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341B1 -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 - Google Patents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341B1
KR102195341B1 KR1020200010443A KR20200010443A KR102195341B1 KR 102195341 B1 KR102195341 B1 KR 102195341B1 KR 1020200010443 A KR1020200010443 A KR 1020200010443A KR 20200010443 A KR20200010443 A KR 20200010443A KR 102195341 B1 KR102195341 B1 KR 102195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roidery
fabric
decorative material
forming
closed lo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웅규
Original Assignee
(주)크라운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라운제이 filed Critical (주)크라운제이
Priority to KR1020200010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3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DTRIMMINGS; RIBBONS, TAPES OR BA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D9/00Ribbons, tapes, welts, bands, beadings, or other decorative or ornamental strip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10Decorating textiles by treatment with, or fixation of, a particulate material, e.g. mica, glass b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은, 제1원단 상에 겹선으로 된 제1자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자수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자수를 따라 장식재를 봉착하는 단계; 상기 제1자수 및 장식재가 봉착된 영역 상에 투명섬유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투명섬유 상에 제2원단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원단 내지 제2원단에 제2자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원단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stitch method}
본 발명은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식재 봉착은 의류, 가방 등 섬유로 된 제품의 미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 수행되어 왔다. 또한, 스팽글 등의 다양한 장식재를 적용함으로써 상품의 가치를 보다 증대하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이 경우, 실을 이용한 일반 자수 공정과 스팽글 등의 장식재를 봉착하는 자수 공정을 병행하여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입체 무늬를 형성하게 된다.
근래에는 컴퓨터에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자동으로 다양한 장식재를 섬유 상에 자동으로 정확하게 장착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인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264587호에는 탄성 원단을 신장시키고 자수 작업을 수행한 후 탄성 원단의 신장력을 제거함으로써 입체적인 자수 형상을 형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1264587호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995-0006131호
본 발명은 장식재가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보호되는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손쉽게 장식재가 포함된 섬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은, 제1원단 상에 겹선으로 된 제1자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자수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자수를 따라 장식재를 봉착하는 단계; 상기 제1자수 및 장식재가 봉착된 영역 상에 투명섬유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투명섬유 상에 제2원단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원단 내지 제2원단에 제2자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원단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자수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자수의 겹선 내부를 따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2자수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원단 상에 자수밴드를 배치하고 상기 자수밴드를 따라 봉재실로 박음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원단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2원단 중 상기 장식재가 배치된 영역의 상부에 배치된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제1원단 상에 겹선으로 된 제1자수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자수는 내부폐쇄루프 및 상기 내부폐쇄루프의 외부에 박음질된 외부폐쇄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식재를 봉착하는 단계에서, 상기 장식재는 상기 내부폐쇄루프 내부 영역에 봉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자수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자수는 상기 내부폐쇄루프 및 외부폐쇄루프 사이 영역에 봉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원단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원단 중 상기 내부폐쇄루프의 내부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은, 장식재가 안정적으로 장착되어 보호된다.
또한, 손쉽게 장식재가 포함된 섬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조한 결과물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르는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은, 제1원단(100) 상에 겹선으로 된 제1자수(200)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자수(200)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자수(200)를 따라 장식재(300)를 봉착하는 단계; 상기 제1자수(200) 및 장식재(300)가 봉착된 영역 상에 투명섬유(400)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투명섬유(400) 상에 제2원단(500)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원단(100) 내지 제2원단(500)에 제2자수(600)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원단(500)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원단(100) 상에 겹선으로 된 제1자수(200)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제1자수(200)는 장식재(300)가 형성되는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자수(200)는 일반적인 실을 박음질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원단(100) 상에 겹선으로 된 제1자수(200)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자수(200)는 내부폐쇄루프(201) 및 상기 내부폐쇄루프(201)의 외부에 박음질된 외부폐쇄루프(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폐쇄루프(201) 및 외부폐쇄루프(202)는 실을 박음질함으로써 외부와 격리된 영역을 형성한 것을 의미하며, 상기 내부폐쇄루프(201)의 내부에 장식재(300)를 배치시킴으로써 장식재(3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내부폐쇄루프(201) 및 외부폐쇄루프(202) 사이의 영역에 제2자수(600)를 박음질하여 장식재(300) 및 제2자수(600)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문자 및 모양을 도드라지게 표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자수(200)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자수(200)를 따라 장식재(300)를 봉착하는 단계를 수행한다(도 2 참조).
장식재(300)는 스팽클 등 본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스팽클을 실을 이용하여 박음질하여 상기 내부폐쇄루프(201) 내부 영역에 봉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자수(200) 및 장식재(300)가 봉착된 영역 상에 투명섬유(400)를 배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도 3 참조). 상기 투명섬유(400)는 장식재(30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내부의 장식재(300)가 외부에서 관찰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투명섬유(400)는 PVC, PE 등의 합성수지로 된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투명섬유(400) 상에 제2원단(500)을 배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도 4 참조). 상기 제2원단(500)은 제1원단(100)과 동일한 것일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제1원단(100) 내지 제2원단(500)에 제2자수(600)를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도 5 참조). 상기 제2자수(600)는 투명섬유(400) 및 제2원단(500)을 제2원단(500)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단계에서 제2자수(600)는 상기 제1자수(200)의 겹선 내부를 따라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자수(200)의 내부폐쇄루프(201) 내부에 배치된 장식재(300)를 간섭하지 않고 제2자수(600)를 배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2자수(600)는 자수밴드(601) 및 상기 자수밴드(601) 상에 봉재실(602)로 박음질한 형태로 봉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원단(500) 상에 자수밴드(601)를 배치하고 상기 자수밴드(601)를 따라 봉재실(602)로 박음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자수(600)는 상기 내부폐쇄루프(201) 및 외부폐쇄루프(202) 사이 영역에 봉착될 수 있다. 상기 자수밴드(601)는 일정 이상의 폭을 가진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수밴드(601)의 폭은 제1자수(200)의 내부폐쇄루프(201) 및 내부폐쇄루프(201) 사이의 폭 이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이후 제2원단(500)의 일부가 제거된 경우에도 제1자수(2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자수밴드(601)는 제2원단(500) 및 투명섬유(400)를 제1원단(100)에 밀착하기 위해 탄성을 갖는 재질을 포함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내구성을 갖기 위해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 조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수밴드(601)는 천연섬유 또는 합성섬유로된 밴드 상에 PVC, PE 등의 합성수지가 적층 또는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원단(500) 및 투명섬유(400)를 제1원단(100)에 밀착할 수 있고, 향후 제2원단(500)을 절단할 때 칼날에 의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원단(500)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도 6 참조). 본 단계는 제2원단(500)을 칼날을 통해 잘라내어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단계에서 제거되는 분분은 상기 제2원단(500) 중 상기 장식재(300)가 배치된 영역의 상부에 배치된 부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장식재(300)가 외부에서 관찰될 수 있다.
일 예에서, 상기 제2원단(500) 중 상기 내부폐쇄루프(201)의 내부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장식재(300)가 투명섬유(400)를 통해 외부에서 관찰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은, 상기 상기 제1원단(100) 내지 제2원단(500)에 제2자수(600)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원단(100) 내지 제2원단(500)에 겹선으로 보조자수(700)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투명섬유의 위치가 어긋하거나 주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르는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은, 제1원단(100) 상에 겹선으로 된 제1자수(200)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자수(200)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자수(200)를 따라 장식재(300)를 봉착하는 단계; 상기 제1자수(200) 및 장식재(300)가 봉착된 영역 상에 투명섬유(400)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투명섬유(400) 상에 제2원단(500)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원단(100) 내지 제2원단(500)에 보조자수(700)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원단(100) 내지 제2원단(500)에 제2자수(600)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원단(500)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원단(100) 내지 제2원단(500)에 보조자수(700)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보조자수(700)는 상기 제1자수(200)를 따라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보조자수(700)는 제1자수(200)의 측면 또는 제1자수(200)의 상부에 박음질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원단(100) 내지 제2원단(500)에 제2자수(600)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2자수는 자수밴드(601)를 이용하여 보조자수(700)를 상부에서 관찰되지 않도록 가리는 위치, 측 보조자수(700)와 오버랩되는 위치에 박음질될 수 있다. 이경우, 제2자수(600)의 봉재실(602)은 겹선으로 형성된 보조자수(700) 사이에 박음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미감을 우수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조자수(700)와 더불어 투명섬유(400)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제1원단
200: 제1자수
201: 내부폐쇄루프
202: 외부폐쇄루프
300: 장식재
400: 투명섬유
500: 제2원단
600: 제2자수
601: 자수밴드
602: 봉재실
700: 보조자수

Claims (5)

  1. 제1원단 상에 겹선으로 된 제1자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자수와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제1자수를 따라 장식재를 봉착하는 단계;
    상기 제1자수 및 장식재가 봉착된 영역 상에 투명섬유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투명섬유 상에 제2원단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원단 내지 제2원단에 제2자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원단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수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자수의 겹선 내부를 따라 배치하는 것인,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자수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원단 상에 자수밴드를 배치하고 상기 자수밴드를 따라 봉재실로 박음질하여 수행되는 것인,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원단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제2원단 중 상기 장식재가 배치된 영역의 상부에 배치된 부분을 제거하는 것인,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1원단 상에 겹선으로 된 제1자수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자수는 내부폐쇄루프 및 상기 내부폐쇄루프의 외부에 박음질된 외부폐쇄루프를 포함하는 것인,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
KR1020200010443A 2020-01-29 2020-01-29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 KR102195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443A KR102195341B1 (ko) 2020-01-29 2020-01-29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443A KR102195341B1 (ko) 2020-01-29 2020-01-29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341B1 true KR102195341B1 (ko) 2020-12-28

Family

ID=74086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443A KR102195341B1 (ko) 2020-01-29 2020-01-29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3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131A (ko) 1993-08-31 1995-03-20 조병우 입체감이 뛰어난 자수무늬가 형성된 포제섬유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960008709U (ko) * 1994-08-17 1996-03-16 대우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도어용 손잡이 설치구조
KR20080009179A (ko) * 2006-07-22 2008-01-25 박준오 튜브사를 이용한 장식원단
KR101264587B1 (ko) 2011-12-20 2013-05-14 이희정 자수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131A (ko) 1993-08-31 1995-03-20 조병우 입체감이 뛰어난 자수무늬가 형성된 포제섬유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960008709U (ko) * 1994-08-17 1996-03-16 대우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도어용 손잡이 설치구조
KR20080009179A (ko) * 2006-07-22 2008-01-25 박준오 튜브사를 이용한 장식원단
KR101264587B1 (ko) 2011-12-20 2013-05-14 이희정 자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8149B2 (en) Article of apparel
EP1586690A1 (en) A process for appliqueing and embroidering on a mesh fabric
CN105877002A (zh) 一种带环圈护眼的鞋面及其制造方法
JP2010185151A (ja) アップリケの縫製方法
CN102041644A (zh) 织构圈夹具
KR102195341B1 (ko) 장식재 봉착을 포함하는 자수 방법
KR20190032229A (ko) 이중 클로스를 패딩하기 위한 방법
KR200177739Y1 (ko) 가방의 재봉구조
CN105080146A (zh) 一种人形充棉毛绒玩具的制作方法
US6994044B2 (en) Embroidered patc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20080028582A1 (en) Fur and Fur Lace Made of Artificial or Natural Fur and the Product Method Thereof
CN206097728U (zh) 用于服装上的防走失标签
KR100616610B1 (ko) 자수용 스팽글 봉착 방법
US9309614B2 (en) Stitch pattern and method of embroidering
CN205728394U (zh) 一种带环圈护眼的鞋面
KR200479123Y1 (ko) 섬유 및 플라스틱 결합 봉제 부품
WO2010027204A3 (ko) 태슬을 갖는 섬유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섬유제품
CN106757886B (zh) 一种以绒毛面料作为底料的刺绣方法
KR100514187B1 (ko) 자수기에 의한 의복제조 방법
CN106192253B (zh) 贴布绣绣品及其贴布绣方法
KR20170069623A (ko)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자수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수 원단
KR20240048027A (ko) 입체자수 및 입체자수 형성방법
JP4297963B1 (ja) 防護用カバー
CN104248074A (zh) 一种具有隐蔽式扣眼结构的衣服
Pavlova et al. Sustainable fashion with elements of the Bulgarian national garb–reducing, reusing and recycling through mulag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