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578B1 - 무인이송차량 - Google Patents

무인이송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578B1
KR101665578B1 KR1020150104545A KR20150104545A KR101665578B1 KR 101665578 B1 KR101665578 B1 KR 101665578B1 KR 1020150104545 A KR1020150104545 A KR 1020150104545A KR 20150104545 A KR20150104545 A KR 20150104545A KR 101665578 B1 KR101665578 B1 KR 101665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unit
information
unmanned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순
최훈
Original Assignee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주식회사코어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주식회사코어벨 filed Critical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4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55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2201/02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을 원하는 목적지로 자동으로 이송하기 위한 무인이송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이송차량은, 다수의 물품박스가 탑재되고 상기 물품박스에 물품을 담아 이송하기 위해 물품이 보관된 다수의 물품보관구역으로 자동이동하도록, 이송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대한 물품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다수의 물품박스마다 각각 대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물품정보에 따라 상기 각각의 물품박스마다 담고자 하는 물품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표시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물품정보와 상기 물품보관구역에 보관된 물품정보로부터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물품이 보관된 적어도 하나의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에 따라 상기 무인이송차량의 이동경로를 연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통신부에 물품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물품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무인이송차량을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인이송차량{Unmanned auto moving vehicle}
본 발명은 물품 무인이송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객으로부터 주문된 물품을 원하는 목적지로 자동으로 이송하기 위한 무인이송차량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온라인 쇼핑 및 마켓의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물품을 제공하는 공급자는 물품보관소로부터 고객이 주문한 물품을 이송하여 고객별로 해당 물품을 분류하거나 포장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자동화 설비 라인에서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설비로서 대표적으로 컨베이어(conveyor)가 사용된다. 최근 이러한 컨베이어에 물품을 이송하면서 그 물품을 정해진 위치로 분류하는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 컨베이어를 이용한 물품분류의 경우 분류하고자 하는 물품의 개수가 적은 경우에도 컨베이어를 가동해야 하므로 에너지 소모가 많다는 문제점이 있고, 물품분류의 경우에도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물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고객별로 물품을 정확히 분류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는 자동이동 가능한 로봇을 이용하여 물품을 이송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이는 원하는 물품만을 운반할 수 있으므로 컨베이어에 비해 에너지 소비가 훨씬 적다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일본특허출원 제2004-361467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0-0841075호는 물품을 운반하는 무인이송차량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무인이송차량은 취득원으로부터 물품을 파지하여 원하는 위치로 운반가능하게 하고 운반시 파지수단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선행문헌을 비롯하여 종래기술에서는 다수의 고객으로부터 주문된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고객별로 구분하여 무인이송차량에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탑재하는 기술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일본특허출원 제2004-361467호 한국등록특허 제10-0841075호
본 발명은 고객으로부터 온/오프라인 마켓을 통해 주문된 물품을 고객별로 구분하여 물품박스에 담을 수 있도록 무인이송차량을 각 물품이 보관된 물품보관구역으로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무인이송차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고객별로 다수의 물품을 주문한 경우에 각 고객별로 물품박스를 할당하여 하나의 물품박스에는 하나의 고객의 물품만을 담도록 하여 이송하도록 하는 무인이송차량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각의 물품박스마다 고객별로 주문한 물품정보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각 물품박스에 고객별로 물품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무인이송차량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이송차량은, 다수의 물품박스가 탑재되고 상기 물품박스에 물품을 담아 이송하기 위해 물품이 보관된 다수의 물품보관구역으로 자동이동하는 무인이송차량에 있어서, 외부장치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이송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대해 상기 물품을 주문한 고객의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다수의 물품박스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물품정보에 따라 상기 고객별로 할당된 각각의 물품박스마다 고객별로 주문된 물품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표시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물품정보와 상기 물품보관구역에 보관된 물품정보로부터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물품이 보관된 적어도 하나의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에 따라 상기 무인이송차량의 이동경로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통신부에 물품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물품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무인이송차량을 이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무인이송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물품정보 중 상기 물품박스에 미적재된 부품이 있음을 알리기 위한 물품 미적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버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내부 메모리에 상기 다수의 물품보관구역마다 보관된 물품의 정보 및 위치를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물품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연산부는 상기 내부 메모리를 검색하여 상기 수신된 물품정보에 대응되는 물품이 보관되어있는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차량의 이동경로를 계산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인이송차량의 이동 중 상기 수신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마다 상기 물품박스에 물품을 적재하기 위해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하였다가 이동시키되, 적재할 물품의 수량에 비례하여 정지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버턴부로부터 물품 미적재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이를 전송하고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이동경로를 따라 다음 위치로 상기 무인이송차량을 이동시킨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인이송차량은, 다수의 물품박스가 탑재되고 상기 물품박스에 물품을 담아 이송하기 위해 물품이 보관된 다수의 물품보관구역으로 자동이동하는 무인이송차량에 있어서, 외부장치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이송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대해 상기 물품을 주문한 고객의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다수의 물품박스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물품정보에 따라 상기 고객별로 할당된 각각의 물품박스마다 고객별로 주문된 물품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표시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물품정보와 상기 물품보관구역에 보관된 물품의 정보로부터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물품이 보관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에 따라 상기 무인이송차량의 이동경로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무인이송차량의 이동을 지시하기 위한 이동지시신호를 발생하는 제1버턴부; 상기 통신부에 물품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물품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무인이송차량을 상기 추출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로 이동시키되, 상기 제1버턴부로부터 이동지시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상기 무인이송차량을 이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무인이송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물품정보 중 상기 물품박스에 미적재된 부품이 있음을 알리기 위한 물품 미적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버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내부 메모리에 상기 다수의 물품보관구역마다 보관된 물품의 정보 및 위치를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물품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연산부는 상기 내부 메모리를 검색하여 상기 수신된 물품정보에 대응되는 물품이 보관되어있는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차량의 이동경로를 계산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버턴부로부터 물품 미적재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이를 전송하고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이동경로를 따라 다음 위치로 상기 무인이송차량을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산부에서 상기 수신된 물품정보에 따라 상기 무인이송차량이 이동할 물품보관구역의 위치가 다수 개 추출되는 경우 상기 연산부는 상기 추출된 위치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무인이송차량의 이동경로를 연산한다.
삭제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인이송차량을 초기에는 기설정된 초기위치로 이동시켜 대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연산부에서 이동경로가 연산되면 상기 연산된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무인이송차량을 이동시키며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물품이 각각의 물품박스에 모두 담기면 최종적으로 기설정된 최종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인이송차량은, 다수의 물품박스가 탑재되고 상기 물품박스에 물품을 담아 이송하기 위해 물품이 보관된 다수의 물품보관구역으로 자동이동하는 무인이송차량에 있어서, 외부장치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이송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대해 상기 물품을 주문한 고객의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정보 및 상기 이송할 물품의 물품정보에 따라 상기 무인이송차량이 이동할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다수의 물품박스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물품정보에 따라 상기 고객별로 할당된 각각의 물품박스마다 고객별로 주문된 물품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표시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로 이동할 상기 무인이송차량의 이동경로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통신부로 상기 물품정보 및 물품보관구역의 위치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물품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무인이송차량을 상기 수신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무인이송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물품정보 중 상기 물품박스에 미적재된 부품이 있음을 알리기 위한 물품 미적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버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인이송차량의 이동 중 상기 수신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마다 상기 물품박스에 물품을 적재하기 위해 기설정된 시간동안 정지하였다가 이동시키되, 적재할 물품의 수량에 비례하여 정지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버턴부로부터 물품 미적재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이를 전송하고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이동경로를 따라 다음 위치로 상기 무인이송차량을 이동시킨다.
삭제
본 발명에서, 상기 무인이송차량의 이동을 지시하기 위한 이동지시신호를 발생하는 제1버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무인이송차량을 상기 수신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로 이동시키되, 상기 제1버턴부로부터 이동지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무인이송차량을 이동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인이송차량에 상기 물품박스를 다수의 층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설치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표시부는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각각의 물품박스마다 대응하는 위치마다 각각 설치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이 온/오프라인 마켓을 통해 물품을 주문하면 그 주문된 물품이 보관된 물품보관구역으로 무인이송차량이 자동으로 이동하여 해당 물품이 물품박스에 담기면 그 물품을 기설정된 목적지까지 자동으로 이송하기 때문에 쉽고 쉽고 편리하게 물품을 원하는 장소까지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인이송차량에 탑재된 다수의 물품박스를 고객별로 할당하여 하나의 물품박스에 하나의 고객의 물품을 담을 수 있으므로, 포장 등의 후공정에서 고객별로 물품을 분리할 필요없이 바로 포장할 수 있고, 이로써 포장공정에서의 시간과 노력을 훨씬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물품박스마다 고객별로 주문한 물품정보를 표시하도록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각각의 물품박스마다 표시부에 표시된 물품을 물품박스에 정확히 담을 수 있어 다른 고객의 물품이 혼재되지 않으며, 이로써 고객별로 물품을 분리하기 위한 공정이 필요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이송차량의 외관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이송차량의 구성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객별 물품정보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보관구역에 대한 레이아웃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이송차량의 물품이송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이송차량의 이동과정의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인이송차량의 이동과정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인이송차량의 이동과정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이송차량의 물품이송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인이송차량의 외관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무인이송차량(100)은 지능형 무인이송이 가능한 차량이다. 이러한 무인이송차량(100)은 유무선 원격조정 또는 이동명령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물품을 원하는 구역으로 이송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인이송차량(100)은 다수의 물품박스(121)가 탑재된다. 각 물품박스(121)는 무인이송차량(100)에 착탈가능하도록 탑재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면의 일례와 같이 무인이송차량(100)의 상면에 형성된 홈(30)에 물품박스(121)가 삽입되도록 하여 무인이송차량(100)의 이동에도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물품박스(121)에 무인이송차량(10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착탈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인이송차량(100)은 몸체부(10)의 내부에 자율이동을 위한 각종 장치들이 내장되어 있다. 예컨대, 자이로센서, 위치인식센서, 장애물감지센서 등의 각종 센서와 모터, 배터리 등의 장치를 비롯하여 무인이송차량(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이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인이송차량(100)에는 다수의 표시부(120)가 설치된다. 이는 물품을 물품박스(121)에 담는 작업자가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다수의 표시부(120)는 다수의 물품박스(121)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표시부(120)의 설치위치는 어디라도 상관없다. 즉, 어느 물품박스(121)에 어떤 물품이 담을지를 각 표시부(120)가 표시하기만 한다면 그 설치위치는 어디라도 무관하다는 것이다. 이로써 작업자는 각 물품박스(121)마다 대응하는 표시부(120)에 표시된 물품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물품박스(121)에 물품을 담을 수 있게 된다. 도면에는 예시적으로 3개의 물품박스(121)만 도시되었으나 그 개수는 물론 필요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한 물품박스(121)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무인이송차량(100)에 더 많은 물품박스(121)를 탑재하기 위해 다층으로 구성된 프레임(미도시)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의 다수의 각 층별로 각각 물품박스(121)를 탑재함으로써 더 많은 물품을 담을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다수의 표시부(120)는 프레임의 일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물품박스(121)마다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각각의 물품박스(121)마다 표시부(120)가 각각 대응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인이송차량의 구성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이송차량(100)은 통신부(110), 표시부(120), 연산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무인이송차량(100)은 제1버턴부(150) 또는 제2버턴부(160) 중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부(110)는 기설정된 외부장치(미도시)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특히, 외부장치로부터 이송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대한 물품정보를 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고객이 주문한 물품에 대한 물품정보를 수신한다. 이는 이송하고자 하는 물품이 어느 고객이 주문한 물품이며, 그 물품의 종류, 사이스, 개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다른 실시 예에서 통신부(110)는 물품정보와 그 물품정보에 따른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를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 이는 외부장치에서 이송할 물품과 그 물품이 보관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를 미리 추출하여 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표시부(120)는 다수 개로 형성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물품박스(121)마다 각각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각각의 물품박스(121)마다 담고자 하는 물품의 정보를 표시한다. 이는 이후에 작업자가 물품을 물품박스(121)에 적재할 때 참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는 통신부(110)에서 수신된 물품정보를 표시부(120)에서 표시하되, 고객별로 물품박스(121)를 구분하여 물품을 담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객별 물품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
연산부(130)는 통신부(110)에서 수신된 물품정보와 다양한 물품이 보관된 다수의 물품보관구역의 물품정보를 이용하여 무인이송차량(100)이 이동할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를 추출하고 그 추출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에 따라 무인이송차량(100)의 이동경로를 연산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에서 수신된 물품정보의 물품이 어느 물품보관구역에 보관되어 있는지를 확인하여 그 물품이 보관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물품보관구역마다 보관된 물품의 정보 및 그 위치가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이로써, 통신부(110)에서 수신된 물품정보의 물품을 물품박스(121)에 담기 위해 그 물품이 보관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를 내부 메모리로부터 추출하고, 그 위치로 무인이송차량(100)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경로를 연산하도록 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효율적인 이동 및 최단거리의 이동경로를 연산함이 좋다.
제어부(140)는 통신부(110)에서 수신된 물품정보를 표시부(12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연산부(130)에서 연산된 이동경로를 따라 무인이송차량(100)을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통신부(110)에서 수신된 물품정보를 이용하여 고객별로 물품정보를 구분하고 각 고객마다 물품박스(121)를 할당한다. 이후 고객마다 할당된 물품박스(121)에 대응하는 표시부(120)에 해당 고객의 물품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이로써, 각 물품박스(121)에는 해당 고객의 물품정보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물품을 물품박스(121)에 담는 작업자가 각 물품박스(121)에 대응하는 표시부(120)에 표시된 물품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물품을 그 물품박스(121)에 담을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각각의 물품박스(121)에는 고객별로 물품이 담기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40)는 일례로 이동경로를 따라 다수의 물품보관구역으로 무인이송차량()을 이동시키되, 물품보관구역에 도착한 후 기설정된 일정시간 동안 정지하였다가 다시 다음 물품보관구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해당 물품보관구역에서 작업자가 물품을 물품박스(121)에 담는 시간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해당 물품보관구역에서 담을 물품이 많을수록 정지하는 시간이 길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많은 물품을 담으려면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제1버턴부(150)는 무인이송차량(100)에 선택적으로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버턴부(150)는 무인이송차량(100)의 이동을 지시하기 위한 이동지시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무인이송차량(100)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하였다가 다시 자동으로 다음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가 표시부(120)에 표시된 물품을 해당 물품박스(121)에 담은 후 제1버턴부(150)를 동작시켜 이동지시신호를 발생한 경우에 무인이송차량(100)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물품보관구역에서 물품을 물품박스(121)에 담는 동안 무인이송차량(100)이 정지하고 있다가 작업자가 물품을 담은 후에 제1버턴부(150)를 작동시키면 제어부(140)가 무인이송차량(100)을 다음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40)는 연산부(130)에서 연산된 이동경로로 무인이송차량(100)을 이동시키되, 제1버턴부(150)로부터 이동지시신호가 수신되면 무인이송차량(100)을 다음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또한, 제2버턴부(160)도 무인이송차량(100)에 선택적으로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버턴부(160)는 표시부(120)에 표시된 물품이 해당 물품보관구역에 없는 경우에 물품박스(121)에 물품의 미적재를 알리기 위한 물품 미적재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제2버턴부(160)로부터 물품 미적재 신호가 발생하면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장치로 이를 전송하고 연산부(130)에서 연산된 이동경로를 따라 다음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로 무인이송차량(100)을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로써, 제어부(140) 및 외부장치는 각 물품박스(121)마다 어떤 물품이 미적재되었는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객별 물품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예시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품정보는 통신부(110)에서 외부로부터 수신하여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한다. 이에 제어부(140)는 상기 수신된 물품정보를 이용하여 고객별로 구분하고 고객별로 물품을 분류하여 담을 수 있도록 각 고객마다 물품박스(121)를 할당한다. 기본적으로 한 고객당 하나의 물품박스(121)를 할당함이 바람직하지만, 고객이 주문한 물품이 많을 경우에는 물론 한 고객에게 다수의 물품박스(121)를 할당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일례를 참조하면, 물품정보에는 고객명과 고객이 주문한 물품, 그 물품의 특징(사이즈, 색상, 분류코드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다. 예컨대 홍길동이라는 고객이 모자와 운동화를 주문하고 모자의 사이즈는 XL, 색상은 Y이고, 그 모자의 분류코드는 TR25H로 설정된다. 이러한 물품정보가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되면 제어부(140)는 각 고객별로 물품박스(121)를 할당한다. 즉, 홍길동이라는 고객은 물품박스 #1을 할당한다. 이는 물품박스 #1에는 홍길동 고객의 물품을 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물품박스 #1에 대응하는 표시부(120)에는 홍길동 고객의 물품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물품박스 #1에는 그 표시부(120)에 표시된 물품만을 담도록 한다. 이때, 연산부(130)는 홍길동 고객의 물품인 사이즈 XL, 색상 Y인 모자와 사이즈 250, 색상 R인 운동화가 각각 보관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를 추출하고 그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경로를 연산한다. 물론, 각 물품이 어느 물품보관구역에 보관되어 있는지, 그 각 물품보관구역의 위치가 무엇인지는 미리 설정되어 내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연산부(130)는 이를 이용하여 고객별로 물품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이 주문한 물품이 보관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를 추출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보관구역에 대한 레이아웃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물품보관구역(210~240)은 다수 개가 형성된다. 각 물품보관구역(210~240)에는 각각 물품(211~214)이 보관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각 물품보관구역(210~240)에는 각각 자신의 위치(P1~Pn)가 설정된다. 도면에는 일례로 다수의 물품보관구역(210~240)이 일렬로 배열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다른 예에서는 M×N(M,N은 정수)개로 배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물품보관구역(210~240)의 전부 또는 일부에는 작업자(201)가 각각 배치되어 무인이송차량(100)이 물품보관구역(210~240)으로 이동해서 정지하면 각각의 표시부(120)에 표시된 물품정보에 따른 물품을 물품박스(121)에 담도록 한다. 무인이송차량(100)은 연산부(130)에서 연산한 이동경로(200)를 따라 이동하며, 이러한 이동경로는 상기 위치(P1~Pn)를 적어도 하나 이상 통과하도록 설정된다. 즉, 물품박스(121)에 담고자 하는 물품이 보관된 물품부관구역(210~240)의 위치(P1~Pn)를 통과하도록 한다. 예컨대, A고객이 물품1과 물품n을 주문하고 B고객이 물품2를 주문한 경우, 무인이송차량(100)은 P1위치, P2위치, Pn위치로 이동하도록 이동경로가 설정된다. 이에, 무인이송차량(100)은 이동경로에 따라 예컨대, P1위치로 이동하여 작업자(201)가 물품박스 #1에 A고객의 물품1을 담을 수 있도록 하고, 이후에 P2위치로 이동하여 작업자(201)가 물품박스 #2에 B고객의 물품2를 담을 수 있도록 하며, 계속해서 Pn위치로 이동하여 작업자(201)가 다시 물품박스 #1에 A고객의 물품n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제1버턴부(150)가 설치된 경우 작업자(201)는 물품을 해당 물품박스에 담은 후 제1버턴부(150)를 동작시키면 무인이송차량(100)은 다음 위치로 자동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물품을 적재한 후 즉시 제1버턴부(150)를 동작시킴으로써 적재시간을 줄일 수 있어 빠른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버턴부(160)가 설치된 경우 작업자(201)는 적재할 물품이 없는 경우 제2버턴부(160)를 동작시켜 즉시 다음 위치로 자동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또한 적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최초의 초기위치(P10) 및 마지막의 최종위치(P20)를 설정하여 무인이송차량(100)이 최초에 최기위치(P10)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물품을 담기 위해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물품이 다 담기면 최종위치(P20)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러한 최종위치(P20)는 예컨대 물품의 포장공정이나 배송공정 등의 후속공정이 이루어지는 장소가 될 수 있다. 이로써, 무인이송차량(100)은 초기위치(P10)에서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한 후 최종위치(P20)까지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품을 편리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이송차량의 물품이송동작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인이송차량(100)의 물품이송동작은 통신부(110)에서 외부로부터 고객별 물품정보를 수신하면(S101), 제어부(140)에서 고객별로 물품을 담을 물품박스(121)를 할당한다(S103). 이는 어느 고객의 물품을 어느 물품박스(121)에 담을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후에 할당된 물품박스(121)에 대응하늠 표시부(120)에 고객별 물품정보를 표시한다(S105). 이는 작업자(201)가 바람직하게는 물품박스(121)별로 담을 물품을 눈으로 확인하고 해당 물품을 담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표시부(120)에 표시된 물품정보의 물품이 보관된 물품보관구역(210~240)의 위치를 추출한다(S107). 각 물품보관구역(210~240)마다 자신의 위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고, 또한 각 물품보관구역(210~240)마다 어떠한 물품이 각각 보관되어 있는지가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는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기저장되어 있다. 이에 연산부(130)에서 고객별 물품마다 물품보관구역(210~240)의 위치를 추출한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추출된 물품보관구역(210~240)의 위치를 이용하여 무인이송차량(100)의 이동경로를 연산한다(S109). 제어부(140)는 상기 연산된 이동경로를 따라 무인이송차량(100)을 이동시킨다. 즉, 고객별로 주문된 물품을 해당 물품박스(121)에 담기 위하여 제어부(140)가 이동경로를 따라 무인이송차량(100)을 이동시켜 작업자(201)가 물품을 물품박스(121)에 담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이송차량의 이동과정의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인이송차량(100)은 물품을 물품박스(121)에 담아 원하는 장소로 이송하기 위하여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경로를 따라 물품보관구역(210~240)으로 이동한다(S201). 이동경로 상의 물품보관구역(210~240)의 위치에 도착하였으면(S203), 기설정된 시간 동안 그 위치에 대기한다(S205). 이후에 제어부(140)는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S207),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였으면 제어부(140)는 이동경로 상의 다음 위치로 무인이송차량(100)을 이동시킨다(S209). 이는 무인이송차량(100)을 이동경로를 따라 물품보관구역(210~240)로 이동한 후 작업자(201)가 물품박스(121)에 물품을 담는 시간동안 그 위치에 대기하였다가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다음 물품보관구역(210~240)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인이송차량의 이동과정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인이송차량(100)은 물품을 물품박스(121)에 담아 원하는 장소로 이송하기 위하여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경로를 따라 물품보관구역(210~240)으로 이동한다(S301). 이동경로 상의 물품보관구역(210~240)의 위치에 도착하면(S303), 그 위치에 대기한다(S305).
이후, 제어부(140)는 제1버턴부(150)로부터 무인이송차량(100)의 이동지시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S307), 입력되지 않으면 대기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입력되었으면 제어부(140)에서 이동경로 상의 다음 위치로 무인이송차량(100)을 이동시킨다(S309). 이는 도 6에서와는 달리 무인이송차량(100)을 이동경로를 따라 물품보관구역(210~240)으로 이동한 후 작업자(201)가 물품박스(121)에 물품을 담는 시간동안 그 위치에 대기하였다가 작업자(201)가 물품을 담은 후 제1버턴부(150)를 동작시키면 이동지시신호가 발생하여 제어부(140)로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다음 물품보관구역(210~240)로 무인이송차량(100)을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인이송차량의 이동과정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인이송차량(100)은 물품을 물품박스(121)에 담아 원하는 장소로 이송하기 위하여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동경로를 따라 물품보관구역(210~240)으로 이동한다(S401). 이러한 무인이송차량(100)은 물품보관구역(210~240)의 위치에 도착하면(S403), 그 위치에 대기한다(S405).
이후, 제어부(140)는 제2버턴부(150)로부터 물품의 미적재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여(S407), 입력되지 않으면 대기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입력되었으면 제어부(140)에서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장치로 이를 통보하고(S509), 무인이송차량(100)을 이동경로 상의 다음 물품보관구역(210~240)의 위치로 이동시킨다(S411). 이는 도 6 및 도 7과는 달리 무인이송차량(100)이 연산된 이동경로를 따라 물품보관구역(210~240)으로 이동한 후 해당 물품보관구역(210~240)에 물품박스(121)에 적재할 물품이 없는 경우에 빨리 다음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작업자(201)가 조치를 취하기 위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무인이송차량의 물품이송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통신부(110)에서 고객별 물품정보 및 그 물품정보에 따라 무인이송차량(100)이 이동할 물품보관구역(210~240)의 위치를 수신한다(S501). 이와 같이 통신부(110)에서 고객별 물품정보 및 그 물품의 위치를 수신하면, 제어부(140)에서 고객별로 물품을 담을 물품박스(121)를 할당한다(S503). 이는 어느 고객의 물품을 어느 물품박스(121)에 담을지를 결정하는 것이다. 이후에 할당된 물품박스(121)에 대응하는 표시부(120)에 고객별 물품정보를 표시한다(S505). 이는 작업자(201)가 바람직하게는 물품박스(121)별로 담을 물품을 눈으로 확인하고 해당 물품을 담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수신된 물품보관구역(210~240)의 위치를 이용하여 무인이송차량(100)의 이동경로를 연산한다(S507). 이어, 제어부(140)는 상기 연산된 이동경로를 따라 무인이송차량(100)을 이동시킨다(S509). 즉, 고객별로 주문된 물품을 대응되는 각 물품박스(121)에 담기 위하여 제어부(140)가 이동경로를 따라 무인이송차량(100)을 이동시켜 작업자(201)가 물품을 물품박스(121)에 담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무인이송차량(100)의 이동은 공지된 라인 트레이싱(line tracing) 방식이나 마킹 트레이싱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라인 트레이싱은 물품보관구역을 따라 설치된 라인을 감지하여 그 라인을 따라 무인이송차량(100)이 이동하도록 하는 방식이며, 마킹 트레이싱은 각 물품보관구역 간의 경로 상에 일정한 표식을 갖는 마킹을 설치하여 그 마킹을 감지함으로써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를 확인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이동방식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무인이송차량(100)을 이용하여 물품을 이송하도록 한다. 이는 무인이송차량(100)에 탑재된 다수의 물품박스(121)에 고객별로 주문된 물품을 담아서 최종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때, 무인이송차량(100)은 물품정보만 수신하면 그 물품정보를 바탕으로 해당 물품이 보관된 물품보관구역(210~240)의 위치를 자동으로 추출하고, 그 추출된 위치를 기반으로 이동경로를 연산하여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더하여, 각 물품박스(121)별로 대응하는 표시부(120)에 표시된 물품정보를 표시하기 때문에 무인이송차량(100)이 각 위치로 이동하면 작업자(201)는 물품을 해당 물품박스(121)에 정확히 담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무인이송차량(100)은 초기위치에 대기하고 있다가 이동경로가 연산되면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최종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최종위치에서 포장 등의 후속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통신부 120 : 표시부
121 : 물품박스 130 : 연산부
140 : 제어부 150 : 제1버턴부
160 : 제2버턴부 210~240 : 물품보관구역
211~214 : 물품 P10 : 초기위치
P20 : 최종위치

Claims (13)

  1. 다수의 물품박스가 탑재되고 상기 물품박스에 물품을 담아 이송하기 위해 물품이 보관된 다수의 물품보관구역으로 자동이동하는 무인이송차량에 있어서,
    외부장치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이송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대해 상기 물품을 주문한 고객의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다수의 물품박스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물품정보에 따라 상기 고객별로 할당된 각각의 물품박스마다 고객별로 주문된 물품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표시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물품정보와 상기 물품보관구역에 보관된 물품정보로부터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물품이 보관된 적어도 하나의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에 따라 상기 무인이송차량의 이동경로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통신부에 물품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물품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무인이송차량을 이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무인이송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물품정보 중 상기 물품박스에 미적재된 부품이 있음을 알리기 위한 물품 미적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버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내부 메모리에 상기 다수의 물품보관구역마다 보관된 물품의 정보 및 위치를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물품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연산부는 상기 내부 메모리를 검색하여 상기 수신된 물품정보에 대응되는 물품이 보관되어있는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차량의 이동경로를 계산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인이송차량의 이동 중 상기 수신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마다 상기 물품박스에 물품을 적재하기 위해 기설정된 시간동안 정지하였다가 이동시키되, 적재할 물품의 수량에 비례하여 정지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버턴부로부터 물품 미적재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이를 전송하고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이동경로를 따라 다음 위치로 상기 무인이송차량을 이동시키는 무인이송차량.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다수의 물품박스가 탑재되고 상기 물품박스에 물품을 담아 이송하기 위해 물품이 보관된 다수의 물품보관구역으로 자동이동하는 무인이송차량에 있어서,
    외부장치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이송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대해 상기 물품을 주문한 고객의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다수의 물품박스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물품정보에 따라 상기 고객별로 할당된 각각의 물품박스마다 고객별로 주문된 물품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표시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물품정보와 상기 물품보관구역에 보관된 물품의 정보로부터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물품이 보관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에 따라 상기 무인이송차량의 이동경로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무인이송차량의 이동을 지시하기 위한 이동지시신호를 발생하는 제1버턴부;
    상기 통신부에 물품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물품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무인이송차량을 상기 추출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로 이동시키되, 상기 제1버턴부로부터 이동지시신호가 수신될 때마다 상기 무인이송차량을 이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무인이송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물품정보 중 상기 물품박스에 미적재된 부품이 있음을 알리기 위한 물품 미적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버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는 내부 메모리에 상기 다수의 물품보관구역마다 보관된 물품의 정보 및 위치를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물품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연산부는 상기 내부 메모리를 검색하여 상기 수신된 물품정보에 대응되는 물품이 보관되어있는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무인차량의 이동경로를 계산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버턴부로부터 물품 미적재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이를 전송하고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이동경로를 따라 다음 위치로 상기 무인이송차량을 이동시키는 무인이송차량.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에서 상기 수신된 물품정보에 따라 상기 무인이송차량이 이동할 물품보관구역의 위치가 다수 개로 추출되는 경우 상기 연산부는 상기 추출된 위치를 순차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무인이송차량의 이동경로를 연산하는 무인이송차량.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인이송차량을 초기에는 기설정된 초기위치로 이동시켜 대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연산부에서 이동경로가 연산되면 상기 연산된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무인이송차량을 이동시키며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물품이 각각의 물품박스에 모두 담기면 최종적으로 기설정된 최종위치로 이동시키는 무인이송차량.
  9. 다수의 물품박스가 탑재되고 상기 물품박스에 물품을 담아 이송하기 위해 물품이 보관된 다수의 물품보관구역으로 자동이동하는 무인이송차량에 있어서,
    외부장치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이송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품에 대해 상기 물품을 주문한 고객의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정보 및 상기 이송할 물품의 물품정보에 따라 상기 무인이송차량이 이동할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다수의 물품박스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물품정보에 따라 상기 고객별로 할당된 각각의 물품박스마다 고객별로 주문된 물품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표시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로 이동할 상기 무인이송차량의 이동경로를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통신부로 상기 물품정보 및 물품보관구역의 위치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물품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무인이송차량을 상기 수신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무인이송차량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물품정보 중 상기 물품박스에 미적재된 부품이 있음을 알리기 위한 물품 미적재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버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인이송차량의 이동 중 상기 수신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마다 상기 물품박스에 물품을 적재하기 위해 기설정된 시간동안 정지하였다가 이동시키되, 적재할 물품의 수량에 비례하여 정지 시간을 설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버턴부로부터 물품 미적재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장치로 이를 전송하고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이동경로를 따라 다음 위치로 상기 무인이송차량을 이동시키는 무인이송차량.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이송차량의 이동을 지시하기 위한 이동지시신호를 발생하는 제1버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산부에서 연산된 이동경로를 따라 상기 무인이송차량을 상기 수신된 물품보관구역의 위치로 이동시키되, 상기 제1버턴부로부터 이동지시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무인이송차량을 이동시키는 무인이송차량.
  12. 제1항, 제5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인이송차량에 상기 물품박스를 다수의 층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설치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표시부는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각각의 물품박스마다 대응하는 위치마다 각각 설치되는 무인이송차량.
  13. 삭제
KR1020150104545A 2015-07-23 2015-07-23 무인이송차량 KR101665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545A KR101665578B1 (ko) 2015-07-23 2015-07-23 무인이송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545A KR101665578B1 (ko) 2015-07-23 2015-07-23 무인이송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5578B1 true KR101665578B1 (ko) 2016-10-12

Family

ID=5717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545A KR101665578B1 (ko) 2015-07-23 2015-07-23 무인이송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557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914A (ko) * 2018-01-15 2019-07-24 (주)아모레퍼시픽 디지털 픽킹 카트 시스템 및 디지털 픽킹 카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
WO2021010502A1 (ko) * 2019-07-12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및 그를 이용한 물품 관리 방법
KR20210018430A (ko) * 2018-06-06 2021-02-17 베이징 긱플러스 테크놀러지 씨오. 엘티디 이동 로봇
KR102253544B1 (ko) * 2020-09-03 2021-05-18 (주)오아시스 근접 센서 기반 상품 피킹을 보조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0006A (ja) * 1991-08-12 1992-12-04 Daifuku Co Ltd 物品仕分け設備
JP2004361467A (ja) 2003-06-02 2004-12-24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装置及び方法
KR100841075B1 (ko) 2005-12-12 2008-06-24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자율이동로봇 및 자율이동로봇에 의한 물품운반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50006A (ja) * 1991-08-12 1992-12-04 Daifuku Co Ltd 物品仕分け設備
JP2004361467A (ja) 2003-06-02 2004-12-24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装置及び方法
KR100841075B1 (ko) 2005-12-12 2008-06-24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자율이동로봇 및 자율이동로봇에 의한 물품운반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914A (ko) * 2018-01-15 2019-07-24 (주)아모레퍼시픽 디지털 픽킹 카트 시스템 및 디지털 픽킹 카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4966B1 (ko) * 2018-01-15 2019-08-28 (주)아모레퍼시픽 디지털 픽킹 카트 시스템 및 디지털 픽킹 카트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210018430A (ko) * 2018-06-06 2021-02-17 베이징 긱플러스 테크놀러지 씨오. 엘티디 이동 로봇
KR102541919B1 (ko) * 2018-06-06 2023-06-13 베이징 긱플러스 테크놀러지 씨오., 엘티디. 이동 로봇
WO2021010502A1 (ko) * 2019-07-12 2021-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봇 및 그를 이용한 물품 관리 방법
KR102253544B1 (ko) * 2020-09-03 2021-05-18 (주)오아시스 근접 센서 기반 상품 피킹을 보조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64413B1 (ko) 2020-09-03 2021-06-14 (주)오아시스 사용자에 의한 상품 피킹을 보조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2050631A1 (ko) * 2020-09-03 2022-03-10 (주)오아시스 근접 센서 기반 상품 피킹을 보조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047B1 (ko) 무인이송차량을 이용한 물품 이송시스템
US11702284B2 (en) Storage system
CN109064090B (zh) 拣货提示方法以及装置
CN110422529B (zh) 一种货物自动运输的实现方法和系统
EP3525146B1 (en) Autonomous mobile picking
KR102043801B1 (ko) 지능형 무인자율주행 물류 로봇
CN111386233B (zh) 仓库系统
US20190177086A1 (en) A picking system having a transport robot for moving underneath individualshelves and transporting vehicle
KR101665578B1 (ko) 무인이송차량
CN109279252A (zh) 货物搬运系统和方法
CN105722770A (zh) 库存管理和履行系统中的设施间运输
CN108726062B (zh) 基于机器人的拣货或补货方法及系统
JP6852548B2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JP7067970B2 (ja) 搬送システム
CN113879734B (zh) 一种仓储处理系统及方法
JP2022172392A (ja) 自動倉庫システム
JP2009126668A (ja) 自動倉庫の仕分けシステム
JP4026468B2 (ja) 物品取扱い設備
JP7271822B2 (ja) 無人移送車によるピッキングシステム
JP5760925B2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US20230415288A1 (en) Docking station for a workpiece holder in a driverless transport system
CN110980099B (zh) 部品出入库运搬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598415B2 (ja) ピッキング設備およびピッキング設備における識別符号付与方法
JP2024052012A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JP2023047906A (ja) 無人移送車による多層ピッキン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