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868B1 - 유에스비이 소켓 - Google Patents

유에스비이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868B1
KR101666868B1 KR1020090133323A KR20090133323A KR101666868B1 KR 101666868 B1 KR101666868 B1 KR 101666868B1 KR 1020090133323 A KR1020090133323 A KR 1020090133323A KR 20090133323 A KR20090133323 A KR 20090133323A KR 101666868 B1 KR101666868 B1 KR 101666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side plate
stiffener
piec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3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1361A (ko
Inventor
송용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3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868B1/ko
Publication of KR2011008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에스비이 소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0) 내에는 터미널(14)이 인서트사출되어 일체로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0)을 둘러감싸도록 쉘(16)이 구비되는데, 상기 쉘(16)은 하판(18), 측판(20) 및 상판(22)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판(20)에는 걸이공(26)이 형성된다. 상기 측판(20)에는 또한 기판의 통홀에 삽입되어 솔더링되는 제1삽입편(29)이 형성된다. 상기 쉘(16)을 둘러감싸도록 스티프너(30)가 구비되는데, 상기 스티프너(30)는 상기 쉘(16)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티프너(30)는 상기 쉘(16)의 상판(22)에 대응되는 상판(32)과 상기 쉘(16)의 측판(20)에 대응되는 측판(34)을 가진다. 상기 스티프너(30)의 측판(34)에는 상기 제1삽입편(29)과 동일한 통홀에 삽입되는 제2삽입편(40)이 구비되고, 상기 제2삽입편(40) 양단에는 선단이 기판의 표면과 평행한 실장편(38)이 구비된다. 상기 스티프너(30)의 상판(32) 후단에는 포크편(42)이 구비되는데, 상기 포크편(42)에는 기판의 통홀에 삽입되는 삽입부(43)가 다수개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에스비이 소켓의 강도가 보강되어 플러그의 삽입 등에 의해 형상이 비틀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소켓, 강도, 보강, 유에스비이

Description

유에스비이 소켓{USB socket}
본 발명은 유에스비이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으로 만들어진 하우징과 쉘을 보강하는 스티프너를 구비한 유에스비이 소켓에 관한 것이다.
유에스비이(USB) 소켓은 유에스비이 플러그와 함께 범용직렬버스(Universal Serial Bus)를 위한 신호연결구조를 구성하는 것이다. 범용직렬버스는 예를 들면, 컴퓨터와 주변기기, 즉 키보드, 마우스, 게임패드, 조이스틱,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프린터, PDA, 저장장치 등을 연결하는 입출력표준이다. 상기 유에스비이 플러그와 소켓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유에스비이 소켓은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기판에 실장된 유에스비이 소켓에 유에스비이 플러그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유에스비이 소켓은 기판에 실장되는 것이므로, 주로 전기기기 내에 설치되므로, 되도록 그 크기가 소형으로 되어야 전기기기를 소형화할 수 있으므로, 최근의 추세는 유에스비이 소켓을 소형화하는 것이다.
하지만, 유에스비이 소켓을 소형화하다보면, 그 강도가 약해져 기판에 견고하게 실장되지 않고, 유에스비이 플러그의 삽입과 분리과정에서 유에스비이 소켓이 비틀어지면서 손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틀림 강도를 보강한 유에스비이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판에 보다 견고하게 실장될 수 있는 유에스비이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터미널이 위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대응되는 상판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대응되는 측판과 상기 하우징의 하면과 대응되는 하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을 둘러 감싸 설치되고 상기 측판에 걸이공이 형성되며 기판에 실장되어 전기적 접지역할을 하는 금속재질의 쉘과, 상기 쉘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밀착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쉘의 상판과 대응되는 상판을 가지고 상기 쉘의 측판과 대응되는 측판에 상기 걸이공에 걸어지는 걸이수단이 구비되며 기판에 실장되는 금속재질의 스티프너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쉘에는 상기 측판에서 연장되어 기판의 통홀에 삽입되는 제1삽입편이 구비되며, 상기 스티프너의 측판에는 상기 제1삽입편과 동일한 통홀에 삽입되는 제2삽입편이 형성된다.
상기 쉘의 상판의 후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밀림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한쌍이 구비된다.
상기 스티프너의 상판 후단에는 포크편이 일체로 구비되어 쉘의 밀림을 방지 하고, 상기 포크편에는 다수개의 삽입부가 형성되어 기판의 통홀에 삽입되어 실장된다.
상기 제2삽입편의 양단에는 선단이 기판의 표면과 평행한 실장편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수단은 외팔보 형상이고 스티프너 측판의 내면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의 걸이편과 스티프너 측판의 외면으로 요입되고 내면으로 돌출되는 걸이엠보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스티프너의 측판 후단에는 상기 쉘의 밀림을 방지하는 후단 스토퍼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2삽입편의 후방에 해당되는 상기 스티프너의 측판 후단에는 선단이 기판의 표면과 평행한 실장편이 구비된다.
상기 제2삽입편에는 상기 쉘의 측판에 밀착되도록 제2삽입편의 내면에서 상기 제2삽입편의 일부가 절곡되고 돌출되어 밀착편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유에스비이 소켓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유에스비이 소켓은 그 외관을 구성하는 쉘의 외면에 밀착되어 쉴을 둘러싸도록 스티프너가 쉘에 결합되므로 그 강도가 상대적으로 강하게 되 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유에스비이 소켓은 쉴과 함께 스티프너가 기판에 실장되므로 기판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에스비이 소켓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유에스비이 소켓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후방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유에스비이 소켓의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에는 보강플레이트(12)와 함께 터미널(14)이 인서트사출되어 일체로 만들어진다. 상기 보강플레이트(12)는 보강역할을 하여 상기 터미널(14)이 임의로 절곡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터미널(14)은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14)은 일단부는 기판에 실장되고 타단부는 유에스비이 플러그의 터미널(도시되지 않음)과 전기저으로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10)을 감싸 보호하고 전기적 접지역할을 하는 쉘(16)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쉘(16)은 상기 하우징(10)을 둘러감싸는 것으로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쉘(16)은 전자파 차폐역할과 접지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쉘(16)은 상기 하우징(10)의 하면에 밀착되는 하판(18)과 상기 하판(18)의 양측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측판(20) 그리고 상기 측판(20)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하판(18)과 마주보는 상판(22)으로 구성된다. 이들, 하판(18)과 상판(22)은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도록 된다.
상기 쉘(16)의 선단에는 전방을 향해 외측으로 경사지게 각각 가이드편(24)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편(24)은 상기 쉘(16)의 내부로 상대 플러그가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측판(2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티프너(30)의 결합을 위한 걸이공(26)이 다수개 천공되어 있다. 상기 걸이공(26)은 상기 측판(20)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쉘(16)의 후단에는 각각 스토퍼(28)가 한쌍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8)는 상기 하우징(10)이 임의로 상기 쉘(16)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측판(20)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곡함에 의해 제1삽입편(29)이 만들어진다. 상기 제1삽입편(29)은 기판의 통홀에 삽입되어 실장되는 부분이다.
스티프너(30) 역시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쉘(16)의 상판(22)과 측판(20)에 각각 대응되는 상판(32)과 측판(34)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판(32)과 측판(34)은 상기 쉘(16)의 상판(22)과 측판(20)에 각각 밀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상판(32)의 내면 형상은 상기 쉘(16)의 상판(22)의 외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상판(32)의 내면 형상에서 상기 스티프너(30)의 전후 방향 으로의 형상은 일정하게 되어 상기 스티프너(30)의 상판(32) 내면이 상기 쉘(16)의 상판(22) 외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판(34)의 내면 형상 역시 상기 쉘(16)의 측판(20)의 외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쉘(16)에 대해 스티프너(30)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판(34)에는 상기 스티프너(30)가 상기 쉘(16)에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게 걸이편(3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36)은 외팔보 형상으로 선단이 상기 측판(34)의 내면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되어 상기 쉘(16)의 걸이공(26)에 걸어지도록 된다.
상기 스티프너(30)의 측판(34) 하단에는 각각 실장편(38)이 형성된다. 상기 실장편(38)은 기판 상에 솔더링되어 실장될 수 있도록 되는 것으로 선단이 기판 표면과 평행하게 만들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장편(38)이 각각의 측판(34)에 두 개씩 총 4개가 형성되는데, 상기 스티프너(30)의 후단에 해당되는 것 실장편(38)은 기판 표면과 평행한 선단의 면적이 선단의 것에 비해 두 배이상으로 된다.
상기 스티프너(30)의 측판(34)에는 각각 제2삽입편(40)이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제2삽입편(40)은 상기 실장편(38)들 사이에 각각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2삽입편(40)의 위치는 상기 쉘(16)의 제1삽입편(29)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삽입편(29,40)은 기판의 동일한 통홀에 삽입된다.
상기 스티프너(30)의 후단에는 상기 상판(32)에서 절곡되어 포크편(42)이 구 비된다. 상기 포크편(42)은 양단으로 삽입부(43)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삽입부(43)는 상기 기판의 통홀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양단으로 연장되는 삽입부(43)에 의해 상기 포크편(42)에는 대략 아치형상이 만들어진다. 상기 삽입부(43)는 본 실시예에서 2개이나 다수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포크편(42)에는 또한 상기 상판(32)과 인접한 부분에 포크통공(45)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포크통공(45)은 상기 포크편(42)의 절곡이 보다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티프너(30)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상기 스티프너(30)의 후단에 상기 측판(34)에서 각각 연장된 후방스토퍼(50)가 구비된다. 상기 후방스토퍼(50)는 상기 쉘(16)의 후단을 지지하여 쉘(16)을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10) 등이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티프너(30)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상기 측판(34)에 걸이엠보(36')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엠보(36')는 상기 측판(34)의 외면으로는 요입되고 상기 측판(34)의 내면으로는 돌출되어 상기 쉘(16)의 걸이공(26)에 걸어지게 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티프너(130)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쉘(16)의 상판(22)과 측판(20)에 각각 대응되는 상판(132)과 측판(134)이 구비된다. 상기 상판(132)과 측판(134)은 상기 쉘(16)의 상판(22)과 측판(20)에 각각 밀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상판(132)의 내면 형상은 상기 쉘(16)의 상판(22)의 외면 형상과 대응 되게 형성된다. 특히 상기 상판(132)의 내면 형상에서 상기 스티프너(130)의 전후 방향으로의 형상은 일정하게 되어 상기 스티프너(130)의 상판(132) 내면이 상기 쉘(16)의 상판(22) 외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판(134)의 내면 형상 역시 상기 쉘(16)의 측판(20)의 외면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쉘(16)에 대해 스티프너(130)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측판(134)에는 상기 스티프너(130)가 상기 쉘(16)에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게 걸이편(13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편(136)은 외팔보 형상으로 선단이 상기 측판(134)의 내면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되어 상기 쉘(16)의 걸이공(26)에 걸어지도록 된다.
상기 스티프너(130)의 측판(134) 하부의 후단에는 각각 실장편(138)이 형성된다. 상기 실장편(138)은 기판 상에 솔더링되어 실장될 수 있도록 되는 것으로 선단이 기판 표면과 평행하게 만들어진다.
상기 스티프너(130)의 측판(134)에는 각각 제2삽입편(140)이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제2삽입편(140)은 상기 측판(134)의 선단과 중간에 걸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삽입편(140)의 위치는 상기 쉘(16)의 제1삽입편(29)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삽입편(29,140)은 기판의 동일한 통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스티프너(130)의 후단에는 상기 상판(132)에서 절곡되어 포크편(142)이 구비된다. 상기 포크편(142)은 양단으로 삽입부(143)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삽입부(143)는 상기 기판의 통홀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양단으로 연장되는 삽입부(143)에 의해 상기 포크편(142)에는 대략 아치형상이 만들어진다. 상기 삽입부(143)는 본 실시예에서 2개이나 다수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포크편(142)에는 또한 상기 상판(132)과 인접한 부분에 포크통공(145)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포크통공(145)은 상기 포크편(142)의 절곡이 보다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삽입편(140)의 일부를 절개하고 절곡하여 밀착편(140')이 형성된다. 상기 밀착편(140')은 상기 쉘(16)의 측판(20)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제2삽입편(140)의 내면으로 선단이 돌출되게 상기 측판(20)의 형상에 맞도록 만들어진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유에스비이 소켓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유에스비이 소켓을 조립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하우징(10)을 사출성형할 때, 상기 보강플레이트(12)와 터미널(14)을 함께 인서트하여 일체로 만들게 된다. 이와 같이 보강플레이트(12)와 터미널(14)이 일체로 된 하우징(10)은 상기 쉘(16)에 슬라이딩되게 삽입된다. 상기 쉘(16)에 상기 하우징(10)을 삽입한 후에는 상기 스토퍼(28)를 절곡하여 쉘(16)에서 하우징(10)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티프너(30)를 상기 쉘(16)에 삽입한다. 상기 스티프너(30)는 상기 쉘(16)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데, 도 2의 상태에서 상기 스티프너(30)는 상기 쉘(16)을 후방에서부터 삽입되어 슬라이딩된다. 이때, 상기 포 크편(42)은 미리 도 2와 같이 절곡된 상태일 수도 있고 그렇지 않고 스티프너(30)의 상판(32)과 같은 평면으로 되도록 될 수도 있다.
상기 스티프너(30)가 상기 쉘(16)을 감싸도록 슬라이딩되어 상기 쉘(16)의 측판(20)에 형성된 걸이공(26)에 상기 스티프너(30)의 걸이편(36) 선단이 삽입되면 삽입을 멈춘다. 물론, 상기 포크편(42)이 절곡된 상태에서는 상기 포크편(42)이 상기 쉘(16)의 후단에 걸어질 때까지 스티프너(30)를 삽입하면 된다.
그리고,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방스토퍼(50)와 포크편(42)이 상기 쉘(16)의 후단에 걸어질 때까지 스티프너(30)를 삽입하면 되고,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포크편(42)이 쉘(16)의 후단에 걸어질 때까지 스티프너(30)를 삽입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소켓은 기판에 실장되어 사용되는데, 도 3에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들이 기판에의 실장을 위한 부분들이다. 즉, 쉘(16)의 제1삽입편(29), 스티프너(30)의 제2삽입편(40) 그리고 포크편(40)의 삽입부(43)는 기판의 통홀에 삽입되어 솔더링되는 부분이고, 상기 스티프너(30)의 실장편(38)들은 기판 상의 랜드 등에 안착되어 솔더링되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티프너(30)가 상기 쉘(16)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스티프너(30)의 내면과 쉘(16)의 외면 구성이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티프너(30)가 쉘(16)에 장착되어 쉘(16)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고, 상기 쉘(16)의 제1삽입편(29), 스티프너(30)의 제2삽입편(40) 그리고 포크편(40)의 삽입부(43)는 기판의 통홀에 삽입되어 솔더링되는 부분이고, 상기 스티프너(30)의 실장편(38) 은 기판 상에 솔더링된다. 특히 상기 제1삽입편(29)과 제2삽입편(40)은 동일한 통홀에 삽입되어 솔더링되어 쉘(16)과 스티프너(30)가 보다 견고하게 연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하우징(10)에 인서트사출되는 보강플레이트(12)는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하우징(10)에 터미널(14)만을 직접 인서트사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쉘(16)의 측판(20)에 형성된 걸이공(26)에는 위에서 설명될 걸이편(36), 걸이엠보((36') 외에도 다양한 걸이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걸이공(26)의 내면 가장자리를 둘러 위치될 수 있는 통형상의 돌기 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유에스비이 소켓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후방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티프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티프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스티프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2: 보강플레이트
14: 터미널 16: 쉘
18: 하판 20: 측판
22: 상판 24: 가이드편
26: 걸이공 28: 스토퍼
29: 제1삽입편 30: 스티프너
32: 상판 34: 측판
36: 걸이편 38: 실장편
40: 제2삽입편 42: 포크편
43: 삽입부 45: 포크통공
50: 후방스토퍼

Claims (8)

  1. 내부에 터미널이 위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대응되는 상판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대응되는 측판과 상기 하우징의 하면과 대응되는 하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을 둘러 감싸 설치되고 상기 측판에 걸이공이 형성되며 기판에 실장되어 전기적 접지역할을 하는 금속재질의 쉘과,
    상기 쉘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밀착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쉘의 상판과 대응되는 상판을 가지고 상기 쉘의 측판과 대응되는 측판에 상기 걸이공에 걸어지는 걸이수단이 구비되며 기판에 실장되는 금속재질의 스티프너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쉘에는 상기 측판에서 연장되어 기판의 통홀에 삽입되는 제1삽입편이 구비되며,
    상기 스티프너의 측판에는 상기 제1삽입편과 동일한 통홀에 삽입되는 제2삽입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이 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의 상판의 후단에는 상기 하우징의 밀림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한쌍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이 소켓.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의 상판 후단에는 포크편이 일체로 구비되어 쉘의 밀림을 방지하고, 상기 포크편에는 다수개의 삽입부가 형성되어 기판의 통홀에 삽입되어 실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이 소켓.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편의 양단에는 선단이 기판의 표면과 평행한 실장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이 소켓.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수단은 외팔보 형상이고 스티프너 측판의 내면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외팔보 형상의 걸이편과 스티프너 측판의 외면으로 요입되고 내면으로 돌출되는 걸이엠보중 어느 하나 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이 소켓.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의 측판 후단에는 상기 쉘의 밀림을 방지하는 후단 스토퍼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이 소켓.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편의 후방에 해당되는 상기 스티프너의 측판 후단에는 선단이 기판의 표면과 평행한 실장편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이 소켓.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삽입편에는 상기 쉘의 측판에 밀착되도록 제2삽입편의 내면에서 상기 제2삽입편의 일부가 절곡되고 돌출되어 밀착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에스비이 소켓.
KR1020090133323A 2009-12-29 2009-12-29 유에스비이 소켓 KR101666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323A KR101666868B1 (ko) 2009-12-29 2009-12-29 유에스비이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3323A KR101666868B1 (ko) 2009-12-29 2009-12-29 유에스비이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361A KR20110081361A (ko) 2011-07-14
KR101666868B1 true KR101666868B1 (ko) 2016-10-19

Family

ID=44919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3323A KR101666868B1 (ko) 2009-12-29 2009-12-29 유에스비이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8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20619B2 (en) 2014-05-30 2018-07-10 Molex, Llc Electrical connector
JP6295346B2 (ja) 2014-05-30 2018-03-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電気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8467A1 (en) * 2003-06-03 2004-12-09 Martin Herlitz Plug connector
JP2008251511A (ja) * 2007-03-02 2008-10-16 D D K Ltd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0682U (ko) * 1989-05-22 1990-12-27
KR20090011872U (ko) * 2008-05-19 2009-11-24 주식회사 협진아이엔씨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 커넥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8467A1 (en) * 2003-06-03 2004-12-09 Martin Herlitz Plug connector
JP2008251511A (ja) * 2007-03-02 2008-10-16 D D K Ltd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361A (ko) 201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0595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762009B2 (en) Plug connector insertable in two orientations and having a metallic shield plate with arms with hook structures
US9935401B2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US9281629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7488212B2 (en) Transceiver cage
JP4898860B2 (ja) コネクタ
JP4705102B2 (ja) コネクタ、回路基板及び電子機器
US7473143B2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JP2022137248A (ja) コネクタ組立体
US742247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140073190A1 (en) Socket connector with a sub-shell flexibly connect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US20170229799A1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KR100998109B1 (ko)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기기
US9698541B2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JP3907614B2 (ja) コネクタ
JP6293594B2 (ja) コネクタ
JP6364822B2 (ja) 光トランシーバ
JP5696695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7023499B2 (ja) 電気コネクタ
WO2017212830A1 (ja) コネクタ
JP2019135726A (ja) コネクタとコネクタ対
US20100227506A1 (en) Attachment Member Surface-Mount Component Comprising the Attachment Member, and Mounting Structure Using the Attachment Member
KR101666868B1 (ko) 유에스비이 소켓
US6837742B1 (en) Modular connector assembly with latching structure
US20120058651A1 (en)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