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3159B1 -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3159B1
KR101663159B1 KR1020160012522A KR20160012522A KR101663159B1 KR 101663159 B1 KR101663159 B1 KR 101663159B1 KR 1020160012522 A KR1020160012522 A KR 1020160012522A KR 20160012522 A KR20160012522 A KR 20160012522A KR 101663159 B1 KR101663159 B1 KR 101663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ate
arms
case
neck
an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영수
한수철
강구화
조우진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12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82Supracellular entities, e.g. tissue, organisms
    • G01N33/5088Supracellular entities, e.g. tissue, organisms of 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영장류 동물의 머리 부분이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영장류 동물이 내부에 투입 수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바디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 지지판과, 상기 상부 지지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 바퀴가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상부 지지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 수단과, 상기 상부 지지판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틸팅 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는, 영장류 동물이 내부에 투입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면에는 영장류 동물의 목을 감쌀 수 있도록 네크 홀더부가 개방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넥크 홀더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네크 홀더부와 함께 영장류 동물의 목을 감싸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네크 홀딩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면에는 영장류 동물의 머리 부분을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정위 장치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Holding Apparatus for Testing Primates}
본 발명은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영장류 동물에 대한 실험 처치 작업을 더욱 다양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영장류 동물에 대한 더욱 쾌적하고 편안한 생활 환경을 제공하는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명과학 및 의과학 분야 연구 활성화에 따라 영장류를 이용한 동물 실험의 역할과 그 중요성이 매우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연구소, 병원, 기업 등에서는 영장류 연구를 위한 다양한 실험 시설들이 개발되고 있다.
동물 실험 시설은 크게 나누어 1) 실험 동물 생산을 주로 하는 것 (기업체의 생산 시설), 2) 실험 동물 연구를 주로 하는 것 (연구소의 시설 등), 3) 동물 실험이 주가 되는 것 (의과대학 계통의 시설), 4) 안전성 시험을 주로 하는 것, 5) 의약품 개발을 주로 하는 것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시설에서는 양질의 동물의 공급과 적적한 사육 관리, 적합한 실험 환경의 유지 및 관리, 얻어진 결과의 항상성에 의하여 비교되어야 하며, 동물 실험의 과학성과 윤리성을 보증하는 것이 실험 동물 시설의 가장 큰 의의라고 할 수 있다.
국내의 생명과학 수준은 1980년대를 기점으로 꾸준하면서도 급속한 신장을 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특히 발생 공학 및 몇몇 분야에서는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아 선도적인 위치에 있으나, 아직 실험 동물을 이용한 연구 및 응용분야의 진척에 비해 그 근간이 되는 실험 동물의 관리와 사용에 관한 시설과 같은 제반 여건은 국제적으로 수준이 미흡하며 개발 및 발전을 위한 활동 또한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설치류, 비 설치류 및 영장류 등의 실험동물은 신약의 효능과 독성 등 안전성을 평가하고, 질병의 예방과 치료법을 연구하는데 큰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동물 실험은 간단한 채혈 검사는 물론이고, 뇌에 직접 약물을 투여하는 실험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실험 동물 중 영장류는 인간과 가장 근접한 동물로서 고통과 슬픔을 느낄 수 있어, 최대한 편안하고 쾌적한 생활 환경을 제공받은 상태에서 실험이 진행되어야 한다.
영장류를 이용한 동물 실험은 일반적으로 영장류 동물을 케이지에서 사육하고, 실험을 수행하고자 할 때 별도의 홀더 장치에 투입하여 실험을 수행한다. 홀더 장치에서 수행하는 실험 또한 장시간에 걸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 홀더 장치에서 영장류에 대한 생활 환경 또한 쾌적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영장류에 대한 실험용 홀더 장치는 단순히 영장류를 고정 구속시키는 정도로만 구성되어 있을 뿐 편안하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실험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실험 결과의 정확도를 담보하기가 어렵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935332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장류 동물을 투입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 바디에 높이 조절 수단 및 틸팅 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케이스의 높이 및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동물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영장류 동물의 머리 부분이 케이스 상부로 돌출되게 수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머리 부분의 처치를 위해 정위 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영장류 동물의 머리 부분에 대한 다양한 실험 처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정위 장치의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위 장치를 이용하여 더욱 정확하고 다양한 실험 처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전방면에 영장류 동물의 양팔을 외부 노출시킬 수 있는 양팔 개방부를 형성함으로써, 영장류 동물이 오른손 잡이인지 왼손 잡이인지 행동 특성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방향의 팔에 대한 행동을 더욱 집중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해당 방향의 팔에 대해 집중적인 실험 처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케이스의 상면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영장류 동물의 목 부위를 감싸는 부위가 경사면에 형성됨과 동시에 전방면에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양팔을 이용한 음식물 섭취와 같이 양팔 개방부를 통한 양팔 운동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양팔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동물 보정시에 따른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고, 뇌신경질환 연구 등에서 필수적인 행동학적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영장류 동물의 양팔 부위를 외부 노출한 상태로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양팔 지지대를 구비함으로써, 양팔 부위에 대한 채혈 작업이나 약물 투여 작업시 보조 작업자 없이 1인의 작업자만으로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양팔 지지대의 고정 밴드를 통해 양팔 부위에 대한 지혈 또는 혈관 노장 작업 등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영장류 동물의 머리 부분이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영장류 동물이 내부에 투입 수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바디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 지지판과, 상기 상부 지지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 바퀴가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상부 지지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 수단과, 상기 상부 지지판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틸팅 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는, 영장류 동물이 내부에 투입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면에는 영장류 동물의 목을 감쌀 수 있도록 네크 홀더부가 개방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넥크 홀더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네크 홀더부와 함께 영장류 동물의 목을 감싸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네크 홀딩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면에는 영장류 동물의 머리 부분을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정위 장치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단면은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네크 홀더부는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방면에는 내부에 수용된 영장류 동물의 양팔을 각각 외부로 노출할 수 있도록 양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팔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 도어가 장착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경사면에는 경사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별도의 각도 조절 블록이 결합되고, 상기 정위 장치는 상기 각도 조절 블록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치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에는 상기 양팔 개방부를 통해 영장류 동물의 양팔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양팔을 각각 지지할 수 있는 양팔 지지대가 장착되며, 상기 양팔 지지대에는 양팔이 지지된 상태에서 양팔을 탄성 가압하며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 밴드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에는 영장류의 몸통 부위를 감싸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후방면으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관통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 홀딩 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양팔 지지대는 상기 바디 홀딩 고정판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영장류 동물을 투입 수용할 수 있는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 바디에 높이 조절 수단 및 틸팅 수단을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케이스의 높이 및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동물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장류 동물의 머리 부분이 케이스 상부로 돌출되게 수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머리 부분의 처치를 위해 정위 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영장류 동물의 머리 부분에 대한 다양한 실험 처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더욱 정확하고 편리하게 처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정위 장치의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위 장치를 이용하여 더욱 정확하고 다양한 실험 처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의 전방면에 영장류 동물의 양팔을 외부 노출시킬 수 있는 양팔 개방부를 형성함으로써, 영장류 동물이 오른손 잡이인지 왼손 잡이인지 행동 특성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방향의 팔에 대한 행동을 더욱 집중 유도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해당 방향의 팔에 대해 집중적인 실험 처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의 상면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영장류 동물의 목 부위를 감싸는 부위가 경사면에 형성됨과 동시에 전방면에 근접하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양팔을 이용한 음식물 섭취와 같이 양팔 개방부를 통한 양팔 운동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양팔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뇌신경질환의 행동학적 평가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영장류 동물의 양팔 부위를 외부 노출한 상태로 고정 지지할 수 있는 양팔 지지대를 구비함으로써, 양팔 부위에 대한 채혈 작업이나 약물 투여 작업시 보조 작업자 없이 1인의 작업자만으로 용이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양팔 지지대의 고정 밴드를 통해 양팔 부위에 대한 지혈 또는 혈관 노장 작업 등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의 정위 장치에 대한 장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의 양팔 지지대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의 정위 장치에 대한 장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의 양팔 지지대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는 원숭이와 같은 영장류 동물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할 수 있도록 영장류 동물을 투입 수용할 수 있는 장치로서, 케이스(100)와, 지지 바디(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0)는 내부 공간에 영장류 동물(P)이 투입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내부 공간을 외부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00)는 머리 부분이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영장류 동물(P)이 내부에 투입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케이스(100)는, 영장류 동물(P)이 내부에 투입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상면에는 영장류 동물(P)의 목을 감쌀 수 있도록 네크 홀더부(111)가 개방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110)와, 네크 홀더부(11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네크 홀더부(111)와 함께 영장류 동물(P)의 목을 감싸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네크 홀딩 고정판(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영장류 동물(P)이 네크 홀더부(111)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머리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케이스 본체(110) 내부에 투입된 상태에서 네크 홀딩 고정판(120)을 네크 홀더부(111)에 근접하게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네크 홀딩 고정판(120)의 네크 고정홈(121)과 네크 홀더부(111)가 영장류 동물(P)의 목 부위를 감싸며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케이스 본체(110)의 바닥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장류 동물(P)의 배설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배설물 배출홀(114)이 형성되고, 케이스 본체(110)의 하부에는 배설물 배출홀(114)을 통해 배출되는 배설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배설물 통(300)이 장착될 수 있다. 배설물 통(300)의 하부에는 별도의 배출 포트(310)가 형성되고, 배출 포트(310)에는 내부의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별도의 흡입 펌프(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지지 바디(200)는 케이스(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케이스(100)를 지지하는데, 케이스(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 지지판(210)과, 상부 지지판(210)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 바퀴(221)가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220)에는 상부 지지판(2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 수단(230)이 장착될 수 있으며, 또한, 상부 지지판(210)의 경사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틸팅 수단(240)이 장착될 수 있다. 높이 조절 수단(230) 및 틸팅 수단(2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별도의 조작 레버(231,241)의 조작을 통해 원터치 방식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 조절 수단(230) 및 틸팅 수단(240)은 탄성 스프링 방식, 공기압 방식 등 일반적인 의자에 적용되는 방식이나 또는 이와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100)를 지지하는 지지 바디(200)에 높이 조절 수단(230) 및 틸팅 수단(240)이 장착됨으로써, 영장류 동물(P)이 투입 수용되는 케이스(100)의 높이 또는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실험 수행자의 필요에 따라 케이스(100)를 다양한 배치 상태로 조절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다양한 실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 본체(110)의 상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장류 동물(P)의 머리 부분(P1)을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정위 장치(stereotaxic)(400)가 필요에 따라 분리 제거될 수 있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정위 장치(400)는 영장류 동물(P)의 머리 외부 공간을 감싸는 형태의 메인 프레임(410)과, 메인 프레임(4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영장류 동물(P)의 머리 부분(P1)을 가압하여 위치 고정시킬 수 있는 머리 고정 부재(420)와, 각종 머리 처치 기구(431,432)들을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메인 프레임(41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개의 거치 블록(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다수개의 거치 블록(430)에는 머리 부분(P1) 뇌의 특정 위치에 약물을 투입할 수 있는 약물 투입 기구(431), 머리 부분(P1)의 특정 부위에 초음파 처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초음파 프로브(432) 등이 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 블록(430)은 다수개 장착되어 다양한 처치 기구들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위 장치(400)가 항상 케이스(100)에 부착되어 있으면, 영장류 동물(P)이 불편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정위 장치(400)는 케이스(1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케이스(100)로부터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스 본체(110)의 상단면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101)을 갖도록 형성되고, 네크 홀더부(111)는 경사면(101)에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 본체(110)의 전방면에는 내부에 수용된 영장류 동물(P)의 양팔(P2)을 각각 외부로 노출할 수 있도록 양팔 개방부(112)가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케이스 본체(110)의 전방면에는 이러한 양팔 개방부(1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 가능한 개폐 도어(113)가 장착될 수 있다.
양팔 개방부(112)는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 수용된 영장류 동물(P)의 양팔(P2)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통해 영장류 동물(P)이 오른손 잡이인지 왼손 잡이인지 구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팔 개방부(112)의 개폐 도어(113)를 모두 개방한 상태로 케이스(100)의 전방에 먹이를 놓아두면, 영장류 동물(P)은 양팔(P2) 중 오른손 또는 왼손을 이용하여 먹이를 손으로 집어 먹게 되는데, 이러한 영장류 동물(P)의 양팔 행동 특성을 분석하여 영장류 동물(P)이 오른손 잡이인지 왼손 잡이인지 구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른손 잡이인지 왼손 잡이인지 구별이 확인되면, 해당 팔 부위의 개방부는 개방 상태로 유지시키고, 나머지 개방부는 개폐 도어(113)를 통해 폐쇄 상태로 유지시켜 해당 팔을 집중적으로 사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다양한 행동학적 평가 연구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 내부 공간에 수용된 영장류 동물(P)이 양팔 개방부(112)를 통해 양팔로 먹이를 집어 입으로 가져가는 방식으로 음식물을 섭취할 수 있는데, 이때, 양팔이 케이스(100)로 인한 간섭없이 입 주변 부위로 원활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케이스(100)의 상면은 경사면(101)을 갖도록 형성되고, 네크 홀더부(111)는 이러한 경사면(101)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네크 홀더부(111)는 더욱 원활한 팔 동작을 위해 경사면(101)의 전방 측에 근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의 상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정위 장치(400) 또한 경사면(101)에 장착되는데, 이때, 영장류 동물(P)의 머리 부분(P1)은 케이스 본체(110)의 경사면과 무관하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 상태로 유지되므로, 정위 장치(400)가 경사면(101)을 따라 경사지게 배치되면, 영장류 동물(P)의 머리 부분(P1)의 배치 상태와 대응되지 않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케이스 본체(110)의 경사면(101)에 별도의 각도 조절 블록(500)이 결합되고, 각도 조절 블록(500)에 정위 장치(4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각도 조절 블록(500)은 경사 각도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케이스 본체(110)의 경사면(101)에 결합되고, 정위 장치(400)는 이러한 각도 조절 블록(5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배치 각도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도 조절 블록(5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의 전방면 상단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 플레이트(510)와, 일단이 케이스 본체(110)의 경사면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가동 플레이트(51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는 지지 플레이트(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지 플레이트(520)의 상면에 정위 장치(4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가동 플레이트(510)에는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 슬롯(511)이 형성되고, 가이드 슬롯(511)을 관통하여 별도의 결합 볼트(512)가 케이스 본체(110)의 전방면에 결합되며, 가이드 슬롯(511)을 따라 가동 플레이트(510)가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가동 플레이트(510)의 상하 이동 방식은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가동 플레이트(510)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지지 플레이트(5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정위 장치(400)의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510)를 상향 이동시켜 지지 플레이트(520)를 수평 상태로 배치시키면, 지지 플레이트(520)에 장착되는 정위 장치(400)는 수평 상태로 장착되므로, 영장류 동물(P)의 머리 부분(P1)의 직립 상태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이에 따라 정위 장치(400)를 이용한 처치 작업이 더욱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510)를 하향 이동시켜 지지 플레이트(520)를 경사면(101)과 접촉 상태로 배치시킴으로써, 정위 장치(400)를 경사지게 배치시킬 수도 있다. 이외에도 정위 장치(400)를 분리 제거한 상태에서는 각도 조절 블록(500)에 의해 영장류 동물(P)의 양팔의 움직임이 방해받지 않도록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520)를 경사면(101)과 접촉 상태로 배치시킬 수도 있다. 물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가동 플레이트(510)를 적절하게 상향 이동시켜 지지 플레이트(520)의 경사 각도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정위 장치(400)의 배치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케이스 본체(1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팔 개방부(112)를 통해 영장류 동물(P)의 양팔(P2)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양팔(P2)을 각각 지지할 수 있는 양팔 지지대(6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양팔 지지대(600)에는 양팔(P2)이 지지된 상태에서 양팔(P2)을 탄성 가압하며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 밴드(62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실험 수행자는 영장류 동물(P)의 양팔(P2)을 양팔 개방부(112)를 통해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양팔 지지대(600) 및 고정 밴드(620)를 이용하여 양팔(P2)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양팔(P2)을 고정하게 되면, 영장류 동물(P)의 양팔(P2)에 주사기를 이용하여 채혈하거나 특정 약물을 투여하는 작업 등을 별도의 보조 작업자 없이도 1인의 작업자 혼자서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밴드(620)를 통해 양팔(P2) 부위를 탄성 가압할 수 있어 양팔(P2)에 대한 지혈 또는 혈관 노장 작업 등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양팔 지지대(600)는 필요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케이스 본체(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케이스 본체(110)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달리 구조의 단순화를 위해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바디 홀딩 고정판(130)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디 홀딩 고정판(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110)에 장착되는데, 영장류 동물(P)의 몸통 부위를 감싸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 본체(110)의 후방면으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관통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양팔 지지대(600)는 이러한 바디 홀딩 고정판(130)의 하부측에 장착되며, 양팔(P2)를 지지할 수 있도록 채널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양팔 지지 플레이트(610)가 단계적으로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양팔 지지대(6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양팔 지지 플레이트(610)를 단계적으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양팔 지지대(600)의 사용이 완료된 경우에는 양팔 지지 플레이트(610)를 단계적으로 인입하여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스 101: 경사면
110: 케이스 본체 111: 네크 홀더부
112: 양팔 개방부 113: 개폐 도어
120: 네크 홀딩 고정판 130: 바디 홀딩 고정판
200: 지지 바디 210: 상부 지지판
220: 베이스 프레임 230: 높이 조절 수단
240: 틸팅 수단 300: 배설물 통
400: 정위 장치 500: 각도 조절 블록
600: 양팔 지지대 620: 고정 밴드

Claims (4)

  1. 삭제
  2. 인간을 제외한 영장류 동물에 대한 다양한 실험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로서,
    영장류 동물의 머리 부분이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영장류 동물이 내부에 투입 수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 바디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바디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 지지판과, 상기 상부 지지판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단부에는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 바퀴가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상기 상부 지지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 수단과, 상기 상부 지지판의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틸팅 수단이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는
    영장류 동물이 내부에 투입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상면에는 영장류 동물의 목을 감쌀 수 있도록 네크 홀더부가 개방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와, 상기 네크 홀더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네크 홀더부와 함께 영장류 동물의 목을 감싸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네크 홀딩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면에는 영장류 동물의 머리 부분을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정위 장치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상단면은 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네크 홀더부는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방면에는 내부에 수용된 영장류 동물의 양팔을 각각 외부로 노출할 수 있도록 양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팔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 도어가 장착되며,
    상기 케이스 본체의 경사면에는 경사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별도의 각도 조절 블록이 결합되고, 상기 정위 장치는 상기 각도 조절 블록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에는 상기 양팔 개방부를 통해 영장류 동물의 양팔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양팔을 각각 지지할 수 있는 양팔 지지대가 장착되며,
    상기 양팔 지지대에는 양팔이 지지된 상태에서 양팔을 탄성 가압하며 위치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 밴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에는 영장류의 몸통 부위를 감싸며 고정시킬 수 있도록 후방면으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관통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바디 홀딩 고정판이 구비되고,
    상기 양팔 지지대는 상기 바디 홀딩 고정판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

KR1020160012522A 2016-02-01 2016-02-01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 KR101663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522A KR101663159B1 (ko) 2016-02-01 2016-02-01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522A KR101663159B1 (ko) 2016-02-01 2016-02-01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159B1 true KR101663159B1 (ko) 2016-10-07

Family

ID=57145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522A KR101663159B1 (ko) 2016-02-01 2016-02-01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1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3340A (ko) * 2017-08-01 2019-02-1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비침습적 뇌활동 이미징용 동물 구속장치
KR102296597B1 (ko) 2020-04-27 2021-09-01 박성걸 영장류 두부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272A (ja) * 1998-06-30 2000-01-18 Takeda Chem Ind Ltd 動物用薬物代謝物回収装置
KR100935332B1 (ko) 2009-08-31 2010-01-06 계룡과학주식회사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
KR101017402B1 (ko) * 2009-03-17 2011-02-28 안강호 나노 입자 흡입 독성 평가용 노출 챔버 장치
KR20120080791A (ko) * 2011-01-10 2012-07-18 주식회사우정식품 느릅나무를 함유한 기능성 국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4272A (ja) * 1998-06-30 2000-01-18 Takeda Chem Ind Ltd 動物用薬物代謝物回収装置
KR101017402B1 (ko) * 2009-03-17 2011-02-28 안강호 나노 입자 흡입 독성 평가용 노출 챔버 장치
KR100935332B1 (ko) 2009-08-31 2010-01-06 계룡과학주식회사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
KR20120080791A (ko) * 2011-01-10 2012-07-18 주식회사우정식품 느릅나무를 함유한 기능성 국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3340A (ko) * 2017-08-01 2019-02-11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비침습적 뇌활동 이미징용 동물 구속장치
KR102005811B1 (ko) * 2017-08-01 2019-07-31 재단법인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비침습적 뇌활동 이미징용 동물 구속장치
KR102296597B1 (ko) 2020-04-27 2021-09-01 박성걸 영장류 두부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159B1 (ko)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
KR101773100B1 (ko) 초음파 프로브 탈착형 주사 보조장치 및 바이옵시 보조장치
DE60033444D1 (de) Patientenunterstützung und verfahren zur dekubitusbrustbiopsie
JP2005261460A (ja) 動物固定台
Miliaressis et al. Effects of concomitant motor reactions on the measurement of rewarding efficacy of brain stimulation.
KR102005811B1 (ko) 비침습적 뇌활동 이미징용 동물 구속장치
US20070239063A1 (en) Portable electroretinograph with automated, flexible software
KR100935332B1 (ko)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
US7927289B2 (en) Catheter capable of being equipped with micro biopsy tool
KR100458365B1 (ko) 방사선 조사장치의 조사대
JP3813569B2 (ja) 高架型小動物固定器
KR20200002578A (ko) 주사 장치
KR20120040243A (ko) 생체조직에 대한 세포 주입방법
CN211355553U (zh) 一种放射科防护装置
RU237501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лабораторных животных
CN113317903A (zh) 小鼠手术及光学成像实验装置
KR20220116441A (ko) 초음파, 진단, 치료, 및 중재 기구를 지지할 수 있는 순응형 mri 수신기 코일 시스템
KR100466383B1 (ko) 설치류용 보정틀
RU19826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лабораторных животных при локальном облучении головного мозга
JP2594672Y2 (ja) 小動物の背位固定装置
CN210114569U (zh) 一种离体眼球固定装置
RU21618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ксации лабораторных животных при локальном облучении головного мозга
KR20210056765A (ko) 척추내시경 장치
KR101003972B1 (ko) 영장류 채혈용 보정기구
CN211827040U (zh) 一种磁疗仪的测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