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056B1 -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056B1
KR101669056B1 KR1020140136492A KR20140136492A KR101669056B1 KR 101669056 B1 KR101669056 B1 KR 101669056B1 KR 1020140136492 A KR1020140136492 A KR 1020140136492A KR 20140136492 A KR20140136492 A KR 20140136492A KR 101669056 B1 KR101669056 B1 KR 101669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incentive
service
serv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6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3540A (ko
Inventor
차명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Priority to KR1020140136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056B1/ko
Publication of KR20160043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3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모바일 인식장치가 오프라인 공간에 방문한 사용자의 모바일을 인식하여 자신의 식별정보와 함께 서버로 전달한다. 이후, 사용자가 해당 오프라인 공간의 AP를 이용하여 서버로 접속하면, 서버는 해당 모바일 인식장치와 AP의 조합에 대응하는 인센티브 설정정보를 인출하여,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앱 내에서 직접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of giving benefit to mobile user within mobile app on recognition of mobile, and computer system uti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모바일을 이용한 서비스 기술분야에 속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무선 인터넷 망으로 접속한 모바일의 식별정보를 인식하여, 해당 모바일에서 실행중인 앱 상에서 다양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언제 어디에서나 네트워크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와 기능의 앱을 통해, SNS에 기록을 남기거나, 인터넷 서핑을 하거나, 게임을 즐기는 등의 다양한 활동을 한다.
한편, 스마트폰 앱 가운데 상당수는 서버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필요로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4G 이동통신망을 이용하거나, 또는 와이파이로 무선 인터넷 망에 접속하기도 한다.
이동 중인 경우나, 주위에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AP가 없는 경우라면 부득이 4G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지만, 가정이나 회사, 까페나 식당, 백화점 등의 공공장소에서는 빠른 전송속도와 안정적인 접속이 가능한 와이파이가 선호된다.
이러한 까닭에 까페나 식당, 백화점 또는 기타 공공장소에서는 불특정 다수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AP(Access Point : 액세스 포인트)를 열어서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무료로 무선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해당 오프라인 공간에서 고객을 유치하기 위한 대고객 서비스의 일환으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단순히 무선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사용자들이 주로 즐기는 모바일 앱 내에서 직접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해준다면, 고객들은 해당 모바일 앱을 즐기기 위하여, 특정 오프라인 공간을 찾을 것이며, 이는 오프라인 공간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관점에서 오프라인 공간의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한 바 있다.
그런데, 사용자들이 모바일 앱의 사용에 과도하게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해당 오프라인 공간의 회전율을 떨어뜨리거나, 불특정다수에게 오픈된 AP를 무단으로 사용하여 부당하게 모바일 앱 내에서의 인센티브를 제공받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오프라인 공간을 이용하는 불특정 다수의 고객에게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AP를 오픈하면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7-0036219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모바일 역사 투어 게임 시스템 및 방법"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6-0042743 "게임 포인트 쿠폰을 이용한 인터넷에서의 게임 방법 및 게임 포인트에 따른 보상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오프라인 공간을 이용하는 불특정 다수의 고객에게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AP를 오픈하되, 해당 오프라인 공간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모바일을 인식함으로써 AP를 통해 무선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모바일 앱 내에서 혜택을 받는 사용자들을 보다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방법의 일 측면은,
모바일의 NFC 태그를 리딩함에 따라 모바일 인식장치-이때, 모바일 인식장치는 NFC 리더를 구비하며, 네트워크에 연결됨-가 상기 모바일의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이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와 동일한 오프라인 공간에 설치된 AP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로부터 상기 모바일이 접속한 AP의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이때, 상기 서버는 동일한 오프라인 공간에 설치된 모바일 인식장치와 AP의 조합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며, 해당 오프라인 공간과 관련된 인센티브 설정정보를 저장함-가 기 저장된 데이터를 조회하여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와 상기 AP의 조합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오프라인 공간에 대한 인센티브 설정정보를 인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이 상기 AP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동안, 상기 서버가 인출한 상기 인센티브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모바일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방법의 다른 일 측면은, 서버가,
모바일 인식장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가 수집한 모바일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이 AP를 경유하여 접속해옴에 따라, 상기 모바일로부터 상기 AP의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기 저장된 데이터를 조회하여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와 상기 AP의 조합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오프라인 공간에 대한 인센티브 설정정보를 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출한 인센티브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모바일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모바일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AP를 경유하여 접속해온 모바일로 제공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의 총량을 합산하되, 상기 오프라인 공간에 대하여 정해진 한도 이내에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거나,
상기 모바일이 AP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접속한 시점이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를 통해 상기 모바일의 식별정보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모바일에 대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의 제공을 거부하거나,
모바일로의 서비스 제공시간을 카운트하여, 일정시간 경과시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로 통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모바일 인식장치와 연결되며, 와이파이로 접속한 모바일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서버는,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가 수집한 모바일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모바일이 AP를 경유하여 접속해옴에 따라 상기 모바일로부터 상기 AP의 식별정보를 수집하고, 기 저장된 데이터 가운데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와 상기 AP의 조합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오프라인 공간에 대한 인센티브 설정정보를 인출하여, 상기 모바일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할 때,
오프라인 공간을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고객들이 주로 사용하는 모바일 앱 내에서 직접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모바일 앱을 사용하기 위하여 해당 오프라인 공간을 찾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특정 오프라인 공간의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
특히, 해당 오프라인 공간에서 음료나 서비스의 주문시 사용자의 모바일을 인식하여 서버로 모바일의 식별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오프라인 공간에서 AP를 통해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대한 인센티브의 제공을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해당 오프라인 공간에서의 고객의 주문 정보를 상기 모바일의 식별정보와 함께 서버로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이용패턴이나 취향 등을 손쉽게 분석할 수 있으며, 차회 고객의 해당 오프라인 공간 방문시에 고객에 대한 정보를 오프라인 공간에 설치된 모바일 인식장치 또는 이와 연결된 관리자용 컴퓨터로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다. 이러한 고객 정보는 다양한 방식으로 마케팅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모바일과 모바일 인식장치, AP 및 서버가 연결되는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서버의 구조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모바일과 모바일 인식장치 및 서버 간의 데이터 처리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오프라인 공간에서 AP를 통해 서버에 접속한 모바일에 인센티브가 제공되는 모습을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5는 오프라인 공간에서 일정시간 이상 와이파이를 사용한 모바일에 인센티브 제공이 종료된 모습을 예시하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을 서버의 관점에서 기술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모바일이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로서, AP를 통해 무선 인터넷 망에 접속할 수 있으며, 각종 앱-예컨대, 모바일 게임 앱-을 실행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공지의 스마트폰이나 타블렛 컴퓨터가 이러한 모바일의 정의를 만족한다. 이외에도 상기 정의를 만족하는 것이라면 그 형태나 명칭에 국한되지 않으며, 스마트폰이나 타블렛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에서, AP(Wireless Access Point)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무선 장치들을 유선 장치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AP는 일반적으로 유선망을 거치는 라우터에 연결되며 모바일과 같은 무선 장치의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한다.
이하에서, 모바일 인식장치란 소정 거리 이내의 모바일을 접촉 또는 비접촉식의 방식에 의하여 인식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모바일 인식장치는 NFC리더의 형태일 수 있으며, NFC 태그가 삽입된 모바일을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에 태깅함에 따라 해당 모바일을 인식하고, 상기 모바일의 식별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외에도, 모바일 인식장치는 블루투스 비콘(beacon)일 수 있으며,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모바일을 인식하고, 소정의 통신 프로토콜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의 식별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인식장치는 QR코드 리더일 수 있으며, 모바일에 부착된 QR 코드를 읽어, 상기 모바일의 식별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에 부착된 QR 코드는 상기 모바일의 식별정보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의 식별정보에 접근하기 위한 url을 포함한다.
모바일의 식별정보란, 모바일을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모바일의 ESN, 전화번호, 사용자의 ID, 맥어드레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AP 또는 모바일 인식장치의 식별정보란, AP 또는 모바일 인식장치를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식별 정보로는 맥어드레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고정 아이피 어드레스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맥어드레스 대신 아이피 어드레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앱의 식별정보란, 모바일의 운영체계 상에서 실행되는 앱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한다. 앱의 명칭이나 버전, 해쉬값, 고유식별자 등의 정보가 앱의 식별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인센티브란 앱 내에서 사용자의 서비스 이용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일련의 혜택을 말한다. 예컨대, 상기 앱이 모바일 게임인 경우 인센티브는 해당 모바일 게임 내에서 사용가능한 아이템이나 게임머니와 같은 가상재화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난이도를 낮추어 준다거나 클리어 조건을 완화해주는 등의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인센티브의 제공은 해당 게이머의 모바일 게임 계정의 정보를 갱신하여 보유한 아이템이나 게임머니의 수량이나 종류가 달라지도록 하거나, 또는 해당 모바일 게임의 파라메타 값을 임시로 변경해줌으로써 난이도나 클리어 조건을 완화하는 등의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인센티브 설정정보란, 모바일 앱 내에서 인센티브를 제공할 것인지 여부, 어떤 종류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것인지, 어느 정도의 크기나 양으로 제공할 것인지 가운데 하나 이상을 지시하는 정보를 의미한다.
도 1은 모바일과 모바일 인식장치, AP, 서버의 연결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모바일(4)은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 AP(3)를 경유하여 인터넷 망에 통해 서버(1)에 연결된다. 이때, 무선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 등의 공지의 근거리 무선 통신 표준이 사용될 수 있다.
모바일(4)은 앱이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해당 앱을 실행한다. 이때, 상기 앱은 예컨대 서버(1)를 통하여 다수의 게이머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모바일 온라인 게임일 수 있다.
서버(1)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다수의 모바일(4)로 각종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제공되는 서비스란 모바일 게임 서비스일 수 있다. 예컨대, 동시접속한 모바일(4) 사용자들의 모바일 게임 내 상태 정보 등을 동기화해줌으로써 원격지에 있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함께 게임 플레이를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서버(1)는 서비스 도중 특정 모바일(4)로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AP(3)는 가정이나 학교, 까페, 기타 공공장소에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모바일 인식장치(2)와 AP(3)가 동일한 장소에 설치되어 존재하는 것을 전제한다. 동일한 장소에 설치된다는 것은 동일한 건물, 동일 건물 내의 구획지어진 같은 공간, 기타 모바일의 사용자의 동선을 감안할 때 동일한 장소라 인식되는 공간에 설치된다는 의미이다. 예컨대, 도서관이나 까페 등의 오프라인 공간에 모바일 인식장치(2)와 AP(3)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은 AP(3)를 통해 접속한 모바일(4)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한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한 오프라인 공간에 대하여, 해당 오프라인 공간에서 모바일 앱을 실행할 경우 해당 모바일(4)을 인식하여, 해당 모바일(4)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즉, 임의의 모든 AP(3)를 대상으로 하지 않으며, 사전에 모바일 인식장치(2)와 AP(3)의 식별정보가 수집된 오프라인 공간을 대상으로 인센티브 제공이 이루어진다.
서버(1)는 이러한 모바일 인식장치(2)와 AP(3)가 설치된 오프라인 공간에 대하여, 모바일 인식장치(2)와 AP(3)의 식별정보의 조합에 해당하는 정보를 저장한다. 즉, 서버(1)는 모바일 인식장치(2)의 식별정보 또는 AP(3)의 식별정보 가운데 어느 하나에 의하여 해당 오프라인 공간을 특정할 수 있으며, 또한 모바일 인식장치(2)의 식별정보 또는 AP(3)의 식별정보 가운데 어느 하나가 입력되면 나머지 하나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서버(1)는 각 오프라인 공간에 대하여 인센티브 설정정보를 저장한다. 하기와 같은 모바일(4)에 대한 서비스, 인센티브의 제공은 해당 오프라인 공간의 운영자에 대한 일종의 부가 서비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기술되는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모바일(4), 모바일 인식장치(2) 및 AP(3)와 연결되는 서버(1)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서버(1)에서 실행되는 방법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서버의 하드웨어 구조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서버(1)는 프로세서(11), 스토리지(12), 네트워크 어댑터(13), 디스플레이(14) 및 입력장치(15)를 갖는다.
즉,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는 통상 CPU(Central Processing Unit)이라 지칭되며, 컴퓨터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어들을 실행한다.
스토리지(12)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원의 공급이 끊어져도 저장된 데이터가 소멸하지 않는다. 예컨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나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플래쉬 메모리 등이 이에 해당한다.
네트워크 어댑터(13)는 컴퓨터를 LAN 이나 인터넷 망 등에 접속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확장 카드나 기타 형태의 장치를 의미한다. 알려진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규약에 의하여 통신하기 위한 장치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4)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로서,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나 터치스크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입력장치(15)는 사용자가 컴퓨팅 디바이스(10)를 조작하기 위한 수단으로, 키보드나 마우스, 조이스틱 등이 이에 해당한다.
도 3은 모바일(4)과 모바일 인식장치(2) 및 서버(1) 간의 데이터 처리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이러한 데이터 처리가 수행되는 서버(1)의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모바일 인식장치(2) 및 AP(3)는 동일한 오프라인 공간에 설치되며, 모바일(4)의 사용자는, 상기 오프라인 공간을 이용하는 고객일 수 있다.
상기 오프라인 공간이 까페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자면, 우선 모바일(4)의 사용자가 해당 까페에 입장하여, 음료 등을 주문할 때에 모바일(4)을 NFC 리더를 포함하는 모바일 인식장치(2)에 태깅한다.
모바일 인식장치(2)는 이때 상기 모바일(4)의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1)로 전송한다.
사용자의 주문 정보를 함께 서버(1)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모바일 인식장치(2)는 주문 처리를 위한 단말(미도시)로부터 사용자의 주문 정보를 수신하여 전송할 수 있다.
서버(1)는, 네트워크 어댑터(13)를 통해 모바일 인식장치(2)로부터 모바일(4)의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2)의 식별정보를 더 수신한다.
한편, 서버(1)는 스토리지(12)에 각 오프라인 공간의 모바일 인식장치(2)와 AP(3)의 정보를 저장하는데, 프로세서(11)는 수신한 모바일 인식장치(2)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스토리지(12)에 기 저장된 정보를 조회함으로써 해당 오프라인 공간을 알 수 있으며, 해당 오프라인 공간의 AP(3) 정보를 알 수 있다.
이후, 네트워크 어댑터(13)를 통해 모바일(4)이 접속해옴에 따라, 서버(1)의 프로세서(11)는 해당 모바일(4)이 AP(3)를 경유하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접속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모바일(4)이 AP(3)를 통해 접속한 경우, 해당 AP(3)의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기 저장된 오프라인 공간의 AP(3) 정보와 대조함으로써, 상기 모바일(4)이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2)와 동일한 공간의 AP(3)를 통해 접속한 것인지 여부를 알 수 있다.
즉, 모바일(4)의 사용자가 주문시에 모바일 인식장치(2)를 태깅한 다음, 좌석에 앉아서 해당 까페에 설치된 AP(3)를 경유하여 와이파이로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모바일(4)의 전용앱을 실행시키면, 해당 전용앱은 미리 설정된 서버(1)의 주소로 접속을 시도한다.
이 경우,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서버(1)는 모바일(4)이 특정 오프라인 공간에서 모바일 인식장치(2)를 태깅하고, AP(3)를 경유하여 와이파이로 인터넷 망에 접속한 상태임을 판정할 수 있다.
한편, 서버(1)의 스토리지(12)는 해당 오프라인 공간-즉, 상기 예에서는 까페-에 대한 인센티브 설정정보를 저장한다.
프로세서(11)는 해당 오프라인 공간의 인센티브 설정정보를 인출한다.
그리고, 인출한 인센티브 설정정보에 따라서 상기 모바일(4)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예컨대, 상기 전용앱이 온라인 모바일 게임 앱인 경우, 사용자가 해당 까페에서 해당 온라인 모바일 게임 앱을 실행시키면, 서버(1)는 온라인 모바일 게임 내에서 해당 사용자에게 소정의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오프라인 까페인 라운지까페(판교점)에서는 해당 까페에 설치된 AP(3)를 통해 "모바일 게임 A"를 플레이하는 고객들에게, 퀘스트 제한 시간을 10분간 더 늘려줌으로써 난이도를 낮춰주는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인센티브의 제공은, 예컨대 해당 세션 동안 해당 모바일 게임의 파라메타 값을 임시로 변경해줌으로써 난이도나 클리어 조건을 완화하는 등의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모바일 온라인 게임 내에서 상기 모바일(4)의 사용자에게 아이템이나 게임머니를 지급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서버(1)는 해당 오프라인 공간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주문시 NFC 태깅을 통하여 인증을 수행한 다음, 해당 공간의 AP(3)를 통해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 모바일(4)의 식별정보를 수집함으로써 특정한 모바일(4) 또는 해당 오프라인 공간을 이용하는 모든 사용자들에 대한 서비스의 제공여부나, 제공정도, 방식을 제어하거나, 모바일(4)의 사용자나, 오프라인 공간의 운영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주문시 NFC 태깅을 한 후 상당히 긴 시간-예컨대, 24시간-이 경과한 다음 해당 까페의 AP(3)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정사용으로 보아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 제공을 거부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오프라인 까페의 AP(3)를 통해 서버(1)에 접속한 사용자가 모바일 게임 A를 실행하였으나, 해당 사용자가 인센티브를 제공받을 권한을 갖고 있지 않다는 내용의 메시지가 모바일(4)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다.
예컨대, 수 일전 까페를 방문한 적이 있으나, 오늘은 처음 방문하여 주문없이 단순히 AP(3)에 접속한 경우 이러한 메시지가 서버(1)에 의해 사용자의 모바일(4) 화면에 푸쉬되어 표시된다.
또는, 주문시 NFC 태깅을 한 후 상당히 긴 시간 동안 AP(3)를 통한 무선 인터넷 사용시 네트워크 어댑터(13)를 통해 모바일 인식장치(2)로 통지할 수 있다. 오프라인 공간의 운영자는 과도하게 장시간 해당 장소를 이용하는 고객을 인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안내하는 것이다.
또는, 해당 오프라인 공간의 사용자들에게 제공되는 인센티브의 총량을 규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서버(1)는 모바일(4)의 식별정보를 수집하되, 모바일(4) 사용자의 주문 정보를 더 수신하여 해당 까페 고객의 이용성향 등의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특정 고객이 주로 어떤 시간대에 방문하여, 어떤 음료를 주문하는 지와 같은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장기간에 걸쳐 확보된 이와 같은 정보는 사용자에 의한 모바일(4) 태깅 즉시 모바일 인식장치(2)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인식장치(2)와 연결된 매장용 컴퓨터(미도시)를 통해 해당 고객이 단골인지, 어떤 상품을 선호하는 지와 같은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해당 오프라인 공간의 마케팅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예에서는, 모바일 인식장치(2)가 NFC 리더를 포함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모바일 인식장치(2)가 블루투스 비콘(beacon)을 포함하는 경우라면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한 모바일을 인식하되, 블루투스 통신방식에 의하여 상기 모바일의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서버(1)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모바일 인식장치(2)가 QR 코드 리더를 포함하는 경우라면 모바일(4)에 부착된 QR 코드를 촬영한 다음 이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모바일(4)의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서버(1)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AP 정보를 이용한 모바일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은, 도 1과 같은 모바일 인식장치(2)와 서버(1)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우선 사용자가 모바일(4)을 모바일 인식장치(2)에 태깅함에 따라, 모바일 인식장치(2)가 상기 모바일(4)의 NFC 태그를 리딩한다.
한편, 모바일 인식장치(2)는 상기 모바일(4)의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서버(1)로 전송한다(S11).
한편, 이와는 별개로 사용자가 모바일(4)을 조작하여, 해당 오프라인 공간 내에서 AP(3)를 통해 무선 통신방식에 의하여 인터넷망에 접속한다.
모바일(4)에서 실행된 전용앱은 기 저장된 서버(1)의 주소로 액세스한다(S12).
이에 따라, 서버(1)는 상기 모바일(4)로부터 상기 모바일(4)이 접속한 AP(3)의 식별정보를 수집한다(S13).
서버(1)는, 기 저장된 각 오프라인 공간별 모바일 인식장치(2)와 AP(3)의 조합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2)와 AP(3)의 조합에 해당하는 정보가 조회되는 경우-즉, 사용자가 해당 오프라인 공간에서 모바일 인식장치(2)를 통해 인증을 수행한 다음, AP(3)를 통해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경우- 해당 오프라인 공간에 대하여 미리 저장된 인센티브 설정정보를 인출한다(S14).
이후, 서버(1)는 상기 모바일(4)이 상기 AP(3)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동안, 상기 인출한 인센티브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모바일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한다(S15).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방법의 일 측면을 서버의 관점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을 서버의 관점에서 기술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은 서버(1)에 의하여 실행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할 때, 서버(1)가 모바일 인식장치(2)로부터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2)가 수집한 모바일(4)의 식별정보를 수신한다(S21).
이후, 상기 모바일(4)이 AP(3)를 경유하여 접속해옴에 따라, 상기 모바일(4)로부터 상기 AP(3)의 식별정보를 수집한다(S22).
한편, 서버(1)는 계약된 각 오프라인 공간의 모바일 인식장치(2)와 AP(3)의 식별정보의 조합을 저장하는데, 상기 모바일(4)로부터 수집한 AP(3)의 식별정보를 조회함으로써, 수집한 식별정보가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2)가 설치된 것과 동일한 오프라인 공간의 AP(3)의 식별정보인지를 알 수 있다.
즉,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2)와 상기 AP(3)의 조합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모바일 인식장치(2)로부터 모바일(4)의 식별정보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모바일(4)로부터 상기 AP(3)의 식별정보를 수집하였다면, 모바일(4)의 사용자가 태깅 이후 동일한 오프라인 공간에서 일정시간 이내에 AP(3)를 경유하여 서버(4)로 접속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정당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의 제공요건을 만족한다.
따라서, 서버(1)는 해당 오프라인 공간에 대한 인센티브 설정정보를 인출한다(S23).
이후, 서버(1)는 상기 인출한 인센티브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모바일(4)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한다(S24).
인센티브의 제공은, 예컨대 해당 세션 동안 해당 모바일 게임의 파라메타 값을 임시로 변경해줌으로써 난이도나 클리어 조건을 완화하는 등의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1)와 모바일(4)의 연결이 끊어지면 인센티브의 제공은 중단되며, 모바일(4)이 서버(1)로 접속하게 되면 서버(1)는 인센티브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다시 판단하게 된다.
또는, 해당 사용자의 모바일 온라인 게임 계정의 정보를 갱신하여 보유한 아이템이나 게임머니의 수량이나 종류가 달라지도록 처리할 수 있다.
게임 플레이가 시작하기 직전에 서버(1)가 아이템 등을 지급함으로써 해당 게이머의 모바일 게임 계정의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수치를 모바일(4)로 제공함으로써 인센티브 제공을 처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공되는 인센티브는 해당 세션이 끊어진다고 해도 여전히 게임 내에서 반영되어 차회의 게임 접속시, 특정 AP(3)를 통한 접속 여부와 무관하게 효력이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의 제공은 무한정 이루어지지 않으며, 해당 오프라인 공간의 운영자에 대한 계약 조건이나,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 제공의 총량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S24 단계에서, 상기 서버(1)는 AP(3)를 경유하여 접속해온 모바일(4)로 제공된 서비스의 총량을 합산한다. 그리고, 상기 오프라인 공간에 대하여 정해진 한도 이내에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또는,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2)가 상기 모바일(4)을 인식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의 접속인 경우에 대해서만 상기 모바일(4)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까페에서 음료를 주문한 다음 24시간이 경과한 이후 동일한 장소에서 AP(3)를 통해 서버(1)로 접속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의 제공을 거부하는 것이다.
또는, 과도하게 오랜 시간 동안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 제공의 혜택을 누리는 경우, 해당 오프라인 공간의 회전율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에, 서버(1)는 상기 모바일(4)로의 서비스 제공시간을 카운트하여, 일정시간 경과시에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 제공을 중단하거나, 또는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2)로 특정 모바일(4)에 대한 서비스 제공이 상당시간 동안 지속 되었음을 안내할 수 있다.
한편,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방법은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명령어의 집합인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기록 매체에 수록될 수 있다.
이때,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DVD-ROM, CD-ROM, 하드 디스크, USB 메모리, 플래쉬 메모리와 같은 유형물을 들 수 있다.
한편, 기록매체에 수록된다는 표현은 이와 같은 유형의 기록매체에 수록되는 경우는 물론, 무형의 반송파(Carrier Wave)의 형태로 통신회선을 통해 제공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서버가 단일 서버인 경우를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분산컴퓨팅 환경에서 동일한 동작을 부하경감을 위하여 다수의 서버로 분리하는 것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에서 서버는 단일 서버인 경우는 물론, 둘 또는 그 이상의 서버군인 경우를 배제하지 아니한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모바일 기술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원격지의 모바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로 활용될 수 있다.
1 : 서버
11 : 프로세서
12 : 스토리지
13 : 네트워크 어댑터
14 : 디스플레이
15 : 입력장치
2 : 모바일 인식장치
3 : AP
4 : 모바일

Claims (15)

  1. 모바일의 NFC 태그를 리딩함에 따라 모바일 인식장치-이때, 모바일 인식장치는 NFC 리더를 구비하며, 네트워크에 연결됨-가 상기 모바일의 식별정보를 수집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이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와 동일한 오프라인 공간에 설치된 AP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접속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로부터 상기 모바일이 접속한 AP의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서버-이때, 상기 서버는 동일한 오프라인 공간에 설치된 모바일 인식장치와 AP의 조합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며, 해당 오프라인 공간과 관련된 인센티브 설정정보를 저장함-가 기 저장된 데이터를 조회하여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와 상기 AP의 조합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오프라인 공간에 대한 인센티브 설정정보를 인출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이 상기 AP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동안, 상기 서버가 인출한 상기 인센티브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모바일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NFC 태그의 리딩은 상기 해당 오프라인 공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이루어지며,
    상기 모바일에서 이용하는 앱은 온라인 모바일 게임이며,
    상기 해당 오프라인 공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에 따라 상기 온라인 모바일 게임에 대응하는 인센티브가 제공되며,

    상기 모바일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모바일이 AP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접속한 시점이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를 통해 상기 모바일의 식별정보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인 경우, 상기 모바일에 대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되,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모바일에 대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의 제공을 거부하는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방법.
  2. 서버가,
    모바일 인식장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가 수집한 모바일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이 AP를 경유하여 접속해옴에 따라, 상기 모바일로부터 상기 AP의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기 저장된 데이터를 조회하여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와 상기 AP의 조합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오프라인 공간에 대한 인센티브 설정정보를 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인출한 인센티브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모바일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의 식별정보는 상기 해당 오프라인 공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생성되며,
    상기 모바일에서 이용하는 앱은 온라인 모바일 게임이며,
    상기 해당 오프라인 공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에 따라 상기 온라인 모바일 게임에 대응하는 인센티브가 제공되며,

    상기 모바일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모바일이 AP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접속한 시점이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를 통해 상기 모바일의 식별정보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인 경우, 상기 모바일에 대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되,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모바일에 대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의 제공을 거부하는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AP를 경유하여 접속해온 모바일로 제공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의 총량을 합산하되, 상기 오프라인 공간에 대하여 정해진 한도 이내에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방법.
  4. 삭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버는 상기 모바일로의 서비스 제공시간을 카운트하여, 일정시간 경과시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로 통지하는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센티브 설정정보를 인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인센티브 설정정보는, 해당 AP를 통해 접속한 모바일에 대하여 인센티브가 제공되는 앱의 식별정보와 제공되는 인센티브의 내용을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앱 내에서 상기 모바일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에 대해 해당 세션동안 상기 온라인 모바일 게임의 파라메타 값을 임시로 변경함으로써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모바일의 온라인 모바일 게임 계정에 대하여 상기 온라인 모바일 게임 내에서 사용가능한 가상 재화를 지급함으로써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방법.
  9.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모바일 인식장치와 연결되며, 와이파이로 접속한 모바일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서버는,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로부터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가 수집한 모바일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되, 상기 모바일이 AP를 경유하여 접속해옴에 따라 상기 모바일로부터 상기 AP의 식별정보를 수집하고, 기 저장된 데이터 가운데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와 상기 AP의 조합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오프라인 공간에 대한 인센티브 설정정보를 인출하여, 상기 모바일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상기 모바일의 식별정보는 상기 해당 오프라인 공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시 생성되며,
    상기 모바일에서 이용하는 앱은 온라인 모바일 게임이며,
    상기 해당 오프라인 공간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이용에 따라 상기 온라인 모바일 게임에 대응하는 인센티브가 제공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모바일이 AP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접속한 시점이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를 통해 상기 모바일의 식별정보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이내인 경우 상기 모바일에 대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되,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모바일에 대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 제공을 거부하는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서버는 AP를 경유하여 접속해온 모바일로 제공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의 총량을 합산하되, 상기 오프라인 공간에 대하여 정해진 한도 이내에서 서비스 또는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11. 삭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모바일로의 서비스 제공시간을 카운트하여, 일정시간 경과시 상기 모바일 인식장치로 통지하는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센티브 설정정보는, 해당 AP를 통해 접속한 모바일에 대하여 인센티브가 제공되는 앱의 식별정보와 제공되는 인센티브의 내용을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모바일이 실행중인 앱 내에서 상기 모바일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모바일에 대해 해당 세션동안 상기 온라인 모바일 게임의 파라메타 값을 임시로 변경함으로써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모바일의 온라인 모바일 게임 계정에 대하여 상기 온라인 모바일 게임 내에서 사용가능한 가상 재화를 지급함으로써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시스템.
KR1020140136492A 2014-10-10 2014-10-10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669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492A KR101669056B1 (ko) 2014-10-10 2014-10-10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6492A KR101669056B1 (ko) 2014-10-10 2014-10-10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540A KR20160043540A (ko) 2016-04-22
KR101669056B1 true KR101669056B1 (ko) 2016-10-26

Family

ID=55918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6492A KR101669056B1 (ko) 2014-10-10 2014-10-10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90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249A1 (ko) * 2016-10-31 2018-05-03 넷마블게임즈 주식회사 와이파이와 연동한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1075A (ja) * 2006-07-12 2008-01-3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lanにおける認証システムおよび認証方法、認証サーバ、ならびに認証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2743A (ko) 2004-11-10 2006-05-15 강준규 게임 포인트 쿠폰을 이용한 인터넷에서의 게임 방법 및게임 포인트에 따른 보상 시스템
KR20070036219A (ko) 2005-09-29 2007-04-03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모바일 역사 투어 게임 시스템 및방법
KR20120087260A (ko) * 2010-12-20 2012-08-07 주식회사 스마트로 무선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는 멤버십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43078B1 (ko) * 2012-10-25 2015-08-11 박기업 스마트폰과 ap와의 근거리 통신을 통한 지역기반으로 이용자에게 사업장 홍보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140103579A (ko) * 2013-02-18 2014-08-27 주식회사 엔씨소프트 근거리무선통신을 이용한 무선네트워크 접속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1075A (ja) * 2006-07-12 2008-01-3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lanにおける認証システムおよび認証方法、認証サーバ、ならびに認証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249A1 (ko) * 2016-10-31 2018-05-03 넷마블게임즈 주식회사 와이파이와 연동한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07178B1 (ko) * 2016-10-31 2018-12-05 넷마블 주식회사 와이파이와 연동한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TWI676498B (zh) * 2016-10-31 2019-11-11 網石遊戲股份有限公司 與無線網路連接的遊戲服務提供裝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3540A (ko) 2016-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19084B (zh) 用於銷售訊息傳送及傳遞系統之信標訊息傳送點之方法及裝置
US9477964B2 (en) Marketing system and marketing method
AU20132595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in-store retail experience using location awareness
EP3028477B1 (en) Facilitating individualized user interaction with an electronic device
US20150081382A1 (en) Customer relationship account augmentation based on wireless detection of mobile devices, with personalized messaging
US201301733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rketing and sales promotion
TW201342282A (zh) 由無線通訊賦能的促銷與商業交易
CN104285455A (zh) 用于基于位置的、互动的消费者参与平台的系统和方法
KR101249059B1 (ko) 정보 교환 장치,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관리 시스템
US20130175337A1 (en) Context aware smart packaging and real-time merchandising
KR20130082966A (ko) 매장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스마트 매장
KR101197641B1 (ko) 이벤트 정보 제공 및 홍보 서비스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9727888B2 (en) Sales promotion assisting system
KR101669056B1 (ko) 모바일 인식을 통한 모바일 앱 내 인센티브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140180940A1 (en) Real time product verification by use of NFC technology
KR20170133869A (ko) 비콘을 이용한 일행을 확인하기 위한 단말, pos 단말, 비콘 관리 서버, 비콘 신호 송출기, 일행 관리 서버 및 그를 포함하는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70024720A (ko) 사용자 장치, 서비스 제공 장치, pos 단말, 그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 그의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09093148A1 (en) Database and method of broadcasting information
KR101591292B1 (ko) 온라인 상의 게임 캐릭터 피규어 제작 주문 관리 방법 및 그 관리 서버
KR101289720B1 (ko) 온라인 게임 통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버
KR101746785B1 (ko) 모바일 단말의 위치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모바일 단말,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기록매체
US2018015053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erver, storage medium stor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816304B1 (ko) 모바일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25641A (ko) 액세스 포인트 정보를 이용한 모바일 게임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US20220138751A1 (en) Remote server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