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526B1 -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526B1
KR101660526B1 KR1020160091599A KR20160091599A KR101660526B1 KR 101660526 B1 KR101660526 B1 KR 101660526B1 KR 1020160091599 A KR1020160091599 A KR 1020160091599A KR 20160091599 A KR20160091599 A KR 20160091599A KR 101660526 B1 KR101660526 B1 KR 101660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imator
fixing
support
magnetic body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태
Original Assignee
지엔아이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엔아이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엔아이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1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5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01N23/04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using fluoroscopic examination, with visual observation or video transmission of fluoroscopic ima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2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involving magnetic resonance
    • G01R33/28Details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G01R33/44 - G01R33/64
    • G01R33/38Systems for generation, homogenisation or stabilisation of the main or gradient magnetic field
    • G01R33/381Systems for generation, homogenisation or stabilisation of the main or gradient magnetic field using electromagn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6Specifications of the specimen
    • G01N2203/0296Wel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콜리메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고정함은 물론, 그 위치와 방사선 조사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고 품질의 비파괴검사를 수행할 수 있고, 특히, 배치되는 바닥면이 곡면 또는 경사면 등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고정 배치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향상되도록;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가 관통되게 삽입고정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과 연결되며 지지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고정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콜리메터를 고정하여 지지하도록 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수단은, 상기 콜리메터의 선단이 외부로 돌출되게 관통수용되도록 양단이 관통된 '관' 형상의 수용관과, 상기 수용관이 수용고정되며 저면에 상기 연결수단에 결합하는 결합부가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지지수단은, 저면에 자성체가 구비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수단의 하부를 고정하도록 된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한 연결수단은, 양단에 상기 결합부와 상기 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하는 회동부가 각각 구비되며 길이를 가지는 연결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A support device for a collimator}
본 발명은 방사선을 이용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를 원하는 위치에 지지하여 고정하도록 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콜리메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고정함은 물론, 그 위치와 방사선 조사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고 품질의 비파괴검사를 수행할 수 있고, 특히, 배치되는 바닥면이 곡면 또는 경사면 등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고정 배치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향상되도록 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자동차사 및 부품생산업체에서는 여러 종류의 소재를 이용하여 부품을 제조하며, 그 제조 과정 중 소재의 용접이 필연적으로 수행된다.
한편, 용접부위에 대한 결함의 유무를 확인하여 용접 품질에 대한 안정성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며, 특히 선박의 경우에는, 용접부위의 비 안전성에 의한 사고시 막대한 인적 물적 손해를 입게 됨에 따라, 용접부위의 정밀한 안전성 검사를 수행하여야만 한다.
이에 따라, 선박의 제조시 용접부위에 대한 품질의 안전성을 검사하기 위한 비파괴검사가 동반된다.
이러한, 비파괴검사는, 어떠한 제품을 생산/제조하거나 또는 사용함에 있어 결함의 유무를 확인하여 그 제품의 품질에 대한 안전성을 얻고자 실시하는 검사방법으로, 비파괴검사란 어떤 제품 또는 재료를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을 통하여 내부 또는 외부에 결함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제품 또는 재료를 파괴 또는 변형시키지 않은 상태로 확인하는 검사방법이다.
이와 같은, 비파괴검사의 종류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검사방법으로는 방사선투과검사(Radiographic Testing, RT), 초음파탐상검사 (Ultrasonic Testing, UT), 자분탐상검사 (Magnetic Testing,MT), 침투탐상검사 (Liquid Penetrant Testing, PT), 와전류검사 (Eddy Current Testing, ETC), 누설검사(Leak Testing, LT) 등이 있다.
한국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4-0006110호(명칭: 용접 시편의 비파괴검사용 장치)에서는, 방사선을 이용한 용접부위의 품질을 검사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으며,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중심 부분에 방사선 촬영용 케이블이 삽입될 가이드 홀이 구비되는 시편 지지판; 일측부가 상기 시편 지지판의 외주면에 연결되며, 상기 시편 지지판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복수 개로 설치되는 시편 지지대; 및 상기 복수 개의 시편 지지대 각각의 타측부에 설치되며, 용접 시편과 방사선 필름을 고정하는 고정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비파괴검사용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선박 등의 제조과정에서 용접부위에 대한 비파괴검사는, 주로 방사선투과검사(RT) 방법이 적용되며, 이러한 방사선투과검사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방사선 사진을 촬영하여 제품의 건전성을 확인하는 방법이며, 주로 제품의 내부에 존재하는 결함을 찾아내도록 되어 있다.
즉,방사선이 발생되는 방사선원을 측정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일측면에 배치하고 그 구조물의 타측면에 상기 방사선원에서 방출된 방사선이 그 구조물을 투과한 양을 측정함으로써 그 구조물에 결함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사선을 이용한 비파괴 검사시 적용되는 장비는, 텅스텐과 같은 차폐체에 수용된 방사선원이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어 그 케이블이 가이드 튜브를 타고 장비 외부로 돌출되어 필요한 위치에 세팅한 후에 그 상기 방사선원에서 발생된 방사선을 구조물에 조사함으로써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방사선원에서 방출되는 방사선은 특정방향으로만 방출되는 것이 아니고 그 방사선원을 중심으로 모든 방향으로 방출된다.
이러한 방사선을 특징을 고려하여 특정한 방향으로만 방사선이 방출될 수 있도록 그 방사선의 조사방향을 한정하는 역할을 하는 부품을 콜리메터(collimator)라 하며, 상기 콜리메이터는 납(Pb), 텅스텐(W) 등과 같이 방사선을 양호하게 차단할 수 있는 물질로 제조된다.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239944호(명칭: 방사선원의 조사방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비파괴검사장비용 콜리메이터장치)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몸체; 및 상기 몸체에 결합된 콜리메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의 하부에는 삼각형 형태로 배치된 3개의 바퀴가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 되며, 상기 바퀴 중 2개의 바퀴는 하나의 구동축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바퀴 중 나머지 하나는 지면에 수직인 방향의 조향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축의 중앙부에는 기어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축에 형성된 기어부는 상기 몸체에 고정된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조향축은 상기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되고, 상기 조향축은 조향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조향모터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의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이동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이동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2이동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2이동부재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제3이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3이동부재는 랙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2이동부재에 대해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출몰축과, 상기 출몰축의 일단부에 배치되는 콜리메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부재는 상기 몸체의 상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 한 쌍의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과 이격된 위치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작동공이 구비되며, 상기 작동공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공에 구비된 암나사부와 맞물리는 수나사부가 구비된 한 쌍의 스크류 봉과, 상기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공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봉이 구비되며, 상기 스크류봉을 회전구동하는 제1모터가 상기 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이동부재에는, 상기 제2이동부재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이동부재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볼 스크류가 구비되며, 상기 제2이동부재의 하면에 고정되며 상기 볼 스크류와 결합한 볼 너트가 구비되며, 상기 볼 스크류를 회전 구동하는 제2모터가 상기 제1이동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출몰축은 상기 제3이동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랙 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를 구비한 제3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콜리메이터의 전면부는 오목한 홈부를 구성하며, 상기 콜리메이터의 후면부는 평면부를 구성하며, 상기 콜리메이터에 구비된 오목한 홈부의 중심으로부터 그 콜레메이터의 일측면을 향해 관통된 방사선원 가이드 관이 마련되며, 상기 콜리메이터는 후면에는 방사선 감지센서가 부착되며, 그 방사선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방사선량을 수치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 모터와, 상기 조향 모터와, 상기 제1모터와, 상기 제2모터와, 상기 제3모터를 상기 몸체의 외부에서 전자기파에 의해 무선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무선 제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콜리메이터는 상기 출몰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콜리메이터는 후면부에 기어부가 구비되고 상기 출몰축에는 상기 콜리메이터의 후면부에 구비된 기어부와 맞물리는 콜리메이터 회전용 모터가 설치된 콜리메터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34989호(명칭: 방사선 원격조정기 제어용 케이블 커넥터)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소스가 설치되는 피그테일 케이블, 상기 피그테일 케이블을 수납하여 보관 및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소스 보관함 차폐장치, 피그테일 케이블의 외주에 구비되는 가이드 튜브, 상기 피그테일 케이블의 타단에 연결되는 구동 케이블, 상기 구동 케이블을 안내하는 외부 케이블 호스, 상기 구동 케이블을 신축시켜 상기 피그테일 케이블 및 상기 피그테일를 원격 조정하는 구동 조작부로 이루어진 방사선 원격조정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 케이블 및 상기 피그테일 케이블을 연결하도록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와 상기 구동 케이블 및 상기 피그테일 케이블이 결합되도록, 상기 커넥터의 외주를 중심 방향으로 프레스 성형하여 얻어진 복수의 등간격 압착면을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7-0104994호(명칭: 콜리메타 장착홀더)에서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콜리메터가 삽입되도록 형성된 삽입홀과, 상기 삽입홀과 수직한 상태로 연통되어 상기 콜리메타에서 동위원소가 방출되는 방출홀을 포함하여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방출홀에 충진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콜리메타가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충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콜리메터 장착홀더가 기재되어 있다.
1. 한국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4-0006110호 2.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239944호 3.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34989호 4.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7-0104994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를 고정하는 장치들을 통해서는, 선박 등의 용접부위를 방사선검사를 할 때,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배치되는 바닥면이 곡면 또는 경사면 등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고정 배치할 수 없어, 사용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콜리메터의 위치와 방사선 조사각도를 조절할 수 없어, 고 품질의 비파괴검사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고정함은 물론, 그 위치와 방사선 조사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고 품질의 비파괴검사를 수행할 수 있고, 특히, 배치되는 바닥면이 곡면 또는 경사면 등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고정 배치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향상되도록 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는,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가 관통되게 삽입고정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고정수단과 연결되며 지지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고정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콜리메터를 고정하여 지지하도록 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수단은, 상기 콜리메터의 선단이 외부로 돌출되게 관통수용되도록 양단이 관통된 '관' 형상의 수용관과, 상기 수용관이 수용고정되며 저면에 상기 연결수단에 결합하는 결합부가 형성된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지지수단은, 저면에 자성체가 구비된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수단의 하부를 고정하도록 된 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한 연결수단은, 양단에 상기 결합부와 상기 고정부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하는 회동부가 각각 구비되며 길이를 가지는 연결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지지수단의 자성체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지지수단의 자성체는, 전원을 인가받아 자력을 형성하도록 된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결합부와 상기 고정부와 상기 회동부에서 서로 면접촉하는 부위에는, 중앙의 축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등각도의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된 요철돌기들이 형성되어 서로 맞물림 결합하도록 되며, 상기 축공에는 체결볼트가 관통하면서 너트와 나사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는, 지지수단의 자성체를 통해 배치되는 바닥면이 곡면 또는 경사면 등으로 이루어질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할 수 있어, 사용효율이 향상되도록 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연결수단의 회동을 통해 콜리메터의 위치와 방사선 조사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고 품질의 비파괴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를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개략 정면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정면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에 적용되는 지지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에 적용되는 지지수단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에 적용되는 지지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에 적용되는 고정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콜리메터의 지지장치(1)는, 방사선을 조사하여 선박의 용접부위에 대한 결함 유무를 검사하도록 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2)를 지지물(3)에 고정하여 지지하는 것에 적용된다.
즉, 선박의 표면 등과 같은 지지물(3)에 콜리메터(2)를 고정하여 방사선의 조사가 원하는 위치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적용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1)는, 상기 콜리메터(2)가 관통되게 삽입고정되는 고정수단(4)과, 상기 고정수단(4)과 연결되며 지지물(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지지수단(5)을 가진다.
즉, 상기 고정수단(4)에 콜리메터(2)를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수단(5)을 이용하여 지지물(3)에 고정함으로써 방사선의 조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1)에서, 상기한 고정수단(4)은, 상기 콜리메터의 선단이 외부로 돌출되게 관통수용되도록 양단이 관통된 '관' 형상의 수용관(41)을 가진다.
즉, 상기 수용관(41)의 내부에 상기 콜리메터(2)를 관통되게 수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고정수단(4)은, 상기 수용관(41)이 수용고정되며 저면에는 상기 지지수단(5)과 연결하도록 되며 후술하는 연결수단(6)의 일 부위가 결합하는 결합부(42)가 형성된 고정부재(43)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콜리메터(2)가 수용고정된 상기 수용관(41)을 고정하여 상기 연결수단(6)을 통해 상기 지지수단(5)에 의해 상기 지지물(3)에 지지고정하게 된다.
상기에서 고정부재(42)는, 상기 수용관(41)이 관통하면서 고정되는 고정관(44)과 상기 고정관(44)의 저면에서 연장형성되며 종단에 상기 결합부(42)가 형성된 결합돌부(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관(44)에는, 체결나사가 관통되면서 상기 수용관(41)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도록 된 너트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1)에서, 상기한 지지수단(5)은, 저면에 자성체(51)가 구비된 베이스판(52)과, 상기 베이스판(52)의 상면에 구비되며 후술하는 상기 연결수단의 하부를 고정하도록 된 고정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지지물(3)의 표면에 상기 자성체(51)를 통해 자력결합하여, 상기 고정부(53)를 통해 결합하는 상기 연결수단(6)과 상기 연결수단(6)에 결합된 상기 고정수단(4)을 안정적으로 지지고정하게 된다.
상기에서 자성체(51)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성체(51)는, 상기 베이스판(52)에 구비되며 상기 자성체(51)를 수용하되 수직상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자성체수용관(54)에 배치되며, 상기 자성체수용관(54)에는, 하단이 상기 자성체(51)의 상단에 공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면서 나사결합하는 승강볼트(55)나 나사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승강볼트(55)를 임의로 회전시키면 상기 승강볼트(55)가 상기 자성체수용관(54)의 내부에서 하단이 승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자성체(51)가 승강되어, 지지물(3)의 표면에서 이격 및 근접 밀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자성체(51)가 상기 지지물(3)에 대하여 자력결합되거나, 결합된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로 상기 지지물(3)에 결합하거나 결합해제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자성체(51)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하도록 된 스위치(56)의 조작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52)에 구비된 전원공급부(57)의 전원을 인가받아 자력을 형성하도록 된 전자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상기 스위치(56)의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하면 상기 전원공급부(57)의 전원이 상기 전자석에 공급 및 공급이 중단되어 자력을 형성하거나 자력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자성체(51)가 상기 지지물(3)에 대하여 자력결합되거나, 결합된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임의로 상기 지지물(3)에 결합하거나 결합해제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자성체(51)에서, 상기 지지물(3)의 표면과 밀착되는 면은, 평면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물(3)의 표면과 맞춤 되게 밀착하여 지지하도록 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종이자석 등과 같이 그 형상이 자유롭게 굴곡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1)에서, 상기한 고정부(53)는, 상기 베이스판(52)에 하단이 고정되며 상단에는 상기 고정부(53)가 구비된 길이를 가지는 지지봉(58)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베이스판(52)에 고정된 상기 지지봉(58)의 상단에 상기 고정부(53)가 배치되어 상기 연결수단과 결합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지지봉(58)의 하단에는,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52)의 중앙에서 상부오 연장형성되며 상면에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등각도의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된 다수의 요철돌기들이 형성된 지지돌부(59)와 맞물림 결합하는 다수의 요철돌기들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봉(58)의 하단을 상기 지지돌부(59) 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된 가압탄성체(S)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봉(58)을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베이스판(52)의 상부에서 회전시켜 원하는 각도로 배치한 후, 상기 지지돌부(59)와 상기 가압탄성체(S)를 통해 맞물림결합하여 지지 되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4)의 배치시 원하는 수평상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1)는, 상기 고정수단(4)과 상기 지지수단(5)을 연결하며 상술한 연결수단(6)을 가진다.
즉, 상기 고정수단(4)과 상기 지지수단(5)을 상기 연결수단(6)을 통해 연결하여, 지지물(3)과 상기 콜리메터(2)의 사이에 이격 거리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수단(6)은, 상기 지지수단(5)에 대하여 상기 고정수단(4)의 공간적인 위치를 가변하여 조절가능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수단(6)을 통해 지지물에 대한 콜리메터(2)의 위치와 방사선 조사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고 품질의 비파괴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즉, 용접부위의 공간적 위치에 구별되지 않으면서 비파괴검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1)에서, 상기한 연결수단(6)은, 양단에 상기 결합부(42)와 상기 고정부(53)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하는 회동부(61)가 각각 구비되며 길이를 가지는 연결봉(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봉(62)의 양단에 상기 고정수단(4) 및 상기 지지수단(5)이 결합됨과 아울러,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조절함으로써, 상기 지지수단(5)에 대한 상기 고정수단(4)의 수직상의 위치 및 수직상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결합부(42)와 상기 고정부(53)와 상기 회동부(61)에서 서로 면접촉하는 부위에는, 중앙의 축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등각도의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된 요철돌기들이 형성되어 서로 맛 물림 결합하도록 되며, 상기 축공에는 체결볼트가 관통하면서 너트와 나사 결합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임의로 조절된 각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검사를 수행하게 되어, 검사품질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1)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수용관(41)에 상기 콜리메터(2)를 관통되게 삽입하여 고정한 후, 상기 수용관(41)을 고정관(42)에 고정하면 상기 콜리메터(2)에서 방사선이 조사되는 부위가 상기 고정관(42)의 외부로 노출되게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수용관(41)의 타단으로는 상기 콜리메터(2)에서 연결된 미 도시된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4)에 상기 콜리메터(2)가 고정되면, 상기 지지수단(5)을 구성하는 상기 자성체(51)를 지지물(3)의 원하는 위치에 배치한 후, 자력을 부여하면, 상기 콜리메터(2)가 지지물(3)에 대해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물(3)에 상기 지지수단(5)이 고정되면, 상기 연결수단(6)을 구성하는 상기 연결봉(62)을 상기 결합부(42)와 상기 고정부(53)에 대한 상기 회동부(61)를 회동시켜 상기 콜리메터(2)에서 방사되는 방사선의 원하는 방향성과 각도로 회전시켜 절곡하여 고정한다.
이에 따라, 검사하고자 하는 용접부위에 콜리메터(2)의 방사선 조사부위가 위치하도록 조절되며, 상기 결합부(42)와 상기 고정부(53)를 상기 회동부(61)와 각각 나사체결하여 결합하면, 콜리메터(2)의 자세조절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상기 콜리메터(2)의 자세조절이 완료된 후, 별도의 미 도시된 방사선조절장치를 통해 방사선을 용접부위에 조사하면 용접부위에 대한 비파괴검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에 적용되는 고정수단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으로, 상기한 수용관(41)의 선단외주면에는, 전원을 공급받아 레이저빔을 조사하도록 된 레이저빔조사수단(7)이 구비되며, 상기 레이저빔조사수단(7)은, 상기 수용관(41)의 중앙을 중심으로 동일 반경을 가지는 위치에 등각도의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복수 개가 각각 배치되어, 방사선이 조사되는 중앙부위의 목표부위(T)를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에 각각 레이저빔(L)이 조사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레이저빔(L)들을 원형으로 연결하는 외곽선상의 중앙에 상기 목표부위(T)가 배치됨에 따라, 방사선의 조사룰 수행하기 전에 상기 레이저빔조사수단(7)들을 먼저 구동하여, 목표물에 레이저빔(L)들을 조사하여 육안으로 목표부위(T)가 제대로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한 후, 방사선의 조사를 통해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검사의 신뢰성을 더욱 확고히 할 수 있어, 검사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1)는, 콜리메터(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고정함은 물론, 그 위치와 방사선 조사각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지지장치 2 : 콜리메터
3 : 지지물 4 : 고정수단
41 : 수용관 42 : 결합부
43 : 고정부재 44 : 고정관
45 : 결합돌부 5 : 지지수단
51 : 자성체 52 : 베이스판
53 : 고정부 54 : 자성체수용관
55 : 승강볼트 56 : 스위치
57 : 전원공급부 58 : 지지봉
59 : 지지돌부 6 : 연결수단
61 : 회동부 62 : 연결봉
7 : 레이저빔조사수단 S : 가압탄성체
T : 목표부위 L : 레이저빔

Claims (4)

  1.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2)가 관통되게 삽입고정되는 고정수단(4)과, 상기 고정수단과 연결되며 지지물(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지지수단(5)과, 상기 고정수단(4)과 상기 지지수단(5)을 연결하는 연결수단(6)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콜리메터(2)를 고정하여 지지하도록 된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고정수단(4)은,
    상기 콜리메터(2)의 선단이 외부로 돌출되게 관통 수용되도록 양단이 관통된 '관' 형상의 수용관(41)과, 상기 수용관(41)이 수용 고정되며 저면에 상기 연결수단(6)에 결합하는 결합부(42)가 형성된 고정부재(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한 지지수단(5)은,
    저면에 자성체(51)가 구비된 베이스판(52)과, 상기 베이스판(52)의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수단(6)의 하부를 고정하도록 된 고정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한 고정부(53)는,
    상기 베이스판(52)에 하단이 고정되며 상단에는 상기 고정부(53)가 구비된 길이를 가지는 지지봉(58)에 구비되며;
    상기한 지지봉(58)의 하단에는,
    상기 베이스판(52)의 중앙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며 상면에 중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등각도의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된 다수의 요철돌기들이 형성된 지지돌부(59)와 맞물림 결합하는 다수의 요철돌기들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58)의 하단을 상기 지지돌부(59) 측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된 가압탄성체(S)에 의해 지지되도록 되며;
    상기한 연결수단(6)은,
    양단에 상기 결합부(42)와 상기 고정부(53)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하는 회동부(61)가 각각 구비되며 길이를 가지는 연결봉(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한 결합부(42)와 상기 고정부(53)와 상기 회동부(61)에서 서로 면접촉하는 부위에는,
    중앙의 축공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등각도의 간격을 가지면서 형성된 요철돌기들이 형성되어 서로 맞물림 결합하도록 되며,
    상기 축공에는,
    체결볼트가 관통하면서 너트와 나사 결합하도록 되며;
    상기한 자성체(51)는,
    상기 베이스판(52)에 구비되며 상기 자성체(51)를 수용하되 수직상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자성체수용관(54)에 배치되고;
    상기한 자성체수용관(54)에는,
    하단이 상기 자성체(51)의 상단에 공회전 가능하게 축결합되면서 나사결합하는 승강볼트(55)가 나사체결되며;
    상기한 수용관(41)의 선단외주면에는,
    전원을 공급받아 레이저빔을 조사하도록 된 레이저빔조사수단(7)이 구비되고;
    상기한 레이저빔조사수단(7)은,
    상기 수용관(41)의 중앙을 중심으로 동일 반경을 가지는 위치에 등각도의 사이 간격을 가지면서 복수 개가 각각 배치되어, 방사선이 조사되는 중앙부위의 목표부위(T)를 중심으로 동일한 반경에 각각 레이저빔(L)이 조사되도록 되는 것이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수단의 자성체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지수단의 자성체는,
    전원을 인가받아 자력을 형성하도록 된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
  4. 삭제
KR1020160091599A 2016-07-19 2016-07-19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 KR101660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599A KR101660526B1 (ko) 2016-07-19 2016-07-19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599A KR101660526B1 (ko) 2016-07-19 2016-07-19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0526B1 true KR101660526B1 (ko) 2016-10-10

Family

ID=57145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599A KR101660526B1 (ko) 2016-07-19 2016-07-19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5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580B1 (ko) * 2015-11-18 2017-03-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의 차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071Y1 (ko) * 2004-05-18 2004-09-06 최재형 각도조절장치를 갖는 사다리
KR200434989Y1 (ko) 2006-09-19 2007-01-02 나우기연주식회사 방사선 원격조정기 제어용 케이블 커넥터
KR20070104994A (ko) 2006-04-24 2007-10-30 나우기연주식회사 콜리메타 장착홀더
KR101239944B1 (ko) 2012-09-05 2013-03-06 유영검사 주식회사 방사선원의 조사 방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비파괴 검사 장비용 콜리메이터 장치
KR101418263B1 (ko) * 2013-08-12 2014-07-10 주식회사 에이피엔 위치 보조 기기를 가진 콜리메이터 장치
KR20140006110U (ko) 2013-05-27 2014-12-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시편의 비파괴검사용 장치
KR101557496B1 (ko) * 2015-07-07 2015-10-07 지엔아이솔루션 주식회사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
KR20160038592A (ko) *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히트코 마그네틱 스탠드에 콜리메이터를 장착하기 위한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071Y1 (ko) * 2004-05-18 2004-09-06 최재형 각도조절장치를 갖는 사다리
KR20070104994A (ko) 2006-04-24 2007-10-30 나우기연주식회사 콜리메타 장착홀더
KR200434989Y1 (ko) 2006-09-19 2007-01-02 나우기연주식회사 방사선 원격조정기 제어용 케이블 커넥터
KR101239944B1 (ko) 2012-09-05 2013-03-06 유영검사 주식회사 방사선원의 조사 방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비파괴 검사 장비용 콜리메이터 장치
KR20140006110U (ko) 2013-05-27 2014-12-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시편의 비파괴검사용 장치
KR101418263B1 (ko) * 2013-08-12 2014-07-10 주식회사 에이피엔 위치 보조 기기를 가진 콜리메이터 장치
KR20160038592A (ko) * 2014-09-30 2016-04-07 주식회사 히트코 마그네틱 스탠드에 콜리메이터를 장착하기 위한 디바이스
KR101557496B1 (ko) * 2015-07-07 2015-10-07 지엔아이솔루션 주식회사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7580B1 (ko) * 2015-11-18 2017-03-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배관의 차폐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8838B1 (en) Ultrasonic inspection probe carrier system for performing nondestructive testing
KR200436664Y1 (ko) 비파괴검사에서의 방사선사고방지를 위한 방사선방출부 정위치구동장치
KR101516150B1 (ko)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KR102088704B1 (ko) 분기관 용접부 초음파 검사용 반자동 스캐너
KR101660526B1 (ko)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
EP004577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pe inspection
KR200472414Y1 (ko) 수직 용접부의 방사선 촬영장치
JP2007132667A (ja) 配管溶接部の非破壊検査装置
KR101637479B1 (ko) 압력용기 카테고리 디 조인트 용접부 인사이드 전용 위상배열 초음파 검사장치와 그 방법
KR101557496B1 (ko)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지지장치
KR101286576B1 (ko) 피검체에 직접 부착되며, 회전 개폐에 의한 방사선 조사 장치
KR101341957B1 (ko) 콜리메이터 고정 장치
KR101915709B1 (ko) 발전소 보일러 헤더 스터브 튜브용 자동 검사장치
KR101550640B1 (ko) 비파괴검사용 콜리메터의 위치확인장치
KR200490799Y1 (ko) 초음파 검사장치
KR102400244B1 (ko) 휴대용 디지털 방사선 투과검사장치
JP2015001415A (ja) Ut検査装置
JP4682175B2 (ja) 原子炉圧力容器における溶接部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2002148385A (ja) 原子炉内配管検査装置
KR20150145568A (ko)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KR102283451B1 (ko) 방사선 시편 검사 장치
KR101825654B1 (ko) 배관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JP4902444B2 (ja) 渦流探傷用マルチコイルプローブ装置
JP2000249783A (ja) 炉内配管溶接部の位置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40058899A (ko) 다채널 초음파 자동 스캐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4