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859B1 - 인쇄위치 조정방법 및 그를 위한 인쇄장치 - Google Patents

인쇄위치 조정방법 및 그를 위한 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859B1
KR101668859B1 KR1020150013614A KR20150013614A KR101668859B1 KR 101668859 B1 KR101668859 B1 KR 101668859B1 KR 1020150013614 A KR1020150013614 A KR 1020150013614A KR 20150013614 A KR20150013614 A KR 20150013614A KR 101668859 B1 KR101668859 B1 KR 101668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gnment mark
printing
mark
trigger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3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2785A (ko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김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KR1020150013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859B1/ko
Publication of KR20160092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2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41F33/04Tripping devices or stop-motions
    • B41F33/14Automatic control of tripping devices by feelers, photoelectric devices, pneumatic devices, or other detectors

Landscapes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Abstract

인쇄위치 조정방법이 제공된다. 인쇄위치 조정방법은, (a)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인쇄롤러 중 어느 하나가 인쇄지에 제1트리거마크, 및 제1정렬마크를 인쇄하는 단계, (b) 제1트리거마크를 감지하여 제1트리거신호를 발생시키고 제1트리거신호로 카메라를 작동시켜 제1정렬마크를 촬영하는 단계, (c) 복수 개의 인쇄롤러 중 후행하는 다른 하나가 인쇄지에 제2트리거마크, 및 제2정렬마크를 인쇄하는 단계, (d) 제2트리거마크를 감지하여 제2트리거신호를 발생시키고 제2트리거신호로 카메라를 작동시켜 제1정렬마크 및 제2정렬마크를 촬영하는 단계, (e) 제1정렬마크가 촬영된 제1영상과, 제1정렬마크 및 제2정렬마크가 촬영된 제2영상을 대비시켜 제2영상에서 상기 제1정렬마크가 촬영된 부분을 소거하는 단계, (f) 제2영상에서 제1정렬마크가 촬영된 부분을 소거하여 얻어진 제3영상으로부터 인쇄롤러 사이의 인쇄오차를 검출하는 단계, 및 (g) 복수 개의 인쇄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인쇄오차를 해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쇄위치 조정방법 및 그를 위한 인쇄장치{Printing position adjusting method and printing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인쇄위치를 조정하는 방법 및 그를 위한 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인쇄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인쇄위치 조정방법 및 그를 위한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문자, 그림, 동영상 등을 손쉽게 표현하고 재생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이로 인해 종래 광범위하게 사용되던 인쇄물의 제작이 일부 감소하기도 하였으나, 인쇄물은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로 드러내기 어려운 질감, 색감 등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거나, 시각적인 편안함을 주거나, 여러 가지 재료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 등을 가지고 있어 아직도 다양한 방면으로 응용되고 있다.
인쇄물을 인쇄하기 위한 인쇄방식은 꾸준히 발전되어 왔다. 예를 들어, 인쇄체의 인쇄면을 볼록, 오목, 또는 평판 형태로 구성하여 인쇄지에 접촉시키는 다양한 인쇄방식이 있으며 특히, 이러한 인쇄면을 회전하는 롤러 표면에 형성하여 인쇄물을 기계적으로 대량 생산하는 인쇄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1550호 등에는 이러한 인쇄방식이 적용된 인쇄장치들이 다수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인쇄방식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인쇄롤러를 이용하여 단색이나 다색으로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종이나 필름 등의 인쇄지를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인쇄롤러로 순차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다양한 색상으로 유려하게 인쇄물을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 개의 인쇄롤러를 사용하는 경우 서로 다른 인쇄롤러 사이에 정렬이 흐트러질 수 있어 롤러 간의 조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가 있다.
즉, 인쇄롤러의 정렬위치가 서로 불일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인쇄품질이 떨어지고 정밀한 인쇄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 인쇄지의 여백 등에 이를 확인하기 위한 마크를 함께 인쇄하여 불일치의 정도를 확인하고 롤러를 조정하였다. 그러나, 고속으로 회전하는 롤러에 의해 인쇄된 마크를 사용자가 일일이 확인하기 어려웠으며, 불일치의 정도도 명확하게 판별하기 매우 힘들었다. 따라서, 롤러에 대한 조정이 정확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1550호, (2014. 07.23)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인쇄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인쇄위치 조정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며, 아울러,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인쇄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인쇄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인쇄위치 조정방법은, (a) 인쇄지의 이송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인쇄롤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인쇄지에 제1트리거마크, 및 상기 제1트리거마크와 이격된 제1정렬마크를 인쇄하는 단계; (b) 스캐너로 상기 제1트리거마크를 감지하여 제1트리거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트리거신호로 카메라를 작동시켜 상기 제1정렬마크를 촬영하는 단계; (c) 상기 복수 개의 인쇄롤러 중 후행하는 다른 하나가 상기 인쇄지에 제2트리거마크, 및 상기 제2트리거마크와 이격되고 상기 제1정렬마크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제2정렬마크를 인쇄하는 단계; (d) 스캐너로 상기 제2트리거마크를 감지하여 제2트리거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2트리거신호로 카메라를 작동시켜 상기 제1정렬마크 및 상기 제2정렬마크를 촬영하는 단계; (e) 상기 제1정렬마크가 촬영된 제1영상과, 상기 제1정렬마크 및 상기 제2정렬마크가 촬영된 제2영상을 대비시켜,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제1정렬마크가 촬영된 부분을 소거하는 단계; (f)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제1정렬마크가 촬영된 부분을 소거하여 얻어진 제3영상으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인쇄롤러 사이의 인쇄오차를 검출하는 단계; 및 (g) 상기 복수 개의 인쇄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상기 인쇄오차를 해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f) 단계는, 상기 제3영상에 남은 상기 제2정렬마크의 면적과, 소거된 상기 제1정렬마크의 면적을 비교하여 상기 인쇄오차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소거된 상기 제1정렬마크의 픽셀 수에 대한, 상기 제3영상에 남은 상기 제2정렬마크의 픽셀 수의 비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인쇄오차가 없는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상기 (f) 단계는, 상기 제3영상에 남은 상기 제2정렬마크의 위치와, 소거된 상기 제1정렬마크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인쇄오차의 방향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e) 단계는, 상기 제1영상과 상기 제2영상의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상기 제1정렬마크와 상기 제2정렬마크의 경계면에 위치한 에지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1트리거마크와 상기 제1정렬마크는 서로 동일한 색상으로 인쇄되고, 상기 제2트리거마크와 상기 제2정렬마크는 서로 동일한 색상으로 인쇄되되 상기 제1트리거마크 및 상기 제1정렬마크와는 다른 색상으로 인쇄될 수 있다.
상기 제1트리거마크와 상기 제1정렬마크 사이의 거리 A는 상기 제2트리거마크와 상기 제2정렬마크 사이의 거리 B보다 길거나 짧고, 상기 제1트리거신호가 발생되어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시간 C는 상기 제2트리거신호가 발생되어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시간 D보다 길거나 짧되, 상기 거리 A에 스캐너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합한 거리 A'와 상기 시간 C의 비율 A'/C, 및 상기 거리 B에 스캐너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합한 거리 B'와 상기 시간 D의 비율 B'/D는, 상기 복수 개의 인쇄롤러의 회전속도와 각각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 및 상기 (d) 단계는, 카메라의 작동시점과 동기화되어 카메라와 인접한 스트로브가 점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인쇄장치는, 인쇄지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 상기 인쇄지의 이송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인쇄롤러; 상기 복수 개의 인쇄롤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쇄되는 제1트리거마크, 및 상기 제1트리거마크와 이격되는 제1정렬마크 중에서 상기 제1트리거마크를 감지하고 제1트리거신호를 생성하는 제1스캐너; 상기 제1트리거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정렬마크를 촬영하는 제1카메라; 상기 복수 개의 인쇄롤러 중 후행하는 다른 하나로부터 인쇄되는 제2트리거마크, 및 상기 제2트리거마크와 이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정렬마크와 중첩되는 제2정렬마크 중에서 상기 제2트리거마크를 감지하고 제2트리거신호를 생성하는 제2스캐너; 상기 제2트리거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2정렬마크 및 상기 제1정렬마크를 함께 촬영하는 제2카메라; 상기 제1카메라가 촬영한 제1영상과 상기 제2카메라가 촬영한 제2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제1정렬마크가 촬영된 부분을 소거하여 제3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제3영상으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인쇄롤러 사이의 인쇄오차를 검출하는 영상판독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인쇄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상기 영상판독부가 검출한 상기 인쇄오차를 해소하는 롤러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쇄장치는, 상기 제1카메라 및 상기 제2카메라의 작동시점과 동기화되어 점멸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쇄위치 조정방법에 의하면, 촬영된 영상의 분석 및 비교 판독을 통해서 인쇄롤러 간의 정렬상태, 정렬상태의 흐트러짐으로 인한 인쇄오차 등을 매우 편리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인쇄오차를 제거하여 인쇄위치를 조정하고 인쇄품질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쇄장치로 인쇄롤러 간의 정렬상태, 정렬상태의 흐트러짐으로 인한 인쇄오차 등을 매우 편리하고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된 인쇄오차를 제거하여 인쇄위치를 조정하고 인쇄품질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쇄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인쇄지에 인쇄된 제1트리거마크 및 제1정렬마크와, 제1카메라가 촬영한 제1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인쇄지에 인쇄된 제1트리거마크, 제2트리거마크, 제1정렬마크, 및 제1정렬마크와 중첩된 제2정렬마크와, 제2카메라가 촬영한 제2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영상, 제2영상, 및 제2영상으로부터 제1정렬마크가 촬영된 부분을 소거하여 얻어진 제3영상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3영상을 보다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인쇄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쇄장치 조정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쇄위치 조정방법 및 그를 위한 인쇄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이 일관성 있고 간결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우선 인쇄장치에 대해 설명을 진행한 후, 이를 바탕으로 인쇄위치 조정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쇄장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쇄장치(1)는 인쇄지(2)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500), 인쇄지(2)의 이송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인쇄롤러(100, 200), 복수 개의 인쇄롤러(100, 2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쇄되는 제1트리거마크 및 제1정렬마크 중에서, 제1트리거마크를 감지하고 제1트리거신호를 생성하는 제1스캐너(110), 제1트리거신호를 입력받고 제1정렬마크를 촬영하는 제1카메라(120), 복수 개의 인쇄롤러(100, 200) 중 후행하는 다른 하나로부터 인쇄되는 제2트리거마크 및 제2정렬마크 중에서, 제2트리거마크를 감지하고 제2트리거신호를 생성하는 제2스캐너(210), 제2트리거신호를 입력받고 제1정렬마크 및 제2정렬마크를 함께 촬영하는 제2카메라(220), 제1카메라(120)가 촬영한 제1영상과, 제2카메라(220)가 촬영한 제2영상을 입력받고, 제2영상에서 제1정렬마크가 촬영된 부분을 소거하여 제2영상을 추출하고, 제3영상으로부터 복수 개의 인쇄롤러(100, 200) 사이의 인쇄오차를 검출하는 영상판독부(300), 및 복수 개의 인쇄롤러(100, 200)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영상판독부(300)가 검출한 인쇄오차를 해소하는 롤러제어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쇄장치(1)는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인쇄롤러(100, 200)를 사용하여 인쇄지(2)에 다양한 색상으로 인쇄하되, 복수 개의 인쇄롤러(100, 200) 중 어느 하나로부터는 제1트리거마크(도 2 및 도 3의 21참조), 및 제1정렬마크(도 2 및 도 3의 23참조)를 인쇄하고, 후행하는 다른 하나로부터는 제2트리거마크(도 3의 22참조) 및 제2정렬마크(도 3의 24참조)를 인쇄한다. 제1트리거마크 및 제1정렬마크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2트리거마크와 제2정렬마크도 서로 이격되어 있으나, 제1정렬마크와 제2정렬마크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중첩된다. 인쇄장치(1)는 제1정렬마크와 제2정렬마크가 중첩된 정도를 검사하여 인쇄롤러(100, 200) 사이의 인쇄오차를 판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쇄장치(1)는 제1정렬마크와 제2정렬마크가 중첩된 정도를 촬영된 영상을 통해 편리하고, 정밀하게 판독할 수 있다. 인쇄장치(1)는 영상 내에서 제1정렬마크가 촬영된 부분을 소거하는 처리방식을 통해 인쇄오차의 크기나, 인쇄오차가 형성된 방향(즉, 인쇄지 내에서 글자, 그림, 도형 등이 어긋난 방향)을 매우 효과적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쇄오차가 해소되도록 인쇄롤러(100, 200)를 조정하여 인쇄품질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인쇄장치(1)는 제1트리거마크 및 제2트리거마크로 트리거신호를 생성하고, 카메라가 트리거신호에 의해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필요한 만큼의 영상데이터만을 취득하여 처리하고 불필요한 영상데이터 등이 과도하게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처리를 통한 인쇄오차의 검출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인쇄장치(1)도 매우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갖는 인쇄장치(1)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인쇄지(2)는 이송롤러(500) 사이로 급지되어 이송롤러(500)를 따라 이송된다. 이송롤러(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연속적으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인쇄지(2)의 이송경로에 위치하여 회전하면서 인쇄지(2)와 접촉할 수 있다. 인쇄지(2)는 이송롤러(500)와 접촉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이송되거나 이송되는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송롤러(500) 중 일부에 냉매를 채워 인쇄지(2)를 냉각시키거나, 이송롤러(500) 사이에 열원을 배치하여 인쇄지(2)에 인쇄된 도막이 빠르게 정착되도록 다양하게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인쇄지(2)는 인쇄장치(1)를 통과하여 인쇄되는 대상으로, 종이나 비닐 등 시트(sheet) 형태로 가공이 가능한 여러 가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 상에서 인쇄되는 대상을 인쇄지로 지칭하여 설명하나, 인쇄지(2)의 재질이 반드시 종이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인쇄지(2)는 종이, 플라스틱, 섬유, 등 롤러에 감겨 이송이 가능하거나, 롤러와 접촉하여 인쇄가 가능한 부분을 포함하는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인쇄롤러(100, 200)는 인쇄지(2)의 이송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인쇄롤러(100, 200)는 외주면이 인쇄지(2) 표면과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인쇄롤러(100, 200)는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잉크(I1, I2)와 접촉하여 인쇄지(2)에 서로 다른 색상의 인쇄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선행하는 하나의 인쇄롤러(100)로부터 제1트리거마크 및 제1정렬마크가 인쇄되고, 후행하는 다른 하나의 인쇄롤러(200)로부터 제2트리거마크 및 제2정렬마크가 인쇄될 때, 제1트리거마크와 제1정렬마크는 서로 동일한 색상으로 인쇄되고, 제2트리거마크와 제2정렬마크는 서로 동일하되 제1트리거마크 및 제1정렬마크와는 다른 색상으로 인쇄될 수 있다. 인쇄롤러(100, 200)의 일 측에는 인쇄영역이 아닌 나머지 부분에 도포된 잉크를 제거하는 독타블레이드(100a, 100b)가 설치될 수 있다.
인쇄롤러(100, 20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다색 인쇄를 위해 둘, 셋, 넷 또는 그 이상의 인쇄롤러를 순차적으로 배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인쇄롤러(100, 200)의 배치는 예시적인 것이며 인쇄롤러(100, 200)는 도시된 것보다 많은 개수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제1트리거마크 및 제1정렬마크와, 제2트리거마크 및 제2정렬마크 역시 복수 개 중 어느 하나의 인쇄롤러로부터 인쇄지(2)에 먼저 인쇄되는 마크(제1트리거마크 및 제1정렬마크)와, 다른 하나의 인쇄롤러로부터 인쇄지(2)에 나중에 인쇄되는 마크(제2트리거마크 및 제2정렬마크)를 구분하기 위한 것일 뿐, 명칭에 의해 개수 등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네 개의 인쇄롤러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각각의 인쇄롤러로부터 트리거마크 및 정렬마크가 모두 인쇄될 수 있고, 이 중 첫번째 인쇄롤러와 네번째 인쇄롤러를 비교하는 경우, 첫번째 인쇄롤러가 인쇄한 트리거마크 및 정렬마크가 제1트리거마크 및 제1정렬마크로 기능하고, 네번째 인쇄롤러가 인쇄한 트리거마크 및 정렬마크가 제2트리거마크 및 제2정렬마크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인쇄롤러를 비교하여 상호간의 인쇄오차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인쇄롤러(100, 200) 중 선행하는 어느 하나의 인쇄롤러(100) 주위에는 제1스캐너(110), 제1카메라(120), 및 제1스트로브(130)가 형성되고, 후행하는 다른 하나의 인쇄롤러(200) 주위에는 제2스캐너(210), 제2카메라(220), 및 제2스트로브(230)가 형성된다. 제1스캐너(110)는 복수 개의 인쇄롤러(100, 20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쇄된 제1트리거마크(21)를 감지하고 제1트리거신호를 생성하며, 제1카메라(120)는 제1트리거신호를 입력받고 작동하여 제1트리거마크와 이격되어 인쇄된 제1정렬마크를 촬영한다. 또한, 제2스캐너(210)는 복수 개의 인쇄롤러(100, 200) 중 후행하는 다른 하나로부터 인쇄된 제2트리거마크(22)를 감지하고 제2트리거신호를 생성하며, 제2카메라(220)는 제2트리거신호를 입력받고 제2트리거마크와 이격되며 제1정렬마크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제2정렬마크를 상기 제1정렬마크와 함께 촬영한다.
이와 같이 스캐너가 트리거마크를 감지하고, 트리거신호를 생성하며, 트리거신호에 의해 카메라가 각각 작동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카메라(제1카메라 및 제2카메라)는 정렬마크만을 반복적으로 촬영하고 불필요한 영상은 촬영하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트리거마크와 정렬마크를 서로 이격하여 인쇄지(2)에 반복적으로 형성함으로써, 트리거마크를 구동신호로 사용하여 카메라를 반복적으로 온/오프 시키고, 정렬마크가 촬영된 영상을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제1스트로브(130)가 제1카메라(120)의 작동시점과 동기화되어 점멸하고, 제2스트로브(230)가 제2카메라(220)의 작동시점과 동기화되어 점멸함으로써, 카메라는 인쇄지(2)와 함께 고속으로 움직이는 정렬마크를 정지화상에 가깝게 명확하게 인식하여 촬영할 수 있다. 트리거마크, 정렬마크, 및 영상의 처리과정 등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스캐너(110) 및 제2스캐너(210)는 스캐닝 센서가 위치한 단부가 각각 인쇄지(2)를 향하도록 인쇄지(2)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제1카메라(120) 및 제2카메라(220)는 각각 인쇄지(2)를 향해 포커싱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스트로브(130) 및 제2스트로브(230)는 각각 제1카메라(120) 및 제2카메라(220)의 주위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스트로브(130) 및 제2스트로브(230)의 점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각각의 카메라와 스트로부 주변은 상대적으로 어둡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스캐너(110), 제1카메라(120), 및 제1스트로브(130)는 제1제어부(14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스캐너(210), 제2카메라(220), 및 제2스트로브(230)는 제2제어부(24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를 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스캐너(110)가 제1트리거마크를 감지하여 제1트리거신호를 생성하면, 제1트리거신호는 제1제어부(140)를 거쳐 제1카메라(120)로 입력될 수 있다. 이 때, 제1제어부(140)는 제1트리거신호에 동기화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제1스트로브(130)를 함께 작동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스캐너(210)가 제2트리거마크를 감지하여 제2트리거신호를 생성하면, 제2트리거신호는 제2제어부(240)를 거쳐 제2카메라(220)로 입력될 수 있다. 이 때에도, 제2제어부(240)는 제2트리거신호에 동기화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제2스트로브(230)를 함께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각각의 스캐너가 생성한 트리거신호로 카메라 및 스트로브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영상판독부(300)는 제1제어부(140) 및 제2제어부(240)와 각각 연결되어 제1카메라(120)가 촬영한 제1영상과 제2카메라(220)가 촬영한 제2영상을 입력받고, 제2영상에서 제1정렬마크가 촬영된 부분을 소거하여 제3영상을 추출하고, 제3영상으로부터 복수 개의 인쇄롤러(100, 200) 사이의 인쇄오차를 검출한다. 영상판독부(300)는 예를 들어, 그래픽 처리에 특화된 프로세서 등을 구비한 영상처리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영상판독부(300)는 제1카메라(120)가 촬영한 영상과 제2카메라(220)가 촬영한 영상을 모두 입력받고, 처리하여, 영상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다. 영상판독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어부(140) 및 제2제어부(240)를 경유하여 영상데이터를 입력받을 수도 있으나, 제1카메라(120) 및 제2카메라(220)와 직결되어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영상판독부(300)는 제1카메라(120)가 촬영한 제1영상, 및 제2카메라(220)가 촬영한 제2영상을 비교 분석하여 제2영상으로부터 제1정렬마크가 촬영된 부분을 소거하고, 나머지 부분이 나타난 제3영상을 추출한다. 즉, 제2영상에 중첩되어 함께 촬영된 제1정렬마크와 제2정렬마크 중 제1정렬마크가 촬영된 부분을 소거하고 나머지 부분만을 명확하게 남기는 처리를 통해 정렬마크 사이의 어긋난 정도와 어긋난 방향(인쇄롤러 간의 인쇄오차의 크기 및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영상판독부(300)는 제1영상과 제2영상의 색상, 채도, 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는 영상 변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정렬마크와 제2정렬마크의 경계면에 위치한 에지(영상 내에서 농담, 채도, 명암 등의 강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부분)를 추출하여 작은 오차도 명확히 드러낼 수 있다. 영상판독부(300)의 영상 처리과정에 대해서도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롤러제어부(400)는 서로 다른 인쇄롤러(100, 200)에 각각 연결되어 롤러 회전, 회전위치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면 상에 간략히 도시되었지만, 각각의 인쇄롤러(100, 200)는 벨트, 체인, 기어와 같은 동력전달장치가 구동모터 등에 연결되어 형성된 구동부나, 롤러의 회전축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정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롤러제어부(400)는 이러한 구동부나 조정장치 등에 연결되어 이를 제어하고 인쇄롤러(100, 200)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영상판독부(300)가 검출한 인쇄오차의 방향, 크기 등에 대응하여 조작량을 비례적으로 설정함으로써 복수 개의 인쇄롤러(100, 200) 사이에서 발생한 인쇄오차를 매우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쇄위치 조정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은 도 7은 순서도를 기준으로 나머지 도면을 참조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인쇄위치 조정방법은, 인쇄지의 이송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인쇄롤러 중 어느 하나가 인쇄지에 제1트리거마크, 및 제1트리거마크와 이격된 제1정렬마크를 인쇄하는 단계, 스캐너로 제1트리거마크를 감지하여 제1트리거신호를 발생시키고, 제1트리거신호로 카메라를 작동시켜 제1정렬마크를 촬영하는 단계, 복수 개의 인쇄롤러 중 후행하는 다른 하나가 인쇄지에 제2트리거마크, 및 제2트리거마크와 이격되고 제1정렬마크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제2정렬마크를 인쇄하는 단계, 스캐너로 제2트리거마크를 감지하여 제2트리거신호를 발생시키고, 제2트리거신호로 카메라를 작동시켜 제1정렬마크 및 제2정렬마크를 촬영하는 단계, 제1정렬마크가 촬영된 제1영상과, 제1정렬마크 및 제2정렬마크가 촬영된 제2영상을 대비시켜, 제2영상에서 제1정렬마크가 촬영된 부분을 소거하는 단계, 제2영상에서 제1정렬마크가 촬영된 부분을 소거하여 얻어진 제3영상으로부터 복수 개의 인쇄롤러 사이의 인쇄오차를 검출하는 단계, 및 복수 개의 인쇄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인쇄오차를 해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각 단계를 통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정렬마크와 제2정렬마크가 중첩된 정도를 영상촬영을 통해 편리하고 정밀하게 판독할 수 있으며, 영상 내에서 제1정렬마크가 촬영된 부분을 소거하는 처리방식을 통해 인쇄오차의 크기나, 인쇄오차가 형성된 방향(즉, 인쇄지 내에서 글자, 그림, 도형 등이 어긋난 방향)을 매우 효과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제1트리거마크 및 제2트리거마크로 트리거신호를 생성하고, 카메라가 트리거신호에 의해 동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필요한 만큼의 영상데이터만을 취득하여 처리하고 불필요한 영상데이터 등이 과도하게 축적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단계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이송롤러(500) 및 인쇄롤러(100, 200)를 구동하여 인쇄장치(1)를 작동시킨다(S110). 인쇄장치(1)가 작동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지(2)가 복수 개의 이송롤러(500)를 통과하여 이동하고, 인쇄지(2)의 이동경로에 위치한 서로 다른 인쇄롤러(100, 200)와 순차적으로 접촉하여 인쇄지(2) 표면에 그림, 글자, 도형 등이 인쇄된다. 이 때, 각각의 인쇄롤러(100, 200)로부터 트리거마크 및 정렬마크가 인쇄지(2)에 함께 인쇄된다.
인쇄지(2)는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인쇄롤러(100, 200) 중 선행하는 어느 하나의 인쇄롤러(100)를 먼저 통과한다. 이 때, 상기 인쇄롤러(100)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트리거마크(21) 및 이와 이격된 제1정렬마크(23)를 인쇄한다(S120). 제1트리거마크(21) 및 제1정렬마크(23)는 인쇄지(2)의 여백 부분에 인쇄지(2)의 진행방향(도 2 (a)의 점선화살표 참조)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인쇄될 수 있다.
제1스캐너(110)는 이송되는 인쇄지(2)로부터 제1트리거마크(21)를 감지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트리거신호(S1)를 발생시킨다(S130). 이로 인해 제1카메라(120)가 작동하여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렬마크(23)가 촬영된 제1영상을 얻는다(S140).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카메라(120)가 작동하는 시점에 동기화되어 제1스트로브(130)가 점멸됨으로써, 제1카메라(120)를 통해 제1정렬마크(23)가 정지된 상태로 촬영된 것과 같은 명확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인쇄지(2)는 이송롤러(500)를 따라 이동하여 복수 개의 인쇄롤러(100, 200) 중 후행하는 다른 하나의 인쇄롤러(200)를 재차 통과한다. 이 때, 상기 인쇄롤러(200)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트리거마크(22), 및 이와 이격되고 제1정렬마크(23)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제2정렬마크(24)를 인쇄한다(S150). 제2트리거마크(22) 및 제2정렬마크(24) 역시 인쇄지(2)의 여백 부분에 인쇄지(2)의 진행방향(도 3 (a)의 점선화살표 참조)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인쇄될 수 있다. 제1정렬마크(23)와 제2정렬마크(24)는 서로 완전히 중첩될 수도 있고, 서로 상당부분 중첩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어긋난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스캐너(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지(2)로부터 제2트리거마크(22)를 감지하여 제2트리거신호(S2)를 발생시킨다(S160). 이로 인해 제2카메라(220)가 작동하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정렬마크(23) 및 제2정렬마크(24)가 함께 촬영된 제2영상을 얻는다(S170).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카메라(220)가 작동하는 시점에 동기화되어 제2스트로브(230)가 점멸됨으로써, 제2카메라(220)역시 중첩된 제1정렬마크(23)와 제2정렬마크(24)가 정지된 상태로 촬영된 것과 같은 명확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각각의 트리거마크와 정렬마크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인쇄된다. 특히, 제1트리거마크(21)와 제1정렬마크(23) 사이의 거리 A(도 2 (a)의 A참조)는 제2트리거마크(22)와 제2정렬마크 사이의 거리 B(도 3의 (b)참조)보다 길거나 짧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제1트리거신호가 발생되어 제1카메라(120)를 작동시키는 시간 C가 제2트리거신호가 발생되어 제2카메라(220)를 작동시키는 시간 D보다 길거나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거리 A에 제1스캐너(110)와 제1카메라(120) 사이의 거리를 합한 거리 A'와 시간 C의 비율 A'/C, 및 거리 B에 제2스캐너(210)와 제2카메라(220) 사이의 거리를 합한 거리 B'와 시간 D의 비율 B'/D는, 복수 개의 인쇄롤러(100, 200)의 회전속도와 각각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지(2)가 이송될 때, 각각의 정렬마크는 각각의 트리거마크가 각 스캐너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보다 트리거마크와 정렬마크 사이의 거리(거리 A 또는 거리 B)만큼 더 진행하는 시점에서 카메라에 포커싱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스캐너가 트리거마크를 감지하고 트리거신호를 발생시켜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속도를 각각 A'/C 및 B'/D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고, 이를 인쇄롤러(100, 200)의 회전속도와 일치시키는 제어를 통해 정렬마크가 각각의 카메라에 포커싱된 시점에서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매우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제1트리거마크(21) 및 제2트리거마크(22)는 바 형상, 삼각형 형상, 원 형상 등 스캐너가 감지하기 용이한 형상으로 특별한 제약 없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정렬마크(23) 및 제2정렬마크(24) 역시 카메라로 촬영이 용이한 여러 가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 상에 인쇄지(2)의 가로방향 직선과 세로방향 직선이 서로 교차된 형상의 정렬마크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 제1정렬마크(23) 및 제2정렬마크(24)는 비교가 용이하도록 서로 완전히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정렬마크(23)가 촬영된 제1영상(도 4의 (a)참조)과, 제1정렬마크(23) 및 제2정렬마크(24)가 촬영된 제2영상(도 4의 (b)참조)은 영상판독부(300)에 입력되어 서로 대비된다(S180).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상에서 제1정렬마크(23)가 촬영된 부분을 소거하여 제3영상(도 4의 (c)참조)을 얻고(S190), 제2정렬마크(24)의 제1정렬마크(23)와 중첩되지 않고 남은 부분(24-1)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영상 처리과정은 제1영상 및 제2영상에 표시된 제1정렬마크(23) 와 제2정렬마크(24)를 픽셀 단위로 비교함으로써 진행할 수 있다. 특히, 제1정렬마크(23)와 제2정렬마크(24)는 잉크의 특성상 서로 다른 색상임에도 불구하고 잘 구분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제1영상 및 제2영상의 색상, 명도, 채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제1정렬마크(23)와 제2정렬마크(24)의 경계면에 위치한 에지를 추출할 수 있다.
즉, 제1영상 및 제2영상을 예를 들어, 색, 채도, 명도 등을 독립적으로 조절 가능한 HSI(Hue, Saturation, intensity) 색공간 상의 영상데이터로 변환하고, 색상을 조절하여 경계의 대비를 더욱 증가시키거나, 밝기를 조절하여 픽셀의 농담 차이를 더욱 강조하거나, 채도를 조절하여 유사한 색상이라도 진하기를 통해 구분이 가능하도록 조정함으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면에 위치한 픽셀들로 이루어진 에지(E)를 매우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영상판독부(300)는 이러한 제3영상을 판독하여(S200), 인쇄롤러(100, 200) 간의 인쇄오차의 크기, 방향 등을 매우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다(S210). 예를 들어, 제3영상에 표시된 제2정렬마크의 남은 부분(24-1)의 면적과, 소거된 제1정렬마크(23)의 면적을 픽셀 단위로 비교하여 인쇄오차의 크기 또는 정도가 얼마나 되는지를 계산할 수 있다. 소거된 제1정렬마크(23)의 픽셀 수에 대한, 제3영상에 표시된 제2정렬마크의 남은 부분(24-1)의 픽셀 수의 비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인쇄오차가 없는 것으로 판별할 수도 있다.
즉, 제1정렬마크(23)와 제2정렬마크(24)가 불일치하는 정도를 면적을 통해 전체적으로 비교함으로써 1차적으로 인쇄오차의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 조정이 필요한 경우인지 아닌지를 손쉽게 판단할 수 있다. 제1정렬마크(23) 및 제2정렬마크(24)는 서로 완전히 중첩되어 어긋난 부분이 없는 경우 정상적으로 인쇄되는 것이고, 대부분의 정상적인 경우 이러한 오차가 발생하는 크기가 인쇄지(2)의 가로방향 또는 세로방향 등 일직선 상으로는 매우 미미하게 나타나 검출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픽셀단위로 어긋난 부분의 면적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전체적인 인쇄오차의 크기, 정도 등을 매우 유효하게 판별해 낼 수 있다. 또한, 임계값을 설정함으로써, 정밀하게 인쇄오차를 검출하되 보정 또는 조정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장치에 대한 불필요한 조정을 제한하여 장치를 효율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인쇄오차의 방향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영상에 표시된 제2정렬마크의 남은 부분(24-1)의 위치와, 소거된 제1정렬마크(23)의 위치를 비교하여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거된 제1정렬마크(23)의 외곽선이나 모서리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픽셀과, 제2정렬마크의 남은부분(24-1)의 외곽선이나 모서리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픽셀을 비교하여 픽셀 사이를 연결하는 벡터(F)를 계산하고, 상기 벡터(F)의 방향을 인쇄오차가 형성된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벡터(F)는 단위픽셀과 단위픽셀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픽셀로 이루어진 픽셀들의 클러스터와 클러스터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인쇄오차가 검출되면 복수 개의 인쇄롤러(도 6의 100, 200참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검출된 인쇄오차를 해소한다(S220). 이는 전술한 롤러제어부(400)를 제어하여 인쇄롤러(100, 200)의 회전 및 회전위치 등을 조정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인쇄롤러(100, 200)를 검출된 인쇄오차의 방향, 크기를 고려하여 이와 반대방향으로 조정함으로써 인쇄오차를 매우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인쇄위치를 정밀하게 조정하여 인쇄품질을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인쇄장치 2: 인쇄지
21: 제1트리거마크 22: 제2트리거마크
23: 제1정렬마크 24: 제2정렬마크
24-1: 제2정렬마크의 남은부분 100, 200: 인쇄롤러
100a, 200a: 독타블레이드 110: 제1스캐너
120: 제1카메라 130: 제1스트로브
140: 제1제어부 210: 제2스캐너
220: 제2카메라 230: 제2스트로브
240: 제2제어부 300: 영상판독부
400: 롤러제어부 500: 이송롤러
A, B: 거리 C, D: 시간
E: 에지 F: 벡터
I1, I2: 잉크 S1: 제1트리거신호
S2: 제2트리거신호

Claims (10)

  1. (a) 인쇄지의 이송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인쇄롤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인쇄지에 제1트리거마크, 및 상기 제1트리거마크와 이격된 제1정렬마크를 인쇄하는 단계;
    (b) 스캐너로 상기 제1트리거마크를 감지하여 제1트리거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트리거신호로 카메라를 작동시켜 상기 제1정렬마크를 촬영하는 단계;
    (c) 상기 복수 개의 인쇄롤러 중 후행하는 다른 하나가 상기 인쇄지에 제2트리거마크, 및 상기 제2트리거마크와 이격되고 상기 제1정렬마크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제2정렬마크를 인쇄하는 단계;
    (d) 스캐너로 상기 제2트리거마크를 감지하여 제2트리거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2트리거신호로 카메라를 작동시켜 상기 제1정렬마크 및 상기 제2정렬마크를 촬영하는 단계;
    (e) 상기 제1정렬마크가 촬영된 제1영상과, 상기 제1정렬마크 및 상기 제2정렬마크가 촬영된 제2영상을 대비시켜,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제1정렬마크가 촬영된 부분을 소거하는 단계;
    (f)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제1정렬마크가 촬영된 부분을 소거하여 얻어진 제3영상으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인쇄롤러 사이의 인쇄오차를 검출하는 단계; 및
    (g) 상기 복수 개의 인쇄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상기 인쇄오차를 해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트리거마크와 상기 제1정렬마크 사이의 거리 A는 상기 제2트리거마크와 상기 제2정렬마크 사이의 거리 B보다 길거나 짧고,
    상기 제1트리거신호가 발생되어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시간 C는 상기 제2트리거신호가 발생되어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시간 D보다 길거나 짧되,
    상기 거리 A에 스캐너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합한 거리 A'와 상기 시간 C의 비율 A'/C, 및
    상기 거리 B에 스캐너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합한 거리 B'와 상기 시간 D의 비율 B'/D는, 상기 복수 개의 인쇄롤러의 회전속도와 각각 동일하게 유지되는 인쇄위치 조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제3영상에 남은 상기 제2정렬마크의 면적과, 소거된 상기 제1정렬마크의 면적을 비교하여 상기 인쇄오차의 크기를 계산하는 인쇄위치 조정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소거된 상기 제1정렬마크의 픽셀 수에 대한, 상기 제3영상에 남은 상기 제2정렬마크의 픽셀 수의 비가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인쇄오차가 없는 것으로 판별하는 인쇄위치 조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는, 상기 제3영상에 남은 상기 제2정렬마크의 위치와, 소거된 상기 제1정렬마크의 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인쇄오차의 방향을 계산하는 인쇄위치 조정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제1영상과 상기 제2영상의 색상, 채도, 및 명도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하여, 상기 제1정렬마크와 상기 제2정렬마크의 경계면에 위치한 에지를 추출하는 인쇄위치 조정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트리거마크와 상기 제1정렬마크는 서로 동일한 색상으로 인쇄되고,
    상기 제2트리거마크와 상기 제2정렬마크는 서로 동일한 색상으로 인쇄되되 상기 제1트리거마크 및 상기 제1정렬마크와는 다른 색상으로 인쇄되는 인쇄위치 조정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및 상기 (d) 단계는,
    카메라의 작동시점과 동기화되어 카메라와 인접한 스트로브가 점멸되는 인쇄위치 조정방법.
  9. 인쇄지를 이송시키는 이송롤러;
    상기 인쇄지의 이송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의 인쇄롤러;
    상기 복수 개의 인쇄롤러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쇄되는 제1트리거마크, 및 상기 제1트리거마크와 이격되는 제1정렬마크 중에서 상기 제1트리거마크를 감지하고 제1트리거신호를 생성하는 제1스캐너;
    상기 제1트리거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1정렬마크를 촬영하는 제1카메라;
    상기 복수 개의 인쇄롤러 중 후행하는 다른 하나로부터 인쇄되는 제2트리거마크, 및 상기 제2트리거마크와 이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정렬마크와 중첩되는 제2정렬마크 중에서 상기 제2트리거마크를 감지하고 제2트리거신호를 생성하는 제2스캐너;
    상기 제2트리거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2정렬마크 및 상기 제1정렬마크를 함께 촬영하는 제2카메라;
    상기 제1카메라가 촬영한 제1영상과 상기 제2카메라가 촬영한 제2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제2영상에서 상기 제1정렬마크가 촬영된 부분을 소거하여 제3영상을 추출하고,
    상기 제3영상으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인쇄롤러 사이의 인쇄오차를 검출하는 영상판독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인쇄롤러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정하여 상기 영상판독부가 검출한 상기 인쇄오차를 해소하는 롤러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트리거마크와 상기 제1정렬마크 사이의 거리 A는 상기 제2트리거마크와 상기 제2정렬마크 사이의 거리 B보다 길거나 짧고,
    상기 제1트리거신호가 발생되어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시간 C는 상기 제2트리거신호가 발생되어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시간 D보다 길거나 짧되,
    상기 거리 A에 스캐너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합한 거리 A'와 상기 시간 C의 비율 A'/C, 및
    상기 거리 B에 스캐너와 카메라 사이의 거리를 합한 거리 B'와 상기 시간 D의 비율 B'/D는, 상기 복수 개의 인쇄롤러의 회전속도와 각각 동일하게 유지되는 인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카메라 및 상기 제2카메라의 작동시점과 동기화되어 점멸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로브를 더 포함하는 인쇄장치.
KR1020150013614A 2015-01-28 2015-01-28 인쇄위치 조정방법 및 그를 위한 인쇄장치 KR101668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614A KR101668859B1 (ko) 2015-01-28 2015-01-28 인쇄위치 조정방법 및 그를 위한 인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3614A KR101668859B1 (ko) 2015-01-28 2015-01-28 인쇄위치 조정방법 및 그를 위한 인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785A KR20160092785A (ko) 2016-08-05
KR101668859B1 true KR101668859B1 (ko) 2016-10-24

Family

ID=56711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3614A KR101668859B1 (ko) 2015-01-28 2015-01-28 인쇄위치 조정방법 및 그를 위한 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8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7646A (ja) * 2003-02-07 2004-08-26 Toshiba Mach Co Ltd 印刷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1090B1 (ko) * 2011-06-07 2013-08-27 (주)아이펜 롤투롤 인쇄기의 웹 층간 정렬오차 보상장치 및 방법
KR101420223B1 (ko) * 2011-11-29 2014-07-17 주식회사 나래나노텍 인쇄 패턴 얼라인 확인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인쇄 장치 및 방법
KR20130136804A (ko) * 2012-06-05 2013-12-13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롤투롤 다층 인쇄 시스템의 다층 인쇄물 검수 장치, 검수 방법 그리고 이에 적합한 기록매체
KR101421550B1 (ko) 2012-12-11 2014-07-23 주식회사 제우스 그라비아롤러와 이것을 이용한 그라비아 인쇄 장치와 그라비아 인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7646A (ja) * 2003-02-07 2004-08-26 Toshiba Mach Co Ltd 印刷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2785A (ko) 2016-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1885B2 (ja) 製袋機
US8842330B1 (en) Method to determine an alignment errors in image data and performing in-track alignment errors correction using test pattern
JP6250793B2 (ja) カラー画像における文字背景除去方法及び装置
US8842331B1 (en) Multi-print head printer for detecting alignment errors and aligning image data reducing swath boundaries
WO2017008854A1 (en) Image defect detection
CN109177526B (zh) 双面打印的方法和系统
US1157374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245257A (ja) 走行シートの切断位置検出装置
KR101668859B1 (ko) 인쇄위치 조정방법 및 그를 위한 인쇄장치
JP2003246307A (ja) ピロー包装機
CN105934937B (zh) 打印机、打印的方法以及非瞬态计算机可读介质
TWI435069B (zh) 葉片狀薄膜檢測裝置及葉片狀薄膜檢測方法
EP2484533A1 (en) Printer
JP2006007659A (ja) 印刷物欠陥表示方法および印刷物欠陥表示装置
JP2004082279A (ja) 印刷機の断裁制御装置及び断裁補助装置
JP4288202B2 (ja) 孔版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992943B2 (ja) 印刷物検査装置、それを用いた印刷物搬送制御装置および印刷物検査方法
JP6820674B2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JP2011194730A (ja) プリント装置
JP2015147417A (ja) 印刷後処理機械を監視するための方法
TWI682162B (zh) 帶體檢測裝置及檢測方法
JP2001195585A (ja) 包装フィルムの文字検査装置
JP6349434B1 (ja) 印刷方法及び印刷機
JPH09326031A (ja) 画像入力方法及び装置
JP2018008797A (ja) 搬送検出装置、搬送装置、記録装置、搬送検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