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5332B1 -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 - Google Patents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5332B1
KR100935332B1 KR1020090081123A KR20090081123A KR100935332B1 KR 100935332 B1 KR100935332 B1 KR 100935332B1 KR 1020090081123 A KR1020090081123 A KR 1020090081123A KR 20090081123 A KR20090081123 A KR 20090081123A KR 100935332 B1 KR100935332 B1 KR 1009353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tion
plate
vertical guide
horizontal
ho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1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모
손현민
최봉진
Original Assignee
계룡과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룡과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계룡과학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1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53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5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5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1Cages for laboratory animals; Cages for measuring metabolism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38Devices for taking faeces samples; Faecal examin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험동물인 영장류를 신장의 크기에 관계없이 포획하여 내부에 넣은 다음, 신장에 적절하게 높낮이를 조절하고, 목 부위와 몸통을 동시에 유동 없이 편안하게 홀딩시킨 다음, 이를 통하여 약물을 투여하고, 배설되는 변과 뇨를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 배뇨처리장치로써 쉽게 해결하여 관찰할 수 있어 실험동물을 편안하게 유도하면서 실험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영장류, 약물, 배변, 배뇨

Description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Primate for Treatment of Human Excretion Device}
본 발명은 실험용으로 사용되는 영장류의 배변/배뇨를 채취하기 위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영장류의 몸통과 목 부위를 안정되게 동시에 홀딩하여 편안하게 배변/배뇨를 유도할 수 있으며, 하부에는 배변/배뇨를 받아 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치류, 비 설치류 및 영장류 등의 실험동물은 신약의 효능과 독성 등 안전성을 평가하고, 질병의 예방과 치료법을 연구하는데 큰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동물 실험은 간단한 채혈 검사는 물론이고, 뇌에 직접 약물을 투여하는 실험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실험동물 중 영장류는 인간과 가장 근접한 동물로서 고통과 슬픔을 느낄 수 있어, 최대한 편안하게 보정 한 후, 실험을 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영장류는 평상시 사육 케이지에서 사육되고, 실험시에는 별도의 케이지에서 약물을 투여한 다음, 이 케이지 자체에 구비된 배변/배뇨받이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변/배뇨를 관찰하여 약물에 대한 반응을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케이지는 약물 실험을 하면서 배변/분뇨를 확인하기 위한 전용 채취기구가 아닌 관계로 케이지의 내부 공간이 협소하고, 실험동물의 신장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적용되어 편안하고, 안락한 실험이 되지 못하고 실험동물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어 실험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영장류의 신장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몸통과 목 부위를 안정되게 동시에 홀딩하여 편안하게 배변/배뇨를 유도할 수 있으며, 하부에는 배변/배뇨를 받아 채취할 수 있는 배뇨처리장치를 구비한 양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은 하부에 이동수단이 구비된 하부프레임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의 수직 가이드봉; 상기 수직 가이드봉 하부 영역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배변/배뇨를 채취하기 위한 배뇨처리장치; 상기 배뇨처리장치 상부 영역의 수직 가이드봉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몸통 홀딩장치; 및 상기 몸통 홀딩장치 상부 영역의 수직 가이드봉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목 홀딩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에 의하면, 실험동물인 영장류를 신장의 크기에 관계없이 포획하여 내부에 넣은 다음, 신장에 적절하게 높낮이를 조절하고, 목 부위와 몸통을 동시에 유동 없이 편안하게 홀딩시킨 다음, 이를 통하여 약물을 투여하고, 배설되는 변과 뇨를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 배뇨처리장치로써 쉽게 해결하여 관찰할 수 있어 실험동물을 편안하게 유도하면서 실험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확대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3의 'B'부분에 대한 확대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는 하부에 이동수단이 구비된 하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10) 상부에 동일 높이를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의 수직 가이드봉(20)과; 수직 가이드봉(20) 하부 영역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배변/배뇨를 채취하기 위한 배뇨처리장치(30)와; 배뇨처리장치(30) 상부 영역의 수직 가이드봉(2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몸통 홀딩장치(60)와; 몸통 홀딩장치(60) 상부 영역의 수직 가이드봉(2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목 홀딩장치(7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프레임(10)은 하부에 이동수단인 이동바퀴가 구비되고, 상부에는 영장류에 대한 각종 식별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기록지가 분리 가능하게 보관되는 기록지보관케이스(12)가 구비된다.
상기 수직 가이드봉(20)은 하부프레임(10) 상부에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하단이 체결 고정되고, 외주연에는 균일하게 눈금(22)이 표기되어 높이조절이 용이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상기 배뇨처리장치(30)는 수직 가이드봉(20)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의 수평연결편(32)과; 상기 수평연결편(32)이 외측에 대응되게 연결되고, 내측으로 관통공(34a)이 형성된 중간프레임(34)과; 중간프레임(34) 상부에 하단의 둘레부가 안착되고, 내측 상부에 동일 높이로 다수의 안착돌기(36a)가 형성된 상부통(36)과; 상부통(36) 내측 상부의 안착돌기(36a)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어 영장류의 발이 올려지게 되고, 영장류의 변과 뇨가 하방으로 배출되는 배뇨 배출판(50)과; 중간프레임(34)의 하부 둘레부에 관통공(34a)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하단 외측 양단에 경사가이드(37)가 구비되며, 전면에는 투명창(38)이 구비된 하부통(39)과; 하부통(39)의 경사가이드(37)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40a)이 형성된 이동가이드(40)가 상단 외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변과 뇨가 받쳐지는 배뇨받침통(41)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중간프레임(34)과 상부통(36) 사이에는 상부걸림수단(55)이 구비되어 상부통(36)이 중간프레임(3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하부통(39)과 배뇨받침통(41)은 하부걸림수단(57)으로써 상호 연결되어 배뇨받침통(41)이 하부통(39)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배뇨받침통(41)은 하부에 뇨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밸브(42)가 형성된다.
상기 배뇨 배출판(50)은 안착돌기(36a) 상부에 안착되는 안착프레임(52)과; 안착프레임(52) 내부에 등간격을 유지하여 연결되어 영장류의 발이 올려지게 되고, 변과 뇨가 배출되는 다수의 수평바(54)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통 홀딩장치(60)는 배뇨처리장치(30) 상부 영역의 수직 가이드봉(2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전방측으로 반원형의 하부요입홈(61)이 형성된 수평하부판(62)과; 수평하부판(62) 하부에 고정되고, 이동요홈(63)이 형성된 하부보강안내판(64)과; 하부보강안내판(64)의 이동요홈(63)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양단에 반원형의 하부요입홈(61)과 대응되게 반원형의 하부홀딩홈(65)이 형성되어 영장류의 몸통을 홀딩시키기 위한 하부홀딩판(6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목 홀딩장치(70)는 몸통 홀딩장치(60) 상부 영역의 수직 가이드봉(2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전방측으로 반원형의 상부요입홈(71)이 형성된 수평상부판(72)과; 수평상부판(72) 상부 양측에 고정되고, 대응되게 이동요홈(73)이 형성된 상부보강안내판(74)과; 상부보강안내판(74)의 이동요홈(73)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양단에 반원형의 상부요입홈(71)과 대응되게 반원형의 상부홀딩홈(75)이 형성되어 영장류의 몸통을 홀딩시키기 위한 상부홀딩판(7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보강안내판(64)과 상부보강안내판(74)에는 다수의 록킹볼트(78)가 체결되어 하부홀딩판(66)과 상부홀딩판(76)의 삽입에 대한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 다. 이러한 록킹볼트(78)는 나비 볼트 타입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부홀딩판(76) 상부에는 영장류의 실험에 필요한 도구를 얹어 보관할 수 있는 보관트레이(77)가 구비된다.
한편, 배뇨처리장치(30)의 수평연결편(32), 몸통 홀딩장치(60)의 수평하부판(62), 목 홀딩장치(70)의 수평상부판(72)에는 수직 가이드봉(20)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이동구(80)가 체결 고정되고, 이동삽입구(80)에는 수평으로 조절볼트(82)가 체결되어 배뇨처리장치(30), 몸통 홀딩장치(60), 목 홀딩장치(7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실험동물인 영장류의 신장의 크기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배변·배뇨 채취기에 대한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실험을 하고자 하는 영장류(원숭이)를 배뇨처리장치(30)를 구성하는 배뇨 배출판(50)의 수평바(54) 상부에 올려놓게 된다.
그러면, 영장류의 발이 배뇨 배출판(50)의 수평바(54) 상부에 올려지게 되고, 몸통은 몸통홀딩장치(60)에, 머리는 목 홀딩장치(70) 영역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몸통 홀딩장치(60)와 목 홀딩장치(70)를 동작시켜 영장류의 몸통과 목을 안정되게 홀딩시키게 된다.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하부프레임(10)의 수직 가이드봉(20)에 구비된 수평하부판(62) 하부의 하부보강안내판(64)에 형성된 이동요홈(63)을 통하여 하부 홀딩판(66)을 내측으로 밀어 넣게 되면, 수평하부판(62)의 하부요입홈(61)과 하부홀딩판(66)의 하부홀딩홈(65)이 원형으로 일치되면서 영장류의 몸통을 안정되게 홀딩시키기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직 가이드봉(20)에 구비된 수평상부판(72) 상부의 상부보강안내판(74)에 형성된 이동요홈(73)을 통하여 상부홀딩판(76)을 내측으로 밀어 넣게 되면, 수평상부판(72)의 상부요입홈(71)과 상부홀딩판(76)의 상부홀딩홈(75)이 원형으로 일치되면서 영장류의 목 부위를 안정되게 홀딩시키기 된다.
이때, 상부보강안내판(74)에 체결된 나비 볼트 타입의 고정볼트(78)를 조이면, 상부홀딩판(76)의 삽입에 대한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즉, 상부요입홈(71)과 상부홀딩홈(75)이 원형을 유지하게 되어 영장류의 목 부위를 안정되게 홀딩시키기 된다.
그 다음으로 상부홀딩판(76) 상부의 보관트레이(77)에 구비된 영장류의 실험에 필요한 도구를 사용하여 영장류에 대한 약물 투입 등의 실험을 한 다음, 적정시간을 기다리면, 영장류에서 배설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면, 영장류의 배설물(변, 뇨)이 배뇨처리장치(30)를 구성하는 배뇨 배출판(50)의 수평바(54) 사이를 통하고, 하부통(39)을 통과하여 배뇨받침통(41) 내부로 유입되어, 소변(뇨)은 배뇨받침통(41) 하부의 배출밸브(42)를 통하여 외부로 별도로 배출 처리되어 약물 실험에 대한 반응 검사를 하게 된다. 이때, 변은 배뇨받침통(41) 내부에 남겨 지는데, 이러한 배변은 하부통(39) 전면의 투명창(38)을 통하여 내뇨받침통(41) 내부를 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걸림수단(57)의 걸림력을 해제한 다음, 하부통(39)의 경사가이드(37)로부터 배뇨받침통(41)을 구성하는 이동가이드(40)의 가이드홈(40a)을 외측으로 이동시키면, 배뇨받침통(41)이 하부통(39)으로부터 분리되고, 배뇨받침통(41)의 변을 관찰하여 약물 실험에 대한 반응 검사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물실험이 완료되면, 몸통 홀딩장치(60)와 목 홀딩장치(70)를 동작시켜 영장류의 몸통과 목을 홀딩을 해제시킨 다음, 내부로부터 영장류를 꺼내 목욕을시키고, 다른 사육 케이지로 옮기게 된다.
그리고, 배뇨처리장치(30)를 분리하여 세척하고, 소독을 한 다음, 조립하여 다음 실험을 대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영장류의 신장에 따라 배뇨처리장치(30), 몸통 홀딩장치(60), 목 홀딩장치(7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배뇨처리장치(30)의 수평연결편(32), 몸통 홀딩장치(60)의 수평하부판(62), 목 홀딩장치(70)의 수평상부판(72)에 체결 고정되고, 수직 가이드봉(20)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삽입이동구(80)에 체결된 조절볼트(82)의 체결력을 해제한 다음, 배뇨처리장치(30), 몸통 홀딩장치(60), 목 홀딩장치(70)를 상하부로 적절하게 이동시킨 다음, 조절볼트(82)를 체결하면, 그 위치가 조절된다.
이때, 이러한 높이조절은 수직 가이드봉(20) 외주연에 균일하게 표기된 눈금(22)을 보고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의 배변처리장치를 도시 한 요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의 몸통 및 목 홀딩장치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프레임 20 : 수직 가이드봉
30 : 배뇨처리장치 32 : 연결편
34 : 중간프레임 34a : 관통공
36 : 상부통 36a : 안착돌기
37 : 경사가이드 38 : 투명창
39 : 하부통 40 : 이동가이드
40a : 가이드홈 41 : 배뇨받침통
50 : 배뇨 배출판 60 : 몸통 홀딩장치
61 : 하부요입홈 62 : 수평하부판
63 : 이동요홈 64 : 하부보강안내판
65 : 하부홀딩홈 66 : 하부홀딩판
70 : 목 홀딩장치 71 : 상부요입홈
72 : 수평상부판 73 : 이동요홈
74 : 상부보강안내판 75 : 상부홀딩홈
76 : 상부홀딩판 78 : 록킹볼트

Claims (6)

  1. 하부에 이동수단이 구비된 하부프레임(10)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의 수직 가이드봉(20);
    상기 수직 가이드봉(20) 하부 영역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배변/배뇨를 채취하기 위한 배뇨처리장치(30);
    상기 배뇨처리장치(30) 상부 영역의 수직 가이드봉(2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몸통 홀딩장치(60); 및
    상기 몸통 홀딩장치(60) 상부 영역의 수직 가이드봉(2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목 홀딩장치(7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처리장치(30)는
    상기 수직 가이드봉(20)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다수의 수평연결편(32)과;
    상기 수평연결편(32)이 외측에 대응되게 연결되고, 내측으로 관통공(34a)이 형성된 중간프레임(34)과;
    상기 중간프레임(34) 상부에 하단의 둘레부가 안착되고, 내측 상부에 동일 높이로 다수의 안착돌기(36a)가 형성된 상부통(36)과;
    상기 상부통(36) 내측 상부의 안착돌기(36a)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어 영장류의 발이 올려지게 되고, 영장류의 변과 뇨가 하방으로 배출되는 배뇨 배출판(50)과;
    상기 중간프레임(34)의 하부 둘레부에 관통공(34a)과 연통되게 구비되고, 하단 외측 양단에 경사가이드(37)가 구비된 하부통(39)과;
    상기 하부통(39)의 경사가이드(37)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홈(40a)이 형성된 이동가이드(40)가 상단 외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변과 뇨가 받쳐지는 배뇨받침통(41)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통(39) 전면에는 투명창(38)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홀딩장치(60)는
    상기 배뇨처리장치(30) 상부 영역의 수직 가이드봉(2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전방측으로 반원형의 하부요입홈(61)이 형성된 수평하부판(62)과;
    상기 수평하부판(62) 하부에 고정되고, 이동요홈(63)이 형성된 하부보강안내판(64)과;
    상기 하부보강안내판(64)의 이동요홈(63)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양단에 반원형의 하부요입홈(61)과 대응되게 반원형의 하부홀딩홈(65)이 형성되어 영장류의 몸통을 홀딩시키기 위한 하부홀딩판(6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 용 배변·배뇨 채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 홀딩장치(70)는
    상기 몸통 홀딩장치(60) 상부 영역의 수직 가이드봉(20)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방측으로 반원형의 상부요입홈(71)이 형성된 수평상부판(72)과;
    상기 수평상부판(72) 상부 양측에 고정되고, 대응되게 이동요홈(73)이 형성된 상부보강안내판(74)과;
    상기 상부보강안내판(74)의 이동요홈(73)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양단에 반원형의 상부요입홈(71)과 대응되게 반원형의 상부홀딩홈(75)이 형성되어 영장류의 몸통을 홀딩시키기 위한 상부홀딩판(7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강안내판(64)와 상부보강안내판(74)은 다수의 록킹볼트(78)가 체결되어 하부홀딩판(66)과 상부홀딩판(76)의 삽입에 대한 위치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
KR1020090081123A 2009-08-31 2009-08-31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 KR100935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123A KR100935332B1 (ko) 2009-08-31 2009-08-31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1123A KR100935332B1 (ko) 2009-08-31 2009-08-31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5332B1 true KR100935332B1 (ko) 2010-01-06

Family

ID=41809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1123A KR100935332B1 (ko) 2009-08-31 2009-08-31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53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159B1 (ko) 2016-02-01 2016-10-07 한국화학연구원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
CN114027886A (zh) * 2021-11-29 2022-02-11 中国人民解放军东部战区总医院 一种消化内科用取样装置
KR102492882B1 (ko) 2022-06-14 2023-01-27 손정모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
KR102492883B1 (ko) 2022-06-14 2023-01-27 손정모 설치류 뇨채취용 케이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84A (ja) * 1989-05-30 1991-01-08 Hamamatsu Photonics Kk ポジトロンct装置の動物固定装置
KR20000066639A (ko) * 1999-04-19 2000-11-15 박철주 애완동물 목욕기구
KR20010114060A (ko) 2000-06-20 2001-12-29 정병현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KR20090001796U (ko) * 2007-08-21 2009-02-25 이종호 애완동물용 조립식 거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84A (ja) * 1989-05-30 1991-01-08 Hamamatsu Photonics Kk ポジトロンct装置の動物固定装置
KR20000066639A (ko) * 1999-04-19 2000-11-15 박철주 애완동물 목욕기구
KR20010114060A (ko) 2000-06-20 2001-12-29 정병현 동물의 계류를 위한 사육케이지
KR20090001796U (ko) * 2007-08-21 2009-02-25 이종호 애완동물용 조립식 거치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3159B1 (ko) 2016-02-01 2016-10-07 한국화학연구원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
CN114027886A (zh) * 2021-11-29 2022-02-11 中国人民解放军东部战区总医院 一种消化内科用取样装置
CN114027886B (zh) * 2021-11-29 2024-02-13 中国人民解放军东部战区总医院 一种消化内科用取样装置
KR102492882B1 (ko) 2022-06-14 2023-01-27 손정모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
KR102492883B1 (ko) 2022-06-14 2023-01-27 손정모 설치류 뇨채취용 케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170B1 (ko) 설치류용 뇨 대사 케이지
KR100979600B1 (ko) 실험동물의 건강상태 체크가 용이한 실험동물 사육용케이지
KR100935332B1 (ko)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
KR100770600B1 (ko) 원숭이용 케이지
CN106859808B (zh) 解剖架
KR101038200B1 (ko) 실험용 개의 대사 케이지
CN202340581U (zh) 可拆卸式羊用饲养代谢一体笼
CN104067948B (zh) 一种山羊多功能代谢笼
KR200484639Y1 (ko) 반려동물용 화장실
CN201797835U (zh) 通用型灵长类实验动物的标准化饲养装置
KR20140011571A (ko) 미니돼지 사육 장치
CN104782515A (zh) 一种可拆卸移动式羊代谢笼
KR101574219B1 (ko) 영장류 차량 이동용 케이지 장치
KR200406289Y1 (ko) 도그용 케이지
KR102492882B1 (ko)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
JP7082559B2 (ja) 動物用トイレ
KR101003972B1 (ko) 영장류 채혈용 보정기구
CN109548728B (zh) 一种水库用小型养鱼网箱
CN210900842U (zh) 一种保育猪专用粪尿自分离的消化实验代谢笼
CN211610211U (zh) 一种畜牧兽医用清洗装置
CN110771521A (zh) 一种畜牧兽医用具有杀菌功能的饲养笼
KR102492883B1 (ko) 설치류 뇨채취용 케이지
CN219048935U (zh) 一种兽医用手术操作台
CN211187635U (zh) 一种畜牧兽医用治疗床
CN112955005A (zh) 动物用厕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