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651B1 - 자력구동식 댐퍼장치 - Google Patents

자력구동식 댐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651B1
KR101661651B1 KR1020150030243A KR20150030243A KR101661651B1 KR 101661651 B1 KR101661651 B1 KR 101661651B1 KR 1020150030243 A KR1020150030243 A KR 1020150030243A KR 20150030243 A KR20150030243 A KR 20150030243A KR 101661651 B1 KR101661651 B1 KR 101661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housing
permanent magnet
damper
electromagnets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0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7472A (ko
Inventor
정명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앤텍
Priority to KR1020150030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651B1/ko
Publication of KR20160107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7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력구동식 댐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의 기체유로를 통해 공기가 통과되는 댐퍼하우징과, 상기 댐퍼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댐퍼하우징을 관통하여 댐퍼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축연장부를 갖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댐퍼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됨으로써 상기 기체유로를 개폐하는 차단판과, 상기 댐퍼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된 축연장부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영구자석이 구비된 축회전자와, 상기 축회전자의 회전경로 상에 서로 직각을 이루어 이격 배치되며, 상기 영구자석에 대한 척력과 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차단판이 기체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축회전자를 회전시키는 한쌍의 전자석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구자석과 전자석의 자력을 통해 개폐작동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과 함께 원활한 공기흐름을 통해 환기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력구동식 댐퍼장치 {Magnetism damper}
본 발명은 자력구동식 댐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영구자석과 전자석의 효율적인 자력작용을 통해 소비전력을 절감하면서 개폐작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과 함께 환기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자력구동식 댐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장치는 건물의 공조시스템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외부공기를 급기하고, 오염된 실내공기를 배기함으로써 실내를 항상 신선한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장치이다.
그리고, 이러한 환기장치에는 통상적으로 댐퍼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댐퍼장치는 환기장치의 환기팬이 구동되지 않을 시에는 기체유로를 차단시켜 외기가 실내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환기팬이 구동되면 기체유로를 개방시킴으로써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종래의 댐퍼장치는 통상적으로, 내부에 중공의 기체유로가 형성된 원통형상의 댐퍼하우징과, 상기 댐퍼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90도 회전됨에 따라 기체유로를 개폐하는 차단판과,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회전축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차단판을 회전시키는 전동부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댐퍼장치는 차단판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전동부가 고가의 모터로 구성되어 있어 제조비용이 상승되고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의 해소를 위해 모터의 구동력 대신에 영구자석과 전자석을 통한 자력에 의해 차단판을 개폐시키는 구성이 등록특허 제10-1108633호를 통해 개시되었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댐퍼의 경우, 영구자석이 차단판 자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전자석은 차단판의 회전경로인 댐퍼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자석의 자력에 의해 차단판을 회전시키는 구성이므로, 차단판의 회전에 따른 영구자석의 회전반경이 상당하여 영구자석과 전자석의 이격간격이 크기때문에 전자석에서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차단판을 원활하게 회전시키기가 어려우며, 한편 원활한 회전을 위해서는 전자석이 큰 자력을 발생시켜야만 하므로 전자석의 제조비용이 증가되고 소비전력도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단판에 구비된 영구자석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전자석이 댐퍼하우징의 내부인 기체유로 상에 설치되는 구성이므로, 전자석의 설치공간만큼 기체유로에 손실이 발생하면서 공기흐름을 방해할 수 밖에 없으며, 그에 따라 종래의 댐퍼에 비하여 환기효율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석이 기체유로 상에 위치되므로 기체유로를 통과하는 오염된 공기에 그대로 노출됨으로써 유지보수의 필요성이 큰 반면, 이러한 전자석을 유지보수하기 위해서는 댐퍼장치를 환기장치의 배기라인으로부터 분리시켜야만 하므로 유지보수가 불편하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108633호호 : 마그네틱과 솔레노이드의 자성을 이용한 연동형 댐퍼 (공고일자 : 2012년01월31일) 등록특허 제10-1089894호 : 환기구용 댐퍼장치 (공고일자 : 2011년12월05일)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구자석과 전자석의 자력을 통해 차단판을 회전시키되, 영구자석의 회전반경이 최소화됨과 함께 기체유로를 전혀 침해하지 않도록 구성을 개선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면서도 차단판을 원활하게 회전 구동시킬 수 있음과 함께, 공기흐름을 전혀 방해하지 않아 환기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유지보수까지도 용이한 자력구동식 댐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내부의 기체유로를 통해 공기가 통과되는 댐퍼하우징과, 상기 댐퍼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댐퍼하우징을 관통하여 댐퍼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는 축연장부를 갖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댐퍼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됨으로써 상기 기체유로를 개폐하는 차단판과, 상기 댐퍼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된 축연장부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영구자석이 구비된 축회전자와, 상기 축회전자의 회전경로 상에 서로 직각을 이루어 댐퍼하우징의 외부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영구자석에 대한 척력과 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차단판이 기체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축회전자를 회전시키는 한쌍의 전자석과, 환기팬에 인가되는 구동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전원충전부와, 상기 한쌍의 전자석이 각각 척력과 인력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환기팬에 구동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차단판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축회전자가 90도 회전되도록 구동전원을 통해 한쌍의 전자석을 제어함과 함께, 환기팬에 구동전원이 차단되면, 차단판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축회전자가 90도 회전되도록 상기 전원충전부의 충전전원을 통해 한쌍의 전자석을 제어하는 전자석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력구동식 댐퍼장치가 개시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자력구동식 댐퍼장치에 의하면,
회전축에 영구자석이 설치되고 그 회전경로에 직각으로 한쌍의 전자석이 설치되어 자력에 의한 회전효율이 향상되므로 제조비용 및 소비전력을 줄이면서도 보다 원활하게 공기의 개폐작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자력발생을 위한 축회전자와 전자석이 모두 댐퍼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되면서 기체유로 상에 설치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공기흐름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아 환기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자석이 댐퍼하우징의 외부에 위치되어 통과되는 오염공기에 전혀 노출되지 않으므로 유지보수의 필요성이 크게 감소됨과 함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도 환기장치의 배기라인으로부터 분리시킬 필요없이 바로 청소나 수리, 교체작업이 가능하므로 유지보수가 매우 편리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한쌍의 전자석을 통해 척력과 인력의 조화를 통해 차단판을 회전시키므로 차단판의 신속한 회전이 가능함과 함께, 개방 또는 폐쇄상태에서도 영구자석이 한쌍의 전자석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되어 일정한 고정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차단판의 유동을 억제하여 보다 안정적인 개방 및 폐쇄상태의 유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환기팬과 연동하여 개방 작동되고 충전전원을 통해 폐쇄 작동되므로 전자석의 작동을 위해 별도의 전원공급수단이 필요없어 구성이 보다 간단해지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따른 자력구동식 댐퍼장치의 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력구동식 댐퍼장치의 내부 및 회전축과 축회전자의 단면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한쌍의 전자석에 의한 축회전자 및 차단판의 회전작동을 일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한쌍의 전자석에 의한 축회전자의 회전작동을 구분하여 예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제어를 위한 구성을 블록구성도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력구동식 댐퍼장치의 구성을 일 예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차단판 및 회전축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차단판이 개방되는 작동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력구동식 댐퍼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요소간의 간격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축소되거나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만일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되어”, “설치되어”, “결합되어”있다고 기재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형성, 설치,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력구동식 댐퍼장치가 예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들에 예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력구동식 댐퍼장치(이하, “댐퍼장치”라 약칭함.)는 댐퍼하우징(10)과, 회전축(20)과, 차단판(30)과, 축회전자(40)와, 한쌍의 전자석(50a, 50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하우징(10)은 양단이 개방되어 유입구(11)와 유출구(12)가 형성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중공의 기체유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댐퍼하우징(10)의 일측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축회전자(40)가 수용되고, 한쌍의 전자석(50a, 50b)이 내장 배치되는 외부케이스(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0)은 상기 댐퍼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후술하는 상기 차단판(30)의 회전 중심축으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회전축(20)은 댐퍼하우징(10)을 관통하여 댐퍼하우징(10)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축연장부(21)를 갖는다.
상기 차단판(30)은 상기 회전축(20)에 중심부가 결합되어 댐퍼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원형의 판재로서, 상기 회전축(20)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20)을 중심으로 하여 90도 회전됨으로써 댐퍼하우징(10) 내부의 기체유로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게 된다.
즉, 상기 차단판(30)은 도 3에 일 예시된 것처럼, 수평상태에서 수직상태로 90도 회전됨으로써 기체유로를 개방시키고,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90도 회전됨으로써 기체유로를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축회전자(40)는 상기 회전축(20)의 축연장부(21)에 회전축(20)의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따라서 댐퍼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가 된다.
여기서, 회전축(20)에서 상기 축회전자(40)가 돌출되는 방향은 회전축(20)에 결합된 상기 차단판(30)의 결합방향과 동일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회전축(20)에 대해 축회전자(40)가 수평상태이면 차단판(30)도 수평이고, 축회전자(40)가 수직상태이면 차단판(30)도 수직으로 동일한 방향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축회전자(40)에는 후술하는 한쌍의 전자석(50a, 50b)과의 자력작용을 위하여 영구자석(41)이 구비된다.
상기 한쌍의 전자석(50a, 50b)은 축회전자(40)에 구비된 상기 영구자석(41)에 대하여 척력과 인력을 각각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축회전자(40)를 90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한쌍의 전자석(50a, 50b)은 상기 축회전자(40)의 회전경로(R) 상에 배치되는데, 특히 90도의 각도간격으로 이격되어 서로 직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축회전자(40)의 회전경로(R) 상에 배치되므로 상기 한쌍의 전자석(50a, 50b)도 축회전자(40)와 마찬가지로 댐퍼하우징(10)의 외부에 위치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전자석(50a, 50b)의 자력발생을 제어하기 위하여, 도 5에 예시된 것과 같이 전원충전부(60)와, 전자석제어부(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충전부(60)는 환기장치의 환기팬(F)이 작동되도록 환기팬(F)에 구동전원이 인가되면,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제공받아 충전되는 부분이며, 이러한 전원충전부(60)의 충전전원은 환기팬(F)의 구동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한쌍의 전자석(50a, 50b)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으로 사용된다.
상기 전자석제어부(70)는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한쌍의 전자석(50a, 50b)이 각각 척력과 인력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전자석제어부(70)는 환기팬(F)에 구동전원이 인가되어 환기팬(F)이 작동되면, 상기 차단판(30)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축회전자(40)가 90도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전원을 통해 한쌍의 전자석(50a, 50b)을 제어함과 함께, 환기팬(F)에 구동전원이 차단되어 환기팬(F)의 작동이 정지되면, 차단판(30)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축회전자(40)가 90도 회전되도록 상기 전원충전부(60)의 충전전원을 통해 한쌍의 전자석(50a, 50b)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전자석제어부(70)는 환기팬(F)이 작동될 때는 환기팬(F)으로 인가되는 구동전원을 통해 한쌍의 전자석(50a, 50b)을 제어함으로써, 환기팬(F)의 작동에 연동하여 차단판(30)을 개방시키지만, 구동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는 차단판(30)이 폐쇄되도록 구동전원을 통해 제어할 수가 없는 바, 이 때에는 상기 전원충전부(60)의 충전전원을 통해 한쌍의 전자석(50a, 50b)을 제어함으로써 차단판(30)이 폐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댐퍼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환기팬(F)이 작동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외기의 역류를 방지하게 되는데, 도 1에 예시된 것처럼 축회전자(40)가 수평한 상태이며, 따라서 축회전자(40)와 동일한 방향의 차단판(30)도 수평상태로서 댐퍼하우징(10)의 기체유로를 폐쇄시켜 외기의 역류를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축회전자(40)에 구비된 영구자석(41)은 한쌍의 전자석(50a, 50b) 중 수직으로 설치된 전자석(50b)쪽에 위치되는데, 이 때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전자석(50b)이 자력을 발생시키지 않더라도 전자석(50b) 자체의 금속성분으로 인해 서 영구자석(41)은 전자석(50b)에 일정한 고정력으로 부착이 이루어지게 되며, 그에 따라 차단판(30)은 유동되지 않고 폐쇄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댐퍼장치가 폐쇄된 상태에서, 환기를 위하여 환기팬(F)에 구동전원이 인가됨으로써 환기팬(F)이 작동되면,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 또한 연동하여 개방되도록 작동된다.
이를 위해 먼저, 전자석제어부(70)는 구동전원을 인가하여 한쌍의 전자석(50a, 50b)이 자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데, 즉 축회전자(40)의 영구자석(41)에 대해 수평으로 설치된 전자석(50a)은 인력을 발생시키고 수직으로 설치된 전자석(50b)은 척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렇게 한쌍이 전자석(50a, 50b)이 인력과 척력을 발생시키면 그 자력에 의해 영구자석(41)이 구비된 축회전자(40)는 90도 회전(도 3과 도 4의 (b)를 참조하면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을 하게 되고, 이러한 축회전자(40)의 회전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회전축(20) 및 차단판(30)도 함께 동일방향으로 90도 회전이 됨으로써 차단판(30)이 수직상태로 전환되면서 댐퍼하우징(10) 내부의 기체유로를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차단판(30)이 회전되어 기체유로가 개방되면, 전자석제어부(70)는 인가전원을 차단하게 되며, 이렇게 전원이 차단되어 전자석(50a)이 자력을 발생시키지 않더라도 전술한 것처럼 영구자석(41)이 수평으로 설치된 전자석(50a)에 일정한 고정력으로 부착되므로, 기체유로를 통과하는 공기흐름에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개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기체유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환기팬(F)이 구동되어 환기가 이루어지는 동안 충전전원부(60)에서는 환기팬(F)의 구동전원을 통해 충전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환기상태에서 구동전원이 차단되면 환기팬(F)의 작동이 정지되며, 본 발명의 댐퍼장치는 다시 외기의 역류 방지를 위하여 폐쇄상태로 전환되는데, 이를 위해 먼저, 전자석제어부(70)는 상기 충전전원부(60)의 충전전원을 인가하여 한쌍의 전자석(50a, 50b)이 다시 자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 때, 전자석제어부(70)는 개방시와는 반대의 극성을 갖도록, 즉 축회전자(40)의 영구자석(41)에 대하여 수평으로 설치된 전자석(50a)은 척력을 발생시키고 수직으로 설치된 전자석(50b)은 인력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렇게 한쌍의 전자석(50a, 50b)이 척력과 인력을 발생시키면 그 자력에 의해 영구자석(41)이 구비된 축회전자(40)는 개방시의 역방향으로 90도 회전(도 3과 도 4의 (a)를 참조하면 반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을 하게 되고, 이러한 축회전자(40)의 회전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 회전축(20) 및 차단판(30)도 함께 동일방향으로 90도 회전이 됨으로써 차단판(30)이 다시 수평상태로 전환되면서 댐퍼하우징(10) 내부의 기체유로를 폐쇄시키게 된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댐퍼장치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들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댐퍼장치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내부에 기체유로를 갖는 댐퍼하우징(10)과, 상기 댐퍼하우징(10)에 설치되면서 댐퍼하우징(10)의 외부로 연장된 축연장부(21)를 갖는 회전축(20)과, 상기 회전축(20)에 결합되어 회전됨으로써 기체유로를 개폐하는 차단판(30)과, 상기 축연장부(21)에 형성되면서 영구자석(41)를 구비한 축회전자(40)와, 축회전자(40)의 회전경로(R)에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어 척력과 인력에 의해 상기 축회전자(40)를 회전시키는 한쌍의 전자석(50a, 50b)으로 구성되며, 다만, 차단판(30)의 중심부가 회전축(20)에 결합된 구조가 아니라, 차단판(30)의 일단이 회전축(20)에 결합되어 힌지 방식으로 회전되면서 기체유로를 개폐하는 차이점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회전축(20)이 차단판(30)의 힌지축으로서 기능하게 되며, 차단판(30) 또한 원판형태가 아니라 댐퍼하우징(10) 내부에서 힌지 회전이 가능하게 도 7예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며, 댐퍼하우징(10) 내부에는 상기 차단판(30)이 밀착되면서 기체유로를 폐쇄할 수 있도록 판밀착단(1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댐퍼장치도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작동과 동일하게, 환기팬(F)이 작동되면, 한쌍의 전자석(50a, 50b)에서 발생되는 척력과 인력에 의해서 도 8에 예시된 것처럼 차단판(30)을 회전시켜 기체유로를 개방시키게 되고, 환기팬(F)의 작동이 정지되면, 한쌍의 전자석(50a, 50b)에서 반대로 인력과 척력이 발생되어 도 6에 예시된 것처럼, 차단판(30)이 판밀착단(14)에 밀착되도록 회전시킴으로써 기체유로를 폐쇄하는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댐퍼장치는 회전축에 형성된 축회전자를 전자석 한쌍의 척력과 인력을 통해 회전시키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자력범위를 가지고도 차단판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축회전자와 전자석이 모두 기체유로와는 무관하게 외부에 구비되므로 환기효율이 저하됨이 없이 원활한 환기가 가능함과 함께 댐퍼하우징을 분리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없이 전자석 등의 관련부품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유지보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댐퍼하우징 11: 유입구
12: 유출구 20: 회전축
21: 축연장부 30: 차단판
40: 축회전자 41: 영구자석
50a,50b: 전자석 60: 전원충전부
70: 전자석제어부

Claims (2)

  1. 내부의 기체유로를 통해 공기가 통과되는 댐퍼하우징(10);
    상기 댐퍼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댐퍼하우징(10)을 관통하여 댐퍼하우징(10)의 외부로 연장되는 축연장부(21)를 갖는 회전축(20);
    상기 회전축(20)에 결합되어 댐퍼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며, 회전됨에 따라 상기 기체유로를 개폐하는 차단판(30);
    상기 댐퍼하우징(10)의 외부로 연장된 상기 축연장부(21)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영구자석(41)이 구비된 축회전자(40);
    상기 축회전자(40)의 회전경로(R) 상에 서로 직각을 이루어 댐퍼하우징(10)의 외부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영구자석(41)에 대한 척력과 인력을 발생시켜 상기 차단판(30)이 기체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축회전자(40)를 회전시키는 한쌍의 전자석(50a, 50b);
    환기팬(F)에 인가되는 구동전원에 의해 충전되는 전원충전부(60);
    상기 한쌍의 전자석(50a, 50b)이 각각 척력과 인력을 발생하도록 제어하되, 상기 환기팬(F)에 구동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차단판(30)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축회전자(40)가 90도 회전되도록 구동전원을 통해 한쌍의 전자석(50a, 50b)을 제어함과 함께, 환기팬(F)에 구동전원이 차단되면, 차단판(30)이 폐쇄되는 방향으로 축회전자(40)가 90도 회전되도록 상기 전원충전부(60)의 충전전원을 통해 한쌍의 전자석(50a, 50b)을 제어하는 전자석제어부(70);를 포함하는 자력구동식 댐퍼장치.
  2. 삭제
KR1020150030243A 2015-03-04 2015-03-04 자력구동식 댐퍼장치 KR101661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243A KR101661651B1 (ko) 2015-03-04 2015-03-04 자력구동식 댐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0243A KR101661651B1 (ko) 2015-03-04 2015-03-04 자력구동식 댐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472A KR20160107472A (ko) 2016-09-19
KR101661651B1 true KR101661651B1 (ko) 2016-09-30

Family

ID=57079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0243A KR101661651B1 (ko) 2015-03-04 2015-03-04 자력구동식 댐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6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03100B2 (ja) * 2019-12-19 2023-07-04 リンナイ株式会社 予混合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633B1 (ko) * 2011-06-23 2012-01-31 (주)대양기연 마그네틱과 솔레노이드의 자성을 이용한 연동형 댐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4958A (ja) * 1990-02-20 1991-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ダンパ装置
KR101089894B1 (ko) 2009-08-27 2011-12-05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구용 전동댐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8633B1 (ko) * 2011-06-23 2012-01-31 (주)대양기연 마그네틱과 솔레노이드의 자성을 이용한 연동형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7472A (ko)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846B1 (ko) 역풍방지용 댐퍼
TW201107639A (en) Plate rotating device, exhaust path opening degree changing device, exhausted device, transfer device, beam device, and gate valve
JP2009290979A (ja) 永久磁石型モータ
US20140169771A1 (en) Heating and ventilating fan
KR101661651B1 (ko) 자력구동식 댐퍼장치
KR102239879B1 (ko) 환풍기 역류 방지 댐퍼
CN109612065A (zh) 吹风装置出口和空调
JP2005313894A (ja) 自動車のためのhvac(暖房、換気、及び空調)のドア取り付け装置
BE1027970B1 (nl) Klepsamenstel voor een luchtkanaal in of aan een ventilatiesysteem
KR101108633B1 (ko) 마그네틱과 솔레노이드의 자성을 이용한 연동형 댐퍼
KR100926583B1 (ko) 자력을 이용한 외기차단용 댐퍼
JP2011052635A (ja) ラジエータ通風構造
KR101431552B1 (ko) 코일을 이용한 버터플라이 밸브
JPH05106757A (ja) 電磁力駆動の制御弁装置
JP6862054B2 (ja) 燃焼用ガス量制御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20120140500A (ko) 역류방지댐퍼
WO2017213120A1 (ja) 可変風量装置
JP5396204B2 (ja) ラジエータ通風構造
CN219713647U (zh) 导风组件和空调室内机
CN110541959B (zh) 电动蝶阀及空调装置
JP4353397B2 (ja) 外部制御式ファン・カップリング装置
KR20170103150A (ko) 풍량비 조절이 가능한 환기시스템
KR102472351B1 (ko) 저소음 연삭장치
JPH02130341A (ja) ダンパー装置
KR20150116333A (ko) 좌우 이동 가능한 리니어 솔레노이드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