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550A -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550A
KR20220000550A KR1020200078315A KR20200078315A KR20220000550A KR 20220000550 A KR20220000550 A KR 20220000550A KR 1020200078315 A KR1020200078315 A KR 1020200078315A KR 20200078315 A KR20200078315 A KR 20200078315A KR 20220000550 A KR20220000550 A KR 20220000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ver
screw
open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4139B1 (ko
Inventor
박영현
Original Assignee
박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현 filed Critical 박영현
Priority to KR1020200078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139B1/ko
Publication of KR20220000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03Access covers or lock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등의 점검 시 점검구 덮개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는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가로등주의 점검구를 덮개로 여닫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주 중 상기 점검구의 하부 가장자리 안쪽에 고정되고,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부, 상기 점검구의 위에 형성된 나사구멍, 상기 나사구멍에 체결되는 잠금나사, 상기 덮개의 하부 가장자리 안쪽에 고정된 너클부, 상기 너클부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너클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움직이는 연결핀, 상기 잠금나사와 접촉 간섭으로 상기 덮개의 개폐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덮개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자중에 의해 상기 연결핀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나사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는 잠금구멍 및 상기 잠금구멍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잠금나사와 접촉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잠금구멍과 연통하고, 상기 덮개를 밀어올리어 상기 연결핀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나사와 접촉 간섭이 해제되는 잠금해제구멍을 포함하는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COVER OPENING AND CLOSING EQUIPMENT FOR ACCESS HOLE OF STREETLIGHT POLE}
본 발명은 가로등주의 점검구를 덮개로 여닫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등의 점검 시 점검구 덮개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고, 아울러 덮개의 닫힘 및 잠금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가로등주 안정기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거리의 조명이나 교통의 안전, 또는 보안(방범)이나 미관 따위를 위하여 길가를 따라 설치하는 것으로, 가로등주의 중공부를 통해 전기선을 배선하고, 가로등주의 상부에 달린 램프는 대부분이 지중 전력선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작동한다.
그리고 가로등주의 하부에는 안정기, 점멸기, 누전차단기 등과 같은 각종 전기부품이 내장되어 있고, 이를 외부에서 점검 및 유지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점검구는 내부로 벌레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밖에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등 평상시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덮개를 달아 개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점검구용 덮개는 볼트(나사)로 조이거나 푸는 방식으로 가로등주에 탈부착하는 경우 진동이나 외력에 의해 쉽게 풀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데다 자칫 볼트와 덮개의 분실 및 도난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문헌 1 내지 2 등에는 점검구의 한쪽에 덮개를 힌지 이음으로 부착하여 개폐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는 덮개의 잦은 개폐로 인해 힌지 부분이 쉽게 손상되면서 잘 닫히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덮개의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잠금구가 필요하여 개폐 조작이 번거롭고 불편한 한계가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KR10-2009-0024571 A(2009.03.09) KR10-2009-0103402 A(2009.10.01) KR10-1661249 B1(2016.09.23) KR10-1105318 B1(2012.01.05) KR20-0452159 Y1(2011.01.28)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가로등의 점검 시 점검구 덮개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고, 아울러 덮개의 닫힘 및 잠금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덮개의 개폐가 간편하고 용이하면서 닫힘 및 잠금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가로등주의 점검구를 덮개로 여닫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주 중 상기 점검구의 하부 가장자리 안쪽에 고정되고,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부, 상기 점검구의 위에 형성된 나사구멍, 상기 나사구멍에 체결되는 잠금나사, 상기 덮개의 하부 가장자리 안쪽에 고정된 너클부, 상기 너클부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너클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움직이는 연결핀, 상기 잠금나사와 접촉 간섭으로 상기 덮개의 개폐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덮개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자중에 의해 상기 연결핀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나사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는 잠금구멍 및 상기 잠금구멍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잠금나사와 접촉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잠금구멍과 연통하고, 상기 덮개를 밀어올리어 상기 연결핀이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나사와 접촉 간섭이 해제되는 잠금해제구멍을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가로등의 점검 시 점검구 덮개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고, 아울러 덮개의 닫힘 및 잠금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으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잠금해제구멍이 상기 잠금나사와 접촉 간섭이 해제되는 위치로 상기 덮개를 밀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연결핀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홀 및 상기 승강홀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잠금해제구멍이 상기 잠금나사와 접촉 간섭이 해제되는 위치로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를 열림 방향으로 원활하게 열릴 수 있도록 상기 연결핀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홀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덮개를 더욱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열고 닫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으로 상기 잠금나사는, 머리부에 드라이버로 돌릴 수 있도록 홈이 파져 있고, 나사부의 중간 부분에 상기 나사구멍과 나사 결합되지 않고 전후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수나사가 없는 스핀들부가 형성됨으로써 덮개의 닫힘 및 잠금 상태를 한층 더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금나사를 가로등주에서 완전히 풀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가로등의 점검 시 점검구 덮개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열고 닫을 수 있고, 아울러 덮개의 닫힘 및 잠금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잠금나사를 가로등주에서 완전히 풀지 않고도 덮개를 열고 닫을 수 있기 때문에 가로등주에서 잠금나사를 풀어 완전히 분리함으로써 발생하는 분실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금나사를 풀고 조이는 조작에 따른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를 닫힌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를 닫힌 상태로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를 열린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를 닫힌 상태로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를 일부 분해하여 나타낸 절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를 열고 닫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는 가로등주(10)에 내장되는 안정기, 점멸기, 누전차단기 등과 같은 각종 전기부품, 배선 등을 점검하기 위해 가로등주(10)의 한쪽 면에 뚫린 점검구(11)를 덮개(20)로 여닫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그 주요 구성요소는 가이드부(12), 나사구멍(14), 잠금나사(15), 덮개(20), 너클부(21), 연결핀(22), 잠금구멍(23) 및 잠금해제구멍(24)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가로등주(10) 중 점검구(11)가 뚫려 있는 방향, 즉 덮개(20)가 장착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가이드부(12)는 덮개(20)의 열고 닫히는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점검구(11)의 하부 가장자리 안쪽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12)의 안쪽에는 덮개(20)의 열고 닫히는 작동 방향에 따른 연결핀(22)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홀(13)은 덮개(20)가 일정한 한정운동을 하도록 마치 "ㄱ"자 슬롯(slot) 형태의 승강홀(13a)과 수평홀(13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승강홀(13a)은 연결핀(22)의 승강을 안내하여 잠금해제구멍(24)이 잠금나사(15)와 접촉 간섭이 해제되는 위치로 덮개(20)를 밀어올릴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수평홀(13b)은 연결핀(22)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여 잠금해제구멍(24)이 상기 잠금나사(15)와 접촉 간섭이 해제되는 위치로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20)를 열림 방향으로 원활하게 열릴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수평홀(13b)은 승강홀(13a)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승강홀(13a)은 수평홀(13b) 쪽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덮개(20) 쪽의 측면을 비스듬히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함으로써 덮개(20)의 개폐 작동이 더욱 수월하고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나사구멍(14)은 잠금나사(15)를 체결하기 위해 점검구(11)의 위에 형성되어 있다.
즉, 나사구멍(14)은 가로등주(10)의 앞쪽 면에 암나사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잠금나사(15)는 덮개(20)의 닫힘 및 잠금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나사구멍(14)에 체결되어 있다.
즉, 잠금나사(15)는 덮개(20)의 닫힘 상태에서 잠금구멍(23)과 접촉 간섭을 일으켜 자중에 의해 열리지 않도록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잠금나사(15)는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로 쉽게 돌릴 수 있도록 홈이 파져 있는 머리부(15a)와, 이 머리부(15a)의 한쪽에 일체로 형성되고, 나사구멍(14)과 나사 결합을 위해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부(15b) 및 이 나사부(15b)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고, 나사구멍(14)과 나사 결합되지 않고 전후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수나사가 없는 형상의 스핀들부(15c)를 포함하고 있다.
즉, 잠금나사(15)는 가로등주(10)의 나사구멍(14)에서 완전히 풀지 않고, 그 스핀들부(15c) 부분을 나사구멍(14)에 위치시킴으로써 덮개(20)의 닫힘 및 잠금 상태를 한층 더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20)는 점검구(11)를 개폐 및 빗물이나 먼지, 벌레 등의 이물질이 점검구(11)를 통해 가로등주(10)의 중공부로 들어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점검구(11)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덮개(20)는 가로등주(10)의 단면 형상에 따라 그와 대응하는 호형 또는 직선형 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아울러 내구성 및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성형할 수 있다.
너클부(21)는 덮개(20)가 가이드부(12) 및 연결핀(2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열고 닫힐 수 있도록 덮개(20)의 하부 가장자리 안쪽에 고정되어 있다.
즉, 너클부(21)는 가이드부(12)와 연결핀(22)으로 연결하여 덮개(20)의 회전 운동 및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결핀(22)은 가이드부(12)와 너클부(21)를 연결하여 이탈을 방지하고, 가이드홀(13)을 따라 움직이면서 덮개(20)의 개방 각도 및 위치를 제한하도록 너클부(21)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다.
잠금구멍(23)은 잠금나사(15)와 접촉 간섭으로 덮개(20)가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덮개(2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즉, 잠금구멍(23)은 덮개(20)의 자중에 의해 연결핀(22)이 가이드홀(13)을 따라 하강한 상태에서 잠금나사(15)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도록 잠금나사(15)의 머리부(15a)보다 지름이 작은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
잠금해제구멍(24)은 잠금나사(15)와 접촉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잠금구멍(23)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즉, 잠금해제구멍(24)은 덮개(20)를 밀어올리어 연결핀(22)이 가이드홀(13)을 따라 상승한 상태에서 잠금나사(15)와 접촉 간섭이 해제되도록 잠금나사(15)의 머리부(15a)보다 지름이 큰 구멍으로 잠금구멍(23)과 연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가이드부(12), 너클부(21) 및 연결핀(22)은 가로등주(10)와 덮개(20)에 고정 또는 장착되는 구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가이드부(12)의 구성을 덮개(20)에 형성하고, 너클부(21)와 연결핀(22)의 구성을 가로등주(10)에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의 주요 작용 및 작동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의 자중에 의해 연결핀(22)이 가이드홀(13)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잠금구멍(23)이 잠금나사(15)의 머리부(15a)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는, 즉 덮개(20)가 가로등주(10)에 박혀 있는 잠금나사(15)에 걸린 상태를 이루므로 덮개(20)는 회전되지 않고 점검구(11)를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를 밀어올리어 연결핀(22)이 가이드홀(13)을 따라 상승한 상태에서는 잠금해제구멍(24)이 잠금나사(15)와 접촉 간섭이 해제되는, 즉 덮개(20)가 가로등주(10)에 박혀 있는 잠금나사(15)에 걸리지 않고 벗어난 상태이므로 덮개(20)는 가로등주(10)의 전방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렇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를 전방으로 잡아당김과 동시에 연결핀(2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연결핀(22)은 가이드홀(13)을 따라 이동되므로 덮개(20)가 더욱 원활하게 열릴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는 덮개(20)를 약간 위로 밀어올린 상태에서 전방으로 잡아당겨야만 회전하면서 열리는 구조이기 때문에 덮개(20)를 밀어올리지 않으면 잠금구멍(23)과 잠금나사(15) 간의 간섭 작용에 의해 항상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잠금구멍(23)이 잠금나사(15)의 머리부(15a)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는 상태에서 잠금나사(15)를 조임으로써 덮개(20)를 잠금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잠금나사(15)의 스핀들부(15c) 부분으로 인해 가로등주(10)의 나사구멍(14)에서 완전히 풀지 않고도 덮개(20)를 열고 닫을 수 있어 잠금나사(15)를 풀어 완전히 분리함으로써 발생하는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덮개(20)를 잠금 시 등에 잠금나사(15)를 한결 쉽고 빠르게 풀고 조일 수가 있기 때문에 가로등주(10)에서 잠금나사(15)를 풀고 조이는 조작에 따른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게다가 덮개(20)를 열 때 연결핀(22)이 승강홀(13a)의 상부에 덮개(20)의 열림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는 수평홀(13b)을 통해 이동하므로 덮개(20)를 더욱 원활하게 열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가로등주(10)의 표면에 상기 덮개(20)의 개방상태에서 단부가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걸림홈이 절곡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덮개(20)가 닫힘상태에서 개방시 덮개(20)의 하단이 상기 가로등주(10)의 걸림홈에 삽입형태로 끼워지면서 걸림되어 상기 덮개(20)의 안정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잠금나사(15)의 머리부는 공구 사용이 아닌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파지한 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가로등주 11: 점검구
12: 가이드부 13: 가이드홀
13a: 승강홀 13b: 수평홀
14: 나사구멍 15: 잠금나사
15a: 머리부 15b: 나사부
15c: 스핀들부 20: 덮개
21: 너클부 22: 연결핀
23: 잠금구멍 24: 잠금해제구멍

Claims (5)

  1. 가로등주(10)의 점검구(11)를 덮개(20)로 여닫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11)의 하부 가장자리 안쪽에 고정되고, 가이드홀(13)이 형성된 가이드부(12);
    상기 점검구(11)의 위에 형성된 나사구멍(14);
    상기 나사구멍(14)에 체결되는 잠금나사(15);
    상기 덮개(20)의 하부 가장자리 안쪽에 고정된 너클부(21);
    상기 너클부(21)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부(12)와 상기 너클부(21)를 연결하면서 상기 가이드홀(13)을 따라 움직이는 연결핀(22);
    상기 잠금나사(15)와 접촉 간섭으로 상기 덮개(20)의 개폐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덮개(2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덮개(2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연결핀(22)이 상기 가이드홀(13)을 따라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나사(15)와 접촉 간섭을 일으키는 잠금구멍(23); 및
    상기 잠금구멍(23)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잠금나사(15)와 접촉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잠금구멍(23)과 연통하고, 상기 덮개(20)를 밀어올리어 상기 연결핀(22)이 상기 가이드홀(13)을 따라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잠금나사(15)와 접촉 간섭이 해제되는 잠금해제구멍(24);
    을 포함하는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13)은, 상기 잠금해제구멍(24)이 상기 잠금나사(15)와 접촉 간섭이 해제되는 위치로 상기 덮개(20)를 밀어올릴 수 있도록 상기 연결핀(22)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홀(13a); 및
    상기 승강홀(13a)의 상부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잠금해제구멍(24)이 상기 잠금나사(15)와 접촉 간섭이 해제되는 위치로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덮개(20)를 열림 방향으로 원활하게 열릴 수 있도록 상기 연결핀(22)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홀(13b);
    을 포함하는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나사(15)는, 공구로 돌릴 수 있도록 홈이 파져 있는 머리부(15a);
    상기 나사구멍(14)과 나사 결합을 위해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부(15b); 및
    상기 나사부(15b)의 중간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구멍(14)과 나사 결합되지 않고 전후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수나사가 없는 형상의 스핀들부(15c);
    를 포함하는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등주(10)의 표면에 상기 덮개(20)의 개방상태에서 단부가 삽입되어 걸림되도록 걸림홈이 절곡 형성되는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나사(15)의 머리부가 손가락으로 파지한 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편으로 이루어지는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
KR1020200078315A 2020-06-26 2020-06-26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 KR102364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315A KR102364139B1 (ko) 2020-06-26 2020-06-26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315A KR102364139B1 (ko) 2020-06-26 2020-06-26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550A true KR20220000550A (ko) 2022-01-04
KR102364139B1 KR102364139B1 (ko) 2022-02-16

Family

ID=79342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315A KR102364139B1 (ko) 2020-06-26 2020-06-26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13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900B1 (ko) * 2007-02-28 2007-09-04 주식회사 누리플랜 가로등
KR20090024571A (ko) 2007-09-04 2009-03-09 최범 가로등용 안정기 커버
KR20090103402A (ko) 2008-03-28 2009-10-01 재진가로등 주식회사 가로등 단자함 관리구의 커버가 개선된 가로등주
KR20100072454A (ko) * 2008-12-22 2010-07-01 우주엘엔티(주) 가로등용 안정기 점검커버
KR20100012782U (ko) * 2009-06-16 2010-12-24 최경식 가로등용 점검함
KR101105318B1 (ko) 2010-06-01 2012-01-18 이행종 가로등 점검용 커버 개폐장치
KR101661249B1 (ko) 2015-03-31 2016-09-29 송경일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900B1 (ko) * 2007-02-28 2007-09-04 주식회사 누리플랜 가로등
KR20090024571A (ko) 2007-09-04 2009-03-09 최범 가로등용 안정기 커버
KR20090103402A (ko) 2008-03-28 2009-10-01 재진가로등 주식회사 가로등 단자함 관리구의 커버가 개선된 가로등주
KR20100072454A (ko) * 2008-12-22 2010-07-01 우주엘엔티(주) 가로등용 안정기 점검커버
KR20100012782U (ko) * 2009-06-16 2010-12-24 최경식 가로등용 점검함
KR200452159Y1 (ko) 2009-06-16 2011-02-10 최경식 가로등용 점검함
KR101105318B1 (ko) 2010-06-01 2012-01-18 이행종 가로등 점검용 커버 개폐장치
KR101661249B1 (ko) 2015-03-31 2016-09-29 송경일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139B1 (ko) 202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3011347A (es) Mecanismo de cierre.
KR102364139B1 (ko) 가로등주 점검구용 덮개 개폐장치
EP0676528A1 (en) Pivotable mullion assembly
KR20090098943A (ko) 샷시문의 도어록 자동 록킹장치
CN105896324A (zh) 一种常闭式防潮配电柜
KR101079626B1 (ko) 가로등용 안정기 점검커버
US6149209A (en) Hanging closure latch
US6612629B2 (en) Spring bolt and strike plate guard
EP1792033B1 (fr) Ensemble de mobilier urbain
EP1311736B1 (en) Door lock with a hook bolt
KR200452159Y1 (ko) 가로등용 점검함
CN105257118B (zh) 一种机车及其高压柜安全门
CN100343465C (zh) 一种门的锁紧装置
US20090183658A1 (en) Vault cover with vault door and spring-biased support arm
FR2590925A1 (fr) Dispositif de fermeture et condamnation pour portes ou acces divers a plusieurs penes
CN214744655U (zh) 用于警用装备管理的安全信息标签和信息处理装置
CN215485778U (zh) 一种护栏
KR101661249B1 (ko) 가로등의 전기장치 커버
KR101094608B1 (ko) 가로등
CN209456930U (zh) 一种二维码闸机
CN107700956B (zh) 一种无孔磁力锁
KR102284723B1 (ko) 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20130000219U (ko) 가로등
CN218809719U (zh) 一种电梯控制柜
CN212802886U (zh) 一种门锁及副锁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