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413B1 - 기어 하우징 - Google Patents

기어 하우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5413B1
KR101665413B1 KR1020140116907A KR20140116907A KR101665413B1 KR 101665413 B1 KR101665413 B1 KR 101665413B1 KR 1020140116907 A KR1020140116907 A KR 1020140116907A KR 20140116907 A KR20140116907 A KR 20140116907A KR 101665413 B1 KR101665413 B1 KR 101665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ear
housing part
gear housing
plastic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6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7717A (ko
Inventor
칼스텐 하트랩
스벤 피셔
Original Assignee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filed Critical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Publication of KR20150027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7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5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5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a rack-and-pinion or like gear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by linear actuators, e.g. linear screw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9Gearboxes for accommodating worm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부품(1)을 포함하고, 하우징 부품(1)이 플레이트형 베이스 몸체(10) 및 시트 조정 장치의 기어 요소들(8, 9)이 수납되는 기어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하우징 부품(1)을 또 다른 하우징 부품과 연결하는 연결 영역들(12, 14)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정 장치의 기어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기어 하우징에서, 하우징 부품(1)은 그 강도가 상이한 적어도 2개의 플라스틱 재료들로 일체로 형성되는데, 기어 작용력들을 수용하는 베이스 몸체(10)의 영역은 더 큰 강도를 갖는 제1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고, 더 낮은 강도의 제2 플라스틱 재료로 이뤄지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영역(2)이 하우징 부품(1)에 마련되며, 하우징 부품(1)은 기어 하우징이 예정된 대로 시트 조정 장치에 통합될 때에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영역(2)을 통해 인접한 또 다른 부품(6)과 접촉한다.

Description

기어 하우징{GEAR HOUSING}
본 발명은 특허 청구 범위의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자동차용 조정 장치, 특히 자동차용 시트 조정 장치의 기어 하우징(gear housing)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기어 하우징은 플레이트형 베이스 몸체(base body) 및 연결 영역들(플레이트형 베이스 몸체로부터 돌출한)을 갖는 하우징 부품(housing component)을 포함하는데, 하우징 부품은 예정된 사용 시에 시트 조정 장치의 기어 요소들이 수납되는 기어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 영역들에 의해 또 다른 하우징 부품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부품은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지점(bearing point)을 구비할 수 있는데, 베어링 지점에는 시트 조정 장치의 작동 시에 발생하는 기어 작용력들(또는 그에 수반하는 반작용력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어링 지점을 통해 하우징 부품에 도입되도록 기어 요소들 중의 하나가 지지된다.
전술한 타입의 하우징 부품들로 구성되는 기어 하우징이 DE 198 61 100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기어 하우징은 구동 웜(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과 그에 부속된 웜 기어를 수납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웜 기어는 예컨대 그 암나사가 나사 스핀들과 연동하는 웜 기어 톱니부를 갖는 스핀들 너트로서 구성될 수 있거나, 시트 어셈블리의 위치를 설정하는데 필요한 조정 이동을 생성하기 위해 그 웜 기어 톱니부를 통해 랙(rack)과 직접 연동할 수 있다. 내부에 기어 요소들이 지지된 기어 하우징은 다시 횡단면이 U형인 장착 브래킷(mounting bracket)에 수납되는데, 장착 브래킷 그 자체는 해당 자동차 시트에 고정될 수 있다. 시트 조정 장치의 작동 시에, 즉 기어 요소들의 작동 중에 생성되는 진동들이 기어 하우징 및 장착 브래킷을 통해 시트 프레임에 도입되어 그것이 소음 발생을 유발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컨대 캡(cap)들의 형태의 추가의 디커플링 요소들이 필요한데, 디커플링 요소들은 진동들의 전달을 억제하기 위해 예컨대 기어 하우징과 장착 브래킷 사이 및/또는 장착 브래킷과 또 다른 시트 부품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는 추가의 공간 소요 및 조립 비용이 수반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디커플링하는 것이 간단해지도록 서두에 전술한 타입의 기어 하우징의 하우징 부품을 더욱 개선하는 것이다.
그러한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하우징 부품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그에 따르면, 기어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품은 그 강도가 상이한 적어도 2개의 플라스틱 재료들로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2개의 플라스틱 재료들 중 더 큰 강도를 갖는 제1 플라스틱 재료는 시트 조정 장치의 작동 시에 하우징 부품에 도입되는(베어링 지점(들)을 통해) 기어 작용력들이 더 큰 강도의 재료 영역들에 의해 수용될 수 있도록 베이스 몸체의 적어도 일부 및 바람직하게는 특히 하우징 부품의 베어링 지점(들)을 형성한다. 또한, 제1 플라스틱 재료보다 연질의(플렉서블한) 제2 플라스틱 재료로 이뤄지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영역이 하우징 부품에 일체로 형성되는데, 하우징 부품은 예정된 사용 시에 그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영역을 통해 인접하게 배치된 또 다른 부품(자동차 시트의)과 접촉한다. 이때, 제2 플라스틱 재료는 하우징 부품에서 생성되는 진동들이 또 다른 부품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우징 부품과 그 제2 플라스틱 재료로 이뤄진 스토퍼 영역(stopper area)을 통해 하우징 부품과 접촉하는 또 다른 부품 사이의 디커플링(decoupling)을 일으키기에 충분할 정도의 연질로 선택된다. 또한, 그럼으로써, 인접한 부품들에 대한 허용 오차들(유격 없는 설치를 위한)이 보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안은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하우징 부품들로 구성되는 기어 하우징이 인접 부품들로의 진동들(기어 하우징에 지지된 기어 요소들의 작동 중에 생성되는)의 전달이 억제되도록 간단하게(추가의 디커플링 부품들 없이 그리고 추가의 조립 비용 없이) 인접 부품들로부터 디커플링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그를 위해 마련되는 연질의 재료로 이뤄진 스토퍼 영역은 각각의 하우징 부품의 제조 시에 하나의 작업 과정으로, 예컨대 주조, 특히 사출성형에 의한 하우징 부품의 제조 시에 해당 주형에서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디커플링의 역할을 하는 하우징 부품의 스토퍼 영역들은 예컨대 주형을 상응하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그들이 디커플링을 위해 실제로 필요한 하우징 부품의 지점들에 의도한 대로 그리고 최소의 재료 투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베이스 몸체의 대부분이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하우징 부품에 형성된 베어링 지점(들)이 제1 플라스틱 재료로 이뤄질 뿐만 아니라, 베이스 몸체로부터 돌출하고 하우징 부품을 기어 하우징의 형성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하우징 부품과 연결하게 되는 연결 영역들도 제1 플라스틱 재료로 이뤄진다. 그것은 시트 조정 장치의 작동 시에 기어 하우징에 지지된 기어 요소들에 의해 하우징 부품에서 생성되는 기어 작용력들 또는 조정력들(반작용력들의 형태의)을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기에 충분한 강도를 갖는 기어 하우징을 형성하는 것을 지원한다.
제1 플라스틱 재료는 그로부터 연결 영역들이 돌출하는, 하우징 부품의 베이스 몸체의 전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우징 부품의 베이스 몸체 및 그로부터 돌출한 연결 영역들이 제1 플라스틱 재료로 이뤄진 연결된 재료 영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연결 영역들은 예컨대 그들에 의해 대응하는 또 다른 하우징 부품과의 플러그인 연결(plug-in connection)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되는데, 그러한 플러그인 연결은 예컨대 재료가 플러그인 연결들의 영역에서 열 작용 하에 용융되거나 용접에 의해(레이저 용접에 의해서도)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단단하게 잠겨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보완적으로, 각각의 하우징 부품을 그 연결 영역들에 의해 또 다른 하우징 부품과 연결하기 위해, 예컨대 리벳들 또는 나사들의 형태의 추가의 고정 수단들이 마련될 수도 있다.
연질의 제2 플라스틱 재료로 이뤄지는 스토퍼 영역들은 특히 하우징 부품의 외측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하우징 부품이 그 스토퍼 영역들을 통해 인접한 또 다른 부품에 접할 수 있다.
또 다른 부품은 예컨대 기어 하우징을 수납하는 장착 브래킷일 수 있거나, 기어 요소 상에 지지된 이격 링일 수 있거나,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 부품과 연결할 또 다른 하우징 부품일 수도 있다.
일 실시 형태에서, 스토퍼 영역은 하우징 부품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고, 그에 상응하여 공간 방향(그 표면에 대해 수직인)을 따라 디커플링을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한 스토퍼 영역들을 하우징 부품의 상이한 표면들에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공간 방향들을 따라 인접한 부품들에 대한 진동 디커플링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구성 형태에 따르면, 스토퍼 영역은 그것이 하우징 부품의 다수의 표면들에 접경하여 그 스토퍼 영역에 의해 다수의 공간 방향을 따라 디커플링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그를 위해, 스토퍼 영역은 예컨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프레임 형태로 하우징 부품을 에워쌀 수 있다.
연질의 제2 플라스틱 재료로 이뤄진 막 힌지(film hinge)가 인접한 또 다른 부품(하우징의 구성 요소가 아닌)에 대한 스토퍼 영역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플라스틱 재료를 형성하기 위한 플라스틱으로서, 예컨대 폴리아미드, 폴리옥시메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스티롤, 또는 듀로플라스틱(duroplastic)이 고려되고, 특히 임의의 종류의 섬유 강화 플라스틱들도 고려된다.
또한, 연질의 제2 플라스틱 재료로서, 엘라스토머들, 특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들(TEV 및 TPV와 같은), 실리콘 화합물들, 또는 폴리우레탄이 적합하다.
기어 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하우징 부품의 베어링 지점들은 특히 베어링 개구부(bearing opening)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지지할 기어 요소들은 예컨대 구동 웜과 그와 연동하는 부속된 웜 기어일 수 있는데, 후자는 동시에 스핀들 너트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품을 갖는 기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시트 조정 기어 유닛은 청구항 23의 특징들에 의해 특징져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명세들 및 이점들이 첨부 도면들에 의거한 이후의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명확해질 것이다. 첨부 도면들 중에서,
도 1은 2개의 상이한 플라스틱 재료들로 형성된 하우징 부품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에 따른 2개의 하우징 부품들로 형성된 기어 하우징의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기어 하우징의 5가지 도면들이고;
도 3A는 도 2A의 기어 하우징의 제1 변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B는 도 3A의 기어 하우징을 나타낸 5가지 도면들이고;
도 4A는 도 2A의 기어 하우징의 제2 변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B는 도 4A의 기어 하우징을 나타낸 5가지 도면들이고;
도 5A는 도 2A의 기어 하우징의 제3 변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B는 도 5A의 기어 하우징을 나타낸 5가지 도면들이고;
도 6A는 도 2A의 기어 하우징의 제4 변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6B는 도 6A의 기어 하우징을 나타낸 5가지 도면들이고;
도 7A는 도 2A의 기어 하우징의 제5 변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B는 도 7A의 기어 하우징을 나타낸 5가지 도면들이고;
도 8A 내지 도 8C는 기어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마련되어 막 힌지에 의해 서로 연결된 2개의 하우징 부품들을 나타낸 3가지 도면들이며;
도 8D는 기어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접혀진 상태에 있는 도 8A의 2개의 하우징 부품들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E는 도 8D의 어셈블리의 부분도이며;
도 9A는 기어 하우징을 수납하는 장착 브래킷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도 9A의 장착 브래킷을 기어 하우징과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플레이트형 베이스 몸체(10) 및 그로부터 돌출한 연결 영역들(12, 14)을 갖는, 시트 조정 장치의 기어 하우징의 하우징 부품(1)을 도시하고 있는데, 하우징 부품(1)은 기어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연결 영역들(12, 14)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하우징 부품과 연결될 수 있다. 해당 기어 하우징 및 그에 수납되는 기어 요소들에 관해서는 나중에 도 2A 내지 도 7B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하우징 부품(1)은 본 실시예에서 각각 베어링 개구부의 형태의 2개의 베어링 지점들(15, 17)을 구비하는데, 베어링 지점들(15, 17)은 도 2A 내지 도 7B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후술할 바와 같이 시트 조정 장치의 기어 요소들을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마련된다. 이때, 하나의 베어링 지점(15)은 하우징 부품(1)에,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그 베이스 몸체(10)에 완전히 통합된다. 그 반면에, 다른 베어링 지점(17)은 하우징 부품(1)(구체적으로 그 연결 영역들(12, 14))에 단지 부분적으로만 통합되고, 그 나머지에 있어서는 도 2A 내지 도 7B에 의거하여 역시 명확해질 바와 같이 도시된 하우징 부품(1)과 조합될 또 다른 하우징 부품에 의해 형성된다. 이때, 베어링 지점(15)에는, 여기서는 베어링 부시의 형태의 추가의 베어링 요소(105)가 수납된다.
해당 기어 하우징에 지지될 기어 요소들의 작동 중에 기어 작용력들 또는 조정력들이 베어링 지점들(15, 17)을 통해 하우징 부품(1)에 도입되므로, 하우징 부품(1)은 그 발생하는 기어 작용력들 또는 조정력들을 수용하여 또 다른 시트 어셈블리들에 소산할 수 있기 위해 베어링 지점들(15, 17)의 영역에서 충분히 큰 강도의 플라스틱으로 이뤄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체의 베이스 몸체(1)) 및 그로부터 돌출한 연결 영역들(12, 14)이 일체로 상응하는 강도의 플라스틱 재료로 이뤄지고, 그에 따라 특히 베이스 몸체 또는 연결 영역들(12, 14)에 형성된 베어링 지점들(15, 17)(여기서는 베어링 개구부들의 형태의)이 큰 강도를 갖는 그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형성된다.
상응하는 큰 강도를 갖는 플라스틱 재료(경질 성분)로서, 예컨대 폴리아미드, 폴리옥시메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스티롤, 또는 듀로플라스틱이 적합하고, 특히 섬유로 강화된 형태로도 적합하다.
또한, 해당 기어 하우징에 배치될 기어 요소, 예컨대 웜 기어 또는 스핀들 너트의 형태의 기어 요소가 하우징의 구조 크기를 최소화하기 위해 반지름 방향으로 그 속으로 돌출할 수 있는 창(19)이 하우징 부품(1)에,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그 베이스 몸체(10)에 마련된다.
본 경우, 하우징 부품(1)은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 몸체(10)가 연결 영역들(12, 14)로 이행하는 그 외측 둘레에 스토퍼 영역(2)을 구비한다. 스토퍼 영역(2)은 하우징 부품의 베이스 몸체(10) 및 연결 영역들(12, 14)과는 다른 제2 플라스틱 재료, 그 중에서도 특히 하우징 부품(1)에서(그에 지지된 기어 요소들에 의해) 생성되는 진동들을 그에 접한 또 다른 부품들로부터 디커플링할 수 있는 충분한 연질의(플렉서블한) 플라스틱으로 이뤄진다. 즉, 하우징 부품(1)에서 발생하는 진동들이 그 스토퍼 영역(2)에 의해 하우징 부품(1)에 접하는 또 다른 부품에 스토퍼 영역(2)을 통해 전달되는 일이 가급적 없어야 한다. 이때, 그러한 진동들을 완전히 억제하고, 그에 따라 하우징 부품(1)을 인접한 부품으로부터 완전히 디커플링하는 것은 물론 실제로는 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스토퍼 영역(2)의 형성을 위해 제공되는 제2 플라스틱 재료(연질 성분)는 진동들을 거의 억제하는 것이 구현될 수 있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그와 같이 하는데에는, 진동을 감쇠하는, 바람직하게는 응력도 보상하는 재료(압축 가능한), 예컨대 고무 탄성 재료가 적합하다.
연질의 제2 플라스틱 재료로서, 예컨대 엘라스토머들, 특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들(TEV 및 TPV와 같은), 실리콘 화합물들, 또는 폴리우레탄이 적합하다.
스토퍼 영역(2)은 본 경우에는 더 단단한 제1 플라스틱으로 이뤄진 하우징 부품(1)의 영역들(10, 12, 14)에 일체로 형성된다(다성분 기법, 여기서는 2성분 기법의 형태의). 즉, 스토퍼 영역(2)은 제1 플라스틱 재료로 이뤄진 하우징 부품(1)의 영역들(10, 12, 14)과 함께 일체로 형성된 부품을 이룬다.
2개의 상이한 플라스틱들로 하우징 부품(1)을 제조하는 것은 주형에서 주조에 의해, 특히 사출성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한 처리 과정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다성분 기법에 따라 상이한 플라스틱들로 플라스틱 부품들을 제조하는 것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주조(사출성형) 시에 원하는 특성들을 갖는 상이한 플라스틱들을 의도한 대로 충진함으로써, 더 큰 강도를 갖는 영역들(10, 12, 14)에 대해서는 물론 훨씬 더 연질의 스토퍼 영역(2)에 대해서도 전체의 하우징 부품(1)이 주형(주조 공구)에서 하나의 작업 과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주형/주조 공구를 상응하게 형성함으로써, 스토퍼 영역이 임의의 위치에서 임의의 형태로 하우징 부품(1)에 형성될 수 있다. 그것은 인접하게 배치되어 하우징 부품(1)과 접촉하는 임의의 부품들로부터의 원하는 디커플링이 의도한 대로 보장될 수 있도록 스토퍼 영역을 구성하고 배치하는 것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 영역은 특히 전형적으로 임의의 인접한 부품들과의 접촉이 그를 통해 이뤄질 수 있는 하우징 부품(1)의 하나 이상의 외측 표면들에 마련된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에서, 스토퍼 영역(2)은 그것이 하우징 부품(1)의 베이스 몸체(10)가 연결 영역들(12, 14)로 이행하는 하우징 부품(1)의 에지를 따라 빙 둘러지되, 스토퍼 영역(2)이 베이스 몸체(10)의 외측 표면에는 물론 그로부터 돌출한 연결 영역들(12, 14)에도 접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따른 구성에 의해, 스토퍼 영역(2)(프레임 형태의)을 통해 3개의 모든 공간 방향들(x, y, z)을 따라 인접한 부품들의 지지(및 그에 따른 디커플링)가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스토퍼 영역(2)의 각각의 부분 영역(20, 22, 24)은 스토퍼 영역(2)의 해당 부분 영역(20, 22, 24)이 마련된 하우징 부품(1)의 표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x, y, 또는 z)을 따라 각각 인접한 부품들의 지지 및 디커플링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스토퍼 영역(2)은 베어링 지점(15)을 둘러싸는 부분 영역(25)을 포함하는데, 예컨대 베어링 지점(15)에 지지될 기어 요소와 연동하는 부품이 그 부분 영역(25)에 지지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는, 도 1에 도시된 타입의 2개의 하우징 부품들(1)로 구성된 기어 하우징이 특히 한편으로 사시도(도 2A)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5가지 도면들(도 2B)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도 2A에 도시된 기어 하우징을 형성하는 2개의(하나의 베어링 지점(15)의 크기를 제외하고는 사실상 동일한) 하우징 부품들(1)은 각각의 플레이트형 베이스 몸체(10)로부터 돌출한 그 연결 영역들(12, 14)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데, 그와 동시에 그 연결 영역들(12, 14)은 각각의 플레이트형 베이스 몸체(10)에 의해 형성된 기어 하우징 벽들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기어 하우징의 벽들을 형성한다.
2개의 하우징 부품들(1)은 기어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예컨대 용접, 특히 레이저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인 구성에서는, 소위 레이저 투과 용접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하우징 부품의 연결 영역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용되는 레이저 빔에 대해 투과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뤄지는 반면에, 다른 하우징 부품의 연결 영역들은 레이저 빔을 흡수하여 용접 시임(weld seam)의 형성(재료의 용융에 의한)을 가능하게 한다, 그 경우, 연결 영역들에는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뤄진 스토퍼 영역이 마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용 가능한 다른 연결 기법들은 예컨대 접착, 나사 체결, 리벳팅(riveting), 핫 코킹(hot caulking), 또는 로킹(locking)이나 클립핑(clipping)이다.
2개의 하우징 부품들(1)에 의해 형성된 기어 하우징에는,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기어 요소들(8, 9)이 수납되어 지지된다. 2개의 기어 요소들(8, 9)은 한편으로 구동 웜이고, 다른 한편으로 구동 웜과 맞물려 그 구동 웜에 의해 구동되는 웜 기어인데, 웜 기어는 스핀들 너트로서 구성된다. 즉, 웜 기어는 웜 기어 톱니부의 형태의 외접 톱니부(92)에 추가하여 암나사부(94)를 구비한다.
구동 웜의 형태의 기어 요소(8)는 하우징 부품(1)의 각각의 플레이트형 베이스 몸체(10)에 마련된 베어링 지점들(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외접 톱니부(92)(웜 기어 톱니부)를 구비한 스핀들 너트의 형태의 기어 요소(9)는 하우징 부품(1)의 연결 영역들(12, 14)에 의해 형성된 베어링 지점들(1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러한 지지는 2개의 기어 요소들(8, 9)이 그 각각의 외접 톱니부(82, 92)에 의해 서로 맞물리도록 이뤄진다.
또한, 도 2A 및 도 2B에 의거하면, 스핀들 너트의 형태의 제2 기어 요소(9)가 그 외접 톱니부(92)(웜 기어 톱니부)에 의해 반지름 방향으로 하우징 부품들(1)에 각각 마련된 창(19) 속으로 돌출하고, 그것이 기어 하우징에 필요한 구조 공간을 더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어 요소들(8, 9)이 부속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기어 하우징을 시트 조정 장치에 통합하기 위해, 구동측의 기어 요소(8), 여기서는 구동 웜의 형태의 기어 요소(8)가 구동 장치, 예컨대 구동 모터의 형태의 구동 장치에 연결된다. 그러한 연결의 역할을 하는 것은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샤프트, 예컨대 플렉서블 샤프트의 형태의 구동 샤프트인데, 그 구동 샤프트 상에 구동측의 기어 요소(8)가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해당 구동 장치의 작동 시에, 구동측의 기어 요소(8)(구동 웜의 형태의)가 회전하고, 이때 기어 요소(8)가 그 외접 톱니부(82)(웜 톱니부)를 통해 출력측의 기어 요소(9)(스핀들 너트의 형태의)의 외접 톱니부(92)와 연동한다. 다시, 출력측의 기어 요소(9)에는, 그 출력측의 기어 요소(9)의 암나사부(94)와 연동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나사 스핀들이 대응된다. 그럼으로써, 나사 스핀들과 스핀들 너트의 결과적인 길이 방향 이동(상대 이동)이 생성되고, 그 길이 방향 이동이 시트 어셈블리의 위치를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구동 웜의 형태의 제1 기어 요소(8)와 외접 웜 기어 톱니부를 구비한 스핀들 너트의 형태의 제2 기어 요소(9) 대신에, 다른 기어 요소들이 하우징 부품들(1)에 의해 형성된 기어 하우징에 수납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컨대 출력측의 기어 요소(9)는 스핀들 너트로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조정 이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웜 기어 톱니부의 형태의 그 외접 톱니부(92)에 의해 랙(rack)과 연동하는 웜 기어일 수 있다.
기어 요소들(8, 9)의 작동 중에 베어링 지점들(15, 17)에서 발생하는 기어 작용력들 또는 조정력들은 하우징 부품들(1)로 구성된 기어 하우징에 의해 전혀 어려움 없이 수용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베어링 지점들(15, 17)을 형성하는 하우징 부품들(1)의 영역들, 그 중에서도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하우징 부품(1)의 베이스 몸체(10)와 연결 영역들(12, 14)이 전술한 힘들 또는 모멘트들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충분한 강도의 플라스틱 재료로 이뤄지기 때문이다.
또한, 도 1에 의거하여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하우징 부품들(1)이 각각 연질의 플라스틱 재료로 이뤄진 스토퍼 영역(2)을 구비하기 때문에, 그것이 연질의 플라스틱의 감쇠 특성들을 기반으로 하여 하우징 부품들(1)로 구성된 기어 하우징을 그에 접하는 인접한 또 다른 부품들로부터 대폭 디커플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베이스 몸체(10)와 연결 영역들(12, 14)이 매우 단단하게 구성될지라도).
그러한 또 다른 부품의 일례가 도 9A에 도시되어 있다. 그것은 하우징 부품들(1)로 구성된 도 9B에 따른 기어 하우징이 수납될 수 있는 장착 브래킷(6)이다.
장착 브래킷(6)은 도 9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 부품들(1)로 구성된 도 9B에 따른 기어 하우징이 배치될 수 있는 수납부(65)를 형성한다. 기어 하우징은 자동차 시트의 조정 장치에 통합되기 위해 장착 브래킷(6)의 고정 지점들(67, 68)에 의해 시트 부품에 고정될 수 있다.
장착 브래킷(6)은 본 실시예에서는 밑면 영역(60) 및 그로부터 돌출한 2개의 림(limb)들(61, 62)을 갖는 U형의 횡단면으로 구성되는데, 2개의 림들(61, 62)은 밑면 영역(60)과 함께 기어 하우징을 수납하는 수납부(65)를 획정한다. 장착 브래킷(6)의 림들(61, 62)은 그 자유 단부들에서 꺾어진다. 이때, 꺾어진 영역들은 장착 브래킷(6)을(그에 수납된 기어 하우징과 함께) 그에 제공되는 시트 부품에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지점들(67, 68)이 마련된 고정 영역들(63, 64)로서 구성된다.
장착 브래킷(6)의 림들(61, 62)은 각각 스핀들 너트의 형태의 제2 기어 요소(9)와 연동하는 나사 스핀들을 통과시켜 안내할 수 있는 관통 개구부를 더 구비한다. 그를 위해, 장착 브래킷(6)의 림들(61, 62)에 있는 전술한 개구부들이 베어링 개구부들에 의해 형성된, 제2 기어 요소(9)의 베어링 지점들(17)과 일직선상에 놓인다.
이때, 기어 하우징의 하우징 부품들(1)에 각각 스토퍼 영역(2)이 마련되기 때문에, 도 9B에 따른 기어 하우징이 특히 2개의 공간 방향들(x, z)을 따라 그 스토퍼 영역(2)을 통해 장착 브래킷(6)에 지지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x축이 제2 기어 요소(9)(스핀들 너트의 형태의)의 회전축으로서 정의되고, y축이 제1 기어 요소(8)(구동 웜의 형태의))의 회전축으로서 정의되며, z축이 전술한 2개의 축들(x, y)에 대해 수직인 축으로서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스토퍼 영역(2)은 제1 부분 영역(20)을 통해 장착 브래킷(6)의 밑면(60)에 접하여 z축을 따라 그에 지지되고, 또한 부분 영역(22)을 통해 장착 브래킷(6)의 림들(61, 62)에 접하여 x축을 따라 그에 지지된다(반대 방향들로). 그것은 스토퍼 영역(2)에 대해 선택된 연질의 플라스틱의 진동 감쇠 특성들로 인해 기어 하우징을 진동이 대폭 디커플링되게 장착 브래킷에 수납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장착 브래킷(6)은 추가로(선택적으로) 특히 밑면 영역(60)과 림들(61, 62)의 영역에서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뤄진 진동 감쇠 피복(7)을 더 구비하는데, 그것은 보완적으로 기어 하우징과 장착 브래킷(6) 사이의 진동 디커플링에 기여한다.
각각의 하우징 부품(1)에 있는 스토퍼 영역(2)의 또 다른 부분 영역(25)은 각각의 하우징 부품(1)에 마련된 제1 기어 요소(8)의 베어링 지점(15)(제1 기어 요소(8)가 회전 불가능하게 배치된 구동 샤프트가 그를 통과하여 맞물리는)을 에워싼다. 그 부분 영역(25)에는 구동 샤프트 상에 지지된 또 다른 부품 또는 구동 샤프트를 에워싸는 또 다른 부품이 y축을 따라 지지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7B에는, 도 1, 도 2A, 및 도 2B에 의거하여 설명한 기어 하우징의 여러 변형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관련된 차이점들은 하우징 부품들(1)에 있는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뤄진 스토퍼 영역의 구성에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그에 관해서만 상세히 다루기로 한다. 그 반면에, 도시된 각각의 기어 하우징의 나머지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그리고 그 기어 하우징에 수납되어 지지된 기어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 1, 도 2A, 및 도 2B에 관한 전술한 설명들을 참조하면 된다.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의 경우, 하우징 부품(1)의 외측(하우징 내부의 반대쪽을 향한) 표면에서 플레이트형 베이스 몸체(10)에 형성된 베어링 개구부의 형태의 베어링 지점(15)을 에워싸는 스토퍼 영역(3)이 각각의 하우징 부품(1)에 마련된다. 그것은 기어 하우징 또는 각각의 하우징 부품(1)을 y축(플레이트형 베이스 몸체(10)가 놓인 평면에 대해 수직인)을 따라 진동이 감쇠되게 인접한 또 다른 부품에 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뤄진 스토퍼 영역(3)은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에서는 대략 직사각형(둥근 모퉁이들을 갖는)으로 구성된다.
도 4A 및 도 4B에 따르면,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각각 이뤄진 스토퍼 영역(3')이 역시 제1 기어 요소(8)의 지지를 위해 각각의 하우징 부품(1)에 마련된 베어링 지점(15)을 에워싸고, 그에 따라 또 다른 부품이 y축을 따라 그에 지지될 수 있다. 그 점에 있어서는, 도 4A 및 도 4B의 구조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와 일치한다. 도 4A 및 도 4B에 따른 스토퍼 영역(3')은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와는 달리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도 5A 및 도 5B에는, 도 3A 및 도 3B의 스토퍼 영역(3)의 또 다른 변형이 도시되어 있는데, 차이점은 도 5A 및 도 5B에 따른 스토퍼 영역(3")이 하우징 부품(1)을 또 다른 하우징 부품에 맞대는 그 외면(해당 하우징 부품(1)의 반대쪽을 향한)에서 파형으로 구성된다는데 있다. 그것은 진동 감쇠 특성들 및 그에 따른 디커플링 작용을 한층 더 강화한다.
도 6A 및 도 6B에는, 도 3A 및 도 3B의 구조의 또 다른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각각의 베어링 지점(15)을 에워싸는 각각의 스토퍼 영역(3)에 추가하여 또 다른 스토퍼 영역들(4)이 마련된다. 그 스토퍼 영역들(4)은 그들에 의해 x축을 따라 예컨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착 브래킷(6)의 림들(61, 62)에 지지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도록 각각의 하우징 부품(1)에 배치된다.
그를 위해, 본 경우에 각각의 하우징 부품(1)에는, 하우징 부품(1)의 각각의 연결 영역(12)의 서로 반대쪽을 향한 표면들에 2개의 스토퍼 영역들(4)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그 스토퍼 영역들(4)이 각각 제2 기어 요소(9)의 베어링 지점(17)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이때, 각각의 스토퍼 영역을 통해 장착 브래킷(6)의 림들(61, 62)에 지지하는 것이 직접적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기어 하우징의 각각의 하우징 부품(1)과 장착 브래킷(6)의 인접한 림(61 또는 62)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추가의 이격 부재들을 통해 이뤄질 수도 있다.
도 7A 및 도 7B의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하우징 부품(1)의 외측 표면들에 각각 다수의 국부적 스토퍼 영역들(4')이 마련된다. 국부적 스토퍼 영역들(4')은 각각의 하우징 부품(1)이 모든 공간 방향들(x, y, z)을 따라 그 스토퍼 영역들(4')을 통해 인접한 부품들에, 예컨대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장착 브래킷(6)의 밑면(60)은 물론 림들(61, 62)에, 또한 각각의 하우징 부품(1)의 플레이트형 베이스 몸체(10)의 곁에 배치되는 또 다른 부품들에도 지지될 수 있도록 각각의 하우징 부품(1)에 걸쳐 분포된다.
구체적으로, 도 7A 및 도 7B에 따른 국부적 스토퍼 영역들(4')은 각각의 하우징 부품(1)의 베이스 몸체(10)뿐만 아니라 연결 영역들(12, 14)에도 마련된다.
도 8A 내지 도 8C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 조정 장치의 기어 요소들을 수납하는 기어 하우징을 함께 형성할 수 있는 거의 동일하게 구성된 2개의 하우징 부품들(1)이 상이한 도면들로 도시되어 있다.
이때, 각각의 하우징 부품(1)은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 하우징 부품과 거의 일치되게 플레이트형 베이스 몸체(10) 및 그로부터 돌출한 연결 영역들(12, 14)을 포함한다. 또한, 시트 조정 장치의 기어 요소들의 베어링 지점들(15, 17) 및 그 기어 요소들 중의 하나가 반지름 방향으로 그 속으로 돌출할 수 있는 창(19)이 하우징에 마련된다. 각각의 하우징 부품(1)은 시트 조정 장치의 작동 시에 발생하는 기어 작용력들 또는 조정력들이 베어링 지점들(15, 17)의 영역에서 수용될 수 있도록 적어도 그 베어링 지점들(15, 17)의 영역에서 충분한 강도의 플라스틱으로 이뤄진다. 본 경우에는, 각각의 하우징 부품(1)의 베이스 몸체(10)는 물론 연결 영역들(12, 14)도 전술한 더 큰 강도의 제1 플라스틱으로 이뤄진다.
또한, 하우징 부품들(1)로 구성된 기어 하우징을 인접한 부품들로부터 진동에 있어 디커플링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7B에 의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충분한 연질이 플라스틱으로 이뤄진 스토퍼 영역들이 각각의 하우징 부품(1)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는, 이미 상세하게 설명한 그러한 스토퍼 영역들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8A 내지 도 8C에 따르면, 2개의 하우징 부품들(1)은 그에 일체로 형성되고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이뤄지는 막 힌지(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를 위해, 막 힌지(5)를 포함한 2개의 하우징 부품들(1)이 예컨대 사출성형에 의해 주형 또는 주조 공구에서 2개의 플라스틱 재료들을 사용하여 함께 제조될 수 있는데, 2개의 플라스틱 재료들 중의 하나는 하우징 부품(1)을 제조하기 위한 비교적 단단한 재료로서 제공되고, 다른 하나는 막 힌지(5)(및 도 1 내지 도 7B에 의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존재하는 추가의 스토퍼 영역들)를 제조하기 위한 훨씬 더 연질의 재료로서 제공된다.
이때, 막 힌지(5)를 형성하는 스토퍼 영역들은 하우징 부품들(1)을 선회 가능하게 서로 연결하고, 그와 동시에 2개의 하우징 부품들(1)을 그 막 힌지(5)를 통해 하우징 부품들(1) 중의 적어도 하나에 접하는 또 다른(기어 하우징에 속하지 않는) 부품(예컨대, 도 9A 및 도 9B의 장착 브래킷(6)과 같은)으로부터 진동에 있어 디커플링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D에는, 도 8A 내지 도 8C의 2개의 하우징 부품들(1)이 서로 접혀진 상태(막 힌지(5)를 중심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얻어지는)로 도시되어 있는데, 그러한 서로 접혀진 상태에서 2개의 하우징 부품들(1)이 도 2A 내지 도 7B에서 상세히 전술한 바와 같이 기어 요소들을 수납하는 기어 하우징을 형성한다. 도 8E는 막 힌지(5)의 영역에서의 도 8D의 일부를 보완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막 힌지(5)는 또 다른 외부 부품(예컨대, 장착 브래킷(6)과 같은)이 그에 지지될 수 있도록 바깥쪽으로 아치형으로 구부러진다(적어도 서로 접혀진 상태에서).
전술한 기어 하우징의 실시예들은 그들이 거의 동일한(베어링 지점(15)의 크기를 제외하고는) 2개의 하우징 부품들(1)로 구성된다는 특징을 각각 갖는다. 그러나 시트 조정 장치의 기어 요소들을 수납하도록 마련되는 기어 하우징이 상이한 하우징 부품들로 구성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때, 개별적인 경우들의 요건에 따라서는, 하우징 부품들 중의 하나가 적어도 2개의 플라스틱 성분들로 이뤄지되, 그 2개의 플라스틱 성분들 중의 하나가 시트 조정 장치의 작동 시에 발생하는 기어 작용력들 또는 조정력들을 수용하는데 적합한 성분이고, 다른 하나가 인접한 또 다른 부품들로부터 진동에 있어 디커플링하고 필요에 따라 허용 오차들을 보상하는 역할을 하는 성분인 것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1: 하우징 부품
2, 3, 3', 3", 4, 4', 5: 스토퍼 영역
6: 또 다른 부품
8, 9: 기어 요소
10: 베이스 몸체
12, 14: 연결 영역
15, 17: 베어링 지점

Claims (26)

  1. 하우징 부품(1)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부품(1)이
    - 플레이트형 베이스 몸체(10), 및
    - 시트 조정 장치의 기어 요소들(8, 9)이 수납되는 기어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부품(1)을 다른 하우징 부품과 연결하는 연결 영역들(12, 14)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조정 장치의 기어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품(1)은 강도가 상이한 적어도 2개의 플라스틱 재료들로 일체로 형성되고, 기어 작용력들을 수용하는 상기 베이스 몸체(10)의 영역은 제1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고, 제2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영역(2, 3, 3', 3", 4, 4', 5)이 상기 하우징 부품(1)에 마련되며,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는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보다 더 큰 강도를 가지고, 상기 하우징 부품(1)은 상기 기어 하우징이 예정된 대로 시트 조정 장치에 통합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영역(2, 3, 3', 3", 4, 4', 5)을 통해 인접한 또 다른 부품(6)과 접촉하고, 상기 스토퍼 영역(2)은 복수의 공간 방향(x, y, z)으로 상기 하우징 부품(1)을 상기 인접한 또 다른 부품(6)과 디커플링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부품(1)을 프레임 형태로 둘러싸는, 기어 하우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형 베이스 몸체(10)의 전체가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하우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들(12, 14)이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하우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형 베이스 몸체(10)와 상기 연결 영역들(12, 14)이 일체로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하우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로 이뤄진 각각의 스토퍼 영역(2, 3, 3', 3", 4, 4', 5)은 상기 하우징 부품(1)의 적어도 하나의 외측 표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하우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토퍼 영역(2, 3, 3', 3", 4, 4', 5)은 각각 국부적으로 상기 하우징 부품(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하우징.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영역(2)은 서로 각을 이뤄 뻗어 있는 상기 하우징 부품(1)의 다수의 표면들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하우징.
  8. 삭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다수의 스토퍼 영역들(3, 3', 3", 4, 4')이 상기 하우징 부품(1)의 상이한 표면들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하우징.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영역(2, 3, 3', 3", 4, 4', 5)은 예정된 사용 시에 상기 하우징 부품(1)이 상기 기어 하우징의 구성 요소를 이루지 않는 또 다른 부품(6)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영역(2, 3, 3', 3", 4, 4', 5)을 통해 지지되도록 상기 하우징 부품(1)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하우징.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영역(2, 3, 3', 3", 4, 4', 5)은 예정된 사용 시에 상기 하우징 부품(1)이 상기 기어 하우징의 수납 또는 지지를 위해 마련된 또 다른 부품(6)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영역(2, 3, 3', 3", 4, 4', 5)을 통해 지지되도록 상기 하우징 부품(1)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하우징.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는 상기 하우징 부품(1)을 다른 하우징 부품과 접혀질 수 있게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막 힌지(5)를 형성하고, 상기 막 힌지(5)는 예정된 사용 시에 상기 하우징 부품(1)이 상기 기어 하우징의 구성 요소를 이루지 않는 또 다른 부품(6)에 상기 막 힌지(5)를 통해 지지되도록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하우징.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로서 폴리아미드, 폴리옥시메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스티롤, 또는 듀로플라스틱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하우징.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로서 엘라스토머, 실리콘 화합물, 또는 폴리우레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하우징.
  1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품(1)은 주조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상이한 플라스틱 재료들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하우징.
  1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품(1)은 상기 시트 조정 장치의 기어 요소(8, 9)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지점(15, 17)을 포함하여 상기 시트 조정 장치의 작동 시에 상기 기어 요소(8, 9)에서 발생하는 기어 작용력들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베어링 지점(15, 17)을 통해 상기 하우징 부품(1)에 도입되고, 상기 하우징 부품(1)은 강도가 상이한 적어도 2개의 플라스틱 재료들로 일체로 형성되되, 더 큰 강도를 갖는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가 상기 하우징 부품(1)의 상기 베이스 몸체(10)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지점(15, 17)을 형성하여 상기 기어 요소들(8, 9)의 작동 중에 상기 기어 요소들(8, 9) 중의 하나 및 그에 속한 베어링 지점(15, 17)을 통해 상기 하우징 부품(1)에 도입되는 힘들이 상기 제1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수용되고, 더 낮은 강도의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로 이뤄지는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영역(2, 3, 3', 3", 4, 4', 5)이 상기 하우징 부품(1)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 부품(1)은 상기 기어 하우징이 예정된 대로 시트 조정 장치에 통합될 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영역(2, 3, 3', 3", 4, 4', 5)을 통해 인접한 또 다른 부품(6)과 접촉하여 상기 하우징 부품(1)이 상기 하우징 부품(1)으로부터 상기 또 다른 부품(6)으로의 진동들의 전달이 억제되도록 상기 스토퍼 영역(2, 3, 3', 3", 4, 4', 5)에 의해 상기 또 다른 부품(6)으로부터 디커플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하우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지점(15, 17)은 베어링 개구부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하우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품(1)은 서로 맞물리는 2개의 기어 요소들(8, 9)을 지지하도록 마련된 2개의 베어링 지점들(15, 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하우징.
  1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어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하우징 부품이 플러그인 연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상기 하우징 부품(1)이 형성되고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하우징.
  2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어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하우징 부품이 추가의 고정 요소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상기 하우징 부품(1)이 형성되고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하우징.
  2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하우징은 기하 형태가 동일하게 형성된 2개의 하우징 부품들(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하우징.
  2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영역들(12, 14)에는 상기 스토퍼 영역들(2, 3, 3', 3", 4, 4', 5)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하우징.
  23. - 적어도 2개의 하우징 부품들(1)로 구성되는 기어 하우징, 및
    - 서로 맞물리도록 상기 기어 하우징에 지지되는 2개의 기어 요소들(8, 9)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시트 조정 장치의 기어 유닛에 있어서,
    상기 기어 하우징은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유닛.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요소들 중의 하나의 기어 요소(8)는 대응하는 구동 장치와 연결되고 그 자체가 상기 다른 기어 요소(9)를 구동하며, 상기 다른 기어 요소(9)는 시트 어셈블리의 조정 이동을 일으키기 위해 나사 스핀들 또는 랙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유닛.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하우징은 상기 기어 하우징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장착 브래킷(6)에 수납되고, 상기 기어 하우징은 상기 스토퍼 영역들(2, 3, 3', 3", 4, 4', 5)을 통해 상기 장착 브래킷(6)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유닛.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하우징 부품들(1)은 상기 제2 플라스틱 재료로 이뤄지는 막 힌지(5)에 의해 힌지 연결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유닛.
KR1020140116907A 2013-09-04 2014-09-03 기어 하우징 KR101665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17634.1 2013-09-04
DE102013217634.1A DE102013217634A1 (de) 2013-09-04 2013-09-04 Getriebegehä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7717A KR20150027717A (ko) 2015-03-12
KR101665413B1 true KR101665413B1 (ko) 2016-10-12

Family

ID=5247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6907A KR101665413B1 (ko) 2013-09-04 2014-09-03 기어 하우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65413B1 (ko)
CN (1) CN104421410B (ko)
DE (1) DE102013217634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0099A (ja) * 2003-08-08 2007-04-19 ブローゼ・ファールツォイクタイレ・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ンパニ・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コーブルク 自動車用の調整可能機構
JP2010099858A (ja) * 2008-10-21 2010-05-06 Munekata Co Ltd 射出成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61100B4 (de) 1998-04-06 2004-09-1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Spindel- oder Schneckenantrieb für Verstelleinrichtungen in Kraftfahrzeugen
US7005767B2 (en) * 2003-11-24 2006-02-28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Snap-fit coverplate and gearhousing for electric motor
DE102004046048B3 (de) * 2004-09-21 2005-12-22 Ims Gear Gmbh Getriebe und Fahrzeugsitz mit einem solchen Getriebe
JP5446373B2 (ja) * 2009-03-27 2014-03-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駆動伝達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DE102011002047A1 (de) * 2010-08-23 2012-02-23 Johnson Controls Gmbh Dämpfungseinheit und Verstelleinheit für einen Fahrzeugsitz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0099A (ja) * 2003-08-08 2007-04-19 ブローゼ・ファールツォイクタイレ・ゲーエムベーハー・ウント・コンパニ・コマンディットゲゼルシャフト・コーブルク 自動車用の調整可能機構
JP2010099858A (ja) * 2008-10-21 2010-05-06 Munekata Co Ltd 射出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21410A (zh) 2015-03-18
CN104421410B (zh) 2018-09-04
KR20150027717A (ko) 2015-03-12
DE102013217634A1 (de) 2015-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282B1 (ko)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KR101081763B1 (ko)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US20080084624A1 (en) Vehicle outside mirror device
WO2011040430A1 (ja) 車両用ミラー
KR101665413B1 (ko) 기어 하우징
JP4916458B2 (ja) ギヤードモータ
JP7403470B2 (ja) 回転装置
JP6950126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インナパネル
CN212022431U (zh) 一种电动头枕调节机构
JP5522552B2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前端部組付け構造
JP4838119B2 (ja) ドアモジュール
KR102419785B1 (ko) 자동차 외부미러의 폴딩을 위한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한 외부미러
WO2018088136A1 (ja) 車両用ワイヤ式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
KR101793819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부시
US7048393B2 (en) Door mirror assembly for a vehicle
JP5479159B2 (ja) 車両用ミラー
WO2005080137A1 (ja) アウターミラー
CN110997402B (zh) 用于交通工具座椅的纵向调节器
CN109891717B (zh) 罩的固定结构以及马达
KR101596080B1 (ko) 자동차의 전동식 조향장치
JP2009269521A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前端部組付け構造
JP7435077B2 (ja) アクチュエータ装置、サンルーフ装置、及びアクチュエータ装置の製造方法
JP2020079517A (ja) 開閉体駆動装置及びドアフレームアッセンブリ
KR100821529B1 (ko) 파워 윈도우 모터용 일체형 댐퍼
WO2023171084A1 (ja) 回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