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817B1 - 슬립방지부가 형성된 그레이팅 - Google Patents

슬립방지부가 형성된 그레이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817B1
KR101662817B1 KR1020160011072A KR20160011072A KR101662817B1 KR 101662817 B1 KR101662817 B1 KR 101662817B1 KR 1020160011072 A KR1020160011072 A KR 1020160011072A KR 20160011072 A KR20160011072 A KR 20160011072A KR 101662817 B1 KR101662817 B1 KR 101662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base plate
base
unit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덕
Original Assignee
그레이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레이팅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레이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1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3/00Elongated members, e.g. profiled members; Assemblies thereof; Gratings or grilles
    • F16S3/06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 F16S3/08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forming frameworks, e.g. gr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슬립방지부가 형성된 그레이팅은, 제1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1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제1방향의 수직 방향인 제2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 사이에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제2베이스플레이트 및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제2베이스플레이트와 교대로 접합부를 형성하는 이너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이너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단에 돌출된 복수의 슬립방지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슬립방지부가 형성된 그레이팅{Grating Having Slip Preventing Part}
본 발명은 그레이팅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단에 슬립방지부가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그레이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구, 집수로 등 배수를 위한 구조물의 덮개로서 그레이팅(Grating)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그레이팅은 일반적으로 격자 형태로 이루어진 복수의 강재가 서로 연결된 형태를 가지며, 강재 사이에 많은 구멍이 형성되어 유체를 배수시키는 한편, 지지력을 제공하여 보행자 등의 추락을 방지한다.
하지만, 종래의 그레이팅은 일반적으로 스틸 재질로 형성되므로, 강우 또는 강설 시 마찰계수가 크게 저하되어 보행자가 그레이팅 상면을 밟고 미끄러져 다치는 상황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고자 그레이팅을 개선하기 위한 많은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큰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또한 그 제조 단가가 높고 수율이 저조하여 실질적으로 대량생산하여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그레이팅은 격자 간격이 넓어 그 위를 통과하는 휠체어, 유모차, 보행 보조차, 이동 쇼핑카트 등의 이동 수단의 바퀴가 빠지는 문제가 나타나며, 그레이팅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홀이 그대로 보행자의 시야에 노출되므로, 공포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도 있다.
그리고 사각 격자 구조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약하므로,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변형되거나, 심지어는 파손되어 낙하 사고가 종종 발생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보행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내하중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시야 분산성을 높이기 위한 그레이팅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또한 이를 위해, 상기와 같은 그레이팅의 제조 단가를 낮추고, 제조 과정을 전면 자동화할 수 있는 그레이팅 제조설비와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립방지부가 형성된 그레이팅은, 제1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1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제1방향의 수직 방향인 제2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플레이트 사이에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제2베이스플레이트 및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제2베이스플레이트와 교대로 접합부를 형성하는 이너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이너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단에 돌출된 복수의 슬립방지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립방지부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와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는 서로 면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플레이트는, 상기 접합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와 제1각도를 형성하는 제1연장부 및 서로 인접한 제1연장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1각도보다 작은 제2각도를 형성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너플레이트의 높이는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이너플레이트는 서로 인접한 제2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인접한 제2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복수 개의 이너플레이트는, 상기 접합부가 서로 엇갈리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립방지부가 형성된 그레이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슬립방지부에 의해 보행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트러스 구조를 가지는 이너프레임의 형상에 의해 우수한 내하중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다.
셋째,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휠체어, 유모차, 보행 보조차, 이동 쇼핑카트 등의 이동 수단의 바퀴가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시야 분산성이 뛰어나 그레이팅 하부 방향의 시야 노출을 최소화하고, 보행자가 느끼는 공포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에 있어서, 제1베이스플레이트 또는 제2베이스플레이트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에 있어서, 이너플레이트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설비에 있어서, 공급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설비에 있어서, 프레스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설비에 있어서, 프레스장치의 커팅홀 및 커팅블록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설비에 있어서, 프레스장치의 프레스부재들을 자세히 나타낸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설비에 있어서, 프레스장치의 구동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설비에 있어서, 프레스장치의 제4프레스부재의 형태 및 구동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을 제조하기 위해 제1베이스플레이트, 제2베이스플레이트 및 이너플레이트를 상호 접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1)의 전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1)은 제1베이스플레이트(10a)와, 제2베이스플레이트(10b)와, 이너플레이트(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10a)는 제1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한 쌍이 서로 이격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10a)는, 상기 그레이팅(1)의 테두리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외곽변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10b)는 상기 제1방향의 수직 방향인 제2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베이스플레이트(10a) 사이에 복수 개가 서로 이격 배치된다. 즉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10b)는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10a)와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되며,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한 쌍의 제1베이스플레이트(10a)에 접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10a) 및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10b)는 그레이팅(1)의 기초적인 프레임(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플레이트(20)는 상기와 같은 복수의 제2베이스플레이트(10b)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20)의 길이 방향인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베이스플레이트(10b)와 교대로 접합부를 형성하는 형태를 가진다.
즉 상기 이너플레이트(20)는 일측의 제2베이스플레이트(10b) 및 타측의 제2베이스플레이트(10b)에 교대로 접합된 형태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트러스 형태를 형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1)에 있어서, 프레임(10)을 형성하는 제1베이스플레이트 또는 제2베이스플레이트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1)에 있어서, 이너플레이트(2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10a),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10b) 및 상기 이너플레이트(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단에 돌출된 복수의 슬립방지부(12, 2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립방지부(12, 22)는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10a),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10b) 및 상기 이너플레이트(20)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어느 하나를 제외한 나머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슬립방지부(12, 22)는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10a),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10b) 및 상기 이너플레이트(20) 모두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다.
한편 여기서 상단이라 함은 그레이팅(1)을 설치하였을 때 상부로 향하는 방향을 말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1)은 슬립방지부(12, 22)가 형성되므로, 보행자의 미끄러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슬립방지부(12, 22)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태에 따라 미끄러짐 방지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다만, 상기 슬립방지부(12, 22)의 형태는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이너플레이트(20)는 트러스 형태를 가지며, 이에 따라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베이스플레이트(10b) 사이에서 교대로 접합부(24a)를 형성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접합부(24a)는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10b)와 서로 면접촉될 수 있도록 소정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접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너플레이트(20)는 서로 인접한 접합부(24a)를 서로 연결하는 부분이 그 영역 별로 제1연장부(24b)와, 제2연장부(24c)를 포함한다.
상기 제1연장부(24b)는 상기 접합부(24a)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10b)와 제1각도를 형성하는 영역이며, 상기 제2연장부(24c)는 서로 인접한 제1연장부(24b)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10b)와 상기 제1각도보다 작은 제2각도를 형성하는 영역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연장부(24b)와, 제2연장부(24c)에 의해 내하중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시야 분산성을 높여 보행자의 시야에 그레이팅(1)의 하부가 노출되기 어렵게 하여 공포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1)의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이를 제조하기 위한 자동화된 제조설비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 제조설비는, 크게 제1베이스플레이트(10a) 또는 제2베이스플레이트(10b)를 제조하기 위한 베이스플레이트 제조장치와, 이너플레이트(20)를 제조하기 위한 프레스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부적으로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제조장치 또는 프레스장치에 강재 형태의 원재료를 공급하는 공급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제조장치는, 상기 원재료를 커팅하여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10a) 및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10b)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제조장치는 프레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원재료를 소정 길이로 커팅하는 기능과 함께, 상기 원재료의 일측 일부 영역을 커팅하여 전술한 슬립방지부(12)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공급장치 및 상기 프레스장치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설비에 있어서, 공급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설비에 있어서, 프레스장치(300)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장치는 릴유닛(100)과, 피딩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릴유닛(100)은 원재료(P)가 롤 형태로 감긴 회전부(11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110)는 감긴 원재료(P)를 회전에 의해 풀어 상기 프레스장치(300)의 보조공급유닛(302) 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딩유닛(200)은 상기 릴유닛(100)과 상기 프레스장치(3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릴유닛(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재료(P)의 공급 속도와, 공급 길이를 제어한다.
상기 프레스장치(300)는 원재료(P)를 프레싱 및 커팅함에 따라, 트러스 형태의 이너플레이트(20)를 성형하는 구성요소이며, 상기 프레스장치(300)는 상기 이너플레이트(20)를 정밀하게 성형하기 위한 다양한 세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레스장치(300)는 복수 개의 함몰홈(312)이 형성된 베이스(310)와, 상기 함몰홈(312)에 삽입되어 이너플레이트(20)의 트러스 형태를 이루는 각 단위형상을 소성하는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프레스부재(330~355)를 포함하며,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프레스유닛(320)을 포함한다.
즉 상기 프레스유닛(320)은 상하 이동하여 베이스(310) 사이에 공급된 원재료(P)를 압착하여 소성 변형시키고, 상기와 같은 이너플레이트(20)의 트러스 형태를 제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310)에는 복수의 함몰홈(312)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스유닛(320)에는 상기 복수 개의 함몰홈(312)에 각각 대응되는 프레스부재(330~335)를 포함한다. 이들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310)는, 상기 원재료(P)를 상기 베이스(31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지지하며, 상기 프레스유닛(320)의 하향 이동 시 상기 베이스(310)의 내측으로 인입되는 지지부재(305a, 305b)를 포함한다.
즉 상기 지지부재(305a, 305b)는 프레스 과정에서는 상기 프레스유닛(320)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베이스(3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간섭되지 않으며, 상기 프레스유닛(320)이 상향 시에는 탄성에 의해 복원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원재료(P)가 상기 함몰홈(312) 내측에 그대로 위치할 경우 진행이 불가능하므로, 상기 함몰홈(312)에서 소성 변형된 원재료(P)를 이탈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305a, 305b)와 더불어, 상기 함몰홈(3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프레스부재(330~355)에 의해 상기 함몰홈(312) 내측으로 삽입된 원재료(P)를 탄성 배출시키는 커버(314, 도 9 내지 도 11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역시 상기 함몰홈(312)에서 소성 변형된 원재료(P)를 이탈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스유닛(320)은, 고정부(322b)와 이동부(32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22b)는 상기 이동부(322a)의 상부에 구비되며, 이들의 사이에는 완충을 위한 탄성부재, 댐퍼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스유닛(320)이 하향하여 프레스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부(322a)는 상기 고정부(322b) 측으로 이동하여 접촉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이동부(322a)는 상기 고정부(322b) 사이에 있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작동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커팅블록(360a)과 커팅홀(360b)은, 이와 같은 구성요소 중 하나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팅홀(360b)은 상기 베이스(310) 또는 상기 프레스유닛(320)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베이스(310)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커팅홀(360b)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성형돌기(36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커팅블록(360a)은 상기 커팅홀(360b)의 반대 측에 구비되며 상기 커팅홀(360b)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커팅블록(360a)은 프레스유닛(320)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성형돌기(364)에 대응되는 성형홈(36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팅블록(360a)은, 프레스 과정에서 상기 이동부(322a)와 상기 고정부(322b)가 서로 접촉됨에 따라 프레스유닛(32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팅홀(360b)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도 7과 같이 원재료(P)의 일측은 상기 커팅블록(360a)과 상기 커팅홀(360b)에 걸쳐 위치되므로, 프레스 과정에서 상기 커팅블록(360a)은 상기 원재료(P)의 일측 일부 영역을 제거하여 전술한 슬립방지부(22, 도 3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원재료(P)에 트러스 형상을 형성하기 이전에 상기 커팅블록(360a)과 상기 커팅홀(360b)에 의해 슬립방지부(2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팅블록(360a)과 상기 커팅홀(360b)을 통과한 원재료(P)는, 이후 프레스부재(330~355)들에 의해 트러스 형태로 소성 변형된다.
도 8에는, 상기 프레스유닛(320)에 구비된 복수 개의 프레스부재(330~335)의 모습이 자세히 도시되며, 도 9 내지 도 11에는 이들의 구동 과정이 도시된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스부재(330~355)는, 제1프레스부재(330)와, 제2프레스부재(355)와, 제3프레스부재(340)와, 제4프레스부재(355)와, 제5프레스부재(350a, 350b)를 포함한다.
상기 제1프레스부재(330)는 원재료(P)를 프레싱하여 상기 이너플레이트(20, 도 3 참조)의 단위형상을 1차 소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단위형상이라 함은 상기 트러스 구조의 한 단위를 말하는 것으로서, 'V'자 형상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제2프레스부재(335)는 상기 제1프레스부재(330)가 상기 원재료(P)의 1차 소성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제1프레스부재(330)에 의해 기 소성된 단위형상을 상기 함몰홈(312)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재료(P)는 상기 프레스유닛(320)의 1회 프레스 당 서로 인접한 프레스부재(330~355) 각각의 간격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점진적으로 이동하도록 공급되며, 상기 제2프레스부재(335)는 바로 이전 프레스 작업에서 상기 제1프레스부재(330)에 의해 가공된 원재료(P)의 단위형상을 프레스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는 상기 제1프레스부재(330)가 평판 형태의 원재료(P)를 소성 변형시키는 과정에서 제2프레스부재(335)가 원재료(P)를 잡아 고정시키지 않을 경우, 이미 가공되어 이동된 원재료(P)의 후위 영역이 다시 제1프레스부재(330) 측으로 당겨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프레스부재(335)는 상기 제1프레스부재(330)보다 먼저 상기 원재료(P)에 접촉되어 상기 원재료(P)를 고정시킬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2프레스부재(335)는, 상기 제1프레스부재(330)보다 길게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이때 상기 제2프레스부재(33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부(322a)를 관통하여 제1연결부(337)에 의해 고정부(322b)에 연결되며, 상기 고정부(322b)에 인입되거나 인출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프레스부재(335)가 상기 제1프레스부재(330)보다 돌출된 형태를 가지나, 프레스 과정에서는 상기 고정부(322b)에 인입되어 프레스 과정을 간섭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2프레스부재(335)는, 원래 돌출 길이를 유지하기 위해 탄성부재 등에 의해 하부로 복원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제3프레스부재(340)는, 상기 제1프레스부재(330)에 의해 기 소성된 단위형상을 2차 소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3프레스부재(340)는 상기 제1프레스부재에 의해 가공된 단위형상을 다듬어 제품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프레스부재(340)는 상기 제1프레스부재(330)보다 돌출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3프레스부재(340)는 상기 이동부(322a)를 관통하여 제2연결부(342)에 의해 고정부(322b)에 연결된며, 이에 따라 프레스 과정에서 상기 이동부(322a)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원재료(P)를 소성 변형시킬 수 있다.
이상을 정리하면, 도 9와 같이 원재료(P)가 공급된 상태에서 프레스 과정이 수행되어 도 10과 같이 제1프레스부재(330)에 의해 새로운 단위형상이 소성 가공되며, 이때 제2프레스부재(335)는 바로 직전에 가공된 단위형상을 함몰홈(312)에 삽입 고정시킨다. 그리고 동시에 상기 제3프레스부재(340)는 하부에 위치된 단위형상을 다시 한번 소성변형시켜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후 도 11과 같이 원재료(P)가 단위 공급 길이만큼 전진하며, 전술한 과정이 되풀이된다.
한편 제4프레스부재(355)는, 단위형상이 소성된 원재료(P)를 기 설정된 길이마다 커팅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프레스부재(355)의 내부에는 관통홀(357)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357) 내부로는 이동부(322a)를 관통하여 고정부(322b) 측에 연결된 커터(358)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싱 과정에서 상기 커터(358)는 상기 제4프레스부재(355)에 의해 함몰홈(312)에 삽입된 원재료(P)를 타격하여 커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너플레이트(20, 도 3 참조)는 일정 개수의 단위형상을 가질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커터(358)는 상기 원재료(P)의 기 설정된 이동 회수마다 동작되도록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상기 제4프레스부재(355)가 커팅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5프레스부재(350a, 350b)는 상기 제4프레스부재(355)의 양측에서 상기 원재료(P)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5프레스부재(350a, 350b)는, 상기 제5프레스부재(350a, 350b)의 끝단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5프레스부재(350a, 350b)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고정돌기(352, 도 8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352)는 상기 제4프레스부재(355)보다 먼저 원재료(P)에 접촉되어 고정을 수행하는 동시에, 상기 원재료(P)를 보다 높은 압력으로 가압하여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352)는 상기 제5프레스부재(350a, 350b)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으므로, 프레스 과정에서 간섭되지 않으며, 프레스 이후 탄성부재 등에 의해 다시 복원되어 돌출될 수 있다.
이상으로 프레스장치(300)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상기 프레스장치(300)에 의해 이너플레이트(20)가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베이스플레이트 제조장치에 의해 제1베이스플레이트(10a) 및 제2베이스플레이트(10b)가 제조되었으므로, 이후 이들을 서로 접합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팅을 제조하기 위해 제1베이스플레이트(10a), 제2베이스플레이트(10b) 및 이너플레이트(20)를 상호 접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과정에서는 제1베이스플레이트(10a), 제2베이스플레이트(10b) 및 이너플레이트(20)를 용접스테이지(400) 상에 배치하고, 기준틀(410)로 정렬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베이스플레이트(10a), 제2베이스플레이트(10b) 및 이너플레이트(20)를 서로 용접하여 접합하는 것으로 하였으며, 다양한 용접 방법에 의해 이들의 접합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제1베이스플레이트(10a), 제2베이스플레이트(10b) 및 이너플레이트(20)의 접합은 본 실시예 외의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그레이팅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그레이팅의 변형례로서, 본 발명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제2실시예의 그레이팅(1)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그레이팅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1베이스플레이트(10a), 제2베이스플레이트(10b) 및 이너플레이트(20)를 포함한다.
다만,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이너플레이트(20)의 높이(d2)는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10a) 및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10b)의 높이(d1)보다 낮게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이너플레이트(2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한 제2베이스플레이트(10b) 사이에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구비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경우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복수 개의 이너플레이트(20a, 20b)는, 접합부(24a)가 서로 엇갈리게 배열된다. 즉 상기 복수 개의 이너플레이트(20a, 20b)는 서로 빈 공간을 보상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그레이팅의 강도를 크게 증가시키는 것은 물론, 보다 높은 시야 분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그레이팅 10: 프레임
10a: 제1플레이트 10b: 제2플레이트
12, 22: 슬립방지부 20: 이너플레이트
24a: 접합부 24b: 제1연장부
24c: 제2연장부 100: 릴유닛
110: 회전부 200: 피딩유닛
300: 프레스장치 302: 보조공급유닛
305a, 305b: 지지부재 310: 베이스
312: 함몰홈 320: 프레스유닛
322a: 이동부 322b: 고정부
330~355: 프레스부재 360a: 커팅블록
360b: 커팅홀 400: 용접스테이지
410: 기준틀

Claims (6)

  1. 복수 개의 함몰홈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복수 개의 함몰홈에 삽입되도록 서로 이격된 복수 개의 프레스부재를 포함하며,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프레스유닛을 포함하는 그레이팅 제조설비에 의해 제조되는 그레이팅에 있어서,

    제1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제1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제1방향의 수직 방향인 제2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제2베이스플레이트; 및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방향을 따라 한 쌍의 제2베이스플레이트와 교대로 접합부를 형성함에 따라 복수 개의 단위형상이 트러스 구조를 이루는 이너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이너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단에 돌출된 복수의 슬립방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스부재는,
    원재료를 프레싱하여 상기 이너플레이트의 단위형상을 1차 소성하는 제1프레스부재; 및
    상기 제1프레스부재가 상기 원재료의 1차 소성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제1프레스부재에 의해 기 소성된 단위형상을 상기 함몰홈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제2프레스부재;
    를 포함하여,

    상기 이너플레이트는,
    프레스유닛으로 각 단위형상을 순차적으로 소성함에 따라 제조되되, 각 단위형상을 소성하는 과정은, 상기 제2프레스부재를 통해 기 소성된 단위형상을 상기 프레스유닛의 함몰홈 내에 삽입 고정시킨 상태로 상기 제1프레스부재를 통해 상기 원재료의 새로운 단위형상을 소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소성 과정에서 상기 원재료가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조되는 그레이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방지부는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그레이팅.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와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는 서로 면접촉되는 그레이팅.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플레이트는,
    상기 접합부의 양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와 제1각도를 형성하는 제1연장부; 및
    서로 인접한 제1연장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제1각도보다 작은 제2각도를 형성하는 제2연장부;
    를 포함하는 그레이팅.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플레이트의 높이는 상기 제1베이스플레이트 및 상기 제2베이스플레이트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며,
    상기 이너플레이트는 서로 인접한 제2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그레이팅.
  6. 제5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한 제2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구비되는 상기 복수 개의 이너플레이트는, 상기 접합부가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는 그레이팅.
KR1020160011072A 2016-01-29 2016-01-29 슬립방지부가 형성된 그레이팅 KR101662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072A KR101662817B1 (ko) 2016-01-29 2016-01-29 슬립방지부가 형성된 그레이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072A KR101662817B1 (ko) 2016-01-29 2016-01-29 슬립방지부가 형성된 그레이팅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817B1 true KR101662817B1 (ko) 2016-10-14

Family

ID=57157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072A KR101662817B1 (ko) 2016-01-29 2016-01-29 슬립방지부가 형성된 그레이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8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525A (ko) * 2019-10-22 2021-04-30 차명순 미끄럼방지기능을 구비한 그레이팅 크로스바 벤딩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673B1 (ko) * 2013-12-03 2014-09-23 (주)우창그레이팅 중 하중용 고강성 그레이팅
KR101494330B1 (ko) * 2013-03-11 2015-02-23 김상돈 그레이팅
KR20160000327U (ko) * 2014-07-18 2016-01-28 그레이팅코리아 주식회사 2층 구조의 입체 그레이팅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330B1 (ko) * 2013-03-11 2015-02-23 김상돈 그레이팅
KR101432673B1 (ko) * 2013-12-03 2014-09-23 (주)우창그레이팅 중 하중용 고강성 그레이팅
KR20160000327U (ko) * 2014-07-18 2016-01-28 그레이팅코리아 주식회사 2층 구조의 입체 그레이팅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525A (ko) * 2019-10-22 2021-04-30 차명순 미끄럼방지기능을 구비한 그레이팅 크로스바 벤딩장치
KR102269987B1 (ko) * 2019-10-22 2021-06-28 에스에이치플랜트 주식회사 미끄럼방지기능을 구비한 그레이팅 크로스바 벤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1467B2 (en) Stamping device and stamping method
JP5852590B2 (ja) 金属型押し処理における廃材の低減およびそのためのシステム
JP6193123B2 (ja) 網状金属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662817B1 (ko) 슬립방지부가 형성된 그레이팅
EP0150818B1 (en) Press forming process and apparatus therefor
KR101633401B1 (ko) 그레이팅의 제조설비 및 제조방법
KR101536240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거더 제작방법
KR101352511B1 (ko) 범퍼 빔 금형 장치 및 범퍼 빔 제조 방법
US20180334077A1 (en) Tie down apparatus, system, method
KR20180110251A (ko) 거더의 시공방법 및, 프리스트레스 도입장치
JP5553678B2 (ja) ストッパ付筒状体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KR20140132558A (ko) 비계용 안전발판의 제조방법
CN101590500A (zh) 挤拉设备
KR101261311B1 (ko) 파형강판 펀칭장치
KR100547026B1 (ko) 거푸집용 타이바아의 체결구멍 성형방법 및 그 체결구멍확장 성형장치
KR101100350B1 (ko) 박판 소재 성형용 프레스 금형장치
US4399342A (en) Grating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JP2002086213A (ja) 溶接鋼管の成形方法および装置
KR101843547B1 (ko) 주차기기의 주차영역 지지프레임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주차영역 지지프레임,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주차기기
KR20030000434A (ko) 스틸그레이팅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2349396B1 (ko) 다양한 규격의 그레이팅을 하나의 프레스 금형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그레이팅
JPS62282731A (ja) 絞り成形型装置
JP6734952B1 (ja) 筒状部材及び筒状部材の製造方法
KR102191863B1 (ko) 하부금형 클램핑수단을 구비한 절곡기
JP2005146729A (ja) グレーチングとその組立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