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882B1 -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 - Google Patents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882B1
KR102492882B1 KR1020220072239A KR20220072239A KR102492882B1 KR 102492882 B1 KR102492882 B1 KR 102492882B1 KR 1020220072239 A KR1020220072239 A KR 1020220072239A KR 20220072239 A KR20220072239 A KR 20220072239A KR 102492882 B1 KR102492882 B1 KR 102492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primate
fix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모
Original Assignee
손정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정모 filed Critical 손정모
Priority to KR102022007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8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3/00Appliances for supporting or fettering animals for operativ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38Devices for taking faeces samples; Faecal examina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7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urine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00Surgical instruments for veterinary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받침부재의 상부에 목에 목수갑이 채워진 영장류(원숭이)의 발을 안정되게 올려놓은 다음, 양팔 구속장치를 통해 결박끈으로서 영장류의 양팔을 안정되게 결박하고, 목수갑을 목구속장치의 가이드레일을 통해 결합하고, 최대한 편안한 상태에서 목수갑을 서서히 후방으로 이동시켜, 경사지게 회동된 회동레버에 결속시켜 편안하게 보정한 상태에서 채혈을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발생되는 변과 뇨를 하방의 배뇨분리처리장치로서 위생적으로 분리하여 뇨를 채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혈 및 뇨 채취의 완료후 배뇨분리처리장치를 분리하여 잔류하고 있는 변과 뇨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위생적으로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Primate calibration frame for blood and urine collection}
본 발명은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안전받침부재의 상부에 목에 목수갑이 채워진 영장류(원숭이)의 발을 안정되게 올려놓은 다음, 영장류의 양팔을 결박하고, 목수갑을 목구속장치의 회동레버에 결속시켜 편안하게 보정한 상태에서 채혈을 할 수 있으며, 발생되는 변과 뇨를 하방의 배뇨분리처리장치로서 위생적으로 분리하여 뇨를 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치류, 비 설치류 및 영장류 등의 실험동물은 신약의 효능과 독성 등 안전성을 평가하고, 질병의 예방과 치료법을 연구하는데 큰 역할을 해왔다.
이러한 동물 실험은 간단한 채혈 검사는 물론이고, 뇌에 직접 약물을 투여하는 실험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실험동물 중 영장류는 인간과 가장 근접한 동물로서 고통과 슬픔을 느낄 수 있어, 최대한 편안하게 보정한 후, 실험을 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영장류는 평상시 사육 케이지에서 사육되고, 실험시에는 별도의 케이지에서 약물을 투여한 다음, 이 케이지 자체에 구비된 배변/배뇨받이를 통하여 배출되는 배변/배뇨를 관찰하여 약물에 대한 반응을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케이지는 약물 실험을 하면서 배변/분뇨를 확인하기 위한 전용 채취기구가 아닌 관계로, 케이지의 내부 공간이 협소하고, 실험동물의 신장의 크기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적용되어 편안하고, 안락한 실험이 되지 못하고 실험동물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게 되어 실험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에는 등록특허 10-0935332호(발명의 명칭 :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 및 등록특허 10-1003972호(발명의 명칭 : 영장류 채혈용 보정기구)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의 배변·배뇨 채취기는 하부에 이동수단이 구비된 하부프레임(10)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다수의 수직 가이드봉; 상기 수직 가이드봉 하부 영역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배변/배뇨를 채취하기 위한 배뇨처리장치; 상기 배뇨처리장치 상부 영역의 수직 가이드봉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몸통 홀딩장치; 및 상기 몸통 홀딩장치 상부 영역의 수직 가이드봉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목 홀딩장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기술은 실험동물인 영장류를 신장의 크기에 관계없이 포획하여 내부에 넣은 다음, 신장에 적절하게 높낮이를 조절하고, 목 부위와 몸통을 동시에 유동 없이 편안하게 홀딩시킨 다음, 이를 통하여 약물을 투여하고, 배설되는 변과 뇨를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 배뇨처리장치로써 쉽게 해결하여 관찰할 수 있어 실험동물을 편안하게 유도하면서 실험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배뇨 배출판의 수평바 상부에 영장류의 발을 올려놓고, 목부위를 수평상부판의 상부요입홈 내부에 위치시킨 다음, 이동요홈을 따라 상부홀딩판을 수평 이동하여 상부홀딩홈 및 상부요입홈 사이에 원형을 유지하고, 록킹볼트로서 원형을 유지시켜 영장류의 목을 직접적으로 홀딩하게 됨에 따라 영장류에 대한 불안감과 스트레스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영장류 채혈용 보정기구는 은 바닥면에 밀착되는 하부판과, 상기 하부판 상부 양측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부에 대응되게 만곡 안착홈이 구비된 보관대로 이루어진 하부베이스와; 상기 하부베이스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 되어 내부에 영장류의 몸통이 안착되는 원통형의 보정통과; 상기 보정통의 전방에 구비되어 영장류의 목을 홀딩하기 위한 목 홀딩장치로 구성된 영장류 채혈용 보정기구에 있어서, 상기 보정통은 후방 영역에 영장류를 넣기 위한 요입부가 형성되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외주연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베이스의 보관대 내,외측면에 밀착되어 전후방으로의 유동이 방지되는 유동방지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선행기술은, 영장류를 최대한 편안하게 보정 하여 짧은 시간 내에 채혈을 할 수 있어 실험동물에 대한 불안함과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채혈을 진행할 수 있어 실험동물을 보호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은 좁은 보정통 내부에 영장류를 넣은 다음, 보정통의 선단으로 영장류의 목부위를 노출시키고, 이에 홀딩보정편을 좌우로 이동시켜 목부위를 삽입시키고, 록킹수단으로서 고정시킴으로서 영장류의 목을 직접적으로 홀딩하게 됨에 따라 영장류에 대한 불안감과 스트레스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등록특허 10-0935332호(2010.01.06.) 등록특허 10-1003972호(2010.12.20.)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받침부재의 상부에 목에 목수갑이 채워진 영장류(원숭이)의 발을 안정되게 올려놓은 다음, 영장류의 양팔을 안정되게 결박하고, 목수갑을 목구속장치의 가이드레일을 통해 이동시켜 경사지게 회동된 회동레버에 결속하여 편안하게 보정한 상태에서 채혈을 할 수 있으며, 또한 발생되는 변과 뇨를 하방의 배뇨분리처리장치로서 위생적으로 분리하여 뇨를 채취할 수 있도록 구성한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하부에 이동바퀴가 구비된 하부수평마감판 상부 모서리에 고정되는 사각받침대 상부에 수직으로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하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수직기둥과; 상기 하부수평마감판 상부 영역의 수직기둥에 구비되어 영장류가 발이 받쳐지고, 변과 뇨가 하방으로 배출되는 안전받침부재와; 상기 안전받침부재 하부의 수직기둥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변과 뇨를 처리하기 위한 배뇨분리처리장치와; 상기 안전받침부재 상부 영역의 수직기둥에 구비되어 영장류의 양팔을 구속하기 위한 양팔 구속장치와; 상기 양팔 구속장치 후방 상부 영역의 수직기둥에 구비되어 영장류의 목을 구속하기 위한 목구속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전받침부재의 상부에 목에 목수갑이 채워진 영장류(원숭이)의 발을 안정되게 올려놓은 다음, 양팔 구속장치를 통해 결박끈으로서 영장류의 양팔을 안정되게 결박하고, 목수갑을 목구속장치의 가이드레일을 통해 결합하고, 최대한 편안한 상태에서 목수갑을 서서히 후방으로 이동시켜, 경사지게 회동된 회동레버에 결속시켜 편안하게 보정한 상태에서 채혈을 진행할 수 있으며, 또한 발생되는 변과 뇨를 하방의 배뇨분리처리장치로서 위생적으로 분리하여 뇨를 채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채혈 및 뇨 채취의 완료후 배뇨분리처리장치를 분리하여 잔류하고 있는 변과 뇨를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위생적으로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정면 및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의 목구속장치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의 목구속장치가 동작되기 전의 상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의 목구속장치가 동작되어 목수갑이 결속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정면 및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의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의 목구속장치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은 하부에 이동바퀴(11)가 구비된 하부수평마감판(10)과; 하부수평마감판(10) 상부 모서리에 고정되는 사각받침대(22) 상부에 수직으로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하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수직기둥(20)과; 하부수평마감판(10) 상부 영역의 수직기둥(20)에 구비되어 영장류가 발이 받쳐지고, 변과 뇨가 하방으로 배출되는 안전받침부재(30)와; 안전받침부재(30) 하부의 수직기둥(20)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변과 뇨를 처리하기 위한 배뇨분리처리장치(40)와; 안전받침부재(30) 상부 영역의 수직기둥(20)에 구비되어 영장류의 양팔을 구속하기 위한 양팔 구속장치(60)와; 양팔 구속장치(60) 후방 상부 영역의 수직기둥(20)에 구비되어 영장류의 목을 구속하기 위한 목구속장치(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전받침부재(30)는 하부수평마감판(10) 상부 영역의 수직기둥(20)에 동일 높이로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하부고정블록(32)과; 하부고정블록(32)의 전후면에 삽입 고정되는 수평연결봉(34)과, 수평연결봉(34) 사이에 등간격을 유지하여 고정되는 수평바(35)로 이루어진 안전받침대(36)로 구성된다.
상기 배뇨분리처리장치(40)는 안전받침대(36) 하부의 수직기둥(20) 전후면 사이에 마주보게 고정되고, 후면이 차단된 가이드홈(41a)을 갖는 측면가이드(42)(43)와; 측면가이드(42)(43)의 후면이 차단된 가이드홈(41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영장류의 배뇨를 분리배출 처리하기 위한 배뇨분리처리부재(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뇨분리처리부재(50)는 양단이 중앙 영역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사각전면판(51)과; 사각전면판(51)의 상부 양단에 후방으로 수평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측면가이드(42)(43)의 후면이 차단된 가이드홈(41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결합편(52)과; 사각전면판(51)의 하단에 전면에서 후면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뇨가 받쳐지도록 상부와 후면이 개방되는 경사뇨받이판(54)과; 경사뇨받이판(54) 내부에 안착되어 영장류에서 발생되는 뇨가 배출되는 다수의 뇨배출공(55a)이 형성되고, 변이 걸러지는 변받이판(55)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사각전면판(51)의 중앙 하단에는 내부의 뇨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밸브(56a)가 설치된다.
상기 양팔 구속장치(60)는 안전받침부재(30) 상부 영역의 수직기둥(20)에 동일 높이로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상부고정블록(61)과; 상부고정블록(61)의 전후면 사이에 연결 고정되는 한쌍의 상부수평고정봉(62)과; 상부수평고정봉(62)의 후면에 삽입 고정되는 후면고정블록(63)(64)과; 후면고정블록(63)(64)에 상부수평고정봉(62)과 교차되게 삽입 고정되고, 내측에 사각수직고정대(65)가 고정된 후면수평고정봉(66)과; 사각수직고정대(65)에 후면이 체결 고정되어 안전받침부재(30) 상부에 안착되는 영장동물의 양팔을 구속하기 위한 양팔구속부재(70)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팔구속부재(70)는 사각수직고정대(65)에 후면이 체결 고정되고, 외측 모서리가 만곡지게 형성되는 수직후면차단판(71)과; 수직후면차단판(71)의 하단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수평외측차단판(72)과; 수직후면차단판(71)과 수평외측차단판(72)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내측차단판(73)과; 수평외측차단판(72)과 수직내측차단판(73)에 형성되어 결박끈(미도시)으로서 영장동물의 양팔을 결박하기 위한 수평경사요홈(72a) 및 수직경사요홈(73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목구속장치(80)는 상부고정블록(61) 상부의 수직기둥(20)에 삽입 고정되는 후면고정블록(81)(82)과; 후면고정블록(81)(82) 사이에 수평으로 삽입 고정되는 후면연결수평봉(83)과; 후면연결수평봉(83)의 중앙 영역에 삽입 고정되는 후면중앙블록(84)과; 후면연결수평봉(83)과 교차되게 후면중앙블록(84) 하부에 삽입 고정되는 후면중앙연결봉(85)과; 후면중앙연결봉(85)의 전면에 고정되어 영장류의 목을 구속하기 위한 목구속수단(9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목구속수단(90)은 후면중앙연결봉(85)의 전면에 후면이 고정되는 사각차단편(91)과; 사각차단판(91) 상부에 하부가 체결 고정되고, 전면으로 개방된 수평유입구(92a)가 형성되는 목유입시트(92)와; 목유입시트(92) 하부에 마주보게 체결 고정되어 영장류 목에 채워지는 목수갑(1)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요홈(93a)이 형성된 가이드레일(94)(95)과; 사각차단편(91) 전면에 수직으로 체결 고정되고, 중앙 영역에 상부가 개방된 수직안내장홈(96a)이 형성되는 수직고정판(96)과; 수직고정판(96)의 후면에 체결 고정되어 수직안내장홈(96a)의 1/2이 차단되고, 파지요부(105a)를 갖는 하부가 개방되며, 내,외측간격(101)(102)을 유지하여 동일 높이로 사각돌부(103)(104)가 형성되는 사각요홈(105)이 전면에 형성된 후면고정판(100)과; 수직고정판(96)의 수직안내장홈(96a) 하부와 후면고정판(100)의 사각요홈(105) 내부에 구비되는 회동부재(120)로서 하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에 목수갑(1)이 결속되는 결속턱(111)이 형성되며, 하단에 첨단부(112)가 형성되는 회동레버(110)와; 후면고정판(100)의 사각요홈(105)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레버(110)의 회동각도를 유지시키고, 해제시키기 위한 회동유지 및 해제부재(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부재(120)는 수직고정판(96)의 수직안내장홈(96a) 후면 하부 양측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반원형외측수평홈(121)과; 후면고정판(100)을 구성하는 사각요홈(105) 내부의 사각돌부(103)(104) 전면에 반원형외측수평홈(121)과 대향되게 형성된 반원형내측수평홈(122)과; 회동레버(110) 하부에 형성되는 핀삽입공(123)에 양측이 돌출 삽입되어 반원형외측수평홈(121) 및 반원형내측수평홈(122)에 삽입 지지되는 회동핀(124)과; 수직고정판(96) 후면의 수직안내장홈(96a) 하단에 형성된 원형요홈(125)에 전단이 삽입 안착되고, 사각돌부(103)(104) 내측간격(101)의 하닥면에 후단이 안착되며, 중앙 영역에 회동레버(110)의 첨단부(112)가 삽입되어 수직안내장홈(96a)의 전면으로 돌출 경사지게 회동레버(1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수평지지스프링(12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유지 및 해제부재(130)는 후면고정판(100)의 외측간격(10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각돌부(103)(104)가 결합되는 요입구(131)가 형성되는 수직이동편(132)과; 요입구(131) 상부의 수직이동편(132)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수평결합홈(133)에 양단이 결합되고, 양측이 수평결합홈(133)과 동일 높이로 사각돌부(103)(104)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단(134)에 안착되며, 회동레버(110) 후면 하부에 돌출 형성되는 경사돌부(135) 전면의 걸림요홈(136)에 중앙 영역이 이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레버(110)의 회동각도를 유지시키는 긴수평핀(137)과; 사각요홈(105) 상부 양측의 후면고정판(100)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조립요홈(138)과; 조립요홈(138)에 수직으로 각각 삽입되어 수직이동편(132)의 이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수직압축스프링(139)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영장류 보정틀을 사용하여 채혈 및 뇨 채취을 하기 위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영장류 케이지 내부에서 사육중인 영장류(원숭이)의 목에 목수갑(1)을 채운 다음, 영장류를 하부수평마감판(10) 상부 영역의 수직기둥(20)에 구비되는 안전받침부재(30)를 구성하는 안전받침대(36)의 수평바(35)에 안정되게 올려놓게 된다.
그 다음으로 안전받침부재(30) 상부 영역의 수직기둥(20)에 구비되는 양팔 구속장치(60)로서 영장류의 양팔을 구속하게 된다.
이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서와 같이 안전받침대(36)의 수평바(35)에 안정되게 올려진 영장류의 양팔을 양팔구속부재(70)를 구성하는 수직후면차단판(71), 수평외측차단판(72) 및 수직내측차단판(73)에 올려놓은 다음, 수평외측차단판(72)의 수평경사요홈(72a) 및 수직내측차단판(73)의 수직경사요홈(73a)을 통하여 결박끈(미도시)으로서 양팔을 안정되게 결박시키게 된다.
그 다음으로는 도 5에서와 같이, 양팔 구속장치(60) 후방 상부 영역의 수직기둥(20)에 구비된 목구속장치(80)의 목구속수단(90)으로서 영장류의 목을 안정되게 구속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목구속수단(90)에 대한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목구속수단(90)을 구성하는 가이드레일(94)(95)의 이동요홈(93a)에 영장류(원숭이)의 목에 채워진 목수갑(1)을 결합시키고, 회동레버(110)를 외측으로 회동시킨 다음, 목수갑(1)을 후방으로 서서히 이동시키면서 목수갑(1)을 회동레버(110) 상부의 결속턱(111)에 결속시키면, 영장류의 목이 안정되게 구속된다.
이와 같은 회동레버(110)에 대한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회동레버(110)를 외측으로 회동시키기 위해서는 도 6a 및 도 7a에서와 같이 후면고정판(100)의 파지요부(105a)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 수직이동편(132)의 하단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수직이동편(132)이 후면고정판(100)의 외측간격(102)을 따라 수직지지스프링(139)에 의해 탄력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평결합홈(133)에 양단이 결합되고, 사각돌부(103)(104) 상부에 형성된 안착단(134)에 양측이 안착되는 긴수평핀(137)이 상부로 직선 이동하게 됨에 따라, 도 6b 및 도 7b에서와 같이 긴수평핀(137)의 중앙 영역이, 수평압축스프링(125)의 중앙 영역에 첨단부(112)로서 삽입되어 지지되는 회동레버(110) 후면 하부에 돌출 형성된 경사돌부(135) 전면의 걸림요홈(136)으로부터 이탈하게 됨에 따라, 회동레버(110)가 수평지지스프링(126)의 탄성력과 회동핀(124)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후, 상방으로 이동시키던 수직이동편(132)을 놓게 되면, 수직지지스프링(139)의 복원력으로서 긴수평핀(137)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수평지지스프링(126)의 복원력으로써 회동레버(110)가 회동핀(124)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회동레버(110)의 경사돌부(135)에 걸리게 됨에 따라 회동레버(110)의 회동각도가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동레버(11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회동레버(110)가 회동핀(124)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회동레버(110)의 경사돌부(135)로부터 긴수평핀(137)이 벗어나게 되어 수직압축스프링(139)의 복원력으로서 하방으로 이동하여 걸림요홈(136)에 걸리게 됨에 따라 회동레버(110)가 원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양팔 구속장치(60) 및 목구속장치(80)로서 영장류의 양팔과 목을 안정되게 구속한 상태에서 채혈을 하거나, 뇨를 채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영장류의 뇨 채취에 대한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안전받침대(36)의 수평바(35)에 발이 안정되게 받쳐진 영장류에서 발생되는 배뇨(변 및 오줌)가 수평바(35)를 통과하여, 하방의 배뇨분리처리장치(4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배뇨분리처리장치(40)의 배뇨분리처리부재(50)를 구성하는 변받이판(55)으로 공급된 변은, 그대로 받쳐지게 되고, 뇨는 뇨배출공(55a)을 통과하여 하방의 경사뇨받이판(54)으로 공급되어 배출밸브(56a)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뇨를 채취하여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한편, 영장류에 대한 채혈 및 뇨 채취이 완료되면, 수평외측차단판(72)의 수평경사요홈(72a) 및 수직내측차단판(73)의 수직경사요홈(73a)을 통하여 결박된 결박끈을 해제하여 양팔의 구속을 해제한 다음, 회동레버(110)를 외측으로 회동시켜 회동레버(110)의 회동 각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회동레버(110) 상부의 결속턱(111)으로부터 목수갑(1)의 결속을 해제시키고, 목수갑(1)을, 가이드레일(94)(95)의 이동요홈(93a)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시켜 보정틀로부터 이탈한 다음 케이지 내부로 재사육시키게 된다.
삭제
이와 같이 채혈 및 뇨 채취이 완료된 후, 배뇨분리처리부재(50)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안전받침대(36) 하부의 수직기둥(20) 전후면 사이에 마주보게 고정된 측면가이드(42)(43)의 가이드홈(41a)으로부터 배뇨분리처리부재(50)의 수평결합편(52)(53)을 외측으로 분리하여, 변받이판(55)에 받쳐지는 변을 처리하고, 내부를 간편하게 청소를 실시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 가능한 범위까지 그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목수갑 10 : 하부수평마감판
20 : 수직기둥 22 : 사각받침대
30 : 안전받침부재 40 : 배뇨분리처리장치
60 : 양팔 구속장치 61 : 상부고정블록
62 : 상부수평고정봉 62,63 : 후면고정블록
65 : 사각수직고정대 66 : 후면수평고정봉
70 : 양팔구속부재 71 : 수직후면차단판
72 : 수평외측차단판 73 : 수직내측차단판
72a : 수평경사요홈 73a : 수직경사요홈
80 : 목구속장치 81,82 : 후면고정블록
83 : 후면연결수평봉 84 : 후면중앙블록
85 : 후면중앙연결봉 90 : 목구속수단
91 : 사각차단편 92 : 목유입시트
94,95 : 가이드레일 93a : 이동요홈
96 : 수직고정판 96a : 수직안내장홈
100 : 후면고정판 103,104 : 사각돌부
105a : 파지요부 110 : 회동레버
111 : 결속턱 112 : 첨단부
120 : 회동부재 121 : 반원형외측수평홈
122 : 반원형내측수평홈 124 : 회동핀
126 : 수평지지스프링 130 : 회동유지 및 해제부재
132 : 수직이동편 134 : 안착단
135 : 경사돌부 136 : 걸림요홈
137 : 긴수평핀 139 : 압축스프링

Claims (7)

  1. 하부에 이동바퀴(11)가 구비된 하부수평마감판(10) 상부 모서리에 고정되는 사각받침대(22) 상부에 수직으로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하단이 고정되는 다수의 수직기둥(20)과;
    상기 하부수평마감판(10) 상부 영역의 수직기둥(20)에 구비되어 영장류가 발이 받쳐지고, 변과 뇨가 하방으로 배출되는 안전받침부재(30)와;
    상기 안전받침부재(30) 하부의 수직기둥(20)에 구비되어 배출되는 변과 뇨를 처리하기 위한 배뇨분리처리장치(40)와;
    상기 안전받침부재(30) 상부 영역의 수직기둥(20)에 구비되어 영장류의 양팔을 구속하기 위한 양팔 구속장치(60)와;
    상기 양팔 구속장치(60) 후방 상부 영역의 수직기둥(20)에 구비되어 영장류의 목을 구속하기 위한 목구속장치(80)로 구성되는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에 있어서,
    상기 상기 목구속장치(80)는
    상기 양팔 구속장치(60)를 구성하는 상부고정블록(61) 상부의 수직기둥(20)에 삽입 고정되는 후면고정블록(81)(82)과;
    상기 후면고정블록(81)(82) 사이에 수평으로 삽입 고정되는 후면연결수평봉(83)과;
    상기 후면연결수평봉(83)의 중앙 영역에 삽입 고정되는 후면중앙블록(84)과;
    상기 후면연결수평봉(83)과 교차되게 후면중앙블록(84) 하부에 삽입 고정되는 후면중앙연결봉(85)과;
    상기 후면중앙연결봉(85)의 전면에 고정되어 영장류의 목을 구속하기 위한 목구속수단(9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팔 구속장치(60)는
    상기 안전받침부재(30) 상부 영역의 수직기둥(20)에 동일 높이로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상부고정블록(61)과;
    상기 상부고정블록(61)의 전후면 사이에 연결 고정되는 한쌍의 상부수평고정봉(62)과;
    상기 상부수평고정봉(62)의 후면에 삽입 고정되는 후면고정블록(63)(64)과;
    상기 후면고정블록(63)(64)에 상부수평고정봉(62)과 교차되게 삽입 고정되고, 내측에 사각수직고정대(65)가 고정되는 후면수평고정봉(66)과;
    상기 사각수직고정대(65)에 후면이 체결 고정되어 안전받침부재(30) 상부에 안착되는 영장동물의 양팔을 구속하기 위한 양팔구속부재(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양팔구속부재(70)는
    상기 사각수직고정대(65)에 후면이 체결 고정되고, 외측 모서리가 만곡지게 형성되는 수직후면차단판(71)과;
    상기 수직후면차단판(71)의 하단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수평외측차단판(72)과;
    상기 수직후면차단판(71) 및 수평외측차단판(72) 사이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내측차단판(73)과;
    상기 수평외측차단판(72)과 수직내측차단판(73)에 형성되어 결박끈으로서 영장동물의 양팔을 결박하기 위한 수평경사요홈(72a) 및 수직경사요홈(73a)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구속수단(90)은
    상기 후면중앙연결봉(85)의 전면에 후면이 고정되는 사각차단편(91)과;
    상기 사각차단편(91) 상부에 하부가 체결 고정되고, 전면으로 개방된 수평유입구(92a)가 형성되는 목유입시트(92)와;
    상기 목유입시트(92) 상부에 마주보게 체결 고정되어 영장류 목에 채워지는 목수갑(1)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요홈(93a)이 형성된 가이드레일(94)(95)과;
    상기 사각차단편(91) 전면에 수직으로 체결 고정되고, 중앙 영역에 상부가 개방된 수직안내장홈(96a)이 형성되는 수직고정판(96)과;
    상기 수직고정판(96)의 후면에 체결 고정되어 수직안내장홈(96a)의 1/2이 차단되고, 파지요부(105a)를 갖는 하부가 개방되며, 내,외측간격(101)(102)을 유지하여 동일 높이로 사각돌부(103)(104)가 형성되는 사각요홈(105)이 전면에 형성된 후면고정판(100)과;
    상기 수직고정판(96)의 수직안내장홈(96a) 하부와 후면고정판(100)의 사각요홈(105) 내부에 구비되는 회동부재(120)로서 하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에 목수갑(1)이 결속되는 결속턱(111)이 형성되며, 하단에 첨단부(112)가 형성되는 회동레버(110)와;
    상기 후면고정판(100)의 사각요홈(105)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동레버(110)의 회동을 유지시키고 해제시키기 위한 회동유지 및 해제부재(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120)는
    상기 수직고정판(96)의 수직안내장홈(96a) 후면 하부 양측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반원형외측수평홈(121)과;
    상기 후면고정판(100)을 구성하는 사각요홈(105) 내부의 사각돌부(103)(104) 전면에 반원형외측수평홈(121)과 대향되게 형성되는 반원형내측수평홈(122)과;
    상기 회동레버(110) 하부에 형성되는 핀삽입공(123)에 양측이 돌출되게 삽입되어 반원형외측수평홈(121) 및 반원형내측수평홈(122)에 삽입 지지되는 회동핀(124)과;
    상기 수직고정판(96) 후면의 수직안내장홈(96a) 하단에 형성된 원형요홈(125)에 전단이 삽입 안착되고, 사각돌부(103)(104) 내측간격(101)의 하닥면에 후단이 안착되며, 중앙 영역에 회동레버(110)의 첨단부(112)가 삽입되어 회동레버(1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수평지지스프링(12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을 하는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지 및 해제부재(130)는
    상기 후면고정판(100)의 외측간격(10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각돌부(103)(104)가 결합되는 요입구(131)가 형성된 수직이동편(132)과;
    상기 요입구(131) 상부의 수직이동편(132)에 대향되게 형성되는 수평결합홈(133)에 양단이 결합되고, 양측이 수평결합홈(133)과 동일 높이로 사각돌부(103)(104)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단(134)에 안착되며, 회동레버(110) 후면 하부에 돌출 형성된 경사돌부(135) 전면의 걸림요홈(136)에 중앙 영역이 이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긴수평핀(137)과;
    상기 사각요홈(105) 상부 양측의 후면고정판(100)에 연통되게 형성되는 조립요홈(138)과;
    상기 조립요홈(138)에 수직으로 각각 삽입되어 수직이동편(132)의 이동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수직압축스프링(139)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
KR1020220072239A 2022-06-14 2022-06-14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 KR102492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239A KR102492882B1 (ko) 2022-06-14 2022-06-14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2239A KR102492882B1 (ko) 2022-06-14 2022-06-14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882B1 true KR102492882B1 (ko) 2023-01-27

Family

ID=85101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2239A KR102492882B1 (ko) 2022-06-14 2022-06-14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88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332B1 (ko) 2009-08-31 2010-01-06 계룡과학주식회사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
KR101003972B1 (ko) 2009-08-31 2010-12-30 계룡과학주식회사 영장류 채혈용 보정기구
KR20110006031A (ko) * 2009-07-13 2011-01-20 다연산업 주식회사 보정틀 고정대
KR101348825B1 (ko) * 2012-07-24 2014-01-08 한국화학연구원 영장류에 대한 나노 입자 흡입 독성 평가 시험용 노출 챔버 장치
KR20190109126A (ko) * 2018-03-16 2019-09-25 경기도 가축 자세 보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031A (ko) * 2009-07-13 2011-01-20 다연산업 주식회사 보정틀 고정대
KR100935332B1 (ko) 2009-08-31 2010-01-06 계룡과학주식회사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
KR101003972B1 (ko) 2009-08-31 2010-12-30 계룡과학주식회사 영장류 채혈용 보정기구
KR101348825B1 (ko) * 2012-07-24 2014-01-08 한국화학연구원 영장류에 대한 나노 입자 흡입 독성 평가 시험용 노출 챔버 장치
KR20190109126A (ko) * 2018-03-16 2019-09-25 경기도 가축 자세 보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odruff-Pak et al. A nicotinic agonist (GTS-21), eyeblink classical conditioning and nicotinic receptor binding in rabbit brain
Jensen et al. Spinal monoamine and opiate systems partly mediate the antinociceptive effects produced by glutamate at brainstem sites
Ohno et al. Blockade of hippocampal nicotinic receptors impairs working memory but not reference memory in rats
Sprowles et al. Perinatal exposure to the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citalopram alters spatial learning and memory, anxiety, depression, and startle in Sprague-Dawley rats
KR100970170B1 (ko) 설치류용 뇨 대사 케이지
Choi et al. Lack of CCR5 modifies glial phenotypes and population of the nigral dopaminergic neurons, but not MPTP-induced dopaminergic neurodegeneration
KR100770600B1 (ko) 원숭이용 케이지
US10206905B2 (en) Use of composition for preparing a medicament for treatment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US4930452A (en) Cattle stanchion
KR102492882B1 (ko)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
EP0505173A1 (en) Animal headgate with an automatic locking mechanism
Boasen et al. Neonatal stress or morphine treatment alters adult mouse conditioned place preference
Sereni et al. Developmental pharmacology
KR100935332B1 (ko) 영장류용 배변·배뇨 채취기
Curzon et al. Effect of intraventricular injections of dihydro-beta-erythroidine (DH, β E) on spatial memory in the rat
US4771737A (en) Adjustable headlock usable with a livestock pen
USRE34232E (en) Cattle stanchion
JPH1175598A (ja) サル用飼育ケージ及びサル捕獲具
US4274366A (en) Pig restraining device
CN214596089U (zh) 用于犬类试验动物注射给药的保定装置
Ryan et al. Prenatal exposure to antiadrenergic antihypertensive drugs: effects on neurobehavioral development and the behavioral consequences of enriched rearing
US4140082A (en) Animal holder
KR200406289Y1 (ko) 도그용 케이지
CN211430513U (zh) 生猪养殖用母猪产床
Tavares et al. Neural connections between prosencephalic structures involved in vasopressin rel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