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4083B1 -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4083B1
KR101664083B1 KR1020150099876A KR20150099876A KR101664083B1 KR 101664083 B1 KR101664083 B1 KR 101664083B1 KR 1020150099876 A KR1020150099876 A KR 1020150099876A KR 20150099876 A KR20150099876 A KR 20150099876A KR 101664083 B1 KR101664083 B1 KR 101664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along
molding
door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9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용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9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083B1/ko
Priority to US14/938,070 priority patent/US9718338B2/en
Priority to DE102015222762.6A priority patent/DE102015222762A1/de
Priority to CN201510866739.5A priority patent/CN106347084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2Upper door structure window frame details, including sash guides and glass r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2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B60J10/26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shape
    • B60J10/26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shape the surface being primarily decora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60J10/34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adhesives
    • B60J10/3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 tapes, e.g. double-sided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B60J10/86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arranged on the opening panel
    • B60J10/88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arranged on the opening panel mounted on, or integral with, the glass-run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가 개시된다. 차량 도어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폭이 가변되는 가변 몰딩, 및 상기 가변 몰딩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부에 결합된 인서트 사출 결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몰딩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부는 상기 차량 도어에 접착 테이프로 부착되어, 가변 몰딩의 조립 생산성 및 차량 도어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Vehicle door molding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리어 도어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프레임 도어는, 도어 인너 패널과 도어 아웃터 패널이 서로 결합되어 도어 골격을 형성하고, 도어 인너 패널과 도어 아웃터 패널 위에 도어 윈도우를 형성하는 도어 프레임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며, 중량 및 원가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부식이나 외관미 저하 등의 단점이 있다.
도어 프레임에는 그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도어의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된 도어 몰딩이 부착된다.
특히 리어 도어의 경우에는 도어 외관미를 향상시키기 위해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폭이 가변되는 가변 몰딩이 도어 프레임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부착되고 있다.
도어 프레임은 통상적으로 금속 재질로 일정한 형상을 갖도록 제작되고, 가변 몰딩도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되면서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폭이 가변되는 가변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가변 몰딩과 도어 프레임의 결합을 위해 가변 몰딩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인서트 사출 결합물이 구비되고, 인서트 사출 결합물은 도어 프레임과 접착 테이프로 접착되고 있다.
또한 도어 프레임에는 도어 웨더스트립이 리프트 몰딩을 통해 장착되는 데, 가변 몰딩의 폭이 가변됨에 따라 리프트 몰딩의 형상도 상응해서 가변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변 몰딩이 부착된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에 있어서, 도어 프레임과 가변 몰딩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가변 몰딩의 들뜸 혹은 이탈을 방지해서 가변 몰딩으로 인한 차량의 도어 외관미 향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 도어의 지속적인 외관미 향상, 가변 몰딩의 안정된 부착 자세 유지, 및 중량과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는, 차량 도어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폭이 가변되는 가변 몰딩; 및 상기 가변 몰딩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부에 결합된 인서트 사출 결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몰딩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부는 상기 차량 도어에 접착 테이프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차량 도어는 도어 윈도우를 형성하는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에 상기 가변 몰딩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은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하고,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에 위치하며,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장착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몰딩은 상기 접착 테이프를 매개로 상기 장착 플랜지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은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로 개구된 상부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결합홈에는 리프트 몰딩이 결합되고; 상기 리프트 몰딩에는 도어 웨더스트립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은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하방으로 개구된 하부 결함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결합홈에는 글라스 런 몰딩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글라스 런 몰딩에는 폭 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변 몰딩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단부에는 차량의 폭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진 하부 걸림 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글라스 런 몰딩에는 상기 하부 걸림 후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걸림 후크에는 부직포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걸림 후크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하단면보다 돌출 높이로 더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 높이는 0.2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리프트 몰딩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부에는 상기 장착 플랜지의 상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은 차량의 폭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돌출턱과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돌출턱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돌출턱은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삼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변 몰딩이 상기 도어 프레임에 접착 결합되었을 때에 상기 외측 돌출턱은 상기 장착 플랜지와 오버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변 몰딩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부에는 상기 인서트 사출 결합물의 내부로 인서트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걸림 후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변 몰딩과 상기 인서트 사출 결합물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부에는 엔드피스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엔드피스는 다각 형상을 이루는 피스바디; 상기 피스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 및 높이 방향을 따른 하부에 형성된 후크홈; 상기 피스바디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부 가장자리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에서 높이 방향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스톱퍼; 및 상기 피스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단부에 높이 방향 상방 및 길이 방향 전방을 향해 경사진 엔드 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변 몰딩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부에는 상기 엔드피스의 후크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걸림 후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엔드피스가 상기 인서트 사출 결합물과 결합되면, 상기 피스바디의 상부 가장자리는 상기 인서트 사출 결합물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용되고; 상기 인서트 사출 결합물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단 가장자리는 상기 상부 가장자리와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엔드피스가 상기 인서트 사출 결합물과 결합되면, 상기 엔드피스의 스톱퍼와 상기 엔드 테두리는 상기 인서트 사출 결합물의 후단부와 맞닿아서 상기 인서트 사출 결합물의 길이 방향을 따른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몰딩은 하나 이상의 방수 클립을 매개로 상기 도어 프레임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방수 클립은 원기둥 형상의 클립 바디; 상기 클립 바디의 선단부에 상기 클립 바디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클립 머리부; 및 상기 방수 클립이 상기 도어 프레임의 조립홀에 삽입되어 체결되면 상기 도어 프레임의 조립홀을 막아주도록 상기 클립 바디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된 방수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에 따르면, 가변 몰딩이 도어 프레임에 접착 테이프로 부착됨과 더불어 가변 몰딩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단이 도어 프레임에 걸리게 되어, 가변 몰딩이 도어 프레임에 안정된 부착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서 가변 몰딩의 들뜸이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차량 도어의 외관미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가변 몰딩은 인서트 사출 결합물과 함께 사출되어 결합되되, 가변 몰딩에 형성된 다수개의 후크는 인서트 사출 결합물과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가변 몰딩과 인서트 사출 결합물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에 끼워져 부착되는 글라스 런 몰딩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도어 프레임에는 오목홈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되어, 글라스 런 몰딩과 도어 프레임 사이의 결합성이 증대되어, 글라스 런 몰딩의 안정된 부착 자세를 유지해서 차량의 NVH 성능의 향상 및 도어 외관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가변 몰딩을 금형에 삽입하여 인서트 사출할 때에 인서트 사출 결합물에는 눌림 방지 돌기가 형성되어, 인서트 사출 결합물이 사출된 가변 몰딩을 금형으로부터 탈형할 때에 금형 코어에 의한 가변 몰딩의 표면 싱크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엔드피스는 가변 몰딩과 인서트 사출 결합물에 동시에 결합되어, 엔스피스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리프트 몰딩의 양단부는 방수 클립을 매개로 도어 프레임에 조립되어, 습기 등의 침투에 의한 부식 등을 방지해서 내구성 및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인서트 사출 결합물의 사이즈 감소로 중량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몰딩 구조의 전체적인 조립성이 향상되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가 적용된 차체 도어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C" 부위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몰딩에 결합된 인서트 사출 결합물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변 몰딩의 후크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엔드피스와 가변 몰딩 및 인서트 사출 결합물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엔드피스와 가변 몰딩 및 인서트 사출 결합물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리프트 몰딩에 조립된 따른 방수 클립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는, 차량 도어(10)의 상부에 부착된 가변 몰딩(20)을 포함할 수 있다.
가변 몰딩(20)은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그 폭이 가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부의 폭(W)이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부의 폭(W1)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로 갈수록 가변 몰딩(20)의 폭은 예를 들면 선형적으로 증가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가변 몰딩(20)은 차량 도어의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도어(10)는 도어 윈도를 형성하는 도어 프레임(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2)은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하고,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에 위치하며,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대체로 직사각 형상의 장착 플랜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장착 플랜지(122)에는 접착 테이프(30)를 통해 가변 몰딩(20)이 접착될 수 있다. 가변 몰딩(20)의 폭은 장착 플랜지(122)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가변 몰딩(20)이 장착 플랜지(122)에 접착되면, 장착 플랜지(122)는 가변 몰딩(20)의 내측면 일부에 접착되게 된다.
가변 몰딩(20)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부에는 인서트 사출 결합물(22)이 결합되고, 하부는 접착 테이프(30)를 통해 도어 프레임(12)에 접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변 몰딩(20)과 접착 테이프(30)를 통한 도어 프레임(12)의 접착 구조는, 종래의 인서트 사출 결합물(22)에 접착 테이프(30)를 부착하여 가변 몰딩(20)을 도어 프레임(12)에 접착한 구조에 비해 가변 몰딩(20)의 도어 프레임(12)에 대한 접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인서트 사출 결합물(22)의 변형에 의한 접착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접착 작업성도 향상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2)은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로 개구된 대체로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 상부 결합홈(124)과, 이 상부 결합홈(124)보다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부에 위치하고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하방으로 개구된 하부 결함홈(126)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결합홈(124)에는 리프트 몰딩(40)이 결합되고, 리프트 몰딩(40)에는 도어 웨더스트립(50)이 결합될 수 있다. 도어 웨더스트립(50)은 도어(10)가 닫혔을 때에 차체(60)와 도어(10) 사이에 개재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리프트 몰딩(4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부는 방수 클립(90)을 통해 도어 프레임(12)에 조립될 수 있다.
하부 결합홈(126)에는 글라스 런 몰딩(70)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글라스 런 몰딩(70)은 윈도우 글라스(80)와 밀착되어 방수 및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글라스 런 몰딩(70)과 도어 프레임(12)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글라스 런 몰딩(70)에는 폭 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결합홈(72)이 형성되고, 이에 대향하는 도어 프레임(12)에는 결합홈(7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돌기(128)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72)과 결합 돌기(128)는 윈도우 글라스(80)가 글라스 런 몰딩(70)에 삽입되면서 글라스 런 몰딩(70)을 가압할 때에 글라스 런 몰딩(70)의 자세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글라스 런 몰딩(70)이나 가변 몰딩(20)의 제작 산포 발생시에 공차를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의 NVH 성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차량 도어의 외관미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가변 몰딩(20)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단부에는 차량의 폭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진 대체로 "U"자 형상을 이루는 하부 걸림 후크(20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글라스 런 몰딩(70)에는 하부 걸림 후크(202)가 수용되는 수용홈(74)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걸림 후크(202)에는 조립 작업시 작업자의 상해를 방지하기 위해 부직포(24)가 부착될 수 있다.
하부 걸림 후크(202)의 높이는 장착 플랜지(122)의 하단면(129)보다 돌출 높이(T)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가변 몰딩(20)이 도어 프레임(12)에 결합되면, 하부 걸림 후크(202)에 의해 가변 몰딩(20)이 도어 프레임(12)으로부터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돌출 높이(T)는 최소한 0.2mm 이상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리프트 몰딩(22)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부에는 도어 프레임(12)의 장착 플랜지(122)의 상부가 수용되는 수용홈(222)이 형성될 수 있고, 수용홈(222)은 차량의 폭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돌출턱(223)과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돌출턱(22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외측 돌출턱(224)은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대체로 삼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가변 몰딩(20)이 도어 프레임(12)에 접착 결합되었을 때에 외측 돌출턱(224)은 장착 플랜지(122)와 오버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되는 가변 몰딩(20)은 플라스틱 소재로 제작되는 인서트 사출 결합물(22)과 사출 결합되는 데, 가변 몰딩(20)에 인서트 사출 결합물(22)을 사출 결합하고자 가변 몰딩(22)을 사출 금형에 삽입하여 고정시킨 다음에 플라스틱 수지를 금형에 사출하여 인서트 사출 결합물을 성형하고, 이후에 가변 몰딩(20)과 인서트 사출 결합물(22)을 금형으로부터 탈거하고자 코어를 빼낼 때에, 가변 몰딩(20)이 코어에 의해 눌려져서 표면 싱크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상기 외측 돌출턱(224)은 코어에 의해 눌려지는 가변 몰딩(20)의 눌림 부위에 위치되어, 가변 몰딩(20)의 표면 싱크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가변 몰딩(20)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부에는 차량의 폭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진 대체로 "U"자 형상의 상부 걸림 후크(204)가 구비될 수 있다.
상부 걸림 후크(204)는 가변 몰딩(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개의 상부 걸림 후크(204)는 인서트 사출 결합물(22)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개의 상부 걸림 후크(204)는 가변 몰딩(20)과 인서트 사출 결합물(22)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인서트 사출 결합물(22)과 가변 몰딩(20)의 분리 혹은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프트 몰딩(40)은 접착 테이프(30)를 통해 도어 프레임(12)에 접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가변 몰딩(20)과 인서트 사출 결합물(22)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부에는 엔드피스(100)가 결합될 수 있다.
엔드피스(100)는 다각 형상을 이루는 피스바디(101), 피스바디(101)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 및 높이 방향을 따른 하부에 형성된 후크홈(102), 피스바디(101)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부 가장자리(103)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에서 높이 방향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스톱퍼(104) 및, 피스바디(101)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단부에 높이 방향 상방 및 길이 방향 전방을 향해 경사진 엔드 테두리(106)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가변 몰딩(2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부에는 걸림 후크(206)가 일체로 돌출해서 형성될 수 있다.
가변 몰딩(20)에 인서트 사출 결합물(22)이 일체로 사출 성형된 상태에서 엔드피스(100)가 가변 몰딩(20) 및 인서트 사출 결합물(22)의 후단부들과 결합되면, 가변 몰딩(20)의 걸림 후크(206)는 엔드피스(100)의 후크홈(102)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엔드피스(100)와 가변 몰딩(20)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엔드피스(100)의 상부 가장자리(103)는 인서트 사출 결합물(22)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용되고, 인서트 사출 결합물(22)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단 가장자리(225)는 상부 가장자리(103)와 오버랩되어 인서트 사출 결합물(22)과 엔드피스(100)의 상호 구속에 의한 결합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엔드피스(100)의 스톱퍼(104)와 엔드 테두리(106)는 인서트 사출 결합물(22)의 후단부(226)와 맞닿아서 인서트 사출 결합물(22)의 길이 방향을 따른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리프트 몰딩(4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부 혹은 길이 방향을 따른 다수 부위에는 방수 클립(90)이 조립되어, 방수 클립(90)을 매개로 리프트 몰딩(40)이 도어 프레임(12)에 체결되어 지지될 수 있다.
방수 클립(90)은 원기둥 형상의 클립 바디(92), 클립 바디(92)의 선단부에 클립 바디(92)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클립 머리부(94) 및, 방수 클립(90)이 도어 프레임(12)의 조립홀에 삽입되어 체결되면 도어 프레임(12)의 조립홀을 막아주도록 클립 바디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방수 플랜지(96)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리프트 몰딩(40)이 접착 테이프(30)로 도어 프레임(12)에 접착됨과 더불어 다수개의 방수 클립(90)을 통해서도 도어 프레임(12)에 체결되어 체결성이 증대되고, 또한 도어 프레임(12)의 조립홀로 물기와 같은 이물질의 침입을 방수 플랜지(96)가 막아주게 되므로, 도어 프레임(12)의 부식을 방지해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외관미 저하도 예방할 수 있다.
참고로, 참조부호 32는 접착 테이프(30)에 붙은 이형제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차량 도어
12: 도어 프레임
20: 가변 몰딩
30: 접착 테이프
40: 리프트 몰딩
50: 도어 웨더스트립
60: 차체
70: 글라스 런 몰딩
80: 윈도우 글라스
90: 방수 클립
100: 엔드피스

Claims (19)

  1. 차량 도어의 상부 가장자리를 따라 일체로 결합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폭이 가변되는 가변 몰딩; 및
    상기 가변 몰딩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부에 결합된 인서트 사출 결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 몰딩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부는 상기 차량 도어에 접착 테이프로 부착되며;
    상기 가변 몰딩과 상기 인서트 사출 결합물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부에는 엔드피스가 결합되고;
    상기 엔드피스는
    다각 형상을 이루는 피스바디;
    상기 피스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 및 높이 방향을 따른 하부에 형성된 후크홈;
    상기 피스바디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부 가장자리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에서 높이 방향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스톱퍼; 및
    상기 피스바디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단부에 높이 방향 상방 및 길이 방향 전방을 향해 경사진 엔드 테두리를 포함하며;
    상기 엔드피스가 상기 인서트 사출 결합물과 결합되면, 상기 피스바디의 상부 가장자리는 상기 인서트 사출 결합물의 내부로 삽입되어 수용되고;
    상기 인서트 사출 결합물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단 가장자리는 상기 상부 가장자리와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도어는 도어 윈도우를 형성하는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에 상기 가변 몰딩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은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하고,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에 위치하며,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장착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몰딩은 상기 접착 테이프를 매개로 상기 장착 플랜지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은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부로 개구된 상부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결합홈에는 리프트 몰딩이 결합되고;
    상기 리프트 몰딩에는 도어 웨더스트립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은 차량의 높이 방향으로 하방으로 개구된 하부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결합홈에는 글라스 런 몰딩이 결합되며;
    상기 글라스 런 몰딩에는 폭 방향 내측으로 함몰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몰딩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하단부에는 차량의 폭 방향 내측으로 구부러진 하부 걸림 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글라스 런 몰딩에는 상기 하부 걸림 후크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걸림 후크에는 부직포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걸림 후크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하단면보다 돌출 높이로 더 돌출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높이는 0.2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사출 결합물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부에는 상기 장착 플랜지의 상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은 차량의 폭 방향으로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돌출턱과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돌출턱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돌출턱은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몰딩이 상기 도어 프레임에 접착 결합되었을 때에 상기 외측 돌출턱은 상기 장착 플랜지와 오버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도어의 몰딩 구조.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몰딩의 차량의 높이 방향을 따른 상부에는 상기 인서트 사출 결합물의 내부로 인서트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걸림 후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몰딩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단부에는 상기 엔드피스의 후크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걸림 후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
  16. 삭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피스가 상기 인서트 사출 결합물과 결합되면, 상기 엔드피스의 스톱퍼와 상기 엔드 테두리는 상기 인서트 사출 결합물의 후단부와 맞닿아서 상기 인서트 사출 결합물의 길이 방향을 따른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
  1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몰딩은 하나 이상의 방수 클립을 매개로 상기 도어 프레임에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클립은
    원기둥 형상의 클립 바디;
    상기 클립 바디의 선단부에 상기 클립 바디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클립 머리부; 및
    상기 방수 클립이 상기 도어 프레임의 조립홀에 삽입되어 체결되면 상기 도어 프레임의 조립홀을 막아주도록 상기 클립 바디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된 방수 플랜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

KR1020150099876A 2015-07-14 2015-07-14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 KR101664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876A KR101664083B1 (ko) 2015-07-14 2015-07-14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
US14/938,070 US9718338B2 (en) 2015-07-14 2015-11-11 Vehicle door molding structure
DE102015222762.6A DE102015222762A1 (de) 2015-07-14 2015-11-18 Fahrzeugtür-zierleistenaufbau
CN201510866739.5A CN106347084B (zh) 2015-07-14 2015-11-27 车门模制结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9876A KR101664083B1 (ko) 2015-07-14 2015-07-14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083B1 true KR101664083B1 (ko) 2016-10-24

Family

ID=57256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9876A KR101664083B1 (ko) 2015-07-14 2015-07-14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18338B2 (ko)
KR (1) KR101664083B1 (ko)
CN (1) CN106347084B (ko)
DE (1) DE1020152227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85952B2 (ja) * 2015-07-28 2019-10-02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車ドア用モールの取付構造
JP6386993B2 (ja) * 2015-12-25 2018-09-05 株式会社ファルテック 車両用モールディング
JP6910182B2 (ja) * 2017-04-11 2021-07-28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車ドア用グラスラン
US10626665B2 (en) * 2017-04-15 2020-04-21 Honda Motor Co., Ltd. Vehicle weather strip
JP7053251B2 (ja) * 2017-12-26 2022-04-12 西川ゴム工業株式会社 自動車ドア用グラスラン
KR102645051B1 (ko) * 2019-01-17 2024-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웨더스트립
CN112277590B (zh) * 2020-10-31 2023-06-16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车门呢槽安装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9229A (ja) * 2004-08-31 2006-03-16 Kinugawa Rubber Ind Co Ltd モールディングのエンドキャップ取付構造
KR20080000195A (ko) * 2006-06-27 2008-0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몰딩
KR20120001312A (ko) * 2010-06-29 2012-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프레임 조립체
KR20150055984A (ko) * 2013-11-14 2015-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프레임 몰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78465A (ja) 1992-03-31 1993-10-26 Kinugawa Rubber Ind Co Ltd 自動車のドアサッシュ構造
JP3626125B2 (ja) * 2001-09-04 2005-03-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サッシュドアのモール取付構造
WO2005056270A1 (en) * 2003-12-10 2005-06-23 Lee, Hwan-Gil Method of manufacturing integrated changable insert moldings for automobiles
KR100536370B1 (ko) 2004-03-30 2005-12-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몰딩 엔드캡 조립 구조
JP4736452B2 (ja) 2005-02-03 2011-07-27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ドアサッシュ構造
KR100892694B1 (ko) * 2006-11-17 2009-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프레임
WO2010032662A1 (ja) * 2008-09-19 2010-03-2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フレームモール
JP5278465B2 (ja) 2011-02-16 2013-09-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2013082285A (ja) * 2011-10-07 2013-05-09 Shiroki Corp 車両のドアフレーム構造
KR101855749B1 (ko) 2012-11-01 2018-05-09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69229A (ja) * 2004-08-31 2006-03-16 Kinugawa Rubber Ind Co Ltd モールディングのエンドキャップ取付構造
KR20080000195A (ko) * 2006-06-27 2008-01-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몰딩
KR20120001312A (ko) * 2010-06-29 2012-0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프레임 조립체
KR20150055984A (ko) * 2013-11-14 2015-05-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프레임 몰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18338B2 (en) 2017-08-01
CN106347084B (zh) 2020-11-03
DE102015222762A1 (de) 2017-01-19
US20170015183A1 (en) 2017-01-19
CN106347084A (zh)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4083B1 (ko) 차량의 도어 몰딩 구조
US8444205B2 (en) Molded component and seal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window
JP5614894B2 (ja) 車両のウィンドウガラスをウォータタンクに接続する側方部材
US8991102B2 (en) Door weather strip
US9994094B2 (en) Profile element for connecting a vehicle window pane to a cover part and profile element assembly
US20070096482A1 (en) Bumper fixture, and bumper mounting structure
US8181397B2 (en) Vehicle door sash molding end retention structure
JP2004074830A (ja) 車両用ドアのウエザーストリップ
KR101518912B1 (ko)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US9103155B2 (en) Window pane fastening
KR101518908B1 (ko)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US10744861B2 (en) Weather strip for automobile
JP6242107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の組立て構造
JP7378296B2 (ja) カウルルーバとモール付きウインドシールドとの連接構造
JP2022083514A (ja) カウルモールとカウルトップガーニッシュとの連結構造
JP2002167916A (ja) 軒樋継手
US20180086187A1 (en) Cowl top cover
JP5474912B2 (ja) 車両用窓板の装飾部材
KR100776653B1 (ko) 자동차의 도어 프레임 밀폐구조
US6932422B2 (en) Attachment structure of weather strip for motor vehicle
KR100831617B1 (ko) 일체형 사이드 바
KR20160055323A (ko) 카울탑커버 체결 조립체 및 그 체결방법
KR101509520B1 (ko) 도어벨트 몰딩의 엔드피스 마운팅 구조
CN213920912U (zh) 一种车辆装饰件总成
JP5513770B2 (ja) ウェザー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