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249B1 -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 - Google Patents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249B1
KR101661249B1 KR1020150044837A KR20150044837A KR101661249B1 KR 101661249 B1 KR101661249 B1 KR 101661249B1 KR 1020150044837 A KR1020150044837 A KR 1020150044837A KR 20150044837 A KR20150044837 A KR 20150044837A KR 101661249 B1 KR101661249 B1 KR 101661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ver body
door
cover doo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현
오세권
Original Assignee
송경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경일 filed Critical 송경일
Priority to KR1020150044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8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resilient rings acting substantially isotropically, e.g. split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에 관한 것으로, 가로등의 전기장치가 설치되는 수용홈을 쉽고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고, 내부로 이물질이나 빗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며, 개폐 구조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쉽게 열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것으로서, 가로등주(1)의 전기장치 수용홈의 외곽으로부터 돌출되는 측벽(111)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111)의 상측 선단에서 상기 가로등주(1) 측으로 하향하는 경사면(110)이 형성되는 커버본체(10) 및 하부 일측이 상기 커버본체(10)의 하측에 힌지축(20)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커버본체(10)를 개폐시키며, 상기 힌지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측 단부의 내측으로 상기 커버본체(10)의 경사면(110)을 수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면(150)이 형성되는 커버도어(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COVER OF ELECTRICAL DEVICE FOR STREET LIGHTS}
본 발명은 가로등주 내에 설치되는 전기장치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며, 외부에서 조작을 위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내부를 개폐시키는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지면이나 보도블럭 및 노면의 일측에 설치되는데 통상 바닥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매립되는 콘크리트기초와 시공된 앵커볼트에 가로등주 하단의 받침구를 관통시켜 다수 개의 너트로 결합된다.
이러한 가로등은 가로등주의 내부에 소정의 위치를 선정하여 수용홈을 형성하고, 수용홈의 내부에 각종 전기부품들을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용홈에 설치되는 대표적인 전기부품으로서, 가로등 램프로 안정적인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안정기와, 램프로 공급되는 전류의 누전을 감지하여 차단하기 위한 차단기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안정기와 차단기는 통상적으로 약간의 거리를 두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가로등의 전기부품은 가로등주의 외부에 형성되는 커버에 의해 개방되는 공간을 통해 유지 관리된다. 그리고, 평상시에는 가로등 주변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수시로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종래의 일반적인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는 가로등주에 형성되는 수용홈의 외부를 덮는 커버를 나사 또는 볼트로 체결하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일반적인 구성은 가로등의 외면과 커버 사이로 형성되는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은 물론이고, 가로등의 특성상 실외에 설치되기 때문에 우천시 빗물이 가로등주를 따라 흘러내려 틈새로 유입되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나사 또는 볼트 체결 방식은 바람이나 대지의 진동에 의해 풀리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커버가 가로등주로부터 분리되거나 분실됨으로써, 가로등의 전기장치 수용홈이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전기장치 커버는 개폐 동작을 위해 핀으로 결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핀 결합 방식은 개폐 동작이 반복됨에 따라서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외부로 핀의 일부가 돌출되어 가로등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어 선출원된 종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024571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103402호 등이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전기장치 수용홈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힌지에 의해 커버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커버를 개방할 경우 힌지 및 힌지를 고정하는 체결구의 결합 부위가 손상되기 쉬운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힌지 또는 체결구의 손상에 의해 커버가 잘 닫기지 않게 되거나, 가로등으로부터 이탈되어 분실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커버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잠금 수단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커버를 손으로 조작하여 닫은 상태에서 열쇠나, 레버 등을 이용해 다시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뒤따른다. 이 경우, 열쇠를 분실하거나, 레버 등이 파손될 경우에는 커버가 제대로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결국에는 커버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되거나, 손상 또는 분실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024571호(2009.03.09)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103402호(2009.10.0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로등의 전기장치가 설치되는 수용홈을 쉽고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고, 가로등의 외면과 커버 사이의 틈새로 이물질이나 빗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며, 커버 개폐 구조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커버가 쉽게 열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여, 파손이나 손상 및 이로 인한 분실 등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로등주의 전기장치 수용홈의 외곽으로부터 돌출되는 측벽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의 상측 선단에서 상기 가로등주 측으로 하향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커버본체 및 하부 일측이 상기 커버본체의 하측에 힌지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커버본체를 개폐시키며,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측 단부의 내측으로 상기 커버본체의 경사면을 수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면이 형성되는 커버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가 제공된다.
상기 커버본체에 대해 상기 커버도어의 상하 이동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상기 걸림면을 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키는 탄성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구동부는, 상기 커버도어를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걸림면을 상기 경사면에 밀착시키도록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도어는, 상기 커버본체의 전방을 덮는 전면부 및 상기 전면부의 외곽에서 절곡을 이루어 상기 커버본체의 측벽 상의 외측면을 덮는 측단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구동부는, 상기 커버도어와 연동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구동체와, 상기 힌지축의 축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구동체의 내부 일측의 위치에 고정단부를 형성하는 가이드축 및 상기 가이드축으로 삽입되어, 일측의 끝부가 상기 고정단부에 지지되고, 반대쪽 끝부는 상기 구동체의 일측에 지지되어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
상기 구동체는, 상기 가이드축과, 상기 고정단부 및 상기 탄성체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축을 통과시키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상하측 단부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커버본체에는, 상기 경사면의 선단으로부터 하부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커버도어의 전면부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절곡면 및 상기 절곡면의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공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도어에는, 상기 절곡면의 체결공에 대응하는 전면부에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과 상기 체결공으로 잠금부재를 체결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에 따르면, 가로등에 설치되는 전기장치의 유지 보수를 위해 개폐시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개폐시킬 수 있고, 노면의 진동이나 강풍에 의해 커버도어가 열리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개폐 구조 상의 강도가 증가되어 커버도어의 손상 및 분실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로등 전기장치는 우천시 하늘에서 떨어지는 빗물 또는 가로등주를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이 커버도어의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장치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장치 커버가 가로등주에 설치된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장치 커버가 가로등주에 설치된 형상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장치 커버가 가로등주에 설치된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장치 커버의 상부 형상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장치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장치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등 전기장치 커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로등 전기장치 커버가 가로등주에 설치된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로등 전기장치 커버가 가로등주에 설치된 형상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로등 전기장치 커버가 가로등주에 설치된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가로등주(1)에 커버(100)가 설치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가로등주(1)가 위치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장치 커버(100)는 가로등주 상에 고정 설치되는 커버본체(10)와, 커버본체(10)에 결합되어 개폐시키는 커버도어(15)와, 커버본체(10)에 대해 커버도어(15)를 탄성적으로 이동시키는 탄성구동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커버본체(10)는 가로등주(1)에 전기장치(미도시함)를 설치하기 위해 형성되는 수용홈(미도시함)의 외곽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측벽(111)을 갖는다. 이러한 측벽(111)은 수용홈의 외각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홈의 형상에 따라서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로등주(1)로부터 돌출되는 측벽(111)의 전방은 가로등주(1)의 외부에서 작업자가 수용홈 내부에 설치된 전기장치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해 접근 가능하도록 개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버본체(10)는 측벽(111)의 상측 선단에서 후방의 가로등주(1) 측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경사면(110)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110)은 후술될 커버도어(15)를 닫은 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커버본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부측에 가로등주(1)의 외주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과 크기를 갖는 라운드부(11)가 형성되어, 라운드부(11)를 가로등주(1)의 외주면에 끼워 맞춘 후 용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커버도어(15)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일측이 상기 커버본체(10)의 하측에 힌지축(20)으로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20)에 의해 상측이 원호를 이루도록 회전하여 커버본체(10) 전방의 개방된 부위를 개폐시키도록 형성된다. 이때, 힌지축(20)에 의해 회전하는 상측 단부는 커버본체(10)의 상측에 형성되는 경사면(110)을 내측으로 수용하여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걸림면(150)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버도어(1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본체(10)의 전방의 개방된 부위를 덮는 전면부(151)와, 이 전면부(151)의 외곽에서 각각 절곡을 이루어 커버본체(10)의 측벽의 외측을 덮는 측단면부(251)로 이루어진다. 즉, 커버도어(15)는 힌지축(20)에 의해 회전시 전면부(151)와 측단면부(251)가 커버본체(10)의 전방과 측벽(111)의 외측면을 각각 덮어 감싸는 형태로 폐쇄시킨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커버본체(10)의 경사면(110)과, 커버도어(15)의 걸림면(150)은 서로 동일한 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경사면(110)과 걸림면(150)은 전방의 선단으로부터 가로등주(1) 측의 후방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는 면끼리 서로 접촉을 이루어, 커버도어(15)가 커버본체(10)를 닫은 상태에서 경사가 이루는 각도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커버도어(15)는 후술될 탄성구동부(30)에 의해 탄성력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상하 이동 및 복귀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경사면(110)과 걸림면(150)은 커버도어(15)를 고정하기 위해 걸림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하늘에서 떨어지는 빗물이나, 가로등주(1)를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이 커버본체(10) 전방의 개방된 부위와 커버도어(15) 간의 틈새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즉, 커버본체(10)의 상부로 흘러내리는 빗물은 경사면(110)에 의해 가로등주(1) 측으로 흘러내린다. 이러한 가로등주(1) 측에는 커버본체(10)가 용접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빗물이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커버본체(10)의 경사면(110) 선단은 커버도어(15)에 의해 감싸지기 때문에 커버도어(15)의 걸림면(150)에 의해 이중 밀폐구조를 이루는 동시에, 걸림면(150)의 경사에 의해 가로등주(1) 측으로 빗물이 쉽게 흘러내리도록 한다.
탄성구동부(30)는 커버본체(10)에 대한 커버도어(15)의 상하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측의 경사면(110)으로부터 커버도어(15)의 걸림면(150)을 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키도록 한다. 즉, 커버도어(15)의 걸림면(150)을 커버본체(10)의 경사면(110)에 밀착시키도록 탄성력을 가하여 고정시킨다. 그리고, 커버도어(15)에 외력을 가해 들어올리면 걸림면(150)이 경사면(110)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이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탄성구동부(30)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바와 같이, 구동체(32)와, 가이드축(34)과, 탄성체(38)로 이루어진다.
구동체(32)는 커버도어(15)의 전면부(151) 내측에 일체로 결합 형성되어, 커버도어(15)가 상하로 이동할 때 일체로 이동한다. 이때, 구동체(32)는 커버도어(15)의 힌지축(20)의 상부에 형성되며, 커버도어(15)의 전면부 내측에 볼트 등의 체결구를 통해 결합되거나, 용접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구동체(32)는 상기한 가이드축(34), 고정단부(36) 및 탄성체(38)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한 공간의 상하측에는 각각 지면과 수평한 단부면(332, 432)이 각각 형성되고, 이 단부면(332, 432)에는 가이드축(34)을 통과시키기 위한 가이드홀(132, 232)이 형성된다.
가이드축(34)은 커버도어(15)를 커버본체(10)에 결합하는 힌지축(20)의 축 방향 중앙으로부터 수직하는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구동체(32)의 내부로 이어지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체(32)의 내부에 위치되는 일측에 고정단부(36)를 형성한다. 가이드축(34)은 구동체(32)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32, 232)을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구동체(32)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한다.
탄성체(38)는 가이드축(34)으로 삽입되어 구동체(32)의 내부에 위치된다. 탄성체(38)의 상측 끝부는 가이드축(34)의 고정단부(36)에 지지되고, 반대쪽인 하측 끝부는 구동체(32)에 형성되는 하부 측면에 지지되어 양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한다. 이러한 탄성체(38)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외 수직 방향의 압축에 의해 탄성력을 가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커버본체(10)는 커버도어(15)의 힌지축(20)을 체결하여 상대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힌지축 체결구(120)가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힌지축 체결구(120)는 커버본체(10)의 측벽(111) 상에서 마주하는 내측으로 커버도어(15)의 힌지축(20)에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관통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장치 커버(100)는 상기한 커버본체(10)의 경사면(110)에 커버도어(15)의 걸림면(150)을 고정한 후 외력에 의해서도 열리지 않도록 잠그는 잠금부재(b)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이러한 잠금부재(b)가 포함되는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장치 커버(100)의 상부 형상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버본체(10)는 경사면(110)의 선단으로부터 하부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커버도어(15)의 내측 전면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절곡면(140)이 형성되고, 이 절곡면(140)의 일측에 체결공(142)이 구비된다. 그리고, 커버도어(15)는 커버본체의 절곡면(140)에 형성된 체결공(142)에 대응하는 전면부(151)에 삽입공(1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잠금부재(b)는 커버도어(15)의 체결공(152)과, 커버본체(10)의 삽입공(142)으로 삽입되어 커버도어(15)을 잠그도록 한다.
참고로, 이러한 잠금부재(b)는 볼트 체결 방식이나, 단순 걸이 방식 또는 열쇠를 체결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용 전기장치 커버의 작용을 도 3,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1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6은 커버도어(15)가 닫힌 상태이고, 도 7은 커버도어(15)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100)가 설치되는 가로등은 조명등으로 안정적인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안정기와, 차단기 등의 전기장치가 내부에 설치된다. 조명등은 가로등주(1)의 외부에 설치되며, 전기장치는 작업자가 접근이 용이한 가로등주(1)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용홈 내부에 설치된다.
우선, 가로등주(1) 내에 설치된 전기장치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커버도어(15)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구동부(30)의 탄성체(38)는 가이드축(34)의 고정단부(36)와 구동체(32)의 하부 측면 사이에서 압축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탄성체(38)의 압축력은 커버도어(15)에 일체로 결합된 구동체(32)의 하부 측면을 밀어내는 작용을 하고, 이로 인해 일체로 결합된 커버도어(15)를 하부로 당긴다.
이로써, 커버도어(15) 상측의 걸림면(150)이 커버본체(10)의 경사면(110)에 밀착되어 걸림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힌지축(20)에 의한 회전이 저지되어 고정된다.
한편, 커버도어(15)를 열어서 전기장치가 설치된 수용홈을 개방시킬 시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도어(15)를 손으로 잡고 외력을 가해 소정의 높이로 들어올린다. 그러면, 탄성구동부(30)의 탄성체(38)가 더 압축되면서 커버도어(15) 상측의 걸림면(150)이 커버본체의 경사면(110)으로부터 이격되어 전방으로 이탈될 수 있다. 이때, 힌지축(20)은 커버도어(15)와 함께 상승한다.
이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도어(15)의 걸림면(150)이 커버본체(10)의 경사면(110) 상에서 전방으로 이탈되어 힌지축(2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커버본체(10)를 개방시킨다. 이때, 커버도어(15)를 들어올린 외력을 해제하면 탄성체(38)가 다시 닫아진 상태의 길이로 압축된다.
한편, 커버도어(15)의 걸림면(150)과 커버본체(10)의 경사면(110)은 약 5°의 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한 탄성구동부(30)가 없는 경우에도 걸림면(150)의 끝단을 경사면(110)의 선단으로 밀어 끼워 넣는 방식으로 고정이 가능하다. 반대로 고정을 해제시키는 경우에도 걸림면(150)과 경사면(110) 사이의 빗면의 작용에 의해 걸림면(110)의 이탈이 이루어져 탄성구동체(30) 없이도 개폐가 가능하다.
또한, 커버도어(15)를 다시 닫을 시에는 힌지축(20)을 중심으로 커버도어(15)의 상측을 커버본체(10)의 경사면(110)의 선단에 가깝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커버도어(15)를 소정의 높이로 들어올린다. 이때 탄성구동부(30)의 탄성체(38)가 더 압축된다. 그리고 커버도어(15)의 걸림면(150)이 경사면(1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끝까지 회전시킨 후 커버도어(15)를 들어올린 외력을 해제하면 탄성구동부(30)의 탄성체의 압축에 의한 탄성력이 구동체(32)에 가해진다.
이로써,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체(32)와 일체로 결합된 커버도어(15)가 하부로 당겨지고 걸림면(150)과 경사면(110)이 서로 밀착되어 고정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고정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앞서 설명한 잠금부재(b)를 추가로 체결하여 정해진 작업자 외의 타인이 커버도어(15)를 개폐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손으로 잡고 들어올려 간편하고 신속하게 커버도어(15)를 개폐시킬 수 있으며, 커버도어(15)와 커버본체(10) 사이의 틈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이 완벽하게 방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노면의 진동이나 강풍 시에도 커버도어(15)가 열릴 염려가 없어 사용 중의 손상이나 도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도어(15)의 회전을 위한 힌지축(20)이 커버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한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100)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커버본체
15: 커버도어
20: 힌지축
30: 탄성구동부
32: 구동체
34: 가이드축
36: 고정단부
38: 탄성체
100: 전기장치 커버
111: 측벽
110: 경사면
150: 걸림면

Claims (8)

  1. 가로등주(1)의 전기장치 수용홈의 외곽으로부터 돌출되는 측벽(111)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111)의 상측 선단에서 상기 가로등주(1) 측으로 하향하는 경사면(110)이 형성되는 커버본체(10);
    하부 일측이 상기 커버본체(10)의 하측에 힌지축(20)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커버본체(10)를 개폐시키며, 상기 힌지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측 단부의 내측으로 상기 커버본체(10)의 경사면(110)을 수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면(150)이 형성되는 커버도어(15); 및
    상기 커버본체(10)에 대해 상기 커버도어(15)의 상하 이동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경사면(110)으로부터 상기 걸림면(150)을 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키는 탄성구동부(30);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도어(15)를 하부로 가압하여 상기 걸림면(150)을 상기 경사면(110)에 밀착시키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도어(15)는,
    상기 커버본체(10)의 전방을 덮는 전면부(151); 및
    상기 전면부(151)의 외곽에서 절곡을 이루어 상기 커버본체(10)의 측벽(111) 상의 외측면을 덮는 측단면부(251);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
  5. 가로등주(1)의 전기장치 수용홈의 외곽으로부터 돌출되는 측벽(111)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111)의 상측 선단에서 상기 가로등주(1) 측으로 하향하는 경사면(110)이 형성되는 커버본체(10);
    하부 일측이 상기 커버본체(10)의 하측에 힌지축(20)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커버본체(10)를 개폐시키며, 상기 힌지축(2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측 단부의 내측으로 상기 커버본체(10)의 경사면(110)을 수용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면(150)이 형성되는 커버도어(15); 및
    상기 커버본체(10)에 대해 상기 커버도어(15)의 상하 이동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경사면(110)으로부터 상기 걸림면(150)을 고정 또는 고정 해제시키는 탄성구동부(30);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구동부(30)는,
    상기 커버도어(15)와 연동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구동체(32);
    상기 힌지축(20)의 축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구동체(32)의 내부 일측의 위치에 고정단부(36)를 형성하는 가이드축(34); 및
    상기 가이드축(34)으로 삽입되어, 일측의 끝부가 상기 고정단부(36)에 지지되고, 반대쪽 끝부는 상기 구동체(32)의 일측에 지지되어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체(38);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32)는,
    상기 가이드축(34)과, 상기 고정단부(36) 및 상기 탄성체(38)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축(34)을 통과시키는 가이드홀(132, 232)이 형성된 상하측 단부면(332, 43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38)는,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10)에는, 상기 경사면(110)의 선단으로부터 하부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커버도어(15)의 전면부 내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절곡면(140) 및 상기 절곡면(140)의 일측에 형성되는 체결공(142)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도어(15)에는, 상기 절곡면(140)의 체결공(142)에 대응하는 전면부에 삽입공(152)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152)과 상기 체결공(142)으로 잠금부재(b)를 체결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
KR1020150044837A 2015-03-31 2015-03-31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 KR101661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837A KR101661249B1 (ko) 2015-03-31 2015-03-31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837A KR101661249B1 (ko) 2015-03-31 2015-03-31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249B1 true KR101661249B1 (ko) 2016-09-29

Family

ID=57073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837A KR101661249B1 (ko) 2015-03-31 2015-03-31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2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550A (ko) 2020-06-26 2022-01-04 박영현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288A (ko) * 1997-11-17 1999-06-05 윤종용 액위 감지장치
KR200323842Y1 (ko) * 2003-05-16 2003-08-21 이경학 열쇠잠금장치가 부착된 가로등용 배전장치부커버 및 그를이용한 가로등
KR20090024571A (ko) 2007-09-04 2009-03-09 최범 가로등용 안정기 커버
KR20090103402A (ko) 2008-03-28 2009-10-01 재진가로등 주식회사 가로등 단자함 관리구의 커버가 개선된 가로등주
KR20100012782U (ko) * 2009-06-16 2010-12-24 최경식 가로등용 점검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288A (ko) * 1997-11-17 1999-06-05 윤종용 액위 감지장치
KR200323842Y1 (ko) * 2003-05-16 2003-08-21 이경학 열쇠잠금장치가 부착된 가로등용 배전장치부커버 및 그를이용한 가로등
KR20090024571A (ko) 2007-09-04 2009-03-09 최범 가로등용 안정기 커버
KR20090103402A (ko) 2008-03-28 2009-10-01 재진가로등 주식회사 가로등 단자함 관리구의 커버가 개선된 가로등주
KR20100012782U (ko) * 2009-06-16 2010-12-24 최경식 가로등용 점검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0550A (ko) 2020-06-26 2022-01-04 박영현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1216B2 (en) Charging apparatus
KR101686577B1 (ko) 맨홀뚜껑 결합체가 힌지식으로 설치되는 밸브실
KR100959414B1 (ko) 슬라이딩식 등주 수납개방부 커버
KR101086336B1 (ko) 회전식 가로등
KR101661249B1 (ko)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
KR100968785B1 (ko) 맨홀뚜껑 잠금장치
KR101048027B1 (ko) 옥외소화전 안전표시커버
KR100663097B1 (ko) 도로 등 토목용 터널 공동구의 댐퍼식 덮개
US8591138B2 (en) Fastener for street ironwork, assembly, street ironwork and corresponding method
US8813529B2 (en) Anti-theft device for inverters
KR101065124B1 (ko) 가로등 철주의 점검구 커버 개폐장치
KR101079626B1 (ko) 가로등용 안정기 점검커버
KR101111105B1 (ko) 가로등
KR101274742B1 (ko) 도로표지판 연결구
KR100754900B1 (ko) 가로등
US20120225578A1 (en) Electrical connection, cord anchor and method of anchoring same
KR200452159Y1 (ko) 가로등용 점검함
KR20090103402A (ko) 가로등 단자함 관리구의 커버가 개선된 가로등주
KR100796622B1 (ko) 맨홀 뚜껑의 이탈방지 구조
KR100663098B1 (ko) 도로 등 토목용 터널 공동구의 힌지식 덮개
JP2014152531A (ja) 他物固定具
KR101232502B1 (ko) 터널등 구조
KR200441277Y1 (ko) 가로등의 단자함 커버 설치구조
KR20090010158U (ko) 점멸기함
KR100758730B1 (ko) 방수용 회전 잠금식 상수도·하수도·전기·통신용 안전 맨홀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