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251Y1 - 원통형 원단 구멍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원통형 원단 구멍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6251Y1
KR200456251Y1 KR2020090008324U KR20090008324U KR200456251Y1 KR 200456251 Y1 KR200456251 Y1 KR 200456251Y1 KR 2020090008324 U KR2020090008324 U KR 2020090008324U KR 20090008324 U KR20090008324 U KR 20090008324U KR 200456251 Y1 KR200456251 Y1 KR 2004562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ylindrical fabric
hole
cylindrical
hol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067U (ko
Inventor
고광식
Original Assignee
고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광식 filed Critical 고광식
Priority to KR2020090008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6251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0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0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62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62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2Arrangements for cutting-out, or shapes of, glove blan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4Appliances for making gloves; Measuring devices for glove-mak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8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glov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9/00Knitting processes, apparatus or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5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glov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멍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토시 기능을 구비한 장갑 등으로 제조하기 위한 원통형 원단에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구멍을 형성시킬 수 있음으로써 작업 능률의 향상에 따른 생산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원통형 원단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작업용 장갑 등과 같은 제품을 신속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어서 작업 인력을 최대 한도로 감축시킬 수 있음에 따라 제조 원가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원통형 원단 구멍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원통형 원단 구멍 가공장치, 가이드 브라켓, 원단 고정부재, 장갑, 토시

Description

원통형 원단 구멍 가공장치{Cylinder type fabric hole formation device}
본 고안은 원통형 원단 구멍 가공장치 및 이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토시 기능을 구비한 장갑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멍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토시 기능을 구비한 장갑 등으로 제조하기 위한 원통형 원단에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구멍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편기(丸編機; circular knitting machine)는 다양한 크기의 직경을 갖고 바늘이 꽂혀 있는 실린더가 자전하면서 캠에 의해 바늘을 움직여 원사를 편직하는 구조를 갖는 기계로서, 상기한 환편기는 대략 급사장치와, 실린더 및 바늘로 이루어지는 편성부와, 상기 편성부에서 편직물이 된 사를 감아서 정리하는 정리부로 구성된다.
한편, 이러한 환편기를 이용해서 원통형으로 원단을 짠 것을 원통형 원단이 라고 하는 데, 종래의 공업용 등과 같은 재봉틀을 사용해서는 원통형 원단에 장갑 등과 같은 제품에 필요한 구멍을 형성시키기 위한 가공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구멍 형성작업을 해야 하므로 인해 작업 능률이 저하되고, 이에 따른 작업 시간이 많이 걸려 원통형 원단에 구멍을 형성시켜야 하는 제품들의 대량 생산시 한계가 따르게 되며, 결국 제조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므로 인해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떨어뜨리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어서 원통형 원단에 구멍을 형성시킬 수 있는 저렴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단순한 구조를 구비한 장치의 출현이 요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구멍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토시 기능을 구비한 장갑 등으로 제조하기 위한 원통형 원단에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구멍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 능률의 향상에 따른 생산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통형 원단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작업용 장갑 등과 같은 제품을 신속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어서 작업 인력을 최대 한도로 감축시킬 수 있음에 따라 제조 원가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는 원통형 원단 구멍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베이스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브라켓의 내부에 삽입되어 원통형 원단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가공시 위치가 가변되며 원통형 원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이 전방 단부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관통공을 통과하는 체결 부재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홈이 형성되는 원단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원단 구멍 가공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관통공은 각각의 가이드 브라켓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 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체결홈은 원단 고정부재의 하부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되어 체결 부재가 관통공을 통과하여 체결홈에 체결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원단 고정부재의 사이에는 서로 지지하기 위한 연결편이 일체로 형성 또는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멍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토시 기능을 구비한 장갑 등으로 제조하기 위한 원통형 원단에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구멍을 형성시킬 수 있음으로써 작업 능률의 향상에 따른 생산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원통형 원단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작업용 장갑 등과 같은 제품을 신속하게 대량 생산할 수 있어서 작업 인력을 최대 한도로 감축시킬 수 있음에 따라 제조 원가를 효과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으므로 인해 장치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통형 원단 구멍 가공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원통형 원단에 구멍을 형성시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장갑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장갑을 연장하여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토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원통형 원단 구멍 가공장치는 공업용 재봉틀 등의 베이스(10) 상부에 한 쌍의 가이드 브라켓(20)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이 각각의 가이드 브라켓(20)의 일측면에는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관통공(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브라켓(20)의 내부에는 원통형 원단(30)에 구멍(32)을 형성하기 위한 가공시 위치가 가변되어 원통형 원단(30)을 고정시키기 위한 원단 고정부재(40)가 삽입되는 데, 이 원단 고정부재(40)의 전방 단부에는 상기 원통형 원단(3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42)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원단 고정부재(40)의 하부 일측면에는 원단 고정부재(40)의 위치 가변시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브라켓(20)의 관통공(22)을 통과하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50)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홈(44)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원통형 원단 구멍 가공장치를 사용하여 원통형 원단(30)에 구멍(32)을 형성시키고자 할 때는 먼저, 상기 공업용 재봉틀 등의 베이스(10)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대향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브라켓(20)에 원통형 원단(30)에 구멍(32)을 형성할 위치에 따라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브라켓(20)에 삽입된 원단 고정부재(40)를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50)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브라켓(20)의 일측면에는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관통공(22)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원단 고정부재(40)의 하부 일측면에는 상기 관통공(22)과 대응되는 복수개의 체결홈(4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관통공(22)을 통해 체결 부재(50)를 삽입하여 상기 체결홈(44)에 체결시킴으로써 각각의 원단 고정부재(4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 후, 상기 각각의 원단 고정부재(40)의 전방 단부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고정핀(42)에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원단(30)의 한쪽을 끼운 상태에서 원통형 원단의 반대쪽 부분을 전방으로 당긴 상태에서 재봉 바늘(도시는 생략함)을 사용하여 구멍(32)을 형성시킬 위치에 그 구멍 길이만큼 긴 직사각형 형태로 재봉(S)을 완료한 다음,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원단(30)의 긴 직사각형 형태로 재봉(S)이 된 내측 부분을 나이프나 컷터(C)를 사용하여 절개시킴으로써 원통형 원단(30)에 내경이 말끔하게 마감 처리된 구멍(32)을 용이하게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브라켓(20)의 양측면 에 복수개의 관통공(22)을 형성시키고, 상기 각각의 원단 고정부재(40)의 하부 양측면에 복수개의 체결홈(44)을 형성시켜 체결 부재(50)로 체결시킴에 따라 상기 가이드 브라켓(20)에 원단 고정부재(40)를 보다 견고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원단 고정부재(40) 사이에는 서로 지지하기 위한 연결편(도시는 생략함)을 일체로 형성 또는 설치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브라켓(20)에 원단 고정부재(40)를 편리하게 이동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치를 사용하여 원통형 원단에 구멍을 형성시키는 작업이 가능함에 따라 장갑 몸체(60)의 단부에 추위를 막기 위하여 팔뚝에 끼거나 일할 때 팔소매가 해지거나 더러워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소매 위에 덧 끼는 토시(70)가 연통되어 일체로 연장 형성된 원통형 원단 형태의 상기 토시(70) 상부 일측에 고정 구멍(72)을 형성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장갑 형태로만 착용시에는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토시(70)를 반으로 접어 상기 고정 구멍(72)을 장갑 몸체(60)의 엄지 손가락(62) 부분에 삽입시킴으로써 장갑과 토시를 일체로 용이하게 제작하여 착용자가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도 6과 같이 소형 토시(70)에 고정 구멍(72)을 형성시켜 아동용 양말 등과 같은 다양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원통형 원단 구멍 가공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여 원통형 원단에 구멍을 형성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장갑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장갑을 연장하여 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토시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베이스 20; 가이드 브라켓
22; 관통공 30; 원통형 원단
32; 구멍 40; 원단 고정부재
42; 고정핀 44; 체결홈
50; 체결 부재 60; 장갑 몸체
62; 엄지 손가락 70; 토시
72; 고정 구멍 S; 재봉
C; 컷터

Claims (4)

  1. 베이스(10)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관통공(22)이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브라켓(20)과,
    상기 각각의 가이드 브라켓(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원통형 원단(30)에 구멍(32)을 형성하기 위한 가공시 위치가 가변되며 원통형 원단(3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42)이 전방 단부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고 관통공(22)을 통과하는 체결 부재(50)가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홈(44)이 형성되는 원단 고정부재(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원단 구멍 가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관통공(22)은 각각의 가이드 브라켓(20)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체결홈(44)은 원단 고정부재(40)의 하부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되어 체결 부재(50)가 관통공(22)을 통과하여 체결홈(44)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원단 구멍 가공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 고정부재(40)의 사이에는 서로 지지하기 위한 연결편이 일체로 형성 또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원단 구멍 가공장치.
  4. 삭제
KR2020090008324U 2009-06-29 2009-06-29 원통형 원단 구멍 가공장치 KR2004562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324U KR200456251Y1 (ko) 2009-06-29 2009-06-29 원통형 원단 구멍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324U KR200456251Y1 (ko) 2009-06-29 2009-06-29 원통형 원단 구멍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067U KR20110000067U (ko) 2011-01-06
KR200456251Y1 true KR200456251Y1 (ko) 2011-10-20

Family

ID=44205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324U KR200456251Y1 (ko) 2009-06-29 2009-06-29 원통형 원단 구멍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625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673B1 (ko) * 2011-12-05 2012-05-31 주식회사 태진텍스타일 토시 편직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7859A (ja) 2003-11-10 2005-06-02 Eiji Yuki 家庭用ミシンを利用した型紙生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7859A (ja) 2003-11-10 2005-06-02 Eiji Yuki 家庭用ミシンを利用した型紙生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067U (ko)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932B1 (ko) 환편기를 이용한 질감 형성 원단의 제조방법
KR200456251Y1 (ko) 원통형 원단 구멍 가공장치
WO2009004771A1 (ja) 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筒状編地
CN203670368U (zh) 一种包缝机的安装支板
KR101535049B1 (ko) 뜨개질용 가이드 기구
CN102140725B (zh) 添纱编织方法
CN207331207U (zh) 一种用于割圈绒机的刀针一体式织针及织针组
KR101449912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KR20110000166U (ko) 박음질로 발가락 양말이 구비된 양말.
KR100514187B1 (ko) 자수기에 의한 의복제조 방법
KR101472369B1 (ko) 환편기를 이용한 에어메쉬 원단의 제조방법
KR102344043B1 (ko) 고장력을 가지는 니트 원단, 니트 웨어 및 이의 편직 방법
US6912876B2 (en) Shaped blank
KR100621311B1 (ko) 횡편 인타샤기를 이용한 양면 편직방법
KR101616522B1 (ko) 환편기
KR101616521B1 (ko) 패턴환편직물 직조방법 및 패턴환편직물
KR101545250B1 (ko) 니트 패션의 창의적 디자인 차별화를 위한 니트의 편직방법
JPH1037046A (ja) フリンジ付ニット生地とその編成方法
CN219861845U (zh) 一种可调节袜子支架
JP6211394B2 (ja) 編地、および編地の編成方法
CN216074293U (zh) 一种缝纫机用拉链骨条筒
CN209779147U (zh) 一种用于横编织机的新型选针棒
EP0809724B1 (en) Knitted garment panel
JP6162777B2 (ja) 通気孔を有する丸編機の細密ニット
CN104947324A (zh) 一种用于曲折缝纫机模板缝制的压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