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670B1 -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670B1
KR101669670B1 KR1020150191885A KR20150191885A KR101669670B1 KR 101669670 B1 KR101669670 B1 KR 101669670B1 KR 1020150191885 A KR1020150191885 A KR 1020150191885A KR 20150191885 A KR20150191885 A KR 20150191885A KR 101669670 B1 KR101669670 B1 KR 101669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guide
plate
twisted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진복
Original Assignee
(주)마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마하 filed Critical (주)마하
Priority to KR1020150191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1/00Bending not restricted to forms of material mentioned in only one of groups B21D5/00, B21D7/00, B21D9/00; Bending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1D5/00 - B21D9/00; Twisting
    • B21D11/06Bending into helical or spiral form; Forming a succession of return bends, e.g. serpentin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8Associations of cutting devices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B21D53/027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by helically or spirally winding elongate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트위스트 테잎으로 제작하기 위한 긴 평판 형상의 소재 일단을 결속 고정하는 고정척;과, 상기 고정척과 연결되는 회전축 상에 형성되는 제1스프로킷과 구동모터의 축 상에 형성되는 제2스프로킷을 연결체인으로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으로 상기 고정척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중심이 상방으로 이격되게 고정판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프레임과 고정판 사이로 소재의 타단이 유입되게 하고, 상기 고정판 내부에 수직 관통하여 형성되는 암나사공에 체결되어 상기 암나사공을 타고 수직 승·하강하는 고정볼트를 통해서 상기 고정프레임과 고정판 사이에 위치되는 소재의 타단을 가압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도록 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길게 형성되는 LM가이드;와, 상기 LM가이드 상에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LM가이드를 타고 상기 고정프레임과 함께 상기 고정척이 위치한 전방으로 이송되거나 후방으로 이송되는 제1LM블럭;과, 상기 고정부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을 전방으로 밀거나 후방으로 당기는 이송실린더;와, 상기 고정척의 회전수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되, 상기 감지센서에서 전송하는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송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고정척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부는 소재의 길이에 적합하게 고정척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용이하게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지센서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이송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여 소재의 타단을 결속하는 고정부를 서서히 고정척이 위치된 전방으로 이송시켜 소재가 꼬이는 과정에서 소재가 항상 팽팽한 상태가 유지되게 하여 완제품인 트위시트 테잎이 일직선으로 성형되게 유도하여 완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소재가 성형되는 과정에서 적당히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므로, 종래에 작업자가 소재를 너무 강하게(팽팽하게) 고정하여 소재가 끊어져 발생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예방하여 제품의 불량발생률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할수단을 통해 길이가 다소 짧은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한 번에 다수의 완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을 대폭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Standardized twisted tape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척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부는 소재의 길이에 적합하게 고정척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용이하게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지센서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이송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여 소재의 타단을 결속하는 고정부를 서서히 고정척이 위치된 전방으로 이송시켜 소재가 꼬이는 과정에서 소재가 항상 팽팽한 상태가 유지되게 하여 완제품인 트위시트 테잎이 일직선으로 성형되게 유도하여 완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교환 장치에는 내부로 유통되는 유체(流體, fluid)의 열을 외부의 공기 중에 발산하여 열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파이프 형상의 전열관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통상의 전열관은 내부로 유체가 지날 때 액체 또는 기체인 유체가 전열관 내부 표면에 100% 이상 고르게 접촉하지 않고 빠르게 통과되어 외부 공기와의 열전달 효율이 다소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나선형으로 꼬인 트위스트 테잎을 전열관 내부에 위치시켜 전열관 내부로 유통되는 유체의 와류를 유도하여 유체가 전열관 내부 표면에 고르게 접촉될 뿐만 아니라, 전열관체 체류되는 시간을 연장하여 전열관을 통한 외부 공기와의 열전달 효율이 향상되게 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은 트위스트 테잎을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긴 판 형상의 소재 일단은 고정척에 결속 고정한 후, 소재의 타단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기기와 연결한 후에 작업자가 직접 기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소재를 나선형으로 꼬아서 트위스트 테잎으로 제작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소재를 성형하여 트위스트 테잎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임의의 회전수로 소재를 꼬아 트위시트 테잎으로 성형함으로 제품의 균일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재가 꼬여서 성형되는 과정에서 소재의 양끝단이 다소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어야만 소재가 일직선으로 성형되는데, 작업자가 소재의 타단을 직접 고정하는 방식이므로 완제품인 트위스트 테잎 부분 부분이 휘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작업자가 완제품인 트위스트 테잎이 일직선으로 성형되도록 소재의 타단을 강하게 고정하는 경우에는 연질의 소재가 중간에서 끊어져 제품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와 같이 트위스트 테잎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길이가 짧은 제품이나 길이가 긴 제품이나 한 번에 하나씩 제조되는 구조이므로, 제품의 생산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고정척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부는 소재의 길이에 적합하게 고정척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용이하게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지센서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이송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여 소재의 타단을 결속하는 고정부를 서서히 고정척이 위치된 전방으로 이송시켜 소재가 꼬이는 과정에서 소재가 항상 팽팽한 상태가 유지되게 하여 완제품인 트위시트 테잎이 일직선으로 성형되게 유도하여 완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더욱이,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소재가 성형되는 과정에서 적당히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므로, 종래에 작업자가 소재를 너무 강하게(팽팽하게) 고정하여 소재가 끊어져 발생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예방하여 제품의 불량발생률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분할수단을 통해 길이가 다소 짧은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한 번에 다수의 완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을 대폭 강화할 수 있는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는 트위스트 테잎으로 제작하기 위한 긴 평판 형상의 소재 일단을 결속 고정하는 고정척;과, 상기 고정척과 연결되는 회전축 상에 형성되는 제1스프로킷과 구동모터의 축 상에 형성되는 제2스프로킷을 연결체인으로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으로 상기 고정척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고정프레임의 상부에 중심이 상방으로 이격되게 고정판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프레임과 고정판 사이로 소재의 타단이 유입되게 하고, 상기 고정판 내부에 수직 관통하여 형성되는 암나사공에 체결되어 상기 암나사공을 타고 수직 승·하강하는 고정볼트를 통해서 상기 고정프레임과 고정판 사이에 위치되는 소재의 타단을 가압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도록 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하부에 길게 형성되는 LM가이드;와, 상기 LM가이드 상에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LM가이드를 타고 상기 고정프레임과 함께 상기 고정척이 위치한 전방으로 이송되거나 후방으로 이송되는 제1LM블럭;과, 상기 고정부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프레임을 전방으로 밀거나 후방으로 당기는 이송실린더;와, 상기 고정척의 회전수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되, 상기 감지센서에서 전송하는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송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LM가이드 상에 형성되는 제2LM블럭의 상부에 상기 이송실린더를 지지하는 이송프레임이 결합되고, 상기 이송프레임 상에 형성되는 이송모터의 축 상에 형성되는 피니언 기어가 상기 LM가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래크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이송모터의 구동력으로 상기 이송프레임과 함께 상기 이송실린더 및 상기 이송실린더와 연결되는 상기 고정부가 전·후방향으로 이송되게 하는 위치설정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평평한 판 형상의 상판과 하판으로 구분되며, 상기 하판의 일측에는 상방으로 수직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안내핀이 상기 상판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안내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상판의 승·하강을 안내하며, "ㄷ" 형상의 결속체 내부에 상기 상판과 하판의 타측을 내입하여 상기 상판과 하판의 내부를 폐쇄하는 분할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를 벌려 소재를 내입한 후에 벌어진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를 오므려 상기 상판과 하판에 소재가 밀착되게 배치한 후, 상기 결속체로 상기 상판과 하판을 물어 폐쇄하여 소재가 꼬여서 트위스트 테잎으로 성형되는 과정에서 상기 분할수단이 형성되는 소재의 부위는 꼬임이 방지되어 평평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속체의 내측면에는 탄성을 갖는 가압재가 형성되어 상기 결속체 내부에 내입되는 상기 상판과 하판이 탄성 가압되어 안정적으로 결속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에 의하면, 고정척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제어부는 소재의 길이에 적합하게 고정척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용이하게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지센서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이송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여 소재의 타단을 결속하는 고정부를 서서히 고정척이 위치된 전방으로 이송시켜 소재가 꼬이는 과정에서 소재가 항상 팽팽한 상태가 유지되게 하여 완제품인 트위시트 테잎이 일직선으로 성형되게 유도하여 완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소재가 성형되는 과정에서 적당히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므로, 종래에 작업자가 소재를 너무 강하게(팽팽하게) 고정하여 소재가 끊어져 발생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예방하여 제품의 불량발생률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할수단을 통해 길이가 다소 짧은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한 번에 다수의 완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을 대폭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의 종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의 분할수단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의 종 단면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의 분할수단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100)는 고정척(10)과, 구동부(20)와, 고정부(30)와, LM가이드(40)와, 제1LM블럭(50)과, 이송실린더(60)와, 감지센서(70)와, 제어부(8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척(10)은 트위스트 테잎(T)으로 제작하기 위한 긴 평판 형상의 소재(1) 일단을 결속 고정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척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품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20)는 상기 고정척(10)과 연결되는 회전축(21) 상에 형성되는 제1스프로킷(22)과 구동모터(23)의 축(23a) 상에 형성되는 제2스프로킷(24)을 연결체인(25)으로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23)의 회전력으로 상기 고정척(10)을 회전시키도록 한다.
즉,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20)로 인해 상기 고정척(10)이 회전되면 상기 고정척(10)에 고정되는 소재(1)가 함께 회전되면서 소재(1)가 서서히 나선형으로 꼬이게 된다.
이때, 소재(1)의 타단은 후설될 상기 고정부(30)에 의해 고정되어 소재(1)가 원활하게 꼬임은 물론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0)는 고정프레임(31)의 상부에 중심이 상방으로 이격되게 고정판(32)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프레임(31)과 고정판(32) 사이로 소재(1)의 타단이 유입되게 하고, 상기 고정판(32) 내부에 수직 관통하여 형성되는 암나사공(33)에 체결되어 상기 암나사공(33)을 타고 수직 승·하강하는 고정볼트(34)를 통해서 상기 고정프레임(31)과 고정판(32) 사이에 위치되는 소재(1)의 타단을 가압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도록 한다.
즉,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0)를 통해 소재(1)의 타단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소재(1)의 타단을 상기 고정프레임(31)과 고정판(32) 사이에 내입한 후에 상기 고정볼트(34)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고정볼트(34)가 상기 암나사공(33)을 타고 수직 하강하게 함으로, 상기 고정볼트(34)의 하부에 소재(1)가 가압되면서 견고히 고정되게 하고,
반대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0)에 고정된 소재(1) 타단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볼트(34)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고정볼트(34)가 상기 암나사공(33)을 타고 수직 승강하게 하여 상기 고정볼트(34)의 하부에 가압 고정되는 소재(1) 타단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한다.
여기서, 작업자가 상기 고정볼트(34)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볼트(34)의 상부에 손잡이(34a)를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M가이드(40)는 상기 고정부(30)의 하부에 길게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LM가이드(40)는 상기 고정부(30)의 하부 양측에 각각 길게 형성되도록 구성되나, 이러한 구조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LM블럭(50)은 상기 LM가이드(40) 상에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고정프레임(31)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LM가이드(40)를 타고 상기 고정프레임(31)과 함께 상기 고정척(10)이 위치한 전방으로 이송되거나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LM블럭(50)의 이송을 통해 상기 고정부(30)의 위치가 설정된다.
따라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척(10)과 고정부(30)에 결속되는 소재(1)가 꼬이면서 완제품인 트위스트 테잎(T)으로 제조되는 과정에서 소재(1)의 전체적인 길이가 점차 줄어드는데, 이러한 길이를 보상하여 후설될 상기 이송실린더(60)가 상기 고정부(30)를 전방으로 서서히 이송시켜 소재(1)가 끊어지지 않고 바르게 완제품으로 제작되게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실린더(60)는 상기 고정부(30)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프레임(31)을 전방으로 밀거나 후방으로 당기도록 하는 것으로, 후설될 상기 제어부(80)의 제어를 통해 작동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센서(70)는 상기 고정척(10)의 회전수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상기 제어부(80)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부(80)가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용이하게 상기 구동부(20)와 이송실린더(60)의 작동을 제어하게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구동부(20)의 작동을 제어하되, 상기 감지센서(70)에서 전송하는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송실린더(6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한다.
즉, 도 3c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감지센서(70)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소재(1)가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하면, 상기 이송실린더(60)를 작동시켜 설정된 회전수에 대응하는 만큼 설정된 길이로 상기 고정부(30)를 전진시켜 소재(1)가 꼬이면서 전체적인 길이가 줄어드는 것을 보상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부(80)에는 소재(1)의 전체적인 길이에 대한 완제품의 전체 회전수가 미리 설정되고, 소재(1) 길이에 대한 전체 회전수만큼 상기 구동부(10)가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1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 용이하게 규격화된 완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80)에는 회전수에 대응하여 상기 이송실린더(60)를 통해 상기 고정부(30)가 이송되는 길이나, 소재(1) 전체적인 길이에 따라 설정되는 전체 회전수는 프로그램을 통해 미리 설정되도록 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M가이드(40) 상에 형성되는 제2LM블럭(91)의 상부에 상기 이송실린더(60)를 지지하는 이송프레임(92)이 결합되고, 상기 이송프레임(92)에 결합되는 이송모터(93)의 축(93a) 상에 형성되는 피니언 기어(94)가 상기 LM가이드(4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래크 기어(95)와 치합되어 상기 이송모터(93)의 구동력으로 상기 이송프레임(92)과 함께 상기 이송실린더(60) 및 상기 이송실린더(60)와 연결되는 상기 고정부(30)가 전·후방향으로 이송되게 하는 위치설정부(9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모터(93)의 작동으로 상기 래크 기어(95)에 치합되는 상기 피니언 기어(94)가 회전하면 상기 이송모터(93)가 고정되는 상기 이송프레임(92)과 함께 상기 이송실린더(60)가 이송되고, 상기 이송실린더(60)와 상기 고정부(30)와 서로 연결되므로 결국, 상기 고정부(30)가 함께 이송되어 상기 위치설정부(90)의 작동을 통해 상기 고정부(30)의 위치를 간편히 설정하도록 한다.
따라서, 다양한 길이로 제작될 수 있는 소재(1)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설정부(90)를 작동시켜 소재(1)의 타단이 상기 고정부(30)에 용이하게 결속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30)의 위치를 간편히 설정하여 본 발명의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100)를 통해 다양한 길이의 트위스트 테잎(T)의 제작을 유도하여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판 형상의 상판(111)과 하판(112)으로 구분되며, 상기 하판(112)의 일측에는 상방으로 수직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안내핀(113)이 상기 상판(111)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안내구멍(114)을 관통하여 상기 상판(111)의 승·하강을 안내하며, "ㄷ" 형상의 결속체(115) 내부에 상기 상판(111)과 하판(112)의 타측을 내입하여 상기 상판(111)과 하판(112)의 내부를 폐쇄하는 분할수단(1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완제품의 대량 생산이 요구되면 완제품 길이의 2배, 3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소재(1)를 준비하는데 용이한 설명을 위해 완제품 길이의 2배 길이를 갖는 소재(1)를 준비한다.
그런 후,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1)의 끝단을 상기 고정척(10)과 고정부(30)에 결속 고정한 후에 상기 분할수단(110)의 상판(111)과 하판(112) 사이를 벌려 소재(1)의 중심 부분을 내입한 후에 벌어진 상기 상판(111)과 하판(112) 사이를 오므려 상기 상판(111)과 하판(112)에 소재(1)의 중심이 밀착되게 배치한 후, 상기 결속체(115)로 상기 상판(111)과 하판(112)을 물어 폐쇄한다.
그러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1)가 꼬여서 트위스트 테잎(T)으로 성형되는 과정에서 상기 분할수단(110)이 형성되는 소재(1)의 중심 부분은 꼬임이 방지되어 평평하게 형성되므로 간편히 소재(1)의 중심 부분을 절단하여 간편히 한 번에 2개의 완제품을 제작하도록 한다.
여기서, 간편한 설명을 위해 상기 분할수단(110)을 하나만 사용하여 한 번에 2개의 완제품을 제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소재(1)의 길이를 더 길게 형성하고 다수의 상기 분할수단(110)을 사용하여 한 번에 3개 이상의 완제품을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속체(115)의 내측면에는 탄성을 갖는 가압재(120)가 형성되어 상기 결속체(115) 내부에 내입되는 상기 상판(111)과 하판(112)이 탄성 가압되어 안정적으로 결속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100)는 고정척(10)의 회전을 감지하는 상기 감지센서(70)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부(80)는 소재(1)의 길이에 적합하게 상기 고정척(10)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용이하게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감지센서(70)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송실린더(60)의 작동을 제어하여 소재(1)의 타단을 결속하는 상기 고정부(30)를 서서히 상기 고정척(10)이 위치된 전방으로 이송시켜 소재(1)가 꼬이는 과정에서 소재(1)가 항상 팽팽한 상태가 유지되게 하여 완제품인 트위시트 테잎(T)이 일직선으로 성형되게 유도하여 완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상기 제어부(80)의 제어를 통해 소재(1)가 성형되는 과정에서 적당히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므로, 종래에 작업자가 소재를 너무 강하게(팽팽하게) 고정하여 소재(1)가 끊어져 발생하는 문제점을 미연에 예방하여 제품의 불량발생률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분할수단(110)을 통해 길이가 다소 짧은 트위스트 테잎(T)의 제조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한 번에 다수의 완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을 대폭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100)은 다음과 같이 트위스트 테잎(T)을 제작한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위스트 테잎(T)으로 제작하기 위한 소재(1)의 타단이 고정부(30)에 용이하게 결속될 수 있도록 위치설정부(90)의 작동을 통해 소재(1) 길이에 적합한 위치로 상기 고정부(30)를 이동 배치한다.
그런 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1)의 일단은 고정척(10)에 결속 고정하고, 소재(1)의 타단은 상기 고정부(30)에 결속 고정하여 소재(1)의 위치를 견고히 고정시킨다.
그런 후,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80)를 통한 구동부(20)의 작동으로 상기 고정척(10)이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척(10)에 고정된 소재(1)가 서서히 나선형으로 꼬이면 소재(1)의 전체적인 길이가 줄어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고정척(10)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감지센서(70)의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소재(1)가 설정된 회전수로 회전하면, 이송실린더(60)를 통해 상기 고정부(30)를 전방으로 전진시켜 소재(1)가 꼬이면서 전체적인 길이가 줄어드는 것을 보상한다.
그런 후,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1)의 전체적인 길이에 대해 설정된 전체 회전수만큼 상기 고정척(10)이 회전하면,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구동부(20) 및 이송실린더(60)의 작동을 중지시켜 완제품인 트위시트 테잎(T)으로 제작을 완료하며, 이렇게 제작이 완료된 완제품은 상기 고정척(10)과 고정부(30)로부터 간편히 회수하여 제작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소재(1)를 꼬아서 연속적으로 완제품인 트위스트 테잎(T)으로 간편히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소재 T. 트위스트 테잎
10. 고정척 20. 구동부
21. 회전축 22. 제1스프로킷
23. 구동모터 24. 제2스프로킷
25. 연결체인 30. 고정부
31. 고정프레임 32. 고정판
33. 암나사공 34. 고정볼트
40. LM가이드 50. 제1LM블럭
60. 이송실린더 70. 감지센서
80. 제어부 90. 위치설정부
91. 제2LM블럭 92. 이송프레임
93. 이송모터 94. 피니언 기어
95. 래크 기어 110. 분할수단
111. 상판 112. 하판
113. 안내핀 114. 안내구멍
115. 결속체 120. 가압재
100.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

Claims (4)

  1. 전열관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전열관을 통과하는 유체의 와류를 유도하는 나선형의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트위스트 테잎(T)으로 제작하기 위한 긴 평판 형상의 소재(1) 일단을 결속 고정하는 고정척(10);
    상기 고정척(10)과 연결되는 회전축(21) 상에 형성되는 제1스프로킷(22)과 구동모터(23)의 축(23a) 상에 형성되는 제2스프로킷(24)을 연결체인(25)으로 연결하여 상기 구동모터(23)의 회전력으로 상기 고정척(1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20);
    고정프레임(31)의 상부에 중심이 상방으로 이격되게 고정판(32)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프레임(31)과 고정판(32) 사이로 소재(1)의 타단이 유입되게 하고, 상기 고정판(32) 내부에 수직 관통하여 형성되는 암나사공(33)에 체결되어 상기 암나사공(33)을 타고 수직 승·하강하는 고정볼트(34)를 통해서 상기 고정프레임(31)과 고정판(32) 사이에 위치되는 소재(1)의 타단을 가압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하도록 하는 고정부(30);
    상기 고정부(30)의 하부에 길게 형성되는 LM가이드(40);
    상기 LM가이드(40) 상에 형성되며, 상부는 상기 고정프레임(31)의 하부와 결합되어 상기 LM가이드(40)를 타고 상기 고정프레임(31)과 함께 상기 고정척(10)이 위치한 전방으로 이송되거나 후방으로 이송되는 제1LM블럭(50);
    상기 고정부(30)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프레임(31)을 전방으로 밀거나 후방으로 당기는 이송실린더(60);
    상기 고정척(10)의 회전수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제어부(80)로 전송하는 감지센서(70);
    상기 구동부(20)의 작동을 제어하되, 상기 감지센서(70)에서 전송하는 측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이송실린더(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80); 및
    상기 LM가이드(40) 상에 형성되는 제2LM블럭(91)의 상부에 상기 이송실린더(60)를 지지하는 이송프레임(92)이 결합되고, 상기 이송프레임(92)에 결합되는 이송모터(93)의 축(93a) 상에 형성되는 피니언 기어(94)가 상기 LM가이드(4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래크 기어(95)와 치합되어 상기 이송모터(93)의 구동력으로 상기 이송프레임(92)과 함께 상기 이송실린더(60) 및 상기 이송실린더(60)와 연결되는 상기 고정부(30)가 전·후방향으로 이송되게 하는 위치설정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평평한 판 형상의 상판(111)과 하판(112)으로 구분되며, 상기 하판(112)의 일측에는 상방으로 수직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안내핀(113)이 상기 상판(111)의 일측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안내구멍(114)을 관통하여 상기 상판(111)의 승·하강을 안내하며, "ㄷ" 형상의 결속체(115) 내부에 상기 상판(111)과 하판(112)의 타측을 내입하여 상기 상판(111)과 하판(112)의 내부를 폐쇄하는 분할수단(1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상판(111)과 하판(112) 사이를 벌려 소재(1)를 내입한 후에 벌어진 상기 상판(111)과 하판(112) 사이를 오므려 상기 상판(111)과 하판(112)에 소재(1)가 밀착되게 배치한 후, 상기 결속체(115)로 상기 상판(111)과 하판(112)을 물어 폐쇄하여 소재(1)가 꼬여서 트위스트 테잎(T)으로 성형되는 과정에서 상기 분할수단(110)이 형성되는 소재(1)의 부위는 꼬임이 방지되어 평평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체(115)의 내측면에는 탄성을 갖는 가압재(120)가 형성되어 상기 결속체(115) 내부에 내입되는 상기 상판(111)과 하판(112)이 탄성 가압되어 안정적으로 결속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
KR1020150191885A 2015-12-31 2015-12-31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 KR101669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885A KR101669670B1 (ko) 2015-12-31 2015-12-31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1885A KR101669670B1 (ko) 2015-12-31 2015-12-31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670B1 true KR101669670B1 (ko) 2016-10-27

Family

ID=5724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1885A KR101669670B1 (ko) 2015-12-31 2015-12-31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6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495B1 (ko) * 2017-01-13 2018-11-02 주식회사 한국에이프런체인공업 스파이럴 블레이드 제조장치
KR102243056B1 (ko) * 2021-02-19 2021-04-21 이승열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터뷸레이터 제조용 지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104A (ko) * 2000-11-08 2001-02-05 안균호 나선형 동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247379Y1 (ko) * 2001-06-13 2001-10-17 황석중 열교환파이프 제조장치
KR100734891B1 (ko) * 2007-04-05 2007-07-03 주식회사 무진네오테크 지중앵커 겸 록볼트용 스파이럴 선재의 제조장치
KR101050180B1 (ko) * 2010-11-05 2011-07-19 정미옥 스파이럴 선재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104A (ko) * 2000-11-08 2001-02-05 안균호 나선형 동파이프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200247379Y1 (ko) * 2001-06-13 2001-10-17 황석중 열교환파이프 제조장치
KR100734891B1 (ko) * 2007-04-05 2007-07-03 주식회사 무진네오테크 지중앵커 겸 록볼트용 스파이럴 선재의 제조장치
KR101050180B1 (ko) * 2010-11-05 2011-07-19 정미옥 스파이럴 선재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495B1 (ko) * 2017-01-13 2018-11-02 주식회사 한국에이프런체인공업 스파이럴 블레이드 제조장치
KR102243056B1 (ko) * 2021-02-19 2021-04-21 이승열 열교환기에 사용되는 터뷸레이터 제조용 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916748U (zh) 一种接驳机
CN106734764B (zh) 太阳能电池焊丝切割装置
KR101669670B1 (ko) 규격화된 트위스트 테잎의 제조장치
CN206543847U (zh) 太阳能电池焊丝切割装置
KR20130081546A (ko) 알루미늄 튜브 절단장치
CN104973450A (zh) Pp绳缠绕机
CN206365524U (zh) 一种全自动穿绳扣打结设备
CN208178121U (zh) 直线型风管生产线
CN203356458U (zh) 一种弯管成型检测一体机
CN109502325A (zh) 一种自动送料机
CN104552912B (zh) 一种双壁管封帽设备的夹紧送料机构
JPS58134827A (ja) 梱包紐かけ装置
KR20150124845A (ko) 포장용 끈의 금속팁 체결장치
CN103394607A (zh) 一种弯管成型检测一体机
CN110834117B (zh) 一种基于连续性的管件切割加工码料机械
KR101917373B1 (ko) 열교환기용 핀의 제조 장치
CN209382966U (zh) 一种自动送料机
CN105097257B (zh) 变压器绝缘油道自动化生产线
KR20140045037A (ko) 엘보 성형장치
WO2015097763A1 (ja) 補強フィルム接着装置
CN112429347B (zh) 绕管下料机构
KR20120007654A (ko) 핀 자동 조립장치
CN106687284A (zh) 从两层塑料膜制作袋的设备,操作设备的方法以及袋
CN205146906U (zh) 一种拉直机
CN208548268U (zh) 小芯子堵孔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