조작을 사용자가 직접 누르거나 돌리는 스위치(31) 조작을 통해 단속할 수 있는 것으로, 따라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상기 뚜껑(20) 개방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30)의 작동을 오프시키지 않아 배터리 방전이 쉽게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매번 상기 뚜껑(20)을 열거나 닫을 때마다 스위치(31)를 우선적으로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 및 이를 항상 인지하고 반복적으로 체크해야 하는 등의 세심한 주의를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81155호(2002.06.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음료용기 내부를 살균 처리를 하는 살균 장치의 온/오프 동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살균 작용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는, 내부에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 몸체; 상기 용기 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단속하는 뚜껑; 상기 뚜껑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 몸체 내부를 살균처리 하는 자외선 발생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에 대하여 뚜껑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을 동작시키는 전원이 선택적으로 온/오프 제어되는 개폐용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용 스위치는 상기 용기 몸체의 둘레방향 일 지점에 설치되는 통전단자와, 상기 뚜껑의 내주면 둘레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통전단자와 대면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통전용 리드단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에는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으로 음료수가 침입하는 것을 차단시키는 방수커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커버에는 상기 용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확장용 보조관이 형성되며,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의 자외선 램프는 상기 확장용 보조관을 따라 복수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장용 보조관에는 빛 확산을 위한 확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 몸체의 내주 둘레면 및 바닥면에는 반사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기 몸체와 뚜껑은 상호 간의 나사회전식 또는 상하방향의 착탈결합식 구조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뚜껑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을 온/오프 제어하는 개폐용 스위치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상기 축전지가 방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의 온/오프 상태를 매번 체크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프되지 않은 자외선 램프가 사용자 또는 다른 사람에게 비추는 등의 눈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방수커버에는 상기 용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확장용 보조관을 형성함으로써, 그 내부에 자외선 램프를 설치할 수 있어 상기 용기 몸체의 내부 및 음료에 대한 살균효과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자외선 발생유닛이 작동하는 전류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의 방수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개폐용 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의 개폐용 스위치의 작용을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는 내부에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 몸체(100)와, 상기 용기 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단속하는 뚜껑(200)과, 상기 뚜껑(200)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 몸체(100) 내부를 살균처리 하는 자외선 발생유닛(300)과,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300)을 온/오프 제어하는 개폐용 스위치(4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용기 몸체(100)는 내부에 음료를 담아서 보관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제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용기 몸체(100)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금속, 유리, 종이, 합성수지 등의 다양한 소재로 제작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용기 몸체(100)의 상부에는 후술할 뚜껑(200)과 상호 착탈결합이 가능한 구조의 나사체결부(11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하방향으로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끼움식 체결구(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몸체(100)의 외주면 일측에는 사용자가 용기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미도시)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몸체(100)의 내주 둘레면 및 바닥면에는 후술할 자외선 발생유닛(300)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판(120)이 설치된다.
상기 뚜껑(200)은 용기 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단속하는 것으로, 상기 용기 몸체(100)의 개방된 상부를 마감하는 마감플레이트(210)와, 상기 마감플레이트(210)의 테두리 둘레에 형성되며 상기 나사체결부(110)에 대응하는 나사부(221)를 형성한 체결플랜지(220)로 구성된다.
한편, 자외선 발생유닛(300)은 상기 뚜껑(200)의 이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용기 몸체(100) 내부를 살균처리 하는 자외선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300)은 회로기판(310)과, 상기 회로기판(310)에 연결되는 자외선 램프(320)와, 상기 자외선 램프(320)로 전류를 통전시키는 축전지(3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200)에는 상기 축전지(330)를 교체할 수 있도록 개폐커버(2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뚜껑(200)에는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300)으로 음료수가 침입하는 것을 차단시키는 방수커버(240)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방수커버(240)는 상기 자외선 램프(320)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용이하게 투과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인체에 무해한 투명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300)은 상기 축전지(330)의 통전 전류로부터 상기 자외선 램프(320)가 자외선(Ultraviolet Rays)을 발산하여 상기 용기 몸체(100)는 물론 그 내부에 저장된 음료를 살균 및 기타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것을 차단시키는 것으로, 자외선-엘이디(UV-LED)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방수커버(240)에는 상기 용기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확장용 보조관(241)이 형성되며,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300)의 자외선 램프(320)는 상기 확장용 보조관(241)을 따라 복수개 이상 설치된다.
즉, 상기 확장용 보조관(241)과 그 내부에 설치되는 자외선 램프(320) 구성으로부터 상기 용기 몸체(100)의 내부 및 음료를 살균작용 효과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장용 보조관(241)에는 빛 확산을 위한 확산홈(241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확산홈(241a)의 구성으로부터 상기 자외선 램프(320)의 빛을 다방향으로 굴절시켜 자외선 분포도를 광범위하게 넓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개폐용 스위치(400)는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300)을 온/오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용기 몸체(100)에 대하여 뚜껑(200)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300)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온/오프 제어한다.
즉,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300)을 온/오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조작 스위치를 구성하지 않고 상기 뚜겅(200)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300)을 자연스럽게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개폐용 스위치(400)는 상기 용기 몸체(100)의 둘레방향 일 지점에 설치되는 통전단자(410)와, 상기 뚜껑(200)의 내주면 둘레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통전단자(410)와 대면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통전용 리드단자(420)로 구성된다.
상기 통전용 리드단자(420)는 (+)단자와 (-)단자로 이루어진 한 쌍의 구성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몸체(100)와 뚜껑(200)이 상호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상기 통전단자(410)와 통전용 리드단자(420)가 서로 접촉하지 않아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300)은 작동하지 않는다. 이후 상기 뚜껑(200)을 잠기는 방향을 회전시켜 상기 용기 몸체(100)와 뚜껑(200)이 상호 완전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상기 통전단자(410)와 통전용 리드단자(420)가 서로 접촉하는 통전에 의해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300)이 작동시키다. 이후, 다시 상기 뚜껑(200)을 용기 몸체(100)로부터 열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통전단자(410)와 통전용 리드단자(420)가 서로 이격되어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300)은 작동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기 개폐용 스위치(400)는 상기 뚜껑(200)을 열거나 닫는 개폐작용으로부터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300)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상기 축전지(330)가 방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300)의 온/오프 상태를 매번 체크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프되지 않은 자외선 램프(320)가 사용자 또는 다른 사람에게 비추는 등의 눈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구성에 따르면, 뚜껑(200)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300)을 온/오프 제어하는 개폐용 스위치(400)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상기 축전지(330)가 방전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300)의 온/오프 상태를 매번 체크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프되지 않은 자외선 램프(320)가 사용자 또는 다른 사람에게 비추는 등의 눈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방수커버(240)에는 상기 용기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확장용 보조관(241)을 형성함으로써, 그 내부에 자외선 램프(320)를 설치할 수 있어 상기 용기 몸체(100)의 내부 및 음료에 대한 살균효과를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용기 몸체
120 : 반사판
200 : 뚜껑
240 : 방수커버
241 : 확장용 보조관
241a : 확산홈
300 : 자외선 발생유닛
400 : 개폐용 스위치
410 : 통전단자
420 : 통전용 리드단자

Claims (7)

  1. 내부에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 몸체;
    상기 용기 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단속하는 뚜껑;
    상기 뚜껑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 몸체 내부를 살균처리 하는 자외선 발생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몸체에 대하여 뚜껑이 개방 또는 폐쇄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을 동작시키는 전원이 선택적으로 온/오프 제어되는 개폐용 스위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용 스위치는 상기 용기 몸체의 둘레방향 일 지점에 설치되는 통전단자와, 상기 뚜껑의 내주면 둘레방향에 설치되며 상기 통전단자와 대면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통전용 리드단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으로 음료수가 침입하는 것을 차단시키는 방수커버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커버에는 상기 용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확장용 보조관이 형성되며, 상기 자외선 발생유닛의 자외선 램프는 상기 확장용 보조관을 따라 복수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용 보조관에는 빛 확산을 위한 확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의 내주 둘레면 및 바닥면에는 반사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와 뚜껑은 상호 간의 나사회전식 또는 상하방향의 착탈결합식 구조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
KR1020150071194A 2015-05-21 2015-05-21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 KR20160136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194A KR20160136934A (ko) 2015-05-21 2015-05-21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194A KR20160136934A (ko) 2015-05-21 2015-05-21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934A true KR20160136934A (ko) 2016-11-30

Family

ID=57707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194A KR20160136934A (ko) 2015-05-21 2015-05-21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69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058A (ko) * 2018-11-06 2020-05-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살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058A (ko) * 2018-11-06 2020-05-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살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8530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用の殺菌装置
US6444956B1 (en) Hand lotion warmer
JP6181316B2 (ja) 機能水生成装置
WO2016189800A1 (ja) 給水器
KR20160031754A (ko)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
ES2943025T3 (es) Recipiente para contener bebidas y dispositivo para llenar el recipiente
KR20170001535U (ko)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물통
JP2017158900A (ja) 殺菌容器
US20130105434A1 (en) Novelty bottle cap
JP2017169945A (ja) 殺菌容器
WO2016132703A1 (ja) 給水器及び蓋
JP2017158829A (ja) 殺菌容器
JP6646828B2 (ja) 蓋付きマグ
KR20160136934A (ko) 살균 장치를 구비한 음료용기
JP2017088220A (ja) 蓋付きマグ
JP2017170342A (ja) 殺菌装置
KR20170072720A (ko) Uv 살균용 병 뚜껑
US11400173B2 (en) Sanitizing bottle
CN209204143U (zh) 杀菌装置
CN209058676U (zh) 一种一体式uv杀菌水杯
KR200194592Y1 (ko) 우유병(분유병) 소독기
JP2017159251A (ja) 殺菌容器
JP3240466U (ja) 紫外線殺菌ボトル
TWI742627B (zh) 殺菌濾淨容器
CN212699726U (zh) 冷阴极手持式杀菌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