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349B1 - 원단의 태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원단의 태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349B1
KR101667349B1 KR1020150085014A KR20150085014A KR101667349B1 KR 101667349 B1 KR101667349 B1 KR 101667349B1 KR 1020150085014 A KR1020150085014 A KR 1020150085014A KR 20150085014 A KR20150085014 A KR 20150085014A KR 101667349 B1 KR101667349 B1 KR 101667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yarn
tassel
present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웅규
Original Assignee
김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웅규 filed Critical 김웅규
Priority to KR1020150085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7/00Decorative or ornamental textile articles
    • D04D7/04Three-dimensional articles
    • D04D7/08Tassels or tasselled fring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2/00Multi-step production lines for making clo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원단의 태슬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원단의 태슬 제조방법은, 태슬이 마련될 원단의 양면에 원단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태슬이 될 원사를 박음질하는 단계; 및 원단의 양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박음질 된 원사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원사의 절단 영역은 원단의 가장자리로부터 원단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 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단의 태슬 제조방법{TASSEL MANUFACTURING METHOD OF FABRIC}
본 발명은, 원단의 태슬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에 마련되는 태슬의 작업 공정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원단의 태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태슬(tassel)은 의류 또는 커튼 끝에 장식용으로 다는 술(털실이나 견사 등을 꼬아서 만듦[출처:네이버 사전])을 말한다.
이러한 태슬은 수실(수를 놓는 데에 쓰는 실)을 곱게 꼬거나 엮어 만든 수술로 이루어지며, 깃발이나 원단의 테두리에 모양을 내기 위해 사용된다.
종래의 태슬 제조방법은 원단의 겉면에 별도의 태슬이 형성된 원단이나 테이프를 덧대거나, 원단 끝이나 절개부의 올을 하나하나 풀어내어 제조되므로 태슬을 마련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일이 수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 효율이 떨어져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946429호(이동섭) 2010. 03. 02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원단에 마련되는 태슬의 작업 공정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원단의 태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태슬이 마련될 원단의 양면에 상기 원단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상기 태슬이 될 원사를 박음질하는 단계; 및 상기 원단의 양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박음질 된 원사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사의 절단 영역은 상기 원단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원단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 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태슬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절단되는 상기 원사는 상기 원단의 양면 중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면에 위치되는 원사일 수 있다.
상기 원사가 절단된 후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원단의 영역을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사를 절단하기 전에 상기 원사의 절단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단된 상기 원사를 정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태슬이 마련될 원단의 양면에 원단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태슬이 될 원사를 박음질하고, 원단의 양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박음질 된 원사를 절단하여 원단에 마련되는 태슬의 작업 공정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원사의 절단 영역이 원단의 가장자리로부터 원단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 된 위치에 있어 태슬의 형태를 풍부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태슬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가 적용될 태슬이 마련된 원단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태슬이 마련된 원단의 배면도로 원사의 절단 영역이 표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된 태슬이 마련된 원단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태슬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 예가 적용될 태슬이 마련된 원단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태슬이 마련된 원단의 배면도로 원사의 절단 영역이 표시된 도면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된 태슬이 마련된 원단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배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원단의 태슬 제조방법은, 태슬(100)이 마련될 원단의 양면에 원단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태슬(100)이 될 원사(30)를 박음질하는 단계(S100)와, 원단의 양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박음질 된 원사(30)를 절단하되 원사의 절단 영역(50)은 원단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원단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 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단계(S200)를 구비한다.
박음질 단계(S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의 앞면(10)의 가장자리에서 원단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된 위치에 원사(30)를 박음질하고, 이러한 원사(30)의 박음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의 뒷면(20)에도 앞면(10)과 대응되는 위치에 행해진다.
본 실시 예에서 원사(30)의 박음질은 원단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즉,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의 앞면(10)에 박음질 되는 원사(30)가 원단의 뒷면(20)에 단속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연결 되도록 마련된다.
이 경우 원단의 앞면(10)과 뒷면(20)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위치한 원사(30)를 단순히 절단만 하면 태슬(100)을 편리하게 마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원사(30)의 박음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반원 형태로 연속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된 원사의 절단 영역(50)을 따라 원사(30)를 절단하면 태슬(100)을 연속적으로 마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원사(30)의 박음질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의 상부 영역에 일부만 마련할 수도 있다.
절단 단계(S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사의 절단 영역(50)을 따라 원사(30)를 절단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태슬(100)을 마련하는 단계이다.
본 실시 예에서 원사(30)의 절단은 절단 기계를 이용하여 자동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원사(30)의 절단 이전에 원사의 절단 영역(50)을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원사의 절단 영역(50)의 표시는 원사(30)의 색과 다른 색깔을 표시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절단되는 원사(30)는 원단의 양면 중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면의 원사(30)일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된 태슬이 마련된 원단(1)을 다른 원단에 박음질하는 경우 다른 원단에 박음질 되는 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면일 수 있다. 일 예로 본 실시 예는 도 3에 도시된 원사의 절단 영역(50)이 마련된 원단의 뒷면(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면의 원사(30)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는 원사(30)의 절단 이후에 태슬(100)의 모양이 더 풍부하고 입체적으로 보여 지도록 원단을 절단하는 작업이 더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원단을 절단하는 작업은 도 2에 도시된 원단 노출 영역(40)을 절단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원단 노출 영역(40)은, 도 2에 도시된 원단의 가장자리로부터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까지의 영역이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원단 노출 영역(40)을 절단하면 절단된 원단 노출 영역(40)만큼 태슬(100)의 영역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태슬(100)이 더 풍부하게 보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절단된 원사(30)를 정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렬 단계는 태슬(100)을 작업자의 손으로 털거나 빗 등으로 빗어주는 방법으로 행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태슬이 마련될 원단의 양면에 원단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태슬이 될 원사를 박음질하고, 원단의 양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박음질 된 원사를 절단하여 원단에 마련되는 태슬의 작업 공정을 단순화함과 아울러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원사의 절단 영역이 원단의 가장자리로부터 원단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 된 위치에 있어 태슬의 형태를 풍부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태슬이 마련된 원단
10 : 원단의 앞면 20 : 원단의 뒷면
30 : 원사 40 : 원단 노출 영역
50 : 원사의 절단 영역 100 : 태슬

Claims (5)

  1. 태슬이 마련될 원단의 양면에 상기 원단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상기 태슬이 될 원사를 박음질하는 단계; 및
    상기 원단의 양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박음질 된 원사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사의 절단 영역은 상기 원단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원단의 내측 방향으로 이격 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태슬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절단되는 상기 원사는 상기 원단의 양면 중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면에 위치되는 원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의 태슬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사가 절단된 후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원단의 원단 노출 영역을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단의 태슬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사를 절단하기 전에 상기 원사의 절단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단의 태슬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절단된 상기 원사를 정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단의 태슬 제조방법.
KR1020150085014A 2015-06-16 2015-06-16 원단의 태슬 제조방법 KR101667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014A KR101667349B1 (ko) 2015-06-16 2015-06-16 원단의 태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014A KR101667349B1 (ko) 2015-06-16 2015-06-16 원단의 태슬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7349B1 true KR101667349B1 (ko) 2016-10-18

Family

ID=5724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014A KR101667349B1 (ko) 2015-06-16 2015-06-16 원단의 태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3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5851A (en) * 1986-09-26 1987-05-19 Sweet Paula J Method of assembling textiles
KR200190527Y1 (ko) * 2000-01-08 2000-08-01 임창식 장식용 술이 직조된 직물지
KR100946429B1 (ko) 2008-09-03 2010-03-10 이동섭 태슬을 갖는 섬유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섬유제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5851A (en) * 1986-09-26 1987-05-19 Sweet Paula J Method of assembling textiles
KR200190527Y1 (ko) * 2000-01-08 2000-08-01 임창식 장식용 술이 직조된 직물지
KR100946429B1 (ko) 2008-09-03 2010-03-10 이동섭 태슬을 갖는 섬유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섬유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70528A1 (en) Frilled woven fabric
KR101667349B1 (ko) 원단의 태슬 제조방법
US2345407A (en) Hair net and cap
CN214362114U (zh) 一种链唇自动车缝工艺模板
US20050103248A1 (en) Embroidered patc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658445B1 (ko) 삼중 블라인드의 밴드형성방법
KR101743619B1 (ko) 원단의 벨벳 제조방법
JP2018109259A (ja) ネクタイ構成部位を配置したデザインによる布。
CN203382971U (zh) 光导纽扣缝合机
US2767673A (en) Method of making bound buttonholes
CN205603939U (zh) 一种新型地毯切边装置
CN204530148U (zh) 具有引导带条走向功能的缝纫机
JP6262785B2 (ja) 衣服
CN209836512U (zh) 一种服装嵌边拼缝拉筒工具
CN204146410U (zh) 一种缉合后过肩加领托缝制模板
CN209941261U (zh) 一种针线盒
CH663975A5 (it) Dispositivo taglia catenella e d'aspirazione della stessa per macchina da cucire.
KR102195341B1 (ko)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
KR101020193B1 (ko) 폴로셔츠 및 그 제조방법
JP6526521B2 (ja) ローマンシェード用遮蔽材の縫製構造及び縫製方法
JP3202033U (ja) 反物
EP4091874A1 (en) Sewing structure for improving appearance of seat cover
KR200456251Y1 (ko) 원통형 원단 구멍 가공장치
US1391943A (en) Lace
CN105525457A (zh) 一种缝纫机及其切割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