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9126A - 가축 자세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가축 자세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9126A
KR20190109126A KR1020180031093A KR20180031093A KR20190109126A KR 20190109126 A KR20190109126 A KR 20190109126A KR 1020180031093 A KR1020180031093 A KR 1020180031093A KR 20180031093 A KR20180031093 A KR 20180031093A KR 20190109126 A KR20190109126 A KR 20190109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vestock
correction
correction fram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8057B1 (ko
Inventor
정찬성
김영일
정상현
변희정
이승철
권혁철
조영래
Original Assignee
경기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기도 filed Critical 경기도
Priority to KR1020180031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057B1/ko
Publication of KR20190109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1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 A01K1/0613Devices for immobilisation or restraint of animals, e.g. chu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정틀 내부공간으로 이동된 가축을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보정틀 내부에 수용된 가축의 체고와 체장의 조절을 통해 보다 다양한 가축의 검사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축 자세 보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축 자세 보정장치는 미리 설정된 높이방향과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가축이 내부로 위치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보정틀, 보정틀의 길이방향 양측에 선택적으로 구비되어 개폐됨에 따라 가축의 출입을 제한하는 출입부, 그리고 보정틀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가축의 체고 또는 체장 길이에 대응하여 탈부착 구조로 결합되어 보정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보정틀의 수용공간에 진입된 가축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보정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축 자세 보정장치{LIVESTOCK POSITION MODIF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가축 자세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축이 사육되는 축사에서 사용되는 보정틀은 거세를 할 때나 사육과정에 발생되는 각종 질병이나 외상의 진찰 및 치료작업을 할 때 등 가축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다. 가축의 치료를 위해 주사를 놓거나 투약 및 관리시 가축에게 고통을 주게 되므로 가축들은 크게 놀라서 큰 힘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보정틀은 가축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면서, 가축의 치료 및 관리가 용이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보정틀이 단순하게 제작됨에 따라 가축의 움직임이 가능하여 치료 및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가축의 체고 및 체장에 따라 조절이 제한되어 보정틀에 수용된 가축의 치료 및 관리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또한, 보정틀 내부로 가축이 수용된 상태에서 체장이 조절되지 않은 경우, 가축이 뒷다리로 작업자에게 발길질을 가할 경우 작업자의 부상에 대한 위험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정틀 내부공간으로 이동된 가축을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보정틀 내부에 수용된 가축의 체고와 체장의 조절을 통해 보다 다양한 가축의 검사를 안전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축 자세 보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축 자세 보정장치는 미리 설정된 높이방향과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가축이 내부로 위치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보정틀, 보정틀의 길이방향 양측에 선택적으로 구비되어 개폐됨에 따라 가축의 출입을 제한하는 출입부, 그리고 보정틀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가축의 체고 또는 체장 길이에 대응하여 탈부착 구조로 결합되어 보정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보정틀의 수용공간에 진입된 가축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보정 조절부를 포함한다.
보정틀은 미리 설정된 제1 높이를 갖고 제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보정틀, 그리고 제1 보정틀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 높이보다 더 높은 제2 높이를 갖고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보정틀을 포함하며, 제1 보정틀과 제2 보정틀은 서로 동일한 폭과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보정틀과 제2 보정틀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보정틀은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틀을 형성하는 제1 틀부재, 그리고 보정틀의 양측에서 높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1 틀부재와 연결되어 측면틀을 형성하는 제2 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틀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틀을 형성하는 제3 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정틀은 중공형의 각재 또는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보정틀은 제2 틀부재의 높이방향 하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수용공간에 위치된 가축의 측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측면 가림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출입부는 제1 보정틀에 구비되는 제1 출입부, 그리고 제2 보정틀에 구비되는 제2 출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출입부는 제2 보정틀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미리 설정된 제1 높이로 회동 결합되어 가축이 제2 보정틀의 내부 진입을 안내하도록 개폐되며, 닫힘상태에서 수용공간에 위치된 가축의 후방 움직임을 제한하는 주 진입부, 그리고 주 진입부의 상측에서 미리 설정된 제2 높이로 회동 결합되어 가축이 제2 보정틀의 내부 진입을 안내하도록 개폐되며, 닫힘상태에서 수용공간에 위치된 가축의 후방 진료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보조 진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정틀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미리 설정된 제1 높이로 회동 결합되어 가축이 제2 보정틀의 내부에서 외부로 진출을 안내하도록 개폐되며, 닫힘상태에서 수용공간에 위치된 가축의 전방 움직임을 제한하는 진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진입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제1 장착홈이 내측을 향하며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제2 장착홈이 내측을 향하며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프레임과 대면하는 제2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제3 장착홈이 내측을 향하며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3 프레임,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 장착홈과 제2 장착홈, 그리고 제3 장착홈 중 적어도 2개의 장착홈에 양측이 끼워져 안착되는 보정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제3 프레임은 길이방향의 수직한 절단면이 "ㄷ"자형의 각형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정패널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보정 조절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제1 조절구를 갖는 제1 조절 프레임, 제1 조절 프레임에서 선택된 제1 조절구에 탈부착 결합되어 가축의 체고 또는 체장 길이를 조절하는 제1 조절부, 복수의 제1 조절구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제2 조절구를 갖고 제1 조절 프레임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제2 조절 프레임, 그리고 제2 조절 프레임에서 선택된 제2 조절구에 탈부착 결합되어 가축의 체고 또는 체장 길이를 조절하는 제2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부와 제2 조절부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절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이 개구되어 일부 구간까지 중공형의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타단에 제1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제1 조절부재,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일단이 제1 조절부재의 삽입공간에 삽입되며, 타단에 제1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제2 걸림돌기가 구비된 제2 조절부재, 그리고 제1 조절부재의 삽입공간에서 제1 조절부재와 제2 조절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외력에 따라 제2 조절부재의 삽입길이를 조절하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부재는 중공형의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삽입부, 삽입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그리고 삽입부와 지지부를 구분하며, 탄성부의 길이방향 일단을 지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틀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가축의 꼬리에 연결되는 로프의 감김과 풀림을 안내하여 가축의 꼬리를 들어올림과 내림동작을 안내하는 꼬리 상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정틀의 하부에 결합되어 보정틀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는 높이방향의 길이가 조절되는 높이 조절부, 그리고 높이 조절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보정틀의 이동을 안내하는 바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정 조절부가 가축의 체장을 조절하거나 체고를 조절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보정 조절부를 이용하여 가축의 체장 또는 체고를 보정틀에 맞게 보다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정틀 내부공간에 이동된 가축을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보정틀 내에 수용된 가축의 진단 및 검사를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축 자세 보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정틀에 보정 조절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정 조절부가 결합되는 조절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정 조절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정틀에 말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진입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보정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보정틀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보정틀의 측면에서 보정 조절부가 결합되는 조절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축 자세 보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정틀에 보정 조절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정 조절부가 결합되는 조절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정 조절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정틀에 말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축 자세 보정장치는 보정틀(10), 출입부, 그리고 보정 조절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축은 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보정틀(10)에 수용되는 가축은 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여러 가축이 보정틀(10)에 수용될 수 있다. 보정틀(10)에 말이 수용되는 것을 가정하면, 마종은 역마, 웜블러드, 한라마, 하프링거, 웰시포니, 셔틀랜드포니, 미니어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축 자세 보정장치는 승용마의 인공수정 및 초음파 난소 검사 등 번식진단을 할 수 있으며, 씨암말의 안전을 유지하며, 말의 진료와 초음파 검사 진행을 할 수 있다.
보정틀(10)은 미리 설정된 높이방향과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가축이 내부로 위치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보정틀(10)은 가축이 진료 또는 치료를 받기 위해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직육면체 형태의 수용공간을 가질 수 있다. 보정틀(10)은 가축이 보정틀(10)의 수용공간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해당되는 위치에서 각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정틀(10)의 프레임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정틀(10)은 가축이 수용공간에 위치할 수 있는 직육면체 형태를 갖도록 좌측 프레임, 우측 프레임, 전단 프레임 및 후단 프레임이 고정 결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바닥면에는 보정틀(10)을 지지할 수 있는 사각 플레이트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보정틀(10)에는 로프 고정장치, 고리(160), 거치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프고정장치는 로프를 묶을 수 있도록 사각고리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고리(160)는 진료시 수액, 닝겔병 등을 부착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거치대(170)는 초음파 진단 거치대를 포함한다. 거치대(170)는 초음파 진단기를 거치할 수 있다. 거치대(170)는 초음파 진단기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가축의 난소발육 확인, 수정 적기 판단, 임신진단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보정틀(10)은 제1 보정틀(100), 제2 보정틀(200)을 포함한다. 제1 보정틀(100)은 미리 설정된 제1 높이를 갖고 제1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제2 보정틀(200)은 제1 보정틀(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제1 높이보다 더 높은 제2 높이를 갖고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보정틀(100)과 제2 보정틀(200)은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보정틀(100)과 제2 보정틀(200)에서 서로 중복되는 프레임이 공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참조번호 224A와 같이 제1 보정틀(100)과 제2 보정틀(200)에 각각 공유되는 프레임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보정틀(100)과 제2 보정틀(200)은 서로 동일한 폭과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보정틀(100)과 제2 보정틀(200)은 일부 형상의 차이점을 제외하고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질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1 보정틀(10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제2 보정틀(200)의 경우를 주로 설명한다.
제2 보정틀(200)은 제1 틀부재(220), 제2 틀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보정틀(200)은 중공형의 각재 또는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보정틀(200)의 정면과 후면은 외경이 100mm인 강판 파이프로 형성할 수 있으며, 측면은 외경이 50mm 강판 파이프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틀부재(220)는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틀을 형성한다. 제2 틀부재(222)는 제2 보정틀(200)의 양측에서 높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제1 틀부재(220)와 연결되어 측면틀을 형성한다. 제2 틀부재(222)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틀을 형성하는 제3 틀부재(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틀부재(224)는 필요에 따라 받침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보정틀(200)은 제2 틀부재(222)의 높이방향 하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수용공간에 위치된 가축의 측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측면 가림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면 가림부재(240)는 대나무 고압축 목재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출입부는 보정틀(10)의 길이방향 양측에 선택적으로 구비되어 개폐됨에 따라 가축의 출입을 제한한다. 출입부는 가축이 보정틀(1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보정틀(1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개폐된다. 출입부의 일측은 보정틀(10)에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은 보정틀(10)에 고정될 수 있다. 출입부는 제1 출입부, 그리고 제2 출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부는 대나무 고압축 목재합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대나무 고압축 목재합판의 두께는 20mm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출입부는 제1 보정틀(100)에 구비된다. 제2 출입부는 제2 보정틀(200)에 구비된다. 제2 출입부는 주 진입부(210), 그리고 보조 진입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출입부와 제2 출입부는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출입부는 보조 진입부(212)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차이점 이외에 제1 출입부와 제2 출입부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출입부와 제2 출입부는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질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2 출입부의 경우만을 설명한다.
주 진입부(210)는 제2 보정틀(200)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미리 설정된 제1 높이로 회동 결합되어 가축이 제2 보정틀(200)의 내부 진입을 안내하도록 개폐되며, 닫힘상태에서 수용공간에 위치된 가축의 후방 움직임을 제한한다. 여기서, 제1 높이는 바닥면에서 가축의 다리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높이는 가축이 마종임을 고려하여 바닥면부터 700mm 내지 800mm의 높이로 설정할 수 있다. 주 진입부(210)를 보조 진입부(212) 보다 낮게 설치하여 가축의 다리부분을 커버함으로써 가축의 뒷발질로부터 보정틀(10) 외부에 위치한 작업자의 안전을 유지할 수 있다.
보조 진입부(212)는 주 진입부(210)의 상측에서 미리 설정된 제2 높이로 회동 결합되어 가축이 제2 보정틀(200)의 내부 진입을 안내하도록 개폐되며, 닫힘상태에서 수용공간에 위치된 가축의 후방 진료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절한다. 여기서, 제2 높이는 주 진입부(210)의 상부에서 가축의 둔부 일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높이는 바닥면부터 1300mm 내지 1400mm의 높이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보정틀(200)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미리 설정된 제1 높이로 회동 결합되어 가축이 제2 보정틀(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진출을 안내하도록 개폐되며, 닫힘상태에서 수용공간에 위치된 가축의 전방 움직임을 제한하는 진출부(21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진출부(210a)를 더 구비함으로써 보정 조절부와 함께 가축의 움직임을 이중으로 제한할 수 있어 수용공간에 위치된 가축을 더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가축이 제2 보정틀(200)의 수용공간에서 외부로 진출할 경우 진입방향으로 후진하는 것이 아니라 진출부(210a)를 통해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가축을 쉽게 외부로 진출시킬 수 있다.
한편, 출입부는 타측의 고정구조에서 잠금부(2160)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2160)는 출입부의 타측에 결합될 수 있다. 잠금부(2160)는 내부에 탄성부(3110)가 구비되어 잡아당기거나 다시 원래 위치로 복원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잠금부(2160)에 대응하는 프레임에는 잠금부(2160)의 일단이 이탈 또는 삽입되도록 고정구멍이 구비되어 출입부를 열림상태 또는 닫힘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보정 조절부는 보정틀(10)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가축의 체고 또는 체장 길이에 따라 탈부착 구조로 결합되어 보정틀(10)의 수용공간에 진입된 가축이 보정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것을 제한한다. 즉, 보정 조절부는 가축의 체고 또는 체장 길이에 따라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탈부착 가능하다. 보정 조절부는 조절 프레임(230)과 조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조절 프레임(230)은 제1 조절 프레임(232), 제2 조절 프레임(234)을 포함할 수 있고, 조절부(300)는 제1 조절부(310), 그리고 제2 조절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 프레임(232)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제1 조절구(232a)를 갖는다. 제1 조절부(310)는 제1 조절 프레임(232)에서 선택된 제1 조절구(232a)에 탈부착 결합되어 가축의 체고 또는 체장 길이에 대응하여 가축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장착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2 조절 프레임(234)은 복수의 제1 조절구(232a)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제2 조절구(234a)를 갖고 제1 조절 프레임(232)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구비된다. 제2 조절부(320)는 제2 조절 프레임(234)에서 선택된 제2 조절구(234a)에 탈부착 결합되어 가축의 체고 또는 체장 길이에 대응하여 가축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장착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1 조절부(310)와 제2 조절부(320)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조절부(310)와 제2 조절부(320)는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질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1 조절부(310)의 경우를 주로 설명한다. 제1 조절부(310)는 제1 조절부재(3102), 제2 조절부재(3112), 그리고 탄성부(3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부재(3102)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이 개구되어 일부 구간까지 중공형의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타단에 제1 걸림돌기(3102a)가 구비된다. 제1 조절부재(3102)는 중공형의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삽입부(3104), 삽입부(3104)를 지지하는 지지부, 그리고 삽입부(3104)와 지지부를 구분하며, 탄성부(3110)의 길이방향 일단을 지지하는 걸림부(3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부재(3102)는 지름이 48.6mm인 강관 파이프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걸림돌기(3102a)는 길이 19mm의 환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조절부재(3112)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일단이 제1 조절부재(3102)의 삽입공간에 삽입되며, 타단에 제1 걸림돌기(3102a)와 대응되는 제2 걸림돌기(3112a)가 구비된다. 제2 조절부재(3112)는 지름이 42.2mm인 강관 파이프로 형성할 수 있다. 제2 걸림돌기(3112a)는 길이 19mm의 환봉으로 형성할 수 있다.
탄성부(3110)는 제1 조절부재(3102)의 삽입공간에서 제1 조절부재(3102)와 제2 조절부재(3112) 사이에 개재되어 외력에 따라 제2 조절부재(3112)의 삽입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탄성부(3110)는 외력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수축 및 복원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부(310)의 길이는 제1 조절부재(3102)의 삽입부(3104)에 삽입되는 제2 부재의 삽입길이에 따라 다르게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절부재(3102)의 삽입부(3104)에 탄성부(3110)가 끼워진 상태에서 제2 조절부재(3112)의 일단이 삽입되면서, 탄성부(3110)를 가압하게 된다. 탄성부(3110)의 가압이 완료되어 더 이상 제1 조절부재(3102)가 삽입되지 않는 상태가 제1 조절부(310)의 최단길이가 된다. 즉, 제1 조절부재(3102)의 삽입부(3104)에 제2 조절부재(3112)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조절부재(3112)에 계속해서 삽입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제1 조절부(310)의 길이는 점점 짧아지는 방향으로 조절된다. 이러한 상태를 적절하게 조절하면서 제1 조절부(31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조절부(310)가 장착될 해당 위치에서 제1 조절부재(3102)의 제1 걸림돌기(3102a)와 제2 조절부재(3112)의 제2 걸림돌기(3112a)를 각각의 제1 조절구(232a) 또는 제2 조절구(234a)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조절 프레임(230)에 구비되는 조절구는 측면 가림부재(240)에도 적절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조절부(310)가 장착될 해당 위치에서 제1 조절부재(3102)의 제1 걸림돌기(3102a)와 제2 조절부재(3112)의 제2 걸림돌기(3112a)를 측면 가림부재(240)에 구비된 각각의 조절구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측면 가림부재(240)에 조절구가 구비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체고가 작은 가축의 움직임도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축 자세 보정장치는 가축이 보정장치의 보정틀(10) 내부로 진입하여 수용공간에 위치되면 보정 조절부와 출입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가축을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축의 진료 또는 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 가축의 진료 또는 치료가 완료되면 보정틀(10)의 진행 방향에 따라 전진시켜 외부로 진출시킴으로써, 가축이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진료 또는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승용마용 보정틀의 산업화와 실용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인공수정 및 진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보정틀(10) 내에 수용된 승용마의 인공수정 및 번식진단을 하는 경우 승용마의 심한 거부반응을 보이는 경우, 인공 수정사 또는 수의사가 번식검사를 하기 위해서는 시술자 및 씨암말의 안전을 위해서 외음부와 항문관찰에 편리할 수 있도록 꼬리의 위치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조 진입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보조 진입부(212)는 제1 프레임(2120), 제2 프레임(2130), 제3 프레임(2140), 그리고 보정패널(2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2120)은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제1 장착홈이 내측을 향하며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 프레임(2130)은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제2 장착홈이 내측을 향하며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프레임(2120)과 대면한다. 제3 프레임(2140)은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제3 장착홈이 내측을 향하며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제1 프레임(2120)과 제2 프레임(2130)의 하부를 연결한다. 여기서, 제1 프레임(2120), 제2 프레임(2130), 제3 프레임(2140)은 길이방향의 수직한 절단면이 "ㄷ"자형의 각형 프레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보정패널(2150)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 장착홈과 제2 장착홈, 그리고 제3 장착홈 중 적어도 2개의 장착홈에 양측이 끼워져 안착된다. 보정패널(2150)은 대나무 고압축 목재를 포함하며,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보정패널(2150)은 제1 보정패널(2152), 제2 보정패널(215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정패널(2152)과 제2 보정패널(2154)은 서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가축의 진단 및 진료를 실시하는 경우, 보정패널(2150)에 가축의 진단 또는 진료부분이 가려지는 경우, 상측의 제1 보정패널(2152)을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제1 보정패널(2152) 뿐만 아니라 제2 보정패널(2154)도 제거하여 가축의 진단 및 진료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진입부(212)를 개방하여 가축의 진단 및 진료를 실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가축의 체고 길이에 따라 꼬리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가축의 진단 및 진료를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틀부재(220)의 일측에 구비되어 가축의 꼬리에 연결되는 로프의 감김과 풀림을 안내하여 가축의 꼬리를 들어올림과 내림동작을 안내하는 꼬리 상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꼬리 상승부는 보정틀(10)의 상부에 위치되어 로프와 연결되는 도르래(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르래(150)를 구비함으로써 가축의 꼬리를 도르래(150)에 연결된 로프의 일측에 묶고 로프의 타측을 당겨서 꼬리를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축의 체장 길이에 따라 꼬리 보정이 용이하며, 꼬리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가축의 진단 및 진료를 실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보정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보정틀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형 보정틀의 측면에서 보정 조절부가 결합되는 조절구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이동부의 높이 조절동작으로 보정틀의 하부가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이동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8과 도 9는 이동부의 높이 조절동작으로 보정틀의 하부가 바닥면에 접하여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보정틀의 하부에 이동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정틀의 길이방향 양측에 출입부가 구비되고, 가축의 길이방향 움직임을 제한하는 보정 조절부도 포함될 수 있다. 이동형 보정틀(10a)의 기본구조는 고정형 보정틀의 구조와 유사하며, 단수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점과 보정틀의 하부구조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동형 보정틀(10a)은 하부구조를 더 견고하게 보강하기 위해 보강부재(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재(660)는 실질적으로 바닥면과 접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동형 보정틀(10a)은 이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바닥면에 고정되는 경우 보강부재(660)를 통해 좀 더 넓게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동형 보정틀(10a)은 고정형 보정틀에 비해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형 보정틀(10a)에 수용되는 가축의 크기도 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형 보정틀(10a)에 수용되는 마종의 경우, 웜블러드, 한라마, 하프링거, 웰시포니, 셔틀랜드포니, 미니어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형 보정틀(10a)은 중공형의 각재 또는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형 보정틀(10a)의 정면과 후면은 외경이 100mm인 강판 파이프로 형성할 수 있으며, 측면은 외경이 50mm 강판 파이프로 형성할 수 있다. 이동형 보정틀(10a)의 설명에서 고정형 보정틀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이동형 보정틀(10a)은 제2 틀부재(222)와 제3 틀부재(224)가 결합되는 주변에서 제2 틀부재(222)의 일측에 결합되어 이동형 보정틀(10a)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600)를 구비함에 따라 바닥에 접한 상태의 이동형 보정틀(10a)을 설정 높이로 이격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부(600)는 높이방향의 길이가 조절되는 높이 조절부, 그리고 높이 조절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이동형 보정틀(10a)의 이동을 안내하는 바퀴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는 안내관(620), 상하 이동축(640), 회전축, 그리고 핸들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가 높이 조절부를 이용하여 바닥에 고정된 제3 부재의 높이를 바닥면보다 더 높게 상향 이동시킴으로써 이동형 보정틀(10a)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안내관(620)은 제2 틀부재(222)의 일측에 수직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안내관(620)은 각각의 제2 틀부재(222)에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하 이동축(640)은 안내관(620) 내부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동형 보정틀(10a)을 설정된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다. 상하 이동축(640)의 내주연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하 이동축(640)의 하부에는 이동바퀴가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은 안내관(620)의 내부에 수용된 상하 이동축(64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외주연에 상하 이동축(640)의 암나사부와 대응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핸들부(630)는 회전축에 결합되어 안내관(620)의 외부로 노출되고, 회전축을 회전시켜 안내관(620)의 내부에 수용된 상하 이동축(64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높이 조절부의 형상 및 높이 조절방식은 이동형 보정틀(10a)의 높이를 조절하고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한 설계변경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보정틀 100 ; 제1 보정틀
200 ; 제2 보정틀 210 ; 주 진입부
210a ; 진출부 212 ; 보조 진입부
2120 ; 제1 프레임 2130 ; 제2 프레임
2140 ; 제3 프레임 2150 ; 보정패널
2152 ; 제1 보정패널 2154 ; 제2 보정패널
2160 ; 잠금부 220 ; 제1 틀부재
222 ; 제2 틀부재 224 ; 제3 틀부재
230 ; 조절 프레임 232 ; 제1 조절 프레임
232a ; 제1 조절구 234 ; 제2 조절 프레임
234a ; 제2 조절구 240 ; 측면 가림부재
300 ; 조절부 310 ; 제1 조절부
320 ; 제2 조절부 600 ; 이동부

Claims (20)

  1. 미리 설정된 높이방향과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어 가축이 내부로 위치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보정틀,
    상기 보정틀의 길이방향 양측에 선택적으로 구비되어 개폐됨에 따라 상기 가축의 출입을 제한하는 출입부, 그리고
    상기 보정틀의 미리 설정된 위치에서 상기 가축의 체고 또는 체장 길이에 대응하여 탈부착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보정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보정틀의 수용공간에 진입된 가축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보정 조절부
    를 포함하는 가축 자세 보정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보정틀은
    미리 설정된 제1 높이를 갖고 제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1 보정틀, 그리고
    상기 제1 보정틀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높이보다 더 높은 제2 높이를 갖고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제2 보정틀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보정틀과 제2 보정틀은 서로 동일한 폭과 길이로 형성되는 가축 자세 보정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 보정틀과 제2 보정틀은 일체로 형성되는 가축 자세 보정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보정틀은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틀을 형성하는 제1 틀부재, 그리고
    상기 보정틀의 양측에서 높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틀부재와 연결되어 측면틀을 형성하는 제2 틀부재를 포함하는 가축 자세 보정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2 틀부재의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틀을 형성하는 제3 틀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축 자세 보정장치.
  6. 제4항에서,
    상기 보정틀은 상기 제2 틀부재의 높이방향 하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수용공간에 위치된 상기 가축의 측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측면 가림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축 자세 보정장치.
  7. 제2항에서,
    상기 보정틀은 중공형의 각재 또는 파이프를 포함하는 가축 자세 보정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출입부는
    상기 제1 보정틀에 구비되는 제1 출입부, 그리고
    상기 제2 보정틀에 구비되는 제2 출입부를 포함하는 가축 자세 보정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제2 출입부는
    상기 제2 보정틀의 길이방향 일측에서 미리 설정된 제1 높이로 회동 결합되어 상기 가축이 상기 제2 보정틀의 내부 진입을 안내하도록 개폐되며, 닫힘상태에서 수용공간에 위치된 상기 가축의 후방 움직임을 제한하는 주 진입부, 그리고
    상기 주 진입부의 상측에서 미리 설정된 제2 높이로 회동 결합되어 상기 가축이 상기 제2 보정틀의 내부 진입을 안내하도록 개폐되며, 닫힘상태에서 수용공간에 위치된 상기 가축의 후방 진료 영역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보조 진입부를 포함하는 가축 자세 보정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보조 진입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제1 장착홈이 내측을 향하며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제2 장착홈이 내측을 향하며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대면하는 제2 프레임,
    길이방향을 따라 개구된 제3 장착홈이 내측을 향하며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를 연결하는 제3 프레임, 그리고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장착홈과 상기 제2 장착홈, 그리고 상기 제3 장착홈 중 적어도 2개의 장착홈에 양측이 끼워져 안착되는 보정패널을 포함하는 가축 자세 보정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제1 프레임, 제2 프레임, 제3 프레임은 길이방향의 수직한 절단면이 "ㄷ"자형이 각형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가축 자세 보정장치.
  12. 제10항에서,
    상기 보정패널은 복수로 구비되는 가축 자세 보정장치.
  13. 제9항에서,
    상기 제2 보정틀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미리 설정된 제1 높이로 회동 결합되어 상기 가축이 상기 제2 보정틀의 내부에서 외부로 진출을 안내하도록 개폐되며, 닫힘상태에서 수용공간에 위치된 상기 가축의 전방 움직임을 제한하는 진출부를 더 포함하는 가축 자세 보정장치.
  14. 제1항에서,
    상기 보정 조절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제1 조절구를 갖는 제1 조절 프레임,
    상기 제1 조절 프레임에서 선택된 제1 조절구에 탈부착 결합되어 상기 가축의 체고 또는 체장 길이를 조절하는 제1 조절부,
    상기 복수의 제1 조절구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복수의 제2 조절구를 갖고 상기 제1 조절 프레임의 상측에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제2 조절 프레임, 그리고
    상기 제2 조절 프레임에서 선택된 제2 조절구에 탈부착 결합되어 상기 가축의 체고 또는 체장 길이를 조절하는 제2 조절부를 포함하는 가축 자세 보정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제1 조절부와 상기 제2 조절부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가축 자세 보정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제1 조절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단이 개구되어 일부 구간까지 중공형의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타단에 제1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제1 조절부재,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제1 조절부재의 삽입공간에 삽입되며, 타단에 상기 제1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제2 걸림돌기가 구비된 제2 조절부재, 그리고
    상기 제1 조절부재의 삽입공간에서 상기 제1 조절부재와 상기 제2 조절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외력에 따라 상기 제2 조절부재의 삽입길이를 조절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가축 자세 보정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제1 조절부재는
    상기 중공형의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그리고
    상기 삽입부와 상기 지지부를 구분하며, 상기 탄성부의 길이방향 일단을 지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가축 자세 보정장치.
  18. 제1항에서,
    상기 제1 틀부재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축의 꼬리에 연결되는 로프의 감김과 풀림을 안내하여 상기 가축의 꼬리를 들어올림과 내림동작을 안내하는 꼬리 상승부를 더 포함하는 가축 자세 보정장치.
  19. 제1항에서,
    상기 보정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정틀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가축 자세 보정장치.
  20. 제19항에서,
    상기 이동부는
    높이방향의 길이가 조절되는 높이 조절부, 그리고
    상기 높이 조절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정틀의 이동을 안내하는 바퀴부를 포함하는 가축 자세 보정장치.
KR1020180031093A 2018-03-16 2018-03-16 가축 자세 보정장치 KR102128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093A KR102128057B1 (ko) 2018-03-16 2018-03-16 가축 자세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093A KR102128057B1 (ko) 2018-03-16 2018-03-16 가축 자세 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126A true KR20190109126A (ko) 2019-09-25
KR102128057B1 KR102128057B1 (ko) 2020-06-29

Family

ID=68068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093A KR102128057B1 (ko) 2018-03-16 2018-03-16 가축 자세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0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370U (ko) 2019-12-11 2021-06-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신생 및 육성 자돈의 신체 계측 장치
KR102492882B1 (ko) * 2022-06-14 2023-01-27 손정모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0316Y1 (ko) * 1979-03-20 1980-04-02 임연식 소나 말의 치료틀
US4432305A (en) * 1982-03-31 1984-02-21 Circle V, Inc. Adjustable livestock chute
KR200202726Y1 (ko) * 2000-04-25 2000-11-15 정경수 통발용 지지대
KR100864877B1 (ko) * 2008-05-30 2008-10-22 전라북도 이동식 소 보정장치
JP2012154076A (ja) * 2011-01-25 2012-08-16 Panasonic Corp 外構塀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00000316Y1 (ko) * 1979-03-20 1980-04-02 임연식 소나 말의 치료틀
US4432305A (en) * 1982-03-31 1984-02-21 Circle V, Inc. Adjustable livestock chute
KR200202726Y1 (ko) * 2000-04-25 2000-11-15 정경수 통발용 지지대
KR100864877B1 (ko) * 2008-05-30 2008-10-22 전라북도 이동식 소 보정장치
JP2012154076A (ja) * 2011-01-25 2012-08-16 Panasonic Corp 外構塀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370U (ko) 2019-12-11 2021-06-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신생 및 육성 자돈의 신체 계측 장치
KR102492882B1 (ko) * 2022-06-14 2023-01-27 손정모 채혈 및 뇨 채취용 영장류 보정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057B1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123751T2 (de) Stall für tiere
US20090165727A1 (en) milking arrangement
KR20190109126A (ko) 가축 자세 보정장치
US8230821B2 (en) Head restraint for animal control chute
KR100864877B1 (ko) 이동식 소 보정장치
US20110146591A1 (en) Chute for immobilizing livestock
KR101017832B1 (ko) 가축 보정장치
US3572294A (en) Cow controller
US20100300372A1 (en) Animal Isolator
US4771737A (en) Adjustable headlock usable with a livestock pen
KR101216739B1 (ko) 소 치료용 회전식 보정기
CN210843597U (zh) 一种畜牧兽医用手术固定装置
US9578851B2 (en) Transportable animal care station
RU223118U1 (ru) Станок для проведения зооветеринарных обработок мелкого рогатого скота
US20230200347A1 (en) Piglet-protection device for a farrowing pen, and respective farrowing pen
US20240122160A1 (en) Calf nursing cradle
JPS629804Y2 (ko)
EP3928616A1 (en) Calving pen
KR200490443Y1 (ko) 축사에서 이용하는 가축 결박장치
KR102305021B1 (ko) 가축용 보정틀
IE86295B1 (en) Animal head restraining device
CN218457007U (zh) 一种动物治疗防护笼
KR20230134627A (ko) 반려동물 고정기구
KR20230080927A (ko) 스탄치온을 활용한 동물 보정틀
CN215688722U (zh) 一种畜牧兽医治疗用畜牧动物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