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986B1 - 모나스커스 색소 유도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모나스커스 색소 유도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986B1
KR101668986B1 KR1020140022506A KR20140022506A KR101668986B1 KR 101668986 B1 KR101668986 B1 KR 101668986B1 KR 1020140022506 A KR1020140022506 A KR 1020140022506A KR 20140022506 A KR20140022506 A KR 20140022506A KR 101668986 B1 KR101668986 B1 KR 101668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rivative
monascus
preventing
derivatives
threon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1164A (ko
Inventor
신철수
최덕영
장희영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22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986B1/ko
Publication of KR20150101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38Quinolines; Isoquinol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741Quinolines; Isoquinol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densed with ring system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tubocuraran derivatives, noscapine, bicucull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모나스커스 색소 유도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르면 체중 증가 효과를 억제하여, 효과적으로 비만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나스커스 색소 유도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monascus pigment derivative for preventing, alleviating or treating obesity}
본 출원은 모나스커스 색소 유도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발전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하여 위생환경이 개선되고 잦은 인스턴트 음식물 섭취와 육식위주의 식생활 변화 등은 과다한 열량의 섭취를 유발한다. 그러나 이러한 현대인의 식생활 변화는 턱없이 부족한 운동 등으로 인하여 소모열량이 적기 때문에 빠른 비만인구의 증가경향을 보이고 있다. 비만은 단순히 외형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비만이 지속됨으로써 여러 가지 질환, 즉,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관상동맥질환 등과 같은 성인 질병을 비롯하여 유방암, 자궁암 및 대장암 등을 야기하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이제는 치명적인 질병 중 하나로 취급되고 있다.
현재 비만을 치료하는 치료제로는 크게 중추 신경계에 작용하여 식욕에 영향을 주는 약제와 위장관에 작용하여 흡수를 저해하는 약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들은 원발성 폐고혈압이나 심장 판막병변과 같은 부작용을 일으키기도 하며, 혈압감소나 유산산혈증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심부전, 신질환 등의 환자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모나스커스 색소는 식용으로 이용할 정도로 안전성이 검증된 색소로서, 모나스커스 속(Monascus sp.) 미생물에 의해 생산된다. 모나스커스 색소는 예로부터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 인도네시아 등 동아시아권 국가들에서 홍주, 홍두부 등의 전통식품 발효에 이용되어왔다.
모나스커스 색소는 내열성이 강하고, 사용가능한 pH 범위도 넓어 염착성이 양호하며, 10여 종 이상의 성분이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나스커스 색소의 주성분으로 황색소인 모나신(monacin), 안카플라빈(ankaflavin), 주황색소인 모나스코루브린(monascorubrin), 루브로펑타틴(rubropunctatin), 적색소인 모나스코루브라민(monascorubramine), 루브로펑타민(rubropunctamine)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 색소 성분들은 각기 여러 가지 용매들에 대해 용해특성이 상이하고, 사용 균주, 영양기질, 배양조건 등에 따라 각각의 생산비율과 생산량 등이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참조: Chen & Johns, Appl . Microbiol. Biotechnol ., 40:132-138, 1993).
모나스커스 색소 유도체에 대하여 KR10-2004-0082143 및 KR 10-2009-0033187에서 개시하고 있다. KR10-2004-0082143은 모나스커스 색소 아미노산 유도체의 지방분해효소 저해활성에 대하여 개시한다. 그러나, KR10-2004-0082143은 모나스커스 색소의 L-트립토판, D-타이로신, L-류신 유도체의 지방분해 효소 활성 저해 효과만을 제시할 뿐, 모나스커스 트레오닌 유도체의 실질적인 체중 증가 억제 효과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KR 10-2009-0033187은 모나스커스 색소 아민 유도체의 지방전구세포 분화 저해 효과를 개시하나, 모나스커스 트레오닌 유도체의 실질적인 체중 증가 억제 효과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4-0082143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2009-0033187호
Chen & Johns, Appl. Microbiol. Biotechnol., 40:132-138, 1993
본 출원의 목적은 모나스커스 트레오닌 유도체의 비만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18867672-pat00001
상기 식에서, R은 C1 -12 알킬, C2 -12 알케닐, C2 -12 알키닐이다.
본 출원은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에 따르면 체중 증가 효과를 억제하여, 효과적으로 비만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도 1은 모나스커스 트레오닌 유도체의 생성에 따른 색의 변화를 보여준다.
도 2는 모나스커스 트레오닌 유도체의 HPLC(도 2A) 및 LC-MS(도 2B) 수행 결과를 보여준다.
도 3은 마우스에서 모나스커스 트레오닌 유도체의 체중 증가 억제 효과를 보여준다.(●: 일반식이(ND), ○:고지방식이(HFD), ▼: HFD + 물(DW), △: HFD + 트레오닌 유도체 0.01mg/g-mouse/day, ■: HFD + 트레오닌 유도체 0.05mg/g-mouse/day, □: HFD + 트레오닌 유도체 0.1mg/g-mouse/day)
도 4는 본 출원에 따른 모나스커스 트레오닌 유도체, 모나스커스 트리에탄올아민 유도체(TEA 유도체) 및 트립토판 유도체(Thr 유도체)의 체중 증가 억제 효과 비교 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본 출원은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은 또한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018867672-pat00002
상기 식에서, R은 C1 -12 알킬, C2 -12 알케닐, C2 -12 알키닐이다.
본 출원에서 용어, 「알킬」은 일반적으로 명시된 수의 탄소원자 (예컨대, 1 내지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직쇄 및 분지형 포화 탄화수소 기를 의미한다. 알킬기의 예는 제한없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s-부틸, i-부틸, t-부틸, 펜트-1-일, 펜트-2-일, 펜트-3-일, 3-메틸부트-1-일, 3-메틸부트-2-일, 2-메틸부트-2-일, 2,2,2-트리메틸에트-1-일, n-헥실, n-헵틸 및 n-옥틸 등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용어, 「알케닐」및 「알키닐」은 1개 이상의 이중 결합 및 1개 이상의 삼중 결합을 함유하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알케닐기의 예는 제한 없이 에텐일, 1-프로펜-1-일, 1-프로펜-2-일, 2-프로펜-1-일, 알릴 등을 포함한다. 알키닐기의 예는 제한 없이 에티닐, 2-프로피닐, 2-부티닐, 1,3-부타디닐 등을 포함한다. 알킬, 알케닐 또는 알키닐은 부착이 원자가 필요조건을 위반하지 않는다면 임의의 고리 원자에서 부모 기(parent group) 또는 기재(substrate)에 부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는 부착이 원자가 요구조건을 위반하지 않는다면 하나 이상의 비수소 치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R은 C1 -8 알킬, C2 -8 알케닐 또는 C2 -8 알키닐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R은 C4 -8 알킬, C4 -8 알케닐 또는 C4 -8 알키닐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R은 펜트-1-일 또는 n-헵틸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모나스커스 트레오닌 유도체로, 모나스커스 오렌지 색소인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과 하기 화학식 3의 트레오닌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4018867672-pat00003
[화학식 3]
Figure 112014018867672-pat00004
상기 식에서, R은 C1 -12 알킬, C2 -12 알케닐, C2 -12 알키닐이다.
구체적으로, 모나스커스 속 미생물로부터 얻은 상기 화학식 2의 모나스커스 오렌지 색소와 상기 화학식 3의 트레오닌을 반응시켜 모나스커스 트레오닌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모나스커스 오렌지 색소 및 트레오닌을 상온에서 30분 내지 1시간 동안 반응시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모나스커스 오렌지 색소 및 트레오닌의 중량비율은 예를 들어, 7:1 내지 1:1, 5:1 내지 1:1, 또는 3:1 내지 1:1 일 수 있다.
모나스커스 오렌지 색소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모나스커스 속 미생물을 통상의 발효 배지에서 배양하여 모나스커스 오렌지 색소를 얻을 수 있다. 모나스커스 속 미생물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KCCM 10093(Monascus sp. KCCM 10093)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생물 발효액에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고, 실리카겔에 흡착시킨 후, 실리카겔-색소 혼합물에 용매를 첨가, 세척 및 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모나스커스 오렌지 색소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반응에 의해 트레오닌 유도체가 생성되면, 모나스커스 색소의 색이 오렌지색에서 적색으로 변하게 된다. 이러한 색의 변화로부터 육안으로 트레오닌 유도체 화합물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체중 증가 억제 효과가 있으므로, 비만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의약으로 사용되는 경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은 유효 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투여용 약제학적 활성 화합물을 제형화 할 경우에 유용하고 사용 조건하에 사실상 비독성 및 비민감성인 공지된 약제학적 부형제를 의미한다. 이러한 부형제의 정확한 비율은 활성 화합물의 용해도와 화학적 특성, 선택된 투여경로뿐만 아니라, 표준 약제학적 관행에 의해 결정된다.
본 출원의 의약 조성물은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향미제 등과 같은 보조제를 사용하여 원하는 투여 방법에 적합한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의약 조성물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정제, 캅셀제, 환제, 과립제, 산제, 주사제 또는 액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의약 조성물의 제형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당업계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기 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Urquhart et al., Lancet, 16:367, 1980]; [Lieberman et al., PHARMACEUTICAL DOSAGE FORMS-DISPERSE SYSTEMS, 2nd ed., vol. 3, 1998]; [Ansel et al., PHARMACEUTICAL DOSAGE FORMS & DRUG DELIVERY SYSTEMS, 7th ed., 2000]; [Martindale, THE EXTRA PHARMACOPEIA, 31st ed.];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6th-20th editio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Goodman and Gilman, eds., 9th ed., 1996]; [Wilson and Gisvolds' TEXTBOOK OF ORGANIC MEDICINAL AND PHARMACEUTICAL CHEMISTRY, Delgado and Remers, eds., 10th ed., 1998]. 또한 의약 조성물을 제제화하는 원리는 또한 예를 들어, 하기 문헌[Platt, Clin Lab Med, 7:289-99, 1987]; [Aulton, PHARMACEUTICS: THE SCIENCE OF DOSAGE FORM DESIGN, Churchill Livingstone, NY, 1988]; [EXTEMPORANEOUS ORAL LIQUID DOSAGE PREPARATIONS, CSHP, 1998], ["Drug Dosage," J Kans Med Soc, 70(1):30-32, 1969] 등을 참조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의약 조성물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유효량은 질환의 치료를 이루는데 요구되는 양을 의미한다. 따라서,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 성분 및 다른 성분의 종류 및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성인의 경우, 화학식 1의 화합물은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시, 총 50 내지 30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총 100 내지 10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이 식품으로 사용되는 경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는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이외에, 포도당, 과당과 같은 단당류;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이당류; 또는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다당류가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코올; 타우린,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감미제 등이 또한 첨가될 수 있으며, 나아가 기타의 식품 첨가물이 첨가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의약 조성물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제화되어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하거나, 각종 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음료류, 육류, 초코렛, 식품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사탕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 음료류,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식품류 또는 유제품 등이 있다.
본 출원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체중 증가 실험을 수행한 결과, 고지방 식이를 제공한 마우스에서 유의하게 체중 증가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체중 증가 억제 효과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농도 의존적이었다. (실시예 1). 또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인 모나스커스 트레오닌 유도체는 기존에 알려진 모나스커스 트리에탄올아민 유도체 및 모나스커스 트립토판 유도체에 비하여, 우수한 체중 증가 억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특히, 트레오닌 유도체의 경우 사람이 섭취하여도 무방한 모나스커스 오렌지 색소와 아미노산인 트레오닌(Threonine; Thr)이 합성된 것이므로 인체에는 무해한 안전한 물질로 간주됨을 고려할 때, 본 출원의 트레오닌 유도체는 적색소 용도의 식품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큰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제조예 1] 모나스커스 색소의 아미노산 유도체 합성
제조예 1. 1 모나스커스 균주의 배양을 통한 오렌지 색소 생산
Monascus sp. J101(KCCM 10093)이 배양된 사면배지에 균체를 백금이로 취하여 75ml의 미즈타니(Mizutani) 배지(5.0% 글루코스, 2.0% 박토 펩톤(Bacto peptone), 0.8% KH2 PO4, 0.2% CH3COOH, 0.1% NaCl, 0.05% MgSO4 ·7H2O)가 들어있는 500ml 플라스크에 첨가한 후 30℃, 150rpm 회전형 진탕기에서 48시간 배양하여 1차 종배양 액을 얻은 후 이를 5ml 취하여 1차 종배양과 동일한 조건 하에서 24시간 배양하여 2차 종배양을 수행하였다. 이어, 3L 발효배지(5% 글루코스, 0.3% NH4 NO3, 0.1% NH2 PO4, 0.05% MgSO4 ·7H2 O, 0.05% KCl 및 0.001% FeSO4·7H2 O)를 포함하고 있는 5L 발효조에 2차 종배양액을 7% 되게 첨가한 후 30℃, 500rpm, 1vvm 공기공급속도 조건하에서 120시간 배양하였다. 오렌지 색소 함량은 스펙트로포토미터를 이용하여 파장 470nm에서 측정하였으며, 발효 배양액의 최종 수율은 300OD units가 얻어졌다. 이렇게 얻어진 발효 배양액을 여과를 통해 여과액은 버리고 잔여물만을 모았다.
4000ml 유리 용기에 상기와 같이 얻은 잔여물을 넣고 에틸아세테이트를 대략 3000ml 정도 첨가한 후 왕복 진탕기에서 24시간 추출한 다음, 여과를 통해 여과액만을 모았다. 증발기를 이용해 여과된 추출액을 50 ml정도의 양으로 농축시켰다. 농축된 색소 용액을 50ml 취하여 10g의 실리카겔에 흡착시키고 회전형 증발기에서 건조시켜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색소 혼합물 50ml에 헥산을 동량 첨가하여 씻어내고 건조시키는 과정을 수 차례 반복한 후, 에틸아세테에이트 30ml를 첨가하여 오렌지 색소를 추출하고 건조시켜 최종 분말가루 형태의 오렌지 색소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1. 2 모나스커스 색소의 트레오닌 유도체 합성
에탄올에 용해된 제조예 1.1의 오렌지 색소와 증류수에 용해된 트레오닌을 10% 포타?? 포스페이트 버퍼(pH 9.7)로 혼합하고, 혼합물을 교반시키면서, 한 시간 동안 인큐베이트하였다. 그 후, 포타슘 포스페이트 버퍼를 제거하여 모나스커스 색소 트레오닌 유도체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트레오닌 유도체는 육안으로 색의 변화를 관찰하여 확인할 수 있다. 모나스커스 오렌지 색소에 아미노산이 도입되면, 오렌지 색소의 산소 분자가 아미노산의 질소로 치환됨에 따라 오렌지색에서 적색으로 변하게 된다 (도 1).
GOLD C18 컬럼(Hypersil, 250 X 4.6 mm, 5um)으로, 40분, 0.8 ml/분의 속도, 농도구배 조건(100:0 내지 30:70, 증류수: 메탄올) 하에서, HPLC(HP-110, USA)를 수행하여 수득된 트레오닌 유도체의 순도를 확인하였다 (도 2A).
모나스커스 색소 트레오닌 유도체를 동정하기 위하여, LC-MS 분석법으로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ACQUITY UPLC BEH C18 컬럼 (2.1×50 mm, 1.7 um ; Waters)이 있는 UPLC LTQ Orbitrap XL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 USA)을 사용하여, 18 분, 0.3 ml/분의 속도 및 농도구배 조건 (100:0 내지 30:70, 증류수/60% MeOH+40% 아세토니트릴)으로, 2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ESI-positive mode에서 질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무 전압은 5 kV이었다. 질소 시스 가스 (nitrogen sheath gas) 및 보조 가스의 주입 속도는 50 및 5(arbitrary units)이었다. 모세관 전압(V), 튜브 렌즈 전압 (V) 및 모세관 온도 (℃)는 각각 35 V, 100 V, 및 370 ℃로 유지되었다.
그 결과, L-트레오닌 유도체의 R의 C5H11 및 C7H15은 각각 456 및 484의 m/z 값에 의해 확인되었다 (도 2B).
[실시예 1] 모나스커스 색소 트레오닌(Threonine; Thr) 유도체의 체중 증가 억제 효과
인 비보(in vivo)에서, 제조예 1에 따란 합성된 모나스커스 색소 Thr 유도체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C57BL/6 마우스를 이용하여 체중 증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 식단을 제공한 마우스 군을 대조군으로 하고, 고지방 식단과 함께 모나스커스 색소 트레오닌 유도체를 경구 투여한 마우스 군을 실험군으로 분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고지방 식이는 할렌 테클라드(Harlan Teklad; 열량의 60%가 지방)로써 마우스에게 섭취시켰으며 일반 식이는 로덴트 초우(rodent chow)를 섭취시켰다.
실험군의 마우스에게는 매일 0.01 mg/g-mouse, 0.05 mg/g-mouse, 0.1 mg/g-mouse의 농도로 색소 유도체를 경구투여하였다.
마우스 그룹과 식이 제공표
그룹 식이
대조군 HFD 고지방 식이 제공
ND 일반 식이 제공
HFD(DW) 고지방 식이와 Thr 유도체가 없는 물만을 제공
실험군 MTD0.01 고지방 식이와 0.01 mg Thr 유도체 제공
MTD0.05 고지방 식이와 0.05 mg Thr 유도체 제공
MTD0.1 고지방 식이와 0.1 mg Thr 유도체 제공
(HFD = High fat diet, ND = Normal diet)
각 그룹당 6 마리의 마우스를 각각의 케이지 안에서 12주 동안 연세대학교 실험동물연구센터에서 사육하였고, 마우스의 식이 섭취량과 몸무게는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1주에 2번씩 기록하여 측정하였다. 12주 후, 대조군과 실험군의 체중의 변화와 식이 소비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고지방 식이를 먹인 그룹은 일반 식이를 먹인 그룹에 비해 체중이 2.8배 증가하였다. 반면에 트레오닌 유도체를 먹인 그룹은 고지방 식이를 먹인 그룹에 비해 체중 증가량이 모두 감소하였다. 특히, MTD0.1 그룹의 마우스들은 고지방 식이군에 비해 약 43%나 체중 증가량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3).
[실시예 2] 모나스커스 색소 유도체의 체중 증가 억제 효과 비교
다양한 모나스커스 색소 유도체와 본 출원의 트레오닌 유도체의 체중 증가 억제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지방분해효소 활성이 있다고 알려진 모나스커스 색소 트리에탄올아민(TEA) 유도체와 지방전구세포 분화 저해 활성이 있다고 알려진 모나스커스 색소 트립토판(Trp) 유도체를 선정하여, 각 실험군의 마우스에게 0.5mg/g-mouse 의 농도의 유도체를 경구투여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 하에서 체중 증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트리에탄올아민 유도체는 트리에탄올아민 자체 물성이 액체이기 때문에 트리에탄올아민을 물에 용해시키는 과정만 제외하고 제조예 1.2와 동일한 방식으로 트리에탄올아민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트립토판 유도체는 트레오닌 대신 트립토판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1.2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체중 증가 실험 결과, 대조군, Trp 유도체, TEA 유도체, Thr 유도체는 각각 순서대로 10.63g, 8.33g, 8.86g, 6.3g의 체중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대조군 대비 Trp 유도체의 체중 증가 억제 활성은 21.6%이고 대조군 대비 TEA 유도체의 체중증가 억제 활성은 16.7%이며 대조군 대비 Thr 유도체의 체중증가 억제 활성은 40.7%였다. 즉, Thr 유도체는 Trp 유도체에 비하여 19.1%, TEA 유도체에 비하여 24% 더 우수한 체중증가 억제 활성이 있다 (도 4).
이는 본 출원의 트레오닌 유도체는 다른 아민이나 아미노산 유도체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체중 증가 억제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028156632-pat00005

    상기 식에서, R은 C5H11 알킬 또는 C7H15 알킬이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 조성물.
  5.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6028156632-pat00006

    상기 식에서, R은 C5H11 알킬 또는 C7H15 알킬이다.
  6. 삭제
  7. 삭제
KR1020140022506A 2014-02-26 2014-02-26 모나스커스 색소 유도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68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506A KR101668986B1 (ko) 2014-02-26 2014-02-26 모나스커스 색소 유도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506A KR101668986B1 (ko) 2014-02-26 2014-02-26 모나스커스 색소 유도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164A KR20150101164A (ko) 2015-09-03
KR101668986B1 true KR101668986B1 (ko) 2016-10-25

Family

ID=54242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506A KR101668986B1 (ko) 2014-02-26 2014-02-26 모나스커스 색소 유도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9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86236T3 (es) * 2017-05-08 2021-12-16 Univ Danmarks Tekniske Procedimiento para producir una azafilona en Talaromyces atroroseus
CN109908134A (zh) * 2019-04-10 2019-06-21 福州大学 一种利用红曲色素组份及其衍生物制备的抗癌制剂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FOOD CHEMISTRY, 2012.03)
논문(J. AGRIC. FOOD CHEM., 2003)
학위논문(김종훈, 연세대학교, 20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164A (ko) 2015-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70407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s, containing diterpene-based compound
CN110964027B (zh) 一种二苯基庚烷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药物组合物及其应用
US6376682B1 (en) Compound with α-glucosidase inhibiting a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745338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610577B2 (ja) 睡眠改善剤および鎮静剤ならびにそれらの使用
KR101668986B1 (ko) 모나스커스 색소 유도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97109B1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142311B2 (ja) ゲニポシド酸誘導体
KR20130047458A (ko) Ppar 작용 조절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00286415A1 (en) Sleep-improving agent
CN115154453B (zh) 一种aspulvinone类化合物在制备抗糖尿病药物中的用途
WO2012140894A1 (ja) 医薬用組成物
CN112592328B (zh) 草豆蔻中二芳基庚烷-查尔酮聚合物及其药物组合物与应用
US20100029918A1 (en) Novel polyphenol glycoside isolated from acerola
CN110903270B (zh) 一种2,6-环氧二苯基庚烷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药物组合物及其应用
US20230404946A1 (en) Use of (5r,7r,10r)-12,15-dioxo-alpha-selinene in the preparation of drugs
US9453016B2 (en) Terpenoid spiro ketal compounds with LXR agonists activity, their use and formulations with them
JP2000086653A (ja) 二糖加水分解酵素阻害剤
KR101850752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80025655A (ko) 포도나무 수피로부터 분리된 bace-1 저해 효과를 갖는활성물질을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101655554B1 (ko) 택사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50097710A (ko) 선택적 폐암 억제활성을 갖는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
CN110256518B (zh) 苦瓜中提取的降血糖化合物
JP7239135B2 (ja) α-グルコシダーゼ活性阻害剤および血糖値上昇抑制剤
KR102113563B1 (ko) 하이드란제놀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 근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