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1170B1 -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 - Google Patents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1170B1
KR101661170B1 KR1020140169011A KR20140169011A KR101661170B1 KR 101661170 B1 KR101661170 B1 KR 101661170B1 KR 1020140169011 A KR1020140169011 A KR 1020140169011A KR 20140169011 A KR20140169011 A KR 20140169011A KR 101661170 B1 KR101661170 B1 KR 101661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as spring
fixed
wire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4832A (ko
Inventor
김익한
Original Assignee
(주)신영포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영포엠 filed Critical (주)신영포엠
Priority to KR1020140169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170B1/ko
Publication of KR20160064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8Auxiliary means for directing the radiation beam to a particular spot, e.g. using light bea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9/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는, 고정몸체부; 고정몸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제 1 가변몸체부; 고정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촬영기기를 승강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가스스프링유닛과, 와이어에 의해 가스스프링유닛에 복합도르래구조로 연결된 복수의 도르래롤러가 구비된 롤러유닛과, 일단이 가스스프링유닛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 1 가변몸체부에 결합된 와이어가 구비되어, 가스스프링유닛의 작동시 제 1 가변몸체부를 고정몸체부의 상하로 승강구동시키는 제 1 승강구동부; 제 1 가변몸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촬영기기가 장착되는 제 2 가변몸체부; 및 제 2 가변몸체부에 연결되어, 제 2 가변몸체부를 제 1 가변몸체부에 대해 상하로 승강구동시키는 제 2 승강구동부를 포함하고, 롤러유닛은 가스스프링유닛에 결합되어,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 1 와이어고정부재; 제 1 가변몸체부에 결합되고, 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 2 와이어고정부재; 가스스프링유닛에 연결되어, 가스스프링유닛의 작동시 가스스프링유닛의 행정길이만큼 이동되는 이동도르래롤러; 및 와이어에 의해 이동도르래롤러와 제 2 와이어고정부재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고정도르래롤러를 포함하고, 복수의 고정도르래롤러는 와이어에 의해 이동도르래롤러에 대해 복합도르래구조로 연결되어, 이동도르래롤러와의 사이에 와이어가 감긴 횟수만큼 가스스프링유닛의 행정길이를 증대시키고, 가스스프링유닛은 롤러유닛의 복합도르래구조에 의해 행정길이가 증대되어, 고정몸체부에 대한 촬영기기의 상하이동거리를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A X-RAY DEVICE STAND HAVING BALANCING STRUCTURE USING GAS-SPRING}
본 발명은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짧은 행정을 가지는 가스스프링을 복합도르래구조에 의해 행정을 증대시켜 발란스 역할을 하는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X선 의료용 진단기기는 인체 내부질환을 영상을 통한 방사선 검사에 사용되는 것으로, 인체의 흉부, 두부, 소화관, 척추 및 상해를 입은 부위에서 인체의 뼈가 손상된 부분이 있는지 X선을 통해서 분석하는 기기이다.
통상 병원 등에서 사용되는 의료용 진단기기는 엑스레이(X-RAY)를 조사하는 엑스레이 튜브(X-RAY TUBE)로부터 조사된 엑스레이가 동물이나 환자의 신체 등 촬영대상을 투과하면, 이를 검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여기서, 의료용 진단기기는 엑스레이 튜브로부터 조사되는 엑스레이에 의해 촬영대상이 촬영되는 엑스레이 검출부를 포함하며, 이러한 엑스레이 검출부를 통상 '엑스레이 디텍터(DR)'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러한 X선 촬영장치의 X-ray 튜브나 디텍터는 촬영장치가 설치되는 검사실의 천정에 가이드레일을 설치하고 디텍터 등이 장착되는 포스트프레임과 포스트프레임을 구동시키는 본체를 설치하는 천정형 X선 촬영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천정형 X선 촬영장치의 경우, 천정에 가이드레일 등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촬영장치가 설치되는 장소에 제약을 받기 쉽고 이동이 불편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하여, X선 촬영장치를 바닥에 세워 설치하는 스탠드형 촬영장치가 제안되고 있는 바, 스탠드형 X선 촬영장치는 디텍터 등의 장비가 촬영스탠드에 장착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서나 수동작업으로 스탠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승강구동되면서 환자의 검사부위를 촬영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X선 촬영장치용 스탠드에 있어서는, 수동으로 원활하게 승하강 구동을 하기 위하여 스탠드에 장착되는 X선 촬영튜브나 X선 디텍터와 무게의 균형을 맞추기 위하여 웨이트 밸런스를 장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X선 촬영튜브나 X선 디텍터의 크기가 커져 무게가 더욱 무거워진 경우에는 웨이트 밸런스의 크기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웨이트밸런스의 길이도 길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웨이트 밸런스가 차지하는 길이를 제외하고도 충분한 상하구동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스탠드 자체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건물의 각각의 층고는 일정 높이로 한정되어 있고, 또한 이미 건축된 건물 내에 상기 X선 촬영장치용 스탠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일정 용량 이상의 스탠드를 설치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모터 구동시에는 상기 스탠드의 크기를 키우는 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웨이트 밸런스의 크기를 일정 이상 키울 수 없었고, 이에 따라 구동모터의 용량을 키워서 더욱 큰 힘으로 모터를 구동시켜야 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촬영기기가 연결되는 고정몸체부의 크기를 키우지 않고도 복합도르래구조에 의해 가스쇼바의 행정길이를 증대시켜, 촬영기기의 설치높이를 증대시킬 수 있는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촬영기기와 고정몸체부를 연결하는 가변몸체부가 다단상승되는 구조를 가져, 촬영기기의 설치높이를 최대화시킬 수 있는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는, 고정몸체부; 고정몸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제 1 가변몸체부; 고정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촬영기기를 승강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가스스프링유닛과, 와이어에 의해 가스스프링유닛에 복합도르래구조로 연결된 복수의 도르래롤러가 구비된 롤러유닛과, 일단이 가스스프링유닛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 1 가변몸체부에 결합된 와이어가 구비되어, 가스스프링유닛의 작동시 제 1 가변몸체부를 고정몸체부의 상하로 승강구동시키는 제 1 승강구동부; 제 1 가변몸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촬영기기가 장착되는 제 2 가변몸체부; 및 제 2 가변몸체부에 연결되어, 제 2 가변몸체부를 제 1 가변몸체부에 대해 상하로 승강구동시키는 제 2 승강구동부를 포함하고, 롤러유닛은 가스스프링유닛에 결합되어,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 1 와이어고정부재; 제 1 가변몸체부에 결합되고, 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 2 와이어고정부재; 가스스프링유닛에 연결되어, 가스스프링유닛의 작동시 가스스프링유닛의 행정길이만큼 이동되는 이동도르래롤러; 및 와이어에 의해 이동도르래롤러와 제 2 와이어고정부재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고정도르래롤러를 포함하고, 복수의 고정도르래롤러는 와이어에 의해 이동도르래롤러에 대해 복합도르래구조로 연결되어, 이동도르래롤러와의 사이에 와이어가 감긴 횟수만큼 가스스프링유닛의 행정길이를 증대시키고, 가스스프링유닛은 롤러유닛의 복합도르래구조에 의해 행정길이가 증대되어, 고정몸체부에 대한 촬영기기의 상하이동거리를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스스프링유닛은, 고정몸체부의 상부에 결합된 제 1 지지몸체; 제 1 지지몸체의 하부에 위치되고, 고정몸체부의 내부에 결합된 제 2 지지몸체; 제 1 지지몸체와 제 2 지지몸체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가스스프링본체; 및 일단이 복수의 가스스프링본체에 연결된 복수의 가스스프링작동부재; 및 제 2 지지몸체의 하부에 위치되고, 복수의 가스스프링작동부재의 타단이 연결된 제 3 지지몸체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고정도르래롤러는, 제 1 와이어고정부재와 인접한 위치에서, 가스스프링유닛에 결합된 제 1 고정도르래롤러; 및 제 1 고정도르래롤러와 제 2 와이어고정부재 사이에서, 고정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 2 고정도르래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와이어는 제 1 와이어고정부재를 시작점으로 하여 이동도르래롤러를 경유하여 제 1 고정도르래롤러에 감긴 후, 다시 이동도르래롤러를 경유한 후 제 2 고정도르래롤러를 경유하여 제 2 와이어고정부재에 결합되어, 이동도르래롤러, 제 1 고정도르래롤러와 제 2 고정도르래롤러에 복합도르래구조로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고정몸체부의 높이가 기존과 동일하더라도, 복합도르래구조를 통해 가스스프링유닛의 행정길이를 증대시켜, 촬영기기의 상하이동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 승강구동부와 제 2 승강구동부가 연동되어 작동되면서, 제 1 가변몸체부가 제 1 승강구동부에 의해 고정몸체부에 대해 고정몸체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향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제 2 가변몸체부가 제 2 승강구동부에 의해 고정몸체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제 1 가변몸체부에 대해 상향 이동되는 다단상승되는 구조를 가져, 촬영기기의 설치높이(고정몸체부의 높이+ 제 1 가변몸체부의 높이)를 최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르래원리를 이용하여 복수의 도르래롤러와 이에 연결된 와이어를 이용하여, 가스스프링유닛의 행정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X-RAY 장치와 같은 촬영기기의 무게가 증가하더라도 모터의 용량을 키우지 않고서도, X-RAY 장치와 같은 촬영기기에 대한 무게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웨이트 밸런스를 사용하지 않고, 도르래원리를 이용한 제 1 승강구동부의 힘에 의하여 X선 튜브나 X선 디텍터의 무게와 밸런스를 맞출 수 있기 때문에, X선 튜브 등의 장비의 크기가 커지더라도 웨이트 밸런스를 그에 상응하여 키우거나 증가시키지 않고 장착부재에 대한 무게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스탠드의 크기를 그에 상응하여 키우지 않고 최소화하면서도 장비의 무게에 대한 밸런스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후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전면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의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X-X선에 따라 절취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1의 Y-Y선에 따라 절취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의 작동상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 와이어와 롤러유닛의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100)는 고정몸체부(110), 제 1 승강구동부(120), 제 2 승강구동부(130), 제 1 가변몸체부(140)와 제 2 가변몸체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몸체부(110)는 고정몸체프레임(110a), 후면커버(110b)와 구획판(117)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몸체프레임(110a)은 내부에 제 1 승강구동부(120)와 제 2 승강구동부(130)의 제 1 구동풀리유닛(130a), 구동모터(139)가 설치된다.
고정몸체프레임(110a)의 상부에는 상부플레이트(111)가 설치되고, 고정몸체프레임(110a)의 하부에는 바닥플레이트(112)가 설치된다. 바닥플레이트(112)에는 구동모터(139)가 설치된다.
고정몸체프레임(110a)의 후면부에는 후면커버(110b)가 설치된다. 그리고, 고정몸체프레임(110a)에는 내부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판(117)이 설치된다. 여기서, 구획판(117)은 제 1 가변몸체부(140)와 후면커버(110b) 사이 공간에서, 후면커버(110b)에 대해 나란하게 배치된다. 구획판(117)에는 후술할 롤러유닛(120b)의 제 2 고정도르래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몸체프레임(110a)의 전면부에는 제 1 가변몸체부(140)가 연결된다. 이를 위해, 고정몸체프레임(110a)의 전면부에는 제 1 레일홈(113)이 마련된다. 여기서, 제 1 레일홈(113)에는 제 1 가변몸체부(140)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1 레일홈(113)에는 한쌍의 가이드봉(114)이 설치된다. 여기서, 가이드봉(114)은 후술할 제 1 가변몸체부(140)에 장착된 복수의 가이드롤러(145)를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고정몸체프레임(110a)에는 전면커버(115)가 설치된다. 여기서, 전면커버(115)는 제 1 가변몸체부(140)의 하부에 위치된다. 전면커버(115)는 구동모터(139)를 보호하기 위해, 고정몸체프레임(110a)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변몸체부(140)는 제 1 승강구동부(120)에 의해 고정몸체부(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고정몸체부(11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가변몸체부(140)는 제 1 가변프레임(141)과 복수의 가이드롤러(145)를 포함한다.
제 1 가변프레임(141)의 내부에는 제 2 승강구동부(130)의 제 2 구동풀리유닛(130b)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 가변프레임(141)의 전면에는 제 2 가변몸체부(150)가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제 1 가변프레임(141)의 측면에는 제 2 레일홈(142)이 마련된다. 여기서, 제 2 레일홈(142)은 복수의 가이드롤러(145)와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레일홈(142)은 제 1 가변프레임(141)의 높이방향을 따라 제 1 가변프레임(141)의 양측면에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레일홈(142)에는 제 2 가변몸체부(150)가 연결된다.
제 1 가변프레임(141)의 후면은 상술한 고정몸체부(110)에 연결된다. 제 1 가변프레임(141)에는 후술할 제 1 승강구동부(120)의 제 2 와이어고정부재가 결합된다. 여기서, 제 2 와이어고정부재는 와이어(126f, 127f)의 종단이 연결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가변프레임(141)은 고정몸체부(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보다 매끄럽게 승강운동되도록, 고정몸체프레임(110a)에 레일구조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제 1 가변프레임(141)의 측면에는 복수의 가이드롤러(145)가 설치된다.
복수의 가이드롤러(145)는 고정몸체프레임(110a)의 제 1 레일홈(113)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여기서, 복수의 가이드롤러(145)는 가이드봉(114)에 연결되어 제 1 가변프레임(141)의 승강운동을 가이드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 1 가변몸체부(140)를 승강이동시키는 제 1 승강구동부(120)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승강구동부(120)는 고정몸체프레임(110a)의 상부플레이트(111)에 결합된다. 제 1 승강구동부(120)는 후면커버(110b)와 구획판(117) 사이 공간에 위치된다.
제 1 승강구동부(120)는 가스스프링유닛(120a), 롤러유닛(120b)과 와이어(126f, 127f)를 포함한다. 제 1 승강구동부(120)는 가스스프링유닛의 작동시 롤러유닛(120b)에 연결된 와이어(126f, 127f)를 통해 제 1 가변몸체부(140)를 고정몸체부(110)의 상하로 승강구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가스스프링유닛(120a)은 와이어(126f, 127f)에 의해 고정몸체부(110)와 제 1 가변몸체부(140)에 연결되어, 와이어(126f, 127f)로 구동력을 제공하여, 와이어(126f, 127f)로 하여금 제 1 가변몸체부(140)를 승강시킨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스프링유닛(120a)은 제 1 지지몸체(121), 제 2 지지몸체(122), 제 3 지지몸체(123) 및 복수의 가스스프링부재(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가스스프링부재(124)는 가스스프링본체(124a)와 가스스프링작동부재(124b)로 이루어진다.
제 1 지지몸체(121)는 고정몸체프레임(110a)의 상부에 결합된다. 제 1 지지몸체(121)에는 복수의 가스스프링본체(124a)의 상단이 고정된다.
제 2 지지몸체(122)는 제 1 지지몸체(121)의 하부에 위치되고, 고정몸체프레임(110a)에 결합된다. 제 2 지지몸체(122)에는 복수의 가스스프링본체(124a)의 하단이 결합된다.
제 2 지지몸체(122)는 제 1 지지몸체(121)와 마찬가지로 고정몸체프레임(110a)의 내부공간에서 일정위치에 고정된다. 여기서, 제 1 지지몸체(121)와 제 2 지지몸체(122)는 복수의 가스스프링본체(124a)를 고정몸체프레임(110a)에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 2 지지몸체(122)의 측면에는 제 1 와이어고정부재(126a, 127a)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 2 지지몸체(122)의 측면에는 제 1 고정도르래롤러(126c, 127c)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제 1 고정도르래롤러(126c, 127c)는 상기 제 1 와이어고정부재(126a, 127a)와 이격되어 위치된다.
제 3 지지몸체(123)는 제 2 지지몸체(122)의 하부에 위치된다. 제 3 지지몸체(123)에는 복수의 가스스프링작동부재(124b)가 연결된다. 여기서, 복수의 가스스프링작동부재(124b)는 제 2 지지몸체(122)와 제 3 지지몸체(123) 사이에서, 고정몸체부(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승강이동된다.
제 3 지지몸체(123)는 복수의 가스스프링작동부재(124b)의 상기 복수의 가스스프링본체(124a)에 대한 승강작동시, 복수의 가스스프링작동부재(124b)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 3 지지몸체(123)의 측면에는 이동도르래롤러(126b, 127b)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복수의 가스스프링본체(124a)는 제 1 지지몸체(121)와 제 2 지지몸체(122) 사이에 설치된다. 복수의 가스스프링본체(124a)의 각각에는 복수의 가스스프링작동부재(124b)가 연결된다. 여기서, 복수의 가스스프링작동부재(124b)는 일단이 복수의 가스스프링본체(124a)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3 지지몸체(123)가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가스스프링본체(124a)와 가스스프링작동부재(124b)는 상호 간에 서로 연결되어, 가스스프링부재(124)를 구성한다. 가스스프링부재(124)는 와이어(126f, 127f)를 잡아당기는 힘을 제공하는 부재로서, 일명 가스업소버로 지칭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100)는 복수의 가스스프링부재(124)를 구비하는데, 이는 제 2 가변몸체부(150)에 장착되는 촬영기기(미도시)의 무게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스스프링유닛(120a)과 제 1 가변몸체부(140) 사이에 위치되어, 가스스프링유닛(120a)의 구동력을 증폭시키는 롤러유닛(120b)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유닛(120b)은 제 1 와이어고정부재(126a, 127a), 이동도르래롤러(126b, 127b), 제 1 고정도르래롤러(126c, 127c), 제 2 고정도르래롤러(126d, 127d) 및 제 2 와이어고정부재(126e, 127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유닛(120b)은 제 1 롤러유닛(126)과 제 2 롤러유닛(127)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 1 롤러유닛(126)과 제 2 롤러유닛(127)은 상호 간에 나란하게 이격되어, 제 1 승강구동부(120)와 제 1 가변몸체부(140)를 연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롤러유닛(126)의 제 1 와이어고정부재, 이동도르래롤러, 제 1 고정도르래롤러, 제 2 고정도르래롤러 및 제 2 와이어고정부재를 각각 '제 1a 와이어고정부재(126a), 제 1 이동도르래롤러(126b), 제 1a 고정도르래롤러(126c), 제 2a 고정도르래롤러(126d) 및 제 2a 와이어고정부재(126e)'라 지칭한다.
그리고, 제 2 롤러유닛(127)의 제 1 와이어고정부재, 이동도르래롤러, 제 1 고정도르래롤러, 제 2 고정도르래롤러 및 제 2 와이어고정부재에 대해 각각 '제 1b 와이어고정부재(127a), 제 2 이동도르래롤러(127b), 제 1b 고정도르래롤러(127c), 제 2b 고정도르래롤러(127d) 및 제 2b 와이어고정부재(127e)'로 지칭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롤러유닛(126)에 연결된 와이어를 '제 1 와이어(126f)'라 지칭하고, 제 2 롤러유닛(127)에 연결된 와이어를 '제 2 와이어(127f)'라 지칭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롤러유닛(120b)은 제 1 롤러유닛(126)과 제 2 롤러유닛(127)이 병렬구조로 배치되고, 제 1 롤러유닛(126)과 제 2 롤러유닛(127)이 복합도르래구조를 가진다.
우선, 제 1 롤러유닛(126)의 연결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1a 와이어고정부재(126a)는 제 2 지지몸체(122)의 일측에 결합된다. 제 1a 와이어고정부재(126a)에는 제 1 와이어(126f)의 일단이 고정된다. 여기서, 제 1a 와이어고정부재(126a)는 제 1 와이어(126f)의 시작점이다.
제 1 이동도르래롤러(126b)는 제 3 지지몸체(123)의 일측에 결합된다. 제 1 이동도르래롤러(126b)는 제 1a 와이어고정부재(126a)의 하부에 위치된다. 제 1 이동도르래롤러(126b)에는 제 1 와이어(126f)가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와이어(126f)는 제 1a 와이어고정부재(126a)와 제 1 이동도르래롤러(126b)를 연결한다. 제 1 이동도르래롤러(126b)를 경유한 제 1 와이어(126f)는 제 1a 고정도르래롤러(126c)에 연결된다.
제 1 이동도르래롤러(126b)는 가스스프링부재(124)의 작동시 제 3 지지몸체(123)에 의해 제 1a 고정도르래롤러(126c)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 1 이동도르래롤러(126b)의 이동거리(H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스프링부재(124)의 작동시 가스스프링작동부재(124b)가 수축 및 이완되는 거리와 같다.
제 1a 고정도르래롤러(126c)는 제 2 지지몸체(122)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제 1a 고정도르래롤러(126c)는 제 1a 와이어고정부재(126a)와 이격되어 위치된다. 제 1a 고정도르래롤러(126c)에는 제 1 이동도르래롤러(126b)를 경유한 제 1 와이어(126f)가 연결된다.
제 2a 고정도르래롤러(126d)는 구획판(117)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a 고정도르래롤러(126d)는 제 1a 고정도르래롤러(126c)의 상부에서 제 1 지지몸체(121)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 2a 고정도르래롤러(126d)에는 제 1a 고정도르래롤러(126c)를 거쳐 제 1 이동도르래롤러(126b)를 경유한 제 1 와이어(126f)가 연결된다. 제 2a 고정도르래롤러(126d)를 경유한 제 1 와이어(126f)는 제 2a 와이어고정부재(126e)에 연결된다.
제 2a 와이어고정부재(126e)는 제 1 가변몸체부(140)에 결합된다. 제 2a 와이어고정부재(126e)에는 제 1 와이어(126f)가 연결된다. 제 2a 와이어고정부재(126e)는 제 1 와이어(126f)의 종단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와이어(126f)는 상술한 바와 같은 연결구조를 통해 제 1 승강구동부(120)와 제 1 가변몸체부(140)에 연결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와이어(126f)는 제 1a 와이어고정부재(126a)를 시작점으로 하여 제 1 이동도르래롤러(126b), 제 1a 고정도르래롤러(126c), 다시 제 1 이동도르래롤러(126b)를 경유한 후 제 2a 고정도르래롤러(126d)를 거쳐 제 2a 와이어고정부재(126e)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롤러유닛(126)은 제 1 와이어(126f)에 의해 제 1 이동도르래롤러(126b) 내지 제 2a 고정도르래롤러(126d)가 복합도르래구조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제 2 롤러유닛(127)의 연결관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 1b 와이어고정부재(127a)는 제 2 지지몸체(122)의 타측에 결합된다. 제 1b 와이어고정부재(127a)에는 제 2 와이어(127f)의 일단이 고정된다. 여기서, 제 1b 와이어고정부재(127a)는 제 2 와이어(127f)의 시작점이다.
제 2 이동도르래롤러(127b)는 제 3 지지몸체(123)의 타측에 결합된다. 제 2 이동도르래롤러(127b)는 제 1b 와이어고정부재(127a)의 하부에 위치된다. 제 2 이동도르래롤러(127b)에는 제 2 와이어(127f)가 연결된다. 여기서, 제 2 와이어(127f)는 제 1b 와이어고정부재(127a)와 제 2 이동도르래롤러(127b)를 연결한다. 제 2 이동도르래롤러(127b)를 경유한 제 2 와이어(127f)는 제 1b 고정도르래롤러(127c)에 연결된다.
제 2 이동도르래롤러(127b)는 가스스프링부재(124)의 작동시 제 3 지지몸체(123)에 의해 제 1b 고정도르래롤러(127c)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 2 이동도르래롤러(127b)의 이동거리(H1)는 제 1 이동도르래롤러(126b)의 이동거리(H1)와 같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스프링부재(124)의 작동시 가스스프링작동부재(124b)가 수축 및 이완되는 거리와 같다.
제 1b 고정도르래롤러(127c)는 제 2 지지몸체(122)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제 1b 고정도르래롤러(127c)는 제 1b 와이어고정부재(127a)와 이격되어 위치된다. 제 1b 고정도르래롤러(127c)에는 제 2 이동도르래롤러(127b)를 경유한 제 2 와이어(127f)가 연결된다.
제 2b 고정도르래롤러(127d)는 구획판(117)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b 고정도르래롤러(127d)는 제 1b 고정도르래롤러(127c)의 상부에서 제 1 지지몸체(121)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제 2b 고정도르래롤러(127d)는 제 2a 고정도르래롤러(126d)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제 2b 고정도르래롤러(127d)에는 제 2 이동도르래롤러(127b)를 경유한 제 2 와이어(127f)가 연결된다. 제 2b 고정도르래롤러(127d)를 경유한 제 2 와이어(127f)는 제 2b 와이어고정부재(127e)에 연결된다.
제 2b 와이어고정부재(127e)는 제 1 가변몸체부(140)에 결합된다. 제 2b 와이어고정부재(127e)는 제 2a 와이어고정부재(126e)와 이격되어 위치된다. 제 2b 와이어고정부재(127e)에는 제 2 와이어(127f)가 연결된다. 제 2b 와이어고정부재(127e)는 제 2 와이어(127f)의 종단점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와이어(127f)는 상술한 바와 같은 연결구조를 통해 제 1 승강구동부(120)와 제 1 가변몸체부(140)에 연결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와이어(127f)는 제 1b 와이어고정부재(127a)를 시작점으로 하여 제 2 이동도르래롤러(127b), 제 1b 고정도르래롤러(127c), 다시 제 2 이동도르래롤러(127b)를 경유한 후 제 2b 고정도르래롤러(127d)를 거쳐 제 2b 와이어고정부재(127e)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롤러유닛(127)은 제 2 와이어(127f)에 의해 제 2 이동도르래롤러(127b) 내지 제 2b 고정도르래롤러(127d)가 복합도르래구조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연결된 롤러유닛(126, 127)은 복합도르래구조를 통해 제 1 와이어(126f)가 제 1 이동도르래롤러(126b)와 제 1a 고정도르래롤러(126c) 사이에 감긴 횟수, 그리고, 제 2 와이어(127f)가 제 2 이동도르래롤러(127b)와 제 1b 고정도르래롤러(127c) 사이에 감긴 횟수만큼, 가스스프링부재(124)의 작동시 가스스프링부재(124)의 행정길이를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스스프링부재(124)의 행정길이는 가스스프링작동부재(124b)가 가스스핑본체(124a)에 대해 움직이는 거리(H1)이고, H1은 가스스프링작동부재(124b)의 작동시 제 1 이동도르래롤러(126b)가 제 1a 고정도르래롤러(126c)에 대해 제 1 와이어(126f)에 의해 움직이는 거리와, 제 2 이동도르래롤러(127b)가 제 1b 고정도르래롤러(127c)에 대해 제 2 와이어(127f)에 의해 움직이는 거리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 예시적으로 개시된 복합도르래구조에서, 제 1 와이어(126f)는 제 1a 와이어고정부재(126a)를 시작점으로 하여 제 1 이동도르래롤러(126b), 제 1a 고정도르래롤러(126c), 다시 제 1 이동도르래롤러(126b)를 경유한 후 제 2a 고정도르래롤러(126d)를 거쳐 제 2a 와이어고정부재(126e)에 결합되어, 제 1 이동도르래롤러(126b)와 제 1a 고정도르래롤러(126c) 사이에 두번 감긴다.
이와 동일한 구조로, 제 2 와이어(127f)는 제 1b 와이어고정부재(127a)를 시작점으로 하여 제 2 이동도르래롤러(127b), 제 1b 고정도르래롤러(127c), 다시 제 2 이동도르래롤러(127b)를 경유한 후 제 2b 고정도르래롤러(127d)를 거쳐 제 2b 와이어고정부재(127e)에 결합되어, 제 2 이동도르래롤러(127b)와 제 1b 고정도르래롤러(127c) 사이에 두번 감진다.
가스스프링부재(124)의 작동시 제 1 와이어(126f)와 제 2 와이어(127f)는 각각 제 1 이동도르래롤러(126b)와 제 2 이동도르래롤러(127b)를 제 2 지지몸체(122)를 향해 잡아당기게 되는데, 이때, 제 1 와이어(126f)와 제 2 와이어(127f)는 제 1 이동도르래롤러(126b)와 제 2 이동도르래롤러(127b)에 각각 두번씩 감겨, 복합도르래구조를 채택하지 않은 경우의 행정길이(H1)보다 최대 4배(=이동도르래롤러의 개수×와이어가 이동도르래롤러에 감긴 횟수)만큼 행정길이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100)는 촬영기기(미도시)의 설치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행정길이가 긴 가스스프링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짧은 행정길이를 가진 가스스프링부재(124)를 사용하고도 롤러유닛(120b)의 구조를 통해 가스스프링부재(124)의 행정길이를 증대시킴으로써 촬영기기의 설치높이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촬영기기는 제 2 가변몸체부(150)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제 1 가변몸체부(140)에 연결된 한 개의 가스스프링부재(124)가 250mm의 행정길이로 100kg중의 촬영기기(미도시)를 들어 올릴 수 있다면, 상기와 같은 복합도르래구조로 연결된 롤러유닛(120b)에 의해 제 1 가변몸체부(140)에 연결된 한 개의 가스스프링부재(124)는 100kg중의 촬영기기(미도시)를 250mm의 행정길이의 4배인 1000mm행정길이만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복합도르래구조를 가진 롤러유닛(120b)에 의해 와이어(126f, 127f)의 행정길이가 250mm에서 1000mm까지 증가하면, 한 개의 가스스프링부재(124)는 25kg중(100kg중/4)의 힘을 와이어(126f, 127f)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촬영기기(미도시)기의 무게가 100kg중이라면 1000mm의 행정길이를 이동시키는데는 4개의 가스스프링부재(124)(250mm의 행정길이와 100kg중의 출력성능)가 필요하고, 촬영기기(미도시)의 무게가 200kg중이라면 1000mm의 행정길이만큼 이동시키는데 8개의 가스스프링부재(124)가 필요하다.
즉, 동일한 무게를 들어 올리는데 행정길이가 n배 증가되면 가스스프링부재(124)의 설치개수도 n배만큼 증가한다. 이는, 행정길이가 n배수만큼 증가하면, 가스스스핑유닛에서 와이어(126f, 127f)로 제공되는 힘은 1/n만큼 줄어들게 때문이다. 이때, 가스스프링부재(124)의 설치개수는 촬영기기(미도시)의 무게에 따라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2 가변몸체부(150)는 제 2 승강구동부(130)의 제 2 구동풀리유닛(130b)에 의해 제 1 가변몸체부(14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2 가변몸체부(150)는 제 2 가변프레임(151)과 제 2 프레임연결부재(156)로 이루어진다. 제 2 가변프레임(151)은 제 1 가변프레임(141)의 전면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위치된다. 제 2 가변프레임(151)에는 X-레이 촬영기기(미도시)와 같은 의료용 기구가 장착된다.
제 2 가변프레임(151)의 양측에는 제 2 프레임연결부재(156)가 결합된다. 제 2 프레임연결부재(156)는 제 2 레일홈(142)을 따라 승강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 프레임연결부재(156)에는 제 2 체인연결부재(137)가 연결된다. 제 2 체인연결부재(137)에 대해서는 제 2 구동풀리유닛(130b)을 설명하면서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제 2 가변몸체부(150)를 승강이동시키는 제 2 승강구동부(13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승강구동부(130)는 제 2 가변몸체부(150)에 연결되어, 제 2 가변몸체부(150)를 제 1 가변몸체부(140)에 대해 상하로 승강구동시킨다.제 2 승강구동부(130)는 제 1 승강구동부(120)와 연동되어 작동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 2 승강구동부(130)는 제 1 구동풀리유닛(130a)과 제 2 구동풀리유닛(130b)을 포함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구동풀리유닛(130a)은 제 1 회전풀리(131a), 제 1 공회전풀리(132a), 제 1a 체인(133a), 제 1b 체인(134a), 및 제 1 체인연결부재(135)를 포함한다. 제 1 구동풀리유닛(130a)은 고정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구동모터(139)에 의해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운동한다.
제 1 회전풀리(131a)는 고정몸체부(110)의 하부에서 위치된다. 제 1 회전풀리(131a)는 구동모터(139)에 연결되어, 구동모터(139)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는다. 여기서, 구동모터(139)는 고정몸체프레임(110a)의 바닥면에 위치된다.
제 1 공회전풀리(132a)는 제 1 회전풀리(131a)의 상부에 위치되고, 고정몸체부(1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1 공회전풀리(132a)는 제 1 회전풀리(131a)와 달리 제 1a 체인(133a)과 제 1b 체인(134a)으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공회전하는 부재이다.
제 1 회전풀리(131a)와 제 1 공회전풀리(132a) 사이에는 제 1a 체인(133a)과 제 1b 체인(134a)가 연결된다. 제 1a 체인(133a)은 제 1 회전풀리(131a)의 일측과 제 1 공회전풀리(132a)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 1b 체인(134a)은 제 1 회전풀리(131a)의 타측과 제 1 공회전풀리(132a)의 타측에 연결된다. 제 1b 체인(134a)은 제 1a 체인(133a)과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 1a 체인(133a)과 제 1b 체인(134a) 사이에는 제 1 체인연결부재(135)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 1 체인연결부재(135)는 제 2 구동풀리유닛(130b)에 연결된다. 제 1 체인연결부재(135)는 제 1 구동풀리유닛(130a)의 구동력을 제 2 구동풀리유닛(130b)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제 1 체인연결부재(135)는 제 1 회전풀리(131a)와 제 1 공회전풀리(132a)의 회전시 제 1a 체인(133a)과 제 1b 체인(134a)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 1 체인연결부재(135)는 제 1 회전풀리(131a)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 1a 체인(133a)과 제 1b 체인(134a)에 의해 고정몸체부(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동된다.
이하에서는 제 2 구동풀리유닛(130b)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구동풀리유닛(130b)은 제 1 가변몸체부(140)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 1 구동풀리유닛(130a)과 제 2 가변몸체부(150) 사이에 연결되어, 제 1 구동풀리유닛(130a)에서 제공받은 회전력을 제 2 가변몸체부(150)로 전달하여 제 2 가변몸체부(150)를 승강이동시킨다.
제 2 구동풀리유닛(130b)은 제 2 하부풀리(131b), 제 2 상부풀리(132b), 제 2a 체인(133b), 제 2b 체인(134b)과 제 2 체인연결부재(137)를 포함한다.
제 2 하부풀리(131b)는 제 1 가변몸체부(140)의 하부에 설치된다. 제 2 상부풀리(132b)는 제 1 가변몸체부(140)의 상부에 설치된다. 제 2 하부풀리(131b)와 제 2 상부풀리(132b)에는 제 2a 체인(133b)과 제 2b 체인(134b)이 연결된다.
제 2a 체인(133b)은 제 2 하부풀리(131b)의 일측과 제 2 상부풀리(132b)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 2b 체인(134b)은 제 2 하부풀리(131b)의 타측과 제 2 상부풀리(132b)의 타측에 연결된다. 이때, 제 2b 체인(134b)은 제 2a 체인(133b)과 나란하게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 2b 체인(134b)과 제 2a 체인(133b) 사이에는 제 2 체인연결부재(137)가 연결된다. 여기서, 제 2 체인연결부재(137)의 일측은 제 2a 체인(133b)과 제 2b 체인(134b) 사이에 연결되고, 제 2 체인연결부재(137)의 타측에는 제 2 가변몸체부(150)가 연결된다.
제 2 구동풀리유닛(130b)은 제 2a 체인(133b)과 제 2b 체인(134b)이 제 1 체인연결부재(135)에 연결되어 제 1 구동풀리유닛(130a)으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제 2 체인연결부재(137)로 하여금 제 2 가변몸체부(150)를 제 1 가변몸체부(140)의 높이방향으로 승강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100)는 제 1 승강구동부(120)와 제 2 승강구동부(130)가 연동되어 작동되면서, 제 1 가변몸체부(140)가 제 1 승강구동부(120)에 의해 고정몸체부(110)에 대해 고정몸체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향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제 2 가변몸체부(150)가 제 2 승강구동부(130)에 의해 고정몸체부의 높이방향을 따라 제 1 가변몸체부(140)에 대해 상향 이동되는 다단상승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100)는 고정몸체부(110)의 높이가 기존과 동일하더라도, 복합도르래구조를 통해 가스스프링유닛의 행정길이를 증대시켜, 촬영기기의 상하이동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
110: 고정몸체부 110a: 고정몸체프레임
111: 상부플레이트 112: 바닥플레이트
113: 제 1 레일홈 114: 가이드봉
115: 전면커버 117: 구획판
120: 제 1 승강구동부 120a: 가스스프링유닛
120b: 롤러유닛 121: 제 1 지지몸체
122: 제 2 지지몸체 123: 제 3 지지몸체
124: 가스스프링부재 124a: 가스스프링본체
124b: 가스스프링작동부재 126: 제 1 롤러유닛
126a: 제 1a 와이어고정부재 126b; 제 1 이동도르래롤러
126c: 제 1a 고정도르래롤러 126d: 제 2a 고정도르래롤러
126e: 제 2a 와이어고정부재 126f: 제 1 와이어
127: 제 2 롤러유닛 127a: 제 1b 와이어고정부재
127b: 제 2 이동도르래롤러 127c; 제 1b 고정도르래롤러
127d: 제 2b 고정도르래롤러 127e: 제 2b 와이어고정부재
127f: 제 2 와이어 130: 제 2 승강구동부
130a: 제 1 구동풀리유닛 131a: 제 1 회전풀리
132a: 제 1 공회전풀리 133a: 제 1a 체인
134a: 제 1b 체인 130b: 제 2 구동풀리유닛
131b: 제 2 하부풀리 132b: 제 2 상부풀리
133b: 제 2a 체인 134b: 제 2b 체인
135: 제 1 체인연결부재 137: 제 2 체인연결부재
139: 구동모터 140: 제 1 가변몸체부
141: 제 1 가변프레임 142: 제 2 레일홈
145: 가이드롤러 150: 제 2 가변몸체부
151: 제 2 가변프레임 156: 제 2 프레임연결부재

Claims (5)

  1. 고정몸체부;
    상기 고정몸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제 1 가변몸체부;
    상기 고정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촬영기기를 승강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가스스프링유닛과, 와이어에 의해 상기 가스스프링유닛에 복합도르래구조로 연결된 복수의 도르래롤러가 구비된 롤러유닛과, 일단이 상기 가스스프링유닛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 1 가변몸체부에 결합된 상기 와이어가 구비되어, 상기 가스스프링유닛의 작동시 상기 제 1 가변몸체부를 상기 고정몸체부의 상하로 승강구동시키는 제 1 승강구동부;
    상기 제 1 가변몸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촬영기기가 장착되는 제 2 가변몸체부; 및
    상기 제 2 가변몸체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가변몸체부를 상기 제 1 가변몸체부에 대해 상하로 승강구동시키는 제 2 승강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유닛은
    상기 가스스프링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는 제 1 와이어고정부재;
    상기 제 1 가변몸체부에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고정되는 제 2 와이어고정부재;
    상기 가스스프링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스프링유닛의 작동시 상기 가스스프링유닛의 행정길이만큼 이동되는 이동도르래롤러; 및
    상기 와이어에 의해 상기 이동도르래롤러와 상기 제 2 와이어고정부재 사이에 연결된 복수의 고정도르래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정도르래롤러는 상기 와이어에 의해 상기 이동도르래롤러에 대해 복합도르래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도르래롤러와의 사이에 상기 와이어가 감긴 횟수만큼 상기 가스스프링유닛의 행정길이를 증대시키고,
    상기 가스스프링유닛은 상기 롤러유닛의 복합도르래구조에 의해 행정길이가 증대되어, 상기 고정몸체부에 대한 상기 촬영기기의 상하이동거리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스프링유닛은,
    상기 고정몸체부의 상부에 결합된 제 1 지지몸체;
    상기 제 1 지지몸체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몸체부의 내부에 결합된 제 2 지지몸체;
    상기 제 1 지지몸체와 상기 제 2 지지몸체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가스스프링본체; 및
    일단이 상기 복수의 가스스프링본체에 연결된 복수의 가스스프링작동부재; 및
    상기 제 2 지지몸체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복수의 가스스프링작동부재의 타단이 연결된 제 3 지지몸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도르래롤러는,
    상기 제 1 와이어고정부재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가스스프링유닛에 결합된 제 1 고정도르래롤러; 및
    상기 제 1 고정도르래롤러와 상기 제 2 와이어고정부재 사이에서, 상기 고정몸체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 2 고정도르래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 1 와이어고정부재를 시작점으로 하여 상기 이동도르래롤러를 경유하여 상기 제 1 고정도르래롤러에 감긴 후, 다시 상기 이동도르래롤러를 경유한 후 상기 제 2 고정도르래롤러를 경유하여 상기 제 2 와이어고정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도르래롤러, 상기 제 1 고정도르래롤러와 상기 제 2 고정도르래롤러에 복합도르래구조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
KR1020140169011A 2014-11-28 2014-11-28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 KR101661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011A KR101661170B1 (ko) 2014-11-28 2014-11-28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011A KR101661170B1 (ko) 2014-11-28 2014-11-28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832A KR20160064832A (ko) 2016-06-08
KR101661170B1 true KR101661170B1 (ko) 2016-09-29

Family

ID=56193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011A KR101661170B1 (ko) 2014-11-28 2014-11-28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1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8998A (ko) * 2017-04-24 2018-11-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립 보조기
KR20220049739A (ko) 2020-10-15 2022-04-22 (주)신영포엠 일자형 아암구조를 갖는 x선 촬영용 스탠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92080B (zh) * 2018-05-31 2022-05-10 东软医疗系统股份有限公司 重力平衡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241Y1 (ko) 2004-10-29 2005-01-14 박광수 컴퓨터책상
JP2007301351A (ja) 2006-04-13 2007-11-22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X線検出装置およびx線撮影装置
KR100938477B1 (ko) * 2009-04-30 2010-01-25 (주)엠에프테크 액추에이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625B1 (ko) * 2010-06-21 2012-01-18 (주)신영포엠 2단 길이 조정이 가능한 x선 촬영장치용 스탠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241Y1 (ko) 2004-10-29 2005-01-14 박광수 컴퓨터책상
JP2007301351A (ja) 2006-04-13 2007-11-22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X線検出装置およびx線撮影装置
KR100938477B1 (ko) * 2009-04-30 2010-01-25 (주)엠에프테크 액추에이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8998A (ko) * 2017-04-24 2018-11-0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립 보조기
KR101959377B1 (ko) 2017-04-24 2019-03-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립 보조기
KR20220049739A (ko) 2020-10-15 2022-04-22 (주)신영포엠 일자형 아암구조를 갖는 x선 촬영용 스탠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832A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1170B1 (ko)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
CN102670223A (zh) 滑动式平衡c形臂定位装置和用于使用这种装置的方法
KR101229327B1 (ko) 듀얼 실링 엑스레이 시스템
KR101812923B1 (ko) 이동형 의료진단기기
US9468411B2 (en) Compact mechanism for moving a compression paddle
CN105078504A (zh) 检查床
CN101496721B (zh) 一种检查床
KR101105625B1 (ko) 2단 길이 조정이 가능한 x선 촬영장치용 스탠드
CN109846659B (zh) 一种检查床用一次性检查垫铺放装置
KR101077117B1 (ko) X선 촬영장치용 포스트프레임
CN216021094U (zh) 患者站立台、ct扫描装置和ct扫描系统
KR101105624B1 (ko) 자동위치조정이 가능한 x선디텍터를 갖는 의료용진단기기
KR101793844B1 (ko) 진단용 테이블의 높이조정이 가능한 동물용 의료용 진단기기
CN208076529U (zh) 一种便携式血液临床检验台
KR100966883B1 (ko) 천정형 x선 촬영장치
JP2017018599A (ja) 医療画像診断用寝台及び医療画像診断装置
KR101690461B1 (ko) 천장형 엑스선 촬영장치
EP3348200A1 (en) Patent support couch assembly and diagnostic imaging system
JP2008113702A (ja) X線撮影装置
JP3199839U (ja) 立位用放射線撮影台および立位用放射線撮影装置
CN101375802B (zh) 超声诊断设备
KR20080073833A (ko) 디지털 엑스레이 연속 촬영방법과 디지털 엑스레이 연속촬영기
KR102487236B1 (ko) 일자형 아암구조를 갖는 x선 촬영용 스탠드
EP3733073A1 (en) Multifunctional radiography, tomography and fluoroscopy device
CN215194403U (zh) 一种天花式高压注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