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597B1 - 영장류 두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영장류 두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597B1
KR102296597B1 KR1020200050655A KR20200050655A KR102296597B1 KR 102296597 B1 KR102296597 B1 KR 102296597B1 KR 1020200050655 A KR1020200050655 A KR 1020200050655A KR 20200050655 A KR20200050655 A KR 20200050655A KR 102296597 B1 KR102296597 B1 KR 102296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ate
fixture
head
fix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홍수
한강현
박지민
조두완
박성걸
임창묵
박소라
오태건
Original Assignee
박성걸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걸,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박성걸
Priority to KR1020200050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5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83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means for patient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75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adjusting devices, e.g. operated by control le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3/00Appliances for supporting or fettering animals for operativ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40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3/00Appliances for supporting or fettering animals for operative purposes
    • A61D2003/003Appliances for supporting or fettering animals for operative purposes with head or neck restrain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인간영장류(non-human primate, 이하 영장류)의 안구내 광결맞음 단층영상의 촬영시 영장류 머리부분의 움직임이 최소화되도록 영장류의 머리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안구검사 전용장비에 장착되어 영장류의 머리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영장류의 머리크기 및 안구의 위치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며, 원활한 실험이 진행되도록 눈꺼풀 고정수단이 더 구비된 영장류 두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장류 두부 고정장치 {non-human primate head fixation device}
본 발명은 비인간영장류(non-human primate, 이하 영장류)의 안구내 광결맞음 단층영상의 촬영시 영장류 머리부분의 움직임이 최소화되도록 영장류의 머리 부분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안구검사 전용장비에 장착되어 영장류의 머리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영장류의 머리크기 및 안구의 위치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며, 원활한 실험이 진행되도록 눈꺼풀 고정수단이 더 구비된 영장류 두부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명과학 및 의과학 분야 연구 활성화에 따라 영장류를 이용한 동물 실험의 역할과 그 중요성이 매우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연구소, 병원, 기업 등에서는 영장류 연구를 위한 다양한 실험 시설들이 개발되고 있다.
동물 실험 시설은 크게 나누어 1) 실험 동물 생산을 주로 하는 것 (기업체의 생산 시설), 2) 실험 동물 연구를 주로 하는 것 (연구소의 시설 등), 3) 동물 실험이 주가 되는 것 (의과대학 계통의 시설), 4) 안전성 시험을 주로 하는 것, 5) 의약품 개발을 주로 하는 것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영장류는 계통학적으로 인간과 가장 근접한 동물이며 영장류를 이용한 동물실험은 간단한 채혈검사는 물론이고 뇌에 직접약물을 투여하는 실험까지 다양하다. 특히 황반은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의 안구내 망막에만 존재하는 구조물이며 황반변성(macular degeneration) 등의 치료제 개발을 위한 비임상평가 실험장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즉, 국내 2011년부터 2015년 사이 황반변성 진료인원은 약 49% 증가했고, 40세 이상 인구에서 노인성 황반변성 유병률은 인구 1만 명 당 36.46명으로 분석되며, 노인성 황반변성 치료제 글로벌 시장규모는 2014년 기준 약 43억불이고, 연평균 7.8% 성장하여 2023년 약 85억불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다. 이처럼 안구질환이 점차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동물 실험용 장비의 기술이 보다 확대되어야 한다.
특히 황반 변화에 대한 영상학적 평가를 정확히 수행하기 위해 OCT(OCT;Optical coherence tomography)를 사용해야 하지만 영장류의 전용장비가 없으므로 사람용 장비를 활용하는 방안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원활한 실험을 위해 영장류의 머리를 고정 및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663159호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 2. 일본공개특허 제1999-009129호 몽키체어. 3.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08717호 일체영 몸체를 갖는 검안기.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영장류의 머리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며, 눈꺼풀의 깜빡임을 제어하기 위한 눈꺼풀 고정수단이 구비되고, 원활한 촬영을 위해 고정된 영장류의 머리가 이루는 각도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영장류 두부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영장류 두부 고정장치는 종래의 검안기에 장착되어 사용하는 것으로 영장류(S) 머리의 상단과 턱의 하단을 가압하여 영장류(S) 두부의 움직임이 제한하는 고정부(100); 상기 고정부(100)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영장류(S)의 눈꺼풀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윗눈꺼풀과 아랫눈꺼풀을 파지하는 홀더부(200); 상기 고정부(100)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부(100)의 상하높이조절과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틸팅부(300); 상기 틸팅부(300)의 하단에 구비되며, 검안기와 탈부착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영장류(S)의 머리 상단과 접촉되며, 상기 영장류(S) 머리의 크기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부고정대(110); 상부고정대(110)와 일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영장류(S) 턱의 하단이 안착되고 상기 틸팅부(300)의 상단에 연결되는 하부고정대(120); 상기 상부고정대(110)와 하부고정대(120) 사이에 구비되며, 측면에 상기 홀더부(200)가 장착되고, 좌우대칭인 한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영장류(S) 머리의 크기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중간고정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고정대(120)의 상면에는 상기 영장류(S) 턱의 하단이 안착되되, 안착되는 턱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턱안착홈(12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대(110)는 상기 어느 하나의 중간고정대(130)의 상단에 장착되며, 일측단에 연장로드(111-1)가 더 구비되는 제1 상부고정대(111); 상기 제1 상부고정대(111)와 대칭을 이루며 다른 중간고정대(130)의 상단에 장착되고, 일측에 상기 연장로드(111-1)가 삽입되는 삽입홈(112-1)이 형성되는 제2 상부고정대(112);를 포함하되, 상기 연장로드(111-1)의 외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는 지지돌기(111-1a)와 상기 지지돌기(111-1a)의 이격된 사이에 지지홈(111-1b)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2-1)의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홈(111-1b)에 맞물리도록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는 끼움돌기(112-1a)와 상기 지지돌기(111-1a)의 상단이 삽입되는 안착홈(112-1b)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홀더부(200)는 상기 고정부(100)에 연결되는 연장봉(210); 상기 연장봉(210)에 체결되는 브라켓(220);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브라켓(230)에 끼워지는 조절로드(231)를 포함하는 홀더하우징(230); 상기 홀더하우징(230)에 장착되어 상기 영장류(S)의 상부눈꺼풀과 하부눈꺼풀에 각각 지지되고, 각각 서로 다른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영장류(S)의 눈꺼풀이 개방된 상태유지시키는 제1 지지부(240) 및 제2 지지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3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상면이 상기 하부고정대(120)의 하면에 연결되고, 하면에 걸림돌기(311)가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판(310); 상면에 안착된 상기 슬라이딩판(310)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걸림돌기(311)와 결합되는 결합돌기(321)와 측면에 내측으로 함입되는 결합홈(322)이 형성되는 안착판(320); 상기 안착판(320)의 하면에 형성되며 소정의 직경을 갖는 구 형상의 볼(330); 상기 볼(330)의 형상을 따라 방사방향으로 틸팅(tilting)되도록 내측에 상기 볼(330)이 삽입되는 볼하우징(340); 상기 슬라이딩판(310)과 상기 안착판(320)을 동시에 가압하면서 상기 슬라이딩판(310)을 상기 안착판(320)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판(310)과 체결되는 결합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영장류의 얼굴, 머리 등의 크기에 맞춰 조절이 가능하며, 머리의 안착 위치를 안내해주는 'V'형상의 안내홈이 더 구비됨으로써 실험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안구와 측정장비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눈꺼풀 고정수단의 구성으로 인해 영장류의 눈꺼풀의 깜빡임을 제어하여 정밀한 촬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주요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고정부의 사용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고정부의 사용 일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홀더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영장류 두부 고정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고정부(100), 홀더부(200), 틸팅부(300) 및 결합부(400)를 포함한다.
고정부(100)는 검안기의 일측에 영장류(S)의 머리를 고정하는 것으로 검안기의 안구영상 촬영시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영장류(S)의 머리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목적을 갖는다. 즉, 영장류(S) 머리의 상단과 턱의 하단을 일정압력으로 가압하여 영장류(S) 두부(머리)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이다.
홀더부(200)는 영장류(S)의 눈꺼풀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고정부(100)의 일측에 장착된다. 즉, 홀더부(200)는 영장류(S)의 윗눈꺼풀과 아랫눈꺼풀을 각각 파지하여 일정간격(검안이 가능하도록 안구를 개방할 수 있는 거리) 이격되면서 눈꺼풀을 고정한다. 한편, 홀더부(200)는 영장류(S)의 눈(eye) 위치에 따라 가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홀더부(200)는 좌우 대칭인 한쌍으로 구비된다.
상기 틸팅부(300)는 고정부(100)의 하단에 장착되어 고정부(100)에 안착된 영장류(S) 안구의 위치와 검안기의 촬영렌즈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고정부(100)의 상하높이조절과 고정부(100)가 이루는 지면이 이루는 각도 등을 조절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결합부(400)는 틸팅부(300)의 하단에 구비되며, 종래의 검안기에 탈부착되도록 결합된다. 통상적으로 검안기는 촬영을 위한 본체와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피검자의 얼굴이 안착되는 거치대로 이루어진다. 거치대는 인체용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결합부(400)가 거치대에 결합됨으로써 영장류(S)도 검안기를 통해 안구의 이상여부를 정밀하게 촬영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고정부(100)는 상부고정대(110), 하부고정대(120) 및 중간고정대(130)를 포함한다.
상부고정대(110)는 영장류(S)의 머리 상단과 접촉되며, 머리의 상단을 일정압력으로 가압하기 위한 수단에 해당한다. 상부고정대(110)는 중간고정대(130)와 결합되며, 영장류(S)의 머리 크기(높이)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부고정대(110), 하부고정대(120)의 표면에는 일정두께의 완충효과가 있는 재질로 감싸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부(100)에 의해 고정된 영장류(S)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기 때문에 원활한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고정대(120)는 상부고정대(110)와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다. 하부고정대(120)는 틸팅부(300)의 상단에 안착되어 연결되며, 틸팅부(300)의 조작에 의해 높이 및 하부고정대(120)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된다. 하부고정대(120)의 상단에 영장류(S)의 턱 하단이 안착되며, 상부고정대(110)의 가압으로 인해 영장류(S)의 턱 부분이 지지되어 영장류(S)의 머리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중간고정대(130)는 상부고정대(110)와 하부고정대(120) 사이에 구비된다. 중간고정대(130)의 측면에는 홀더부(200)가 장착된다. 중간고정대(130)는 좌우대칭인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즉, 한쌍의 중간고정대(130)의 상단에는 상부고정대(110)의 일측단과 타측단이 각각 연결되고, 하단에는 하부고정대(120)의 일측단과 타측단이 각각 연결된다. 고정대(100)는 영장류(S)의 머리 부분을 감쌀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중간고정대(130)는 상부고정대(110)와 하부고정대(120)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영장류(S) 머리의 크기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종의 영장류(S)를 실험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하부고정대(120)의 상면에는 영장류(S) 턱의 하단이 안착되는데, 이때, 안착되는 턱의 위치를 가이드해주는 턱안착홈(121)이 구비된다. 턱안착홈(121)은 턱의 형상과 대응하는 'V' 또는 'U'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영장류(S)의 머리를 고정부(100)에 고정시킬 때, 영장류(S) 턱의 하단을 턱안착홈(121)에 안착시키면 머리부분이 고정대(100)의 중앙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별도로 확인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부고정대(110)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부고정대(110)는 제1 상부고정대(111) 및 제2 상부고정대(112)를 포함한다. 제1 상부고정대(111)는 한쌍의 중간고정대(130) 중 어느 하나의 중간고정대(130)의 상단에 장착된다. 이때, 상부고정대(110)의 일측단에는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연장로드(111-1)가 더 구비되고, 타측단에는 다른 연장로드(111-2)가 구비된다. 다른 연장로드(111-2)는 제1 상부고정대(111)가 장착되는 중간고정대(130)에 삽입되며, 제1 상부고정대(111)의 상하이동 또는 중간고정대(130)의 좌우이동시 다른 연장로드(111-2)가 중간고정대(130)에 삽입 및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고정대(130)의 이동에 따라 제1 상부고정대(111)도 함께 좌우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중간고정대(130)에는 제1 상부고정대(111)의 상하이동시 제1 상부고정대(111)의 이동한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볼트가 장착될 수 있다.
제2 상부고정대(112)는 제1 상부고정대(111)와 대칭을 이루며, 제1 상부고정대(111)가 장착되지 않은 다른 중간고정대(130)의 상단에 장착된다. 제2 상부고정대(112)의 일측단에는 연장로드(111-1)가 삽입되는 삽입홈(112-1)이 함입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상부고정대(112) 타측단에도 다른 연장로드(112-2)가 형성되어 다른 중간고정대(130)의 상단에 삽입된다. 따라서, 제2 상부고정대(112) 또한 중간고정대(130)와 함께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며, 동시에 제1 상부고정대(111)에 형성된 연장로드(111-1)는 삽입홈(112-1)을 출입할 수 있다.
한편, 연장로드(111-1)의 외측면에는 지지돌기(111-1a)와 지지홈(111-1b)이 다수개 형성된다. 지지돌기(111-1a)는 일정간격 이격되며, 지지홈(111-1b)은 이격된 지지돌기(111-1a) 사이에 형성된다.
이때, 삽입홈(112-1)의 내측면에는 지지홈(111-1b)에 삽입되어 지지돌기(111-1a)와 이웃한 다른 지지돌기(111-1a) 사이에 맞물리는 끼움돌기(112-1a)가 다수개 돌출 형성된다. 끼움돌기(112-1a) 또한 일정간격 이격배치되며, 이격된 사이로 안착홈(112-1b)이 다수개 형성된다. 끼움돌기(112-1a)와 안착홈(112-1b)은 삽입홈(112-1)의 내측벽면을 따라 형성되며, 지지돌기(111-1a)의 상단이 삽입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상부고정대(111)와 제2 상부고정대(112)를 각각 파지한 후 일정한 압력을 가하면 연장로드(111-1)가 삽입홀(112-1)에서 인출되어 제1 상부고정대(111)와 제2 상부고정대(112)의 간격이 벌어질 수 있다. 동시에 중간고정대(12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5 의 (b)를 참조하면 삽입홈(112-1)에는 삽입홈(112-1)의 연장방향과 교차를 이루는 방향으로 함입된 장공(112-3)이 형성되며, 장공(112-3)의 내부에는 가압볼(112-3a), 볼플레이트(112-3b) 및 탄성부(112-3c)가 형성된다.
가압볼(112-3a)은 장공(112-3)을 출입하되, 지지돌기(111-1a)의 이격된 사이에 끼워지도록 가압볼(112-3a)의 일부가 삽입홈(112-1)의 내측에 노출되면서 연장로드(111-1)를 고정한다. 볼플레이트(112-3b)는 가압볼(112-3a)의 상면에 구비되며, 장공(112-3)의 내측에서 가압볼(112-3a)과 함께 출입한다.
탄성부(112-3c)는 볼플레이트(112-3b)와 장공(112-3) 사이에 구비되어 볼플레이트(112-3b)를 탄성지지한다. 따라서, 제1 상부고정대(111)와 제2 상부고정대(112)를 실험자가 파지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전달해야지만 제1 상부고정대(111)와 제2 상부고정대(112) 상호간의 이격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6 을 참조하면 홀더부(200)는, 연장봉(210), 브라켓(220), 홀더하우징(230), 제1 지지부(240) 및 제2 지지부(250)를 포함한다.
연장봉(210)은 일측단이 고정부(100), 즉 중간고정대(130)에 결합되며, 소정의 직경을 가지며, 연장되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라켓(220)은 연장봉(210)의 타측단에 체결되며, 일부가 개방되고, 연장봉(210)의 측면을 감싸는 형상을 갖는다. 브라켓(220)은 연장봉(210)의 측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때, 개방된 각각의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핀(도면부호 미부여)이 구비되고, 연결핀의 조작으로 인해 브라켓(220)의 각각의 끝단 사이 간격이 좁아지면서 브라켓(220)은 연장봉(2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220)의 양측 끝단에는 하술하는 조절로드(231)가 삽입되며, 조절로드(231)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인 로드고정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홀더하우징(230)의 일측에는 조절로드(231)가 연장형셩되며, 조절로드(231)는 상기 로드고정부(22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로드고정부(221)에는 조절로드(23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이 별도로 장착된다. 조절로드(231)는 로드고정부(221)에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제작되어 브라켓(220)과 홀더하우징(230)의 이격된 간격이 조절되며, 고정핀의 구성으로 인해 조절로드(231)는 로드고정부(221)에 고정될 수 있다.
홀더하우징(230)에는 후술하는 제1 지지부(240)와 제2 지지부(250)가 끼워지는 회전축(231)이 형성되며, 제1 지지부(240)와 제2 지지부(250)는 회전축(231)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축(231)은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와 연결되어 회전축(231)에 결합된 제1 지지부(240)와 제2 지지부(250)를 탄성지지함으로써, 제1 지지부(240)와 제2 지지부(250)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제1 지지부(240)와 제2 지지부(250)의 각각의 일측단이 접촉되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 범위(θ)를 제한할 수 있다. 제1 지지부(240)와 제2 지지부(250) 각각의 타측단이 영장류(S)의 상부눈꺼풀과 하부눈꺼풀을 각각 지지하며,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영장류(S)의 눈꺼풀을 상,하 방향으로 밀어서 개방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틸팅부(300)는 슬라이딩판(310), 안착판(320), 볼(330), 볼하우징(340) 및 결합부(350)를 포함한다. 슬라이딩판(31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상면이 하부고정대(120)의 하면에 고정되어 하부고정대(120)와 일체를 이룬다. 슬라이딩판(310)의 하면에는 걸림돌기(311)가 돌출 형성되며, 걸림돌기(311)의 좌우측면 또는 좌우측 어느 한면은 일정각도로 경사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착판(32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상면에 슬라이딩판(310)이 안착된다. 슬라이딩판(310)은 안착판(320)에 안착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안착판(320)의 상면에는 걸림돌기(311)와 결합되는 결합돌기(321)가 구비된다. 결합돌기(321)의 일측은 걸림돌기(311)의 좌우측면이 이루는 경사방향과 동일한 경사를 유지하여 슬라이딩판(310)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되,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방지한다.
안착판(320)의 일측 측면에는 결합홈(322)이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며, 결합홈(322)은 후술하는 결합부(350)가 삽입된다.
볼(330)은 안착판(320)의 하면에 형성되며 소정의 직경을 갖는 구 형상을 갖는다.
볼하우징(340)은 상단이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개방된 상단으로 볼(330)의 일부가 삽입된다. 볼하우징(340)의 일측에는 삽입된 볼(330)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인 별도의 고정볼트가 구비되며, 사용자가 고정부(100)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조작한 후 별도의 고정볼트로 조여줌으로써, 볼(330)은 볼하우징(34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볼하우징(340)에 구형상의 볼(330)이 삽입됨에 따라 볼(330)과 일체를 이루는 하부고정대(120)는 방사방향으로 틸팅(tilting)되어 고정부(100)에 고정된 영장류(S)의 눈 높이 및 각도 등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결합부(350)는 슬라이딩판(310)과 상기 안착판(320)을 동시에 가압하는 가압판(351)과, 가압판(351)의 가압 위치를 안내하기 위해 가압판(35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결합홈(322)에 삽입되는 위치안내돌기(352) 및 가압판(351)을 관통하여 슬라이딩판(310) 또는 안착판(320)에 체결되는 결합볼트(353)를 포함한다.
결합볼트(353)는 슬라이딩판(310) 또는 안착판(320)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사용자가 결합볼드(352)를 회전조작하여 가압판(351)이 슬라이딩판(310)과 안착판(320)을 동시에 가압한다.
또는 가압판(351)이 슬라이딩판(310)만 가압하는 경우 걸림돌기(311)가 결합돌기(321)에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의 두가지 방법으로 인해 슬라이딩판(310)은 안착판(32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볼하우징(340)의 하단에는 상측이 개방된 플랜지(360)에 삽입된다. 플랜지(360)에 삽입된 볼하우징(340)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플랜지(360)에는 볼하우징(340)을 고정하기 위해 플랜지(360)를 관통하는 별도의 고정볼트가 구비된다. 고정볼트는 플랜지(360)에 삽입된 볼하우징(340)의 측면을 가압하면서 볼하우징(340)을 고정시킨다. 즉, 볼하우징(340)은 플랜지(360)에 안내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볼하우징(340)의 높이가 설정되면, 고정볼트로 볼하우징(340)을 가압하여 고정한다.
플랜지(360)에 삽입되며,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구조로 제작된다. 플랜지(360)는 볼하우징(340)의 외측을 감싸되, 볼하우징(340)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결합부(400)는 틸팅부(300), 즉, 볼하우징(340)의 하단에 구비되며, 검안기와 결합되도록 하단에 결합후크(410)가 형성된다. 결합부(4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상으로, 결합후크(410)는 결합부(40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고, 결합후크(410)의 끝단은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결합부(400)의 하면에는 결합부(400)의 이탈을 방지하고, 결합후크(410)의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해 소정의 탄성을 갖는 완충부(420)가 형성된다. 완충부(420)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며, 완충부(420)로 인해 결합부(400)와 기존 검안기의 거치대 상호간의 유격 발생을 방지해줄 수 있는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실험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영장류(S)의 움직임을 제한함과 동시에 눈꺼풀의 깜빡임을 고정시켜 검안기를 통해 안구의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영장류뿐만 아니라 머리크기가 작은 영,유아에게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영장류(S)의 안구내 유리체에 약물을 투여하기 위해 영장류(S)의 머리를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100 : 고정부 200 : 홀더부
300 : 틸팅부 400 : 결합부

Claims (6)

  1. 영장류(S) 머리의 상단과 턱의 하단을 가압하여 영장류(S) 두부의 움직임이 제한하는 고정부(100);
    상기 고정부(100)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영장류(S)의 눈꺼풀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윗눈꺼풀과 아랫눈꺼풀을 파지하는 홀더부(200);
    상기 고정부(100)의 하단에 장착되어 상기 고정부(100)의 상하높이조절과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틸팅부(300);
    상기 틸팅부(300)의 하단에 구비되며, 검안기와 탈부착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 두부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00)는 상기 영장류(S)의 머리 상단과 접촉되며, 상기 영장류(S) 머리의 크기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부고정대(110);
    상부고정대(110)와 일정간격 이격되며 상기 영장류(S) 턱의 하단이 안착되고 상기 틸팅부(300)의 상단에 연결되는 하부고정대(120);
    상기 상부고정대(110)와 하부고정대(120) 사이에 구비되며, 측면에 상기 홀더부(200)가 장착되고, 좌우대칭인 한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영장류(S) 머리의 크기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중간고정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 두부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대(120)의 상면에는 상기 영장류(S) 턱의 하단이 안착되되, 안착되는 턱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턱안착홈(12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 두부 고정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고정대(110)는 상기 어느 하나의 중간고정대(130)의 상단에 장착되며, 일측단에 연장로드(111-1)가 더 구비되는 제1 상부고정대(111);
    상기 제1 상부고정대(111)와 대칭을 이루며 다른 중간고정대(130)의 상단에 장착되고, 일측에 상기 연장로드(111-1)가 삽입되는 삽입홈(112-1)이 형성되는 제2 상부고정대(112);를 포함하되,
    상기 연장로드(111-1)의 외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는 지지돌기(111-1a)와 상기 지지돌기(111-1a)의 이격된 사이에 지지홈(111-1b)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112-1)의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홈(111-1b)에 맞물리도록 일정간격으로 이격배치되는 끼움돌기(112-1a)와 상기 지지돌기(111-1a)의 상단이 삽입되는 안착홈(112-1b)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 두부 고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200)는 상기 고정부(100)에 연결되는 연장봉(210);
    상기 연장봉(210)에 체결되는 브라켓(220);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브라켓(220)에 끼워지는 조절로드(231)를 포함하는 홀더하우징(230);
    상기 홀더하우징(230)에 장착되어 상기 영장류(S)의 상부눈꺼풀과 하부눈꺼풀에 각각 지지되고, 각각 서로 다른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영장류(S)의 눈꺼풀이 개방된 상태유지시키는 제1 지지부(240) 및 제2 지지부(2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 두부 고정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3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상면이 상기 하부고정대(120)의 하면에 연결되고, 하면에 걸림돌기(311)가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판(310);
    상면에 안착된 상기 슬라이딩판(310)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걸림돌기(311)와 결합되는 결합돌기(321)와 측면에 내측으로 함입되는 결합홈(322)이 형성되는 안착판(320);
    상기 안착판(320)의 하면에 형성되며 소정의 직경을 갖는 구 형상의 볼(330);
    상기 볼(330)의 형상을 따라 방사방향으로 틸팅(tilting)되도록 내측에 상기 볼(330)이 삽입되는 볼하우징(340);
    상기 슬라이딩판(310)과 상기 안착판(320)을 동시에 가압하면서 상기 슬라이딩판(310)을 상기 안착판(320)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슬라이딩판(310)과 체결되는 결합부(3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장류 두부 고정장치.
KR1020200050655A 2020-04-27 2020-04-27 영장류 두부 고정장치 KR102296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655A KR102296597B1 (ko) 2020-04-27 2020-04-27 영장류 두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655A KR102296597B1 (ko) 2020-04-27 2020-04-27 영장류 두부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597B1 true KR102296597B1 (ko) 2021-09-01

Family

ID=7778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655A KR102296597B1 (ko) 2020-04-27 2020-04-27 영장류 두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5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129A (ja) 1997-06-19 1999-01-19 Tanabe Seiyaku Co Ltd モンキーチェア
KR200408717Y1 (ko) 2005-11-08 2006-02-13 유니코스주식회사 일체형 몸체를 갖는 검안기
KR101663159B1 (ko) 2016-02-01 2016-10-07 한국화학연구원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129A (ja) 1997-06-19 1999-01-19 Tanabe Seiyaku Co Ltd モンキーチェア
KR200408717Y1 (ko) 2005-11-08 2006-02-13 유니코스주식회사 일체형 몸체를 갖는 검안기
KR101663159B1 (ko) 2016-02-01 2016-10-07 한국화학연구원 다기능 영장류 실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11268B (zh) 视网膜成像设备和相关方法
US201901919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Analyzing Pupil Images to Determine Toxicology and Neurophysiology
US5617872A (en) Hypersensitive constriction velocity method for diagnosing Alzheimer's disease in a living human
US10842477B2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holding eyelids open
US8602555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binocular anomalies
Glasser et al. Accommodative changes in lens diameter in rhesus monkeys
US10564432B2 (en) Head-mounted display unit and head-mounted display fixing stand
Schor et al. Fatigue of accommodation and vergence modifies their mutual interactions.
US20100036289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ssessment of Vestibulo-Ocular Reflexes
US11911103B2 (en) Personalized patient interface for ophthalmic devices
CN114587902B (zh) 一种眼科治疗用头部固定装置
KR102296597B1 (ko) 영장류 두부 고정장치
TWI672120B (zh) 眼球的連續性量測方法及眼球的連續性量測裝置
Ciuffreda et al. Different rates of functional recovery of eye movements during orthoptics treatment in an adult amblyope.
US8834368B2 (en)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biomicroscopy device and related methods
Jaschinski et al. Fixation disparity, accommodation, dark vergence and dark focus during inclined gaze
US11911102B2 (en) Ophthalmologic apparatus
WO2003007807A1 (fr) Systeme de mesure du champ visuel d'un singe et procede de mesure du champ visuel
He et al. Full-field accommodation in rhesus monkeys measured using infrared photorefraction
US20110275923A1 (en)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biomicroscopy device and related methods
Stephen Designing MEG experiments
KR102095831B1 (ko) 타각식 검안장치
CN213189472U (zh) 一种儿童眼科检查限位固定装置
KR20220064327A (ko) 고글 형태의 광 간섭 단층 촬영장치
Sung et al. A novel technique for measuring ocular duction ran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