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7267B1 - 난연성 단열패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연성 단열패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7267B1
KR101667267B1 KR1020140155745A KR20140155745A KR101667267B1 KR 101667267 B1 KR101667267 B1 KR 101667267B1 KR 1020140155745 A KR1020140155745 A KR 1020140155745A KR 20140155745 A KR20140155745 A KR 20140155745A KR 101667267 B1 KR101667267 B1 KR 101667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foamed resin
coating
coating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6404A (ko
Inventor
박성환
박종하
박남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남
Priority to KR1020140155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7267B1/ko
Publication of KR20160056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1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 E04C2/2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 E04C2/20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of wood, fibres, chips, vegetable stems, or the like; of plastics; of foamed products of plastics of foamed plastics, or of plastics and foamed plastics, optionally reinforc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연성 단열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입상의 발포수지에 제1난연액을 코팅하는 제1코팅단계, 상기 제1코팅단계를 거친 발포수지에 난연입자를 코팅하는 제2코팅단계, 상기 제2코팅단계를 거친 발포수지에 제2난연액을 코팅하는 제3코팅단계 및 상기 제3코팅단계를 거친 발포수지를 틀에 넣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난연성 단열패널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난연성 단열패널 제조방법{Producing method of anticombustible adiabatic panel}
본 발명은 난연성 단열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입상의 발포수지에 난연액을 코팅하고 이를 융착시켜 난연성 단열패널을 제조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체에는 단열패널을 설치하여 방음 및 단열이 이루어지게 하고 있다.
단열패널은 난연소재를 이용하여 만들거나 가연성소재의 패널에 난연액을 충진시켜 난연화할 수 있다. 한편 가연성소재에 탄소를 함유한 난연액을 코팅하고 융착시켜 난연화하는 경우도 있다.
종래의 카본 코팅 융착 방법은 스티로폼 비드에 카본을 코팅한 후 카본이 코팅된 비드를 몰드에 넣고 스팀으로 융착시키는 방법으로서 스티로폼 비드 사이에 융착이 일어나고 융착이 일어나지 않은 부분에 카본이 위치하여 난연화시키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카본 입자가 스티로폼 비드의 외표면을 완전히 코팅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난연성이 높은 단열패널을 만들기가 어렵다. 또한 카본 입자가 스티로폼 비드에 직접 코팅되기 때문에 향후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패널을 재활용하는데 있어서도 어려움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73277호 (2004.08.19)
본 발명은 입상의 발포수지에 여러층의 난연코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난연성이 높으며, 발포수지의 원형을 보존할 수 있어 재활용이 가능한 단열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난연성 단열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입상의 발포수지에 제1난연액을 코팅하는 제1코팅단계, 상기 제1코팅단계를 거친 발포수지에 난연입자를 코팅하는 제2코팅단계, 상기 제2코팅단계를 거친 발포수지에 제2난연액을 코팅하는 제3코팅단계 및 상기 제3코팅단계를 거친 발포수지를 틀에 넣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는 난연성 단열패널 제조방법을 제시한다.
상기 제1코팅단계에서, 상기 제1난연액은 접착성을 가진 유무기 난연 바인더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코팅단계에서, 상기 난연입자는 유무기 난연 분말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코팅단계에서, 상기 제2난연액은 접착성을 가진 유무기 난연 바인더로서 팽창흑연 입자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입상의 발포수지에 용이하게 여러층의 난연코팅을 할 수 있어 난연성이 높으며, 발포수지의 원형을 보존할 수 있어 재활용이 가능한 단열패널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단열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는 발포수지의 최초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제1코팅단계를 거친 발포수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의 제2코팅단계를 거친 발포수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의 제3코팅단계를 거친 발포수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의 성형단계를 거친 발포수지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단열패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난연성 단열패널의 시편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의 시편에 연소실험을 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단열패널 제조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의 구성요소는 쉽게 이해되도록 구성요소의 사이즈를 과장하여 표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단열패널 제조방법은, 제1코팅단계, 제2코팅단계, 제3코팅단계 및 성형단계를 포함한다.
제1코팅단계에서는 입상의 발포수지(1)에 제1난연액(2)을 코팅한다. 여기에서 입상의 발포수지(1)는 한 예로 EPS 수지를 열과 스팀을 가하여 발포시킨 스티로폼 비드를 말한다.
EPS란 Expandable polystyrene의 약자로서 Styrene Monomer(SM)의 중합체에 저비점 탄화수소계 발포제(보통 펜탄, 부탄 사용)를 침투시켜 만들어진 발포성 폴리스타이렌 수지로써 우리가 주위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스티로폼을 말한다.
또한 발포는 EPS 수지를 발포제를 첨가하고 발포 조건에 필요한 열 매개체를 이용하여 충분히 연화시켜서 발포제의 발산을 용이하게 하여 원하는 정도의 비드로 팽창시키는 것이다. 가장 일반적인 열 매개체는 스팀이다.
이렇게 열과 스팀을 가함으로써 EPS 수지가 발포되어 형성된 스타이렌 구상입자를 스티로폼 비드라고 한다.
이와 같은 입상의 발포수지(1)에 제1난연액(2)을 코팅하고, 제1코팅단계를 거친 발포수지(1)에 난연입자(3)를 코팅하는 제2코팅단계, 제2코팅단계를 거친 발포수지(1)에 제2난연액(4)을 코팅하는 제3코팅단계 및 제3코팅단계를 거친 발포수지(1)를 틀에 넣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거쳐 난연성 단열패널을 제조한다.
여기에서 제2코팅단계에서 코팅되는 난연입자(3)는 난연성을 높이는 동시에 제1코팅단계를 거친 발포수지(1) 입자들이 서로 붙는 것을 방지하여 제3코팅단계가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입상의 발포수지(1)에 용이하게 여러층의 난연코팅을 할 수 있다. 제조된 난연성 단열패널은 난연성이 높으며, 발포수지(1)의 원형을 보존할 수 있어 재활용이 가능하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단열패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제1코팅단계에서는, 입상의 발포수지(1)에 제1난연액(2)을 코팅한다(S101). 제1난연액(2)은 화재에 취약하고 불이 붙기 쉬운 EPS, 플라스틱 등의 소재의 외표면을 코팅하여 난연성을 강화하고 표면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소재이다.
제1난연액(2)의 성분은 접착성을 가진 난연성 바인더이다. 제1난연액(2)은 접착성을 가진 유무기 난연 바인더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석고, 점토, 규산 나트륨, 규산 알루미나, 규산 칼슘 등과 같은 무기화학물질에 물을 첨가하고 유기 점착제인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페놀 수지 등의 유기화합물질을 혼합하여 접착성을 띠게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는 제1코팅단계를 거치기 전의 입상의 발포수지(1)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입상의 발포수지(1)를 용기에 넣고 제1난연액(2)을 투입한 후 교반하면 발포수지(1)의 외표면에 제1난연액(2)이 자연스럽게 코팅되게 된다. 이에 따라 발포수지(1)를 1차적으로 난연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난연액(2)은 접착성을 가지므로 제1난연액(2)이 코팅된 입상의 발포수지(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붙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코팅된 유무기 난연 바인더는 발포수지(1)가 공기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여 발포수지(1)가 연소되는 것을 방지한다. 유무기 난연 바인더는 균일하게 발포수지(1)에 코팅이 되며 난연 성능도 뛰어나다.
제2코팅단계에서는, 제1코팅단계를 거친 발포수지(1)에 난연입자(3)를 코팅한다(S102). 난연입자(3)는 분말 형태로서 제1난연액(2)이 코팅된 발포수지(1)를 서로 분리되게 하기 위한 소재이다.
상기 난연입자(3)의 성분은 유무기 난연 분말이다. 예를 들면 석고, 석회석, 탄산칼슘 등과 같은 무기물질과 멜라민 수지, 요소 수지 등의 유기물질이 혼합되어 분말 형태로 만든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1코팅단계를 거친 입상의 발포수지(1)를 용기에 넣고 난연입자(3)를 투입한 후 교반하면 코팅된 제1난연액(2)에 난연입자(3)가 부착된다. 이에 따라 발포수지(1)를 2차적으로 난연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난연입자(3)는 접착성이 없으므로 난연입자(3)가 코팅된 입상의 발포수지(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코팅된 난연입자(3)는 발포수지(1)의 난연성을 향상시키는 한편 발포수지(1)가 분리되게 하여 후술하는 제3코팅단계에서 제2난연액(4)이 발포수지(1)의 외측에 골고루 코팅될 수 있게 한다.
제3코팅단계에서는, 제2코팅단계를 거친 발포수지(1)에 제2난연액(4)을 코팅한다(S103). 제2난연액(4)은 제1난연액(2)의 외표면을 코팅하여 난연성을 강화하고 표면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소재이다.
제2난연액(4)의 성분은 제1난연액(2)과 마찬가지로 접착성을 가진 난연성 바인더이다. 제2난연액(4)은 접착성을 가진 유무기 난연 바인더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PE(Polyethylene)에멀션, PP(Polypropylene)에멀션, PVC(Polyvinylchloride)에멀션, PVA(Polyvinyl alcohol), 멜라민 레진(Melamine resin)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2코팅단계를 거친 입상의 발포수지(1)를 용기에 넣고 제2난연액(4)을 투입한 후 교반하면 코팅된 제1난연액(2)과 난연입자(3)에 제2난연액(4)이 부착된다. 이에 따라 발포수지(1)를 3차적으로 난연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제2난연액(4)은 접착성을 가지므로 제2난연액(4)이 투입된 상태에서는 발포수지(1)가 서로 붙게 되나 교반한 후에는 제2난연액(4)이 제1난연액(2) 상에 골고루 코팅되는 한편 난연입자(3)의 영향으로 발포수지(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서로 떨어져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코팅된 유무기 난연 바인더는 후술하는 성형단계에서 서로 들러붙어 발포수지(1)가 단열패널의 형태로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제2난연액(4)에는 팽창흑연 입자가 포함될 수 있다. 팽창흡연은 열이 가해지면 팽창하는 성질을 갖는데 이는 제조된 단열패널에 화재로 인한 열이 가해졌을 때 팽창흡연이 팽창함으로써 발포수지(1)가 불과 접촉하여 연소되는 것을 방지한다.
성형단계에서는, 위와 같이 3단계로 코팅된 발포수지(1)를 틀에 넣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성형한다(S104).
틀은 판모양, 블록모양 또는 통모양의 제품을 얻을 수 있는 금형을 이용할 수 있고, 성형을 위한 매개체는 온도가 100도에서 140도인 건조증기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건조증기를 이용하는 이유는 스팀으로 하는 경우 제1난연액(2)이나 제2난연액(4)이 경화되지 않고 녹아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건조증기의 온도가 100도 이하이면 건조되면서 경화되기 어렵고 140도 이상인 경우 경화가 심하여 제조된 단열패널이 쉽게 부서질 수 있다.
압력은 1기압에서 3기압 사이로 유지한다. 1기압 이하인 경우 코팅된 제2난연액(4)들이 서로 융착이 잘 안되고 3기압 이상인 경우에는 발포수지(1)의 손상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성형하면 발포수지(1)는 팽창하게 되고 코팅된 제2난연액(4)들이 융착되고 건조되면서 경화되어 난연성 단열패널이 완성된다. 이 때의 발포수지(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난연액(4)들이 융착되어 서로 붙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난연성 단열패널은 발포수지(1)들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금형에서 분리하여도 금형의 모양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발포수지(1)가 서로 융착되는 것이 아니라 난연액 코팅이 서로 융착되어 만들어진 것으로서 커팅을 띠톱으로 해야 할 만큼 단단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단열패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난연성 단열패널의 시편의 사진이고, 도 8은 도 7의 시편에 연소실험을 한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연소실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난연성 단열패널은 발포수지의 연소가 최소화되어 난연성능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발포수지
2 : 제1난연액
3 : 난연입자
4 : 제2난연액

Claims (4)

  1. 난연성 단열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입상의 발포수지에 제1난연액을 코팅하는 제1코팅단계,
    상기 제1코팅단계를 거친 발포수지에 난연입자를 코팅하는 제2코팅단계,
    상기 제2코팅단계를 거친 발포수지에 제2난연액을 코팅하는 제3코팅단계 및
    상기 제3코팅단계를 거친 발포수지를 틀에 넣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는 성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코팅단계에서, 상기 제1난연액은 접착성을 가진 유무기 난연 바인더이고, 상기 발포수지를 용기에 넣고 상기 제1난연액을 투입한 후 교반하여 상기 발포수지의 외표면에 상기 제1난연액이 코팅되도록 하고,
    상기 제2코팅단계에서, 상기 난연입자는 유무기 난연 분말이고, 상기 용기에 상기 난연입자를 투입한 후 교반하여 상기 난연입자가 상기 제1난연액이 코팅된 발포수지들에 코팅되면서 서로 분리되도록 하고,
    상기 제3코팅단계에서, 상기 제2난연액은 접착성을 가진 유무기 난연 바인더이고, 상기 용기에 상기 제2난연액을 투입한 후 교반하여 상기 제1난연액과 상기 난연입자에 상기 제2난연액을 코팅하고,
    상기 성형단계에서, 상기 틀에 건조증기를 투입하면서 성형하여 상기 발포수지 사이에 융착이 일어남이 없이 상기 제2난연액들이 서로 융착 및 건조되면서 경화되게 하는
    난연성 단열패널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제3코팅단계에서,
    상기 제2난연액은 팽창흑연 입자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단열패널 제조방법.
KR1020140155745A 2014-11-10 2014-11-10 난연성 단열패널 제조방법 KR101667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745A KR101667267B1 (ko) 2014-11-10 2014-11-10 난연성 단열패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745A KR101667267B1 (ko) 2014-11-10 2014-11-10 난연성 단열패널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404A KR20160056404A (ko) 2016-05-20
KR101667267B1 true KR101667267B1 (ko) 2016-10-31

Family

ID=5610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745A KR101667267B1 (ko) 2014-11-10 2014-11-10 난연성 단열패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726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484B1 (ko) 2013-10-23 2014-08-21 박광식 폴리스티렌 발포체 수지입자용 난연 코팅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484B1 (ko) 2013-10-23 2014-08-21 박광식 폴리스티렌 발포체 수지입자용 난연 코팅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404A (ko) 2016-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83919B2 (en) Method for producing foamed slabs
JP3950980B2 (ja) 発泡体の製造方法
US20080234400A1 (en) Method For Producing Foam Plates
KR100927667B1 (ko) 단열성과 난연성이 향상된 발포성 폴리스티렌 입자 및 그제조방법
KR101300626B1 (ko) 불연성과 단열성 막을 형성시킨 발포성 수지 입자의 제조방법
US20100301509A1 (en) Coating composition for foam particle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molded foam bodies
US20100032856A1 (en) Coated foam beads and process for producing halogen-free, fire-resistant bead foam moldings
KR20080047416A (ko) 셀 물질 슬랩의 제조 방법
EP2702119B1 (en) Fire retardant polystyrene
CA2768554A1 (en) Thermally insulating polymer foam and aerogel composite article
KR101493434B1 (ko) 발포 폴리스티렌용 난연성 코팅제 조성물
KR100602205B1 (ko) 팽창흑연을 함유한 불연성 난연 폴리스티렌 발포체수지입자의 제조방법
CN105175918B (zh) 一种聚苯乙烯组合物及其制得的隔热复合板
KR101667267B1 (ko) 난연성 단열패널 제조방법
KR101624480B1 (ko) 난연성 스티로폼 제조방법
KR101093995B1 (ko) 난연 발포성 폴리스티렌 비드 제조방법
KR102118390B1 (ko) 난연 및 단열성이 개선된 스티로폼
KR20180102784A (ko) 팽창성 무기 골재를 포함하는 유기 단열재
JP2013100407A (ja) 発泡ポリスチレンビーズ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66996A (ja) 断熱構造部材の製造法およびその方法によって得られる製品
JP6677426B2 (ja) 発泡断熱材の製造方法および発泡断熱材
CN105175919A (zh) 一种聚苯乙烯组合物及由其制备的阻燃隔热复合板
CN108060751A (zh) 一种eps保温装饰一体板
JP3894786B2 (ja) 複合成形体の製造方法
US20080248198A1 (en) Method for Producing Foam Pl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