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4608B1 - 가로등 - Google Patents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608B1
KR101094608B1 KR1020110064929A KR20110064929A KR101094608B1 KR 101094608 B1 KR101094608 B1 KR 101094608B1 KR 1020110064929 A KR1020110064929 A KR 1020110064929A KR 20110064929 A KR20110064929 A KR 20110064929A KR 101094608 B1 KR101094608 B1 KR 101094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et lamp
opening
handle
ballas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현민
Original Assignee
노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현민 filed Critical 노현민
Priority to KR1020110064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1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permanently, e.g. welding, gluing or rive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가로등이 개시된다. 개시된 가로등은, 보수용 개구부가 형성된 가로등주와, 상기 가로등주에 설치되어 안정적인 전류를 공급하는 안정기와, 상기 가로등주에 설치되어 누전을 감지하여 차단하는 접속함을 구비한 가로등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가로등주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면에 상기 접속함이 설치되는 개폐 도어; 상기 가로등주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안정기가 장착되어, 상기 안정기를 상기 가로등주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상하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안정기를 취출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정기를 상기 개구부에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로등{STREETLIGHT}
본 발명은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속함 및 안정기가 설치된 가로등주로부터 안정기를 보다 용이하게 취출하거나 인입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가로등은 거리의 조명이나 교통의 안전, 또는 미관 따위를 위하여 길가를 따라 설치해 놓은 등을 말하며, 등의 개수에 따라 1등용과 2등용이 있다.
통상적으로 가로등주의 내부에는 가로등에 항시 안정적인 전류를 공급하는 안정기, 그리고 누전을 감지하여 차단하는 접속함(누전 차단기)이 설치된다.
이때, 안정기는 가로등 점등 시 열이 발생하여 절연성 저하와 내부의 권선 구조에 이상이 생기게 되어 안정된 전류공급의 장애요인이 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유지/보수의 관리가 요구되며, 또한 필요에 따라 주기적으로 안정기를 교체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가로등의 유지/보수 및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안정기 및 접속함 등의 전기장치를 가로등주로부터 외부로 취출해 낼 필요가 요구되었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73247에는 가로등 전주홀 뚜껑에 용이하게 설치하거나 교체할 수 있는 안정기 설치구조가 개시된다.
이러한 구조의 가로등은 전주홀 뚜껑이 가로등 전주(가로등주)에 볼트로 결합하기 때문에, 가로등 전주로부터 전주홀 뚜껑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볼트를 풀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가로등은 하나의 안정기를 설치할 때는 가능한 구조이나 2등용을 위해 안정기를 두 개 설치해야 하거나, 또한 안정기 및, 접속함을 다 설치해야 하는 구성에 있어서는 설치공간을 확보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안정기와 접속함을 모두 설치할 수 있도록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지/보수 작업 및 교체 작업을 위해 안정기 및 접속함을 가로등주 내부에서보다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시된 가로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로등은, 보수용 개구부가 형성된 가로등주와, 상기 가로등주에 설치되어 안정적인 전류를 공급하는 안정기와, 상기 가로등주에 설치되어 누전을 감지하여 차단하는 접속함을 구비한 가로등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가로등주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면에 상기 접속함이 설치되는 개폐 도어; 상기 가로등주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안정기가 장착되어, 상기 안정기를 상기 가로등주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상하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안정기를 취출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정기를 상기 개구부에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가로등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로등주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통과홀이 형성된 가동레일;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레일에 고정된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레일이 상기 고정레일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통과홀 및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한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개구부의 상단과 하단 높이 사이에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손잡이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고정된 작동바아; 및, 상기 작동바아와 상기 손잡이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를 파지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작동바아는 후퇴하고, 상기 작동바아와 연동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고정홀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가동레일이 이동가능하게 되며,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작동바아가 전진하고 상기 작동바아와 연동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레일이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가동레일은 상기 안정기를 걸어 놓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걸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 걸이부는 한 쌍이며, 상기 손잡이를 기준으로 상기 가동레일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로등주의 개구부를 경첩에 의해 힌지 개폐가능하게 개폐도어를 설치하고, 개폐도어의 내면에 접속함을 설치하기 때문에, 개폐도어를 보다 용이하게 열 수 있을 뿐 아니라, 개폐도어가 열림에 따라 접속함이 가로등주의 내부에서 빠져나와 취출되기 때문에 별다른 동작 없이 신속하게 접속함의 유지/보수 또는 교체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폐도어에 접속함이 설치되고, 이송유닛에 설치된 안정기가 이송유닛의 동작에 따라 개구부에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접속함과 안전기를 개구부 근처에 모두 설치할 수 있는 공간활용도가 향상될 뿐 아니라,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유지/보수 작업 및 교체작업을 위해 안전기 및 접속함을 가로등주 내부에서보다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등용 가로등에 적용할 시, 두 개의 안정기와 접속함을 모두 설치할 수 있으며, 개폐도어를 열면 접속함이 가로등주로부터 자동으로 취출되고, 개폐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손잡이를 잡고 위치 고정부를 조작하여 손잡이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움직여 한 쌍의 안정기를 가로등주로부터 취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접속함과 2개의 안정기의 설치에 따른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지/보수 작업 및 교체작업도 한결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에서 개폐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에서 개폐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에서 이송유닛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를 수직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를 수평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안정기의 전체 부분이 가로등주의 개구부에 완전히 노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 따른 가로등을 수직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거리의 조명이나 교통의 안전 또는 미관 따위를 위하여 길가를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로등주(10)의 일정 높이에는 보수용 개구부(13)가 형성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은 개폐도어(101), 이송유닛(110)을 포함한다.
개폐도어(101)는 가로등주(10)의 개구부(13)를 개폐하도록 가로등주(10)의 외주면에 경첩(103)을 통해 연결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개폐도어(101)의 내면에는 누전을 감지하여 차단하는 접속함(17)이 설치된다.
또한, 개폐도어(101)의 일측에는 키(열쇠)를 소지한 관계자 이외에는 개폐도어(101)를 통상의 잠금 유닛(108)이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이송유닛(110)은 가로등주(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에는 안정적인 전류 공급을 위한 안정기(15a,15b)가 장착되어, 상기 안정기(15a,15b)를 상하로 이동시켜 가로등주(10)의 개구부(13)에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송유닛(110)은 고정레일(112), 이동레일(118), 손잡이(131), 및, 위치고정부(140)를 포함한다.
고정레일(112)은 그 중앙부가 개구부(13)에 노출되도록 가로등주(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로등주(10)의 내면에 고정설치된다. 고정레일(112)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고정홀(115)이 형성된다.
이 경우, 고정레일(112)은 가로등주(10)의 내면에 용접 방식으로 결합하거나, 이와는 다르게 결합볼트를 이용해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가동레일(118)은 고정레일(112)에 삽입되어 고정레일(112)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가동레일(118)에는 고정레일(112)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홀(115) 중 임의의 한 쌍에 일치하는 한 쌍의 통과홀(119a,119b)이 형성된다.
가동레일(118)의 상단부에는 제 1 장착 걸이부(121)가 가동레일(118)로부터 직각으로 돌출 형성되고, 가동레일(118)의 중앙부 하측에는 제 2 장착 걸이부(122)가 가동레일(118)로부터 직각으로 돌출 형성된다. 즉, 제 1 및 제 2 장착 걸이부(121,122)는 손잡이(131)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에 하나씩의 안정기(15a,16b)를 걸어 놓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잡이(131)의 상부의 근접위치에는 안정기(15a)가 배치되고, 손잡이(131)의 하부의 근접위치에는 안정기(15b)가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장착 걸이부(121,122)는 통상의 나사를 가동레일(118)에 일정부분까지만 나사 결합하거나 용접하여 구성할 수 있다.
손잡이(131)는 가동레일(118)의 중앙부에 결합된다. 이때, 손잡이(131)는 개구부(13)의 상단과 하단 높이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131)를 파지하여 가동레일(118)을 고정레일(112)에 대해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과 같이, 가동레일(118)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제 1 나사 결합공(124)이 형성되고, 손잡이(133)의 상하 양단에는 제 2 나사 결합공(133)이 형성되어 나사결합방식으로 손잡이(131)를 가동레일(118)에 결합한다. 다만, 나사 결합 방식이 아닌 용접방식에 의해 손잡이(131)와 가동레일(118)을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손잡이(131)는 가동레일(118)의 상/하부에 장착된 한 쌍의 안정기(15a,15b)에 배치되고, 접속함(17)은 상기 한 쌍의 안정기(15a,15b) 높이 사이에 배치된다.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위치고정부(140)는 손잡이(131)에 설치되며, 가동레일(118)이 고정레일(112)의 임의의 위치상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동바아(141), 고정부재(144) 및, 탄성부재(147)를 포함한다.
작동바아(141)는 손잡이(131)의 내측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고정부재(144)는 원형 봉 형상이며, 손잡이(131)를 관통하여 전후 이동가능하고, 작동바아(141)를 관통하여 작동바아(141)에 고정되며, 가동레일(118)의 통과홀(119a,119b)을 관통하여 전후 이동가능하고, 고정레일(112)의 고정홀(115)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탄성부재(147)는 코일 스프링이며, 고정부재(144)가 삽입되고, 작동바아(141)와 손잡이(131)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작동바아(141)에 외력을 가하지 않은 경우, 도 4와 같이, 고정부재(144)가 가동레일(118)에 관통되고 고정레일(112)의 고정홀(115)에 삽입된 상태가 되므로, 가동레일(118)은 고정레일(112) 상에서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이후, 사용자가 손잡이(131) 및 작동바아(141)를 파지한 상태에서 작동바아(141)를 잡아 외력을 가할 경우, 작동바아(141)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이와 연동해 고정부재(144)가 후퇴하여 고정레일(112)의 고정홀(115)로부터 빠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잡이(131)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가동레일(118)을 고정레일(112) 상에서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가동레일(118)의 위치를 이동시킨 후, 작동바아(141)에 가했던 외력을 제거하면, 도 6과 같이, 탄성부재(147)에 의해 작동바아(141)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와 연동해 고정부재(144)가 전진하여 고정레일(112)의 고정홀(115)에 삽입됨으로써 가동레일(118)은 이동된 위치에서 고정레일(112)로부터 움직이지 못하고 고정된다.
이하, 도 1, 도 2,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에 설치된 안정기(15a,15b) 및 접속함(17)의 유지/보수 또는 교체 작업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같이, 개폐도어(101)가 개구부(13)를 닫은 상태에서, 사용자(가로등 관리자)는 키를 이용해 잠금 유닛(108)을 해제한 후, 개폐 도어(101)를 회동시켜, 보수용 개구부(13)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개폐도어(101)가 열리면, 개폐도어(101)의 내면에 설치된 접속함(17)이 가로등주(10)의 내부로부터 취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개폐도어(101)를 열기만 하면, 접속함(17)의 유지/보수 작업 또는 교체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손을 개구부(13)를 통해 가로등주(10) 내부로 집어넣어, 손잡이(131)와 작동바아(141)를 파지한 후, 작동바아(141)에 외력을 가한 다음, 손잡이(131)를 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작동바아(141)에 외력을 가하면, 이와 연동해 고정부재(144)가 뒤로 후퇴하여 고정레일(112)의 고정홀(115)로부터 빠지게 되어 가동레일(118)이 고정레일(112)에 대해 이동 가능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131)를 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손잡이(131)를 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 1 장착 걸이부(121)에 걸린 안정기(15a) 전체 부분이 가로등주(10)의 개구부(13)에 완전히 노출된 상태가 되면 작동바아(141)에 가했던 외력을 제거하면, 도 6과 같이, 고정부재(144)가 전진하여 고정레일(112)의 고정홀(115)에 삽입됨으로써 가동레일(118)의 위치가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 1 장착 걸이부(121)에 걸린 안정기(15a)를 개구부(13)를 통해 가로등주(10) 밖으로 빼내서 유지/보수 또는 교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제 1 장착 걸이부(121)에 걸린 안정기(15a)의 유지/보수 또는 교체작업이 끝나면,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131)와 작동바아(141)를 잡고, 작동바아(141)에 외력을 가한 다음, 손잡이(131)를 상향으로 올려 제 2 장착 걸이부(122)에 걸린 안정기(15b) 전체 부분이 개구부(13)에 완전히 노출된 상태가 되면 작동바아(141)에 가했던 외력을 제거하여 가동레일(118)을 고정레일(112)에 대해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 2 장착 걸이부(122)에 걸린 안정기(15b)를 개구부(13)를 통해 가로등주(10) 밖으로 빼내서 유지/보수 또는 교체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은 이등용 가로등에 적용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등용 가로등은 등이 두 개가 설치되므로 두 개의 안정기가 필요하게 되어, 가동레일(118)의 상부 및 하부에 한 상의 안정기(15a,15b)를 걸어 놓을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장착 걸이부(121,122)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다만, 한 개의 등이 설치된 일등용 가로등에 적용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은 도 7과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로등에서 제 2 장착 걸이부(122)를 삭제한 구성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가동레일(118)의 상단과 가로등주(10)의 내면을 연결하는 제 1 스프링(미도시), 및 가동레일(118)의 하단과 가로등주(10)의 내면을 연결하는 제 2 스프링(미도시)을 더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스프링은 가동레일(118) 상단보다 상부에 위치한 가로등주(10)의 내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스프링은 가동레일(118) 하단보다 하부에 위한 가로등주(10)의 내면에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잡이(131)를 파지하여, 가동레일(118)을 상측으로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킨 후, 안정기(15a,15b)의 유지/보수 또는 교체 작업을 마친 다음 손잡이(131)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때, 사용자는 상기 제 1 스프링 또는 상기 제 2 스프링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데 드는 힘을 덜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가로등주
13...보수용 개구부
15a...안정기
15b...안정기
17...접속함
101...개폐도어
103...경첩
108...잠금 유닛
112...고정레일
115...고정홀
118...가동레일
119a...통과홀
119b...통과홀
121...제 1 장착 걸이부
122...제 2 장착 걸이부
131...손잡이
140...위치 고정부
141...작동바아
144...고정부재
147...탄성부재

Claims (6)

  1. 보수용 개구부가 형성된 가로등주와, 상기 가로등주에 설치되어 안정적인 전류를 공급하는 안정기와, 상기 가로등주에 설치되어 누전을 감지하여 차단하는 접속함을 구비한 가로등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가로등주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면에 상기 접속함이 설치되는 개폐 도어;
    상기 가로등주의 내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안정기가 장착되어, 상기 안정기를 상기 가로등주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상하 이동시켜,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안정기를 취출할 수 있도록 상기 안정기를 상기 개구부에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이송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가로등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가로등주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통과홀이 형성된 가동레일;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레일에 고정된 손잡이; 및,
    상기 손잡이에 설치되며 상기 가동레일이 상기 고정레일에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통과홀 및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부재를 구비한 위치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손잡이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재가 고정된 작동바아; 및,
    상기 작동바아와 상기 손잡이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를 파지한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상기 작동바아는 후퇴하고, 상기 작동바아와 연동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고정홀로부터 빠져나와 상기 가동레일이 이동가능하게 되며, 사용자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작동바아가 전진하고 상기 작동바아와 연동해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가동레일이 이동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개구부의 상단과 하단 높이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레일은 상기 안정기를 걸어 놓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걸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걸이부는 한 쌍이며, 상기 손잡이를 기준으로 상기 가동레일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하나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KR1020110064929A 2011-06-30 2011-06-30 가로등 KR101094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929A KR101094608B1 (ko) 2011-06-30 2011-06-30 가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929A KR101094608B1 (ko) 2011-06-30 2011-06-30 가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4608B1 true KR101094608B1 (ko) 2011-12-15

Family

ID=4550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929A KR101094608B1 (ko) 2011-06-30 2011-06-30 가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46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072B1 (ko) 2015-08-12 2016-06-28 주식회사 정원엘피 가로등용 점검구 커버 개폐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682Y1 (ko) 2006-04-12 2006-07-06 주식회사 바이오쿨 가로등주의 전기장치부 승강장치
KR100897995B1 (ko) 2009-01-28 2009-05-18 대한라이팅 주식회사 가로등주 점검구에 설치되는 안정기 수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682Y1 (ko) 2006-04-12 2006-07-06 주식회사 바이오쿨 가로등주의 전기장치부 승강장치
KR100897995B1 (ko) 2009-01-28 2009-05-18 대한라이팅 주식회사 가로등주 점검구에 설치되는 안정기 수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072B1 (ko) 2015-08-12 2016-06-28 주식회사 정원엘피 가로등용 점검구 커버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57005A1 (en) Roof scuttle safety railing system
CN105201314A (zh) 方便擦窗的多功能隐藏式铰链
CN204046965U (zh) Led显示屏翻箱体
KR101094608B1 (ko) 가로등
KR20130000219U (ko) 가로등
KR20060018587A (ko) 잠금 및 해제가 용이한 절첩식 방범창
CN205078064U (zh) 方便擦窗的多功能隐藏式铰链
KR200419329Y1 (ko) 잠금장치
KR20090036432A (ko) 가로등
AU2007202932A1 (en) Apparatus for use in Mounting a Moveable Door Leaf on an Overhead Track
KR101286470B1 (ko) 미닫이 창호용 잠금장치
KR200478665Y1 (ko) 가로등 단자함 커버
KR100897995B1 (ko) 가로등주 점검구에 설치되는 안정기 수납장치
KR20100023416A (ko) 방범창
CN202014918U (zh) 用于办公屏风的线槽结构
KR20130006936U (ko) 전후 수평이동식 창문
KR200455700Y1 (ko) 신호등 지주용 지주홀 개폐장치
KR20110131978A (ko) 가로등 점검용 커버 개폐장치
KR20120035800A (ko) 가로등지주의 하단 고정장치
CN205753077U (zh) 一种防盗电气柜
KR200452159Y1 (ko) 가로등용 점검함
KR200368432Y1 (ko) 잠금 및 해제가 용이한 절첩식 방범창
CN218414359U (zh) 一种柱上式开关操作机构延长环
CN217872294U (zh) 一种防撬防盗的路灯灯杆检查门
KR101219574B1 (ko) 지주의 점검구 커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