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883B1 - 천정형 x선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천정형 x선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883B1
KR100966883B1 KR1020090024755A KR20090024755A KR100966883B1 KR 100966883 B1 KR100966883 B1 KR 100966883B1 KR 1020090024755 A KR1020090024755 A KR 1020090024755A KR 20090024755 A KR20090024755 A KR 20090024755A KR 100966883 B1 KR100966883 B1 KR 100966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rum
wire
guide rail
main body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익한
Original Assignee
(주)신영포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영포엠 filed Critical (주)신영포엠
Priority to KR1020090024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6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or the detector unit being mounted to cei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 밸런스의 편차율을 줄이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천정형 X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절첩가능하게 설치된 포스트 프레임과, 상기 포스트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X레이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고정설치된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중심샤프트에 연결된 풀리와, 상기 풀리에 연결된 와이어드럼 샤프트와, 상기 와이어드럼 샤프트에 연결되며 제 1 와이어가 감기는 제 1 와이어 드럼과, 상기 제 1 와이어 드럼과 동축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 1 와이어드럼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제 2 와이어 드럼과, 상기 제 2 와이어 드럼에 감기는 제 2 와이어가 연결되는 스프링 밸런스를 구비하여, 와이어드럼을 외경이 서로 다른 복수의 와이어 드럼으로 구성하고, 작은 직경의 와이어드럼에 감기는 와이어를 스프링 밸런스에 연결함으로써 X레이 튜브의 행정구간이 길더라도 스프링 밸런스의 시점과 종점에서의 편차율을 줄일 수 있고, 이로써 X선 촬영장치의 부하를 줄이고, 장치의 구동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복수의 와이어에 대하여 각각의 안전장치를 마련함으로써, 와이어가 느슨해지거나 절단되는 경우 즉각적으로 장치의 구동을 중단시킴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정형 X선 촬영장치{CEILING TYPE X-RAY APPARATUS}
본 발명은 천정형 X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 밸런스의 편차율을 줄이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X선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X선 촬영장치는 인체 내부질환을 영상을 통한 방사선 검사에 사용되는 것으로, 인체의 흉부, 두부, 소화관, 척추 및 상해를 입은 부위에서 인체의 뼈가 손상된 부분이 있는지 X선을 통해서 분석하는 기기이다.
통상 병원 등에서 사용되는 의료용 진단기기는 엑스레이(X-RAY)를 조사하는 엑스레이 튜브(X-RAY TUBE)로부터 조사된 엑스레이가 동물이나 환자의 신체 등 촬영대상을 투과하면, 이를 검출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종래의 X선 촬영장치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천정형 X선 촬영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천정형 X선 촬영장치는, 진단테이블상에 반듯이 누워있는 피검체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X선관과 X선필름을 배치하여 촬영을 하는 장치로서, 검사실의 천정에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 는 지지대에 포스트 프레임을 절첩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포스트 프레임의 하단에 X레이 튜브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에는 상기 X레이 튜브 등 상기 포스트 프레임의 하단에 작용하는 중량물의 하중을 스프링의 장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밸런스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밸런스에는 복수의 와이어가 연결되어, 상기 X레이 튜브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복수의 와이어가 와이어드럼에 감기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천정형 X선 촬영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포스트 프레임의 행정구간에 대하여 상기 스프링 밸런스의 편차율이 크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포스트 프레임의 행정구간, 즉 상기 X레이 튜브의 이송구간이 길수록 상기 스프링 밸런스에 스프링은 많이 감기게 된다. 상기 X레이 튜브의 이송구간을 1,500mm라 가정할 때, 상기 이송구간의 시작점에서의 상기 스프링 밸런스의 스프링의 하중부담장력은 상기 이송구간의 종점에서의 상기 스프링 밸런스의 스프링의 하중부담장력과 상당한 차이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X선 촬영장치에 기계적인 부하가 많이 작용하게 되어 기계의 열화 또는 노후화를 촉진하는 원인이 되고, 상기 장치를 구동하는 데에 보다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천정형 X선 촬영장치는, 상기 X레이 튜브를 상하로 이동시키거나 촬영중인 과정에서 중량물의 하중에 의해 와이어가 느슨해지거나 절단되는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장치의 구동을 중단시키거나 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미흡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X레이 튜브의 행정구간이 길더라도 스프링 밸런스의 시점과 종점에서의 편차율을 줄임으로써 X선 촬영장치의 부하를 줄이고, 장치의 구동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X선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X선 촬영장치의 와이어가 느슨해지거나 절단되는 경우 즉각적으로 장치의 구동을 중단시킴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X선 촬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X선 촬영장치는, 검사실의 천정에 설치되는 제 1 가이드레일과,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의 하부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가이드레일과,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절첩가능하게 설치된 포스트 프레임과, 상기 포스트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X레이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는, 제 1 와이어가 감기는 제 1 와이어 드럼과, 상기 제 1 와이어 드럼과 동축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 1 와이어드럼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제 2 와이어 드럼과, 상기 제 2 와이어 드럼에 감기는 제 2 와이어가 연결되는 스프링 밸런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고정설치된 구동모터와, 일끝단이 상기 구동모터의 중심샤프트에 연결되며, 타끝단이 상기 제 1 와이어드럼의 와이어드럼 샤프트에 연결되는 체인스프로켓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와이어드럼 또는 상기 제 2 와이어 드럼은 제 1 안전장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안전장치부는 상기 제 1 와이어드럼 또는 상기 제 2 와이어 드럼에 연결된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에 고정설치된 안전샤프트와, 상기 제 1 와이어드럼 또는 상기 제 2 와이어 드럼의 일측에 설치된 원호형상의 홈과, 상기 연결바의 일끝단에 맞닿아 상기 원호형상의 홈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촉바와, 상기 원호형상의 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접촉바와 맞닿아 상기 제 2 와이어의 손상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안전샤프트에는 상기 안전샤프트를 둘러싸는 중량물인 무게추가 더욱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안전장치부는 일측은 상기 안전샤프트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샤프트를 상기 본체부의 저면측으로 당기는 탄성스프링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스트 프레임의 하단의 회동부 상에 설치된 제 2 안전장치부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제 2 안전장치부는 상기 제 1 와이어가 감기는 권취바가 연결된 권취프레임과, 상기 권취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권취프레임의 좌우회동에 따라 상기 권취프레임의 저면과 맞닿는 감지돌기가 장착된 제 2 감지센서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가 감기는 와이어드럼을 외경이 서로 다른 복수의 와이어 드럼으로 구성하고, 작은 직경의 와이어드럼에 감기는 와이어를 스프링 밸런스에 연결함으로써 X레이 튜브의 행정구간이 길더라도 스프링 밸런스의 시점과 종점에서의 편차율을 줄일 수 있고, 이로써 X선 촬영장치의 부하를 줄이고, 장치의 구동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와이어에 대하여 각각의 안전장치를 마련함으로써, 와이어가 느슨해지거나 절단되는 경우 즉각적으로 장치의 구동을 중단시킴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X선 촬영장치에 대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X선촬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제 1 안전장치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6 및 도 7은 제 2 안전장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X선 촬영장치(1)는, 가이드레일(10, 20)과, 본체부(30)와, 포스트 프레임(40)과, X레이 튜브(5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제 1 가이드레일(10)과 제 2 가이드레일(2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10)은 검사실의 천정에 설치되며, 레일홈이 설치된 한 쌍의 레일프레임(11)과, 상기 한 쌍의 레일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레일프레임(11)에는 복수의 롤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상기 레일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레일(10)의 하부에는 제 2 가이드레일(20)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레일(20)은 레일홈이 설치된 한 쌍의 레일프레임(21)과, 상기 한 쌍의 레일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레일(20)은 상술한 복수의 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1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레일(20)의 하부에는 본체부(30)가 상기 제 2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30)의 일측에는 본체프레임에 연결된 롤러(31)와, 위치감지센서(31a)가 설치되어, 상기 롤러(31)는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의 레일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정지한다.
상기 본체부(30)는, 복수의 와이어드럼(33, 34)과, 스프링 밸런스(35)와, 제 1 안전장치부(36)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와이어드럼(33, 34)은 제 1 와이어드럼(33)과 제 2 와이어드럼(34)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와이어드럼(33)에는 상기 제 1 와이어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홈을 따라 제 1 와이어(33a)가 권취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와이어드럼(33)은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한 쌍의 와이어드럼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와이어드럼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와이어드럼(33)의 사이에는 제 2 와이어드럼(34)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와이어드럼(34)은 한 쌍의 제 1 와이어드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와이어드럼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와이어드럼(33) 및 상기 제 2 와이어드럼(34)은 동축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드럼을 관통하는 와이어드럼 샤프트(32c)에 의해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와이어드럼(34)에는 상기 제 2 와이어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홈에 제 2 와이어(34a)가 권취되어 있고, 상기 제 2 와이어(34a)는 후술하는 스프링 밸런스(35)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 2 와이어드럼(34)의 직경은 상기 제 1 와이어드럼(33)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 와이어드럼(34)의 직경 은 상기 제 1 와이어드럼(33)의 직경의 1/2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스프링 밸런스의 행정구간을 짧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X레이 튜브의 실제 이송구간의 길이를 1,500mm라 가정할 때에, 상기 제 1 와이어드럼(33)에 감긴 상기 제 1 와이어(33a)는 1,500mm를 이동하지만, 상기 제 1 와이어드럼(33)과 상기 제 2 와이어드럼(34)은 동축으로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 2 와이어드럼(34)의 직경은 상기 제 1 와이어드럼의 직경의 절반이기 때문에 상기 제 2 와이어(34a)는 750mm만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동일한 실제 이송구간을 이동하면서도, 상기 제 2 와이어가 감긴 상기 스프링밸런스(35)의 와이어 행정구간은 실제 이송구간의 절반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밸런스의 시점과 종점에서의 편차율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여 상기 제 1 와이어 및 제 2 와이어를 수동으로 구동시킬 수도 있고, 상기 본체부(30)는 구동모터(32)를 더욱 구비하여 자동으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2)는 상기 본체부(30)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와이어드럼의 측면에 마련된다. 상기 구동모터(32)의 중심샤프트(32a)에는 체인 스프로켓(32b)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동력전달수단으로서 상기 체인스프로켓을 대체하여 벨트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체인스프로켓(32b)은 와이어드럼 샤프트(32c)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3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드럼 샤프트(32c)는 상기 체인스프로켓을 통해 회전구동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와이어드럼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와이어드럼은 상기 제 1 와이어드럼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예로 하여 제 1 안전장치부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동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구동모터를 설치한 경우, 상기 제 1 와이어드럼(33)의 외부프레임에는 제 1 안전장치부(36)가 설치된다. 상기 제 1 안전장치부(36)는 연결바(36a)와, 안전샤프트(36b)와, 고정축(36c)과, 원호형상의 홈(33b)과, 접촉바(33c)와, 감지센서(3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바(36a)는 상기 제 1 와이어드럼의 양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연결바에는 상기 제 1 와이어드럼의 외부프레임에 고정된 상기 고정축(36c)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상기 연결바는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상기 한 쌍의 연결바(36a)의 사이에는 안전샤프트(36b)가 설치되며, 상기 안전샤프트의 하측면에는 상기 스프링밸런스에 연결된 제 2 와이어가 맞닿아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전샤프트(36b)의 중앙부분에는 상기 안전샤프트를 둘러싸는 중량물인 무게추(37)를 더욱 설치하여 상기 안전샤프트를 하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무게추에 갈음하거나 추가하여 상기 안전샤프트에는 탄성스프링(39)을 더욱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탄성스프링(39)의 일측은 상기 안전샤프트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샤프트를 상기 본체부의 저면측으로 당기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 1 와이어드럼(33)의 외부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한 원주를 따라 원호형상의 홈(33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호형상의 홈(33b)에는 접촉바(33c)가 상기 원호형상의 홈 내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호형상의 홈(33b)의 상측에는 감지센서(3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바(36a)의 타끝단은 상기 접촉바(33c)의 하부면에 맞닿게 배치되어, 상기 제 2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상기 안전샤프트가 상측으로 가압되며, 상기 안전샤프트에 연결된 상기 연결바는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동된다.
상기 제 2 와이어가 느슨해지거나 상기 제 2 와이어가 절단되거나 하는 경우, 상기 안전샤프트(36b)는 상측으로 가압하는 힘이 소멸됨에 따라 상기 안전샤프트(36b)의 자체의 하중 및/또는 상기 안전샤프트에 설치된 무게추(37)의 하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안전샤프트(36b)의 하측으로의 이동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스프링을 더욱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안전샤프트(36b)의 하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바(36a)는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바의 타끝단에 맞닿아 있는 상기 접촉바(33c)는 상기 원호 형상의 홈(33b)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감지센서(38)에 맞닿는다. 상기 감지센서(38)는 상기 접촉바와의 접촉에 의해 감지신호를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인가하고, 인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 어부는 상기 X선 촬영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상기 본체부(30)의 하부에는 포스트 프레임(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포스트 프레임(40)은 복수의 포스트(41a)와, 지지대(42)와, 회동부(4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포스트(41a)는 절첩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포스트의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복수의 포스트 중 하단의 포스트에는 회동부(43)가 상기 포스트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상에서 회동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동부의 하부에는 지지대(4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42)에는 X레이 튜브(50)가 상기 포스트와 평행인 면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포스트(41a)의 내측에는 상기 제 1 와이어드럼(33)에 감긴 제 1 와이어(33a)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내장되어 있고, 상기 제 1 와이어(33)의 끝단에는 제 2 안전장치부(60)가 상기 회동부(43)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안전장치부(60)는 권취프레임(62)과, 제 2 감지센서(6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권취프레임(62)은 대략 역M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권취프레임의 상측에는 권취바(6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권취바(61)에는 상기 한 쌍의 제 1 와이어드럼(33)에 각각 권취된 제 1 와이어(33a)가 각각 감겨있다.
상기 권취프레임의 하부측에는 상기 제 2 감지센서(63)가 약간 이격되어 상기 회동부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감지센서(63)는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권취프레임의 하부면에 대하여 약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측에는 감지돌기(63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권취바(61)에 감긴 상기 한 쌍의 제 1 와이어(33) 중 어느 하나의 와이어가 절단되거나 손상되어 장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권취프레임(62)은 손상을 입은 와이어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 때, 기울어진 권취프레임의 하부면은 상기 제 2 감지센서의 상기 감지돌기(63a)에 맞닿게 되고, 상기 제 2 감지센서(63)는 권취프레임과의 접촉에 의해 감지신호를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인가하고, 인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X선 촬영장치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와이어에 대하여 각각의 안전장치를 마련함으로써, 와이어가 느슨해지거나 절단되는 경우 즉각적으로 장치의 구동을 중단시킴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천정형 X선촬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X선촬영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X선촬영장치의 본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X선촬영장치의 제 1 안전장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천정형 X선촬영장치의 제 2 안전장치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천정형 X선촬영장치
10 : 제 1 가이드레일 20 : 제 2 가이드레일
30 : 본체부
33 : 제 1 와이어드럼
34 : 제 2 와이어드럼
35 : 스프링밸런스
36 : 제 1 안전장치부
40 : 포스트프레임 50 : X레이 튜브
60 : 제 2 안전장치부

Claims (6)

  1. 검사실의 천정에 설치되는 제 1 가이드레일(10)과, 상기 제 1 가이드레일(10)의 하부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 1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가이드레일(20)과, 상기 제 2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본체부(30)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절첩가능하게 설치된 포스트 프레임(40)과, 상기 포스트 프레임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X레이 튜브(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30)는,
    제 1 와이어(33a)가 감기는 제 1 와이어 드럼(33)과,
    상기 제 1 와이어 드럼과 동축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 1 와이어드럼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제 2 와이어 드럼(34)과,
    상기 제 2 와이어 드럼에 감기는 제 2 와이어(34a)가 연결되는 스프링 밸런스(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X선 촬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30)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고정설치된 구동모터(32)와,
    일끝단이 상기 구동모터의 중심샤프트에 연결되며, 타끝단이 상기 제 1 와이어드럼의 와이어드럼 샤프트(32c)에 연결되는 체인스프로켓(32b)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X선 촬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와이어드럼(33) 또는 상기 제 2 와이어 드럼(34)은 제 1 안전장치부(36)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안전장치부(36)는,
    상기 제 1 와이어드럼 또는 상기 제 2 와이어 드럼에 연결된 연결바(36a)와,
    상기 연결바에 고정설치된 안전샤프트(36b)와,
    상기 제 1 와이어드럼 또는 상기 제 2 와이어 드럼의 일측에 설치된 원호형상의 홈(33b)과,
    상기 연결바의 일끝단에 맞닿아 상기 원호형상의 홈 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촉바(33c)와,
    상기 원호형상의 홈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접촉바와 맞닿아 상기 제 2 와이어의 손상을 감지하는 감지센서(3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X선 촬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샤프트(36b)에는 상기 안전샤프트를 둘러싸는 중량물인 무게추(37)가 더욱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X선 촬영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전장치부(36)는 일측은 상기 안전샤프트(36b)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안전샤프트를 상기 본체부의 저면측으로 당기는 탄성스프링(39)을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X선 촬영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프레임의 하단의 회동부 상에 설치된 제 2 안전장치부(60)를 더욱 구비하며,
    상기 제 2 안전장치부(60)는,
    상기 제 1 와이어가 감기는 권취바(61)가 연결된 권취프레임(62)과,
    상기 권취프레임의 하부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권취프레임의 좌우회동에 따라 상기 권취프레임의 저면과 맞닿는 감지돌기(63a)가 장착된 제 2 감지센서(6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X선 촬영장치.
KR1020090024755A 2009-03-24 2009-03-24 천정형 x선 촬영장치 KR100966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755A KR100966883B1 (ko) 2009-03-24 2009-03-24 천정형 x선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4755A KR100966883B1 (ko) 2009-03-24 2009-03-24 천정형 x선 촬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6883B1 true KR100966883B1 (ko) 2010-06-30

Family

ID=4237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755A KR100966883B1 (ko) 2009-03-24 2009-03-24 천정형 x선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8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461B1 (ko) 2016-05-30 2016-12-28 디케이메디칼시스템(주) 천장형 엑스선 촬영장치
KR101778545B1 (ko) 2017-01-09 2017-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레이촬영장치
US10166000B2 (en) 2011-02-15 2019-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diographic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5942A (ja) 2003-08-22 2005-03-17 Shimadzu Corp 天井懸垂式x線管保持装置
JP2008183109A (ja) * 2007-01-29 2008-08-14 Shimadzu Corp 天井走行式x線管懸垂器
US7441952B2 (en) 2005-11-22 2008-10-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system for X-ray diagnosis of an examination object
US7452130B2 (en) 2005-05-13 2008-11-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X-ray device with an x-ray source fixed to a ceiling stan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5942A (ja) 2003-08-22 2005-03-17 Shimadzu Corp 天井懸垂式x線管保持装置
US7452130B2 (en) 2005-05-13 2008-11-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X-ray device with an x-ray source fixed to a ceiling stand
US7441952B2 (en) 2005-11-22 2008-10-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system for X-ray diagnosis of an examination object
JP2008183109A (ja) * 2007-01-29 2008-08-14 Shimadzu Corp 天井走行式x線管懸垂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66000B2 (en) 2011-02-15 2019-01-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diographic apparatus
KR101690461B1 (ko) 2016-05-30 2016-12-28 디케이메디칼시스템(주) 천장형 엑스선 촬영장치
KR101778545B1 (ko) 2017-01-09 2017-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레이촬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7780B1 (ko) 엑스레이촬영시스템 및 그 이동 방법
US4501011A (en) Angulating lateral fluoroscopic suspension
US6721388B2 (en) Tiltable gantry for X-ray tomography system
JP2015530899A5 (ko)
KR100966883B1 (ko) 천정형 x선 촬영장치
US9693740B2 (en) Medical diagnostic imaging apparatus
KR101229327B1 (ko) 듀얼 실링 엑스레이 시스템
KR101077117B1 (ko) X선 촬영장치용 포스트프레임
US7556427B2 (en) X-ray radiography apparatus and X-ray generator moving device
EP2752159B1 (en) X-ray imaging apparatus
KR101661170B1 (ko) 가스스프링을 이용한 발란스 구조를 가지는 의료용 스탠드
US20180140408A1 (en)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having height-adjustable table for animals
KR20220016208A (ko) Ct 이미징 장치
US20160157792A1 (en) Fixed/mobile patient handling system
JP2009201670A (ja) 身体測定装置
JP2019005105A (ja) 放射線撮影装置
JP2008113702A (ja) X線撮影装置
KR101662692B1 (ko) 엑스레이촬영시스템 및 그 이동 방법
KR100934711B1 (ko) U―arm 스탠드를 이용한 엑스선 촬영장치
JP5677058B2 (ja) 寝台装置及び画像診断装置
JP3199839U (ja) 立位用放射線撮影台および立位用放射線撮影装置
KR101188346B1 (ko) 배관 진단 장치
JP2012231889A (ja) 放射線撮像装置
KR101188348B1 (ko) 배관 진단 장치
JPH10277023A (ja) 水平置きx線ct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121

Effective date: 2010052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