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177B1 -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 - Google Patents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0177B1
KR101670177B1 KR1020150089502A KR20150089502A KR101670177B1 KR 101670177 B1 KR101670177 B1 KR 101670177B1 KR 1020150089502 A KR1020150089502 A KR 1020150089502A KR 20150089502 A KR20150089502 A KR 20150089502A KR 101670177 B1 KR101670177 B1 KR 101670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plate
plate
damping
sli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구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9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01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0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0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04B1/985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04H9/022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and comprising laminated structures of alternating elastomeric and rigid layers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에 관한 것으로, 슬릿플레이트; 마찰패드; 제1 감쇠수단; 제2 감쇠수단; 및 체결수단; 을 포함하여, 다양한 진동원에 대응 가능하고, 작은 변위에도 작용하며, 항복이 발생하기 전에는 구조물의 강성 및 내력을 증가시키고, 항복이 발생한 후에는 에너지 소산현상이 발생하여 주구조체가 부담하는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APPARATUS OF COMPLEX DAMPER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진동원에 대응 가능하고, 작은 변위에도 작용하며, 항복이 발생하기 전에는 구조물의 강성 및 내력을 증가시키고, 항복이 발생한 후에는 에너지 소산현상이 발생하여 주구조체가 부담하는 하중을 저감시킬 뿐만 아니라 제작,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진동원에 대응 가능한 복합 감쇠장치가 국내·외에서 개발되고 있으나, 주로 속도 의존형 감쇠장치(Velocity-dependent damping devices)와 변위 의존형 감쇠장치(Displacement-dependent damping devices)를 결합한 것이 대부분이다.
변위 의존형 감쇠장치 중 강재 이력형과 마찰 감쇠장치는 강재의 항복과 마찰패드의 슬립이 발생하기 이전에는 초기 강성을 통해 저항하며 에너지 소산은 발생하지 않으므로 약한 지진하중이 발생할 경우 감쇠장치의 큰 강성을 통해 저항한다.
여기서 항복이라 함은, 물체에 작용하는 외력을 늘려가면 응력이 탄성 한도를 넘게 되는데, 이때 외력은 거의 증가하지 않는데도 영구 변형이 급격히 늘어나기 시작하는 탄성 한도를 넘은 상태를 의미한다.
속도 의존형 감쇠장치가 설치될 경우 구조물에 강성이 추가되지 않지만 큰 감쇠비를 보유하며 다양한 규모의 지진하중에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속도 의존형 감쇠장치와 변위 의존형 감쇠장치를 조합한 복합 감쇠장치는 강진지역에 적합하며, 중·약진 지역인 국내에는 작은 변위에서도 작용할 수 있는 복합 감쇠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7-0085327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2-0087593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진동원에 대응 가능하며 작은 변위에도 작용하는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 항복이 발생하기 전에는 구조물의 강성 및 내력을 증가시키고, 항복이 발생한 후에는 에너지 소산현상이 발생하여 주구조체가 부담하는 하중을 저감시키는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제작,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경제적인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다수의 슬릿홀이 나란하게 형성되는 판재 형상의 슬릿플레이트; 상기 슬릿플레이트에 접하는 다수의 마찰패드; 상기 슬릿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마찰패드 중 하나가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의 폭이 다르게 형성되는 한 쌍의 판상체로 이루어지는 제1 감쇠수단; 상기 제1 감쇠수단으로부터 떨어져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릿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마찰패드 중 다른 하나가 배치되고,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의 폭이 다르게 형성되는 한 쌍의 판상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감쇠수단에 대해 거꾸로 뒤집힌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감쇠수단; 및 상기 제1 감쇠수단과 상기 슬릿플레이트, 상기 제2 감쇠수단과 상기 슬릿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각각 고정시키는 다수의 체결수단; 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판상체는, 가장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길이방향 일측의 소폭부로부터 가장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길이방향 타측의 대폭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게 형성되고, 상기 마찰패드는, 상기 대폭부와 상기 슬릿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소폭부와 상기 슬릿플레이트 사이에 제1 와셔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와셔부재는 불소수지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대폭부와 상기 체결수단 사이에 마찰력분산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마찰력분산부재와 상기 체결수단 사이에 제2 와셔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 와셔부재와 상기 마찰력분산부재, 상기 대폭부, 상기 마찰패드, 상기 슬릿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체결수단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소폭부와 상기 제1 와셔부재 및 상기 슬릿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슬릿플레이트에는,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관통공 중 상기 소폭부에 대응되는 관통공은, 상기 판상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슬릿플레이트에는 제1 패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대폭부에는 상기 제1 패드홈에 대응되는 제2 패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패드홈과 상기 제2 패드홈에 상기 마찰패드가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진동원에 대응 가능하고, 작은 변위에도 작용하는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가 제공된다.
또, 항복이 발생하기 전에는 구조물의 강성 및 내력을 증가시키고, 항복이 발생한 후에는 에너지 소산현상이 발생하여 주구조체가 부담하는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작,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의 일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를 실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의 비선형 해석결과를 나타낸 도,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를 조립중인 상태를 나타낸 도이며,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가 실제로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의 일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는 크게 슬릿플레이트(100)와 마찰패드(200), 제1 감쇠수단(300), 제2 감쇠수단(400) 및 체결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슬릿플레이트(100)는 다수의 슬릿홀(110)이 나란하게 형성되는 사각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에서 슬릿감쇠장치의 역할을 하게 된다. 슬릿홀(110)은 면내 방향으로 휨 항복이 발생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슬릿플레이트(100)가 큰 강성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슬릿홀(110) 중 어느 하나나 둘 이상은 슬릿플레이트(1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다른 슬릿홀(110)에 비해 큰 크기로 형성할 수 있으며, 슬릿홀(110)의 형상이나 크기는 복합 감쇠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구조물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여 형성할 수 있다. 슬릿플레이트(100)에는 하기에 서술하는 체결수단(500)이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공(120)이 형성되는데, 관통공(120) 중 일부의 관통공(120')은 하기에 서술하는 판상체(310, 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슬릿플레이트(100)의 상측과 하측에는 별도의 체결체(도시하지 않음), 예를 들어 볼트와 너트 등을 이용하여 구조물 등과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공(140)이 형성된다. 한편, 슬릿플레이트(100)에는 하기에 서술하는 마찰패드(200)가 삽입되도록 약 0.5~1.5mm 정도의 깊이로 제1 패드홈(130)이 형성된다.
마찰패드(200)는 슬릿플레이트(100)에 접하는 다수로 구성되고,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일반적인 마찰패드(200)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덴마크 DAMPTECH사에서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마찰패드(200)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도면에서는 원 형상의 마찰패드(200)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 외에 사각이나 삼각 등 다각 형상의 마찰패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감쇠수단(300)은 슬릿플레이트(100)와의 사이에 마찰패드(200) 중 하나가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의 폭이 다르게 형성되는 한 쌍의 판상체(310)로 이루어지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판상체(310)는 가장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길이방향 일측의 소폭부(312)로부터 가장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길이방향 타측의 대폭부(314)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게 형성되며, 전술한 마찰패드(200)는 판상체(310)의 대폭부(314)와 슬릿플레이트(10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판상체(310)의 대폭부(314)에는 슬릿플레이트(100)에 형성되는 제1 패드홈(130)에 대응되도록 약 0.5~1.5mm 정도의 깊이로 제2 패드홈(314a)이 형성되어 제1 패드홈(130)과 제2 패드홈(314a)에 마찰패드(200)가 삽입되도록 하게 된다. 이러한 제1 패드홈(130)과 제2 패드홈(314a)은 마찰패드(200)가 마찰면을 이탈하지 않도록 하고, 하기에 서술하는 체결수단(500)의 조임력에 의한 마찰패드(200)의 횡변형을 구속하는데 도움이 된다. 한편, 슬릿플레이트(100)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공(120) 중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일부의 관통공(120')은 판상체(310)의 소폭부(3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제2 감쇠수단(400)은 제1 감쇠수단(300)으로부터 떨어져 제1 감쇠수단(300)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슬릿플레이트(100)와의 사이에 마찰패드(200) 중 다른 하나가 배치되고,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의 폭이 다르게 형성되는 한 쌍의 판상체(410)로 이루어져 전술한 제1 감쇠수단(300)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제1 감쇠수단(300)이나 제2 감쇠수단(400)에서 사용되는 총 4개의 판상체(310, 410)는 도면부호를 나누어 병기했을 뿐 동일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제2 감쇠수단(400)에서 사용되는 판상체(410)의 대폭부(414)에도 제2 패드홈(도면번호 부여시 414a)이 형성된다. 다만, 제2 감쇠수단(400)은 제1 감쇠수단(300)에 대해 거꾸로 뒤집힌 방향으로 설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는 슬릿플레이트(100)에 장착되는 감쇠수단이 제1 및 제2 감쇠수단(300, 400) 외에 제3, 제4… 감쇠수단 등 더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소규모감쇠장치의 특성 상 공간의 활용을 위하여 서로 엇갈리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마찰패드(200)와 제1 감쇠수단(300)이 하나의 마찰감쇠수단이 되고, 마찰패드(200)와 제2 감쇠수단(400)이 또 하나의 마찰감쇠수단이 된다. 이에, 슬릿감쇠장치의 역할을 하는 슬릿플레이트(100)와 마찰감쇠장치의 역할을 하는 마찰패드(200)와 제1 및 제2 감쇠수단(300, 400)이 결합되어 복합 감쇠장치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1 감쇠수단(300)과 제2 감쇠수단(400)이 슬릿플레이트(100)에 병렬로 장착되므로 마찰패드(200)와 제1 감쇠수단(300), 마찰패드(200)와 제2 감쇠수단(400)은 초기 큰 강성으로 인해 슬립이 발생하기 전까지 감쇠장치 용량에 해당하는 진동에 대응할 수 있고 슬립이 발생한 이후에는 슬릿플레이트(100)의 탄성 거동과 항복후 강성비를 통해 큰 지진하중에 저항할 수 있게 된다.
체결수단(500)은 제1 감쇠수단(300)과 슬릿플레이트(100), 제2 감쇠수단(400)과 슬릿플레이트(100)를 관통하여 각각 고정시키도록 다수로 구성된다. 이처럼 제1 감쇠수단(300)과 슬릿플레이트(100), 제2 감쇠수단(400)과 슬릿플레이트(1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체결수단(500)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체결체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볼트부재(510)와 너트부재(520)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볼트부재(510)는 항복 인장강도를 고려하여 마찰패드(200)에 충분한 지압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고장력을 갖는, 예를 들어 F10T(fy=900N/mm2), M20(표준 볼트구멍 직경; 22mm)의 볼트부재(51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 감쇠수단(300)과 제2 감쇠수단(400)을 이루는 각각의 판상체(310, 410) 중 소폭부(312, 412)와 슬릿플레이트(100) 사이에는 제1 와셔부재(600)가 배치된다. 제1 와셔부재(600)는 불소수지(Fluoroplastics) 코팅, 예를 들어 흔히 테플론(Teflon) 코팅이라 불리는 폴리테트라 플루로에틸린(PTFE, Polytetra fluoroethylene) 코팅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제1 감쇠수단(300)과 제2 감쇠수단(400)을 이루는 각각의 판상체(310, 410) 중 대폭부(314, 414)와 체결수단(500) 사이, 즉 판상체(310, 410)의 대폭부(314, 414) 중 제2 패드홈(314a)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에는 마찰력분산부재(700)가 접하여 배치되고, 마찰력분산부재(700)와 체결수단(500) 사이에는 제2 와셔부재(800)가 배치된다. 마찰력분산부재(700)는 체결수단(500) 중 볼트부재(510)의 볼트 머리 중심에서 마찰패드(200)의 끝부분까지 수직방향으로 일정한 각도, 예를 들어 45도의 각도를 유지할 경우 볼트부재(510)에 작용하는 조임력이 마찰패드(200)에 균등하게 분포된다고 가정하고, 수직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삽입된다. 도면에서는 2개의 마찰력분산부재(700)가 원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마찰력분산부재(700)의 두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가 적용되는 구조물 등에 따라 하나의 마찰력분산부재(700)나 셋 이상의 마찰력분산부재(700)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마찰력분산부재(700)의 형상은 삼각, 사각과 같은 다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의 마찰력분산부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 와셔부재(800)는 체결수단(500)의 볼트부재(510)에 작용하는 장력이 커질수록 볼트 머리에 의한 파고듦 현상과 회전에 의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열처리된 고하중용 와셔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가 구성됨에 따라, 제1 감쇠수단(300) 및 제2 감쇠수단(400)을 슬릿플레이트(100)에 고정시키는 체결수단은 어느 하나가 판상체(310, 410)의 대폭부(314, 414)측으로 관통, 즉 슬릿플레이트(100)의 양면에 배치되는 제2 와셔부재(800)와 마찰력분산부재(700), 판상체(310, 410)의 대폭부(314, 414), 마찰패드(200)와 함께 슬릿플레이트(100)를 관통하여 고정시키게 되고, 다른 하나가 판상체(310, 410)의 소폭부(312, 412)측으로 관통, 즉 마찬가지로 슬릿플레이트(100)의 양면에 배치되는 판상체(310, 410)의 소폭부(312, 412)와 제1 와셔부재(600)와 함께 슬릿플레이트(100)를 관통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를 실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고,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의 비선형 해석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그리고,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를 조립중인 상태를 나타낸 도이며,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가 실제로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4에서는 슬릿플레이트(100)의 연결공(140)에 체결되는 체결체(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를 구조물의 상부보(樑)와 하부보(樑)의 역할을 하는 H형강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셋팅하고, 실험장치(A)를 이용하여 복합 감쇠장치에 지진 하중을 가하는 실험을 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는 슬릿플레이트(100)에 제1 감쇠수단(300)과 제2 감쇠수단(400)이 병렬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일반적인 3선형(Tri-linear) 비선형 이력거동으로 모델링이 가능하다. 즉, 슬릿감쇠장치의 역할을 하는 슬릿플레이트(100)와 마찰감쇠장치의 역할을 하는 마찰패드(200)와 제1 감쇠수단(300), 마찰패드(200)와 제2 감쇠수단(400)의 항복강도는 병렬 연결할 경우 이론적인 수학식을 이용한 단순 합산으로 쉽게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실무구조기술자가 해석을 위한 모델링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도 5의 (a) 내지 (c)는 이론식에 의해 계산된 슬릿감쇠장치, 즉 슬릿플레이트(100)와 마찰감쇠장치, 즉 마찰패드(200)와 제1 감쇠수단(300), 마찰패드(200)와 제2 감쇠수단(400)의 이력거동과 특성이 병렬 연결되었을 경우 복합 감쇠장치의 이력거동을 도출하기 위해 Perform-3D를 이용하여 비선형 정적해석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복합 감쇠장치의 모델링은 Perform-3D의 ‘Rubber Type Seismic Isolator Element’를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도 5의 (a) 내지 (c)는 복합 감쇠장치의 이력 거동을 3선형(Tri-linear)으로 이상화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는 학교 등과 같은 대형 구조물이 아닌 소규모(5층 이내)의 주거나 상업시설, 예를 들어 도 5의 (b)에 도시된 소규모의 병원 등과 같은 구조물의 벽, 특히 외부에 접하지 아니하는 건물내부를 구획하여 막는 간막이벽(Partition Wall)에 설치되어 제작,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경제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조물의 상부 보와 하부보에 연결되어 한 층의 층간변위(Relative Storey Displacement)에 대응 가능하게 된다.
층간 변위는 지진이나 바람 등의 외란에 의해 어느 층의 바닥과 바로 위층의 바닥 사이에 생기는 수평 변위량의 차를 의미하며, 지진하중이 왔을 때 구조기술자가 파악할 수 있는 주요 지표로서, 보통 한 층을 이루는 하부 슬래브에서 상부 슬래브까지의 변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는 변위 의존형 감쇠장치로서 변위(층간변위)가 크게 발생하는 위치에 설치해야 효과가 극대화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슬릿플레이트 110: 슬릿홀
120(120'): 관통공(장공) 130: 제1 패드홈
140: 연결공 200: 마찰패드
300: 제1 감쇠수단 310, 410: 판상체
312, 412: 소폭부 314, 414: 대폭부
314a: 제2 패드홈 400: 제2 감쇠수단
500: 체결수단 510: 볼트부재
520: 너트부재 600: 제1 와셔부재
700: 마찰력분산부재 800: 제2 와셔부재
A: 실험장치

Claims (9)

  1.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슬릿홀이 나란하게 형성되는 판재 형상의 슬릿플레이트;
    상기 슬릿플레이트에 접하는 다수의 마찰패드;
    상기 슬릿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마찰패드 중 하나가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의 폭이 다르게 형성되는 한 쌍의 판상체로 이루어지는 제1 감쇠수단;
    상기 제1 감쇠수단으로부터 떨어져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슬릿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마찰패드 중 다른 하나가 배치되고,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의 폭이 다르게 형성되는 한 쌍의 판상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감쇠수단에 대해 거꾸로 뒤집힌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 감쇠수단; 및
    상기 제1 감쇠수단과 상기 슬릿플레이트, 상기 제2 감쇠수단과 상기 슬릿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각각 고정시키는 다수의 체결수단;
    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는,
    가장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길이방향 일측의 소폭부로부터 가장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길이방향 타측의 대폭부로 갈수록 폭이 점차 커지게 형성되고,
    상기 마찰패드는,
    상기 대폭부와 상기 슬릿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폭부와 상기 슬릿플레이트 사이에 제1 와셔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셔부재는 불소수지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폭부와 상기 체결수단 사이에 마찰력분산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력분산부재와 상기 체결수단 사이에 제2 와셔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 와셔부재와 상기 마찰력분산부재, 상기 대폭부, 상기 마찰패드, 상기 슬릿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체결수단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소폭부와 상기 제1 와셔부재 및 상기 슬릿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플레이트에는,
    상기 체결수단이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관통공 중 상기 소폭부에 대응되는 관통공은,
    상기 판상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
  9.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플레이트에는 제1 패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대폭부에는 상기 제1 패드홈에 대응되는 제2 패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패드홈과 상기 제2 패드홈에 상기 마찰패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
KR1020150089502A 2015-06-24 2015-06-24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 KR101670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502A KR101670177B1 (ko) 2015-06-24 2015-06-24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502A KR101670177B1 (ko) 2015-06-24 2015-06-24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0177B1 true KR101670177B1 (ko) 2016-10-28

Family

ID=57244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502A KR101670177B1 (ko) 2015-06-24 2015-06-24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01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246B1 (ko) * 2017-02-07 2017-10-31 박상태 좌굴방지보강판이 구비된 슬림형 강재댐퍼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2161201B1 (ko) * 2020-06-02 2020-09-29 이선근 복합진동 제진장치
KR102161216B1 (ko) * 2020-06-02 2020-09-29 이선근 제진장치 시공구조
KR102641721B1 (ko) * 2022-10-04 2024-02-2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변화하는 스트럿폭을 갖는 강재 슬릿댐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0175B2 (ja) * 1988-07-15 1999-07-19 三菱重工業 株式会社 構造物用エネルギー吸収装置
KR20070085327A (ko) 2004-10-19 2007-08-27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KR20110018282A (ko) * 2010-09-20 2011-02-23 김영갑 이중 철골프레임 내진보강장치
KR20120087593A (ko) 2011-01-28 2012-08-07 김현욱 멀티탭 안전 덮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0175B2 (ja) * 1988-07-15 1999-07-19 三菱重工業 株式会社 構造物用エネルギー吸収装置
KR20070085327A (ko) 2004-10-19 2007-08-27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KR20110018282A (ko) * 2010-09-20 2011-02-23 김영갑 이중 철골프레임 내진보강장치
KR20120087593A (ko) 2011-01-28 2012-08-07 김현욱 멀티탭 안전 덮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246B1 (ko) * 2017-02-07 2017-10-31 박상태 좌굴방지보강판이 구비된 슬림형 강재댐퍼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2161201B1 (ko) * 2020-06-02 2020-09-29 이선근 복합진동 제진장치
KR102161216B1 (ko) * 2020-06-02 2020-09-29 이선근 제진장치 시공구조
KR102641721B1 (ko) * 2022-10-04 2024-02-27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변화하는 스트럿폭을 갖는 강재 슬릿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rvey Jr et al. A review of rolling-type seismic isolation: Historical development and future directions
US8844205B2 (en) Compressed elastomer damper for earthquake hazard reduction
KR101670177B1 (ko) 구조물의 복합 감쇠장치
JP2011501050A (ja) 構造物の免震構造
JP6118194B2 (ja) 防音床構造
JP7160587B2 (ja) 免震構造
JP6267457B2 (ja) 構造物用3面スライド支承装置
Vilguts et al. Moment resisting frames and connections using threaded rods in beam-to column timber joints
JP5124108B2 (ja) 制震部材
KR101323587B1 (ko) 진동차단을 위한 일체형 주상복합 전이층 구조
JP2009047290A (ja) 全方向制振ダンパー
JP6531479B2 (ja) 免震構造
JP2016094989A (ja) 振動吸収装置及び建物
KR101884064B1 (ko) 복합 감쇠장치
US10041267B1 (en) Seismic damping systems and methods
JP2013147930A (ja) 制振建物
JP6832019B2 (ja) 制振構造
JP7191580B2 (ja) 免震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免震建物
JP6208782B2 (ja) 動吸振装置及び床
CN203066313U (zh) 降低冲击音的地板结构
Pathan et al. Seismic response control of asymmetric building using friction damper and shear wall
KR20150087872A (ko) 천장구조물용 방진행거 및 이를 이용하여 천장을 시공하는 방법
JP7338023B2 (ja) 減衰ダンパー
JPH0610034Y2 (ja) 防振二重床構造
JP5152908B2 (ja) 制震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