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920Y1 -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920Y1
KR200396920Y1 KR20-2005-0018558U KR20050018558U KR200396920Y1 KR 200396920 Y1 KR200396920 Y1 KR 200396920Y1 KR 20050018558 U KR20050018558 U KR 20050018558U KR 200396920 Y1 KR200396920 Y1 KR 200396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plate
connection
shielding
shield
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5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용호
김동중
Original Assignee
케이비이엔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비이엔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비이엔지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8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9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9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3/00Shielding characterised by its physical form, e.g. granules, or shape of the material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1/00Shield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materials
    • G21F1/02Selection of uniform shielding materials
    • G21F1/08Metals; Alloys; Cermets, i.e. sintered mixtures of ceramics and metals
    • G21F1/085Heavy metals or all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tallur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Nuclear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사선(Radiation) 차폐체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기 외주연에 설치된 방사선 동위원소, 레벨 디텍터 및 레벨 스위치 외주연에 설치되어 방사선으로부터 작업자 및 공정계기를 보호하게 되는 방사선 차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동위원소와 상기 레벨 디텍터의 외주연에 위치되는 차폐부재; 상기 레벨 스위치의 전방 영역으로 위치되는 레벨스위치 차폐부재; 및 상기 차폐부재 사이와 인슐레이션 외주연에 위치되는 연결차폐부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방사선 동위원소와 레벨 디텍터의 외주연에 위치되는 차폐부재와; 레벨 스위치의 전방 영역으로 위치되는 레벨스위치 차폐부재와; 차폐부재 사이와 인슐레이션 외주연에 위치되는 연결차폐부재로 이루어져 방사선 동위원소에서 적정 각도로 조사되는 방사선을 차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차폐부재, 레벨스위치 차폐부재 및 연결차폐부재의 각부위에 너트부재를 매설하고, 너트부재에 아이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기중기 등으로 이동시켜 분해 및 조립을 하게 됨으로써 공정이 감소되어 작업성이 우수하게 되었으며, 화재 등으로 부분적인 손상시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경제적인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SHUTTING BODY ASSEMBLY APPARATUS RADIATION}
본 고안은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부에 액상의 원료가 저장되는 용기 외주연에 설치된 방사선 동위원소(Radio Isotope), 레벨 디텍터(Level Detector) 및 레벨 스위치 디텍터(Level Switch Detector, 이하 "레벨 스위치")로써 공정내 용기 내부의 원료 레벨을 측정하고, 레벨 측정시 발생되는 방사선을 차폐하기 위하여 용기 외주연에 차폐체를 설치함으로써 방사선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함과 동시에 석유화학 공장의 특성상 인근의 타 공정에서 정기, 비정기적으로 시행하는 보수공사에 필수적인 방사선투과검사(Radiography Testing)시, 발생하는 불필요한 대량의 방사선이 운전중인 방사선 감지 레벨 디텍터 및 레벨 스위치에 입사하여 오동작을 유발함으로 인한 예기치 못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해당 공정의 방사선 계기(레벨 디텍터 및 레벨 스위치)를 보호하도록 구성하고, 분해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유화학 회사 등에서 사용되는 벤젠, 톨루엔 등 액상의 원료는 적정 크기의 용기(Vessel) 내부에 적정량이 저장되었다고 공급되는 데, 이러한 액상의 원료는 용기 외주연에 설치된 다수의 방사선 동위원소(Radio Isotope)에서 적정 각도 및 적정량으로 조사되는 방사선과, 이 방사선 동위원소의 방사선 조사범위 내의 용기 외주연에 설치된 레벨 디텍터(Level Detector)의 감지에 의해 전체적인 원료량을 확인하여 원료를 공급 및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용기에 저장되는 원료의 상한치(80%)와 하한치(0%) 위치의 용기에 각각 설치된 레벨 스위치의 감지에 의해 원료가 최대치와 최소치에 위치되면, 이를 감지하여 경고 신호로써 컨트롤 룸으로 알려주어 작업종사자가 응급처치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방사선 동위원소, 레벨 디텍터 및 레벨 스위치 외주연에는 방사선 동위원소에서 조사되는 방사선 각도를 고려한 차폐체가 설치되어, 방사선으로부터 공정의 보호와 작업자들을 안전하게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차폐체는, 연괴를 용해하여 연판, 연 블록 등의 타입으로 가공하여 제작된 스틸 외형틀에, 삽입 또는 조립하여 제작하고, 이를 용접으로 연결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판체를 유지하여 일체형으로 제작 됨으로써 조립 설치가 용이하지 않게 되었으며, 특히 연 블록 등의 타입으로 제작된 차폐체는 용접으로 조립함으로써 화재 등으로 부분적인 손상시 부분적인 교체가 불가능하고, 전체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차폐체를 분리 가능하도록 제작하게 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화재시 부분적인 손상부위만 분리하여 교체 가능한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용기 외주연에 설치된 방사선 동위원소, 레벨 디텍터 및 레벨 스위치 외주연에 설치되어 방사선으로부터 작업자 및 공정계기를 보호하게 되는 방사선 차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동위원소와 상기 레벨 디텍터의 외주연에 위치되는 차폐부재; 상기 레벨 스위치의 전방 영역으로 위치되는 레벨스위치 차폐부재; 및 상기 차폐부재 사이와 인슐레이션 외주연에 위치되는 연결차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1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젠, 톨루엔 등 액상의 원료가 저장되는 원통형의 용기(1) 외주연에 설치된 방사선 동위원소(2) 외주연과, 방사선 동위원소(2)에서 조사되는 방사선 각도 범위 내의 용기(1) 외주연에 설치된 레벨 디텍터(4) 외주연 및 용기(1)에 저장되는 원료의 상한치와 하한치 위치의 용기(1)에 각각 설치된 레벨 스위치(6) 외주연에 설치되어 방사선으로부터 작업자들을 보호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방사선 동위원소(2)는 용기(1)의 크기에 따라 개수가 선택적으로 조절되고, 조사되는 방사선의 각도는 수직상의 각도는 약45°가 유지되며, 레벨 디텍터(4)와 레벨 스위치(6)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그 설치되는 평면상의 각도는 약8°~12°정도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벨 디텍터(4)는 다수개의 방사선 동위원소(2)에서 조사되는 방사선 각도 범위의 용기(1) 외주연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용기(1) 내부의 원료에 대한 공급 및 배출량을 확인하여 전체적으로 컨트롤 룸(미도시)에서 운전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레벨 스위치(6)는 용기(1)에 저장되는 원료의 상한치(80%)와 하한치(0%) 위치의 용기(1) 외주연에 각각 설치되어, 방사선 동위원소(2)의 방사선 조사시 이를 감지하여 용기(1) 내부의 원료가 상한치 및 하한치에 위치되면, 경고신호호로써 이 사실을 컨트롤 룸의 작업 종사자들에 알려주게 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방사선 동위원소(2)는 용기(1)에 하나만 설치하여 레벨 디텍터(4)와 레벨 스위치(6)중 하나로 조사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멀티타입, 즉 2개를 설치하여 레벨 디텍터(4)와 레벨 스위치(6)로 각각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방사선 동위원소(2), 레벨 디텍터(4) 및 레벨 스위치(6)가 구비된 용기(1) 외주연에는 인슐레이션(8)이 감싸지게 되어 용기(1) 내부의 원료에 대한 보온을 하게 된다.
한편, 차폐체 조립장치(10)는 방사선 동위원소(2)와 레벨 디텍터(4)의 외주연에 위치되는 차폐부재(20)와; 레벨 스위치(6)의 전방 영역으로 위치되는 레벨스위치 차폐부재(40)와; 차폐부재(20) 사이와 인슐레이션(8) 외주연에 위치되는 연결차폐부재(60)로 이루어지고, 방사선 동위원소(2)에서 적정 각도로 조사되는 방사선이외의 불필요한 방사선을 차폐시키게 된다.
상기 차폐부재(20)는 방사선 동위원소(2)와 레벨 디텍터(4)의 전면에 위치되고, 내측 상하부와 좌우측 단부로부터 동일 길이로 제1단차부(21)가 형성된 상부전면차폐판(22)과; 상부전면차폐판(22) 하부의 제1단차부(21)에 밀착되도록 외측 상단에 제1단차밀착단(23)이 형성되고, 내측의 하부와 좌우측 단부로부터 동일 길이로 제2단차부(24)가 형성된 중앙전면차폐판(25)과; 하부전면차폐판(25) 하부의 제2단차부(24)에 밀착되도록 외측 상단에 제2단차밀착단(26)이 형성되고, 내측 좌우측 단부에 제3단차부(27)가 형성된 하부전면차폐판(28)과; 상부전면차폐판(22), 중앙전면차폐판(25) 및 하부전면차폐판(28) 내측 좌우 양단의 제1,2,3단차부(21)(24)(27)에 밀착되는 밀착단(31)이 선단에 형성되고, 후단이 인슐레이션(8)에 근접되게 위치되는 상부후면차폐판(32), 중앙후면차폐판(33) 및 하부후면차폐판(3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부전면차폐판(22), 중앙전면차폐판(25) 및 하부전면차폐판(28)은 용기(1) 외주연에 설치되는 방사선 동위원소(2)와 레벨 디텍터(4)의 개수에 따라 그 개수가 조절되고, 상부전면차폐판(22)의 제1단차부(21), 중앙전면차폐판(25)의 제1단차밀착단(23) 및 하부전면차폐판(28)의 제2단차밀착단(26)에는 조립공(29)이 형성되고, 이 조립공(29) 내주연에는 조립너트(30)가 각각 매설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후면차폐판(32), 중앙후면차폐판(33) 및 하부후면차폐판(34)은 상부 양측에 조립통공(35)이 형성되고, 조립통공(35) 내주연에는 체결너트(36)가 각각 매설된다.
상기 레벨스위치 차폐부재(40)는 레벨 스위치(6)의 전면에 위치되고, 내측 좌우측과 하부의 단부로부터 동일 길이로 제4단차부(41)가 형성된 전면차폐판(42)과; 전면차폐판(42) 내측면의 좌우 양단의 제4단차부(41)에 밀착되는 후면밀착단(43)이 선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후단이 인슐레이션(8)에 근접되게 위치되는 한쌍의 후면차폐판(44)과; 전면차폐판(42) 하부의 제4단차부(41)에 밀착되는 마감밀착단(46)이 선단에 형성되고, 후단이 인슐레이션(8)에 근접되며, 후면차폐판(44)(45)을 차단하게 되는 마감차폐판(47)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레벨스위치 차폐부재(40)의 전면차폐판(42), 후면차폐판(44)의 상부 양측과 마감차폐판(47)의 마감밀착단(46) 양측에는 통공(48)이 각각 형성되고, 이 통공(48)의 내주연에는 고정너트(49)가 각각 매설된다.
상기 연결차폐부재(50)는 차폐부재(20) 사이와 인슐레이션(8) 외주연에 밀착되고, 내측 하단에 제1내측밀착단(51)이 형성된 상부연결차폐판(52)과; 상부연결차폐판(52)의 제1내측밀착단(51)에 밀착되도록 외측 상단에 제1외측밀착단(53)이 형성되고, 내측 하단에는 제2내측밀착단(54)이 형성된 중앙연결차폐판(55)과; 중앙연결차폐판(55)의 제1내측밀착단(54)에 밀착되도록 외측 상단에 제2외측밀착단(56)이 형성된 하부연결차폐판(57)과; 상부연결차폐판(52), 중앙연결차폐판(55) 및 하부연결차폐판(57) 사이의 연결부위에 고정되어 상부연결차폐판(52), 중앙연결차폐판(55) 및 하부연결차폐판(57)의 강도를 보강시키는 보강부재(60)로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차폐부재(50)의 상부연결차폐판(52) 상부 양측과 중앙연결차폐판(55)의 제1외측밀착단(53) 및 하부연결차폐판(57)의 제2외측밀착단(56)에는 관통공(56a)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56a) 내주연에는 연결너트(58)가 매설된다.
상기 보강부재(60)는 상부연결차폐판(52), 중앙연결차폐판(55) 및 하부연결차폐판(57)의 연결부위 외주연에 연장되게 용착 고정되고, 조립관통공(62)이 대응되게 형성된 보강고정편(63)(64)과; 보강고정편(63)(64)의 조립관통공(62)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볼트(65) 및 고정너트(66)로 이루어진다.
한편, 차폐부재(20)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상부전면차폐판(22), 중앙전면차폐판(25) 및 하부전면차폐판(28)의 조립너트(27), 상부후면차폐판(32), 중앙후면차폐판(33) 및 하부후면차폐판(34)의 체결너트(36), 레벨스위치 차폐부재(40)의 고정너트(49) 및 연결차폐부재(50)의 연결너트(58)에는 선택적으로 아이볼트(70)가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어 차폐체 조립장치(10)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것이다.
그리고, 차폐부재(20)를 구성하고 있는 상부전면차폐판(22), 중앙전면차폐판(25) 및 하부전면차폐판(28)과 상부후면차폐판(32), 중앙후면차폐판(33) 및 하부후면차폐판(34) 외측에는 제1수직보강부재(80)가 구비되고, 레벨스위치 차폐부재(40)를 구성하고 있는 전면차폐판(42), 후면차폐판(44)(45)의 외측과 마감차폐판(47)의 바닥에는 제2수직보강부재(90)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1,2수직보강부재(80)(90)는 용기(1)의 하단 영역에 설치되는 보강프레임(100)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보강프레임(100)은 용기(1) 하단 영역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하부수평빔(200)과; 하부수평빔(200) 양단에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체결 고정된 한쌍의 수직빔(300)과; 수직빔(300)과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여 입설되는 다수의 제1수직빔(310)과; 수직빔(300) 및 제1수직빔(310) 상부에 체결 고정된 상부수평빔(40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수평빔(200) 상부에는 제1수직보강대(80) 하단이 고정되고, 상부수평빔(400)의 상부에는 제2수직보강부재(90) 하단이 고정된다.
한편, 하부수평빔(200), 수직빔(300)과 제1수직빔(310) 사이에는 다수의 보강빔(450)이 설치되어 상부전면차폐판(22), 중앙전면차폐판(25) 및 하부전면차폐판(28)과 상부후면차폐판(32), 중앙후면차폐판(33) 및 하부후면차폐판(34) 외측의 제1수직보강부재(80)와 전면차폐판(42), 후면차폐판(44)의 제2수직보강부재(90)가 지지된다.
그리고, 상부연결차폐판(52), 중앙연결차폐판(53) 및 하부연결차폐판(54)의 강도를 보강시키기 위한 보강부재(60)의 보강고정편(63)(64)과, 차폐부재(20)를 구성하고 있는 상부후면차폐판(32), 중앙후면차폐판(33) 및 하부후면차폐판(34) 외측의 제1수직보강부재(80) 사이와 보강빔(450)에는 고정부재(500)가 고정되어 보강부재(60)를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차폐체 조립장치(10)를 구성하고 있는 차폐부재(20)의 상부전면차폐판(22), 중앙전면차폐판(25), 하부전면차폐판(28) 및 상부후면차폐판(32), 중앙후면차폐판(33), 하부후면차폐판(34)은 방사선 동위원소(2)와 레벨 디텍터(4)의 개수에 따라 그 개수가 조절되어 조립유지되는 데, 이때 구조가 동일한 상,하부전면차폐판(22)(28) 및 상,하부후면차폐판(32)(34) 사이에 동일한 구조의 다른 제1,2,3..중앙전면차폐판을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조립하게 된다.
한편, 연결차폐부재(50)는 상부연결차폐판(52), 중앙연결차폐판(55) 및 하부연결차폐판(57)로 조립유지되는 것이 아니라, 중앙연결차폐판(55)과 동일한 다른 제1,2,3..중앙연결차폐판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조립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10)를 구성하고 있는 차폐부재(20), 레벨스위치 차폐부재(40) 및 연결차폐부재(60) 내부에는 방사선 차폐재인 납(720)이 주입되는 공간부(70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벤젠, 톨루엔 등 액상의 원료가 저장되는 용기(1) 외주연에 설치된 방사선 동위원소(2)에서 적정 각도로 조사되는 방사선 각도 범위 내의 용기(1) 외주연에 수직으로 설치된 레벨 디텍터(4)의 감지에 의해 용기(1) 내부의 원료에 대한 공급 및 배출량을 확인하여 콘트롤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용기(1) 내부에 저장되는 원료의 최대치와 최소치 위치의 용기(1)에 각각 설치된 레벨 스위치(6)의 감지에 의해 용기(1) 내부의 원료가 상한치(80%)와 하한치(0%) 위치에 위치되면, 이를 경고신호로써 종사자들에 알려 신속한 조치를 취하게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방사선 동위원소(2)는 레벨 디텍터(4)와 레벨 스위치(6)로 각각 조사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방사선 동위원소(2), 레벨 디텍터(4) 및 레벨 스위치(6)가 구비된 용기(1) 외주연에는 인슐레이션(8)이 감싸지게 되어 용기(1) 내부의 원료에 대한 보온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방사선 동위원소(2)는 용기(1)의 크기에 따라 개수가 선택적으로 조절되고, 조사되는 방사선의 수직 각도는 약45°가 유지되며, 레벨 디텍터(4)와 레벨 스위치(6)에 대응되게 각각 설치되고, 설치되는 평면상의 각도는 약8°~12°정도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용기(1) 외주연에 설치되는 방사선 동위원소(2), 레벨 디텍터(4) 및 레벨 스위치(6)의 외주연과 용기(1) 외주연에는 방사선 동위원소(2)에서 적정 각도로 조사되는 방사선 이외의 불필요한 방사선을 차폐시키기 위한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10)가 설치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방사선 동위원소(2)와 레벨 디텍터(4)가 설치된 용기(1) 외주연에 차폐부재(2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용기(1) 하단 영역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보강프레임(100)을 구성하는 하부수평빔(200) 상부와, 하부수평빔(200) 양단에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체결되는 한쌍의 수직빔(300)과 동일 높이로 다수의 제1수직빔(310)이 구비되어, 상부에 상부수평빔(400)이 체결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하부수평빔(200) 상부와, 하부수평빔(200), 수직빔(300), 제1수직빔(310) 및 상부수평빔(400) 사이에 체결 고정된 다수의 보강빔(450) 상부에 제1수직보강부재(80) 하단을 고정시키게 된다.
즉, 방사선 동위원소(2)와 레벨 디텍터(4)가 설치된 용기(1) 외주연 영역으로 차폐부재(20)를 조립하기 위하여 하부수평빔(200)과, 수직빔(300), 제1수직빔(310) 및 상부수평빔(400) 사이에 체결 고정된 다수의 보강빔(450) 상부에 제1수직보강부재(80)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차폐부재(20)를 구성하고 있는 하부전면차폐판(28) 외측 상단의 제2단차밀착단(26)에 형성된 조립공(29) 내주연의 조립너트(30)에 아이볼트(70)를 체결한 다음, 아이볼트(70)를 기중기 등에 걸어 이동시켜 제1수직보강부재(80)에 하부전면차폐판(28)를 체결 고정시키고, 아이볼트(70)를 분리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 중앙전면차폐판(25) 외측 상단의 제1단차밀착단(23)에 형성된 조립공(29) 내주연의 조립너트(30)에 아이볼트(70)를 체결하고, 이를 기중기 등에 걸어 중앙전면차폐판(25)을 이동시켜 하부전면차폐판(28) 상단의 제2단차밀착단(26) 상부에, 중앙전면차폐판(25) 내측 하부의 제2단차부(24)를 일치시킨 후, 제1수직보강부재(80) 내부에 중앙전면차폐판(25)을 체결 고정시키고, 아이볼트(70)를 분리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전면차폐판(22)을 중앙전면차폐판(25)과 동일한 방법으로써 이동시켜 중앙전면차폐판(25) 상단의 제1단차밀착단(23)에 상부전면차폐판(22) 하부의 제1단차부(21)를 일치시키고, 상부전면차폐판(22)을 제1수직보강부재(80) 내부에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 하부전면차폐판(28), 중앙전면차폐판(25) 및 상부전면차폐판(22) 내측의 제3,2,1단차부(27)(24)(21) 양단에 순차적으로 밀착되도록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후면차폐판(32), 중앙후면차폐판(33) 및 하부후면차폐판(34)의 조립통공(35) 내주연에 매설된 체결너트(36)에 아이볼트(70)를 체결시키고, 이를 기중기 등에 걸어 이동시켜 하부후면차폐판(34), 중앙후면차폐판(33) 및 상부후면차폐판(32)의 밀착단(31)을 순차적으로 밀착시킨 다음, 제1수직보강부재(80) 내부에 순차적으로 체결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면, 내부에 방사선 동위원소(2)와 레벨 디텍터(40)가 설치된 용기(1) 외주연 영역으로 차폐부재(20)가 조립되어 방사선 동위원소(2)에서 조사되는 방사선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용기(1) 내부에 저장되는 원료의 최대치와 최소치 위치의 용기(1)에 각각 설치되는 레벨 스위치(6) 외주연에는 레벨스위치 차폐부재(40)가 조립유지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레벨스위치 차폐부재(40)를 구성하고 있는 마감차폐판(47)의 마감밀착단(46) 양측에 형성된 통공(48) 내주연의 고정너트(49)에 아이볼트(70)를 체결한 다음, 아이볼트(70)에 기중기 등을 걸어 마감차폐판(47)을 이동시킨 후, 마감차폐판(47)을, 하부수평빔(200) 양단의 수직빔(300)과 동일 높이로 구비된 다수의 제1수직빔(310) 상부에 체결 고정되는 상부수평빔(400)에 고정된 제2수직보강부재(90)에 고정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 전면차폐판(42)의 통공(48) 내주연에 매설된 고정너트(49)에 아이볼트(70)를 체결한 다음, 이를 기중기 등에 걸어 전면차폐판(42)을 이동시켜 전면차폐판(42) 하부의 제4단차부(41)를, 마감차폐판(47)의 마감밀착단(46)에, 밀착시킨 다음, 제2수직보강부재(90)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면차폐판(42) 제4단차부(41) 양측에 한쌍의 후면차폐판(44)을, 한쌍의 후면차폐판(44)에 형성된 통공(48) 내주연의 고정너트(49)에 아이볼트(70)를 체결한 다음, 이를 기중기 등에 걸어 후면차폐판(44)을 순차적으로 이동시켜 전면차폐판(42) 양측의 제4단차부(41)에, 후면차폐판(44)의 후면밀착단(43)을 밀착시켜 제2수직보강부재(90)에 고정시키게 된다.
한편, 차폐부재(20) 사이와 인슐레이션(8) 외주연에 연결차폐부재(60)를 체결 고정하여 외부의 불필요한 방사선을 완전히 차폐시키게 된다.
즉, 연결차폐부재(50)를 구성하고 있는 하부연결차폐판(57) 상부의 관통공(56a) 내주연에 매설된 연결너트(58)에 아이볼트(70)를 체결하고, 이를 기중기 등에 걸어 차폐부재(20) 사이와 인슐레이션(8) 외주연에 순차적으로 하부연결차폐판(57)을 이동시킨 다음, 상부후면차폐판(32), 중앙후면차폐판(33) 및 하부후면차폐판(34) 외측의 제1수직보강부재(80)와 보강빔(450)에는 고정부재(500)가 체결 고정되어 하부후면차폐판(34)을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하부연결차폐판(57) 상부의 제2외측밀착단(56)에, 중앙연결차폐판(53)의 제2내측밀착단(54)이 밀착되도록 중앙연결차폐판(55)을 상기한 하부연결차폐판(57)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동시키고, 중앙연결차폐판(55)의 제1외측밀착단(53)에, 상부연결차폐판(52)의 제1내측밀착단(51)이 밀착되도록 상부연결차폐판(52)을 상기한 바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이동시킨 다음, 제1수직보강부재(80)와 보강빔(400)에 고정부재(500)로써 순차적으로 고정시키게 됨에 따라 차폐체 조립장치(10)의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상부연결차폐판(52), 중앙연결차폐판(55) 및 하부연결차폐판(57)의 연결부위 외주연에 연장되게 보강고정편(63)(64)을 용착 고정하고, 이 보강고정편(63)(64)의 조립관통공(62)에 고정볼트(65) 및 고정너트(66)로써 보강고정편(63)(64)을 체결하여 상부연결차폐판(52), 중앙연결차폐판(55) 및 하부연결차폐판(57)을 고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10)를 구성하고 있는 차폐부재(20), 레벨스위치 차폐부재(40) 및 연결차폐부재(60) 내부에는 공간부(700)가 형성되어 이에 방사선 차폐재인 납(720)이 주입됨으로써 방사선에 대한 차폐 효과를 얻게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차폐체 조립장치(10)에 대한 분해를 하기 위해서는 차폐부재(20)를 구성하고 있는 상부전면차폐판(22), 중앙전면차폐판(25) 및 하부전면차폐판(28)의 조립너트(27), 상부후면차폐판(32), 중앙후면차폐판(33) 및 하부후면차폐판(34)의 체결너트(36), 레벨스위치 차폐부재(40)의 고정너트(49) 및 연결차폐부재(50)의 연결너트(58)에 아이볼트(70)를 순차적으로 체결하고, 이 아이볼트(70)를 기중기 등에 걸어 순차적으로 분해하게 된다.
또한, 레벨 디텍터(4)가 멀티 형태로,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도 용기(1)의 브라렛과 레벨 디텍터(4)의 브라켓 연결부분만 해체하여 간편하게 교체 작업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방사선 동위원소와 레벨 디텍터의 외주연에 위치되는 차폐부재와; 레벨 스위치의 전방 영역으로 위치되는 레벨스위치 차폐부재와; 차폐부재 사이와 인슐레이션 외주연에 위치되는 연결차폐부재로 이루어져 방사선 동위원소에서 적정 각도로 조사되는 방사선 이외의 불필요한 방사선을 차폐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차폐부재, 레벨스위치 차폐부재 및 연결차폐부재의 각 부위에 너트부재를 매설하고, 이 너트부재에 아이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기중기 등으로 이동시켜 분해 및 조립을 하게 됨으로써 공정이 감소되어 작업성이 우수하게 되었으며, 화재 등으로 부분적인 손상시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여 경제적인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의 차폐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3은 도 1의 "A"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3의 "C"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의 차폐부재에 대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의 레벨스위치 차폐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
도 8은 도 7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9는 도 8의 "D"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의 연결차폐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C-C선 확대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E"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F"부분의 확대 단면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가 보강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2 : 방사선 동위원소
4 : 레벨 디텍터 6 : 레벨 스위치
20 : 차폐부재 21,24,27,41 : 제1,2,3,4단차부
22,32 : 상,하부전면차폐판 23,26 : 제1,2단차밀착단
25 : 중앙전면차폐판 28 : 하부전면차폐판
29 : 조립공 30 : 조립너트
31 : 밀착단 32,34 : 상,하부후면차폐판
33 : 중앙후면차폐판 35 : 조립통공
36 : 체결너트 40 : 레벨스위치 차폐부재
42 : 전면차폐판 43 : 후면밀착단
44 : 후면차폐판 46 : 마감밀착단
47 : 마감차폐판 48 : 통공
49 : 고정너트 50 : 연결차폐부재
51,54 : 제1,2내측밀착단 52,57 : 상,하부연결차폐판
53,56 : 제1,2외측밀착단 55 : 중앙연결차폐판
56a : 관통공 58 : 연결너트
60 : 보강부재 62 : 조립관통공
63,64 : 보강고정편 65 : 고정볼트
66 : 고정너트 70 : 아이볼트

Claims (8)

  1. 용기 외주연에 설치된 방사선 동위원소, 레벨 디텍터 및 레벨 스위치 외주연에 설치되어 방사선으로부터 작업자 및 공정계기를 보호하게 되는 방사선 차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동위원소(2)와 상기 레벨 디텍터(4)의 외주연에 위치되는 차폐부재(20);
    상기 레벨 스위치(6)의 전방 영역으로 위치되는 레벨스위치 차폐부재(40); 및
    상기 차폐부재(20) 사이와 인슐레이션(8) 외주연에 위치되는 연결차폐부재(6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20)는
    상기 방사선 동위원소(2)와 상기 레벨 디텍터(4)의 전면에 위치되고, 내측 상하부와 좌우측 단부로부터 동일 길이로 제1단차부(21)가 형성된 상부전면차폐판(22);
    상기 상부전면차폐판(22)의 제1단차부(21)에 밀착되도록 외측 상단에 제1단차밀착단(23)이 형성되고, 내측의 하부와 좌우측 단부로부터 동일 길이로 제2단차부(24)가 형성된 중앙전면차폐판(25);
    상기 하부전면차폐판(25)의 제2단차부(24)에 밀착되도록 외측 상단에 제2단차밀착단(26)이 형성되고, 내측 좌우측 단부에 제3단차부(27)가 형성된 하부전면차폐판(28); 및
    상기 상부전면차폐판(22), 상기 중앙전면차폐판(25) 및 상기 하부전면차폐판(28)의 제1,2,3단차부(21)(24)(27)에 밀착되는 밀착단(31)이 선단에 형성되고, 후단이 상기 인슐레이션(8)에 근접되게 위치되는 상부후면차폐판(32), 중앙후면차폐판(33) 및 하부후면차폐판(34);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부전면차폐판(22)의 제1단차부(21), 상기 중앙전면차폐판(25)의 제1단차밀착단(23) 및 상기 하부전면차폐판(28)의 제2단차밀착단(26)에는 조립공(29)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후면차폐판(32), 상기 중앙후면차폐판(33) 및 상기 하부후면차폐판(34)의 상,하부 양측에 조립통공(35)이 일치되게 형성되며,
    상기 조립공(29) 및 상기 조립통공(35)의 내주연에는 아이볼트(70)가 체결되는 조립너트(30) 및 체결너트(36)가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스위치 차폐부재(40)는
    상기 레벨 스위치(6)의 전면에 위치되고, 내측 좌우측과 하부의 단부로부터 동일 길이로 제4단차부(41)가 형성된 전면차폐판(42);
    상기 전면차폐판(42)의 제4단차부(41)에 밀착되는 후면밀착단(43)이 선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후단이 상기 인슐레이션(8)에 근접되게 위치되는 한쌍의 후면차폐판(44); 및
    상기 전면차폐판(42)의 제4단차부(41)에 밀착되는 마감밀착단(46)이 선단에 형성되고, 후단이 상기 인슐레이션(8)에 근접되며, 상기 후면차폐판(44)을 차단하게 되는 마감차폐판(47);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차폐판(42), 상기 후면차폐판(44)의 상부 양측과 상기 마감차폐판(47)의 마감밀착단(46) 양측에는 통공(48)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통공(48)의 내주연에는 상기 아이볼트(70)가 체결되는 고정너트(49)가 선택적으로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차폐부재(50)는
    상기 차폐부재(20) 사이와 상기 인슐레이션(8) 외주연에 내주연이 밀착되고, 내측 하단에 제1내측밀착단(51)이 형성된 상부연결차폐판(52);
    상기 상부연결차폐판(52)의 제1내측밀착단(51)에 밀착되도록 외측 상단에 제1외측밀착단(53)이 형성되고, 내측 하단에는 제2내측밀착단(54)이 형성된 중앙연결차폐판(55);
    상기 중앙연결차폐판(55)의 제1내측밀착단(54)에 밀착되도록 외측 상단에 제2외측밀착단(56)이 형성된 하부연결차폐판(57); 및
    상기 상부연결차폐판(52), 상기 중앙연결차폐판(55) 및 상기 하부연결차폐판(57) 사이의 연결부위에 고정된 보강부재(6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차폐부재(50)의 상부연결차폐판(52) 상부 양측과 상기 중앙연결차폐판(55)의 제1외측밀착단(53) 및 상기 하부연결차폐판(57)의 제2외측밀착단(56)에는 관통공(56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6a) 내주연에는 상기 아이볼트(70)가 체결되는 연결너트(58)가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60)는
    상기 상부연결차폐판(52), 상기 중앙연결차폐판(55) 및 상기 하부연결차폐판(57)의 연결부위 외주연에 연장되게 용착 고정되고, 조립관통공(62)이 대응되게 형성된 보강고정편(63)(64); 및
    상기 보강고정편(63)(64)의 조립관통공(62)에 체결 고정되는 고정볼트(65) 및 고정너트(66);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
KR20-2005-0018558U 2005-06-27 2005-06-27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 KR200396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558U KR200396920Y1 (ko) 2005-06-27 2005-06-27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558U KR200396920Y1 (ko) 2005-06-27 2005-06-27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4733A Division KR100595483B1 (ko) 2005-11-03 2005-11-03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920Y1 true KR200396920Y1 (ko) 2005-09-29

Family

ID=43698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558U KR200396920Y1 (ko) 2005-06-27 2005-06-27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9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3798A (ko) * 2012-10-15 2015-05-18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하이테크놀로지즈 패턴 검사·계측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669371B1 (ko) * 2015-11-26 2016-10-25 금성지티씨 주식회사 방사능 차폐를 위한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3798A (ko) * 2012-10-15 2015-05-18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하이테크놀로지즈 패턴 검사·계측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698700B1 (ko) 2012-10-15 2017-01-20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하이테크놀로지즈 패턴 검사·계측 장치 및 프로그램
KR101669371B1 (ko) * 2015-11-26 2016-10-25 금성지티씨 주식회사 방사능 차폐를 위한 비파괴 검사용 배관 내부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6920Y1 (ko)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
US4382464A (en) Radiator
KR100595483B1 (ko) 방사선 차폐체 조립장치
KR20160037494A (ko) 콘크리트 전주 손상 진단장치
US4530813A (en) Modular reactor head shielding system
JPH02187699A (ja) 原子炉格納容器構造物
KR101304950B1 (ko) 선박용 교량표지 점검대
KR101967278B1 (ko) 교량 점검 시설의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점검 시설 시공 방법
JP4748417B2 (ja) 円筒形貯槽の側板取替補修方法
US4518560A (en) Rail apparatus around nuclear reactor pressure vessel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JP2019127258A (ja) 船舶の検査方法、船舶の製造方法
JP5569737B2 (ja) 点検用架台および点検用架台の設置方法
CN205314367U (zh) 一种预应力钢绞线锚固装置
JP5715815B2 (ja) 建物ユニットの保管用支持具
JP3565371B2 (ja) 原子炉圧力容器の取り替え方法
CN202082582U (zh) 一种o形架在线位防撞及防辐射装置
JP4021312B2 (ja) 構造躯体及び構造躯体を利用した接地構造
JP5424394B2 (ja) 吊上げ設置型構造物の据え付け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される据え付け治具
KR102285997B1 (ko) 영구수조밀봉체의 상부를 차폐하는 방사선 차폐블럭
JP2020054158A (ja) 配線棚設置構造
CN209000556U (zh) 新型模拟反应堆工装
JP2019018993A (ja) 乗客コンベヤ発報システム
KR200339169Y1 (ko) 방사선을 이용한 몰드 레벨 게이지의 냉각 및 보호장치
CN209821977U (zh) 一种增强型声光报警器
FI118497B (fi) Kiinteä taottu vaippalaippa kiehutusreaktoria var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