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021B1 - 가축용 보정틀 - Google Patents

가축용 보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021B1
KR102305021B1 KR1020190141132A KR20190141132A KR102305021B1 KR 102305021 B1 KR102305021 B1 KR 102305021B1 KR 1020190141132 A KR1020190141132 A KR 1020190141132A KR 20190141132 A KR20190141132 A KR 20190141132A KR 102305021 B1 KR102305021 B1 KR 102305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vestock
calibration
uni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4891A (ko
Inventor
이진욱
이성수
이상훈
고응규
김성우
김승창
이용재
전다연
김관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141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021B1/ko
Publication of KR20210054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19/00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 A61D19/02Instruments or methods for reproduction or fertilisation for artificial inse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3/00Appliances for supporting or fettering animals for operative purpo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부(101); 및 상부와 후방부가 완전 개방된 프레임부(100)를 포함하는 가축용 보정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100)는 전면 프레임(110); 상기 전면 프레임(110)의 양측에서 후방을 향해 수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수평 파이프(121)를 구비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0); 및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0)을 연결하는 가이드 프레임(122)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폭 조절 유닛(200)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122)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측 너비를 조절하는 가축용 보정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축용 보정틀{A livestock compensation frame}
본 발명은 가축용 보정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축의 정액 채취, 인공수정 및 사양 관리(발굽 등)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보정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가축의 정액 채취, 인공수정 및 사양 관리 등은 우량 종축의 이용성을 향상시키고 개량속도를 증진시키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
이에 소, 염소, 면양 등을 비롯한 많은 가축에서 인공수정을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기술을 이용한 가축의 인공수정을 가정하며, 인공수정을 위한 종래의 기술을 설명한다.
모든 가축을 인공수정하기 위해선, 많은 인력이 동원되어 가축의 몸통을 잡아 고정을 시키는 단계가 선행되었다. 그러나,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도 완벽한 고정이 불가능하고 언급한 바와 같이 많은 인력이 동원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인력이 귀한 농가에서는 이 선행 단계부터 진행이 어려웠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여러 인력 없이 가축의 몸통을 고정할 수 있는 가축의 인공수정용 홀더 등이 개발되어 있으나, 개발된 홀더의 대부분은 가축을 뒤집은 채 고정하는 것이어서, 가축을 뒤집는데 인력이 필요해져 상기의 문제점이 해결되지 못했다.
또한, 가축의 인공수정시 수태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가축의 생식기 부분이 위로 향하도록 하여 정자의 침투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언급한 인공수정 홀더의 경우 가축의 생식기 부분이 아래 또는 평행한 상태로 유지되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었다.
관련 특허공보를 살펴본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5968호는 염소 인공수정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으로, 회전틀 상에 대상 염소를 눕혀 각 앞, 뒷다리를 고정 시킨 상태에서 염소의 인공수정을 행할 수 있는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나, 언급한 바와 같이, 가축을 뒤집는데 인력이 필요해져 상기의 문제가 여전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5968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6184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22427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종래의 가축용 보정 장치들 예를 들면 가축용 홀더의 경우 가축을 눕히는데 추가적으로 인력이 필요했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바닥부(101); 및 상부와 후방부가 완전 개방된 프레임부(100)를 포함하는 가축용 보정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100)는, 전면 프레임(110); 상기 전면 프레임(110)의 양측에서 후방을 향해 수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수평 파이프(121)를 구비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0); 및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0)을 연결하는 가이드 프레임(122)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폭 조절 유닛(200)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122)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측 너비를 조절하는 가축용 보정틀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측 너비는 상기 폭 조절 유닛(200)에 위치하는 감지 센서(201)에 의해 감지된 거리에 상응하게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 센서(201)는 상기 폭 조절 유닛(200)의 내측을 향하는 면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 파이프(121)는, 상기 바닥부(101)에서 상기 전면 프레임(110)의 높이까지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 프레임(110)에 위치하는 목걸이 유닛(300, 3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목걸이 유닛(300, 300')에 의해 가축의 목 부위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면 프레임(110)은, 상기 전면 프레임(110)의 최상부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제1 전면 파이프(111); 및 상기 제1 전면 파이프(111)와 상기 바닥부(101)의 중심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전면 파이프(11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걸이 유닛(300)은, 상기 제2 전면 파이프(112)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연장부(310); 상기 제1 연장부(310)의 말단에서 각각 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제2 연장부(320); 및 상기 제2 연장부(320)의 말단은 서로 링크 연결되되, 상기 링크에 더 연결되어 상기 전면 프레임(110)의 최상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 프레임(113)과 연결되는 제어 연결부(33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연결부(330)에 의해 상기 제1 연장부(310)와 상기 제2 연장부(320)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걸이 유닛(300)은, 상기 제1 연장부(310)의 전면에 위치하는 원통 형상의 고정부(3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311)는 상기 제1 전면 파이프(111)와 상기 제2 전면 파이프(11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부(311)에 의해 상기 가축의 목부위가 더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걸이 유닛(300')은, 상기 제1 전면 파이프(111) 상에서 가이드되는 가이드부(352); 상기 가이드부(352)와 연결되는 몸체부(350); 및 상기 몸체부(35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360)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다리부(36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 전면 파이프(112)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부(101)는 상기 측면 프레임(120)의 후방으로의 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되고, 상기 바닥부(101)의 후방부 말단에 힌지 결합되는 발판부(10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판부(103)가 회전되어 펼쳐질 경우 상기 바닥부(101)에서부터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폭 조절 유닛(200)의 테두리는 상기 측면 프레임(120)보다 적은 면적을 가지며, 상기 폭 조절 유닛(200)은 상기 프레임부(100)의 외측에서 결합되는 핸들부(210)와 더 연결되고, 상기 핸들부(210)의 조작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측 너비를 수동으로 더 조절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부 일부를 폐쇄하는 커버 프레임(13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바닥부(101)는, 유압식 테이블리프트; 및 상기 바닥부(101)의 하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바퀴(10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가축관리 시 적은 인력으로 가축을 안전하게 보정할 수 있고, 가축을 보정한 채 축사 내에서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각도와 폭 조절, 발목 고정프레임 등을 통해 가축의 인공수정 및 정액 채취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노동력 감소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보정틀은 인공수정뿐만 아니라 가축의 사양 관리에도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보정틀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 및 측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보정틀을 설명하기 위한 후면 및 측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보정틀의 작동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에,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보정틀의 목걸이 유닛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목걸이 유닛의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가축용 보정틀의 실사용 예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보정틀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형태 및 구성요소의 개수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보정틀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축용 보정틀은 크게 가축의 발굽이 지지되는 바닥부(101)와 가축의 몸통을 보정하기 위한 프레임부(100)를 포함한다.
바닥부(101)에 발판부(103), 다수의 바퀴(104), 및 유압식 테이블리프트 등이 위치한다.
바닥부(101)는 측면 프레임(120)의 후방으로의 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되고, 바닥부(101)의 후방부 말단에 발판부(103)가 힌지부(102)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힌지부(102)는 소정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지닌 것이어서, 발판부(103)가 접히거나 펼쳐진 채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발판부(103)는 언급한 바와 같이 회전되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데, 보정틀을 이송시키기 위해 발판부(103)를 접는 경우, 그리고, 가축을 보정틀에 유도시켜 탑승시키기 위해 펼쳐질 경우이다. 발판부(103)가 펼쳐질 경우 바닥부(101)에서부터 축사의 바닥 또는 외부의 바닥까지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다.
다수의 바퀴(104)는 바닥부(101)의 하부에 위치한다.
다수의 바퀴(104)에 의해 가축을 작업장으로 손쉽게 이송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105)는 바닥부(101)의 전면 중심부에 연결되어, 본 발명에 따른 보정틀을 용이하게 이송시키게 할 수 있다.
브레이크(109)는 다수의 바퀴(104)와 연결되어, 본 발명에 따른 보정틀을 작업을 위한 장소에 이동시킨 뒤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유압식 테이블리프트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보정틀의 전체 높낮이와 앞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해져, 가축이 바닥부(101)에 서있는 채 인공수정 시 수정부위로 정자의 침투를 용이하게 하거나, 사양 관리를 손쉽게 할 수 있게 된다.
프레임부(100)는 바닥부(101)의 삼면의 모서리 상측에 위치하며, 상부와 후방부가 완전 개방된다. 다만, 프레임부(100)에 포함되는 커버 프레임(130)에 의해 선택적으로 상부 일부가 폐쇄될 수 있다.
프레임부(100)는 전면 프레임(110), 측면프레임(120) 및 커버 프레임(130)을 포함한다.
전면 프레임(110)은 제1 전면 파이프(111), 제2 전면 파이프(112) 및 연장 프레임(113)을 포함한다.
제1 전면 파이프(111)는 전면 프레임(110)의 최상부에서 수평으로 위치한다.
제2 전면 파이프(112)는 제1 전면 파이프(111)와 바닥부(101)의 중심부 높이 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제2 전면 파이프(112)의 위치는 통상의 가축의 얼굴, 몸통 및 다리의 비율에 따라 정해진 것이나, 이에 한정되진 않을 것이다.
연장 프레임(113)은 전면 프레임(110)의 최상부 모서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
측면 프레임(120)은 전면 프레임(110)의 양측에서 후방을 향해 수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수평 파이프(121)를 포함한다. 전면 프레임(110)의 양측에서 후방을 향해 수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한 쌍으로 구비된다.
수평 파이프(121)는, 바닥부(101)에서 전면 프레임(110)의 높이까지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축의 몸통이 빠져나오지 못할 간격일 것이며, 이는 대상 가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이어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즉, 전면 프레임(110)과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0)은 위에서 내려다보면 후방이 개방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0)은 가이드 프레임(122)에 의해 연결된다.
가이드 프레임(122)에 의해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폭 조절 유닛(200)이 가이드되어 프레임부(100)의 내측 너비가 조절된다(도 5 참조).
커버 프레임(130)은 프레임부(100)의 상부에 커버프레임 힌지부(131)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프레임부(100)의 상부 일부를 폐쇄한다. 커버 프레임(130)에 의해 인공수정 및 사양 관리시 가축의 몸이 상부로 뜨는 것을 보정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별도의 잠금장치를 통해 폐쇄한 후 잠금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도 1b 및 도 3b 참조).
폭 조절 유닛(200)은 사각 프레임 안에 십자 프레임이 위치하는 창문 '田'형상이다.
감지 센서(201)는 프레임부(100)의 내측을 향하는 면의 중심부 즉, 십자 프레임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감지 센서(201)에서 감지된 거리에 상응하게 프레임부(100)의 내측 너비가 조절된다. 바람직한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보정 장치에 보정되는 가축 몸통의 폭에 상응하게 조절될 것이다.
폭 조절 유닛(200)의 테두리 즉 사각 프레임은 측면 프레임(120)보다 적은 면적을 가진다.
폭 조절 유닛(200)은 프레임부(100)의 외측에서 결합되는 핸들부(210)와 더 연결되어, 핸들부(210)의 조작에 의해 프레임부(100)의 내측 너비를 수동으로 더 조절할 수 있다.
핸들부(210)에 의해 수동 조절될 경우, 폭 조절 유닛(200)의 사각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가이드 파이프(220)의 움직임에 의해 조절될 것이다.
자동 조절될 경우, 핸들부(210)에 연결된 배터리(230)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폭 조절 유닛(200)의 폭이 조절될 것이다.
목걸이 유닛(300, 300')은 전면 프레임(110)에 위치하여 가축의 목부위를 자동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먼저, 제1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 유닛(300)을 설명한다.
목걸이 유닛(300)은 제1 연장부(310), 고정부(311), 제2 연장부(320) 및 제어 연결부(330)를 포함한다.
제1 연장부(310)는 한 쌍으로 제2 전면 파이프(112)에 소정의 간격을 갖도록 링크를 이용해 각각 연결된다.
고정부(311)는 원통 형상으로 제1 연장부(310)의 전면에 위치한다.
고정부(311)는 제1 전면 파이프(111)와 제2 전면 파이프(112) 사이에 위치하여, 가축의 목부위를 더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연장부(320)는 제1 연장부(310)의 말단에서 각각 링크에 의해 연결되고, 제2 연장부(320)의 말단은 서로 링크 연결된다. 각각의 링크들에 의해 연결되는 제1 연장부(310)와 제2 연장부(320)는 자바라 옷걸이와 같은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제어 연결부(330)는 제2 연장부(320)의 말단에 위치하는 링크와 전면 프레임(110)의 최상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 프레임(113)을 연결한다. 이 때, 링크를 포함하여 링크에 의해 제1 제어 연결부(331) 및 제2 제어 연결부(332)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 연결부(331)가 제2 연장부(320)의 말단에 위치하는 링크와 연결된다.
제1 제어 연결부(331)에 제1 제어 연결부(331)의 양측 말단에 위치하는 링크들과 연동되는 탄성부(323)가 위치한다.
탄성부(323)에 의해 목걸이 유닛(300)에 가축의 목이 통과된 후 자동으로 가축의 목부위가 고정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목걸이 유닛(300')을 설명한다.
목걸이 유닛(300')은 몸체부(350), 가이드부(352), 및 다리부(360)를 포함한다.
가이드부(352)는 몸체부(350)와 연결되며, 제1 전면 파이프(111) 상에서 가이드된다.
몸체부(350)는 가이드부(352)와 연결되는 가이드부(352)에 의해 가이드된다. 전면 프레임 일부의 면적을 제한하도록 가이드된다.
다리부(360)는 몸체부(35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한 쌍으로 한 쌍의 다리부(360) 중 어느 하나는 제2 전면 파이프(112)에 연결된다.
다리부(360)는 제1 다리(361), 제2 다리(362) 및 밴드(363)를 포함한다.
제1 다리(361)는 몸체부(35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제2 전면 파이프(112)와 연결되지 않는다.
제2 다리(362)는 몸체부(35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2 전면 파이프(112)와 연결된다.
밴드(363)는 제1 다리(361)와 제2 다리(362)의 일부를 묶어 고정시킨다. 밴드(363)에 의해 제1 다리(361) 및 제2 다리(362)가 몸체부(350)와 함께 가이드될 것이다.
100: 프레임부
101: 바닥부
102: 힌지부
103: 발판부
104: 바퀴
105: 손잡이부
109: 브레이크
110: 전면프레임
111: 제1 전면 파이프
112: 제2 전면 파이프
120: 측면프레임
121: 수평 파이프
122: 가이드 프레임
130: 커버프레임
131: 커버프레임 힌지부
200: 폭 조절 유닛
201: 감지 센서
210: 핸들부
220: 가이드 파이프
230: 배터리
300, 300': 목걸이 유닛
310: 제1 연장부
311: 고정부
320: 제2 연장부
323: 탄성부
330: 제어 연결부
331: 제1 제어 연결부
332: 제2 제어 연결부
350: 몸체부
352: 가이드부
360: 다리부
361: 제1 다리
362: 제2 다리
363: 밴드

Claims (14)

  1. 바닥부(101); 및
    상부와 후방부가 완전 개방된 프레임부(100)를 포함하는 가축용 보정틀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100)는,
    전면 프레임(110);
    상기 전면 프레임(110)의 양측에서 후방을 향해 수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수평 파이프(121)를 구비하는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0); 및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0)을 연결하는 가이드 프레임(122)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 프레임(120)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는 폭 조절 유닛(200)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122)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측 너비를 조절하고,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측 너비는 상기 폭 조절 유닛(200)에 위치하는 감지 센서(201)에 의해 감지된 거리에 상응하게 조절되는,
    가축용 보정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센서(201)는 상기 폭 조절 유닛(200)의 내측을 향하는 면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가축용 보정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파이프(121)는,
    상기 바닥부(101)에서 상기 전면 프레임(110)의 높이까지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는,
    가축용 보정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110)에 위치하는 목걸이 유닛(300, 3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목걸이 유닛(300, 300')에 의해 가축의 목 부위가 고정되는,
    가축용 보정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프레임(110)은,
    상기 전면 프레임(110)의 최상부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제1 전면 파이프(111); 및
    상기 제1 전면 파이프(111)와 상기 바닥부(101)의 중심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전면 파이프(112)를 포함하는,
    가축용 보정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 유닛(300)은,
    상기 제2 전면 파이프(112)에 소정의 간격을 가지며 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연장부(310);
    상기 제1 연장부(310)의 말단에서 각각 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제2 연장부(320); 및
    상기 제2 연장부(320)의 말단은 서로 링크 연결되되, 상기 링크에 더 연결되어 상기 전면 프레임(110)의 최상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연장 프레임(113)과 연결되는 제어 연결부(33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연결부(330)에 의해 상기 제1 연장부(310)와 상기 제2 연장부(320)에 의해 형성되는 사이 공간이 조절되는,
    가축용 보정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 유닛(300)은,
    상기 제1 연장부(310)의 전면에 위치하는 원통 형상의 고정부(311)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311)는 상기 제1 전면 파이프(111)와 상기 제2 전면 파이프(112)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부(311)에 의해 상기 가축의 목부위가 더 고정되는,
    가축용 보정틀.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 유닛(300')은,
    상기 제1 전면 파이프(111) 상에서 가이드되는 가이드부(352);
    상기 가이드부(352)와 연결되는 몸체부(350); 및
    상기 몸체부(350)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다리부(360)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다리부(36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 전면 파이프(112)에 연결되는,
    가축용 보정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01)는 상기 측면 프레임(120)의 후방으로의 길이보다 더 길게 연장되고,
    상기 바닥부(101)의 후방부 말단에 힌지 결합되는 발판부(103)를 더 포함하는,
    가축용 보정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103)가 회전되어 펼쳐질 경우 상기 바닥부(101)에서부터 낮아지는 경사를 갖는,
    가축용 보정틀.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폭 조절 유닛(200)의 테두리는 상기 측면 프레임(120)보다 적은 면적을 가지며,
    상기 폭 조절 유닛(200)은 상기 프레임부(100)의 외측에서 결합되는 핸들부(210)와 더 연결되고,
    상기 핸들부(210)의 조작에 의해 상기 프레임부(100)의 내측 너비를 수동으로 더 조절 가능한,
    가축용 보정틀.
  13.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부 일부를 폐쇄하는 커버 프레임(130)을 더 포함하는,
    가축용 보정틀.
  14.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01)는,
    유압식 테이블리프트; 및
    상기 바닥부(101)의 하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바퀴(104)를 포함하는,
    가축용 보정틀.
KR1020190141132A 2019-11-06 2019-11-06 가축용 보정틀 KR102305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132A KR102305021B1 (ko) 2019-11-06 2019-11-06 가축용 보정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132A KR102305021B1 (ko) 2019-11-06 2019-11-06 가축용 보정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891A KR20210054891A (ko) 2021-05-14
KR102305021B1 true KR102305021B1 (ko) 2021-09-24

Family

ID=75915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132A KR102305021B1 (ko) 2019-11-06 2019-11-06 가축용 보정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0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8652A1 (en) * 2002-12-19 2004-09-02 Priefert William Dean Squeeze chute
KR100864877B1 (ko) * 2008-05-30 2008-10-22 전라북도 이동식 소 보정장치
CN205198189U (zh) * 2015-11-16 2016-05-04 普洱亨古咖啡实业有限公司 一种麝香猫治疗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4270A (ja) 2000-02-16 2001-08-21 Tomoyoshi Iwai 子豚去勢用豚体固定器
KR100479120B1 (ko) * 2002-06-17 2005-03-25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자동착유용 스톨
KR101015968B1 (ko) 2008-12-16 2011-02-23 대한민국 염소 인공수정용 홀더
KR101661841B1 (ko) 2015-01-29 2016-10-04 신종범 중소형가축거세용 보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8652A1 (en) * 2002-12-19 2004-09-02 Priefert William Dean Squeeze chute
KR100864877B1 (ko) * 2008-05-30 2008-10-22 전라북도 이동식 소 보정장치
CN205198189U (zh) * 2015-11-16 2016-05-04 普洱亨古咖啡实业有限公司 一种麝香猫治疗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891A (ko)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03554A (en) Portable stock chute
US4744352A (en) Artificial insemination semen collection phantom
US7677205B2 (en) Portable or stationary animal alley
KR102305021B1 (ko) 가축용 보정틀
EP2921133A1 (en) Cattle hoof trimming chute
US20070282285A1 (en) Phantom for collecting animal semen
US11278002B2 (en) Guide structure for stalling animals such as cattle
CN205041557U (zh) 可调式羊胚胎移植保定装置
US2438322A (en) Cattle-restraining chute
US2991755A (en) Trailer chute
US3572294A (en) Cow controller
US20070209603A1 (en) Animal lifter
US4498425A (en) Animal restrainer
KR102128057B1 (ko) 가축 자세 보정장치
KR200494766Y1 (ko) 신생 및 육성 자돈의 신체 계측 장치
US2578093A (en) Adjustable comfort cow stall
US4590887A (en) Animal cradle
US4782791A (en) Animal holder
US7217239B1 (en) Semen collection apparatus
US4350121A (en) Animal handling apparatus
US2521487A (en) Hog handling apparatus
CN207520230U (zh) 母牛人工授精保定架
US2044312A (en) Combined animal restraining and feeding device
US2775965A (en) Veterinarian mouth speculum
RU213853U1 (ru) Фик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зятия промеров у крупного рогатого ско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