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371B1 - 방사능 차폐를 위한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방사능 차폐를 위한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371B1
KR101669371B1 KR1020150166711A KR20150166711A KR101669371B1 KR 101669371 B1 KR101669371 B1 KR 101669371B1 KR 1020150166711 A KR1020150166711 A KR 1020150166711A KR 20150166711 A KR20150166711 A KR 20150166711A KR 101669371 B1 KR101669371 B1 KR 101669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imator
radiation
pipe
shielding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진
김형식
서영범
심명진
김세재
Original Assignee
금성지티씨 주식회사
한국가스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지티씨 주식회사, 한국가스공사 filed Critical 금성지티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6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3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26Pigs or moles, i.e. devices movable in a pipe or conduit with or without self-contained propulsion mea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1/00Shield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s
    • G21F1/02Selection of uniform shielding materials
    • G21F1/08Metals; Alloys; Cermets, i.e. sintered mixtures of ceramics and metals
    • G21F1/085Heavy metals or alloy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KTECHNIQUE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IRRADIATION DEVICES; GAMMA RAY OR X-RAY MICROSCOPES
    • G21K1/00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 G21K1/02Arrangement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e.g. focusing or moderating using diaphragms, collimato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KTECHNIQUES FOR HANDLING PARTICLES OR IONISING RADI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IRRADIATION DEVICES; GAMMA RAY OR X-RAY MICROSCOPES
    • G21K5/00Irradiation devices
    • G21K5/02Irradiation devices having no beam-form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30Inspecting, measuring or 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24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steel, cast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28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tubes, pi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46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flaws, de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내부로 진입하여 배관의 용접부 등을 검사할 수 있는 방사능 차폐를 위한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비파괴 검사 장치는, 부품들이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되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후방 좌측 바퀴 및 후방 우측 바퀴; 상기 본체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전방 좌측 바퀴 및 전방 우측 바퀴; 방사선원이 내장된 방사선 캡슐; 상기 방사선 캡슐을 차폐상태로 보관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와 연결되어 상기 방사선 캡슐을 이송하기 위한 전송관; 상기 전송관의 전방 단부와 연결되는 콜리미터; 상기 전송관을 통해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콜리미터 사이에서 상기 방사선 캡슐을 이송하기 위한 방사선원 이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좌측 바퀴 또는 상기 전방 우측 바퀴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상기 회전 플레이트는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회전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전방 좌측 바퀴 및 전방 우측 바퀴가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굴곡 있는 배관에서도 자연스럽게 중심을 맞출 수 있고, 콜리미터의 양측에 배치되는 보조 차폐판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방사능 차폐를 위한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사능 차폐를 위한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movable in pipes for shielding radioactivity}
본 발명은 배관 내부로 진입하여 배관의 용접부 등을 검사할 수 있는 방사능 차폐를 위한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를 운송하는 배관이나 선박 등의 용접에 있어서 용접부의 검사에 비파괴 검사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파괴 검사는 통상 방사선을 이용하여 용접부의 결함 유무를 검사한다.
방사선을 이용한 비파괴 검사란 방사성 물질에서 나오는 X선이나 감마선 등의 방사선을 검사하고자 하는 용접부나 구조물에 투과시키고 투과된 방사선으로부터 필름이나 CRT 등에 그 상을 재생하여 피검사물의 내부결함을 검사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비파괴 검사를 위한 방사선 조사 장치는 이리듐 등의 방사선동위원소를 내장한 캡슐이 일단에 구비되고 타단에는 커넥터가 구비된 방사선원부와, 이러한 방사선원부를 차폐상태로 내부에 보관하는 컨테이너와, 방사선원부의 커넥터에 연결되어 방사선원부를 이동시키는 케이블조작부와, 컨테이너부에 연결되어 검사위치까지 방사선원부를 안내하는 전송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비파괴검사에 이용되는 방사선 조사 장치는 배관용접부의 검사에 있어서 큰 관체의 경우 작업자가 직접 가지고 들어가서 설치하지만 이 경우 배관 내의 공기 희박으로 인해 질식사의 우려가 높다.
또한, 배관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가지고 들어갈 수 없으므로 적당한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정확한 검사를 위해서는 방사선원부가 내장되는 콜리미터가 배관의 중심에 위치하면서 배관의 용접부 라인에 정확히 위치되도록 해야 하지만, 콜리미터가 정위치되도록 방사선 조사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종래에 배관 내부로 이송될 수 있는 방사선 조사 장치는 직선으로 주행하는 기능만 갖추었을 뿐, 굴곡 있는 배관에서 자연스럽게 중심을 유지하면서 이송되기 어려워 배관의 내벽에 부딪히거나 전복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방사선 조사 장치의 콜리미터가 배관의 용접부 라인에 위치되면, 방사선원이 콜리미터로 이송되어 방사선이 조사된다. 이때, 배관의 외부에는 작업자의 피폭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차폐제가 부착되는데, 콜리미터로부터 조사되는 방사선이 외부 차폐제를 벗어나는 경우 배관 주위의 작업자의 안전이 위협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20-2007-000617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굴곡 있는 배관에서도 자연스럽게 중심을 맞출 수 있고 콜리미터를 용접부 라인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으며, 배관 외부 작업자의 방사선 노출을 최소로 할 수 있는 방사능 차폐를 위한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내부로 이송 가능한 비파괴 검사 장치는, 부품들이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되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후방 좌측 바퀴 및 후방 우측 바퀴; 상기 본체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의 외부로 돌출되는 전방 좌측 바퀴 및 전방 우측 바퀴; 방사선원이 내장된 방사선 캡슐; 상기 방사선 캡슐을 차폐상태로 보관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와 연결되어 상기 방사선 캡슐을 이송하기 위한 전송관; 상기 전송관의 전방 단부와 연결되는 콜리미터; 상기 전송관을 통해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콜리미터 사이에서 상기 방사선 캡슐을 이송하기 위한 방사선원 이송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콜리미터의 외경에 끼워지는 수직벽 형태로 되어 상기 콜리미터의 일측을 차폐하기 위한 제1 보조 차폐판; 상기 콜리미터의 외경에 끼워지는 수직벽 형태로 되어 상기 콜리미터의 타측을 차폐하기 위한 제2 보조 차폐판; 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보조 차폐판 및 상기 제2 보조 차폐판은 각각 소정 길이만큼 수직으로 연장되다가 외측으로 경사지는 형태의 보조 커버와, 상기 보조 커버의 내측에 삽입되는 납 차폐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로 이송 가능한 비파괴 검사 장치는, 부품들이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후방에 위치되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후방 좌측 바퀴 및 후방 우측 바퀴; 상기 본체의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 좌측 바퀴 및 전방 우측 바퀴; 방사선원이 내장된 방사선 캡슐; 상기 방사선 캡슐을 차폐상태로 보관하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너와 연결되어 상기 방사선 캡슐을 이송하기 위한 전송관; 상기 전송관의 전방 단부와 연결되는 콜리미터; 상기 전송관을 통해 상기 컨테이너와 상기 콜리미터 사이에서 상기 방사선 캡슐을 이송하기 위한 방사선원 이송부; 상기 콜리미터의 외경에 끼워지는 수직벽 형태로 되어 상기 콜리미터의 일측을 차폐하기 위한 제1 보조 차폐판; 상기 콜리미터의 외경에 끼워지는 수직벽 형태로 되어 상기 콜리미터의 타측을 차폐하기 위한 제2 보조 차폐판;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전방 좌측 바퀴 및 전방 우측 바퀴가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굴곡 있는 배관에서도 자연스럽게 중심을 맞출 수 있고 카메라에 의해 제공되는 영상에 따라 콜리미터를 용접부 라인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으며, 콜리미터의 양측에 배치되는 보조 차폐판에 의해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방사능 차폐를 위한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에서 회전 플레이트 등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가 배관 내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에서 카메라에 의해 전송되는 영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에서 콜리미터 부분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보조 차폐판을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보조 차폐판의 내부를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일반적인 콜리미터에서 방사선의 이상적인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b는 배관 내에 있는 종래의 콜리미터에서 실제 방사선의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에서 방사선의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에서 회전 플레이트 등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가 배관 내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에서 카메라에 의해 전송되는 영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이하, 배관 내부 이송장치)(100)는 배관 내를 이동하면서 배관의 용접부 등을 방사선을 이용하여 검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배관 내부 이송장치(100)는 무선 통신 기술에 의해 노트북(101) 등과 같은 제어수단에 의해 무선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배관 내부 이송장치(100)는 본체(110), 후방 좌측 바퀴(121) 및 후방 우측 바퀴(122), 회전 플레이트(130), 전방 좌측 바퀴(141) 및 전방 우측 바퀴(142), 방사선 캡슐(151), 컨테이너(150), 전송관(155), 콜리미터(160), 방사선원 이송부(181, 183, 184), 카메라(170) 등을 포함한다.
본체(110)에는 각종 부품들이 장착된다. 본체(110)는 배관(10) 내를 이동할 수 있도록 납작한 형태로 될 수 있다.
후방 좌측 바퀴(121) 및 후방 우측 바퀴(122)는 본체(110)의 후방에 위치되어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후방 좌측 바퀴(121) 및 후방 우측 바퀴(122)는 별개의 구동 모터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구동 수단에 의해 후방 좌측 바퀴(121) 및 후방 우측 바퀴(122)가 구동되면, 본체(110)는 배관(10) 내에서 진행하게 된다.
방사선 캡슐(151)에는 이리듐-192 등의 방사성원소로 된 방사선원이 내장된다. 방사선원은 배관의 용접부 등의 결함을 조사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방사선 캡슐(151)은 방사선원의 조사가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컨테이너(150)로 이송되어 차폐상태로 안전하게 보관된다.
전송관(155)은 방사선 캡슐(151)을 이송할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전송관(155)은 컨테이너(150) 및 콜리미터(160)와 연결된다.
콜리미터(160)는 전송관(155)의 전방 단부와 연결된다. 콜리미터(160)는 특정한 방향으로만 방사선이 방출될 수 있도록 방사선의 조사 방향을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콜리미터(160)는 납(Pb), 텅스텐(W) 등과 같이 방사선을 양호하게 차단할 수 있는 물질로 제조된다.
방사선원 이송부는 전송관(155)을 통해 방사선 캡슐(151)을 컨테이너(150)와 콜리미터(160) 사이에서 이송한다. 방사선원 이송부는 방사선 캡슐(151)과 연결되고 나선이 형성된 피그테일(181), 이러한 피그테일(181)과 기어 형태로 결합되는 전동기어(도시안됨), 전동기어를 구동하는 모터(184), 감속기(18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184)의 구동력은 전동기어 및 피그테일(181)로 전달되고, 그에 따라 피그테일(181)과 연결된 방사선 캡슐(151)이 컨테이너(150)와 콜리미터(160) 사이에서 이송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회전 플레이트(130)는 본체(110)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좌우방향은 본체(110)가 진행되는 방향에서 좌측 및 우측 방향을 말한다. 회전 플레이트(130)는 연결부(131)를 통해 본체(110)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전방 좌측 바퀴(141) 및 전방 우측 바퀴(142)는 회전 플레이트(130)에 결합되어 본체(1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전방 좌측 바퀴(141)는 예를 들어, 2개로 구성되어, 바퀴 체결부(143)에 함께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바퀴 체결부(143)에는 회전 플레이트(130)와 연결되는 연결 로드(145, 146)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로드(145, 146)는 체결부재(134)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로드(145, 146)는 체결부재(134)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연결 로드(145, 146)가 회전함에 따라 전방 좌측 바퀴(141)는 좌우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전방 우측 바퀴(142)도 전방 좌측 바퀴(141)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전방 우측 바퀴(142)는 2개로 구성되어, 바퀴 체결부(144)에 함께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바퀴 체결부(144)에는 회전 플레이트(130)와 연결되는 연결 로드(147, 148)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로드(147, 148)는 체결부재(135)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로드(147, 148)는 체결부재(135)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연결 로드(147, 148)가 회전함에 따라 전방 우측 바퀴(142)는 좌우방향으로 위치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회전 플레이트(130)의 좌측 부분에는 연결 로드(145)와 체결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체결구(132)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 로드(145)에는 이러한 체결구(132)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재가 삽입되는 개구(145a)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구(132)와 개구(145a)를 정합한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회전 플레이트(130)와 연결 로드(145)를 체결하면, 전방 좌측 바퀴(141)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회전 플레이트(130)의 우측 부분에도 연결 로드(147)와 체결되기 위한 복수의 체결구(133)가 형성될 수 있고, 연결 로드(147)에는 체결구(133)와 체결되기 위한 개구(147a)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구(133)와 개구(147a) 사이로 체결부재를 삽입하여 회전 플레이트(130)와 연결 로드(147)를 체결하면, 전방 우측 바퀴(142)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연결 로드(145, 147)가 체결되는 체결구(132, 133)의 위치에 따라 전방 좌측 바퀴(141) 및 전방 우측 바퀴(142)가 본체(110) 외부로 벌어지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관(10)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전방 좌측 바퀴(141) 및 전방 우측 바퀴(142)가 본체(110)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연결 로드(145, 147)가 체결구(132, 133)와 적절히 체결되어 고정된다. 배관(10)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전방 좌측 바퀴(141) 및 전방 우측 바퀴(142)가 본체(110)로부터 멀어지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용접부 등을 검사하고자 하는 배관(10)의 종류에 따라, 연결 로드(145, 147)가 체결되는 체결구(132, 133)의 수나 체결구(132, 133)들 사이의 이격거리는 조절될 수 있다.
배관 내부 이송장치(100)가 이동되는 배관(10)은 직선관 뿐만 아니라 라운드진 형태로 굴곡된 배관(10)도 있다. 이러한 배관(10)에서 배관 내부 이송장치(100)가 이동할 때, 배관 내부 이송장치(100)가 배관(10)의 벽에 부딪히거나 전복되는 등의 문제가 종종 발생된다.
본 발명에서는 배관 내부 이송장치(100)가 배관(10) 내에서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방 좌측 바퀴(141) 및 전방 우측 바퀴(142)가 고정되는 회전 플레이트(13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배관 내부 이송장치(100)가 배관(10)을 진행할 때는, 전방 좌측 바퀴(141) 및 전방 우측 바퀴(142) 중 어느 한쪽의 바퀴만이 배관(10)과 접촉되고 다른 쪽 바퀴는 비접촉 상태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방 좌측 바퀴(141)가 곡선 형태의 배관(10)과 접촉되어 진행할 때, 배관 내부 이송장치(100)가 진행함에 따라, 전방 좌측 바퀴(141)에는 배관(10)의 내벽으로부터 수직항력이 작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방 좌측 바퀴(141)가 고정되는 회전 플레이트(130)가 수직항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 플레이트(130)의 회전에 따라, 전방 좌측 바퀴(141)는 배관(10) 내에서 위치가 조절되고, 이러한 위치의 조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 내부 이송장치(100)의 바퀴들이 모두 배관(10)의 내벽과 접촉되도록 하면서, 배관 내부 이송장치(100)가 배관(10) 내에서 중심을 찾아가는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배관 내부 이송장치(100)는 배관(10) 내에서 진행할 때 전방 좌측 바퀴(141) 또는 전방 우측 바퀴(142)에 작용하는 힘(수직항력)에 의해 회전 플레이트(13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배관 내부 이송장치(100)가 배관(10) 내에서 용이하게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콜리미터(160)의 후방에는 카메라(170)가 위치되어, 콜리미터(160)의 정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방사선원에 의해 배관(10) 내의 용접부 등을 검사할 때, 방사선원이 위치되는 콜리미터(160)는 정확하게 용접부의 라인과 일치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배관 내부 이송장치(100)가 배관(10) 내에 진입하기 전에, 카메라(170)가 지향하는 위치가 콜리미터(160)의 직하방의 용접부 라인이 되도록 조정하게 된다. 그 다음, 배관 내부 이송장치(100)가 배관(10) 내에서 이송될 때, 카메라(170)로부터 무선으로 제공되는 영상에 따라 콜리미터(160)가 용접부 라인에 정확하게 위치되었는지를 확인한 다음, 방사선원에 의한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7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 형태의 라인이 표시되고, 이러한 십자 라인이 배관(10) 내의 용접부 라인과 일치할 때, 콜리미터(160)가 정위치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체(110)의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카메라(170)가 거치되는 거치 바아(190)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 바아(190)는 조절나사(191)를 돌려 전후방으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카메라(170)는 카메라 거치대(171)에 의해 거치 바아(190)에 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거치대(171)에 있는 조절나사(172)를 돌리면, 거치 바아(190)에서 카메라 거치대(171)의 위치를 옮겨 카메라(170)의 위치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카메라 거치대(171)에서 카메라(170)는 상하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카메라(170)가 지향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거치 바아(190)의 단부에는 콜리미터(160)가 거치되는 콜리미터 거치대(195)가 연결될 수 있다. 콜리미터(160)는 콜리미터 거치대(195)와 결합되는 조절나사(196)를 돌려 상하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부 등을 검사할 때 콜리미터(160)는 배관(10) 내의 중심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콜리미터(160)의 후방에 위치되는 카메라(170)에 의해 제공되는 영상에 따라, 작업자는 배관 내부 이송장치(100)를 배관(10) 내에서 이송하면서 콜리미터(160)를 용접부 바로 위에 정확히 위치시킨 후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배관(10) 내의 용접부 등을 검사할 때, 검사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 이송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내부 이송장치에서 콜리미터 부분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보조 차폐판을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서 보조 차폐판의 내부를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일반적인 콜리미터에서 방사선의 이상적인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b는 배관 내에 있는 종래의 콜리미터에서 실제 방사선의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에서 방사선의 경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도 10a를 참조하면, 콜리미터(160)의 내부에는 방사선원(30)이 배치된다. 이러한 방사선원(30)은 배관(10) 내에서 대략 40°의 각도를 이루면서 배관(10)을 향해 조사된다. 배관(10)의 외부에는 작업자들이 작업을 하는데, 방사선원(30)으로부터 조사되는 방사선으로부터 작업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배관(10)의 외부에는 납으로 된 외부 차폐제(20)가 부착된다.
도 10a는 방사선원(30)이 하나의 점으로 콜리미터(160) 내에서 정중앙에 이상적으로 위치되어 정확하게 40°의 각도로 조사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그러나, 실제로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선원(30)은 점이 아니고, 또한 방사선원(30)이 콜리미터(160)의 정중앙에서 어느 정도 이격되어 위치된다.
이 경우, 방사선원(30)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은 콜리미터(160)의 내벽(161)에 부딪히면서 난반사가 일어나게 된다. 그에 따라, 방사선원(30)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은 40°보다 큰 각도로 벌어지면서 배관(10) 외부의 외부 차폐제(20)가 없는 부분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배관(10) 외부의 외부 차폐제(20)가 없는 곳으로 전달된 방사선은 어떤 형태로든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가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배관 내부 이송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배관 내부 이송장치(10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면서, 콜리미터(160)의 외경에 끼워지는 제1 보조 차폐판(166)과 제2 보조 차폐판(167)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1 보조 차폐판(166)은 콜리미터(160)의 외경에 끼워지는 수직벽 형태로 되어 콜리미터(160)의 일측을 차폐한다. 또한, 제2 보조 차폐판(167)은 콜리미터(160)의 외경에 끼워지는 수직벽 형태로 되어 콜리미터(160)의 타측을 차폐한다. 제1 보조 차폐판(166)과 제2 보조 차폐판(167)은 콜리미터(160)를 통해 방출되는 방사선이 배관(10) 외부의 외부 차폐제(20)를 벗어나 조사되는 것을 최소로 하여, 배관(10) 외부의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1 보조 차폐판(166)과 제2 보조 차폐판(167)은 각각 소정 길이만큼 수직으로 연장되다가 외측으로 경사지는 형태의 보조 커버(166d, 167d)를 포함한다. 보조 커버(166d, 167d)는 원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보조 커버(166d, 167d)의 수직 부분은 방사선원(30)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이 소정 각도 범위 내로 들어올 수 있도록 하면서, 수직 부분과 연속되는 경사면은 수직 부분에 의해 방사선원(30)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의 조사 범위가 과도하게 좁아지지 않도록 한다.
보조 커버(166d, 167d)의 내측에는 방사선을 차폐하기 위한 납 차폐제(166a, 166b, 166c; 167a, 167b, 167c)가 삽입된다.
납 차폐제(166a, 166b, 166c; 167a, 167b, 167c)는 제1 납 차폐제(166a, 167a), 제2 납 차폐제(166b, 167b), 제3 납 차폐제(166c, 167c)의 3개로 구성되면서, 각각의 납 차폐제(166a, 166b, 166c; 167a, 167b, 167c)는 가운데에 개구가 형성된 원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납 차폐제(166a, 167a)는 보조 커버(116d, 167d)의 가장 내측에 삽입되는 원판 형태를 갖고, 제2 납 차폐제(166b, 167b)는 제1 납 차폐제(166a, 167a)의 다음에 삽입되면서 제1 납 차폐제(166a, 167a)보다 지름이 큰 형태가 될 수 있다. 제3 납 차폐제(166c, 167c)는 제2 납 차폐제(166b, 167b)의 다음에 삽입되면서 제2 납 차폐제(166b, 167b)보다 지름이 큰 형태가 될 수 있다.
제1 납 차폐제(166a, 167a)에서 제3 납 차폐제(166c, 167c)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면서, 각각의 납 차폐제에 형성된 개구의 크기도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 납 차폐제(166a, 167a), 제2 납 차폐제(166b, 167b), 제3 납 차폐제(166c, 167c)로 갈수록 지름이 커지면서 바깥쪽 라인이 경사지는 형태를 갖게 하고, 방사선의 차폐에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중간 부분에는 개구를 형성하여 전체 무게를 줄이면서 재료를 절감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0c를 참조하면, 방사선원(30)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은 콜리미터(160)의 내벽(161)에서 반사된 후, 다시 제1 보조 차폐판(166) 및 제2 보조 차폐판(167)의 수직 부분 또는 경사진 부분에 반사되어 배관(10) 외부의 외부 차폐제(20)가 있는 범위 내로 들어올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방사선이 배관(10) 내부의 용접부로 충분히 조사되어 용접부의 결함을 조사할 수 있으면서 외부 차폐제(20)를 벗어나서 배관(10) 외부로 조사되는 방사선의 양을 최소로 하여 배관(10) 외부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 : 배관
100 : 비파괴 검사 장치
101 : 노트북
110 : 본체
121 : 후방 좌측 바퀴
122 : 후방 우측 바퀴
130 : 회전 플레이트
141 : 전방 좌측 바퀴
142 : 전방 우측 바퀴
150 : 컨테이너
155 : 전송관
160 : 콜리미터
166 : 제1 보조 차폐판
166a : 제1 납 차폐제
166b : 제2 납 차폐제
166c : 제3 납 차폐제
166d : 보조 커버
167 : 제2 보조 차폐판
167a : 제1 납 차폐제
167b : 제2 납 차폐제
167c : 제3 납 차폐제
167d : 보조 커버
170 : 카메라
181 : 피그테일
183 : 감속기
184 : 모터
190 : 거치 바아
195 : 콜리미터 거치대

Claims (3)

  1. 부품들이 장착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의 후방에 위치되어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후방 좌측 바퀴(121) 및 후방 우측 바퀴(122);
    상기 본체(110)의 전방에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플레이트(130);
    상기 회전 플레이트(130)에 연결 로드를 통해 고정되어 상기 본체(110)의 외부로 돌출되는 전방 좌측 바퀴(141) 및 전방 우측 바퀴(142);
    방사선원이 내장된 방사선 캡슐(151);
    상기 방사선 캡슐(151)을 차폐상태로 보관하는 컨테이너(150);
    상기 컨테이너(150)와 연결되어 상기 방사선 캡슐(151)을 이송하기 위한 전송관(155);
    상기 전송관(155)의 전방 단부와 연결되는 콜리미터(160);
    상기 전송관(155)을 통해 상기 컨테이너(150)와 상기 콜리미터(160) 사이에서 상기 방사선 캡슐(151)을 이송하기 위한 방사선원 이송부;
    상기 콜리미터(160)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콜리미터(160)의 정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영상을 제공하는 카메라(170);
    상기 본체(110)의 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카메라(170)가 거치되는 거치 바아(190);
    상기 거치 바아(190)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콜리미터(160)가 거치되는 콜리미터 거치대(195);
    상기 콜리미터(160)의 외경에 끼워지는 수직벽 형태로 되어 상기 콜리미터(160)의 일측을 차폐하기 위한 제1 보조 차폐판(166);
    상기 콜리미터(160)의 외경에 끼워지는 수직벽 형태로 되어 상기 콜리미터(160)의 타측을 차폐하기 위한 제2 보조 차폐판(167);
    을 포함하고,
    상기 전방 좌측 바퀴(141) 또는 상기 전방 우측 바퀴(142)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상기 회전 플레이트(130)는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카메라(170)는 상기 거치 바아(190)에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콜리미터(160)는 상기 콜리미터 거치대(195)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제1 보조 차폐판(166) 및 상기 제2 보조 차폐판(167)은 각각 소정 길이만큼 수직으로 연장되다가 외측으로 경사지는 형태의 보조 커버(166d, 167d)와, 상기 보조 커버(166d, 167d)의 내측에 삽입되는 납 차폐제를 포함하고,
    상기 납 차폐제는 상기 보조 커버(166d, 167d)의 가장 내측에 삽입되고 가운데에 개구가 형성된 원판 형태를 갖는 제1 납 차폐제(166a, 167a)와, 상기 제1 납 차폐제(166a, 167a)의 다음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 납 차폐제(166a, 167a)보다 지름이 크고 가운데에 개구가 형성된 원판 형태를 갖는 제2 납 차폐제(166b, 167b)와, 상기 제2 납 차폐제(166b, 167b)의 다음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2 납 차폐제(166b, 167b)보다 지름이 크고 가운데에 개구가 형성된 원판 형태를 갖는 제3 납 차폐제(166c, 167c)를 포함하는 방사능 차폐를 위한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50166711A 2015-11-26 2015-11-26 방사능 차폐를 위한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 KR101669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711A KR101669371B1 (ko) 2015-11-26 2015-11-26 방사능 차폐를 위한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711A KR101669371B1 (ko) 2015-11-26 2015-11-26 방사능 차폐를 위한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044 Division 2015-06-0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803A Division KR20160143601A (ko) 2016-10-19 2016-10-19 방사능 차폐를 위한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9371B1 true KR101669371B1 (ko) 2016-10-25

Family

ID=57446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711A KR101669371B1 (ko) 2015-11-26 2015-11-26 방사능 차폐를 위한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3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219Y1 (ko) 2001-10-29 2002-02-04 한국전력공사 용접부 비파괴 검사장치
KR200396920Y1 (ko) * 2005-06-27 2005-09-29 케이비이엔지주식회사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
KR200476377Y1 (ko) * 2014-12-30 2015-02-25 서울검사 주식회사 방사선 차폐기능을 갖는 방사선원 전송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219Y1 (ko) 2001-10-29 2002-02-04 한국전력공사 용접부 비파괴 검사장치
KR200396920Y1 (ko) * 2005-06-27 2005-09-29 케이비이엔지주식회사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
KR200476377Y1 (ko) * 2014-12-30 2015-02-25 서울검사 주식회사 방사선 차폐기능을 갖는 방사선원 전송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256B1 (ko) 배관 내부로 이송 가능한 비파괴 검사 장치
KR100997320B1 (ko) 배관 방사선 촬영을 위한 방사성동위원소 센터링장치
CA2776000C (en) X-ray inspection apparatus for pipeline girth weld inspection
KR101242731B1 (ko) 방사선 차폐판이 구비된 방사선원 전송관
CN108140437B (zh) 配管的放射线屏蔽装置
US20020162828A1 (en) Automated brachytherapy seed production system
KR20160143601A (ko) 방사능 차폐를 위한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
CN106772527B (zh) 固定式环境γ辐射剂量率监测仪现场校准装置及校准方法
JP6486142B2 (ja) 胴本体の回転位置決め装置及び方法
KR101669371B1 (ko) 방사능 차폐를 위한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
KR101559298B1 (ko) 비상 상황에서 방사능 소스 회수가 가능한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
CN104155318A (zh) 车载x射线管道实时成像检测系统
KR20180041934A (ko)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
KR20190128335A (ko) 배관 비파괴 검사장치 및 방법
JP2016159303A (ja) 胴本体に対するフィンの組立装置及び方法
KR101661908B1 (ko)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KR20180039843A (ko) 방사선 투과검사를 통한 비파괴 검사장치
KR20180042965A (ko) 이동식 방사선 검사 장치
PT1724144E (pt) Método e equipamento para soldar o tubo de enchimento de um depósito de combustível de um veículo a motor
KR101674667B1 (ko) 이동성이 향상된 비파괴 검사용 방사성 동위원소 방사선 노출 제한 장치
CN108414540B (zh) 一种百万千瓦级核电站boss焊缝的缺陷定位方法
KR101674669B1 (ko) 이동성이 향상된 비파괴 검사용 방사성 동위원소 방사선 노출 제한 장치
JP2875420B2 (ja) 放射線照射装置
KR200471151Y1 (ko) 방사선투과검사용 콜리메타
KR101674666B1 (ko) 이동성이 향상된 비파괴 검사용 방사성 동위원소 방사선 노출 제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