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789B1 - 과립외에 액체를 포함하는 탱크의 바닥으로부터 과립을 배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과립외에 액체를 포함하는 탱크의 바닥으로부터 과립을 배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789B1
KR101664789B1 KR1020117001636A KR20117001636A KR101664789B1 KR 101664789 B1 KR101664789 B1 KR 101664789B1 KR 1020117001636 A KR1020117001636 A KR 1020117001636A KR 20117001636 A KR20117001636 A KR 20117001636A KR 101664789 B1 KR101664789 B1 KR 101664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or
tank
granulate
granules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1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0632A (ko
Inventor
크리스토퍼 룬트스트로엠
카레 폴게뢰
Original Assignee
우반 홀딩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44477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6478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우반 홀딩 에이비 filed Critical 우반 홀딩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1003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0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04Conveying materials in bulk pneumatically through pipes or tubes; Air slides
    • B65G53/06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 B65G53/10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with pneumatic injection of the materials by the propelling gas
    • B65G53/14Gas pressure systems operating without fluidisation of the materials with pneumatic injection of the materials by the propelling gas the gas flow inducing feed of the materials by suction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0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 B22F9/0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 B22F9/0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by casting, e.g. through sieves or in water, by atomising or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pipes or tubes by liq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4Details
    • B65G53/40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65G53/42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0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 B22F9/0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 B22F9/0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by casting, e.g. through sieves or in water, by atomising or spraying
    • B22F9/08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by casting, e.g. through sieves or in water, by atomising or spraying atomising using a fluid
    • B22F2009/0832Handling of atomising fluid, e.g. heating, cooling, cleaning, recirc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0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 B22F9/0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 B22F9/0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by casting, e.g. through sieves or in water, by atomising or spraying
    • B22F9/082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by casting, e.g. through sieves or in water, by atomising or spraying atomising using a fluid
    • B22F2009/089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physical processes starting from liquid material by casting, e.g. through sieves or in water, by atomising or spraying atomising using a fluid particle transport, separation: process and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2998/00Supplementary information concerning processes or compositions relating to powder metallu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16Common means for 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25Feeding or discharg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16Pneumatic conveyors
    • B65G2812/1608Pneumatic conveyors for bulk material
    • B65G2812/1641Air pressur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zzle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액체 및 공기에 의해서 과립 탱크(1)로부터 과립을 순간적으로 상향 이송하기 위해서, 적합하게 주로 수평의 사출기(10)가 탱크 하부에 위치된다. 사출기(10)는 과립을 위한 측부 유입구(11), 가압 이송 액체를 위한 스프레이 노즐로서 형성될 수 있는 유입구(13)를 구비한 단부(12), 그리고 가압 가스용 유입구(16)와 그 하류의 액체, 과립 및 가스의 3-상 유동을 위한 배출구(18)를 가지는 제 2 단부(15)를 구비한다. 공기 유동의 팽창 및 과립과 액체의 가속으로 3-상 유동을 추가적으로 상향 이송하기 위해서, 주로 수직인 제 1 도관(6)은 하단부가 사출기(10)의 배출구(18)와 연결된다. 사출기(10)는 내부 마모 라이너(22) 및 내구성 물질로 형성되고 또한 교체할 수 있는 스프레이 노즐로서 성형된 배출구(18)를 구비한 교체 가능한 튜브형 사출기 하우징(21)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가압 공기용 유입구(10)는 튜브형 사출기(10)의 둘레를 둘러싸고 그리고 사출기의 배출구(18)를 향해서 가압 가스를 지향시키는 링-형상 슬릿(20)을 통해서 사출기(10) 내부와 연결되는 링-형상 챔버(19)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과립외에 액체를 포함하는 탱크의 바닥으로부터 과립을 배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DEVICE FOR OUTPUT OF GRANULATE FROM THE BOTTOM OF A TANK THAT IN ADDITION TO GRANULATE HOLDS LIQUID}
본원 발명은 과립외에 액체를 포함하는 탱크의 바닥으로부터 과립을 배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속 및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진 과립이 제조되고, 여기에서 용융 금속 또는 합금의 제트(jet)가 타격 부재를 타격하고 그리고 액적(drop)으로 산개될 것이고, 그러한 액적은 좁아지는 원뿔형 바닥을 가지는 액체 탱크내로 낙하되고 그에 따라 신속하게 냉각될 것이다. 성공적인 그러한 방법 및 장치가 미국 특허 4 294 784에 기재되어 있다. 과립들이 큰 덩어리로 함께 신터링(sintering)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액적들이 냉각된 후에 응결되자마자 과립들은 냉각수 탱크 외부로 이동되고, 그 후에 물이 배출되고 그리고 과립들은 자체의 보유 열로 인해서 건조될 수 있을 것이다. 가열된 냉각수는 이송을 위해서 이용되며, 그러한 냉각수는 바닥내의 가장 낮은 지점에서 자체적으로 탱크를 빠져나오고 그리고 응결된 과립과 함께 벤드(bend)를 통과하여 경사진 상승부(riser)를 통해서 분리 표면까지 상승되고, 분리 표면에서 과립들이 분리되고 그리고 물은 저수조로 전달되며, 그러한 저수조로부터 물이 펌프에 의해서 탱크 내로 재순환된다. 분리 표면은 탱크의 물 높이 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되며, 그에 따라 물 스트림은 자체 압력에 의해서 경사진 상승부를 통해서 배출된다. 경사진 상승부를 통해서 과립을 위쪽으로 이송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맘모스(mammoth) 펌프와 유사한 효과를 제공하는 경사진 상승부의 상부측에 정렬된 다수의 압축 공기용 유입구를 구비한 압축 공기 인젝터가 제공된다.
미국 특허 5 017 218에는 미국 특허 4 294 784에 따른 전술한 발명에 대한 추가적인 개선 발명이 기재되어 있다. 추가적인 개선으로 인해서, 물 내에서 낮은 침잠 속도(sinking speed) 및 높은 열함량(heat content)을 가지는 과립형 금속 및 합금이 가능해졌다.
미국 특허 4 294 784에 기재된 방법 및 장치가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었지만, 특정 작업 환경하에서는 과립이 벤드를 통해서 압축 공기 인젝터까지 만족할만한 방식으로 이동되도록 장치가 운영되지 않았다. 또한, 경사진 상승부의 특성에 따라서, 과립들이 경사진 도관의 하부측을 향해서 침잠하는 경향이 있고 그리고 공기들은 상부측을 향해서 상승하여 그곳에서 다소 연속적인(more or less continuous) 채널을 형성한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탱크로부터 과립을 이송할 수 있는 과립 배출 장치를 제조하는 것이다.
전술한 종류의 과정들에서 본원 발명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는데, 이때 탱크 하부에 제공된 튜브형 사출기에 의해서 본원 발명에 따른 배출이 얻어질 수 있다.
전술한 종류의 장치들에서 본원 발명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는데, 본원 발명에 따른 장치는 과립을 위한 측부 유입구, 가압 이송 용수(transport water)를 위한 유입구를 가지는 단부, 그리고 가압 가스를 위한 유입구를 가지는 다른 단부 그리고 그 하류의, 물, 과립 및 가스의 3-상 유동을 위한 배출구를 가지는 탱크 하부에 제공된 튜브형 사출기를 포함한다.
사출기에 의해서 이전에 사용된 튜브 내의 벤드를 대체함으로써, 과립이 튜브 내의 벤드의 가장 낮은 지점에 모이게 되는 위험이 제거된다. 과립의 이송을 위해서 탱크 내의 냉각수 대신에 가압 이송 용수를 이용함으로써, 물의 높은 유동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공된다. 가압 가스를 위한 유입구의 선택된 위치는, 탱크를 통해서 가스가 역류할 위험이 없이, 공지된 디자인 보다 더 조기에 가스가 펌핑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탱크로부터의 과립의 순간적인 이송이 물과 가스에 의해서 보장되고, 그러한 물과 가스는 연결된 튜브 시스템에서 탱크로부터 과립을 밀어내는 방향 벡터를 과립에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튜브형 사출기가 수직 라인에 대해서 90°단위(order of)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지향된다. 그에 따라, 낮은 설치 높이를 가질 수 있게 되고 그리고 과립 배출을 위한 현재의 장치를 리모델링할 때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사출기는 주로 수직 상향으로 연장하고 그리고 하단부 및 상단부를 구비하는 제 1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하단부는 사출기의 배출유동부에 연결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도관은 가스의 연속적인 팽창 동안에 가스가 제 1 도관을 통해서 물 및 과립을 위쪽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그리고 물 및 과립을 가속할 수 있도록 그 크기가 결정된다. 수직 도관으로 인해서, 과립이 도관의 일 측부에 수집되고 가스가 다른 측부에 수집되는 경향이 발생될 위험이 없다 할 것이다.
가압 이송 용수를 위한 유입구는 바람직하게 스프레이 노즐 형태이다. 스프레이 노즐은 이송 용수가 빠른 스트리밍 속도를 가질 수 있게 허용하고, 이는 사출기에서의 난류를 증대시키고 그리고 사출기를 통한 이송 동안에 과립이 용수 내에서 현수 상태(in suspension)로 유지될 수 있게 돕는다.
이송 동안에 일부 과립이 사출기 내부와 접촉하기 때문에, 사출기가 내부 마모 라이너를 구비한 튜브형 사출기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 가스용 유입구는 링-형상 챔버를 포함하고, 그러한 링-형상 챔버는 튜브형 사출기의 둘레를 둘러싸고 그리고 사출기의 배출구를 향해서 가압 가스를 지향시키는 링-형상 슬릿을 통해서 사출기의 내부와 연결된다. 상기 링-형상 슬릿을 통한 가스의 공급은 3-상 유동에서 희망하는 난류가 형성되는 것을 돕고 그리고 가스가 자체 채널을 내부에 형성할 위험성을 감소시킨다.
마모 정도는 사출기를 따라서 스트리밍 방향을 따라 증가하고 그리고 배출구에서 가장 크며, 그러한 이유로 사출기로부터의 3-상 유동을 위한 배출구는 바람직하게 스프레이 노즐과 같은 형상의 교체가능한 마모 플랜지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링-형상 가스 공급 슬릿이 내부 마모 라이너와 스프레이 노즐과 같은 형상의 마모 플랜지 사이에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탱크로부터 과립을 배출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로서, 상기 장치는 탱크와 연결된 사출기 및 후속 파이프 시스템을 포함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출기를 통한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은 탱크(1)로부터 과립을 배출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의 과립이 공지된 방식으로 생산되고, 그러한 공지된 방식에서 용융 금속 또는 합금의 제트(도시하지 않음)가 내열성 충격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타격하고 그리고 탱크(1) 내로 낙하하는 액적으로 산개되며, 상기 탱크(1)는 냉각수를 포함함으로써 액적을 신속하게 냉각시키게 된다. 탱크는 과립과 사용된 냉각수를 혼합하기 위한 배출구(3)를 가지는 좁아지는 원뿔형 바닥(2)을 구비한다. 새로운 냉각수가 도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다른 장소에서 공급되고 그리고 사용된 냉각수의 배출을 위한 오버플로우가 발생되도록 과다한 냉각수가 공급된다. 신속한 냉각 후에 배출구(3)로부터의 물 및 형성된 과립의 혼합물이 3-상 유동의 형성을 위한 공기 공급과 함께 도관 시스템(6, 7)을 통해서 그리고 분리 표면(8), 예를 들어 진동 체(sieve)까지 전달되며, 상기 분리 표면은 배출구(3) 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되고, 그러한 분리 표면에서 물이 과립으로부터 분리되고 그리고 과립은 건조 유닛(도시하지 않음)으로 이송된다.
물 및 공기에 의한 탱크(1)로부터의 과립의 순간적인 이송을 보장하기 위해서, 본원 발명에 따른 배출구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형 사출기(10)를 탱크(1) 하부에 포함한다. 튜브형 사출기(10)는 탱크 배출구(3)와 연결된 과립용 측부 유입구(11), 가압 이송 용수를 위한 유입구(13)를 구비한 단부(12) 그리고 가압 가스를 위한 유입구(16)와 그 하류에 위치하는 물, 과립 및 가스의 3-상 유동을 위한 배출구(18)를 구비한 다른 단부(15)를 구비한다. 이송 용수는 공급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취해지고 그리고 펌프(14)에 의해서 가압되는 한편, 가스는 적절한 공급원으로부터, 일반적으로는 주변 공기로부터 취해지고, 압축 공기용 송풍기 또는 압축기(17)에 의해서 소정 압력, 예를 들어 3 바아의 압력으로 가압된다. 이하에서, 압축 공기라는 용어는 가압 가스에 대해서 사용되나, 그러한 가압 가스는 임의의 적합한 어떠한 가스로도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표준 크기의 과립화 설비에서의 공기 소모는 약 3 바아의 압력에서 시간당 10-30 공칭(normal) 입방 미터 단위이다.
바람직하게, 사출기(10)가 수직 라인에 대해서 90°단위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그 사출기가 지향된다. 그에 따라, 낮은 설치 높이를 가질 수 있게 되고 그리고 과립 배출을 위한 현재의 장치를 리모델링할 때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필요한 경우에,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사출기(10)가 상향으로 경사질 수 있고 그리고 파이프 벤드(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탱크(1)의 바닥 배출구(3)로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며, 그에 따라 과립이 가장 낮은 지점에서 수집되는 것을 방지하는 형태로 파이프 벤드를 이용하여야 할 것이다.
종래에 이용되었던 파이프 벤드를 사출기(10)로 대체함으로써, 과립이 파이프 벤드의 가장 낮은 지점에서 수집될 위험이 제거된다. 과립 이송을 위해서 탱크(1) 내의 냉각수 대신에 가압 이송 용수를 이용하는 것은 물의 보다 빠른 스트리밍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압축 공기를 위한 유입구(15)의 선택된 위치는, 탱크(1)를 통해서 공기가 역류할 위험이 없이, 공지된 디자인 보다 더 조기에 공기가 펌핑 작용을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에 따라, 탱크(1)로부터의 과립의 순간적인 이송이 물과 공기에 의해서 보장되고, 그러한 물과 공기는 연결된 파이프 시스템(6, 7)에서 탱크(1)로부터 과립을 밀어내는 방향으로의 방향 벡터를 과립에 제공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기(10)는 주로 수직 상향으로 연장하고 그리고 하단부 및 상단부를 구비하는 제 1 도관(6)에 적절하게 연결되고, 상기 하단부는 사출기의 배출구(18)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도관(6)은 공기의 연속적인 팽창 으로 공기가 제 1 도관을 통해서 물 및 과립을 위쪽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그리고 물 및 과립을 가속할 수 있도록 그 크기가 결정된다. 도관(6)이 주로 수직이라는 점에서, 과립이 도관의 일 측부에 수집되고 공기가 다른 측부에 수집되는 경향이 발생될 위험이 없다 할 것이다.
제 2 도관(7)이 제 1 도관(6)의 상단부에 연결된 자유 단부를 가지고 그리고 이러한 제 2 도관(7)이 수직 라인과 90°단위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리 표면(8)을 위한, 예를 들어 진동 체를 위한 배출구가 얻어지며, 상기 분리 표면에서 과립이 이송 용수로부터 분리되고, 그 후에 과립이 자체의 열에 의해서 스스로 건조되거나 건조 유닛(도시하지 않음)으로 이송된다. 제 1 도관(6)의 상단부가 후드 또는 차폐부(도시하지 않음) 아래에서 직립 배출유동으로 배출하는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후드 또는 차폐부는 이송 용수 및 과립의 배출유동의 높이를 제한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그리고 분리 표면(8)으로 일부 방향을 전환시키는 목적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이송 용수를 위한 유입구는 바람직하게 스프레이 노즐(13)의 형태를 가진다. 스프레이 노즐은 이송 용수에 대한 증대된 스트리밍 속도를 가능하게 하고, 이는 사출기(10) 내의 난류를 증대시키고 그리고 사출기를 통한 이송 동안에 용수 내에서 과립이 현수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돕는다. 약 1.5 톤/분의 과립 생산 속도에서 약 2 m3/분의 물 유동이 사용되는 한편, 약 4.1 톤/분의 과립 생산 속도에서는 물 유동이 6 m3/분까지 증대된다.
이송 동안에 일부 과립이 사출기 내부와 접촉할 것이기 때문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일체형으로 제시된 내부의 교체가능한 마모 라이너(22)를 구비한 튜브형 사출기 하우징(21)을 사출기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가압 가스용 유입구(16)는 링-형상 챔버(19)를 포함하고, 상기 링-형상 챔버는 튜브형 사출기(10)의 둘레를 둘러싸고 그리고 사출기의 배출구(18)를 향해서 가압 공기를 지향시키는 링-형상 슬릿(20)을 통해서 사출기 내부와 연결된다. 링-형상 슬릿(20)을 통한 가스 공급은 3-상 유동 내에서 희망 난류를 생성하는데 기여하고 그리고 가스가 자체 채널을 내부에 형성할 위험을 감소시킨다. 튜브형 사출기(10)의 둘레를 따라서 비교적 균일하게 분포된 3-상 유동의 방향이 또한 얻어진다. 그에 따라, 사출기의 마모 플랜지(18) 및 배출구(18)의 부분들의 하나 또는 일부에서 편마모(one-sided wear)가 방지된다.
마모의 정도는 사출기(10)를 통한 스트림의 방향을 따라 증대되고 그리고 배출구(18)에서 최대가 되며, 그러한 이유로 사출기로부터의 3-상 유동을 위한 배출구가 바람직하게 스프레이 노즐과 유사한 형상의 교체가능형 마모 플랜지(18)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압축 공기용 링-형상 공급 슬릿(20)이 내부 마모 라이너(22)와 스프레이 노즐과 같은 형상의 마모 플랜지(18) 사이에 형성된다. 필요하다면, 마모 라이너(22)가 물론 몇 개의 분리되고, 개별적이며, 교체가 가능한 부분들(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며, 그에 따라 마모 플랜지에 가장 인접한 마모 라이너 부분만을 교환할 필요가 있을 때 전체 마모 라이너를 교체할 필요가 없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디자인은, 하우징(21)을 유지하면서도, 마모 라이너(22) 및 마모 플랜지(18)에 대해서 서로 상이한 물질을 선택하여 다양한 과립 물질들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대안적인 실시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물을 냉각 및 이송 매체로서 이용하였지만, 과립화된 물질과 작용할 수 있고 과립의 이송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허용하는 다른 액체 또는 액체 혼합물도 본원 발명의 사상 범위 내에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물과 글리콜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원 발명에 따른 과립 배출 장치는 철, 스틸, 및 기타 금속과 합금의 과립화 설비에서 적용하기 위한 것이나, 다른 고체 물질의 이송에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의 과립(granulate) 이외에 액체도 보유하는 탱크(1)의 바닥으로부터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의 과립을 배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출이 탱크(1) 아래쪽의 튜브형(tublar) 사출기(ejector,10)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가압 이송 액체가 스프레이 노즐(13)을 통해서 상기 사출기(10) 내로 그리고 상기 사출기(10)를 통해서 스프레이 되는 한편 상기 탱크(1)로부터 과립을 사출기(10) 내로 끌어 당기고, 그리고 상기 과립 및 액체가 사출기(10)를 떠나기에 앞서서 가압 가스가 과립 액체 혼합물 내로 스프레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바닥으로부터 과립을 배출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사출기(10)가 수직 라인(plumb line)과 9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바닥으로부터 과립을 배출하기 위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형성된 3-상(three-phase) 혼합물이 사출기(10)로부터 배출되기 직전에 과립 액체 혼합물을 둘러싸는 링 슬릿(ring slit,20)을 통해서 가압 가스의 주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바닥으로부터 과립을 배출하기 위한 방법.
  4.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의 과립 이외에 액체도 보유하는 탱크의 바닥으로부터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의 과립을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탱크(1) 아래쪽에 제공된 튜브형 사출기가 과립용 측부 유입구(inlet,11), 가압 이송 액체용 유입구(13)를 가지는 단부(end,12), 그리고 가압 가스용 유입구(16)와 그 하류의 액체, 과립 및 가스의 3-상 유동용 배출구(18)를 가지는 제 2 단부(15)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 가스용 유입구(16)는, 과립 및 액체가 사출기(10)를 떠나기에 앞서서 가압 가스가 과립 액체 혼합물 내로 스프레잉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바닥으로부터 과립을 배출하기 위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형 사출기(10)가 수직 라인과 90°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바닥으로부터 과립을 배출하기 위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기와 연결된 제 1 도관(6)은 수직 상향으로 연장하고 그리고 하단부 및 상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단부는 상기 사출기(10)의 배출구(18)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도관(6)은 가스의 연속적인 팽창 동안에 그리고 물 및 과립의 가속 동안에 가스가 제 1 도관(6)을 통해서 물 및 과립을 위쪽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 크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바닥으로부터 과립을 배출하기 위한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이송 액체용 유입구가 스프레이 노즐(13)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바닥으로부터 과립을 배출하기 위한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기(10)가 내부 마모 라이너(internal wear liner,22)를 구비한 튜브형 사출기 하우징(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바닥으로부터 과립을 배출하기 위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가스용 유입구(16)는, 상기 튜브형 사출기(10)의 둘레를 둘러싸고 상기 사출기의 배출구(18)를 향해서 가압 가스를 지향시키는 링-형상 슬릿(20)을 통해서 사출기(10)의 내부와 연결되는 링-형상 챔버(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바닥으로부터 과립을 배출하기 위한 장치.
  10.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기로부터의 3-상 유동을 위한 배출구가 스프레이 노즐로서 형성된 교체가능한 마모 플랜지(18)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바닥으로부터 과립을 배출하기 위한 장치.
  11.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기(10)가 내부 마모 라이너(22)를 구비한 튜브형 사출기 하우징(21)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 가스용 유입구(16)가 상기 튜브형 사출기(10)의 둘레를 둘러싸고 상기 사출기의 배출구(18)를 향해서 가압 가스를 지향시키는 링-형상 슬릿(20)을 통해서 사출기(10)의 내부와 연결되는 링-형상 챔버(19)를 포함하며,
    상기 사출기로부터의 3-상 유동을 위한 배출구가 스프레이 노즐로서 형성된 교체가능한 마모 플랜지(18)에 의해서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링-형상 슬릿(20)이 내부 마모 라이너(22)와 스프레이 노즐로서 성형된 마모 플랜지(18)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바닥으로부터 과립을 배출하기 위한 장치.
  12. 삭제
KR1020117001636A 2008-06-24 2009-06-18 과립외에 액체를 포함하는 탱크의 바닥으로부터 과립을 배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6647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0801491A SE532897C2 (sv) 2008-06-24 2008-06-24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utmatning av granulat från botten av en tank, som förutom granulat innehåller vatten
SE0801491-2 2008-06-24
PCT/SE2009/050765 WO2009157857A1 (en) 2008-06-24 2009-06-18 Method and device for output of granulate from the bottom of a tank that in addition to granulate holds liqu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0632A KR20110030632A (ko) 2011-03-23
KR101664789B1 true KR101664789B1 (ko) 2016-10-11

Family

ID=41444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1636A KR101664789B1 (ko) 2008-06-24 2009-06-18 과립외에 액체를 포함하는 탱크의 바닥으로부터 과립을 배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646700B2 (ko)
EP (1) EP2297011B1 (ko)
KR (1) KR101664789B1 (ko)
CN (1) CN102076580B (ko)
BR (1) BRPI0914739B1 (ko)
ES (1) ES2841998T3 (ko)
PL (1) PL2297011T3 (ko)
SE (1) SE532897C2 (ko)
WO (1) WO20091578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149B1 (ko) * 2021-12-17 2022-05-17 주식회사 신성씨앤피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재 원료 이송용 이젝터 및 이를 포함하는 덴서베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5391B2 (en) * 2011-10-27 2015-03-24 Graco Minnesota Inc. Vacuum system feed assist mechanism
CN103088254A (zh) * 2011-10-27 2013-05-08 上海中河金属加工有限公司 镍钢豆的生产方法
US10278694B2 (en) 2012-02-23 2019-05-07 Northwestern University Indirect attachment of a needle to a mesh suture
EP3348207A1 (en) 2012-02-23 2018-07-18 Northwestern University Improved suture
US9302857B2 (en) 2012-04-25 2016-04-05 Nordson Corporation Pneumatic solids transfer pump
PL2759499T3 (pl) 2013-01-25 2017-02-28 Uhde Inventa-Fischer Gmbh Urządzenie i sposób przenoszenia granulatu
KR102246228B1 (ko) 2013-09-05 2021-04-28 우반 홀딩 에이비 용융 재료의 과립화
EP2845671A1 (en) 2013-09-05 2015-03-11 Uvån Holding AB Granulation of molten material
EP2926928A1 (en) 2014-04-03 2015-10-07 Uvån Holding AB Granulation of molten ferrochromium
CN105521737B (zh) * 2016-01-20 2018-09-18 北京清新环境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吨袋卸粉快速溶解一体化装置
CN105923403B (zh) * 2016-06-24 2018-09-25 湖南慧峰环保科技开发有限公司 一种节能型气封式气力输送泵的使用方法
US11111087B1 (en) * 2020-08-26 2021-09-07 Xiongqing Yu Transfer system for soft gels
EP3988230A1 (de) * 2020-10-23 2022-04-27 Heraeus Deutschland GmbH & Co. KG Granuliervorrichtung mit kontinuierlicher produktausschleusung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98558A (en) 1925-08-01 1926-08-31 Cohen Ephie Hydraulic lifting device
US2233304A (en) * 1936-09-16 1941-02-25 Bleakley Corp Apparatus for depositing fluent materials
US2315083A (en) * 1940-01-15 1943-03-30 Eagle Pencil Co Attrition mill and method
US2809866A (en) * 1956-11-13 1957-10-15 Steam Cote Corp Means and method of applying concrete
US3334159A (en) * 1964-09-17 1967-08-01 Nat Sulphur Company Method for prilling sulphur
US3881656A (en) * 1974-02-15 1975-05-06 Universal Oil Prod Co Mixing apparatus
US4009912A (en) * 1974-11-04 1977-03-01 Joseph Mraz Pneumatic conveying apparatus and method
FR2332210A1 (fr) * 1975-11-21 1977-06-17 Neu Ets Appareil de transport pneumatique de matieres pulverulentes ou granuleuses
SE411724B (sv) * 1976-10-26 1980-02-04 Sandell Bertil Sett och anordning for att en luftstrom tillfora material till ett munstycke
SE419949B (sv) 1978-05-03 1981-09-07 Steinar J Mailund Sett och anordning att transportera upp granuler ur ett behandlingskerl
US4396355A (en) * 1980-01-28 1983-08-02 United Kingdom Atomic Energy Authority Ejector
SU1054244A1 (ru) * 1982-03-10 1983-11-15 Днепропетровский Ордена Трудового Красного Знамени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300-Летия Воссоединения Украины С Россией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невматического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US5017218A (en) 1989-06-12 1991-05-21 Uddholm Tooling Aktiebola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metal granules
US5071289A (en) * 1989-12-27 1991-12-10 Alpheus Cleaning Technologies Corp. Particulate delivery system
RU2064319C1 (ru) * 1994-03-14 1996-07-27 Руфат Шовкет оглы Абие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жидкостями капиллярно-пористых частиц
JP4341864B2 (ja) * 1999-07-26 2009-10-14 澁谷工業株式会社 気液混合流の噴射装置
US6273153B1 (en) 1999-12-21 2001-08-14 Pathfinder Systems, Inc. Metering and dispensing particulate matter directly into bins
US7059550B2 (en) * 2001-02-26 2006-06-13 Power Technologies Investment Ltd. System and method for pulverizing and extracting moisture
US6905183B2 (en) * 2001-07-16 2005-06-14 Maytag Corporation Tilt-out door buckets for refrigerators or freezers
JP3863029B2 (ja) * 2002-02-07 2006-12-27 大成化工株式会社 肩部を有する容器内面への粉体塗装装置並びに粉体塗装方法
ATE364794T1 (de) * 2002-10-11 2007-07-15 Pursuit Dynamics Plc Strahlpumpe
DE202004007521U1 (de) * 2004-05-11 2004-07-15 Coperion Waeschle Gmbh & Co. Kg Aufgabeinjektor für rieselfähiges Material
US7270249B1 (en) * 2005-03-03 2007-09-18 Burkhead Ronnie J Pneumatic metering apparatus for flowable solids produc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149B1 (ko) * 2021-12-17 2022-05-17 주식회사 신성씨앤피 리튬 이차전지의 양극재 원료 이송용 이젝터 및 이를 포함하는 덴서베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E532897C2 (sv) 2010-05-04
EP2297011A4 (en) 2014-06-04
US8646700B2 (en) 2014-02-11
CN102076580B (zh) 2013-06-26
WO2009157857A1 (en) 2009-12-30
EP2297011B1 (en) 2020-10-07
KR20110030632A (ko) 2011-03-23
CN102076580A (zh) 2011-05-25
PL2297011T3 (pl) 2021-04-19
US20110210185A1 (en) 2011-09-01
BRPI0914739B1 (pt) 2018-12-04
BRPI0914739A2 (pt) 2015-10-20
SE0801491L (sv) 2009-12-25
ES2841998T3 (es) 2021-07-12
EP2297011A1 (en)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789B1 (ko) 과립외에 액체를 포함하는 탱크의 바닥으로부터 과립을 배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40263190A1 (en) High-throughput particle production using a plasma system
KR102132782B1 (ko) 용융재 처리 플랜트
KR102340801B1 (ko) 용융된 재료의 과립화를 위한 턴디쉬 배열체 및 노즐
CN105378117B (zh) 用于粒化设备的蒸汽冷凝塔
CN105358717B (zh) 用于粒化设备的蒸汽冷凝系统
RU223453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твода тепла и обеспечения затвердевания частиц расплавле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US7628838B2 (en) Method for producing particle-shaped material
JP2010188275A (ja) 気流分離装置
CN202359129U (zh) 高温液态钢渣资源化处理及热能回收装置
KR20090095590A (ko) 연속 강 주조를 위한 중공 제트 노즐
CA1136365A (en) Method of hauling granulates and similar material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US8252211B2 (en) Drop pelletizing device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thereof
JP2023032091A (ja) 粒鉄製造装置および粒鉄製造方法
US4028447A (en) Method of prilling material
CN219837178U (zh) 用于金属和合金的粒化系统
CN117222486A (zh) 用于生产金属粉末的设施
CN116604022A (zh) 用于金属和合金的粒化系统
CN117337219A (zh) 用于冷却并运送金属粉末的方法
JP2007160150A (ja) 異物分離装置
JPS6140742Y2 (ko)
RU13172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грануляции расплава шлака
CN117222487A (zh) 气体雾化器
RU204954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гранул из расплава
SU34158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АЧИ ИЗМЕЛЬЧЕ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В РАСПЛАВЛЕННЫЙ МЕТАЛ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