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934A -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934A
KR20180041934A KR1020160134340A KR20160134340A KR20180041934A KR 20180041934 A KR20180041934 A KR 20180041934A KR 1020160134340 A KR1020160134340 A KR 1020160134340A KR 20160134340 A KR20160134340 A KR 20160134340A KR 20180041934 A KR20180041934 A KR 20180041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ielding
base
radia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욱
Original Assignee
세계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계아이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계아이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4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1934A/ko
Publication of KR20180041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10Safety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6/107Protection against radiation, e.g. shiel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사대상의 배관 외측에 삽입 설치하는 링 구조의 베이스프레임, 배관 외측 둘레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베이스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내부에는 차폐물질을 구비하는 차폐프레임, 배관 외측과 차폐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도록 차폐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필름을 구비하는 카세트프레임, 차폐프레임에 대향 배치되도록 베이스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필름 방향으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원을 구비하는 방사선조사부를 포함하는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는, 베이스프레임을 검사대상의 배관 외측에 삽입 설치한 후, 촬영하고자 하는 위치로 차폐프레임을 베이스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고, 방사선조사부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이 배관을 투과하면서 차폐프레임 방향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차폐프레임에 설치된 카세트프레임 내 필름에 배관의 영상이 촬영됨으로써, 방사선이 필름의 범위로만 조사되도록 함과 더불어 안정적인 차폐를 가능하게 하며, 촬영하고자 하는 부분에 대한 위치 변경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Radiation shielding devices for pipe inspection}
본 발명은 배관의 용접부위나 결함 가능성이 있는 부위에 방사선을 투과하여 검사시, 방사선을 차폐하면서 검사할 수 있게 하는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배관의 용접부위 또는 결함 가능성이 있는 부위에 대한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비파괴 검사를 실시하여 결함유무를 검토하여 안전성을 확인한다. 현재 산업배관에 대한 비파괴의 검사 중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검사 방법으로 방사선 투과검사를 실시하며 결함의 유무를 필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방사선 투과검사는 높은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으나 방사선을 방출하기 때문에 방사선 투과검사 작업자와 일반인에 대한 방사선 피폭을 유발할 수 있다. 방사선을 차폐시킬 수 있는 특수 시설인 방사선 투과검사실(RT room)에서의 작업인 경우에는 일반인에 대한 방사선 피폭을 예방할 수 있지만 야외에서의 방사선 투과 검사 작업에서는 비파괴 검사 작업자와 그 주변에 있는 일반인에게 방사선 피폭을 수반하게 된다.
방사선 투과 검사는 방사선 조사 방식에 따라 내부 선원법(SWDI)과 외부 선원법(DWSI)으로 구분된다. 내부 선원법은 용접부 내부에 선원을 위치시키고 용접부의 외부에 필름을 감싸서 방사선을 조사하여 검사하는 방법으로 원형으로 된 용접부 전체를 한 번의 방사선 조사로 촬영할 수 있으며 방사선 차폐를 위해 방사신 투과검사실 등 특수한 환경에서 주로 사용한다. 한 번에 여러 장의 필름을 사용하여 촬영하는 방법으로 배관 규격이 큰 경우 전체 방사선 투과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옥외나 일반인들의 통행이 빈번이 발생하는 장소에서는 방사선 차폐의 어려움과 선원을 배관 중심에 위치시키기 어려워 거의 이용되지 않는다.
외부 선원법은 용접부의 상을 보고자 하는 위치에 필름을 부착시키고 그 반대편에 선원을 위치시켜 방사선을 조사하여 촬영하는 방법으로 내부선원법에 비해 두 부분(선원 및 필름이 부착된 곳)의 배관을 투과해야 하므로 방사선이 투과하는 두께도 두배로 증가하고 선원에서 필름까지의 거리도 내부선원법에 비해 두 배 이상이 되므로 투과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은 있으나 방사선 투과방향을 제외한 모든 방향으로 선원을 에워싸서 방사선을 차폐시키는 콜리메이트를 사용하여 방사선을 차폐시키고, 필름 부착부분에는 납담요나 납판 등 방사선 차폐능이 좋은 물질을 이용하여 차폐를 함으로써 방사선 차폐에 유리한 이점을 가지고 있어 산업 배관과 같이 야외 또는 일반인의 왕래가 빈번한 곳이나 관경이 작아 중심에 위치시킬 수 없는 배관의 방사선 투과 검사에 주로 사용된다.
산업 배관은 특성 상 실내보다는 주로 옥외 또는 지중매설로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작업자와 일반인에게 방사선의 영향을 줄일 수 있도록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도록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차폐방법으로 선원은 콜리메이트로 차폐를 하고 방사선 촬영부위에는 납담요 또는 납판을 두께 30mm 내외로 덮거나 터널형으로 제작된 차폐체를 사용하여 방사선을 차폐하는 방법으로 작업자나 일반인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 하고 있다.
방사선원을 1차적으로 방사선을 차폐하는 콜리메이트는 방사선 조사방향을 제외한 부분을 텅스텐 재질로 이루진 차폐체로 만들어져 있다. 이러한 콜리메이트는 방사선 조사각이 일정(60°, 120° 등)하여 넓은 범위를 차폐해야 한다.
납담요나 납판을 이용하여 방사선을 차폐하는 방법은 충분한 방사선 차폐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여러 장의 납담요나 납판이 필요하며 여러 장의 납담요나 납판의 무게에 의해 필름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필름에 결함이 생겨서 정확한 결함유무 판독을 어렵게 하여 동일한 부위에 여러 번 촬영하게 하여 방사선 촬영시간을 증가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들이 납담요나 납판을 여러 번 옮겨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여 작업의 능률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터널형의 차폐체는 필름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방사선 차폐능력도 우수하지만 무게가 무거워 크레인을 이용하여 촬영부위로 이동시켜야 하며 크레인을 대여함으로써 방사선 투과검사 단가가 상승하여 경제성이 나빠지게 된다.
이러한 작업능률의 향상과 경제적인 이유로 소형화된 방사선 차폐장치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된 선출원의 방사선 차폐장치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7045호(2000.01.20)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방사선 조사방향으로 필름의 범위만 방사선이 조사될 수 있도록 방사선 차폐를 하여 방사선이 조사되는 범위를 최소화시키고 필름을 부착하는 부위의 차폐체의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차폐제의 무게를 최소화하여 인력으로 운반가능하게 하고 방사선 촬영 구간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필름을 부착시킴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경제성과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차폐체의 무게에 비하여 방사선 차폐 성능을 향상시키는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검사대상의 배관 외측에 삽입 설치하는 링 구조의 베이스프레임, 상기 배관 외측 둘레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내부에는 차폐물질을 구비하는 차폐프레임, 상기 배관 외측과 상기 차폐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차폐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필름을 구비하는 카세트프레임, 상기 차폐프레임에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상기 필름 방향으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원을 구비하는 방사선조사부를 포함하는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배관 외측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제1베이스부 및 제2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베이스부 및 상기 제2베이스부는, 반원형의 제1분할베이스, 일단이 상기 제1분할베이스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분할베이스와 함께 상기 배관 외측을 감싸는 제2분할베이스, 상기 제1분할베이스의 타단과 상기 제2분할베이스의 타단을 고정 결합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면 둘레로는 제1가이드레일부가 형성되며, 상기 차폐프레임은,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제1가이드레일부에 걸림 설치하는 반원형의 차폐걸림가이드부, 상기 차폐걸림가이드부에 결합하며, 내측에는 상기 차폐물질을 저장하도록 공간부가 마련된 박스 구조를 가지는 반원형의 차폐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 외측에 대향되는 상기 차폐프레임 면부에는 제2가이드레일부가 형성되며, 상기 카세트프레임은, 상기 차폐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제2가이드레일부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연결하는 반원형의 카세트가이드부, 상기 카세트가이드부에 결합하며, 상기 차폐프레임에 대향되는 면부에는 상기 필름을 삽입 설치하도록 필름설치홈이 형성된 반원형의 카세트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면 둘레로는 제3가이드레일부가 형성되며, 상기 차폐프레임의 일측면부에는 연결가이드관이 형성되고, 상기 방사선조사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제3가이드레일부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연결 설치하며, 일측에는 상기 조사각설정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조사설정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조사설정구멍 양측에는 차폐물질이 들어찬 조사각설정부가 결합된 조사각설정본체, 일단은 상기 조사각설정본체 측부에 결합 설치하며, 타단은 상기 연결가이드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조사각연결바, 상기 조사각설정본체에 결합 설치하며, 내측에는 상기 조사설정구멍으로 조사할 방사선을 발생시키는 상기 방사선원이 삽입 배치되는 박스 구조의 선원설치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는, 베이스프레임을 검사대상의 배관 외측에 삽입 설치한 후, 촬영하고자 하는 위치로 차폐프레임을 베이스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고, 방사선조사부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이 배관을 투과하면서 차폐프레임 방향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차폐프레임에 설치된 카세트프레임 내 필름에 배관의 영상이 촬영됨으로써, 방사선이 필름의 범위로만 조사되도록 함과 더불어 안정적인 차폐를 가능하게 하며, 촬영하고자 하는 부분에 대한 위치 변경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의 베이스프레임 개방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베이스프레임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차폐프레임 부분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카세트프레임 이동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방사선조사부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방사선조사부의 정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방사선조사부의 부분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의 베이스프레임 개방상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는, 베이스프레임(100), 차폐프레임(200), 카세트프레임(300), 방사선조사부(4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이후 설명될 차폐프레임(200)과 방사선조사부(400)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는 원형 링 구조의 프레임이다. 즉,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검사대상인 배관(도면미도시)의 외측에 차폐프레임(200) 및 방사선조사부(400)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관의 외측 원둘레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 지지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은 차폐프레임(200)과 방사선조사부(400)를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배관 외측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상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제1베이스부(100a), 제2베이스부(10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베이스부(100a) 및 상기 제1베이스부(100b)는 각각 제1분할베이스(101), 제2분할베이스(102), 고정부재(103)로 구성한다. 상기 제1분할베이스(101) 및 상기 제2분할베이스(102)는 각각 반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프레임부재로, 상기 제1분할베이스(101)과 상기 제2분할베이스(102)를 상호 대향되게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분할베이스(101) 양단과 상기 제2분할베이스(102) 양단을 연결시, 상기 배관의 외측을 감싸는 원형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같이, 상기 제1분할베이스(101)의 일단 및 상기 제2분할베이스(102)의 일단은 회전 가능하게 힌지(104)로 연결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30)는 상기 제1분할베이스(101) 타단과 상기 제2분할베이스(102) 타단을 상호 연결시킨 상태를 고정 유지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30)는 제1분할베이스(102)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길이방향 일단을 힌지(104)로 연결 결합하는 고정바(105)와, 상기 고정바(105) 외측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회전방향에 따라 길이방향 양단으로 이동하는 고정너트(106)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분할베이스(102)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바(105)의 길이방향 타단을 삽입할 수 있도록 고정홈(107a)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고정너트(106)가 상기 제1분할베이스(101) 타단 방향으로 이동시 가압되면서 고정되게 하는 고정걸쇠(107)를 결합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제1베이스부(100a) 및 제2베이스부(100b)의 일측면 둘레로는 제1가이드레일부(1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1가이드레일부(110)는 이후 설명될 차폐프레임(200)을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게 가이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부(110)에는 차폐프레임(200)의 차폐걸림가이드부(210)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걸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제1베이스부(100a) 타측면 및 제2베이스부(100b)의 타측면, 즉, 제1베이스부(100a)와 제2베이스부(100b)의 상호 대향되는 면부의 둘레로는 제3가이드레일부(1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제3가이드레일부(120)는 이후 설명될 방사선조사부(400)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게 가이드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3가이드레일부(120)에는 방사선조사부(400)의 조사각설정본체(410)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걸림 설치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제1베이스부(100a) 외주면 및 제2베이스부(100b)의 외주면에는 차폐프레임(200)을 상기 제1가이드레일부(110) 상에서 이동시킨 상태에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차폐체걸림홈(13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차폐체걸림홈(130)에는 차폐프레임(200)의 차폐걸림가이드부(210)에 구비되는 제1걸림볼트(211)의 단부를 삽입 걸림시켜, 차폐프레임(200)을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에서 고정되게 한다.
상기 차폐프레임(200)은 방사선조사부(400)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이 카세트프레임(300) 방향으로 조사되면서, 상기 배관 및 카세트프레임(300)을 통과한 방사선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차폐되게 하는 프레임이다. 이러한, 상기 차폐프레임(200)은 상기 배관 외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배관 외측 둘레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차폐프레임(200)은 차폐걸림가이드부(210), 차폐본체(220)를 포함한다.
상기 차폐걸림가이드부(210)는 차폐본체(220)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걸림상태로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대응되는 반원의 수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 부분이다. 즉, 상기 차폐걸림가이드부(21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제1베이스부(100a) 및 제2베이스부(100b)에 형성된 각각의 제1가이드레일부(1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걸림되도록 일단을 절곡시킨 'ㄱ'단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이같이, 상기 차폐걸림가이드부(210)은 차폐본체(22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결합 형성됨으로써, 차폐본체(220)를 제1베이스부(100a) 및 제2베이스부(100b) 사이에 위치한 상태로 각각의 제1가이드레일부(110)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걸림시킨다.
상기 차폐본체(220)는 상기 차폐걸림가이드부(210)에 의해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방사선조사부(400)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차폐시키도록 차폐물질(도면미도시)이 저장되는 반원형의 수평단면을 가지는 박스구조물이다. 이러한, 상기 차폐본체(22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기 차폐걸림가이드부(210)를 연결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차폐본체(22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제1베이스부(100a) 및 제2베이스부(100b)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차폐체레일바퀴(22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폐물질은 방사선을 차폐시킬 수 있는 납, 텅스텐, 감손우라늄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거나 2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폐본체(220)의 일측에는 차폐물질을 저장하는 공간을 내외측으로 개폐할 수 있게 하는 차폐함뚜껑(도면미도시)을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차폐프레임(200)의 내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배관 외측에 대향되는 상기 차폐본체(220)의 면부에는 카세트프레임(300)을 상기 차폐프레임(200) 상에 착탈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이동되게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레일부(2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폐프레임(200)의 일측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차폐본체(200)의 일측면에는 곡선형의 연결가이드관(240)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연결가이드관(240)의 내측에 방사선조사부(400)의 조사각연결바(420)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연결가이드관(240)은 방사선조사부(400)를 안정적으로 연결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차폐본체(200)의 일측면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한다. 이같이, 상기 연결가이드관(240)은 상기 방사선조사부(400)를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상기 차폐프레임(200)에 연결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가이드관(240)의 일측에는 내부로 연결되도록 제2걸림볼트(241)를 관통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2걸림볼트(241)의 단부는 방사선조사부(400)의 조사각연결바(420)에 형성되는 조사각걸림홈(421)에 걸림시, 방사선조사부(400)가 상기 차폐프레임(200) 상에서 이동된 위치를 고정 유지되게 한다.
상기 카세트프레임(300)은 방사선조사부(400)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이 상기 배관을 투과한 후, 필름에 촬영되게 하는 프레임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카세트프레임(300)은 상기 필름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배관 외측과 상기 차폐프레임(300)의 차폐본체(22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차폐프레임(300)의 차폐본체(2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카세트프레임(300)은 카세트가이드부(310), 카세트본체(320)를 포함한다.
상기 카세트가이드부(310)는 카세트본체(320)를 상기 차폐프레임(100) 상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차폐프레임(200)에 대응되는 반원의 수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 부분이다. 즉, 상기 카세트가이드부(310)는 상기 차폐프레임(100)의 차폐본체(220)에 형성된 제2가이드레일부(23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배치한다. 이같이, 상기 카세트가이드부(310)는 카세트본체(32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결합 형성됨으로써, 카세트본체(320)를 상기 차폐프레임(200)의 차폐본체(220)에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카세트본체(320)는 상기 카세트가이드부(310)에 의해 상기 차폐프레임(20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필름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는 반원형의 수평단면을 가지는 판 구조물이다. 이러한, 상기 카세트본체(320)의 후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차폐프레임(200)의 차폐본체(220)에 대향되는 면부에는 상기 필름을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필름설치홈(3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카세트본체(320)의 일측에는 작업자에 의한 파지를 용이하게 하여, 상기 카세트본체(320)를 상기 차폐프레임(200) 상에서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카세트손잡이(3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사선조사부(400)는 상기 차폐프레임(200) 방향으로 방사선을 조사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방사선조사부(400)에서 검사대상인 배관으로 방사선을 투과시킨 후, 상기 카세트프레임(300)의 카세트본체(320)에 설치된 상기 필름으로 영상이 촬영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방사선조사부(400)는 상기 차폐프레임(300) 방향으로 방사선을 조사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차폐프레임(300)의 차폐본체(220)에 대향 배치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한다. 이때, 상기 방사선조사부(4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에서 상기 차폐프레임(300)을 이동시킬 때, 대응되게 이동하면서 상기 차폐프레임(300)에 대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차폐프레임(300)에 연결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방사선조사부(400)는 조사각설정본체(410), 조사각연결바(420), 선원설치함(430)을 포함한다.
상기 조사각설정본체(410)는 선원설치함(430)에 구비되는 방사선원(도면미도시)으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선을 상기 카세트프레임(300)의 카세트본체(320)에 마련되는 필름으로만 조사되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조사각설정본체(41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제1베이스부(100a) 및 제2베이스부(100b)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제3가이드레일부(12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에 연결 설치한다. 이러한, 상기 조사각설정본체(41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제3가이드레일부(120) 상에서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조사체레일바퀴(410a)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조사각본체(410)의 일측에는 조사설정구멍(41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조사각설정구멍(412)을 중심으로 상기 조사각본체(410)의 양측에는 선원설치함(430)에 마련된 방사선원으로부터 발생된 방사선원이 상기 조사설정구멍(412)을 통해서 상기 카세트본체(320)의 필름으로만 조사될 수 있게 조사각설정부(411)를 결합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조사각설정부(411)의 내부에는 상기 조사설정구멍(412)을 통해서만 상기 방사선을 방출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방사선을 차폐하는 차폐물질을 저장하게 된다.
상기 조사각연결바(420)는 상기 조사각본체(410)를 상기 차폐프레임(20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도록 곡선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조사각연결바(42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조사각설정본체(410)의 측면부에 고정상태로 연결 결합하며, 상기 조사각연결바(420)의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차폐프레임(200)의 연결가이드관(240)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조사각연결바(420)의 일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조사각걸림홈(42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조사각걸림홈(421)에는 상기 조사각연결바(420)를 상기 차폐프레임(200)의 연결가이드관(240)에 삽입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2걸림볼트(241)의 단부가 삽입 걸림되게 하여, 상기 조사각연결바(420)가 상기 연결가이드관(240)에 삽입 배치된 위치를 고정 유지되게 한다.
상기 선원설치함(430)은 상기 조사각설정본체(410)의 조사설정구멍(412)을 통해 상기 배관을 투과한 후, 상기 카세트프레임(300)의 필름으로 조사될 방사선을 발생시키는 부분이다. 도 8과 같이, 상기 선원설치함(430)은 상기 조사각설정본체(410)의 후면부에는 결합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선원설치함(430) 내측에는 상기 조사설정구멍(412)을 통해 조사될 방사선을 발생시키는 방사선원(도면미도시)이 삽입 배치된다. 이때, 상기 선원설치함(430)은 상기 조사각설정본체(410)의 조사설정구멍(412)만을 통해 방사선이 방출되면서 상기 카세트프레임(300)의 필름으로 조사될 수 있도록 상기 조사각설정본체(410)에 대향되는 면부를 제외한 나머지 면부는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는 차폐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선원설치함(430)에는 상기 방사선원을 내측에 배치하거나 내측에서 외부로 이탈 제거할 수 있도록 개폐도어(도면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 실시예의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를 이용한 배관의 방사선 투과검사 방법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검사대상의 배관 외측에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을 삽입 설치한다. 즉, 상기 제1베이스부(100a) 및 상기 제2베이스부(100b)를 상기 배관 외측에 삽입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카세트프레임(300)의 카세트본체(320)를 상기 차폐프레임(200)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슬라이딩 이동시킨 후, 상기 카세트본체(320)의 필름설치홈(321)에 필름을 배치한 후, 다시 상기 카세트본체(320)를 상기 차폐프레임(200)에 대향되게 배치되도록 슬라이딩 이동시킨다.
이렇게, 상기 카세트본체(320)에 상기 필름을 배치한 후에는, 투과검사하고자 하는 위치로 상기 차폐프레임(200)을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에서 이동 배치되게 한다.
이때, 상기 방사선조사부(400)는 상기 차폐프레임(200)에 대향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차폐프레임(200)의 이동에 따라 대응되게 이동하게 되어, 상기 방사선조사부(400)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이 상기 차폐프레임(200) 방향으로 방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준비가 완료되면 상기 방사선조사부(400)의 선원설치함(430)에 방사선원을 삽입 배치한다. 그러면, 상기 방사선원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은 상기 조사각설정본체(410)의 조사설정구멍(412)과 조사각설정부(411)를 통해 상기 차폐프레임(200) 방향으로 방사선이 조사된다.
이때, 상기 차폐프레임(200)의 차폐본체(220)는 상기 카세트프레임(300)의 카세트본체(320)를 투과한 상기 방사선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차폐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을 검사대상의 배관 외측에 삽입 설치한 후, 촬영하고자 하는 위치로 상기 차폐프레임(200)을 상기 베이스프레임(10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게 하고, 상기 방사선조사부(400)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이 상기 배관을 투과하면서 상기 차폐프레임(200) 방향으로 방출된다. 따라서, 상기 차폐프레임(200)에 설치된 상기 카세트프레임(300) 내 필름에 상기 배관의 영상이 촬영됨으로써, 상기 방사선이 상기 필름의 범위로만 조사되도록 함과 더불어 안정적인 차폐를 가능하게 하며, 촬영하고자 하는 부분에 대한 위치 변경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베이스프레임 100a: 제1베이스부
100b: 제2베이스부 101: 제1분할베이스
102: 제2분할베이스 103: 고정부재
110: 제1가이드레일부 120: 제3가이드레일부
130: 차폐체걸림홈 200: 차폐프레임
210: 차폐걸림가이드부 220: 차폐본체
230: 제2가이드레일부 240: 연결가이드관
300: 카세트프레임 310: 카세트가이드부
320: 카세트본체 400: 방사선조사부
410: 조사각설정본체 420: 조사각연결바
430: 선원설치함

Claims (5)

  1. 검사대상의 배관 외측에 삽입 설치하는 링 구조의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배관 외측 둘레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내부에는 차폐물질을 구비하는 차폐프레임과;
    상기 배관 외측과 상기 차폐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차폐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필름을 구비하는 카세트프레임; 및
    상기 차폐프레임에 대향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하며, 상기 필름 방향으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원을 구비하는 방사선조사부를 포함하는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은, 상기 배관 외측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 제1베이스부 및 제2베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베이스부 및 상기 제2베이스부는, 반원형의 제1분할베이스와, 일단이 상기 제1분할베이스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분할베이스와 함께 상기 배관 외측을 감싸는 제2분할베이스 및, 상기 제1분할베이스의 타단과 상기 제2분할베이스의 타단을 고정 결합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면 둘레로는 제1가이드레일부가 형성되며,
    상기 차폐프레임은,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제1가이드레일부에 걸림 설치하는 반원형의 차폐걸림가이드부와,
    상기 차폐걸림가이드부에 결합하며, 내측에는 상기 차폐물질을 저장하도록 공간부가 마련된 박스 구조를 가지는 반원형의 차폐본체를 포함하는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 외측에 대향되는 상기 차폐프레임 면부에는 제2가이드레일부가 형성되며,
    상기 카세트프레임은,
    상기 차폐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제2가이드레일부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연결하는 반원형의 카세트가이드부와,
    상기 카세트가이드부에 결합하며, 상기 차폐프레임에 대향되는 면부에는 상기 필름을 삽입 설치하도록 필름설치홈이 형성된 반원형의 카세트본체를 포함하는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측면 둘레로는 제3가이드레일부가 형성되며,
    상기 차폐프레임의 일측면부에는 연결가이드관이 형성되고,
    상기 방사선조사부는,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제3가이드레일부에 슬라이딩 이동되게 연결 설치하며, 일측에는 상기 조사각설정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조사설정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조사설정구멍 양측에는 차폐물질이 들어찬 조사각설정부가 결합된 조사각설정본체와,
    일단은 상기 조사각설정본체 측부에 결합 설치하며, 타단은 상기 연결가이드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조사각연결바 및,
    상기 조사각설정본체에 결합 설치하며, 내측에는 상기 조사설정구멍으로 조사할 방사선을 발생시키는 상기 방사선원이 삽입 배치되는 박스 구조의 선원설치함을 포함하는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
KR1020160134340A 2016-10-17 2016-10-17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 KR20180041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340A KR20180041934A (ko) 2016-10-17 2016-10-17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340A KR20180041934A (ko) 2016-10-17 2016-10-17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934A true KR20180041934A (ko) 2018-04-25

Family

ID=62088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340A KR20180041934A (ko) 2016-10-17 2016-10-17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193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5598A (zh) * 2019-03-06 2019-06-14 青岛市中心医院 Ct检查用防护罩
CN110222378A (zh) * 2019-05-15 2019-09-10 中国辐射防护研究院 基于3d打印和蒙塔卡洛的管道辐射热点屏蔽装置制作方法
KR20210073317A (ko) * 2019-12-10 2021-06-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비파괴 검사 시스템
KR102498783B1 (ko) 2021-09-06 2023-02-13 고려공업검사 주식회사 방사선 투과 검사용 방사선 차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5598A (zh) * 2019-03-06 2019-06-14 青岛市中心医院 Ct检查用防护罩
CN110222378A (zh) * 2019-05-15 2019-09-10 中国辐射防护研究院 基于3d打印和蒙塔卡洛的管道辐射热点屏蔽装置制作方法
KR20210073317A (ko) * 2019-12-10 2021-06-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관 비파괴 검사 시스템
KR102498783B1 (ko) 2021-09-06 2023-02-13 고려공업검사 주식회사 방사선 투과 검사용 방사선 차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1934A (ko) 방사선검사용 차폐장치
KR20160031383A (ko) 수평 이동식 x선 비파괴 검사장치
US9435753B2 (en) Method of non-destructive inspection and a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100997320B1 (ko) 배관 방사선 촬영을 위한 방사성동위원소 센터링장치
KR101506709B1 (ko) 판재 검사용 x선 비파괴 검사장치
CN108140437A (zh) 放射线屏蔽管、屏蔽装置及方法
CN108721793B (zh) 伽玛刀放射治疗设备放射源安全装换系统
KR101286576B1 (ko) 피검체에 직접 부착되며, 회전 개폐에 의한 방사선 조사 장치
KR20160125548A (ko) 피검사물 상에서 원격 제어로 이동 가능한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KR200472414Y1 (ko) 수직 용접부의 방사선 촬영장치
KR101506258B1 (ko) X선 비파괴 검사장치
WO2009066024A1 (fr) Dispositif de montage, sur une pièce à contrôler de manière non destructive, d'une source d'irradiation présente dans un embout d'irradiation et/ou un collimateur d'un dispositif de contrôle
RU2493557C2 (ru) Способ радиационной дефектоскопии круговых сварных швов трубчатых элементов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способа
US4467212A (en) Radioactive source pigtail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KR200471151Y1 (ko) 방사선투과검사용 콜리메타
KR20160047328A (ko) 비파괴검사용 방사선 차폐장치
RU87021U1 (ru) Устройство неразрушающего рентгеновского контроля сварных кольцевых швов трубчатых элементов
KR101584285B1 (ko) X선 비파괴 검사 장치
KR101557496B1 (ko)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
KR101607696B1 (ko) 배관용 조립식 방사선 차폐장치
KR102457912B1 (ko) 이동식 디지털 방사선 검사 장치
KR200480761Y1 (ko) 콜리메이터용 방사선투과검사 유효영역 지시기
KR101500287B1 (ko) 방사선 측정기의 센터링 지그
KR101937416B1 (ko) 베타 방사선 조사장치
KR101607693B1 (ko) 배관용 방사선원 차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